KR102007088B1 -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리대 - Google Patents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088B1
KR102007088B1 KR1020170142555A KR20170142555A KR102007088B1 KR 102007088 B1 KR102007088 B1 KR 102007088B1 KR 1020170142555 A KR1020170142555 A KR 1020170142555A KR 20170142555 A KR20170142555 A KR 20170142555A KR 102007088 B1 KR102007088 B1 KR 102007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vapor
air
filtration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8063A (ko
Inventor
치앙 팅-팡
Original Assignee
팬시 푸드 서비스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팬시 푸드 서비스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팬시 푸드 서비스 이큅먼트 씨오., 엘티디.
Priority to KR1020170142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0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3/00Kitchen or dish-wash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42Devices for removing cooking fum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ooking range e.g. downd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리대는, 조리영역을 구비한 테이블, 상기 조리영역을 향해 설치되는 배기후드, 및 상기 테이블 내에 각각 설치되는 배기팬 및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 내에 대형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설치되는 여과기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기는 상기 수용공간을 방출영역 및 여과영역으로 분리하며; 상기 확대된 수용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여과기가 대형 범위로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여과기가 유증기를 차단하는 면적이 확대되고 공기 저항이 감소하며, 이와 동시에 기름때가 수집박스의 수집홈 내에 효과적으로 수집될 수 있어, 상기 여과기가 기름때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유증기가 장애를 받지 않고 순조롭게 유입될 수 있고, 또한 상기 배기팬이 배기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상기 방출영역과 결합하여 상기 여과기를 거쳐 여과된 후의 공기가 잠시 축적되었다가 순차적으로 외부로 방출됨으로써, 여과 후의 공기가 동시에 배출되어 발생되는 압축을 피할 수 있어, 유증기의 여과 효율이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Description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리대{COOKING APPARATUS WITH FILTERING ASSEMBLY}
본 발명은 유증기 여과 설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리대에 관한 것이다.
조리설비인 조리대(예를 들어 철판구이 조리대, 고기구이 조리대 또는 튀김기 등등) 내에는 모두 유증기 여과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여과장치를 이용하여 고온으로 조리 시 발생하는 유증기를 제거한다. 이하 상용되는 철판구이 조리대(2)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철판구이 조리대(2)는 조리영역(22)을 구비한 테이블(21), 상기 테이블(21)에 설치되며 상기 조리 영역(22) 방향으로 개구(231)가 설치되는 배기후드(23), 상기 테이블(21) 내에 설치되는 배기팬(24), 상기 배기후드(23)와 상기 배기팬(24) 사이에 연통되는 여과장치(1), 상기 배기후드(23)의 개구(231)와 상기 여과장치(1)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통로(25), 및 상기 여과장치(1)와 상기 배기팬(24)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배출통로(26)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여과장치(1)는 본체(11), 상기 본체(11) 내에 형성되어 상기 공기유입통로(25)와 연통되는 수용공간(12), 상기 공기유입통로(25) 및 상기 수용공간(12)과 연통되는 공기유입구(13), 상기 공기배출통로(26) 및 상기 수용공간(12)과 연통되는 공기배출구(14), 및 상기 공기배출구(14) 부위에 설치되는 여과망(15)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여과장치(1)는 사용 시, 먼저 상기 배기팬(24)을 작동시켜 공간 내부의 공기 흐름을 발생시키고, 상기 조리영역(22) 부근의 공기에 변위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조리 시, 상기 조리영역(22) 부위에 형성되는 유증기가 상기 배기후드(23)의 개구(231)를 통해 상기 공기유입구(13)를 거쳐 상기 수용공간(12) 내부로 유입되며, 이때 상기 유증기는 상기 배기팬(24)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공기배출구(14) 부위에 설치된 상기 여과망(15)을 통해 여과된 후, 상기 공기배출구(14)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며, 이와 같이 상기 유증기의 여과 작업이 완료된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여과장치(1)는 사용 후, 여전히 다음과 같은 단점이 존재하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상기 여과장치(1)는 유증기 내의 기름때를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없다. 초기에, 상기 유증기는 상기 배기후드(23)의 개구(231)와 상기 공기유입통로(25)를 경유하여 상기 여과망(15)을 통해 여과되는데 상기 여과망(15)은 아직 기름때가 점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나, 단 상기 여과망(15)을 일정 시간 사용한 후에는, 기름때가 여과망(15)에 부착되어 상기 여과망(15)이 막히게 되면서 상기 여과망(15)의 공극이 축소되며, 이때 상기 유증기의 여과효과가 대폭 감소되고, 심지어 유입되는 유증기에 장애가 되는 동시에, 후속되는 상기 배기팬(24)의 흡입력 전달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상기 조리영역(22) 상의 유증기 흡수 능력이 대폭 저하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12)의 용량이 제한적이어서 모든 유증기를 동시에 수용할 수 없기 때문에, 흡입 여과되지 못한 유증기가 상기 식사 공간에 부유하여, 식사 환경이 영향을 받게 되므로, 실로 개선이 필요하다.
2. 상기 여과망(15) 및 상기 수용공간(12)에 점착된 기름때는 제거하기 어렵다. 유증기 중의 기름때는 비교적 무겁고 점조성이 있는 물질이므로, 상기 기름때가 상기 여과망(15) 및 상기 수용공간(12)의 주변 벽면에 점착되기가 매우 쉬운 동시에, 상기 기름때는 제거가 더욱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수용공간(12)이 지나치게 협소하여 상기 수용공간(12)의 깊은 곳의 주변 벽면까지 깊숙이 청소하는데 장애가 되며, 장시간 누적된 후에는 유증기의 원활한 유입을 막아, 유증기의 여과 효과가 사라지고, 상기 배기팬(24)의 배기 흡입력 전달이 약해질 수 있어, 역시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확대된 수용공간을 이용하여 여과기를 대형 범위로 설치함으로써,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유증기의 원활한 여과 효과를 달성하고, 방출영역 공간을 결합 설치하여, 유증기의 여과 효율을 더욱 향상시킨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리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인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리대는,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에 조리영역을 구비한 테이블, 상기 조리영역을 향해 설치되는 배기후드, 상기 테이블에 연결되는 배기팬, 상기 배기후드 및 배기팬과 연통되는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 상기 배기후드와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통로, 및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와 상기 배기팬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배출통로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수집박스,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 대형 범위로 설치되는 여과기를 포함하고, 상기 여과기는 상기 수용공간을 방출영역 및 여과영역으로 구분하고, 또한 상기 수집박스는 상기 수집박스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여과기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집홈, 상기 공기유입통로 및 상기 여과영역과 연통되는 공기유입구, 및 상기 공기배출통로 및 상기 방출영역과 연통되는 공기배출구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된 대형 용적을 이용하여 상기 여과기를 대형 범위로 내부에 설치할 수 있어, 유증기 여과 면적이 효과적으로 증가하며, 상기 유증기가 상기 배기팬의 배기 효과에 의해 유도될 때 장애를 받지 않고 유도될 수 있는 동시에, 유증기가 흡착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후 상기 수집박스에 구비된 상기 수집홈을 이용하여 여과된 기름때를 수집함으로써, 상기 여과기가 상기 기름때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방출영역과 결합하여 여과 후의 공기를 잠시 축적함으로써, 이미 여과된 공기가 즉시 상기 공기배출통로로 유입되어 형성되는 압축 결함을 효과적으로 배제하고, 이로써 공기저항을 감소시켜 유증기의 원활한 여과 효과를 달성하며, 더 나아가 유증기 여과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여과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상기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A-A선 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국부적인 구성부재의 작동도이다.
도 5는 상기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국부적인 구성부재의 작동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의 국부적인 구성부재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상기 및 기타 기술내용, 특징과 효과는, 이하 참조 도면을 결합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3)는 철판구이기, 고기구이기 또는 튀김기 등등과 같은 조리설비의 조리대(4)에 설치된다. 이하, 도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조리대(4)는 테이블(41), 상기 테이블(41)에 설치되는 조리영역(42), 상기 테이블(41)에 설치되며 상기 조리영역(42)에 대응되어 상기 조리영역(42) 방향으로 개구(431)가 개설되는 배기후드(43), 상기 테이블(41)에 연결되는 배기팬(44), 상기 테이블(41)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후드(43) 및 상기 배기팬(44)과 연통되는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3),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3) 내에 형성되며 상기 배기후드(43)의 개구(431)와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3) 사이에 위치하는 공기유입통로(45), 및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3)와 상기 배기팬(44)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배출통로(46)를 포함하며; 상기 배기팬(44)이 가동되어 발생되는 배기 작동 상태에서, 강렬한 흡입 작용을 갖는 유동 풍압이 발생하여, 상기 조리영역(42)에 발생하는 유증기가 상기 배기후드(43)의 개구(431)를 거쳐 상기 유동 풍압에 의해 견인되어 흡입되고,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3)를 거쳐 여과된 후 다시 상기 배기팬(4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어서,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3)는 상기 배기후드(43)에 연결되는 수집박스(31)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수집박스(31) 내에 대형 용적으로 설치되는 수용공간(31A), 및 대형 범위로 상기 수집박스(31)의 수용공간(31A) 내에 설치되는 여과기(32)가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기(32)는 상기 수용공간(31A)을 상기 공기배출통로(46)와 연통되는 방출영역(311), 및 상기 공기유입통로(45)와 연통되는 여과영역(312)으로 분리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수집박스(31)는 상기 수집박스(31) 저부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기(32)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집홈(313), 상기 공기유입통로(45) 및 상기 여과영역(312)과 연통되는 공기유입구(314), 및 상기 공기배출통로(46) 및 상기 방출영역(311)과 연통되는 공기배출구(315)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기(32)는 상기 수집박스(31) 내에 장착 가능한 프레임(321), 상기 프레임(321) 내에 이격되게 배열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유증기 흐름 유도판(322), 및 임의의 두 유증기 흐름 유도판(322) 사이에 형성되는 여과통로(323)를 구비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유증기 흐름 유도판(322)은 다각형 형태로, 상기 각 여과통로(323)의 폭이 일치하지 않게 설치된다.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유증기가 견인되어 상기 여과기(32)로 도입될 때, 상기 유증기 흐름 유도판(322) 사이에 형성된 상기 여과통로(323)를 이용하여 유증기 중의 분진, 이취를 흡착할 수 있으며, 유증기 중의 기름때 역시 상기 유증기 흐름 유도판(322) 및 상기 여과통로(323)를 통과 시, 상기 유증기 흐름 유도판(322) 및 상기 여과 통로(323)의 표면에 가로막혀 순조롭게 하향 유동함과 동시에, 상기 수집홈(313)이 상기 유증기 흐름유도판(322) 및 상기 여과통로(323)에 의해 하향 유동하는 기름때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여과기(32)는 상기 여과영역(312)에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여과기(32)는 상기 수집박스(31) 내에 설치되는 방식으로써, 이동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어, 후일 청소하기에 편리하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조리대(4)를 가동시켜 사용 시, 상기 조리영역(42)도 동시에 가열되며, 또한 상기 배기팬(44) 역시 구동되는 과정에서 배기가 실시되는 운전 작동이 발생하고, 또한 운전 과정에서 강렬한 흡착 작용을 갖는 유동 풍압이 형성된다. 상기 조리영역(42)이 가열 후 고온 상태이므로, 식재료가 상기 조리영역(42)과 접촉 시 고온에 의해 가열되면서 유증기가 발생하며, 상기 조리영역(42)의 유증기는 상기 유동 풍압에 의해 견인되어 상기 배기후드(43)를 거쳐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3)로 유입된다. 다시 말해 상기 조리영역(42) 상의 유증기는 상기 배기팬(44)으로부터의 유동 풍압이 배기되는 과정에서, 상기 배기후드(43)의 개구(431)로 유입되어 상기 공기유입통로(45)를 거쳐 상기 여과영역(312)에 이르게 되며, 이때 상기 수용공간(31A) 내에 대형 범위로 설치되는 상기 여과기(32)를 이용하여, 상기 유증기에 섞인 기름때가 상기 유증기 흐름 유도판(322) 및 상기 여과통로(323)의 표면에 가로막힘과 동시에, 상기 기름때가 상기 유증기 흐름 유도판(322) 및 상기 여과통로(323)를 따라 순조롭게 상기 수집홈(313) 부위로 흐르게 됨으로써, 상기 수집홈(313)이 차단된 기름때를 수집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여과통로(323)의 설치를 통해 상기 유증기 중의 분진, 이취 등등을 흡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유증기의 여과 작업 과정에서, 상기 유증기가 장애 없이 상기 여과기(32)를 통해 여과될 수 있어, 상기 유증기가 상기 배기팬(44)의 흡착 과정에서 받는 저항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여과되어 기름때가 제거된 공기가 상기 방출영역(311)으로 유입된다. 물론 이때 수집박스(31)에 구비된 상기 방출영역(311)의 예비 결합 설치를 이용하여, 상기 여과기(32)를 통해 여과된 후의 공기가 잠시 축적될 수 있어, 다량의 이미 여과된 공기가 동시에 상기 공기배출통로(46)로 유입 시 형성될 수 있는 압축 결함을 효과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며, 후속되는 상기 배기팬(44)의 흡입력 전달이 영향을 받지 않게 되고, 상대적으로, 상기 방출영역(311)에 이르는 공기에 함유된 기름때 역시 대폭 감소되어, 상기 배기팬(44)의 흡입력의 전달 역시 영향을 받거나 삭감되지 않으며, 마지막으로 여과 후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구(315)를 통해 상기 공기배출통로(46)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며, 이에 따라 유증기 여과 효율이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물론 이후의 청소 정비 작업 시에도, 상기 기름때가 상기 수집홈(313)에 일보 앞서 수집되어, 상기 기름때가 상기 수집박스(31) 내의 벽면 주변에 과도하게 점착되지 않기 때문에, 청소가 더욱 쉽고 간편하며, 물론 상기 여과기(32)를 사전에 상기 수집박스(31) 내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청소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이 역시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구성부재를 포함하며, 차이점은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배출구(315) 부위에 여과망(33) 및 공기배출 제어장치(34)가 별도로 설치되고, 그 중, 상기 공기배출 제어장치(34)는 상기 여과기(32)와 이격 설치되는 레일(341), 및 상기 레일(341)에서 슬라이딩하는 차단판(342)을 구비한다는데 있다. 따라서, 상기 여과망(33)과 상기 여과기(32)의 이중 여과 설계를 이용하여, 다시 말해 상기 여과망(33)이 상기 여과기(32)에 의해 먼저 여과된 공기를 재여과할 수 있어, 유증기의 여과효과가 더욱 효과적으로 강화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차단판(342)은 상기 배기팬(44)(미도시)이 작동하는 풍압 양태와 결합하여, 상기 레일(341)에서 이동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공기배출구(315) 부위를 적시에 부분적으로 차단 또는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배출 제어장치(34)에 상기 배기팬(44)(미도시)이 발생시키는 작동 시의 유동 풍압 양태를 결합하여, 적시에 상기 차단판(342)을 상기 레일(341)에서 이동시켜 상기 공기배출구(315)의 노출된 형태를 차폐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기팬(44)이 가동된 후 형성되는 배기 흡입력의 전달이 비교적 약한 경우, 이때 상기 차단판(342)이 상기 공기배출구(315)를 차폐하지 않는 형태로 조절하여, 상기 공기배출구(315)를 완전히 노출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비록 상기 배기팬(44)의 배기 흡입력이 비교적 약하더라도, 상기 유증기의 여과 작업이 효과적으로 원활해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배기팬(44)의 제어된 배기 흡입력 전달이 비교적 강하고, 또한 배기 흡입력의 효과를 집중시키고자 하는 경우, 이때 상기 차단판(342)의 이동을 조절하여, 상기 차단판(342)이 상기 공기배출구(315) 부위를 적당히 차폐하여 상기 공기배출구(315)가 노출되는 면적이 축소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기팬(44)의 배기 흡입력을 효과적으로 집중시킬 수 있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여과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공기배출구(315) 부위에 설치된 상기 여과망(33)에 상기 여과기(32)를 결합한 이중 여과 설계를 이용하여, 유증기가 상기 여과기(32)를 거쳐 여과된 후, 한 번 더 여과되는 수속을 거치도록 할 수 있으며, 여과 후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내의 기름때와 이취가 크게 감소되어, 유증기 여과 효율을 대폭 향상시키기에 더욱 유리하다.
상기 내용을 귀납해보면, 본 발명은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의 수집박스 내부에 비교적 큰 용적의 수용공간을 설계하여, 상기 여과기가 상기 수용공간 내에 대형 범위로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유증기 중의 기름때를 차단하는 면적을 효과적으로 늘림과 동시에 공기 저항을 감소시켜, 유증기 여과 시 사용되는 배기팬의 기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고, 유증기가 여과되는 과정에서 장애를 받지 않고 순조롭게 상기 여과기로 유도되기에 유리하여, 유증기 및 흡착으로 발생되는 저항 결함이 크게 감소하며, 마지막으로 예비된 상기 방출영역 공간의 설치를 결합하여, 이미 여과된 후의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통로에 동시에 유입되어 형성되는 압축 결함을 효과적으로 배제함으로써, 유증기 여과 효율이 대폭 향상되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확실히 달성할 수 있다.
다만 이상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 범위를 제한할 수는 없으며, 본 발명의 특허출원 범위 및 발명의 명세서 내용에 따라 실시되는 간단한 등가의 변화와 수식은 모두 본 발명의 특허에 포함되는 범위에 속하여야 한다.
1: 여과장치 2: 조리대
3: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 4: 조리대
11: 본체 12: 수용공간
13: 공기유입구 14: 공기배출구
15: 여과망 21: 테이블
22: 조리영역 23: 배기후드
24: 배기팬 25: 공기유입통로
26: 공기배출통로 31: 수집박스
31A: 수용공간 32: 여과기
33: 여과망 34: 공기배출 제어장치
41: 테이블 42: 조리영역
43: 배기후드 44: 배기팬
45: 공기유입통로 46: 공기배출통로
231: 개구 311: 방출영역
312: 여과영역 313: 수집홈
314: 공기유입구 315: 공기배출구
321: 프레임 322: 유증기 흐름 유도판
323: 여과통로 341: 레일
342: 차단판

Claims (5)

  1. 테이블, 상기 테이블에 설치되는 조리영역, 상기 조리영역의 옆에 설치되며 상기 조리영역 방향으로 개구가 개설되는 배기후드, 상기 테이블에 연결되는 배기팬, 상기 테이블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후드 및 배기팬과 연통되는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 상기 배기후드의 개구와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통로, 및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와 상기 배기팬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배출통로를 포함하는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리대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입통로는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 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는 상기 배기후드에 연결되며, 내부에 상기 공기유입통로와 연통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집박스, 및 상기 수집박스의 수용공간 내에 대형 범위로 설치되는 여과기를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여과기는 상기 수용공간을 상기 공기배출통로와 연통되는 방출영역, 및 상기 공기유입통로와 연통되는 여과영역으로 분리하고, 또한 상기 수집박스는 상기 수집박스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여과기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집홈, 상기 공기유입통로 및 상기 여과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입구, 및 상기 공기배출통로 및 상기 방출영역과 연통되는 공기배출구를 구비하되,
    상기 공기유입통로 및 상기 여과영역은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직접 연통되어 있어, 상기 개구로부터의 유증기가 상기 공기유입통로로부터 상기 여과영역으로 유동하고 상기 여과기에 의해 직접 여과되며,
    여과망이 상기 공기배출구에 설치되고, 공기배출 제어장치가 상기 공기배출구에 추가로 설치되되, 상기 공기배출 제어장치는 상기 여과기와 이격 설치되는 레일, 및 상기 공기배출구의 개방상태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단판을 구비하며,
    상기 여과망은 상기 차단판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상기 차단판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상기 공기배출구와 여과망의 개방상태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리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는 상기 수집박스의 수용공간 내에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리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는 상기 수집박스 내에 장착 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설치되는 복수의 유증기 흐름 유도판, 및 임의의 두 유증기 흐름 유도판 사이에 형성되는 여과통로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유증기 흐름 유도판은 다각형 형태로 상기 각 여과통로의 폭이 일치하지 않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리대.
  5. 삭제
KR1020170142555A 2017-10-30 2017-10-30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리대 KR102007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555A KR102007088B1 (ko) 2017-10-30 2017-10-30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555A KR102007088B1 (ko) 2017-10-30 2017-10-30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063A KR20190048063A (ko) 2019-05-09
KR102007088B1 true KR102007088B1 (ko) 2019-08-02

Family

ID=6654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555A KR102007088B1 (ko) 2017-10-30 2017-10-30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0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2443A1 (de) * 2022-08-31 2024-03-06 Miele & Cie. KG Abdeckeinheit zum abdecken einer reinigungsöffnung eines gebläsegehäuses für eine abzugsvorrichtung, abzugsvorrichtung für ein kochfeld und kochfeld
BE1030954B1 (de) * 2022-10-10 2024-05-14 Miele & Cie Abdeckeinheit zum Abdecken einer Reinigungsöffnung eines Gebläsegehäuses für eine Abzugsvorrichtung, Abzugsvorrichtung für ein Kochfeld und Kochfel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97292A (zh) * 2020-09-08 2020-12-18 安庆东舟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新型的船用电磁设备的防水防尘进风格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9188A (ja) * 2013-04-30 2014-11-20 トンブ デーウ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調理装置
US20150059582A1 (en) * 2013-08-29 2015-03-05 Fancy Food Service Equipment Co.,Ltd. Green cascade-type device for intercepting and filtering oil fum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124U (ko) * 2016-12-31 2017-01-10 부흥세이프 주식회사 로스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219188A (ja) * 2013-04-30 2014-11-20 トンブ デーウ エレクトロニ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調理装置
US20150059582A1 (en) * 2013-08-29 2015-03-05 Fancy Food Service Equipment Co.,Ltd. Green cascade-type device for intercepting and filtering oil fum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32443A1 (de) * 2022-08-31 2024-03-06 Miele & Cie. KG Abdeckeinheit zum abdecken einer reinigungsöffnung eines gebläsegehäuses für eine abzugsvorrichtung, abzugsvorrichtung für ein kochfeld und kochfeld
BE1030954B1 (de) * 2022-10-10 2024-05-14 Miele & Cie Abdeckeinheit zum Abdecken einer Reinigungsöffnung eines Gebläsegehäuses für eine Abzugsvorrichtung, Abzugsvorrichtung für ein Kochfeld und Kochf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063A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7088B1 (ko) 유증기 여과 어셈블리를 구비한 조리대
DE102008014283A1 (de) Wrasenabzugsvorrichtung und eine solche umfassende Aufnahmevorrichtung für mindestens eine Speisenzubereitungseinheit
EP2838406A2 (de) Grillvorrichtung
CN211302228U (zh) 一种污水处理用废渣收集装置
AU2013222420B2 (en) Industrial separator and dewatering plant
CN107774442A (zh) 一种新型静电油烟净化一体机
JP6551710B1 (ja) 採光パネルの汚染物を除去する汚水処理装置
EP3045822A1 (de) Vorrichtung zum absaugen von abluft
CN108180523B (zh) 一种灶台
CH714258A2 (de) Dunstfiltereinrichtung für Kochfelder, insbesondere zum Absaugen und Filtern von Kochdünsten unterhalb der Kochfeldebene.
CN202590569U (zh) 打磨房吸尘柜
CN211505451U (zh) 一种方便除杂的粮食水分检测装置
CN207334832U (zh) 一种高效过滤智能抽油烟机
CN112155436B (zh) 一种烤箱集油结构
TWI622737B (zh) 具油煙濾除總成之烹煮機台
CN114413303A (zh) 一种厨房油烟排放装置
CN210425200U (zh) 一种可拆卸的油烟过滤装置
CN209519411U (zh) 一种卤水自动分离装置
CN109931644B (zh) 具有油烟滤除总成的烹煮机台
CN102794287B (zh) 多工位节能低噪除尘系统
CN209101367U (zh) 一种大厨房炉灶用具有节能循环清洗的排污机
CN113441390A (zh) 一种自动筛粉机
CN202019659U (zh) 一种铁板烧总成
CN210585832U (zh) 一种振动冷却机
CN207507657U (zh) 新型静电油烟净化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