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910B1 -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 Google Patents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910B1
KR102006910B1 KR1020190018547A KR20190018547A KR102006910B1 KR 102006910 B1 KR102006910 B1 KR 102006910B1 KR 1020190018547 A KR1020190018547 A KR 1020190018547A KR 20190018547 A KR20190018547 A KR 20190018547A KR 102006910 B1 KR102006910 B1 KR 102006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ot
pot body
fixing block
moun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8667A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190018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9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8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8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는 최소한된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진 단순 구성 및 간편 조립구조를 가지는 핸들에 대한 단순 조작으로 냄비에 대한 손잡이 기능과 받침대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는 한편, 다기능을 부여하게 되더라도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기존 냄비 구조의 변형없이도 간편하게 냄비 본체의 외주면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Pot with multi function handle}
본 발명은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최소한된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진 단순 구성 및 간편 조립구조를 가지는 핸들에 대한 단순 조작으로 냄비에 대한 손잡이 기능과 받침대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는 한편, 다기능을 부여하게 되더라도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기존 냄비 구조의 변형없이도 간편하게 냄비 본체의 외주면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에 관한 것이다.
냄비는 음식을 익히거나 데우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직접적으로 가열됨에 따라 사용자가 손쉽게 파지하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냄비의 양측 또는 일측에 손잡이가 달려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냄비의 손잡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2606호 "냄비 손잡이", 등록번호 제20-0304596호 "냄비용 가변 손잡이 구조",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1-0010007 "뚜껑거치식 냄비손잡이" 등이 안출되어 있다.
상기 "냄비 손잡이"는 냄비 손잡이에 바이메탈이 구비되고, 바이메탈의 열전도금속편이 냄비 측면에 접촉하여 열을 전도하게 되는 구성으로, 바이메탈과 연결된 계기판의 계기침으로 온도를 간편하게 식별할 수 있게 되어 냄비 안의 음식물의 익힘 상태를 수시로 확인할 필요가 없어지는 효과가 있는 기술이다. 또한 상기 "냄비용 가변 손잡이 구조"는 음식 조리시 냄비를 개방하였을 때 뜨거운 음식물이 묻은 조리도구를 냄비 자체의 손잡이 부위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거치식 냄비손잡이"는 냄비의 외주면 양측에 냄비 이용시 사용자가 파지하게 되는 본체가 부착되고, 본체에 회동체가 힌지결합되며, 회동체에 직각으로 절곡된 한쌍의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뚜껑이 삽입고정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한쌍의 걸림돌기 사이 공간에 뜨겁게 가열된 뚜껑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고, 뚜껑 내측으로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한편 뜨거운 냄비는 테이블에 직접 놓게 되면 테이블이 손상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 깔판 등의 냄비받침을 매개로 테이블에 놓게 될 경우 별도의 냄비받침을 구비하고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냄비의 손잡이와 관련된 종래기술의 경우, 냄비의 손잡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냄비받침 기능된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은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2606호 "냄비 손잡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04596호 "냄비용 가변 손잡이 구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1-0010007 "뚜껑거치식 냄비손잡이"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고정블록, 스프링, 체결볼트로 이루어진 다기능 핸들을 냄비 본체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단순 구성 및 조립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고, 기존 냄비 구조의 변형없이도 간편하게 냄비 본체의 외주면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기능 핸들에 대한 누름 동작과 회전 동작 만으로 냄비에 대한 손잡이 기능과 받침대 기능이 선택적으로 구현되는 단순 조작 구조를 가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10)을 가지고, 외주면 좌우측 상단 부위에 걸림턱(120)이 형성되는 냄비 본체(100); 상기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 좌우측 상단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되, 내부에 배치된 탄성체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냄비 본체(100)의 걸림턱(120)에 걸림고정되고, 상기 냄비 본체(100) 외주면 방향으로의 누름 동작에 의한 상기 탄성체의 압축에 따라 상기 냄비 본체(100)의 걸림턱(120)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수직면 상에서 회전하게 되는 한쌍의 다기능 핸들(3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다기능 핸들(300)은 상향 회전으로 위로 세워진 상태에서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하향 회전으로 아래로 세워진 상태에서 받침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에서 상기 다기능 핸들(300)은, 스프링 장착홈(311)이 상기 냄비 본체(100) 외주면 방향으로 개방되게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장착홈(311) 상단 부위에 단턱(312)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단턱(312)이 둘러싸는 체결구 관통홀(313)이 스프링 장착홈(311)과 연결되게 형성되는 고정블록(310); 상기 고정블록(310)의 저면 가장자리 부위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20)에 걸림고정되되, 상기 걸림턱(120)에 걸림고정될 시 상기 고정블록(310)과 함께 상기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걸림턱(120)으로부터 이탈될 시 구속없이 이동하게 되는 걸림턱 고정단(320); 상기 고정블록(310)의 체결구 관통홀(313) 및 스프링 장착홈(311)을 통과하여 상기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블록(310)의 상단 부위가 걸림고정되는 헤드(331)가 상단 부위를 이루는 체결구(330); 상기 고정블록(310)의 스프링 장착홈(311)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블록(310)의 단턱(312)에 고정되는 상단부위와 상기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하단부위를 갖는 탄성체인 스프링(3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고정블록(310)은 상기 체결구(330)의 헤드(331)와 상기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높이(H)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에서 상기 고정블록(310)은 상기 체결구 관통홀(313)과 연결되는 체결구헤드 장착홈(314)을 상기 냄비 본체(100) 외주면 반대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330)의 헤드(331)는 상기 체결구헤드 장착홈(3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는 상기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 좌우측 상단 부위에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20) 하부에 위치하는 핸들 고정단(2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구(330)는 체결볼트(330a)로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 고정단(200)은, 상기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연결편(210); 상기 연결편(210)의 중앙부위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310)의 스프링 장착홈(311) 하단 부위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340)의 하단이 상부면에 고정되는 안내단(220); 상기 안내단(220)의 중앙부위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블록(310)의 스프링 장착홈(311)으로 삽입되고, 암나사가공된 내주면을 갖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볼트(330a)와 볼트-너트 결합되는 체결구 고정대(2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에서 상기 걸림턱(120)은, 상기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수직고정편(121); 상기 수직고정편(12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다기능 핸들(300)의 걸림턱 고정단(320)이 걸림고정되는 걸림편(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에 의하면, 단순 조작으로 냄비에 대한 손잡이 기능과 받침대 기능이 선택적으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에 의하면, 다기능 핸들이 최소한된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진 단순 구성 및 간편 조립구조를 가지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기존 냄비 구조의 변형없이도 간편하게 냄비 본체의 외주면에 간편하게 적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를 구성하는 핸들 고정단과 다기능 핸들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를 구성하는 핸들 고정단과 다기능 핸들의 분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핸들의 단계별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냄비, 탄성체, 스프링, 와셔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1)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냄비 본체(100), 핸들 고정단(200), 한쌍의 다기능 핸들(3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냄비 본체(100)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10)을 가지는 것으로, 외주면 좌우측 상단 부위에 걸림턱(120)을 형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턱(120)은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수직고정편(121)과 걸림편(122)으로 구성된다.
수직고정편(121)은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것이고, 걸림편(122)은 수직고정편(12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걸림편(122)은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걸림편(122)은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걸림편(122)의 하부 내측으로 다기능 핸들(300)의 걸림턱 고정단(320)이 걸림고정되도록 한다.
핸들 고정단(200)은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 좌우측 상단 부위에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걸림턱(120)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핸들 고정단(200)은 걸림턱(120)과 분리되어 별도 형성될 수도 있고, 걸림턱(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핸들 고정단(200)은 연결편(210), 안내단(220), 체결구 고정대(2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연결편(210)은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편(210)은 다기능 핸들(300)이 반복적으로 조작되는 조건에서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내마모성 소재로 이루어져 다기능 핸들(300)의 반복적인 회전에 따라 마찰에 견딜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연결편(210)은 경질의 합성수지 소재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내단(220)은 연결편(210)의 중앙부위에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고정블록(310)의 스프링 장착홈(311) 하단 부위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끼워진다. 이와 같은 안내단(220)의 상부면에 스프링(340)의 하단이 고정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단(220)은 원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스프링 장착홈(311)과 동일한 외경을 가진다. 이에 따라 스프링 장착홈(311)에 안내단(220)이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블록(310)이 요동없이 안정되고 원활하게 전후이동할 수 있게 된다.
체결구 고정대(230)는 안내단(220)의 중앙부위에 돌출형성되어 고정블록(310)의 스프링 장착홈(311)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암나사가공된 내주면을 갖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체결볼트(330a)와 볼트-너트 결합된다.
한쌍의 다기능 핸들(300)은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 좌우측 상단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내부에 배치된 탄성체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 냄비 본체(100)의 걸림턱(120)에 걸림고정되고, 냄비 본체(100) 외주면 방향으로의 누름 동작에 의한 탄성체의 압축에 따라 냄비 본체(100)의 걸림턱(120)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수직면 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다기능 핸들(300)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상향 회전으로 위로 세워진 상태에서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하향 회전으로 아래로 세워진 상태에서 받침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핸들(300)은 도 3과 도 4에서와 같이 고정블록(310), 걸림턱 고정단(320), 체결구(330), 스프링(340), 와셔(350), 받침겸용 손잡이(3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블록(310)은 스프링 장착홈(311)을 냄비 본체(100) 외주면 방향으로 개방되게 내부에 형성한다. 또한 고정블록(310)은 스프링 장착홈(311) 상단 부위에 단턱(312)을 내측으로 돌출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블록(310)은 단턱(312)이 둘러싸는 체결구 관통홀(313)을 스프링 장착홈(311)과 연결되게 형성하고, 체결구 관통홀(313)과 연결되는 체결구헤드 장착홈(314)을 냄비 본체(100) 외주면 반대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블록(310)은 체결구(330)의 헤드(331)와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높이(H)로 형성되고, 원통체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걸림턱 고정단(320)은 고정블록(310)의 저면 가장자리 부위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어 걸림턱(120)에 걸림고정된다. 이와 같은 걸림턱 고정단(320)은 걸림턱(120)에 걸림고정될 시 고정블록(310)과 함께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고, 걸림턱(120)으로부터 이탈될 시 구속없이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핸들(300)은 한쌍의 걸림턱 고정단(320)이 고정블록(310)의 저면 가장자리 부위 상하단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걸림턱 고정단(320)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재의 낭비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체결구(330)는 고정블록(310)의 체결구 관통홀(313) 및 스프링 장착홈(311)을 통과하여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블록(310)의 상단 부위가 걸림고정되는 헤드(331)가 상단 부위를 이루고 있다. 여기서 체결구(330)의 헤드(331)는 체결구헤드 장착홈(3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결구(330)는 체결볼트(330a)로 이루어지고, 핸들 고정단(200)의 체결구 고정대(230)에 볼트-너트 결합으로 고정된다.
스프링(340)은 고정블록(310)의 스프링 장착홈(311)에 끼워지는 것으로, 고정블록(310)의 단턱(312)에 고정되는 상단부위와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하단부위를 갖는 탄성체이다. 이와 같은 스프링(3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 5에서와 같이 고정블록(310)에 탄성력이 부여되면서 다기능 핸들(300)이 걸림턱(120)에 안정되게 걸림고정되는 한편, 압축 탄성변형되는 스프링(340)에 의해 고정블록(310)이 걸림턱(120)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다기능 핸들(300)의 회전이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스프링(340)의 상하단에는 와셔(350)가 배치된다.
받침겸용 손잡이(360)는 고정블록(310) 외주면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겸용 손잡이(360)는 트라이앵글 형상으로 이루어져 손잡이 기능과 받침대 기능을 교번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1)는 고정블록(310), 스프링(340), 체결볼트(330a)로 이루어진 다기능 핸들(300)을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에 고정시키는 단순 구성 및 조립구조를 가지도록 하므로, 제조원가가 절감되도록 하고, 기존 냄비 구조의 변형없이도 간편하게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에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1)는 다기능 핸들(300)에 대한 누름 동작과 회전 동작 만으로 냄비에 대한 손잡이 기능과 받침대 기능이 선택적으로 구현되는 단순 조작 구조를 가지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100 : 냄비 본체
110 : 수용공간
120 : 걸림턱
121 : 수직고정편
122 : 걸림편
200 : 핸들 고정단
210 : 연결편
220 : 안내단
230 : 체결구 고정대
300 : 다기능 핸들
310 : 고정블록
311 : 스프링 장착홈
312 : 단턱
313 : 체결구 관통홀
314 : 체결구헤드 장착홈
320 : 걸림턱 고정단
330 : 체결구
330a : 체결볼트
331 : 헤드
340 : 스프링
350 : 와셔
360 : 받침겸용 손잡이

Claims (5)

  1. 상부가 개방된 수용공간(110)을 가지고, 외주면 좌우측 상단 부위에 걸림턱(120)이 형성되는 냄비 본체(100);
    상기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 좌우측 상단 부위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되, 내부에 배치된 탄성체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냄비 본체(100)의 걸림턱(120)에 걸림고정되고, 상기 냄비 본체(100) 외주면 방향으로의 누름 동작에 의한 상기 탄성체의 압축에 따라 상기 냄비 본체(100)의 걸림턱(120)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수직면 상에서 회전하게 되는 한쌍의 다기능 핸들(300); 을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 핸들(300)은 상향 회전으로 위로 세워진 상태에서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한편, 하향 회전으로 아래로 세워진 상태에서 받침대 기능을 수행하며,
    스프링 장착홈(311)이 상기 냄비 본체(100) 외주면 방향으로 개방되게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장착홈(311) 상단 부위에 단턱(312)이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단턱(312)이 둘러싸는 체결구 관통홀(313)이 스프링 장착홈(311)과 연결되게 형성되는 고정블록(310);
    상기 고정블록(310)의 저면 가장자리 부위에 수직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걸림턱(120)에 걸림고정되되, 상기 걸림턱(120)에 걸림고정될 시 상기 고정블록(310)과 함께 상기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걸림턱(120)으로부터 이탈될 시 구속없이 이동하게 되는 걸림턱 고정단(320);
    상기 고정블록(310)의 체결구 관통홀(313) 및 스프링 장착홈(311)을 통과하여 상기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블록(310)의 상단 부위가 걸림고정되는 헤드(331)가 상단 부위를 이루는 체결구(330);
    상기 고정블록(310)의 스프링 장착홈(311)에 끼워지고, 상기 고정블록(310)의 단턱(312)에 고정되는 상단부위와 상기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하단부위를 갖는 탄성체인 스프링(34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블록(310)은 상기 체결구(330)의 헤드(331)와 상기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높이(H)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블록(310)은 상기 체결구 관통홀(313)과 연결되는 체결구헤드 장착홈(314)을 상기 냄비 본체(100) 외주면 반대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330)의 헤드(331)는 상기 체결구헤드 장착홈(31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 좌우측 상단 부위에 외측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형성되고, 상기 걸림턱(120) 하부에 위치하는 핸들 고정단(2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구(330)는 체결볼트(330a)로 이루어지고,
    상기 핸들 고정단(200)은,
    상기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연결편(210);
    상기 연결편(210)의 중앙부위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블록(310)의 스프링 장착홈(311) 하단 부위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스프링(340)의 하단이 상부면에 고정되는 안내단(220);
    상기 안내단(220)의 중앙부위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블록(310)의 스프링 장착홈(311)으로 삽입되고, 암나사가공된 내주면을 갖는 관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체결볼트(330a)와 볼트-너트 결합되는 체결구 고정대(23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20)은,
    상기 냄비 본체(1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수직고정편(121);
    상기 수직고정편(12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다기능 핸들(300)의 걸림턱 고정단(320)이 걸림고정되는 걸림편(1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KR1020190018547A 2019-02-18 2019-02-18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KR102006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547A KR102006910B1 (ko) 2019-02-18 2019-02-18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8547A KR102006910B1 (ko) 2019-02-18 2019-02-18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231A Division KR20180096886A (ko) 2017-02-22 2017-02-22 다용도 냄비 손잡이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667A KR20190018667A (ko) 2019-02-25
KR102006910B1 true KR102006910B1 (ko) 2019-08-02

Family

ID=65584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8547A KR102006910B1 (ko) 2019-02-18 2019-02-18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9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745B1 (ko) * 2020-02-07 2021-04-16 김영수 원추형 요철 패턴 착탈구조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536Y1 (ko) * 2001-02-14 2001-07-03 김진규 받침대가 부설된 냄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596Y1 (ko) 2002-11-30 2003-02-17 김정석 냄비용 가변 손잡이구조
KR200392606Y1 (ko) 2005-05-31 2005-08-18 (주)고은산업 냄비손잡이
KR20110010007U (ko) 2010-04-15 2011-10-21 조효석 뚜껑거치식 냄비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536Y1 (ko) * 2001-02-14 2001-07-03 김진규 받침대가 부설된 냄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8667A (ko) 201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7751A (en) Detachable cookware handle
US7090094B2 (en) Handle for cookware
KR102006910B1 (ko)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US6595607B2 (en) Counter top appliance stand
US8640906B2 (en) Multipurpose cooking stove container
US6761326B2 (en) Base for storing an electrical food processor accessories
US20080061186A1 (en) Combination disposable towel and utensil holder
KR20130006887U (ko) 조리용기 손잡이
KR100923419B1 (ko) 주방용기용 손잡이
JP3129264U (ja)
US3080996A (en) Combined handle and lock
CN202820910U (zh) 电压力锅的锁扣固定结构及电压力锅
GB2420692A (en) Kettle with removable decorative element
KR101270053B1 (ko) 조리용기용 절첩식 손잡이
KR101165816B1 (ko) 조리용기
CN209733470U (zh) 一种蒸笼及烹饪器具
CN209951103U (zh) 烤盘组件及煎烤机
CN110013182B (zh) 烤盘组件及煎烤机
JP2818488B2 (ja) 環状の把手を備えた料理用具
CN215605207U (zh) 烹饪器具及其内锅组件
KR101507285B1 (ko) 프라이팬
CN213605885U (zh) 上盖及烹饪器具
CN221060376U (zh) 升降锅
CN221060375U (zh) 升降锅
CN217987327U (zh) 盖体组件及具有其的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