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4596Y1 - 냄비용 가변 손잡이구조 - Google Patents

냄비용 가변 손잡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4596Y1
KR200304596Y1 KR20-2002-0035850U KR20020035850U KR200304596Y1 KR 200304596 Y1 KR200304596 Y1 KR 200304596Y1 KR 20020035850 U KR20020035850 U KR 20020035850U KR 200304596 Y1 KR200304596 Y1 KR 2003045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
hinge
lid
main body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8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김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석 filed Critical 김정석
Priority to KR20-2002-00358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45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45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45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3Knobs, e.g. for 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냄비 손잡이 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때에 따라서는 간단한 가변을 취해 냄비 뚜껑을 거치 할 수 있는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단순기능만을 하던 냄비손잡이의 전반적인 기능성과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냄비용 가변손잡이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외측면에는 걸림돌기(13)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힌지돌기(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돌기(17)의 후방에는 돌출턱(15)이 일체로 사출 형성되어 있는 본체(10)와;
전방은 상기 힌지돌기(17)에 힌지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냄비(100)의 상부턱(120)에 걸림을 취할 수 있는 고정홈(28)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한쌍의 거치돌기(24)가 일정의 간극을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돌기(24)의 내측면에는 본체(10)의 걸림돌기(13)와 착탈이 가능한 걸림홈(26)이 형성되어 있는 회동체(20)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냄비용 가변 손잡이구조{The Structure of the Bail of the Pan}
본 고안은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냄비의 외벽에 부착하여 냄비 손잡이 기능을 제공함과 더불어 때에 따라서는 간단한 가변을 취해 냄비 뚜껑을 거치 할 수 있는 편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단순기능만을 하던 냄비손잡이의 전반적인 기능성과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한 냄비용 가변손잡이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냄비(100)는 각종음식을 조리할 때 사용되는 솥보다 작은 기구로서 수용실을 이루는 운두가 낮은 외벽과 그 외벽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턱(120)과 그 외벽에 부착된 한쌍의 손잡이(1) 그리고 뚜껑(110)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냄비는 가스렌지 등의 조리용 가열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경우 필요에 따라 조리중에 간을 맞추기 위해 뚜껑을 열고 양념을 넣거나 또는, 조리된 음식물을 먹기 위해 뚜껑을 따로 보관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와 같은 냄비를 사용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 문제들을 발생시켰다.
이를 순서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나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리중 간을 맞추거나 조리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열어놓은 가열된 뚜껑에 신체부위가 화상을 입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즉, 간을 맞추거나 조리상태를 확인한 후 가열된 뚜껑을 잡고 다시 닫아 놓아야 했기 때문이다.
둘째, 조리중 뚜껑을 소홀히 방치하여 음식물 조리시 청결하지 못한 문제를 발생시켰다.
즉, 음식물 조리시간을 맞추거나, 음식물의 조리상태를 살펴보기 위해 가열된 싱크대 또는 보조테이블에 올려놓아야만 했기 때문이다.
셋째, 음식물 조리를 마치고 나면 그 주변부위가 더렵혀지는 문제를 발생시켰다.
즉, 싱크대 또는 보조테이블에 올려놓은 뚜껑에서 각종 양념들이 묻어나와 바닥에 흐르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냄비의 외측면에 부착되는 손잡이의 구조를 냄비의 손잡이 기능을 제공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하며 후방에 냄비뚜껑을 거치하기 위한 한쌍의 거치돌기가 형성된 회동체로 분리하여 구성하고, 이를 통해 간단한 가변을 취해 상기 거치돌기 사이에 뚜껑을 거치함으로써, 열려진 뚜껑을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관하며, 뚜껑 내로 다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냄비용 가변손잡이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냄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냄비용 가변손잡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냄비용 가변손잡이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냄비용 가변손잡이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고안에 따른 냄비용 가변손잡이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손잡이 10 : 본체
13 : 걸림돌기 15 : 돌출턱
17 : 힌지돌기 20 : 회동체
24 : 거치돌기 26 : 걸림홈
28 : 고정홈 29 : 힌지핀
100 : 냄비 110 : 뚜껑
120 : 상부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냄비용 가변손잡이 구조는 냄비의 외벽에 부착되어 뜨겁게 달궈진 냄비를 잡고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에 있어서, 외측면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힌지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돌기의 후방에는 돌출턱이 일체로 사출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전방은 상기 힌지돌기에 힌지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냄비 상부턱에 걸림을 취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한쌍의 거치돌기가 일정의 간극을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돌기의 내측면에는 본체의 걸림돌기와 착탈이 가능한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회동체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냄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냄비용 가변손잡이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냄비용 가변손잡이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냄비용 가변손잡이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고안에 따른 냄비용 가변손잡이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손잡이(1)는 냄비(100)를 이동시 사용하기 위해 냄비(100)의 외벽 양측에 부착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회동체(20)로 분리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본체(10)는 외측면에 걸림돌기(13)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힌지핀(29)을 삽입·체결하기 위한 힌지돌기(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돌기(17)의 후방에는 돌출턱(15)이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와 힌지핀(29)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 회동체(20)는 상부에 냄비(100)의 상부턱(120)에 걸림을 취할 수 있는 고정홈(28)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냄비뚜껑(110)을 삽입하여 거치하기 위한 직각으로 절곡된 한쌍의 거치돌기(24)가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돌기(24)의 내측면에는 본체(10)의 걸림돌기(13)와 착탈이 가능한 걸림홈(26)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조리중 음식물에 간을 보거나 조리된 음식물을 먹기 위해 뚜껑(110)을 열게 되면, 고정체(10)의 상부에 힌지 결합된 회동체(20)를 회동하여 상기 회동체(2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28)이 냄비(100)의 상부턱(120)에 걸림을 취하도록 한다.
이와같이 상기 냄비(100)의 상부턱(120)에 회동체(20)가 고정되면, 회동체(20)의 후방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쌍의 거치돌기(24)가 상기 냄비(100)상방을 향하게 되며, 이렇게 형성된 한쌍의 거치돌기(24)사이에 상기 뚜껑(110)의 외주연부를 삽입·고정하여 뚜껑(110)을 보관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1)는 본체(10)에 회동체(20)가 회동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본체(10)의 외측면에는 걸림돌기(1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13)는 상기 거치돌기(24)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홈(26)에 체결되어 회동체(20)가 자유로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평상시에는 냄비(100)의 손잡이(1)기능을 수행하다가 조리중에 간을 보거나, 조리된 음식을 먹기 위해 뚜껑(110)을 열게되면 상기 회동체(20)를 걸림돌기(13)에서 이탈시켜 회동체(20)의 상부에 형성된 고정홈(28)이 냄비(100)의 상부턱(120)에 걸림을 취하도록 한다.
이렇게, 상기 냄비(100)의 상부턱(120)에 회동체(20)가 걸리면, 회동체(20)의 후방에 형성된 한쌍의 걸림돌기(24) 사이에 상기 뚜껑(110)의 외주연부를 삽입·고정함으로써, 열려진 뚜껑(110)을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관하고, 뚜껑(110) 내로 다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냄비의 외벽 양측에 냄비를 이동시 잡기 위한 본체를 부착하고, 상기 본체에 회동체를 회동 가능하게 힌지결합하며, 상기 회동체에 뚜껑을 삽입·고정할 수 있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한쌍의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한쌍의 걸림돌기 사이에 뜨겁게 가열된 뚜껑을 더욱 안전하게 보관하도록 하고, 뚜껑내에 다른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조리가 끝난후에도 주위를 청결하게 유지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냄비(100)의 외벽에 부착되어 뜨겁게 달궈진 냄비(100)를 잡고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에 있어서,
    외측면에는 걸림돌기(13)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힌지돌기(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힌지돌기(17)의 후방에는 돌출턱(15)이 일체로 사출 형성되어 있는 본체(10)와;
    전방은 상기 힌지돌기(17)에 힌지결합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냄비(100)의 상부턱(120)에 걸림을 취할 수 있는 고정홈(28)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에는 직각으로 절곡된 한쌍의 거치돌기(24)가 일정의 간극을두고 형성되어 있고, 상기 거치돌기(24)의 내측면에는 본체(10)의 걸림돌기(13)와 착탈이 가능한 걸림홈(26)이 형성되어 있는 회동체(20)를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용 가변손잡이 구조.
KR20-2002-0035850U 2002-11-30 2002-11-30 냄비용 가변 손잡이구조 KR2003045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850U KR200304596Y1 (ko) 2002-11-30 2002-11-30 냄비용 가변 손잡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850U KR200304596Y1 (ko) 2002-11-30 2002-11-30 냄비용 가변 손잡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4596Y1 true KR200304596Y1 (ko) 2003-02-17

Family

ID=4940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850U KR200304596Y1 (ko) 2002-11-30 2002-11-30 냄비용 가변 손잡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45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667A (ko) 2019-02-18 2019-02-25 김영수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KR102241745B1 (ko) 2020-02-07 2021-04-16 김영수 원추형 요철 패턴 착탈구조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8667A (ko) 2019-02-18 2019-02-25 김영수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KR102241745B1 (ko) 2020-02-07 2021-04-16 김영수 원추형 요철 패턴 착탈구조 다기능 핸들 구비형 냄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464B1 (ko) 기름비산 방지용 프라이팬 뚜껑
US5715570A (en) Cooking appliance handle
US6595607B2 (en) Counter top appliance stand
US20110284546A1 (en) Multipurpose cooking stove container
KR200304596Y1 (ko) 냄비용 가변 손잡이구조
KR200454958Y1 (ko) 양면 후라이팬
KR20180096886A (ko) 다용도 냄비 손잡이 결합 구조.
KR200316908Y1 (ko) 냄비용 뚜껑받침대
KR200404674Y1 (ko)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KR200390741Y1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KR200334318Y1 (ko) 걸림수단이 장착된 양면 후라이팬
KR200307738Y1 (ko) 압력식 조리용기
KR940006260Y1 (ko) 조리기구의 뚜껑착탈장치
CN216020407U (zh) 一种早餐机
KR960008209Y1 (ko) 전자렌지 보조 수납장치
KR102547837B1 (ko) 다기능 후라이팬
KR0155422B1 (ko) 가스오븐렌지의 와이어 선반
JP3504636B2 (ja) 鍋類の蓋
KR200231311Y1 (ko) 뚜껑걸이수단을구비한남비
KR960001947Y1 (ko) 주방용 남비
KR960004142Y1 (ko) 주방용 다용도걸이
KR0127265Y1 (ko) 음식물 조리용기
KR100737683B1 (ko) 튀김기의 유조커버 보관구조
JP3845790B2 (ja) 調理器
KR200281761Y1 (ko) 국자 보관수단이 구비된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