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6195B1 - 일체형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하는 라벨 프린터 - Google Patents

일체형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하는 라벨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6195B1
KR102006195B1 KR1020180096643A KR20180096643A KR102006195B1 KR 102006195 B1 KR102006195 B1 KR 102006195B1 KR 1020180096643 A KR1020180096643 A KR 1020180096643A KR 20180096643 A KR20180096643 A KR 20180096643A KR 102006195 B1 KR102006195 B1 KR 102006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 head
label printer
ink ribbon
integral
lab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닉스
Priority to KR1020180096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3/00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feeding ink ribbons or like character-size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33/1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 B41J33/24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with drive applied directly to ribbon
    • B41J33/26Ribbon-feed devices or mechanisms with drive applied directly to ribbon by rollers engaging the ribbon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체형 카트리지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카트리지는, 권취롤과 공급롤을 포함하는 잉크 리본; 전면에 상기 잉크 리본의 상기 권취롤이 설치되는 제 1 설치홈이 구비되고, 후면에 상기 잉크 리본의 상기 공급롤이 설치되는 제 2 설치홈이 구비되는 카트리지 몸체부; 및 상기 카트리지 몸체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인쇄 헤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하는 라벨 프린터{INTEGRATED CARTRIDGE AND PORTABLE LABEL PRINTER USING THE SAME}
본 개시는 일체형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라벨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열감응 인쇄 헤드를 구비하는 일체형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하는 라벨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라벨 프린터는 통상적으로 롤 형태의 라벨 용지가 라벨 프린터에 장착되어 급지되고, 급지되는 라벨 용지가 라벨 프린터에 구비된 열감응 인쇄 헤드(Thermal Print Head; TPH)를 통과하면서 감열되어 상품 정보가 인쇄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일반적으로 라벨 프린터는 상품의 명칭, 가격, 수량, 원산지 등에 대한 정보를 일정한 형식의 문자, 숫자, 바코드 등으로 변환하여 프린트하는 것으로, 상품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그 사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백화점, 할인마트 등과 같은 대형 유통 회사뿐만 아니라, 슈퍼 마켓이나 편의점, 제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라벨 프린터가 다양한 분야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됨에 따라, 필요할 때 원하는 디자인을 원하는 수량만큼 칼라 인쇄할 수 있는 라벨 프린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7-0077493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열감응 인쇄 헤드를 구비한 일체형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하는 라벨 프린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카트리지는, 권취롤과 공급롤을 포함하는 잉크 리본; 전면에 상기 잉크 리본의 상기 권취롤이 설치되는 제 1 설치홈이 구비되고, 후면에 상기 잉크 리본의 상기 공급롤이 설치되는 제 2 설치홈이 구비되는 카트리지 몸체부; 및 상기 카트리지 몸체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인쇄 헤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벨 프린터는, 복수의 일체형 카트리지; 및 상기 복수의 일체형 카트리지 각각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일체형 카트리지 각각은, 권취롤과 공급롤을 포함하는 잉크 리본; 전면에 상기 잉크 리본의 상기 권취롤이 설치되는 제 1 설치홈을 형성하고, 후면에 상기 잉크 리본의 상기 공급롤이 설치되는 제 2 설치홈을 형성하는 카트리지 몸체부; 및 상기 카트리지 몸체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인쇄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칼라 인쇄가 가능한 라벨 프린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몸체부의 전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몸체부의 후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카트리지의 일 측면에 구비된 수신 커넥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한 인쇄 헤드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벨 프린터의 외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벨 프린터에 형성된 일체형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벨 프린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벨 프린터에서 일체형 카트리지에 포함된 홀더를 상방으로 움직이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벨 프린터가 일체형 카트리지의 권취롤을 회전시키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불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정보" 및 "데이터"는 종종 서로 상호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카트리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몸체부의 전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몸체부의 후면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A-A’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카트리지의 일 측면에 구비된 수신 커넥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한 인쇄 헤드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일체형 카트리지(1)는, 카트리지 몸체부(110), 잉크 리본(120), 회전부(130), 동력 전달 기어부(140), 수신 커넥터(150), 손잡이(160) 및 인쇄 헤드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일체형 카트리지(1)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일체형 카트리지(1)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일체형 카트리지(1)는 라벨 프린터에 사용되는 카트리지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라벨 프린터가 칼라 프린터인 경우 복수의 일체형 카트리지(1)를 라벨 프린터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랙(K) 잉크 리본을 포함하는 일체형 카트리지, 옐로우(Y) 잉크 리본을 포함하는 일체형 카트리지, 마젠타(M) 잉크 리본을 포함하는 일체형 카트리지 및 사이안(C) 잉크 리본을 포함하는 일체형 카트리지가 라벨 프린터에 장착될 수 있다. 즉, 4개의 일체형 카트리지가 라벨 프린터에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라벨 프린터가 흑백 프린터인 경우, 블랙 잉크 리본을 포함하는 일체형 카트리지만 라벨 프린터에 장착될 수 있다.
카트리지 몸체부(11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소재의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트리지 몸체부(110)는 스틸 재질로 제조될 수도 있고, 다양한 소재의 플라스틱이 카트리지 몸체부(110)를 제조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카트리지 몸체부(110)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져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급롤(121)에 있는 잉크 리본이 전부 소진되었는지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전면에 잉크 리본(120)의 권취롤(122)이 설치되는 제 1 설치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 1 설치홈(111)은 잉크 리본(120)의 권취롤(122)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설치홈(111)이 굴곡진 형상을 갖기 때문에 잉크 리본(120)의 권취롤(122)은 제 1 설치홈(111)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 1 설치홈(111)은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전면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고,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양 측면 및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후면 방향은 폐쇄될 수 있다. 다만, 제 1 설치홈(11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제 1 측면에는 제 1 회전 유닛(131-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홀(111-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상기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에는 제 1 회전 지지 유닛(131-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2 홀(111-2)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후면에 잉크 리본(120)의 공급롤(121)이 설치되는 제 2 설치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후면에 잉크 리본(120)의 공급롤(121)이 설치되는 제 2 설치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설치홈(112)은 잉크 리본(120)의 공급롤(121)이 설치될 수 있도록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2 설치홈(112)이 굴곡진 형상을 갖기 때문에 잉크 리본(120)의 공급롤(121)은 제 1 설치홈(111)에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 2 설치홈(112)은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후면을 향하여 개방될 수 있고, 양 측면 및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전면 방향은 폐쇄될 수 있다. 다만, 제 2 설치홈(11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제 1 측면에는 제 2 회전 유닛(132-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3 홀(112-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상기 제 1 측면에 대향하는 제 2 측면에는 제 2 회전 지지 유닛(132-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4 홀(112-2)이 구비될 수 있다.
제 1 설치홈(111)은 제 2 설치홈(112)보다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몸체부(110)에 제 1 설치홈(111) 및 제 2 설치홈(112)이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잉크 리본(120)은 권취롤(122) 및 공급롤(121)을 포함할 수 있다. 권취롤(122)은 동력 전달 기어부(140)를 통해 라벨 프린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권취롤(122)은 동력 전달 기어부(140)를 통해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잉크 리본(120)을 권취할 수 있다.
공급롤(121)은 권취롤(122)이 회전함에 따라, 잉크 리본(120)을 권취롤(122)에 공급할 수 있다.
잉크 리본(120)은 합성 수지 재질의 기층에 열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블랙 (K), 옐로우(Y), 마젠타(M) 및 사이안(C)의 4색 염료층 중 어느 하나의 색 염료층이 도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회전부(130)는 제 1 회전 유닛(131-1), 제 1 회전 지지 유닛(131-2), 제 2 회전 유닛(132-1) 및 제 2 회전 지지 유닛(132-2)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회전부(13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회전부(13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공급롤(121)은 제 1 회전 유닛(131-1) 및 제 1 회전 지지 유닛(131-2)과 결합하여 제 2 설치홈(112)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롤(121)은 제 1 회전 유닛(131-1) 및 제 1 회전 지지 유닛(131-2)에 착탈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회전 유닛(131-1)은 카트리지 몸체부(110)에 구비된 제 3 홀(112-1)을 관통하여 제 3 홀(1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공급롤(121)의 일 측면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회전 지지 유닛(131-2)은 카트리지 몸체부(110)에 구비된 제 4 홀(112-2)을 관통하여 제 4 홀(1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공급롤(121)의 타 측면과 결합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 1 회전 유닛(131-1) 및 제 1 회전 지지 유닛(131-2)이 카트리지 몸체부(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 1 회전 유닛(131-1) 및 제 1 회전 지지 유닛(131-2)은 동일한 가상 선상에 동일한 회전 축을 구비할 수 있다. 공급롤(121)이 제 1 회전 유닛(131-1) 및 제 1 회전 지지 유닛(131-2)에 결합된 경우,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권취롤(122)은 제 2 회전 유닛(132-1) 및 제 2 회전 지지 유닛(132-2)과 결합하여 제 1 설치홈(1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권취롤(122)은 제 2 회전 유닛(132-1) 및 제 2 회전 지지 유닛(132-2)에 착탈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 2 회전 유닛(132-1)은 카트리지 몸체부(110)에 구비된 제 1 홀(111-1)을 관통하여 제 1 홀(11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권취롤(122)의 일 측면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회전 지지 유닛(132-2)은 제 2 홀(111-2)을 관통하여 제 2 홀(1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권취롤(122)의 타 측면과 결합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 2 회전 유닛(132-1) 및 제 2 회전 지지 유닛(132-2)이 카트리지 몸체부(1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제 2 회전 유닛(132-1) 및 제 2 회전 지지 유닛(132-2)은 동일한 가상 선상에 동일한 회전 축을 구비할 수 있다. 권취롤(122)이 제 2 회전 유닛(132-1) 및 제 2 회전 지지 유닛(132-2)에 결합된 경우, 상기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잉크 리본(120)의 권취롤(122)이 제 1 설치홈(1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잉크 리본(120)의 공급롤(121)이 제 2 설치홈(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경우, 잉크 리본(120)은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하면을 둘러쌀 수 있다.
한편, 잉크 리본(120)이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하면을 둘러싼 경우, 인쇄 헤드부(170)는 잉크 리본(120)과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하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일 측면에 동력 전달 기어부(140)가 결합될 수 있다.
동력 전달 기어부(140)는 라벨 프린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권취롤(122)을 회전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 전달 기어부(140)는 제 1 동력 전달 기어(141), 제 2 동력 전달 기어(142) 및 연동 기어(14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동력 전달 기어부(14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동력 전달 기어부(14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제 1 동력 전달 기어(141)는 일체형 카트리지(1)가 라벨 프린터에 삽입되면 라벨 프린터에 구비된 기어와 치합할 수 있다. 따라서, 라벨 프린터의 메인 구동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이 제 1 동력 전달 기어(141)에 전달될 수 있다.
제 2 동력 전달 기어(142)는 제 1 동력 전달 기어(141)와 치합될 수 있다. 제 2 동력 전달 기어(142)는 제 1 동력 전달 기어(14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연동 기어(143)는 제 2 동력 전달 기어(142)와 치합될 수 있다. 연동 기어(143)는 제 2 동력 전달 기어(142)가 회전함에 따라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동력 전달 기어(141), 제 2 동력 전달 기어(142) 및 연동 기어(143)는 연동될 수 있다.
한편, 연동 기어(143)는 제 2 회전 유닛(132-1)과 결합될 수 있다. 제 2 회전 유닛(132-1)은 연동 기어(143)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연동 기어(143)의 회전에 따라 같이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회전 유닛(132-1)이 회전함에 따라, 제 2 회전 유닛(132)과 결합된 권취롤(122)이 회전할 수 있다.
공급롤(121)은 권취롤(122)이 회전함에 따라 잉크 리본(120)에 발생하는 장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급롤(121)은 제 1 회전 유닛(131-1) 및 제 1 회전 지지 유닛(131-2)과 결합되어 있고, 제 1 회전 유닛(131-1)과 제 1 회전 지지 유닛(131-2)은 카트리지 몸체부(11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공급롤(121)에 상기 장력이 가해지면 공급롤(121)도 회전할 수 있다. 공급롤(121)이 회전하는 경우 권취롤(122)에 잉크 리본(120)이 공급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공급롤(121) 및 권취롤(122)이 카트리지 몸체부(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때, 공급롤(121) 및 권취롤(122) 각각의 내경의 증가로 인해 회전 속도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슬립 장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을 참조하면, 몸체부의 일 측면에는 수신 커넥터(150)가 구비될 수 있다. 수신 커넥터(150)는 하방을 향할 수 있다. 따라서, 일체형 카트리지(1)가 라벨 프린터에 결합될 때, 수신 커넥터(150)는 라벨 프린터에 구비된 공급 커넥터와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터 설치부(114)에 설치되는 수신 커넥터(150)의 위치는 라벨 프린터에 구비된 공급 커넥터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수신 커넥터(150)는 라벨 프린터에 구비된 공급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쇄 헤드부(170)에 포함된 열감응 인쇄 헤드(173)로 전달되는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열감응 인쇄 헤드(173)는 수신된 전원 및 제어 신호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상면 일 영역에 손잡이(16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일체형 카트리지(1)가 라벨 프린터에 삽입된 상태에서 손잡이(160)를 이용하여 일체형 카트리지(1)를 라벨 프린터(2)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일체형 카트리지(1)는 인쇄를 위한 소모품이기 때문에 일체형 카트리지(1)가 손잡이(160)를 구비하는 경우 교체가 용이해 질 수 있다.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하면에 인쇄 헤드부(170)가 설치될 수 있다. 인쇄 헤드부(170)는 결합부(171), 탄성 부재(172), 열감응 인쇄 헤드(Thermal Print Head, 173) 및 홀더(17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인쇄 헤드부(170) 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인쇄 헤드부(17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인쇄 헤드부(170)는 잉크 리본(120)이 카트리지 몸체부(110)에 설치될 때 잉크 리본(120)의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잉크 리본(120)의 공급롤(121)이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후면에 위치하는 제 2 설치홈(112)에 설치되고, 잉크 리본(120)의 권취롤(122)이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전면에 위치하는 제 1 설치홈(111)에 설치되면, 잉크 리본(120)이 인쇄 헤드부(170)를 감쌀 수 있다. 즉, 인쇄 헤드부(170)는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하면과 카트리지 몸체부의 하면을 둘러싼 잉크 리본(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하면은 결합부(171)와 결합될 수 있다. 카트리지 몸체부(110)의 하면에 결합부(171)가 결합됨으로써 인쇄 헤드부(170)가 일체형 카트리지(1)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결합부(171)의 하방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172)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부재(172)는 열감응 인쇄 헤드(173)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171)의 하방에 열감응 인쇄 헤드(173)가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결합부(171)와 열감응 인쇄 헤드(173)가 탄성 부재(172)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열감응 인쇄 헤드(173)는 힘이 가해지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172)의 복원력 때문에 열감응 인쇄 헤드(173)는 잉크 리본(120)에 밀착될 수 있다.
홀더(174)는 결합부(171)와 결합되어 열감응 인쇄 헤드(173)를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홀더(174)는 하방으로 열감응 인쇄 헤드(173)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열감응 인쇄 헤드(173)의 적어도 일부가 개구부를 통해 하방으로 노출됨으로써 잉크 리본(120)이 열감응 인쇄 헤드(173)와 접촉할 수 있다.
홀더(174)는 결합부(171)에 착탈 가능할 수 있다. 홀더(174)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 후크를 포함할 수 있고, 결합부(171)는 적어도 하나의 결속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홀더(174)의 결속 후크가 다소 휘어지면서 결합부(171)의 결속 홀에 결속됨으로써 홀더(174)가 결합부(171)와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부(171)와 홀더(174)가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벨 프린터의 외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벨 프린터에 형성된 일체형 카트리지를 수용하는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라벨 프린터(2)는 본체와 복수의 일체형 카트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체형 카트리지에 대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7에서 상술한바 일체형 카트리지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라벨 프린터(2) 본체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라벨 프린터(2)는 케이스(210), 데이터 입력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라벨지 공급부(240), 개폐부(250) 및 공급 커넥터(2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라벨 프린터(2)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라벨 프린터(2)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210)의 전면에는 라벨지 배출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210)의 후면에는 라벨지 투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라벨지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라벨지는 라벨 프린터(2) 내로 투입되어 라벨지 배출구(211) 쪽으로 이송될 수 있다. 라벨 프린터(2) 내에서 라벨지가 이송되면서 라벨지 상에 인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버튼 등) 및 터치식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입력부(220)는 케이스(2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데이터 입력부(220)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스(2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부(230)가 배치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라벨지 공급부(240)는 라벨지 공급롤(241) 및 라벨지 지지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 요소들은 라벨지 공급부(24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라벨지 공급부(24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라벨지 공급롤(241)에는 라벨지가 권취되어 있을 수 있다. 라벨지 공급롤(241)에 권취된 라벨지가 라벨지 투입구에 투입될 수 있다. 여기서, 라벨지 공급롤(241)에 권취된 라벨지는 복수의 라벨이 연속적으로 가접착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라벨지 공급롤(241)은 소모품이기 때문에 라벨지 공급롤(241)은 라벨지 지지부(242)에 착탈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라벨지 공급롤(241)은 라벨지 지지부(2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개폐부(250)는 케이스(210)의 상면에 구비되어 케이스(210)의 상면의 적어도 일 영역을 개폐할 수 있다. 개폐부(250)는 케이스(210)에 힌지 결합되어 케이스(210)내에 존재하는 일체형 카트리지가 수용되는 공간(215)을 개폐할 수 있다.
케이스(210)와 개폐부(250)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9를 참조하면, 개폐부(250)가 열린 경우, 라벨 프린터의 본체(또는 케이스(210)) 내에 복수의 일체형 카트리지 각각을 수용하는 공간(215)이 개방될 수 있다.
복수의 일체형 카트리지 각각이 구분될 수 있도록 공간(215) 내부는 복수의 서브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서브 공간 각각에 복수의 일체형 카트리지 각각을 삽입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라벨 프린터는 복수의 플래튼 롤러(platen roller, 310)를 구비할 수 있다. 플래튼 롤러(310)의 개수는 라벨 프린터가 수용하는 일체형 카트리지의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복수의 일체형 카트리지 각각이 수용되는 공간(215) 내의 하면에 복수의 플래튼 롤러(310)가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서브 공간 각각의 하면에 하나의 플래튼 롤러(310)가 노출될 수 있다.
플래튼 롤러(310)는 라벨 프린터 내부로 투입된 라벨지를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플래튼 롤러(310)는 라벨 프린터 내부로 투입된 라벨지를 이송시킬 때 라벨지를 인쇄 헤드부(170) 측으로 가압하여 인쇄 헤드부(170) 내에 존재하는 열감응 인쇄 헤드(173)의 열이 잉크 리본(120)을 통해 라벨지에 잘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라벨지가 플래튼 롤러(310)와 잉크 리본(120) 사이에 진입할 때 인쇄 헤드부(17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플래튼 롤러(310)와 인쇄 헤드부(170) 사이의 간격이 확장되어야 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11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후술한다.
복수의 공급 커넥터(260)는 공간(215) 내부에 위치하고 복수의 일체형 카트리지 각각에 전원 및 제어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간(215) 내부에 구분된 각각의 서브 공간에 복수의 공급 커넥터(260) 각각이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급 커넥터(260) 각각은 일체형 카트리지 각각에 구비된 수신 커넥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체형 카트리지 각각에 구비된 수신 커넥터(150)가 일체형 카트리지의 일 측면에서 하방으로 구비된 경우, 공급 커넥터(260)는 일체형 카트리지의 일 측면에 대응하는 공간(215) 내의 일 측면에서 상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체형 카트리지를 공간(215) 내에 삽입하게 되는 경우, 공급 커넥터(260)와 수신 커넥터(150)가 결합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공급 커넥터(260)는 하나의 일체형 카트리지(1)에 구비된 수신 커넥터(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일체형 카트리지(1)는 라벨 프린터(2)로부터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체형 카트리지(1)는 라벨 프린터(2)로부터 수신한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이용하여 인쇄 헤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급 커넥터(260)와 수신 커넥터(15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일체형 카트리지(1)의 인쇄 헤드부(170)에 전원 및 제어 신호가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벨 프린터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벨 프린터에서 일체형 카트리지에 포함된 홀더를 상방으로 움직이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벨 프린터가 일체형 카트리지의 권취롤을 회전시키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라벨 프린터(2)는 전원 공급부(410), 홀더 구동부(420), 라벨지 이송부(430) 및 메인 구동부(440)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라벨 프린터(2)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라벨 프린터(2)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 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전원 공급부(410)는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라벨 프린터(2)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 중 전원이 필요한 구성 요소들에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1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라벨 프린터(2)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홀더 구동부(420)는 인쇄 헤드부(170)에 포함된 홀더(174)를 움직여 인쇄 헤드부(170)와 플래튼 롤러(3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홀더 구동부(420)가 홀더를 상방으로 움직이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홀더 구동부(420)는 캠 모터(421), 캠 구동 기어부(422), 제 1 샤프트(423) 및 캠 롤러(4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홀더 구동부(42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홀더 구동부(42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 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캠 모터(421)의 모터 샤프트는 제 1 기어(422-1)와 결합될 수 있다. 제 1 기어(422-1) 및 복수의 제 2 기어(422-2)들은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기어(422-1)가 회전함에 따라 복수의 제 2 기어(422-2) 각각이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복수의 제 2 기어(422-2)가 회전함에 따라, 캠 롤러(424)가 결합된 샤프트(423)도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캠 롤러(424)는 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캠 롤러(424)는 인쇄 헤드부(170)의 홀더(174)에 맞닿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함에 따라 인쇄 헤드부(170)의 홀더(174)와 맞닿을 수 있다. 즉, 캠 롤러(424)는 인쇄 헤드부(170)의 홀더(174)와 맞닿을 수도 있고, 인쇄 헤드부(170)의 홀더(174)와 맞닿지 않을 수도 있다.
캠 롤러(424)의 회전에 따라 캠 롤러(424)가 홀더(174)와 맞닿을 수 있고, 캠 롤러(424)가 홀더(174)와 맞닿은 상태에서 좀 더 회전하면 홀더(174)를 상방으로 밀어 올릴 수 있다.
라벨지가 플래튼 롤러(310)와 잉크 리본(120) 사이에 진입할 때 인쇄 헤드부(17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플래튼 롤러(310)와 인쇄 헤드부(170) 사이의 간격이 확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캠 모터(421)는 라벨지가 플래튼 롤러(310)와 잉크 리본(120) 사이에 진입할 때 구동되어 캠 롤러(424)가 홀더(174)를 상방으로 움직여 인쇄 헤드부(170)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라벨지가 플래튼 롤러(310)와 잉크 리본(120) 사이에 진입한 후에는 열감응 인쇄 헤드(173)의 열이 잉크 리본(120)을 통해 라벨지에 잘 전달되도록 인쇄 헤드부(170)와 플래튼 롤러(310) 사이의 간격을 줄여야 한다. 따라서, 캠 모터(421)는 라벨지가 플래튼 롤러(310)와 잉크 리본(120) 사이에 진입한 후에 캠 롤러(424)와 홀더(174) 사이의 접촉이 제거되도록 구동되어 인쇄 헤드부(170)를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캠 롤러(424)는 캠 롤러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4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부(425)는 캠 롤러의 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라벨지가 플래튼 롤러(310)와 잉크 리본(120) 사이에 진입할 때 또는 진입한 후에 캠 롤러(424)가 어느 정도 회전이 이루어졌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캠 롤러(424)의 회전 정도에 의해 캠 롤러(424)가 홀더(174)와 맞닿았는지 여부가 인식될 수 있다.
홀더 구동부(420)의 개수는 라벨 프린터(2)에 수용되는 일체형 카트리지(1)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라벨 프린터(2)는 칼라 인쇄를 위해 4개의 일체형 카트리지(1)가 수용되는 것이 적합하므로 4개의 홀더 구동부(42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라벨지 이송부(430)는 라벨지 이송 모터(431), 라벨지 이송 기어(432), 샤프트(433), 라벨지 이송 롤러(434), 라벨지 이송 가이드 롤러(435), 구동 풀리(436), 구동 벨트(437) 및 피동 풀리(438)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라벨지 이송부(43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라벨지 이송부(43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 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라벨지 이송 모터(431)를 통해 발생한 회전력은 라벨지 이송 기어(432)를 통해 샤프트(433)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라벨지 이송 기어(432)는 복수의 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샤프트(433)에는 적어도 하나의 라벨지 이송 롤러(434)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샤프트(433)가 회전할 때 적어도 하나의 라벨지 이송 롤러(434)가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라벨지 이송 롤러(434)의 개수는 2개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라벨지 이송 롤러(434)는 라벨지의 이송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고무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라벨지 이송 롤러(434)는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라벨지 이송 가이드 롤러(435)는 라벨지 이송 롤러(434) 상방에 위치하여 라벨지가 이송될 때 라벨지가 정확하게 이송되도록 라벨지 이송 롤러(434)를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샤프트(433)의 일측에는 구동 풀리(436)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 풀리(436)는 피동 풀리(438)와 구동 벨트(437)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풀리(436)는 라벨 프린터 내부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피동 풀리(438)는 라벨 프린터 내부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 풀리(436)는 라벨 프린터 내부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고, 피동 풀리(438)는 라벨 프린터 내부의 전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구동 풀리(436)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 벨트(437)가 피동 풀리(438)를 회전시키게 된다. 피동 풀리(438)가 회전함에 따라 피동 풀리(438)가 결합된 샤프트가 회전할 수 있다. 피동 풀리(438)가 결합된 샤프트에는 구동 풀리(436)가 결합된 샤프트(433)와 마찬가지로 라벨지 이송 롤러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라벨지 이송 모터(431)가 구동됨에 따라 라벨지 투입구 및 라벨지 배출구에 구비된 라벨지 이송 롤러(434)가 같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라벨지 이송 모터(431)의 개수를 줄일 수 있어 라벨 프린터(2)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메인 구동부(440)는 플래튼 롤러(310) 및 일체형 카트리지에 포함된 잉크 리본(120)의 권취롤(122)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메인 구동부(440)는 메인 구동 모터(441), 원동 기어(442), 제 1 종동 기어(443), 제 2 종동 기어(444) 및 제 3 종동 기어(4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요소들은 메인 구동부(44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구성요소는 아니어서, 메인 구동부(44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 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메인 구동 모터(441)의 모터 샤프트는 원동 기어(442)와 결합될 수 있다. 메인 구동 모터(441)를 통해 원동 기어(442)가 회전할 수 있다.
원동 기어(442)는 제 1 종동 기어(443)와 치합될 수 있다. 제 1 종동 기어(443)는 제 2 종동 기어(444)와 치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종동 기어(444)는 제 3 종동 기어(445)와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원동 기어(442)가 회전함에 따라 제 3 종동 기어(445)가 회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종동 기어(443), 제 2 종동 기어(444) 및 제 3 종동 기어(445)가 서로 치합되어 있을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한 기어 비를 만족시키기 위해 종동 기어의 개수는 바뀔 수도 있다.
한편, 제 3 종동 기어(445)는 플래튼 롤러(310)의 일측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종동 기어(445)가 회전함에 따라 플래튼 롤러(310)가 회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일체형 카트리지(1)가 라벨 프린터(2)의 본체에 삽입된 경우, 제 3 종동 기어(445)는 일체형 카트리지(1)에 포함된 제 1 동력 전달 기어(141)와 치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종동 기어(445)가 회전함에 따라 제 1 동력 전달 기어(141)가 회전할 수 있다. 즉, 제 3 종동 기어(445)와 제 1 동력 전달 기어(141)가 연동될 수 있다.
제 1 동력 전달 기어(141)는 제 2 동력 전달 기어(142)와 치합되어 있고, 제 2 동력 전달 기어(142)는 연동 기어(143)와 치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제 1 동력 전달 기어(141)가 제 3 종동 기어(44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연동 기어(143)도 회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연동 기어(143)가 회전하는 경우, 잉크 리본(120)의 권취롤(122)이 회전할 수 있다. 이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상술한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라벨 프린터 내에 인쇄 헤드부가 포함되어 있어, 잉크 리본을 플래튼 롤러와 인쇄 헤드부 사이에 넣기 위한 별도의 구조들이 필요했다. 하지만, 일체형 카트리지(1)가 인쇄 헤드부(170)를 구비하는 경우 부품수가 줄어들어 컨팩트한 라벨 프린터(2)를 구현할 수 있고, 라벨 프린터(2)의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가 회전하는 경우 잉크 리본의 권취롤도 회전하도록 동력 전달 구조를 개선하여 라벨 프린터(2)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라벨 프린터에 있어서,
    복수의 일체형 카트리지; 및
    상기 복수의 일체형 카트리지 각각을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일체형 카트리지 각각은,
    권취롤과 공급롤을 포함하는 잉크 리본;
    전면에 상기 잉크 리본의 상기 권취롤이 설치되는 제 1 설치홈을 형성하고,
    후면에 상기 잉크 리본의 상기 공급롤이 설치되는 제 2 설치홈을 형성하는 카트리지 몸체부; 및
    상기 카트리지 몸체부의 하면에 설치되는 인쇄 헤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캠 롤러; 및
    상기 캠 롤러를 회전시키는 캠 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 헤드부는,
    상기 캠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 롤러의 외주면의 일부와 맞닿아 상방으로 움직이는,
    라벨 프린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공간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일체형 카트리지 각각에 전원 및 제어 신호를 공급하는 복수의 공급 커넥터;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일체형 카트리지 각각은,
    상기 복수의 일체형 카트리지 각각이 상기 공간에 수용된 경우, 상기 공급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인쇄 헤드부로 전달되는 전원 및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커넥터;
    를 더 포함하는,
    라벨 프린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헤드부는,
    상기 카트리지 몸체부의 하면과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하방에 적어도 하나의 탄성 부재를 통해 연결되는 열감응 인쇄 헤드; 및
    상기 열감응 인쇄 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하방으로 노출시키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열감응 인쇄 헤드를 지지하는 홀더;
    를 포함하는,
    라벨 프린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캠 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캠 롤러의 외주면의 일부와 맞닿아 상방으로 움직이는,
    라벨 프린터.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캠 롤러에 부착되어 상기 캠 롤러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
    를 더 포함하는,
    라벨 프린터.

KR1020180096643A 2018-08-20 2018-08-20 일체형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하는 라벨 프린터 KR102006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643A KR102006195B1 (ko) 2018-08-20 2018-08-20 일체형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하는 라벨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643A KR102006195B1 (ko) 2018-08-20 2018-08-20 일체형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하는 라벨 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195B1 true KR102006195B1 (ko) 2019-08-01

Family

ID=67615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643A KR102006195B1 (ko) 2018-08-20 2018-08-20 일체형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하는 라벨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19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637A (ja) * 1991-01-16 1993-03-23 Kyushu Hitachi Maxell Ltd 印字ヘツド用クリーナ
JP2000037917A (ja) * 1998-07-24 2000-02-08 Murata Mach Ltd 印字装置
JP3523724B2 (ja) * 1995-09-29 2004-04-2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熱転写式カラープリンタ
KR20170077493A (ko) 2015-12-28 2017-07-06 (주) 네톰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 및 rfid 라벨 출력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9637A (ja) * 1991-01-16 1993-03-23 Kyushu Hitachi Maxell Ltd 印字ヘツド用クリーナ
JP3523724B2 (ja) * 1995-09-29 2004-04-26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熱転写式カラープリンタ
JP2000037917A (ja) * 1998-07-24 2000-02-08 Murata Mach Ltd 印字装置
KR20170077493A (ko) 2015-12-28 2017-07-06 (주) 네톰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 및 rfid 라벨 출력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38694B1 (en) Printer
EP3238947B1 (en) Printer
WO2013008846A1 (ja) 印刷装置
CN108883648B (zh) 打印盒
US9731526B2 (en) Printer
JP4918326B2 (ja) プリンタ
KR102006195B1 (ko) 일체형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하는 라벨 프린터
JP2012116110A (ja) テープ経路維持機構、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テープ印刷装置
CN110799342B (zh) 打印机
CN102529462A (zh) 带路径保持机构、带盒、带打印装置和带路径保持方法
EP0891259B1 (en) Tape printing apparatus and tape holding case
EP2644390B1 (en) Printer
JP5063725B2 (ja) プリンタ
CN106457852A (zh) 标签打印机
WO2015064255A1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及び印刷装置
CN210211738U (zh) 便携式打价器
JP7056056B2 (ja) 印刷システム及び増設ユニット
CN114502386A (zh) 打印用带盒
JP3864865B2 (ja) テープ印字装置用のラベル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6403966B2 (ja) プリンタ
JP4512568B2 (ja) プリンタ
JP7235910B2 (ja) プリンタ
JP7161860B2 (ja) プリンタ
JP4918297B2 (ja) プリンタ
JP5562667B2 (ja) ロール物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