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7493A -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 및 rfid 라벨 출력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 및 rfid 라벨 출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7493A
KR20170077493A KR1020150187425A KR20150187425A KR20170077493A KR 20170077493 A KR20170077493 A KR 20170077493A KR 1020150187425 A KR1020150187425 A KR 1020150187425A KR 20150187425 A KR20150187425 A KR 20150187425A KR 20170077493 A KR20170077493 A KR 20170077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article
rfid
user
prope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7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건홍
강명법
김상윤
Original Assignee
(주) 네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네톰 filed Critical (주) 네톰
Priority to KR1020150187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77493A/ko
Publication of KR20170077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74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0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special character, e.g. for Chinese characters or barc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8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embossing, e.g. for making matrices for stereotypes
    • B41J3/39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embossing, e.g. for making matrices for stereotypes hand-hel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 G09F3/030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 G09F3/0329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electronic sealing means
    • G09F3/0335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al used having electronic sealing means using RFID t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RFID 라벨 프린터, 라벨 인쇄시스템 및 RFID 라벨 출력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는 재물관리의 대상이 되는 물품에 표시된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한 다음, 상기 물품속성코드에 소정의 관리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RFID 라벨 용지의 RFID 태그에 인코딩한 상태로 라벨을 출력할 수 있다. 관리자는 재물관리 대상이 되는 물품이 있는 현장에서 해당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 코드를 인코딩한 RFID 라베을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 및 RFID 라벨 출력방법{RFID Label Printer, Label Printing System and Label Printing Method}
본 발명은 관리 대상 물품에 부착할 RFID 라벨 용지를 인쇄할 수 있는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로서, 상기 물품에 할당된 물품속성코드를 해당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코드로 변환하여 RFID 라벨 용지에 포함된 RFID 태그의 내부 메모리 뱅크에 기록하여 출력할 수 있는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 및 RFID 라벨 출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재고관리, 창고관리, 재물관리 등에는 통상적으로 바코드(Barcode)가 널리 사용되었다. 관리자는 물품의 관리를 위한 사용자 코드를 바코드 형태로 라벨에 인쇄하여 개별 물품에 부착하고 관리장부 또는 그에 대응되는 컴퓨터 시스템에 등록하는 방식으로 물품 관리를 수행한다.
물품 재고관리 등에 사용되는 '사용자 코드'로는 개별 물질 또는 물체에 고유번호를 할당하는 EPC(Elctronic Product Code)가 주로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 EPC를 별도의 알고리즘에 따라 지정한 관리번호를 사용하기도 한다. EPC는 통상 128 비트(Bit)가 할당되며, 128 비트 중 일부는 별도의 사용자 영역(UID: User ID)으로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관리자는 관리 대상 물품에 EPC를 할당하고 해당 EPC를 바코드 형태로 인쇄한 라벨을 해당 물품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관리한다. 하지만, 바코드 인식은 바코더 리더기가 직접 바코더에 접촉할 정도로 근접한 상태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개별 물품에 라벨을 부착한 이후의 관리에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그러한 이유로 물품마다 라벨을 붙이는 과정도 제대로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식으로 최근에 접목되고 있는 것이 알에프아이디(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이하 간단히 'RFID'라 함) 태그를 이용한 방식이다. RFID는 전자태그에 내장된 정보를 안테나와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비접촉 무선 방식으로 읽어내는 기술이므로, RFID 리더기를 이용할 경우에 직접 접촉할 정도로 근접하지 않더라도 태그에 저장된 사용자 코드를 읽어 올 수 있어서 물류관리, 창고관리 및 재물관리 등에 매우 유용하다.
표준에 따르면, RFID 태그에는 TID(Transponder ID) 메모리, EPC 메모리, USER 메모리와 예비(Reserved) 메모리의 4개의 메로리 뱅크(Bank)가 있다. 그 중에서 TID 뱅크는 태그 제조사에 의해 부여된 고유의 식별번호를 기록한 롬(ROM)으로서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는 것이지만, 나머지 EPC 메모리, USER 메모리와 예비 메모리는 사용자가 임의로 기록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체 관리 프로세서에 따라 별도로 인코더(Encoder)를 이용하여 EPC와 같은 사용자 코드를 EPC 메모리에 기록할 수 있다. 따라서 개별 물품마다 RFID 태그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바코드 관리 체계를 대체하여 재물조사나 재물관리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종래의 라벨 프린터에 RFID 인코더를 결합한 형태의 소위 RFID 프린터를 사용하고, 종래의 일반적인 라벨 용지를 대신하여 RFID 태그가 삽입된 라벨 용지(이하, RFID 라벨 용지)를 사용한다. RFID 라벨 용지의 전면에는 물품명이나 EPC와 같은 사용자 코드가 인쇄되고, RFID 라벨 용지 내의 RFID 태그에는 사용자 코드가 인코딩되어 입력된다. RFID 라벨 용지의 후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별도의 바탕지에 분리 용이하게 접착된 상태로 공급되기 때문에 바로 물품에 부착할 수 있다.
<RFID 프린터>
도 1에는 RFID 프린터(101)와 컴퓨터 장치(103)로 구성된 종래의 RFID 프린터 시스템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RFID 프린터(101)에는 여러 장의 RFID 라벨 용지(1a, 1b, 1c)가 이어진 라벨 띠(1)가 공급되고, 컴퓨터 장치(103)는 개별 RFID 라벨 용지(1a, 1b, 1c)에 사용자 코드로 기록할 EPC를 순차적으로 RFID 프린터(101)에게 제공한다. RFID 프린터(101)는 라벨 프린터와 RFID 인코더를 구비하여, 라벨 인쇄와 EPC 인코딩을 수행하여 RFID 라벨 띠(1)를 출력한다. RFID 프린터(101)에 따라 라벨 인쇄를 먼저 수행하기도 하고, EPC 인코딩을 먼저 수행하기도 한다.
문제는 이러한 RFID 프린터 등은 현장과 다소 이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로 EPC를 인코딩한 라벨을 인쇄하여 해당 제품에 부착하였는지는 알 수가 없다.
한편, 자산관리 또는 재물 관리에는 기관이 보유한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이 할당하는 재물번호가 주로 사용된다. 관리자는 관리 대상이 되는 물품에 ERP에 의해 할당된 재물번호가 바코드로 인쇄된 라벨을 부착하거나, RFID 프린터 등을 이용하여 재물번호를 인코딩한 라벨을 부착한다.
그러나 자산관리 또는 재물 관리의 과정은 어쩌면 단순하지만 매우 번거로운 일이기 때문에 종종 그 실물과 재물번호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물품마다 서로 다른 재물번호를 부여해야 하는데, 종종 동일한 종류의 여러 개 물품에 동일한 재물번호를 부여하거나, 구매 과정에서 한 벌의 물품으로 구매한 책상과 의자 세트에 대해 하나의 재물번호를 부여하는 것과 같은 일들이 다반사로 일어난다. 당연히 실제 자산과 재물번호 체계의 불일치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는 바코드 시스템이 아닌 RFID 프린터를 이용하더라도 마찬가지지만, 이 문제를 관리자의 관리 소홀의 문제로만 접근해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 대상 물품에 부착할 RFID 라벨 용지를 인쇄할 수 있는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로서, 상기 물품으로부터 직접 획득한 물품속성코드를 해당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코드로 변환하여 RFID 라벨 용지에 포함된 RFID 태그의 내부 메모리 뱅크에 기록하여 발행할 수 있는 RFID 라벨 프린터 및 RFID 라벨 출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물관리 대상 물품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방법으로 해당 물품에 고유한 사용자코드를, RFID 라벨 용지의 RFID 태그에 인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는 RFID 라벨 프린터 및 RFID 라벨 출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 대상 물품으로부터 직접 획득한 물품속성코드를 외부 서버의 재물번호와 연계시킴과 동시에 해당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 코드로 변환하여 RFID 라벨 용지에 포함된 RFID 태그에 인코딩함으로써 사용자코드를 외부 서버의 재물번호와 연계시키는 RFID 라벨 프린터 및 RFID 라벨 출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RFID 라벨 프린터는 RFID 태그를 구비한 RFID 라벨 용지에 사용자 코드를 인코딩하여 출력할 수 있다. RFID 라벨 프린터는, 물품코드생성부와, 사용자코드생성부와, RFID 인터페이스부와, 인코딩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RFID 태그 용지의 전면에 기설정된 바코드를 인쇄하는 바코드 프린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물품코드생성부는 재물관리의 대상이 되는 물품에 표시된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하고, 사용자코드생성부는 상기 물품속성코드에 소정의 관리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코드를 생성하며, RFID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RFID 태그에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코드는, 상기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의 장치번호와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인코딩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라벨 출력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RFID 인터페이스부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코드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사용자 코드를 상기 RFID 라벨 용지의 RFID 태그에 인코딩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는, 상기 물품속성코드에 대해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른 재물번호를 할당하는 외부의 재물번호관리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물품코드생성부가 획득한 물품속성코드를 상기 재물번호관리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재물번호를 할당받아 상기 사용자코드생성부에게 제공하는 재물번호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코드생성부는 상기 재물번호에 상기 관리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코드를 생성한다.
위의 예와 달리,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가 상기 물품속성코드에 대해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른 재물번호를 할당하는 재물번호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물품코드생성부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물품속성코드는 상기 물품의 생산자에 의해 부여된 코드, 자산관리코드 중 하나로서 상기 물품에 표시된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물품코드생성부는 상기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로부터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하는 바코드 리더이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물품코드생성부는, 상기 물품에 표시된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인식하여 획득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물품코드생성부는 키보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물품코드생성부가 상기 물품을 촬영하여 상기 물품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는 상기 물품에 대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물품을 인식하고 상기 물품에 대한 재물번호를 제공하는 외부 물품정보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물품코드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물품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물품정보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재물번호를 할당받아 상기 사용자코드생성부에게 제공하는 재물번호인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코드생성부는 상기 재물번호에 상기 관리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코드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는 코드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드 인식부는 상기 RFID 라벨 용지가 복수 개 있는 경우에, 상기 복수 개의 RFID 라벨 용지 중에서 출력할 차례가 된 상기 RFID 라벨 용지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읽어온다.
이 경우, 상기 인코딩제어부는, 상기 RFID 인터페이스부로 하여금 내부 메모리 뱅크 중 하나에 기록된 값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식별코드와 같은 태그를 상기 복수 개의 RFID 라벨 용지 중에서 호출하여 상기 사용자 코드를 인코딩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선택적 인코딩이 수행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인코딩제어부에 의해 물품 단위로 RFID 라벨 용지에 인코딩을 수행한 이력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력 데이터를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파일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인쇄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를 이용한 사용자코드 인코딩 방법에도 그 권리가 미친다. 본 발명의 인코딩 방법은, 재물관리의 대상이 되는 물품에 표시된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물품속성코드에 소정의 관리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코드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코드를 상기 RFID 라벨 용지의 RFID 태그에 인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는 재물관리의 대상이 되는 물품이 있는 현장에서 해당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코드를 인코딩한 RFID 라벨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RFID 라벨 용지는 RFID 태그를 내장하거나 또는 일부가 노출되는 형태로 구비한 용지로서 발행 후에 RFID 리더로 손쉽게 사용자코드를 읽어올 수 있으며, RFID 태그에 인코딩되는 사용자 코드는 해당 물품으로부터 직접 획득한 물품속성코드를 기초로 하면서도 해당 물품에 전용하여 중복 발행되지 않기 때문에, 실물과 사용자 코드로 관리되는 목록이 일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라벨 프린터가 사용하는 사용자 코드는 물품에 표시된 물품속성코드 또는 사용자가 관리하는 별도의 재물번호를 기초로 한 것이므로, 사용자가 기 보유한 재물번호 등의 관리 체계와 연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사용자코드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해당 물품에 물품속성코드가 표시되어 있지 않더라도, 해당 물품에 대한 사용자 코드를 자동으로 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를 사용하여 물품에 RFID 라벨을 발행할 경우에 발행되는 RFID 라벨은 개별 물품 단위로 매칭된 상태이므로, 관리 대상 물품들에 대해 RFID 라벨의 발행 과정을 종료함과 동시에 발행 이력을 이용하여 관리대장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종래의 관리방식과 완전히 반대방향의 진행이다. 종래에는 관리 대장을 가지고 개별 물품을 조사하고 확인하는 것이었다면, 본 발명의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를 이용하는 방식은 처음부터 관리대장을 사용할 필요도 없고, 라벨을 인쇄하는 과정에서 실물 물품 목록에 일치하는 관리대장을 현장에서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RFID 프린터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FID 라벨 프린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RFID 라벨 용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RFID 라벨 프린터의 라벨 출력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RFID 라벨 인쇄시스템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RFID 라벨 프린터의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RFID 라벨 프린터의 블록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RFID 라벨 용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라벨 프린터(200)는 RFID 라벨 용지의 RFID 태그에 사용자 코드를 인코딩하여 발행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로서, 사용자는 본 발명의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200)를 사용하여 재물관리의 대상이 되는 물품이 있는 현장에서 RFID 라벨을 즉시 발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인코딩이라 함은 RFID 태그의 내부 메모리 뱅크 중 하나에 사용자 코드를 기록하는 것을 의미한다. 내부 메모리 뱅크 중에서 EPC 뱅크, USER 뱅크 또는 예비(Reserved) 뱅크 중 하나에 기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코딩 과정을 수행한 RFID 라벨 용지를 별도의 RFID 리더(Reader)(미도시)로 읽게 되면, RFID 리더는 RFID 태그로부터 사용자 코드를 읽어 오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코드는 재물관리의 대상이 되는 각 물품에 고유한 전용 코드로서, 적어도 사용자 관리 영역 내에서는 동일한 사용자 코드가 중복 발행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개별 물품에 전용한 코드를 생성하기 위하여 물품속성코드에 소정의 관리코드가 결합하여 사용자 코드를 생성한다. 사용자코드는 RFID 라벨 용지에 포함된 RFID 태그의 내부 메모리 뱅크 중 하나에 기록되는 것이므로, 내부 메모리 뱅크에 적합한 크기이어야 한다.
물품속성코드는 재물관리의 대상이 되는 물품에 할당된 코드로서, 해당 물품에 어떤 형태로건 표시된 상태일 수도 있고, 해당 물품에 할당되어 외부 '물품정보 서버' 등에 관리되고 있는 코드(예컨대, 재물번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물품속성코드에는, 생산자가 생산관리를 위해 부여한 생산자코드 또는 제조자번호가 될 수 있다. 생산자코드 또는 제조자번호는 물품의 종류, 생산 일자, 생산로트(Lot) 등에 따라 부여되며, 같은 종류의 복수 개 물품에 동일한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물품속성코드에는, 도 5에 도시된 재물번호관리서버(도 5의 410)와 같은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시스템에 의해 부여되는 재물번호 또는 자산관리번호일 수도 있고, 물품정보서버(도 5의 430)에 의해 부여되는 재물번호일 수도 있다. 이러한 재물번호 또는 자산관리번호의 경우에도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것처럼 복수 개의 물품에 대해 동일한 번호가 부여될 수 있다.
이처럼, 물품속성코드는 복수 개의 물품에 동일한 코드가 부여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물품속성코드에 고유한 관리코드를 부가하여 재물관리의 대상이 되는 각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 코드를 생성한다.
관리코드는 물품속성코드를 해당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 코드로 변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200)에서 부여하는 고유의 코드이다.
적어도 사용자 관리 영역 내에서 동일한 관리코드가 두 번 사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관리코드는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의 장치번호와 일련번호를 함께 나열한 것이다. 부가적으로 관리코드에는 관리자 코드, 물품이 위치한 장소 코드 및 라벨 출력일자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더 부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일련번호는 숫자, 문자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으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 코드는 다음과 같이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코드 예 1)
[물품속성코드][장치번호][관리자코드][장소코드][출력일자][일련번호]
(사용자 코드 예 2)
[물품속성코드][장치번호][관리자코드][출력일자][일련번호]
(사용자 코드 예 3)
[물품속성코드][장치번호][관리자코드][일련번호]
(사용자 코드 예 4)
[물품속성코드][장치번호][일련번호]
RFID 라벨 용지는 낱장으로 공급될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 개의 RFID 라벨 용지(11a, 13a, 15a)가 상호 연결된 상태로 본 발명의 RFID 라벨 프린터(20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복수 개의 RFID 라벨 용지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라벨 띠가 롤(Roll) 형태 또는 접힌 용지(Fanfold Sheet) 형태로 공급되는 것일 수 있다.
각각의 RFID 라벨 용지(11a, 13a, 15a)는 RFID 태그(11b, 13b, 15b)를 내장하거나 전면 또는 후면의 일부에 노출 접착된 형태로 구비한 용지로서, 전면에는 바코드 등을 인쇄하기 위한 여백 부분이 마련된다. 후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바탕지(10a)에 임시 접착된 상태로 공급됨으로써, 본 발명의 RFID 라벨 프린터(200)에 의해 라벨이 발행된 후에 사용자는 바탕지(10a)로부터 분리하여 물품에 바로 부착할 수 있다. RFID 라벨 용지(11a)는 본 발명의 RFID 라벨 프린터(200)에 의해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RFID 라벨 프린터(200)의 구성을 설명한다. RFID 라벨 프린터(200)는 물품코드생성부(201), RFID 인터페이스부(203), 바코드 프린터(205), 이송수단(207) 및 제어부(210)를 포함한다.
물품코드생성부(201)는 재물관리의 대상이 되는 물품에 대한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한다.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하는 방법은, (1) 대상 물품으로부터 직접 획득하는 방법 (2) 대상 물품으로부터 직접 획득한 코드를 외부의 재물번호관리서버로에게 제공하여 할당받는 방법, (3) 물품의 이미지를 기초로 외부의 물품정보 서버를 통해 제공받는 방법, 또는 (4) 관리자로부터 키보드(미도시) 등을 통해 입력받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방법들 중에서 (1)과 (4)에 대하여는 여기서 설명하고 (2) 및 (3)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제1 실시 예에 따라, 물품속성코드가 대상 물품(x)에 인쇄되거나 기록되거나 또는 부착된 바코드인 경우에, 물품코드생성부(201)는 바코드 리더(Barcode Reader)일 수 있다. 물품코드생성부(201)는 물품(x)에 부착되거나 인쇄된 바코드를 바코드 리더로 읽어서 해당 물품의 물품속성코드를 직접 읽어올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물품속성코드를 대상 물품에 인쇄되거나 기록되거나 또는 부착된 숫자, 문자 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인 경우에, 물품코드생성부(201)는 물품에 인쇄된 물품속성코드를 촬영하여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미도시)와,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를 이미 알려진 방법으로 영상 처리하여 해당 물품속성코드를 인식하는 영상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한 구성일 수 있다.
이처럼, 물품코드생성부(201)가 바코더 리더이거나, 카메라와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경우에, 물품코드생성부(201)가 도 2에서처럼 제어부(210)와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으로 설계될 수도 있으나, 물품코드생성부(201)의 일부 기능이 제어부(210)의 내부 구성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바코드 리더는 스캔부분과 영상처리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영상처리부분은 제어부(210)의 내부 구성으로 설계할 수 있다. 물품코드생성부(201)가 카메라와 영상처리부인 경우에도, 영상처리부는 카메라와 분리되어 제어부(210)의 내부 구성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 이외에도, 앞서 설명한 것처럼, 물품코드생성부(201)는 키보드(미도시) 또는 기타 사용자 입력수단을 통해 물품속성코드를 사용자로부터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RFID 인터페이스부(203)는 RFID 통신을 위한 무선 신호를 출력하여 무선 채널을 형성함으로써, 각 RFID 라벨 용지(11a, 13a, 15a)의 RFID 태그(11b, 13b, 15b)와 통신을 수행한다. RFID 인터페이스부(203)는 RFID 태그(11b, 13b, 15b)의 내부 메모리 뱅크에 기록된 정보를 읽어올 뿐만 아니라, 해당 메모리 뱅크 중 하나에 정보를 기록하는 인코딩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RFID 인터페이스부(203)는 무선 출력이 도달하는, 즉 무선 채널이 형성되는 범위 내의 어떠한 RFID 태그와도 연결될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특정 RFID 태그를 호출하여 특정 사용자 코드를 기록하는 선택적 기록(Selection Writing)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선택적 기록에는 RFID 표준에 따른 Select() 명령이 사용될 수 있다.
바코드 프린터(205)는 도 3의 RFID 라벨 용지(11a)처럼 RFID 라벨 용지의 전면 여백 부분에 1차원 또는 2차원 바코드를 인쇄한다. 바코드 프린터(205)가 인쇄하는 바코드의 내용은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태그에 인코딩한 사용자 코드일 수도 있고, 사용자 코드와 관련된 또 다른 관리번호일 수도 있으며, 단순한 사용자 로고일 수도 있다.
RFID 라벨 프린터(200) 내에서의 공정 순서를 기준으로, 바코드 프린터(205)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RFID 인터페이스부(203)의 후단에 마련될 수도 있지만, 전단에 마련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200)는 바코드 프린터(205)를 대신하여 숫자 또는 문자를 인쇄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린터를 구비할 수 있고, 이미 일정한 로고가 전면에 인쇄된 RFID 라벨 용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므로, 바코드 프린터(205) 자체가 본 발명의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이송수단(207)은 라벨 프린터(200) 내에 공급된 복수 개의 RFID 라벨 용지(10)를 RFID 라벨 프린터(200) 내부의 RFID 인터페이스부(203)와 바코드 프린터(205)를 따라 이송함으로써 일련의 라벨 출력과정이 수행되도록 한다. 다만, 이송수단(207)에 의한 RFID 라벨 용지의 이송은 사용자로부터 라벨 출력 요청(또는 태그 인코딩 명령)이 있는 경우마다 1개의 RFID 라벨 용지가 공정을 수행하도록 이송한다.
제어부(210)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특별히 물품정보를 획득하고 그에 따라 RFID 라벨 용지의 RFID 태그에 대한 사용자 코드 인코딩 과정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210)는 사용자코드생성부(211), 인코딩제어부(213) 및 인쇄제어부(215)를 포함한다.
사용자코드생성부(211)는 물품코드생성부(201)가 제공하는 물품속성코드에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른 관리코드를 추가하여 해당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 코드를 생성한다.
인코딩제어부(213)는, 사용자로부터 라벨 출력 요청(또는 인코딩 요청)이 있는 경우에, RFID 인터페이스부(203)로 하여금 사용자코드생성부(211)가 생성한 사용자 코드를 라벨 출력 대상인 RFID 라벨 용지의 RFID 태그에 인코딩하도록 제어한다. 인코딩을 위하여, 인코딩제어부(210)는 사용자 제어명령에 따라 RFID 태그의 EPC 뱅크, USER 뱅크 및 예비 뱅크 중에서 인코딩을 수행할 메모리 뱅크를 지정할 수 있다.
인쇄제어부(215)는 이송수단(207)의 이송을 제어함과 동시에, RFID 인터페이스부(203) 및 바코드 프린터(205)의 시계열적인 동작 순서를 제어한다.
또한, 인쇄제어부(215)는 아래의 도 4의 과정을 통해 RFID 라벨이 발행되면, 그 발행이력을 저장하고 관리한다. 발행 이력에는 발행된 사용자 코드와, 사용자 코드에 매핑된 각종 물품속성코드(또는 재물번호), RFID 라벨 프린터의 장치번호, 관리자 코드, 물품이 위치한 장소 코드 및 라벨 출력일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인쇄제어부(215)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발행 이력 데이터를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파일 형태로 출력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재물번호관리서버(410)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코드생성부(211), 인코딩제어부(213) 및 인쇄제어부(215)의 세부 동작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RFID 라벨 프린터(200)의 RFID 인코딩 과정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제어부(210)와 RFID 인터페이스부(203)의 동작을 중심으로 하는 본 발명의 RFID 라벨 프린터(200)의 RFID 라벨 출력 과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리를 위해, 물품코드생성부(201)는 바코드 리더라고 가정한다. 또한, 도 3의 RFID 라벨 용지 중에서 11a는 이미 발행한 상태이고, 도 4의 공정을 통해 13a 용지가 출력된다고 가정한다.
<대상 물품으로부터 물품속성코드 획득: S401>
본 발명의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200)의 사용자는 재물 조사 등의 목적으로 관리 대상이 되는 물품이 있는 현장에 도착하여, 해당 물품으로부터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한다.
물품코드생성부(201)가 바코드 리더인 경우, 물품속성코드는 해당 물품에 바코드 형태로 인쇄 또는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품코드생성부(201)를 해당 물품에 근접시켜 바코드를 읽어 온다. 물품코드생성부(201)는 읽어 온 바코드를 사용자코드생성부(211)에게 제공한다.
<물품속성코드에 관리코드를 부여하여 사용자 코드를 생성: S403>
제어부(210)의 사용자코드생성부(211)는 물품코드생성부(201)로부터 물품속성코드를 제공받으면, 우선, 기설정된 변환 알고리즘에 따라 물품속성코드에 관리코드를 부가하여 해당 물품(x) 전용의 사용자 코드로 변환한다.
<RFID 라벨 용지에 사용자 코드 인코딩: S405>
사용자코드생성부(211)가 해당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 코드를 생성하면, 인코딩제어부(213)는 RFID 인터페이스부(203)로 하여금 출력 대상인 RFID 라벨 용지(13a)의 RFID 태그(13b)에 사용자 코드를 인코딩하도록 제어한다.
인코딩제어부(213)의 제어에 따라, RFID 인터페이스부(203)는 인코딩을 위한 무선 채널을 형성하고 RFID 태그(13b)의 내부 메모리 뱅크 중에서 기설정된 뱅크에 사용자 코드를 기록한다.
본 발명의 RFID 라벨 프린터(200)는 하나의 대상 물품을 위한 하나의 RFID 라벨을 발행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RFID 인터페이스부(203)에 의해 형성된 무선채널 범위 내에 존재하는 복수 개의 RFID 라벨 용지(13a, 15a)의 복수 개의 RFID 태그(13b, 15b)가 응답하여 모두 인코딩을 수행하더라도, 최종 출력되는 RFID 라벨은 13a 하나뿐이므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출력 대상이 아닌 RFID 태그에 인코딩이 되었더라도, 다음 라벨을 출력할 때 그 대상 물품을 위해 다시 인코딩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RFID 라벨 용지의 전면에 바코드 인쇄: S407>
RFID 인터페이스부(203)에 의한 사용자코드 인코딩이 완료되면, 바코드 프린터(205)가 해당 RFID 라벨용지(13a)의 전면 여백 부분에 바코드를 인쇄한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이때 인쇄되는 바코드의 내용은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다. 이때, 인쇄제어부(215)는 바코드 프린터(205)로 하여금 RFID 라벨 용지(13a)에 바코드를 인쇄하도록 제어한다.
<RFID 라벨의 출력: S409>
RFID 인터페이스부(203)의 사용자 인코딩과 바코드 프린터(205)의 바코드 인쇄가 완료되면, 이송수단(207)에 의해 RFID 라벨(13a)이 최종 출력된다. 이때, 인쇄제어부(215)는 이송수단(207)으로 하여금 RFID 라벨 용지를 필요한 구간만큼 이송시킬 수 있다.
이상의 S401 내지 S409 단계는 S401 단계 이전에 입력받은 사용자의 라벨 출력 요청에 따라 하나의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S407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사용자의 추가적인 제어명령을 기다릴 수 있다.
사용자는 재물 조사 등의 목적으로 관리 대상이 되는 물품이 있는 현장에 도착하여, 해당 물품으로부터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한 다음, 바로 라벨을 출력하여 물품에 부착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200)가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경우에, 발행한 라벨을 RFID 인터페이스부(203)로 다시 읽어올 수 있다. 이때는 사용자코드가 읽혀지게 되며,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200)는 읽어 온 사용자 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서버(예컨대 ERP 서버) 등에 제공하여 등록하는 기능을 보유할 수 있다.
- 실시 예 1-
도 2 및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물품코드생성부(201)가 획득한 코드를 그대로 물품속성코드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물품코드생성부(201)가 획득한 코드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ERP와 같은 소정의 재물번호 관리 알고리즘에 따른 재물번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코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첫 번째 방법으로, 도 2의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200)의 제어부(210)는 재물번호생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재물번호생성부(미도시)는 물품코드생성부(201)로부터 물품속성코드를 제공받아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와 같은 소정의 재물번호 관리 알고리즘에 따라 재물번호를 할당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코드생성부(211)는 물품코드생성부(201)가 획득한 물품속성코드를 대신하여 재물번호생성부(미도시)가 제공하는 재물번호에 관리코드를 부가하여 사용자코드를 생성할 수도 있다.
- 실시 예 2-
또 다른 방법으로, 외부의 재물번호관리서버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라벨 인쇄시스템(500)은 상호 네트워크(501)를 통해 연결되는 재물번호관리서버(510)와 물품정보서버(530)와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550)를 포함한다. 도 5의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550)에는 도 2의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200)의 구성이 동일하게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501)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서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이면 충분하다. 재물번호관리서버(510) 및 물품정보서버(530)와 네트워크(501)는 유선 또는 무선 어떤 것으로 연결되어도 무방하지만,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550)와 네트워크(501)는 무선 접속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무선 접속 인터페이스에는 무선랜(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이동통신망 등이 해당할 수 있다.
재물번호관리서버(510)는 재물관리 또는 자산관리를 위한 재물번호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네트워크(501)를 통해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200)와 연결된다.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서버는 재물번호관리서버(510)의 일 예에 해당한다.
재물번호관리서버(510)는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550)의 사용자코드생성부(211)의 요청에 따라 재물관리 대상 물품에 대한 재물번호를 제공하는 재물번호생성부(511)를 포함한다. 재물번호생성부(511)의 재물번호 할당방법은 자체의 알고리즘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재물번호관리서버(510)에 대응하여, 도 5의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550)는 도 6을 참조하면, 도 2의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200)에 더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01)를 더 구비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01)는 네트워크(501)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로서, 네트워크(501)의 종류와 형태에 따라 그 무선접속 수단이 달라질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01)는 RFID 라벨 프린터(550)의 제어부(210)와 재물번호관리서버(51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또한,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550)의 제어부(210)는 사용자코드생성부(211)와 인코딩제어부(213)에 더하여 재물번호인증부(611)를 더 포함한다.
재물번호인증부(611)는 품코드생성부(201)가 제공하는 물품속성코드를 재물번호관리서버(510)의 재물번호생성부(511)에게 제공하여 해당 물품속성코드에 대한 재물번호를 할당받아 사용자코드생성부(211)에게 제공한다.
사용자코드생성부(211)는 기본적으로 도 2의 사용자코드생성부(211)와 동일하게 동작하며, 다만 물품코드생성부(201)가 제공하는 물품속성코드 대신에 재물번호인증부(611)가 제공하는 재물번호에 관리코드를 부가하여 사용자코드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재물번호인증부(611)는 이미 발행하여 물품에 부착된 라벨을 RFID 인터페이스부(203)로 다시 읽어올 수 있다. 이때는 사용자코드가 읽혀지게 되며, 재물번호인증부(611)는 읽어 온 사용자 코드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601)를 통해 재물번호관리서버(510)에 제공하여 등록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의 라벨 인쇄시스템(500)에 의하면, 사용자코드가 관리자가 운용하는 ERP와 같은 재물관리 시스템과 연계될 수 있다.
- 실시 예 3-
대상 물품(x)에 직접 획득할 수 있는 물품속성코드가 인쇄되어 있지 않거나 그 밖의 이유로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할 수 없는 경우에, 물품의 이미지를 도 5의 물품정보 서버(530)에 제공하여 물품속성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물품정보 서버(530)는 각종의 물품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이미지 디비(DB: Database)(531)와 재물번호생성부(533)를 구비한다.
이미지 디비(531)는 공산품으로서 재물관리 등의 대상이 되는 물품의 이미지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재물번호생성부(533)는 이미지 디비(531)에 저장된 물품 이미지에 기할당된 재물번호를 관리한다.
물품정보 서버(530)를 이용할 경우,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200)의 물품코드생성부(201)는 물품(x)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이다.
재물번호인증부(611)는 물품코드생성부(201)가 생성한 물품 이미지를 물품정보 서버(530)에게 제공하여 재물번호(즉, 물품속성코드)를 할당받고, 사용자코드생성부(211)는 재물번호인증부(611)로부터 제공받은 재물번호에 관리코드를 부가하여 사용자코드를 생성한다.
-실시 예 4-
도 7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RFID 라벨 프린터(700)가 개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7의 RFID 라벨 프린터(700)를 위한 RFID 라벨 용지(30)가 개시되어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용자코드를 인코딩하는 과정에서 RFID 인터페이스부(203)는 특정의 RFID 태그를 별도로 호출하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RFID 인터페이스부(203)가 형성하는 무선채널 범위 내의 모든 RFID 태그가 동일한 인코딩과정을 수행하는 것은 적절치 않을 수 있으므로, 현재 출력할 RFID 라벨 용지의 RFID 태그만을 호출하여 선택적으로 기록하는 선택적 인코딩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 기록을 위해서,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700)는 현재 출력 준비 중인 RFID 라벨 용지(13a)에 포함된 RFID 태그(13b)를 선택적으로 호출할 수 있는 식별코드가 필요하다. RFID 태그(13b)를 개별적으로 호출하기 위해서 select() 명령이 사용되므로, 이 식별코드는 RFID 라벨 용지(31b)에 포함된 RFID 태그(33b)의 내부 메모리 뱅크 중 하나에 기록된 값이어야 하며, 그 뱅크의 전체와 동일한 값이거나 그 뱅크에 기록된 값의 일부와 동일한 값이어도 충분하다.
본 발명에서는 RFID 라벨 용지의 전면 또는 바탕지의 후면에 그 RFID 태그(31b)의 식별코드를 숫자, 문자 등으로 인쇄되거나 1차원 바코드(Barcode)나 2차원 바코드(또는 QR 코드)의 형태로 인쇄해 둠으로써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200)에게 식별코드를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도 8은 도 3과 다른 형태의 RFID 라벨 용지(31a, 33a, 35a)로서, 그 바탕지(30a)에 식별코드를 인쇄한 예이다. A11 바코드는 RFID 라벨 용지(31a)의 RFID 태그(31b)용 식별코드이고, A13 A13 바코드는 RFID 라벨 용지(33a)의 RFID 태그(33b)용 식별코드이고, A15 바코드는 RFID 라벨 용지(35a)의 RFID 태그(35b)용 식별코드이다. RFID 라벨 용지(31a)는 라벨 출력과정을 통해 전면에도 바코드가 인쇄된 상태이고, 다음 라벨 출력에는 RFID 라벨 용지(33a)가 사용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700)는 도 6의 RFID 라벨 프린터(550)와 동일한 구성에 코드 인식부(70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코드 인식부(701)는 물품코드생성부(201)와 달리 내부의 RFID 라벨 용지(33a, 35a)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인식한다. 코드 인식부(701)는 바코드 리더일 수도 있고, 다른 방법으로 코드 인식부(701)는 식별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와, 카메라가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코드 인식부(701)가 출력 대상이 되는 RFID 라벨 용지(33a)로부터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인코딩 제어부(711)에게 제공하면, 인코딩 제어부(711)는 RFID 인터페이스부(203)로 하여금 내부 메모리 뱅크 중 하나에 기록된 값의 전체 또는 일부가 식별코드와 같은 태그(33b)를 RFID 라벨 용지(30) 중에서 호출한 다음, 해당 호출된 태그(33b)에게 사용자 코드를 인코딩하도록 제어한다. RFID 인터페이스부(203)가 형성하는 무선 채널의 범위가 아무리 넓더라도, 식별코드에 기초한 호출에 응답하는 RFID 태그는 33b 태그뿐이다. 주위의 다른 태그(35b)에 사용자코드가 인코딩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로써, 사용자 코드를 인코딩할 대상이 되는 타깃 RFID 태그를 찾아 선택 기록 방식에 의한 인코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 기록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의 RFID 라벨 프린터(700)는 현재 출력 진행 중인 RFID 라벨 용지의 RFID 태그에게 정확히 인코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24)

  1. RFID 태그를 구비한 RFID 라벨 용지에 사용자 코드를 기록하여 출력하는 RFID 라벨 프린터에 있어서,
    재물관리의 대상이 되는 물품에 표시된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하는 물품코드생성부;
    상기 물품속성코드에 소정의 관리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코드를 생성하는 사용자코드생성부;
    상기 RFID 태그에 정보를 읽고 쓸 수 있는 RFID 인터페이스부; 및
    사용자로부터 라벨 출력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RFID 인터페이스부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코드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사용자 코드를 상기 RFID 라벨 용지의 RFID 태그에 인코딩하도록 제어하는 인코딩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속성코드에 대해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른 재물번호를 할당하는 외부의 재물번호관리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물품코드생성부가 획득한 물품속성코드를 상기 재물번호관리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재물번호를 할당받아 상기 사용자코드생성부에게 제공하는 재물번호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코드생성부는 상기 재물번호에 상기 관리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속성코드에 대해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른 재물번호를 할당하는 재물번호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코드생성부는 상기 재물번호에 소정의 관리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코드는, 상기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의 장치번호와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속성코드는,
    상기 물품의 생산자에 의해 부여된 코드, 자산관리코드 중 하나로서 상기 물품에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코드생성부는,
    상기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로부터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하는 바코드 리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코드생성부는,
    상기 물품에 표시된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인식하여 획득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코드생성부는,
    키보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코드생성부가 상기 물품을 촬영하여 상기 물품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인 경우에,
    상기 물품에 대한 이미지로부터 상기 물품을 인식하고 상기 물품에 대한 재물번호를 제공하는 외부 물품정보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물품코드생성부가 생성한 상기 물품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물품정보 서버에 제공하여 상기 재물번호를 할당받아 상기 사용자코드생성부에게 제공하는 재물번호인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코드생성부는, 상기 재물번호에 상기 관리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 용지의 전면에 기설정된 바코드를 인쇄하는 바코드 프린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라벨 용지가 복수 개 있는 경우에, 상기 복수 개의 RFID 라벨 용지 중에서 출력할 차례가 된 상기 RFID 라벨 용지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읽어오는 코드 인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코딩제어부는, 상기 RFID 인터페이스부로 하여금 내부 메모리 뱅크 중 하나에 기록된 값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식별코드와 같은 태그를 상기 복수 개의 RFID 라벨 용지 중에서 호출하여 상기 사용자 코드를 인코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제어부에 의해 물품 단위로 RFID 라벨 용지에 인코딩을 수행한 이력을 관리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이력 데이터를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파일형태로 출력할 수 있는 인쇄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
  13. RFID 태그를 구비한 RFID 라벨 용지에 사용자 코드를 인코딩하여 출력하는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의 라벨 출력 방법에 있어서,
    재물관리의 대상이 되는 물품에 표시된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물품속성코드에 소정의 관리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코드를 상기 RFID 라벨 용지의 RFID 태그에 인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의 사용자 코드 인코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획득한 물품속성코드를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의 재물번호관리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및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물품속성코드에 재물번호를 할당하는 상기 재물번호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재물번호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재물번호에 상기 관리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의 사용자 코드 인코딩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하는 단계에서 획득한 물품속성코드에 대해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른 재물번호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재물번호에 소정의 관리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의 사용자 코드 인코딩 방법.
  16.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코드는, 상기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의 장치번호와 일련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의 사용자 코드 인코딩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속성코드는,
    상기 물품의 생산자에 의해 부여된 코드, 자산관리코드 중 하나로서 상기 물품에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의 사용자 코드 인코딩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하는 단계는 바코드 리더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에 부착된 바코드로부터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의 사용자 코드 인코딩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하는 단계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에 표시된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인식하여 획득하는 영상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의 사용자 코드 인코딩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하는 단계는,
    키보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의 사용자 코드 인코딩 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속성코드를 획득하는 단계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물품을 촬영하여 상기 물품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물품정보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로부터 상기 물품을 인식하여 상기 물품에 대한 재물번호를 할당하는 상기 물품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재물번호를 제공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코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재물번호에 상기 관리코드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물품에 전용한 사용자코드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의 사용자 코드 인코딩 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 용지의 전면에 기설정된 바코드를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의 사용자 코드 인코딩 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라벨 용지가 복수 개 있는 경우에, 상기 복수 개의 RFID 라벨 용지 중에서 출력할 차례가 된 상기 RFID 라벨 용지에 인쇄된 식별코드를 읽어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내부 메모리 뱅크 중 하나에 기록된 값의 전체 또는 일부가 상기 식별코드와 같은 태그를 상기 복수 개의 RFID 라벨 용지 중에서 호출하여 상기 사용자 코드를 인코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의 사용자 코드 인코딩 방법.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RFID 태그에 인코딩하여 출력하는 단계에 의해 물품 단위로 RFID 라벨 용지에 인코딩을 수행한 이력을 관리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파일형태로 상기 이력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알에프아이디 라벨 프린터의 사용자 코드 인코딩 방법.
KR1020150187425A 2015-12-28 2015-12-28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 및 rfid 라벨 출력방법 KR201700774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425A KR20170077493A (ko) 2015-12-28 2015-12-28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 및 rfid 라벨 출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7425A KR20170077493A (ko) 2015-12-28 2015-12-28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 및 rfid 라벨 출력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7493A true KR20170077493A (ko) 2017-07-06

Family

ID=59354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7425A KR20170077493A (ko) 2015-12-28 2015-12-28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 및 rfid 라벨 출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774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195B1 (ko) 2018-08-20 2019-08-01 주식회사 키닉스 일체형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하는 라벨 프린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6195B1 (ko) 2018-08-20 2019-08-01 주식회사 키닉스 일체형 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하는 라벨 프린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8169B2 (ja) ラベル生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90392272A1 (en) Rfid digital print/encode
JP2005285094A (ja) メモリタグを有する物理オブジェクトと、このような物理オブジェクトの書き込みと使用のための装置
CN103677687B (zh) 记录装置和记录装置的控制方法
CN111723640B (zh) 商品信息检查系统及计算机的控制方法
TWI584126B (zh) 智慧型行動標籤列印系統及應用於其上之標籤列印方法
KR20170058086A (ko) Rfid 라벨용지에 부착된 rfid 태그에 사용자 코드를 기록하기 위한 rfid 라벨 인코더, 그 라벨 인쇄시스템 및 사용자 코드 인코딩 방법
KR20170077493A (ko) 휴대용 rfid 라벨 프린터 및 rfid 라벨 출력방법
US20180065378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duct Data
JP6681636B1 (ja) 識別体、物品管理システム、及び暗証番号管理システム
JP2007156774A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EP1398731B1 (en) Virtual annotation of a recording on an archival media
KR101861304B1 (ko) Rfid 방식의 휴대용 sku 번호 검출기 및 그 검출방법
US9734494B2 (en) POS system and print device
CN108228113B (zh) 信息处理装置、记录介质、打印装置及打印系统
KR20190119464A (ko) 재사용 가능한 rfid 태그를 이용한 물류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0058974A (ja) 物品管理装置および物品管理方法
JP2022009568A (ja) システム、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197282B2 (ja) 物体形状自動認識システム及び非接触識別タグへの書き込みシステム
JP2018132904A (ja) 医療用の書類管理システム
JP4725402B2 (ja) 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電子ペン用複写帳票
EP37014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updating data associated with a product by a qr code
JP2004145654A (ja) ユーザーカード
JP4612386B2 (ja) 情報管理装置及び情報管理方法
JP694357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