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432B1 -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432B1
KR102005432B1 KR1020170037822A KR20170037822A KR102005432B1 KR 102005432 B1 KR102005432 B1 KR 102005432B1 KR 1020170037822 A KR1020170037822 A KR 1020170037822A KR 20170037822 A KR20170037822 A KR 20170037822A KR 102005432 B1 KR102005432 B1 KR 102005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collision
locking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004A (ko
Inventor
안병천
박현준
박재영
여성민
김진형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37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432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60K28/12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doors or doors locks, e.g. open do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14Specially controlled locking actions in case of open doors or in case of doors moved from an open to a closed position, e.g. lock-out prevention or self-cancelling
    • E05B77/16Preventing locking with the bolt in the unlatched position, i.e. when the door is op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13Failsaf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으로의 접근 물체 감지시 도어락을 구동하여 개문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접근하는 물체 인식에 의한 자동 도어 락(door-lock) 동작 뿐 아니라, 문이 충분히 열린 후에 후방으로부터 물체가 접근시에는 도어 락이 작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신속히 문을 닫을 수 있도록 하여, 후방 물체 접근에 의한 개문사고를 어떤 상황에서나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DOUBLE LOC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PREVENTION OF OPEN-DOOR-ACCIDENT OF A VEHICLE}
본 발명은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으로의 접근 물체 감지시 도어락을 구동하여 개문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이 정지 상태에서 후방에 접근하는 물체를 인식하지 못한 채 차량의 문을 열다가 접촉사고가 발생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 일부 개시된 적이 있으나, 또한 이 경우에는 차량의 문이 충분히 열린 후에 물체가 후방에서 접근시 잠금장치가 작동하여 오히려 문이 닫히지 않게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KR 20-2002-0008571 Y1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접근하는 물체 인식에 의한 자동 도어 락(door-lock) 동작 뿐 아니라, 문이 충분히 열린 후에 후방으로부터 물체가 접근시에는 도어 락이 작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신속히 문을 닫을 수 있도록 하여, 후방 물체 접근에 의한 개문사고를 어떤 상황에서나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하는 장치(이하 '제2 잠금장치'라 한다)가, 개문사고를 방지하는 방법은, (a) 차량 정지를 감지하는 단계; (b) 차량 정지시, 도어가 열렸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c) 도어가 닫힌 경우 단계(d1) 내지 단계(d2)를 수행하고, 도어가 열린 경우 단계(e1) 내지 단계(e2)를 수행하는 단계; (d1) 차량 전방 또는 후방에 충돌위험이 있는 접근 물체가 있는지 파악하는 단계; (d2) 충돌위험이 있는 접근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 잠금장치부를 잠금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e1) 도어의 열린상태에 따른 위치에 따라 도어가 차량 바디로부터 떨어진 거리(이하 '이격거리'라 한다)를 감지하는 단계; 및 (e2) 상기 이격거리에 따른 잠금해제조건이 충족된 경우, 사용자가 접근물체를 감지하여 도어를 닫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잠금장치부를 잠금해제상태로 제어하고, 잠금해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제2 잠금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단계(d1) 내지 단계(d2)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해제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는, 상기 이격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이고, 상기 잠금해제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이격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이며, 상기 기준값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경 설정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단계(d2) 수행 이후, (d3) 접근 물체의 충돌 위험 소멸시, 잠금장치부를 잠금해제상태로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d1)에서, 물체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떨어진 거리(이하 '물체거리'라 한다) 및, 그 물체가 차량으로 접근하는 속도(이하 '접근속도'라 한다)를 감지하여, 상기 물체거리 및 접근속도 값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개문시 접근 물체가 충돌위험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d4) 전방 또는 후방에 충돌위험 물체가 접근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를 방지하는 장치는, 운행중인 차량이 정지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차량 정지 감지부; 정지한 차량의 도어가 열렸는지를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부; 정지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접근물체 감지부; 물체가 감지된 경우, 차량 도어를 열 경우에 해당 물체가 도어와 충돌 위험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충돌위험 감지부;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 열린 도어가 차량 바디로부터 떨어진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도어 이격거리 산출부; 접근 물체와 도어와의 개문사고 방지를 위해 기존 차량의 잠금장치와는 별도로 도어를 이중으로 잠그는 기능을 수행하는 잠금장치부; 및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의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차량 개문사고 방지 방법의 수행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며, 잠금조건 또는 잠금해제조건의 충족시 잠금상태로의 제어 또는 잠금해제상태로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격거리에 따른 잠금해제조건이 충족된 경우, 사용자가 접근물체를 감지하여 도어를 닫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잠금장치부를 잠금해제상태로 제어하고, 잠금해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충돌위험이 있는 접근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 잠금장치부를 잠금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산출된 이격거리에 따라 잠금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잠금해제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는, 상기 이격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이고, 상기 잠금해제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이격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이며, 상기 기준값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경 설정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제어부는, 잠금상태로의 제어 후, 접근 물체의 충돌 위험 소멸시, 잠금장치부를 잠금해제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충돌위험 감지부는, 물체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떨어진 거리(이하 '물체거리'라 한다) 및, 그 물체가 차량으로 접근하는 속도(이하 '접근속도'라 한다)를 감지하여, 상기 물체거리 및 접근속도 값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개문시 접근 물체가 충돌위험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는, 전방 또는 후방에 충돌위험 물체가 접근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접근하는 물체 인식에 의한 자동 도어 락(door-lock) 동작 뿐 아니라, 문이 충분히 열린 후에 후방으로부터 물체가 접근시에는 도어 락이 작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신속히 문을 닫을 수 있도록 하여, 후방 물체 접근에 의한 개문사고를 어떤 상황에서나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잠금장치의 잠금장치부의 잠금 동작이 OFF 상태인 경우와 ON 상태인 경우의 도어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문을 열 때 본 발명에 따른 제2 잠금장치의 잠금장치부가 잠금해제된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문을 닫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제2 잠금장치의 잠금장치부가 잠금해제된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잠금장치의 잠금장치부의 각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문이 충분히 열린 후에 본 발명의 제2 잠금장치의 잠금장치부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중 잠금이란 본래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잠금장치외에 본 발명의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이하 '제2 잠금장치'라 한다)(100, 도 2 참조)를 더 설치하여, 차량의 정지 후에,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접근하는 물체가 존재할 경우, 이를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문을 열 경우의 접촉사고(이하 '개문사고'라 한다)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잠금장치(100) 구조의 세부 구성의 실시예에 대하여는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하고, 도 1의 순서도를 참조하여서는 본 발명의 제2 잠금장치의 차량 개문사고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잠금장치(100)는, 차량이 정지한 것을 감지한 경우(S101) 먼저 차량의 도어 열림을 체크한다(S102).
아직 도어가 열리지 않은 경우, 전방 또는 후방에 충돌 위험이 있는 접근 물체가 있는지 감지한다(S111). 개문시, 물체가 충돌 위험이 있는 상태인지는 다양한 방식으로 파악한다. 일 실시예로서, 물체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떨어진 거리 및, 그 물체가 차량으로 접근하는 속도를 측정한다. 물체가 가까이 있는 경우에는 접근 속도가 작더라도 충돌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물체가 상대적으로 멀리 있더라도 속도가 큰 경우에는 충돌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물체가 가까이 있더라도 접근속도가 0에 가까울 경우에는 충돌 위험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물체가 일정 속도를 가지고 있더라도 차량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는 충돌 위험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돌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물체의 접근속도 및 차량으로부터 물체가 떨어진 거리 간의 수치적 기준(이하 '충돌위험 기준'이라 한다)은, 필요에 맞게 적절히 기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충돌위험 기준에 따라 충돌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물체를 감지한 경우, 본 발명의 제2 잠금장치(100)의 잠금장치부(107, 도 2 참조)를 구동함으로써(S112), 사용자가 접근 물체를 인식하지 못하고 차량의 도어를 열었더라도, 본 발명의 제2 잠금장치(100)에 의해 접근물체와 도어가 충돌할 정도로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물체가 지나갔다든지 하여 충돌 위험이 사라진 경우, 다시 잠금장치부(107)를 해제하여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한다(S113).
한편, 도어가 닫혀있을 때는 충돌 위험 접근 물체가 존재하지 않아, 사용자가 도어를 열기 시작한 후에 접근 물체가 나타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프로세스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즉, 제2 잠금장치(100)가 차량의 도어 열림을 체크하여(S102), 도어가 열려 있음을 감지한 경우에는, 먼저 열린 도어가 차량 바디로부터 떨어진 이격거리(D)를 감지한다(S121). 이때 이격거리 D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에는(S122), 제2 잠금장치의 잠금장치부(107)가 해제되어 있는지를 체크하여(S123), 잠금상태에 있는 경우 잠금장치부(107)를 해제하도록 제어한다(S124). 이것은, 문이 일정상태 이상으로 열려있는 상태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잠금장치(100)의 잠금장치부(107)가, 전방 또는 후방에 접근하는 물체가 있는 경우라도 잠금상태로 제어되지 않도록, 즉, 해제상태에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이유는 제2 잠금장치(100)의 잠금장치부(107)가 잠금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문을 연 사용자가 접근물체를 감지하여 즉시 다시 문을 닫을 때, 제2 잠금장치(100)의 잠금장치부(107)의 잠금상태로 인해 오히려 문이 닫히는 것을 방해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문이 닫혀있는 상태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즉시 제2 잠금장치(100)의 잠금장치부(107)를 잠금상태로 제어하여 개문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함과 함께, 물체 접근시 이미 문이 충분히 열려있는 상태라면 오히려 제2 잠금장치(100)의 잠금장치부(107)를 해제상태로 있도록 제어하여(S124) 사용자에 의한 도어 닫음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어가 열려있는 경우에 전술한 이격거리 D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는(S122),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와 마찬가지로, 전방 또는 후방에 충돌 위험이 있는 접근 물체가 있는지 감지하여(S111), 본 발명의 제2 잠금장치(100)의 잠금장치부(107)를 구동함으로써(S112), 사용자가 접근물체를 인식하지 못하고 차량의 도어를 열었더라도, 본 발명의 제2 잠금장치(100)에 의해 접근물체와 도어가 충돌할 정도로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이후 물체가 지나갔다든지 하여 충돌 위험이 사라진 경우, 제어부(101)의 제어에 의해 잠금장치부(107)를 잠금해제하여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한다(S113).
한편 도 1에 도시되지는 아니하였으나, 전방 또는 후방에 충돌위험 물체가 접근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고신호, 예를 들어 경고음 등을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100)를,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잠금장치(100)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방법에 대하여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전술한 바 있으므로, 도 2를 참조하여서는 그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제2 잠금장치, 100)의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중심으로 간략히 정리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01)는 이하의 각 모듈을 제어하여 차량 개문사고 방지 방법의 수행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 과정에서,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각 단계에서의 잠금상태로 제어해야 할 경우의 그 조건(이하 '잠금조건'이라 한다) 및, 잠금상태를 해제해야 할 경우의 그 조건(이하 '잠금해제조건'이라 한다)의 충족시 잠금 제어 또는 잠금해제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차량 정지 감지부(102)는 운행중인 차량이 정지하였는지를 감지한다.
도어 열림 감지부(103)는 정지한 차량의 도어가 열렸는지를 감지한다.
접근물체 감지부(104)는 정지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고, 물체가 감지된 경우 충돌위험 감지부(105)는, 차량 도어를 열 경우에 해당 물체가 도어와 충돌 위험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로서, 충돌위험 감지부(105)는, 물체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떨어진 거리 및, 그 물체가 차량으로 접근하는 속도를 측정하여, 물체가 가까이 있는 경우에는 접근 속도가 작더라도 충돌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물체가 상대적으로 멀리 있더라도 속도가 큰 경우에는 충돌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충돌위험 감지부(105)는, 물체가 가까이 있더라도 접근속도가 0에 가까울 경우에는 충돌 위험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물체가 일정 속도를 가지고 있더라도 차량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는 충돌 위험이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돌 위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물체의 접근속도 및 차량으로부터 물체가 떨어진 거리 간의 수치적 기준(이하 '충돌위험 기준'이라 한다)은, 필요에 맞게 적절히 기 설정해 놓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처리를 위해 충돌위험 감지부(105)는, 물체까지의 거리, 물체의 속도 등을 측정하기 위한 각종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이격거리 산출부(106)는,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 열린 도어가 차량 바디로부터 떨어진 이격거리(D)를 산출한다. 산출된 이격거리는,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잠금장치의 잠금장치부(107)를 잠금상태로 제어할 것인지, 해제상태로 제어할 것인지를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잠금장치부(107)는, 접근 물체와 도어와의 개문사고 방지를 위해 기존 차량의 잠금장치와는 별도로 도어를 이중으로 잠그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며, 잠금장치부(107)의 일 실시예로서의 구성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경고신호 발생부(108)는, 전방 또는 후방에 충돌위험 물체가 접근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경고신호, 예를 들어 경고음 등을 발생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잠금장치(100)의 잠금장치부(107) 구성의 일 실시예로서, 잠금장치부(107)의 잠금 동작이 OFF 상태인 경우(a)와, 잠금 동작이 ON 상태인 경우(b)의 도어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잠금장치(100)의 잠금장치부(107)의 각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와 같이 서보모터링크(servo motor link, 107.3)의 좌측(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잠금부(locking part, 107.4)가 좌측으로 밀려 돌출되고, 돌출된 잠금부(107.4)에 잠금링크(locking link, 107.8)가 걸리게 됨으로써 문이 더이상 열리지 못하게 되어, 제2 잠금장치(100)에 의한 이중 잠금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문을 열 때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제2 잠금장치(100)의 잠금장치부(107)가 잠금해제된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문을 닫을 때 본 발명에 따른 제2 잠금장치(100)의 잠금장치(107)가 잠금해제된 상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와 같이 도어가 열려져 결국 도 4(b)와 같이 이격거리(D) 기준값보다 크게 열려져 있는 경우, 도 4(b)와 같이 잠금링크(107.8)를 접음으로써 잠금해제된 상태로 제어한다. 즉, 이후에 도 5와 같이 사용자가 도어를 닫을 때, 잠금부(107.4)가 도 5(a)와 같이 왼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잠금링크(107.8)가 접힌 상태로 있으므로, 잠금링크(107.8)가 잠금부(107.4)에 걸리지 않고 도 5(b)와 같이 도어가 닫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은 문이 충분히 열린 후에 본 발명의 제2 잠금장치(100)의 잠금장치부(107)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화살표(1,2)로 나타낸 이격거리(D)는 도어 이격거리 산출부(106) 구성의 일 실시예로서, 적외선 센서(106.1)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 바디로부터 도어까지의 이격거리(D)는 차량 바디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106.1)로부터 도어까지의 거리가 된다.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이격거리(D)가 기 설정해 놓은 기준값보다 큰 경우(도 7(a))에는 제2 잠금장치(100)의 잠금장치부(107)를 잠금해제시킴으로써(도 1 참조, S124) 사용자가 도어를 닫는 경우에도 잠금장치부(107)에 의해 걸림없이 원만히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 잠김해제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 4(b)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 있다.
그러나, 이격거리(D)가 기 설정해 놓은 기준값 이하인 경우(도 7(b)), 또는 도어가 닫혀있는 중에는, 충돌 위험 접근물체 감지시(도 1 참조, S111) 제2 잠금장치(100)의 잠금장치부(107)를 잠금상태로 놓아(도 1 참조, S112), 도어가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 잠김 구성의 일 실시예를 도 3(b)를 참조하여 전술한 바 있다.
1, 2: 도어 이격거리(D)
100: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제2 잠금장치)
101: 제어부
102: 차량 정지 감지부
103: 도어 열림 감지부
104: 접근물체 감지부
105: 충돌위험 감지부
106: 도어 이격거리 산출부
106.1: 적외선 센서
107: 잠금장치부
107.1: 서보모터케이스
107.2: 서보모터
107.3: 서보모터링크
107.4: 잠금부
107.5: 잠금케이스
107.6: 잠금링크 하부지지부
107.7: 잠금링크 상부지지부
107.8: 잠금링크
108: 경고신호 발생부

Claims (12)

  1.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하는 장치(이하 '제2 잠금장치'라 한다)가, 개문사고를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a) 차량 정지를 감지하는 단계(S101);
    (b) 차량 정지시, 도어가 열렸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102);
    (c) 도어가 닫힌 경우 단계(d1) 내지 단계(d2)를 수행하고, 도어가 열린 경우 단계(e1) 내지 단계(e2)를 수행하는 단계;
    (d1) 차량 전방 또는 후방에 충돌위험이 있는 접근 물체가 있는지 파악하는 단계(S111);
    (d2) 충돌위험이 있는 접근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 경우, 잠금장치부(107)를 잠금상태로 제어하는 단계(S112);
    (e1) 도어의 열린상태에 따른 위치에 따라 도어가 차량 바디로부터 떨어진 거리(이하 '이격거리'라 한다)를 감지하는 단계(S121); 및
    (e2) 상기 이격거리에 따른 잠금해제조건이 충족된 경우, 사용자가 접근물체를 감지하여 도어를 닫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잠금장치부(107)를 잠금해제상태로 제어하고(S124), 잠금해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자동으로 잠금장치부(107)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단계(d1) 내지 단계(d2)를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해제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는,
    상기 이격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이고,
    상기 잠금해제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이격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이며,
    상기 기준값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경 설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d2) 수행 이후,
    (d3) 접근 물체의 충돌 위험 소멸시, 잠금장치부(107)를 잠금해제상태로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d1)에서,
    물체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떨어진 거리(이하 '물체거리'라 한다) 및, 그 물체가 차량으로 접근하는 속도(이하 '접근속도'라 한다)를 감지하여, 상기 물체거리 및 접근속도 값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개문시 접근 물체가 충돌위험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d4) 전방 또는 후방에 충돌위험 물체가 접근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방법.
  7.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를 방지하는 장치(100)로서,
    운행중인 차량이 정지하였는지를 감지하는 차량 정지 감지부(102);
    정지한 차량의 도어가 열렸는지를 감지하는 도어 열림 감지부(103);
    정지한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물체가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접근물체 감지부(104);
    물체가 감지된 경우, 차량 도어를 열 경우에 해당 물체가 도어와 충돌 위험이 있는지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충돌위험 감지부(105);
    도어가 열려 있는 경우, 열린 도어가 차량 바디로부터 떨어진 이격거리를 산출하는 도어 이격거리 산출부(106);
    접근 물체와 도어와의 개문사고 방지를 위해 기존 차량의 잠금장치와는 별도로 도어를 이중으로 잠그는 기능을 수행하는 잠금장치부(107); 및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의 상기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여 차량 개문사고 방지 방법의 수행과 관련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며, 잠금조건 또는 잠금해제조건의 충족시 잠금상태로의 제어 또는 잠금해제상태로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01)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이격거리에 따른 잠금해제조건이 충족된 경우, 사용자가 접근물체를 감지하여 도어를 닫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잠금장치부(107)를 잠금해제상태로 제어하고, 잠금해제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경우 충돌위험이 있는 접근 물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면 잠금장치부(107)를 잠금상태로 제어하며,
    상기 산출된 이격거리에 따라 잠금해제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
    상기 잠금해제조건이 충족되는 경우는,
    상기 이격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값보다 큰 경우이고,
    상기 잠금해제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이격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이며,
    상기 기준값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변경 설정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1)는,
    잠금상태로의 제어 후, 접근 물체의 충돌 위험 소멸시, 잠금장치부(107)를 잠금해제상태로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충돌위험 감지부(105)는,
    물체가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 떨어진 거리(이하 '물체거리'라 한다) 및, 그 물체가 차량으로 접근하는 속도(이하 '접근속도'라 한다)를 감지하여, 상기 물체거리 및 접근속도 값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개문시 접근 물체가 충돌위험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수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전방 또는 후방에 충돌위험 물체가 접근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경고신호 발생부(108)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
KR1020170037822A 2017-03-24 2017-03-24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05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822A KR102005432B1 (ko) 2017-03-24 2017-03-24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822A KR102005432B1 (ko) 2017-03-24 2017-03-24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004A KR20180109004A (ko) 2018-10-05
KR102005432B1 true KR102005432B1 (ko) 2019-10-02

Family

ID=6387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822A KR102005432B1 (ko) 2017-03-24 2017-03-24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4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92757B (zh) * 2022-02-28 2023-04-14 南京工业大学 一种基于距离感应控制的继电器式汽车中央门锁控制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2583A (ko) * 1996-06-21 1998-03-30 배순훈 자동차 도어 자동 로크 장치 및 그 방법
KR20040098387A (ko) * 2003-05-14 2004-11-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도어 개방 경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941820B1 (ko) * 2004-12-02 2010-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도어용 이중 잠금 구조
KR20100012946U (ko) * 2009-06-22 2010-12-30 박종필 차량의 도어잠금 확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004A (ko) 2018-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863048B (zh) 车门装置
CN109335907B (zh) 电梯异常的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EP3187450B1 (en) Elevator hoistway access safety
WO2017119444A1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20120059153A (ko) Isg 기반 차량의 엔진 재시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6437304B (zh) 安全系统
CN101920898B (zh) 电梯门装置
CN112771240A (zh) 用于运行机动车的电动的盖板装置的方法
KR102005432B1 (ko) 이중 잠금에 의한 차량 개문사고 방지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45609A (ko) 능동형 도어락 시스템
JP2018144686A5 (ko)
KR101871862B1 (ko) 철도 차량의 도어 모니터링 장치 및 도어 모니터링 방법
KR102182900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070089407A (ko) 차량 도어 오픈 시 측면 충돌 방지 장치
KR20180066399A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방법
CN106043225A (zh) 用于车辆的智能钥匙安全系统和警报车辆安全问题的方法
JP4483925B2 (ja) 衝突判定装置、及び乗員保護装置
JP2008214908A (ja) 車両用ドアの開扉安全装置
JP3815331B2 (ja) 車両の開閉体制御装置
JP7414511B2 (ja) 安全扉装置および安全扉のロック方法
KR20120050290A (ko) 차량용 도어 손상 방지장치 및 그 방지방법
JP2018203384A (ja) 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および方法
JP6086377B2 (ja) 車両用ドア制御装置
KR102634966B1 (ko) 차량 도어 제어 장치 및 방법
CN111251845A (zh) 用于防止相对滑动门与车轮之间干扰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