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242B1 -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 Google Patents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5242B1
KR102005242B1 KR1020190014263A KR20190014263A KR102005242B1 KR 102005242 B1 KR102005242 B1 KR 102005242B1 KR 1020190014263 A KR1020190014263 A KR 1020190014263A KR 20190014263 A KR20190014263 A KR 20190014263A KR 102005242 B1 KR102005242 B1 KR 102005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raw material
container
disposed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군모
이종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팩
Priority to KR1020190014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5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5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5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6Refill sticks; Moulding devices for producing sticks

Landscapes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용해된 원료를 용기 내에서 고형화하여 스틱형 화장품을 제조함에 있어 용기에 용해된 원료를 충진하는 충진 장치에 있어서, 원료가 수납되어 가열에 의해 용해된 액상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급하는 원료공급부; 상기 용기가 복수로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내부에 용해된 원료를 충진하는 수납이동부;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공급된 원료를 상기 용기에 충진흔적이 남겨진 상태로 일차적으로 충진하는 제1 충진부; 상기 제1 충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공급된 원료를 상기 용기에 충진흔적을 제거하면서 이차적으로 충진하는 제2 충진부; 상기 제2 충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동되는 상기 용기를 간접적으로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원료공급부의 온도를 감지하면서 상기 수납이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제2 충진부에서 원료를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Filling Device of Stick Type Cosmetics}
본 발명은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해된 액상의 원료가 용기 내에서 고형화되어 제조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에 용해된 액상의 원료를 충진하는 충진 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용해된 원료 충진 시 고형화로 인해 발생되는 충진 흔적을 제거하면서 간접 냉각 방식으로 냉각함에 따라 고형화에 따른 경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강도가 저하되는 것ㅇ르 방지하여 스틱형 화장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인체의 청결과 미화를 개선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와 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사용되는 다양한 재제를 말한다.
통상적인 화장품은 피부의 흡입되거나 발라지는 액상, 겔상, 분말 등의 다양한 물성을 가지는 제재가 사용되고 있으나, 최근에는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도록 고형화된 스틱형의 화장품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런, 스틱형 화장품은 가열에 의해 원료를 액화한 상태에서 용기에 주입한 후에 용기 내에서 일정 시간이 지나면 고형화되면서 스틱형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액화된 원료를 용기에 충진 시 시간을 지체하게 되면 고형화되고, 충진 속도를 증대시키면 공기가 섞이면서 기포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스틱형 화장품을 충진하는 장치는 용기 내에서 완전히 충전되는 중에 고형화를 방지하면서 기포 발생을 최소화하는 속도와 충진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여야 함에 따라 충진속도와 충진량을 조절하기 어려웠다.
이에, 생산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주입압력와 속도를 높이게 되면 주입되는 부분이 함몰되면서 고형화는 충진흔적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이를 제거하기 위한 이차적인 작업이 수반되거나, 흔적이 남은 상태로 생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 기술의 스틱형 화장품은 용기에 충진한 후에 냉각에 의해 고형화 시에 냉기를 직접 분사하여 냉각하면 외피가 먼저 고형화되고 내부가 고형화가 되어 고형화 속도가 달라 내외의 경도차이에 의해 작은 외부 충격에서도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의 스틱형 화장품은 원료 공급 후 냉각 시 냉기를 균일하게 배분되지 못하고 냉기 공급의 편차가 발생하게 되면 냉각 속도 차에 의해 경도의 차가 발생하게 되어 경도가 높은 곳은 딱딱하고, 낮은 곳은 물러져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해된 액상의 원료가 용기 내에서 고형화되어 제조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에 용해된 액상의 원료를 이차로 나누어 충진을 실시함에 따라 고형화로 인해 발생되는 충진 흔적을 제거하고, 충진 후 용기를 간접 냉각 방식으로 냉각함에 따라 고형화에 따른 경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틱형 화장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는 용해된 원료를 용기 내에서 고형화하여 스틱형 화장품을 제조함에 있어 용기에 용해된 원료를 충진하는 충진 장치에 있어서, 원료가 수납되어 가열에 의해 용해된 액상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급하는 원료공급부; 상기 용기가 복수로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내부에 용해된 원료를 충진하는 수납이동부;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공급된 원료를 상기 용기에 충진흔적이 남겨진 상태로 일차적으로 충진하는 제1 충진부; 상기 제1 충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공급된 원료를 상기 용기에 충진흔적을 제거하면서 이차적으로 충진하는 제2 충진부; 상기 제2 충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동되는 상기 용기를 간접적으로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원료공급부의 온도를 감지하면서 상기 수납이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제2 충진부에서 원료를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료공급부는, 원료가 공급되어 내부에서 가열에 의해 용해된 상태로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제2 충진부로 공급되는 원료탱크; 상기 원료탱크의 바깥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료탱크 내에 수납된 원료를 용해하도록 가열하는 원료가열체; 상기 원료탱크와 상기 제1 충진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원료탱크에서 용해된 원료를 공급하는 제1 원료공급관; 및 상기 원료탱크와 상기 제2 충진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원료탱크에서 용해된 원료를 공급하는 제2 원료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이동부는, 상기 용기가 내부에 수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용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몸체; 상기 수납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제2 충진부 위치에서 상기 용기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하부를 지지하는 수납플레이트; 상기 원료공급부의 일측으로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제2 충진부를 가로지른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몸체가 올려진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이동컨베이어; 상기 이동컨베이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충진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몸체가 도달하면 상기 수납플레이트를 상하로 작동시키도록 구비된 제1 상승실린더; 및 상기 이동컨베이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충진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몸체가 도달하면 상기 수납플레이트를 상하로 작동시키도록 구비된 제2 상승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충진부는,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공급된 원료를 가열하여 용해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급하는 제1 충진탱크; 상기 제1 충진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가열에 의해 용해된 원료를 교반하도록 회전되는 프로펠러 형상으로 구비된 제1 교반체; 상기 제1 충진탱크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교반체와 제1 교반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교반체의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교반모터; 및 상기 제1 충진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에 상기 제1 충진탱크와 제1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제1 주입노즐로 용해된 원료를 상기 용기에 일차적으로 완충량보다 작게 설정된 주입량으로 충진하도록 설치된 제1 주입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 충진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용해된 원료가 수납되어 교반되는 제1 충진공간과 바깥쪽에 가열되는 제1 가열공간으로 구획하는 이중벽 구조로 구비된 제1 충진내벽체; 및 상기 제1 충진탱크의 일측에서 내부방향으로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열공간의 내부에 충진된 제1 열전달물질을 가열하여 상기 제1 충진내벽체를 간접 가열시키는 제1 가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주입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공급관으로 공급된 원료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용기에 일차적으로 완충량보다 작게 설정된 주입량으로 충진하도록 주입압력을 제공하는 제1 주입실린더; 및 상기 제1 주입실린더와 상기 제1 주입노즐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주입실린더에서 가압된 원료를 복수의 상기 제1 주입노즐로 분기되어 각각 분할 공급하는 제1 주입분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충진부는,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공급된 원료를 가열하여 용해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급하는 제2 충진탱크; 상기 제2 충진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가열에 의해 용해된 원료를 교반하도록 회전되는 프로펠러 형상으로 구비된 제2 교반체; 상기 제2 충진탱크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교반체와 제2 교반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교반체의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교반모터; 및 상기 제2 충진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에 상기 제2 충진탱크와 제2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제2 주입노즐로 용해된 원료를 일차적으로 충진된 상기 용기에 이차적으로 완충되는 주입량으로 충진하도록 설치된 제2 주입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 충진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용해된 원료가 수납되어 교반되는 제2 충진공간과 바깥쪽에 가열되는 제2 가열공간으로 구획하는 이중벽 구조로 구비된 제2 충진내벽체; 및 상기 제2 충진탱크의 일측에서 내부방향으로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가열공간의 내부에 충진된 제2 열전달물질을 가열하여 상기 제2 충진내벽체를 간접 가열시키는 제2 가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 주입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공급관으로 공급된 원료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상기 용기에 일차 충진량을 고려하여 완충되는 주입량으로 충진하도록 주입압력을 제공하는 제2 주입실린더; 및 상기 제2 주입실린더와 상기 제2 주입노즐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주입실린더에서 가압된 원료를 복수의 상기 제2 주입노즐로 분기되어 각각 분할 공급하는 제2 주입분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제2 충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이동부에 수납되어 이동되는 상기 용기로 냉각하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발생체; 상기 냉기발생체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기발생체에서 발생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관; 상기 냉기발생체의 일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를 냉각한 후에 배출되는 냉기를 회수하는 냉기회수관; 상기 냉기발생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기공급관과 상기 냉기회수관이 각각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수납이동부로 이동되는 상기 용기가 통과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냉각공간을 가지는 냉각몸체; 상기 냉각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이동부로 이동되는 상기 용기의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양측으로 냉기가 복수 위치에 유통되는 냉기유통공기 형성되어 간접적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차단벽; 및 상기 냉기차단벽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냉기차단벽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기 용기가 수납되어 있는 부분을 가이드하도록 돌출된 냉각가이드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료공급부, 상기 제1 충진부, 및 상기 제2 충진부에 원료 상태에 따라 가열되는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수납이동부로 상기 용기가 주입되는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제2 충진부에서 충진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충진제어체; 상기 원료공급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용해되는 원료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충진제어체로 송신하는 원료온도감지체; 상기 수납이동부의 구동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충진제어체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제2 충진부 위치에서 정지하고, 원료의 종류와 용해도에 따라 상기 용기를 이동하는 속도를 제어하는 이동제어체; 상기 제1 충진부의 원료가 주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충진부에 원료의 온도를 상기 충진제어체에 송신하고, 상기 충진제어체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용기에 충진하는 충진량과 속도를 압력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된 제1 충진제어부; 및 상기 제2 충진부의 원료가 주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충진부에 원료의 온도를 상기 충진제어체에 송신하고, 상기 충진제어체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용기에 충진하는 충진량과 속도를 압력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된 제2 충진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충진제어부는, 상기 제1 충진부의 원료가 주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료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충진제어체로 송신하는 제1 충진온도감지체; 및 상기 제1 충진부의 원료가 주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료의 용해도와 종류에 따라서 주입되는 속도와 주입량을 고려하여 완충되는 충진량보다 작은 주입량으로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제1 공급제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2 충진제어부는, 상기 제2 충진부의 원료가 주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료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충진제어체로 송신하는 제2 충진온도감지체; 및 상기 제2 충진부의 원료가 주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차로 주입된 충진한 후에 충진흔적을 제거하면서 완충되는 나머지 주입량을 상기 제2 충진부로 이차로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제2 공급제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기 용기가 이동하는 부분에 상기 제1 충진부의 하부 위치로 배치되어 상기 용기가 도달하면 신호를 상기 충진제어체로 발신하는 제1 위치감지체;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기 용기를 상승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가 상기 제1 충진부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충진제어체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용기를 상승하도록 제어하는 제1 상승제어체;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기 용기가 이동하는 부분에 상기 제2 충진부의 하부 위치로 배치되어 상기 용기가 상기 제2 충진부의 충진 위치로 도달하면 상기 충진제어체에 신호를 발신하여 충진 작업이 진행하는 제2 위치감지체; 및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기 용기를 상승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가 상기 제2 충진부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충진제어체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용기를 승하도록 제어하는 제2 상승제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는 용해된 액상의 원료가 용기 내에서 고형화되어 제조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에 용해된 액상의 원료를 이차로 나누어 충진을 실시함에 따라 고형화로 인해 발생되는 충진 흔적을 제거하고, 충진 후 용기를 간접 냉각 방식으로 냉각함에 따라 고형화에 따른 경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스틱형 화장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를 나태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의 충진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의 주요 구성인 제1 충진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의 주요 구성인 제2 충진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의 주요 구성인 냉각부의 냉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의 주요 구성인 냉각부의 냉기가 배출되어 회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주요 구성인 제어부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부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를 나태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의 충진 과정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의 주요 구성인 제1 충진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의 주요 구성인 제2 충진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6은 도 1의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의 주요 구성인 냉각부의 냉기가 유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며, 도 7은 도 1의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의 주요 구성인 냉각부의 냉기가 배출되어 회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주요 구성인 제어부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100)는 용해된 원료를 이차에 걸쳐서 충진하여 충진 흔적을 제거하면서 일차로 충진하는 위치에 진공 상태를 유지하여 원료의 기포 발생을 최소화함에 따라 화장품의 품질을 개선하는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이다.
이런,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100)는 원료공급부(110), 수납이동부(120), 제1 충진부(130), 제2 충진부(140), 냉각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원료공급부(110)는 원료가 수납되어 가열에 의해 용해된 액상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원료공급부(110)는 원료탱크(111), 원료가열체(112), 제1 원료공급관(113), 및 제2 원료공급관(114)을 포함한다.
원료탱크(111)는 원료가 공급되어 내부에서 가열에 의해 용해된 상태로 제1 충진부(130)와 제2 충진부(140)로 공급되도록 구비된다.
원료가열체(112)는 원료탱크(111)의 바깥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료탱크(111) 내에 수납된 원료를 용해하도록 가열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원료탱크(111)는 제어부(160)에서 원료탱크(111) 내에 온도를 감지하면서 원료가열체(112)를 작동시켜 용해된 원료의 온도를 유지하여 용해된 액상의 원료를 제1 충진부(130)와 제2 충진부(140)에 각각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제1 원료공급관(113)은 원료탱크(111)와 제1 충진부(130)를 연결하고 있으며, 원료탱크에서 용해된 원료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제2 원료공급관(114)은 원료탱크(111)와 제2 충진부(140)를 연결하고 있으며, 원료탱크(111)에서 용해된 원료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수납이동부(120)는 용기(10)가 복수로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내부에 용해된 원료를 충진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수납이동부(120)는 수납몸체(121), 수납플레이트(123), 이동컨베이어(124), 제1 상승실린더(125), 및 제2 상승실린더(126)를 포함한다.
수납몸체(121)는 용기(10)가 내부에 수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어 용기(10)가 수납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수납공간(122)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수납플레이트(123)는 수납몸체(1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수납되는 용기의 하부를 지지하여 제1 충진부(130)와 제2 충진부(140) 위치 도달 시 용기(10)를 충진 위치인 상부로 이동시키고, 충진 후에 하부로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즉, 수납플레이트(123)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수납몸체(121)가 제1 충진부(130)와 제2 충진부(140) 하부에 위치하면 용기(10)를 충진위치인 상부로 이동시키도록 작동되고, 충진 후에 하강하여 다시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이동컨베이어(124)는 원료탱크(111)의 일측으로 제1 충진부(130)와 제2 충진부(140)를 가로지른 하부에 위치하여 수납몸체(121)가 올려진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제1 상승실린더(125)는 이동컨베이어(124)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충진부(1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수납몸체(121)가 도달하면 수납플레이트(123)를 상하로 작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제2 상승실린더(126)는 이동컨베이어(124)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충진부(140)의 하부에 위치하여 수납몸체(121)가 도달하면 수납플레이트(123)를 상하로 작동시키도록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플레이트(123)에 복수의 용기(10)를 수납한 상태에서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이동컨베이어(124)의 작동으로 제1 충진부(130) 하부에 위치하면 정지한 상태에서 제1 상승실린더(125)의 작동에 의해 수납플레이트(123)가 상승하면서 용기(10)가 충진 위치로 이동된다. 충진위치에 이동된 용기(10)에 제1 충진부(130)에서 일차적으로 충진한 후에 원위치로 하강하여 제2 충진부(140) 위치로 이동한다.
제2 충진부(140) 위치로 이동하면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제2 상승실린더(126)의 작동에 의해 수납플레이트(123)가 상승하여 이차로 충진한 후에 다시 하강하여 충진을 마친다.
제1 충진부(130)는 수납이동부(120)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료공급부(110)에서 공급된 원료를 용기에 충진 흔적이 남겨진 상태로 일차적으로 충진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제1 충진부(130)는 제1 충진탱크(131), 제1 충진내벽체(131a), 제1 가열체(133), 제1 교반체(134), 제1 교반모터(136), 및 제1 주입몸체(138)를 포함한다.
제1 충진탱크(131)는 이동컨베이어(124)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료탱크(111)에서 제1 원료공급관(113)으로 공급된 원료를 가열하여 용해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제1 충진내벽체(131a)는 제1 충진탱크(1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용해된 원료가 수납되어 교반되는 제1 충진공간(131b)과 바깥쪽에 가열되는 제1 가열공간(131c)으로 구획하는 이중벽 구조로 구비된다.
즉, 제1 충진탱크(131)는 내부에 제1 충진내벽체(131a)를 설치한 이중벽 구조로 구비되어 구획된 안쪽으로 제1 충진공간(131b)을 가지고, 바깥쪽에 제1 가열공간(131c)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제1 가열체(133)는 제1 충진탱크(131)의 일측에서 내부방향으로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가열공간(131c)의 내부에 충진된 제1 열전달물질(132)을 가열하여 제1 충진내벽체(131a)를 간접 가열시키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제1 열전달물질(132)은 제1 가열체(133)로 가열되어 전체적으로 가열되는 매체는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교반체(134)는 제1 충진탱크(131)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가열에 의해 용해된 원료를 교반하도록 회전되는 프로펠러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1 교반모터(136)는 제1 충진탱크(13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교반체(134)와 제1 교반축(135)으로 연결되어 제1 교반체(134)의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즉, 제1 교반체(134)는 제1 충진공간(131b)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1 교반축(135)과 연결된 제1 교반모터(136)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 용해된 원료가 상호 교반되면서 지속적으로 제1 가열체(133)로 가열되는 제1 충진내벽체(131a)와 접촉하여 고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주입몸체(138)는 제1 충진탱크(13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동컨베이어(124)의 상부에 제1 충진탱크(131)와 제1 공급관(137)으로 연결되어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제1 주입노즐(139)로 용해된 원료를 용기에 일차적으로 완충량보다 작게 설정된 주입량으로 충진하도록 설치된다.
이런, 제1 주입몸체(138)는 제1 주입실린더(138a), 및 제1 주입분기관(138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입실린더(138a)는 제1 주입몸체(138)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공급관(137)으로 공급된 원료를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용기에 일차적으로 완충량보다 작게 설정된 주입량으로 충진하도록 주입압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제1 주입분기관(138b)은 제1 주입실린더(138a)와 제1 주입노즐(139)을 연결하고 있으며, 제1 주입실린더(138a)에서 가압된 원료를 복수의 제1 주입노즐(139)로 분기되어 각각 분할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제2 충진부(140)는 제1 충진부(1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이동부(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원료공급부(110)에서 공급된 원료를 용기(10)에 충진흔적을 제거하면서 이차적으로 충진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제2 충진부(140)는 제2 충진탱크(141), 제2 충진내벽체(141a), 제2 가열체(143), 제2 교반체(144), 제2 교반모터(146), 및 제2 주입몸체(148)를 포함한다.
제2 충진탱크(141)는 이동컨베이어(124)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료탱크(111)에서 제2 원료공급관(114)으로 공급된 원료를 가열하여 용해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제2 충진내벽체(141a)는 제2 충진탱크(14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용해된 원료가 수납되어 교반되는 제2 충진공간(141b)과 바깥쪽에 가열되는 제2 가열공간(141c)으로 구획하는 이중벽 구조로 구비된다.
즉, 제2 충진탱크(141)는 내부에 제2 충진내벽체(141a)를 설치한 이중벽 구조로 구비되어 구획된 안쪽으로 제2 충진공간(141b)을 가지고, 바깥쪽에 제2 가열공간(141c)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제2 가열체(143)는 제2 충진탱크(141)의 일측에서 내부방향으로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가열공간(141c)의 내부에 충진된 제2 열전달물질(142)을 가열하여 제2 충진내벽체(141a)를 간접 가열시키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제2 열전달물질(142)은 제2 가열체(143)로 가열되어 전체적으로 가열되는 매체는 모두 포함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오일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교반체(144)는 제2 충진탱크(141)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가열에 의해 용해된 원료를 교반하도록 회전되는 프로펠러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2 교반모터(146)는 제2 충진탱크(14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교반체(144)와 제2 교반축(145)으로 연결되어 제2 교반체(144)의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즉, 제2 교반체(144)는 제2 충진공간(141b)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2 교반축(145)과 연결된 제2 교반모터(146)의 작동에 의해 회전되면 용해된 원료가 상호 교반되면서 지속적으로 제2 가열체(143)로 가열되는 제2 충진내벽체(141a)와 접촉하여 고형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주입몸체(148)는 제2 충진탱크(14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동컨베이어의 상부에 제2 충진탱크(141)와 제2 공급관(147)으로 연결되어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제2 주입노즐(149)로 용해된 원료를 용기에 일차적으로 완충량보다 작게 설정된 주입량으로 충진하도록 설치된다.
이런, 제2 주입몸체(148)는 제2 주입실린더(148a), 및 제2 주입분기관(148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주입실린더(148a)는 제2 주입몸체(148)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공급관(147)으로 공급된 원료를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용기에 일차적으로 충진량에서 완충량과 비교하여 남은 주입량을 주입하여 완충되면서 충진흔적을 제거하는 주입압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제2 주입분기관(148b)은 제2 주입실린더(148a)와 상기 제2 주입노즐(149)을 연결하고 있으며, 제2 주입실린더(148a)에서 가압된 원료를 복수의 제2 주입노즐(149)로 분기되어 각각 분할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냉각부(150)는 제2 충진부(14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수납이동부(120)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동되는 용기의 냉기를 간접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공급하여 냉각을 실시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냉각부(150)는 냉기발생체(151), 냉기공급관(152), 냉기회수관(153), 냉각몸체(154), 냉기차단벽(156), 및 냉각가이드체(158)를 포함한다.
냉기발생체(151)는 제2 충진탱크(141)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동컨베이어(124)의 상부에 위치하여 수납몸체(121)에 수납되어 이동되는 용기로 냉각하는 냉기를 발생시키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냉기발생체(151)는 복수의 팬을 구비하여 외기를 유입하는 공랭식, 냉매를 이용하여 공기를 차갑게 냉각하는 수랭식 등 다양한 형태의 냉각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냉기공급관(152)은 냉기발생체(151)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냉기발생체(151)에서 발생된 냉기를 냉각몸체(154)로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관형태로 구비된다.
냉기회수관(153)은 냉기발생체(151)의 일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냉각몸체(154)의 내부에 용기가 이동컨베이어(124) 상에서 이동하면서 냉각한 후에 배출되는 냉기를 냉기발생체(151)로 다시 회수하는 관 형태로 구비된다.
냉각몸체(154)는 냉기발생체(15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냉기공급관(152)과 냉기회수관(153)이 각각 연결되어 내부에 이동컨베이어(124) 상에서 수납몸체(121)에 수납된 상태로 이동되는 용기가 통과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냉각공간(155)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냉기차단벽(156)은 냉각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동컨베이어(124) 상에서 수납몸체(121)에 수납된 상태로 이동되는 용기의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냉기공급관(152)에 공급되는 냉기가 직접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양측면에 냉기가 유통되어 간접적으로 내부를 통과하는 용기를 냉각하는 냉기유통공(157)이 형성된다.
즉, 냉기차단벽(156)은 냉각공간(155)의 내부에 이동컨베이어 상에서 수납몸체(121)가 이동 가능하도록 일측과 타측이 개방되고, 상부와 양측면이 폐쇄된 상태에서 일측에 위치한 냉기공급관(152)으로 공급되는 냉기가 일차로 차단된 상태에서 양측에 위치한 냉기유통공(157)을 통해서 냉기가 유입되어 통과하는 용기를 냉각한다.
이렇게, 용기를 냉각한 냉기는 타측으로 이동하여 타측에 위치한 냉기유통공(157)을 통해서 냉각공간으로 배출되어 냉기회수관(153)을 통해서 회수된다.
냉각가이드체(158)는 냉기차단벽(156)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냉기차단벽(156) 내부를 통과하는 이동컨베이어(124) 상에서 이동되는 용기가 수납된 수납몸체(121)를 가이드하도록 돌출 구비된다.
즉, 냉각가이드체(158)는 냉기차단벽(156)의 내부에 양측에서 중앙으로 각각 돌출되어 용기가 수납된 수납몸체(121)가 이동 시 접촉되면서 냉각되는 위치를 유지하여 냉각 효과를 향상시키도록 구비된다.
제어부(160)는 원료공급부(110)의 온도를 감지하면서 수납이동부(120)를 작동시켜 제1 충진부(130)와 제2 충진부(140)에서 원료를 충진하도록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제어부(160)는 충진제어체(161), 원료온도감지체(162), 이동제어체(163), 제1 충진제어부(164), 제2 충진제어부(165), 제1 위치감지체(166), 제1 상승제어체(167), 제2 위치감지체(168), 및 제2 상승제어체(169)를 포함한다.
충진제어체(161)는 원료탱크(111), 제1 충진탱크(131), 및 제2 충진탱크(141)에 원료 상태를 온도값으로 감지하면서 원료가열체(112), 제1 가열체(133), 및 제2 가열체(143)를 작동시켜 용해 상태를 유지하도록 온도를 제어한다.
또한, 충진제어체(161)는 이동컨베이어(124)를 제어하여 용기(10)가 수납된 수납몸체(121)를 이동시키면서 제1 주입노즐(139) 위치에서 제1 상승실린더(125)를 작동하여 주입 위치로 상 하강되면서 일차로 주입하고, 제2 주입노즐(149) 위치에서 제2 상승실린더(126)를 작동하여 주입위치로 상 하강되면서 이차로 주입하는 과정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충진제어체(161)는 원료의 용해도, 주입량과 종류에 따라 제1 주입실린더(138a)와 제2 주입실린더(148a)에 용기에 주입되는 주입압력을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원료온도감지체(162)는 원료탱크(111)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료탱크(111)에서 용해되는 원료의 온도를 감지하여 충진제어체(161)로 송신하도록 구비된다.
이동제어체(163)는 이동컨베이어(124)에 연결되어 있으며, 충진제어체(161)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제1 주입노즐(139) 위치와 제2 주입노즐(149) 위치에서 정지하고, 원료의 종류와 용해도에 따라 상기 용기를 이동하는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제1 충진제어부(164)는 제1 주입몸체(138)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주입몸체(138)로 주입되는 원료의 온도를 충진제어체(161)에 송신하고, 충진제어체(161)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제1 주입실린더(138a)를 통해서 용기에 충진하는 충진량과 속도를 압력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제1 충진제어부(164)는 제1 충진온도감지체(164a), 및 제1 공급제어체(164b)를 포함한다.
제1 충진온도감지체(164a)는 제1 주입몸체(138)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료의 온도를 감지하여 충진제어체(161)로 송신하도록 구비된다.
제1 공급제어체(164b)는 제1 주입실린더(138a)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료의 용해도와 종류에 따라서 주입되는 속도와 주입량을 고려하여 완충되는 충진량보다 작은 주입량으로 충진하도록 제어한다.
즉, 충진제어체(161)는 제1 충진탱크(131)에 연결되어 완충량보다 작은 주입량으로 원료의 고형화를 방지하면 주입하는 압력과 주입량이 되는 제어신호를 제1 공급제어체(164b)를 통해서 제1 주입실린더(138a)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제2 충진제어부(165)는 제2 주입몸체(148)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주입몸체(148)로 주입되는 원료의 온도를 충진제어체(161)에 송신하고, 충진제어체(161)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제2 주입실린더(148a)를 통해서 용기에 충진하는 충진량과 속도를 압력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제2 충진제어부(165)는 제2 충진온도감지체(165a), 및 제2 공급제어체(165b)를 포함한다.
제2 충진온도감지체(165a)는 제2 주입몸체(148) 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료의 온도를 감지하여 충진제어체(161)로 송신하도록 구비된다.
제2 공급제어체(165b)는 제2 주입실린더(148a)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료의 용해도와 종류에 따라서 주입되는 속도와 주입량을 고려하여 완충량에서 일차로 주입된 주입량을 뺀 나머지 주입량으로 충진하도록 제어한다.
즉, 충진제어체(161)는 제2 충진탱크(141)에 연결되어 제1 주입실린더(138a)에서 주입된 량을 고려하여 완충된 주입량이 되도록 나머지 주입량으로 원료의 고형화를 방지하면 주입하는 압력과 주입량이 되는 제어신호를 제2 공급제어체(165b)를 통해서 제2 주입실린더를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예를 들어, 용기에 일차 원료 주입 시 90%로 설정되면 고형화를 방지하면서 주입량과 주입속도를 제1 주입실린더(138a)의 작동에 따라 공급하게 되면 충진흔적이 남은 상태로 충진된다. 일차로 충진된 용기는 제2 주입실린더(148a)에서 나머지 10%가 충진되면서 충진흔적이 제거된다.
제1 위치감지체(166)는 이동컨베이어의 제1 주입노즐(139)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어 수납몸체가 제1 주입노즐(139)의 충진 위치로 도달하면 충진제어체(161)에 신호를 발신하여 충진 작업이 진행하도록 구비된다.
즉, 제1 위치감지체(166)는 수납몸체(121)가 이동컨베이어(124)의 구동에 의해 제1 주입노즐(139)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충진제어체(161)가 이동제어체(163)를 제어하여 정지하고, 원료의 충진을 마치고 원위치하면 다시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제1 상승제어체(167)는 제1 상승실린더(125)에 배치되어 있으며, 용기가 제1 주입노즐(139) 위치에 도달하면 정지된 상태에서 충진제어체(161)의 제어 신호에 따라 용기를 충진위치인 상부까지 상승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1 상승제어체(167)는 충진제어체(161)의 제어에 의해 제1 상승실린더(125)가 상승하면 수납플레이트(123)가 용기와 함께 상승하고, 주입을 마치면 하강되도록 구비된다.
제2 위치감지체(168)는 이동컨베이어(124)의 제2 주입노즐(149)의 하부 위치에 배치되어 수납몸체(121)가 제2 주입노즐(149)의 충진 위치로 도달하면 충진제어체(161)에 신호를 발신하여 충진 작업이 진행하도록 구비된다.
즉, 제2 위치감지체(168)는 수납몸체(121)가 이동컨베이어의 구동에 의해 제2 주입노즐(149)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감지하는 것으로, 충진제어체(161)가 이동제어체(163)를 제어하여 정지하고, 원료의 충진을 마치고 원위치하면 다시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제2 상승제어체(169)는 제2 상승실린더(126)에 배치되어 있으며, 용기(10)가 제2 주입노즐(149) 위치에 도달하면 정지된 상태에서 충진제어체(161)의 제어 신호에 따라 용기를 충진위치인 상부까지 상승하도록 제어한다.
즉, 제2 상승제어체(169)는 충진제어체(161)의 제어에 의해 제2 상승실린더(126)가 상승하면 수납플레이트(123)가 용기(10)와 함께 상승하고, 주입을 마치면 하강되도록 구비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충진 장치 110 : 원료공급부
111 : 원료탱크 112 : 원료가열체
113 : 제1 원료공급관 114 : 제2 원료공급관
120 : 수납이동부 121 : 수납몸체
122 : 수납공간 123 : 수납플레이트
124 : 이동컨베이어 125 : 제1 상승실린더
126 : 제2 상승실린더 130 : 제1 충진부
131 : 제1 충진탱크 131a : 제1 충진내벽체
131b : 제1 충진공간 131c : 제1 가열공간
132 : 제1 열전달물질 133 : 제1 가열체
134 : 제1 교반체 135 : 제1 교반축
136 : 제1 교반모터 137 : 제1 공급관
138 : 제1 주입몸체 138a : 제1 주입실린더
138b : 제1 주입분기관 139 : 제1 주입노즐
140 : 제2 충진부 141 : 제2 충진탱크
141a : 제2 충진내벽체 141b : 제2 충진공간
141c : 제2 가열공간 142 : 제2 열전달물질
143 : 제2 가열체 144 : 제2 교반체
145 : 제2 교반축 146 : 제2 교반모터
147 : 제2 공급관 148 : 제2 주입몸체
148a : 제2 주입실린더 148b : 제2 주입분기관
149 : 제2 주입노즐 150 : 냉각부
151 : 냉기발생체 152 : 냉기공급관
153 : 냉기회수관 154 : 냉각몸체
155: 냉각공간 156 : 냉기차단벽
157 : 냉기유통공 158 : 냉각가이드체
160 : 제어부 161 : 충진제어체
162 : 원료온도감지체 163 : 이동제어체
164 : 제1 충진제어부 164a : 제1 충진온도감지체
164b : 제1 공급제어체 165 : 제2 충진제어부
165a : 제2 충진온도감지체 165b : 제2 공급제어체
166 : 제1 위치감지체 167 : 제1 상승제어체
168 : 제2 위치감지체 169 : 제2 상승제어체

Claims (14)

  1. 용해된 원료를 용기 내에서 고형화하여 스틱형 화장품을 제조함에 있어 용기에 용해된 원료를 충진하는 충진 장치에 있어서,
    원료가 수납되어 가열에 의해 용해된 액상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급하는 원료공급부;
    상기 용기가 복수로 수납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내부에 용해된 원료를 충진하는 수납이동부;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공급된 원료를 상기 용기에 충진흔적이 남겨진 상태로 일차적으로 충진하는 제1 충진부;
    상기 제1 충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공급된 원료를 상기 용기에 충진흔적을 제거하면서 이차적으로 충진하는 제2 충진부;
    상기 제2 충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이동되는 상기 용기를 간접적으로 냉각하는 냉각부; 및
    상기 원료공급부의 온도를 감지하면서 상기 수납이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제2 충진부에서 원료를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부는,
    상기 제2 충진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이동부에 수납되어 이동되는 상기 용기로 냉각하는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기발생체;
    상기 냉기발생체의 타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기발생체에서 발생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공급관;
    상기 냉기발생체의 일측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를 냉각한 후에 배출되는 냉기를 회수하는 냉기회수관;
    상기 냉기발생체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냉기공급관과 상기 냉기회수관이 각각 연결되어 내부에 상기 수납이동부로 이동되는 상기 용기가 통과되도록 일측과 타측이 개방된 냉각공간을 가지는 냉각몸체;
    상기 냉각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이동부로 이동되는 상기 용기의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양측으로 냉기가 복수 위치에 유통되는 냉기유통공기 형성되어 간접적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차단벽; 및
    상기 냉기차단벽의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냉기차단벽 내부를 통과하는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기 용기가 수납되어 있는 부분을 가이드하도록 돌출된 냉각가이드체;를 포함하는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부는,
    원료가 공급되어 내부에서 가열에 의해 용해된 상태로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제2 충진부로 공급되는 원료탱크;
    상기 원료탱크의 바깥 둘레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료탱크 내에 수납된 원료를 용해하도록 가열하는 원료가열체;
    상기 원료탱크와 상기 제1 충진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원료탱크에서 용해된 원료를 공급하는 제1 원료공급관; 및
    상기 원료탱크와 상기 제2 충진부를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원료탱크에서 용해된 원료를 공급하는 제2 원료공급관;을 포함하는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이동부는,
    상기 용기가 내부에 수납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에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용기가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몸체;
    상기 수납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제2 충진부 위치에서 상기 용기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하부를 지지하는 수납플레이트;
    상기 원료공급부의 일측으로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제2 충진부를 가로지른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몸체가 올려진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이동컨베이어;
    상기 이동컨베이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충진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몸체가 도달하면 상기 수납플레이트를 상하로 작동시키도록 구비된 제1 상승실린더; 및
    상기 이동컨베이어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충진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수납몸체가 도달하면 상기 수납플레이트를 상하로 작동시키도록 구비된 제2 상승실린더;를 포함하는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진부는,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공급된 원료를 가열하여 용해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급하는 제1 충진탱크;
    상기 제1 충진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가열에 의해 용해된 원료를 교반하도록 회전되는 프로펠러 형상으로 구비된 제1 교반체;
    상기 제1 충진탱크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교반체와 제1 교반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교반체의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교반모터; 및
    상기 제1 충진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에 상기 제1 충진탱크와 제1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제1 주입노즐로 용해된 원료를 상기 용기에 일차적으로 완충량보다 작게 설정된 주입량으로 충진하도록 설치된 제1 주입몸체;를 포함하는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진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용해된 원료가 수납되어 교반되는 제1 충진공간과 바깥쪽에 가열되는 제1 가열공간으로 구획하는 이중벽 구조로 구비된 제1 충진내벽체; 및
    상기 제1 충진탱크의 일측에서 내부방향으로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열공간의 내부에 충진된 제1 열전달물질을 가열하여 상기 제1 충진내벽체를 간접 가열시키는 제1 가열체;를 더 포함하는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입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공급관으로 공급된 원료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용기에 일차적으로 완충량보다 작게 설정된 주입량으로 충진하도록 주입압력을 제공하는 제1 주입실린더; 및
    상기 제1 주입실린더와 상기 제1 주입노즐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제1 주입실린더에서 가압된 원료를 복수의 상기 제1 주입노즐로 분기되어 각각 분할 공급하는 제1 주입분기관;을 더 포함하는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진부는,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공급된 원료를 가열하여 용해 상태를 유지하면서 공급하는 제2 충진탱크;
    상기 제2 충진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가열에 의해 용해된 원료를 교반하도록 회전되는 프로펠러 형상으로 구비된 제2 교반체;
    상기 제2 충진탱크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교반체와 제2 교반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 교반체의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교반모터; 및
    상기 제2 충진탱크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부에 상기 제2 충진탱크와 제2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제2 주입노즐로 용해된 원료를 일차적으로 충진된 상기 용기에 이차적으로 완충되는 주입량으로 충진하도록 설치된 제2 주입몸체;를 포함하는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진탱크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안쪽에 용해된 원료가 수납되어 교반되는 제2 충진공간과 바깥쪽에 가열되는 제2 가열공간으로 구획하는 이중벽 구조로 구비된 제2 충진내벽체; 및
    상기 제2 충진탱크의 일측에서 내부방향으로 삽입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가열공간의 내부에 충진된 제2 열전달물질을 가열하여 상기 제2 충진내벽체를 간접 가열시키는 제2 가열체;를 더 포함하는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입몸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공급관으로 공급된 원료를 상기 제어부의 제어로 상기 용기에 일차 충진량을 고려하여 완충되는 주입량으로 충진하도록 주입압력을 제공하는 제2 주입실린더; 및
    상기 제2 주입실린더와 상기 제2 주입노즐을 연결하고 있으며, 상기 제2 주입실린더에서 가압된 원료를 복수의 상기 제2 주입노즐로 분기되어 각각 분할 공급하는 제2 주입분기관;을 더 포함하는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료공급부, 상기 제1 충진부, 및 상기 제2 충진부에 원료 상태에 따라 가열되는 온도를 제어하고, 상기 수납이동부로 상기 용기가 주입되는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제2 충진부에서 충진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비된 충진제어체;
    상기 원료공급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용해되는 원료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충진제어체로 송신하는 원료온도감지체;
    상기 수납이동부의 구동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충진제어체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충진부와 상기 제2 충진부 위치에서 정지하고, 원료의 종류와 용해도에 따라 상기 용기를 이동하는 속도를 제어하는 이동제어체;
    상기 제1 충진부의 원료가 주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충진부에 원료의 온도를 상기 충진제어체에 송신하고, 상기 충진제어체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용기에 충진하는 충진량과 속도를 압력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된 제1 충진제어부; 및
    상기 제2 충진부의 원료가 주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충진부에 원료의 온도를 상기 충진제어체에 송신하고, 상기 충진제어체와 연결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용기에 충진하는 충진량과 속도를 압력으로 제어하도록 구비된 제2 충진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충진제어부는,
    상기 제1 충진부의 원료가 주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료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충진제어체로 송신하는 제1 충진온도감지체; 및
    상기 제1 충진부의 원료가 주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료의 용해도와 종류에 따라서 주입되는 속도와 주입량을 고려하여 완충되는 충진량보다 작은 주입량으로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제1 공급제어체;를 포함하는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충진제어부는,
    상기 제2 충진부의 원료가 주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원료의 온도를 감지하여 상기 충진제어체로 송신하는 제2 충진온도감지체; 및
    상기 제2 충진부의 원료가 주입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일차로 주입된 충진한 후에 충진흔적을 제거하면서 완충되는 나머지 주입량을 상기 제2 충진부로 이차로 충진하도록 제어하는 제2 공급제어체;를 포함하는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기 용기가 이동하는 부분에 상기 제1 충진부의 하부 위치로 배치되어 상기 용기가 도달하면 신호를 상기 충진제어체로 발신하는 제1 위치감지체;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기 용기를 상승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가 상기 제1 충진부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충진제어체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용기를 상승하도록 제어하는 제1 상승제어체;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기 용기가 이동하는 부분에 상기 제2 충진부의 하부 위치로 배치되어 상기 용기가 상기 제2 충진부의 충진 위치로 도달하면 상기 충진제어체에 신호를 발신하여 충진 작업이 진행하는 제2 위치감지체; 및
    상기 수납이동부의 상기 용기를 상승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가 상기 제2 충진부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충진제어체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용기를 승하도록 제어하는 제2 상승제어체;를 포함하는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KR1020190014263A 2019-02-07 2019-02-07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KR102005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63A KR102005242B1 (ko) 2019-02-07 2019-02-07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63A KR102005242B1 (ko) 2019-02-07 2019-02-07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5242B1 true KR102005242B1 (ko) 2019-07-30

Family

ID=67473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263A KR102005242B1 (ko) 2019-02-07 2019-02-07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52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2179B1 (ko) * 1996-08-30 1999-03-30 홍기종 화장품 원료의 자동 주입장치
KR20100044940A (ko) * 2008-10-23 2010-05-03 (주)아모레퍼시픽 그라데이션 효과가 연출되게 한 립글로스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장치
KR20140037367A (ko) * 2012-09-17 2014-03-2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장벽 강화 화장품 제조장치 및 방법
KR20160115105A (ko) * 2015-03-26 2016-10-06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화장료 충진장치 및 그 충진방법
KR20170040612A (ko) * 2015-10-05 2017-04-13 (주)아모레퍼시픽 냉각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이송장치
KR101806194B1 (ko) * 2015-02-26 2017-12-07 윤혜정 비누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2179B1 (ko) * 1996-08-30 1999-03-30 홍기종 화장품 원료의 자동 주입장치
KR20100044940A (ko) * 2008-10-23 2010-05-03 (주)아모레퍼시픽 그라데이션 효과가 연출되게 한 립글로스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장치
KR20140037367A (ko) * 2012-09-17 2014-03-27 (주)아모레퍼시픽 피부장벽 강화 화장품 제조장치 및 방법
KR101806194B1 (ko) * 2015-02-26 2017-12-07 윤혜정 비누 제조장치
KR20160115105A (ko) * 2015-03-26 2016-10-06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화장료 충진장치 및 그 충진방법
KR20170040612A (ko) * 2015-10-05 2017-04-13 (주)아모레퍼시픽 냉각수단이 구비된 화장품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03061B1 (en) Machine and method for making and dispensing liquid, semi-liquid and/or semi-solid food products
KR102149224B1 (ko)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KR840007971A (ko) 식품의 제조 및 열처리 방법과 장치
KR102005242B1 (ko) 스틱형 화장품 충진 장치
CA2023761A1 (en) Apparatus for injection of viscous material
CN104222447A (zh) 用于制作巧克力的机器和方法
CN106455858A (zh) 一次性发泡设备
US3836110A (en) Moulding tool for the manufacture of components of synthetic plastic material
CN110506102A (zh) 用于制备明胶基产品的装置和方法
KR101863001B1 (ko) 인젝션 발포 성형장치
KR20160035770A (ko) 소프트 아이스크림 제조 장치
KR20150138543A (ko) 액상의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사출 성형장치
US2167438A (en) Apparatus for manufacture of wax polishing compositions
EP3576551B1 (en) Print head for printing a food product layer-by-layer and a system comprising a print head
DE1479162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Hohlkoerpern aus warmverformbaren Kunststoffen
KR200484914Y1 (ko) 이동구간중 급속 가온으로 충진하는 립스틱 충전 시스템
US141193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starch
JP2883097B2 (ja) 乳化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CN207507451U (zh) 一种反应釜
KR101387167B1 (ko) 에너지 절감형 즉석 두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부 제조방법
JPH0687292A (ja) マーカー製造装置
CN220159883U (zh) 一种简易型糖蜜加工添加器
AU20152746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soap
GB719520A (en) Apparatus for tempering liquid chocolate and for feeding a depositor or like machine
CN212440881U (zh) 一种恒温恒湿预混料日料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