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4412B1 - 프린터 - Google Patents
프린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4412B1 KR102004412B1 KR1020180140283A KR20180140283A KR102004412B1 KR 102004412 B1 KR102004412 B1 KR 102004412B1 KR 1020180140283 A KR1020180140283 A KR 1020180140283A KR 20180140283 A KR20180140283 A KR 20180140283A KR 102004412 B1 KR102004412 B1 KR 1020044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per
- guide portion
- sheet
- cartridge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05—Curl smoothing, i.e. smoothing down corrugated printing material, e.g. by pressing means acting on wrinkled print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4—Cassettes or cartridges contai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tape, for setting into printing device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5—Handling of sheet copy material taking place in a specific part of the copy material feeding path
- G03G15/6573—Feeding path after the fixing point and up to the discharge tray or the finisher, e.g. special treatment of copy material to compensate for effects from the fixing
- G03G15/6576—Decurling of sheet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6—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the guidance of continuous cop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kewed conveyance of the continuous copy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Unwinding Web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권취된 롤 형태로 감겨진 용지를 인출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지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하우징 및 용지를 인출하는 인쇄부를 포함하고, 카트리지 또는 하우징에는 용지가 인출되는 동안 용지의 상측에서 용지와 면접촉을 하는 디컬부가 형성되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권취된 용지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용지를 디컬(decurl)함으로써, 용지가 말려 있는 상태로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는 용지가 수납된 상태에서 전기 신호 등을 받아 용지를 인쇄하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프린터가 소형화됨에 따라 롤 형태로 권취된 용지를 인출하면서 인쇄하는 프린터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프린터는 영수증, 기록지 등이 사용되는 상업용 매장에서 빈번하게 사용될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수단이 발전됨에 따라 촬영된 사진을 단시간에 인쇄할 수 있는 인화수단에도 사용될 수 있어 향후 보다 많은 분야(예컨대, 포터블 프린터 등)에서 사용될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프린터는 권취된 롤 형태의 용지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인쇄유닛을 구동시켜 용지 상에 잉크를 전사하는 방식 등을 사용하여 인쇄 작업을 수행한다. 하지만, 종래의 프린터에서는 권취된 롤 형태의 용지가 인출되었을 때에도 용지가 롤 형태를 유지하여 롤 방향(즉, 컬(curl) 방향 또는 롤 중심 방향)으로 말리기 때문에, 인출된 용지의 취급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7-0077776호) 및 선행문헌 2(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30942호)는 내부에 구비되는 롤러 형상의 교정수단을 통해 인출되는 용지를 롤 반대 방향(즉, 디컬(decurl) 방향 또는 롤 중심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굴곡시켜 말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프린터를 개시하였다. 하지만, 선행문헌 1 및 선행문헌 2의 경우 교정수단이 위치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으로 인해 프린터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열을 이용하여 용지를 교정할 경우, 교정 과정 중 열원으로부터 용지에 가해지는 열에너지가 불균일한 경우 용지가 손상되거나 컬이 교정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나아가, 열원에서 발생되는 열은 프린터의 내부 구성에 대한 열 변질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를 가져,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교정수단 없이도 용지를 디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인출되는 용지 및 용지에 인쇄된 잉크가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균일한 힘으로 용지를 디컬시켜 인출이 완료된 용지가 말리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균일한 힘으로 용지를 디컬시켜 인출이 완료된 용지가 편평한 상태를 유지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구조 변형 없이 카트리지 교환만으로도 다양한 타입의 용지를 디컬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별도의 구조 변형 없이 카트리지 교환만으로도 마모된 디컬부를 교환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는, 권취된 롤 형태로 감겨진 용지를 인출하는 프린터로서, 용지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하우징 및 용지를 인출하는 인쇄부를 포함하고, 카트리지 또는 하우징에는 용지가 인출되는 동안 용지의 상측에서 용지와 면접촉을 하는 디컬부가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는, 권취된 롤 형태로 감겨진 용지를 인출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용지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하우징 및 용지를 인출하는 인쇄부를 포함하고, 카트리지에는, 용지가 인출되는 동안 용지의 상측에서 용지와 면접촉을 하는 디컬부가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는, 권취된 롤 형태로 감겨진 용지를 인출하는 프린터로서, 용지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하우징 및 용지를 인출하는 인쇄부를 포함하고, 하우징은 하우징의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커버에는, 커버가 하우징의 상면을 폐쇄할 때, 용지가 인출되는 동안 용지의 상측에서 용지와 면접촉을 하는 디컬부가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하우징에는, 용지가 인출되는 동안 용지의 하측에서 용지와 면접촉을 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는 서로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디컬부는, 커버가 하우징의 상면을 폐쇄 시,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 간의 단차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위치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디컬부는, 디컬부의 두께를 조절하여 디컬부의 용지에 대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탈 부착가능한 두께 조절부를 구비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제1 가이드부, 제2 가이드부 또는 디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용지와 접하는 모서리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제1 가이드부, 제2 가이드부 및 디컬부는, 용지와 면접촉하는 모서리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디컬부의 모서리의 곡률반경이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의 모서리의 곡률반경보다 작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는, 용지와 면접촉하는 모서리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디컬부의 모서리는 수직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인쇄부는 용지를 인출하며, 인쇄부는, 제2 가이드부에서 굴곡된 용지가 120도 이상의 사이각을 갖도록 용지를 인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를 디컬하기 위한 별도의 롤러를 생략할 수 있어 프린터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의 디컬 과정에서 용지가 과도한 힘 및 열 등으로 인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용지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의 두께에 따라 용지에 대한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다양한 타입의 용지에 대한 디컬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구조 변형 없이 카트리지 교환만으로도 다양한 타입의 용지를 디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구조 변형 없이 카트리지 교환만으로도 마모된 디컬부를 교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용지를 디컬하는 디컬부 및 용지의 디컬을 위한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용지를 디컬하기 위한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용지를 디컬하기 위한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 제2 가이드부 및 디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은 제2 가이드부에 의해 굴곡된 용지의 사이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두께 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용지를 디컬하는 디컬부 및 용지의 디컬을 위한 요소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용지를 디컬하기 위한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용지를 디컬하기 위한 요소들 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또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 제2 가이드부 및 디컬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은 제2 가이드부에 의해 굴곡된 용지의 사이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두께 조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상측"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프린터의 카트리지에 수용된 롤 형태의 용지가 인출되는 동안, 이동하는 용지를 기준으로 하여, 용지의 상면(top surface) 또는 외피(outer surface) 쪽을 의미한다. "하측"은 프린터의 카트리지에 수용된 롤 형태의 용지가 인출되는 동안, 이동하는 용지를 기준으로 하여, 용지의 하면(bottom surface) 또는 내피(inner surface) 쪽을 의미한다.
"컬 방향"은 도 6의 도면부호 "s1"와 같이 말려지는 용지(p) 기준으로 외측 방향을 뜻한다. "디컬 방향"은 도 6의 도면부호 "s2"와 같이 말려지는 용지(p) 기준으로 외측 방향을 뜻한다. "디컬"은 수용된 용지의 롤 형태가 가지는 컬 방향으로 구부러진 용지(p)를 펴는 것을 뜻한다.
"일 방향"은 카트리지에 수용된 용지가 인출되는 방향으로서 예컨대 도 1에서 좌하측 방향, 도 5에서 좌측 방향을 뜻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는 용지(p)를 수용하는 카트리지(100), 카트리지(100)가 장착되는 하우징(200), 용지(p)를 인쇄 및 인출하는 인쇄부(400, 도 6 참고)를 포함한다. 카트리지(100) 및/또는 하우징(200)에는 접촉부(R)가 형성된다. 접촉부(R)는 용지(p)가 카트리지(100) 및 하우징(200)을 통과하여 인출되는 과정에서, 용지(p)의 상측 및 하측에서 용지(p)와 면접촉한다.
용지(p)는 롤 형태로서 권취되어 카트리지(100)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된 용지(p)는 인쇄부(400)의 써멀 헤드(미도시)에 의해 인쇄될 수 있으며, 인쇄부(400)의 피드 롤러(미도시)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접촉부(R)는 카트리지(100)에 수납된 용지(p)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디컬을 수행함으로써 용지(p)가 되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촉부(R)는 제1 가이드부(R1), 제2 가이드부(R2) 및 디컬부(R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컬부(R3)는 용지의 상측에서 디컬 방향으로 용지(p)와 면접촉하여, 인출된 용지(p)가 되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디컬부(R3)가 용지(p)에 가하는 압력을 지탱하기 위해, 제1 가이드부(R1) 및 제2 가이드부(R2)는 용지(p)와 면접촉할 수 있다.
도 2는 용지를 디컬하는 디컬부, 디컬부와 면접촉하는 용지, 디컬부의 곡률반경(Radius, R), 및 디컬부에 의해 용지가 굽혀지는 각도(Angle)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디컬부의 접촉면이 가지는 곡률반경을 나타내기 위해 롤러의 형태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 디컬부의 형태는 아니다. 도 3은 디컬부와 용지가 접촉하는 접촉각(Angle, 단위: 도(degree)), 디컬부가 가지는 곡면의 반경(R, 단위: mm), 및 용지 이동 경로의 틈의 크기(Gap, 단위: mm)에 따라 용지의 변형(Curvature, 단위: 1/m)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Curvature는 용지의 말림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높을수록 용지가 편평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디컬부와 용지가 접촉하는 접촉각(Angle, 단위: 도(degree)), 디컬부가 가지는 곡면의 반경(R, 단위: mm), 및 용지 이동 경로의 틈의 크기(Gap, 단위: mm)에 따라 용지를 디컬하는데 필요한 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3 및 4에 있어서 용지 이동 경로의 틈의 크기는 디컬부와 디컬부를 마주보고 있는 구조체 사이에 용지가 이동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때, 디컬부와 디컬부를 마주보고 있는 구조체 사이의 거리에 해당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용지를 디컬하기 위한 요소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프린터의 카트리지에 수용된 롤 형태의 용지가 인출되는 동안, 디컬부가 용지와의 면접촉을 통해 롤에서의 컬(curl)의 반대 방향(즉, 디컬 방향)으로 용지에 힘을 가한다. 여기서, 디컬부와 용지가 면접촉 할 때 형성되는 접촉각(도 2에서의 도면부호 Angle 참고)이 형성된다. 접촉각은 용지를 굽히는 각도(degree)로서, 용지의 변형(즉, 용지가 디컬되는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용지와 면접촉을 이루는 디컬부의 반경 또한 용지의 변형에 영향을 미친다. 용지가 이동하는 경로의 틈의 크기(Gap, 단위: mm) 역시 용지의 변형에 영향을 미친다.
용지와 디컬부 간의 접촉각이 과도하게 큰 경우 용지의 디컬에 요구되는 힘은 작아지지만(도 4 참조), 용지에 선 모양의 자국이 형성되는 등 변형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디컬부의 곡면이 가지는 곡률반경(R)이 작을수록 디컬에 필요한 구동력이 커지고(도 4 참조) 디컬부의 마모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지만, 디컬 효과는 커지는 장점이 있다(도 3 참조). 그에 따라, 디컬부의 곡률반경을 줄일 필요가 있으나, 디컬부를 별도의 롤러로 구현할 경우 곡률반경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고 롤러의 교체도 쉽지 않으며 단가 상승도 초래된다. 또한, 프린터의 크기 또한 증가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과 같이 디컬부를 카트리지 또는 하우징에 형성하는 경우, 곡률반경을 줄이면서 제조 단가와 크기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디컬부를 카트리지에 형성하는 경우, 마모가 된 디컬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프린터 내부 구조를 개조하지 않아도 용지 두께 또는 용지 타입에 따라 카트리지 교체를 통해 디컬부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같이 용지 두께 또는 용지 타입에 따라 용지가 이동하는 경로의 틈의 크기(Gap, 단위: mm)를 조절할 경우, 용지를 보다 효과적으로 디컬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는 카트리지(100),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카트리지(100) 및/또는 하우징(200)에는 접촉부(R)가 형성된다. 접촉부(R)는 제1 가이드부(R1), 제2 가이드부(R2) 및 디컬부(R3)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100)는 용지(p)를 수용하는 구조체이다. 상세하게, 카트리지(100)는 롤 형태로 권취된 용지(p)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고, 이를 위해 측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갖는다. 또한, 카트리지(100)는 하우징(200)에 장착된다. 예컨대, 카트리지(100)에는 하우징(200)과의 체결을 위한 별도의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고, 하우징(200)에 장착된 이후 외력에 의해 하우징(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돌출부가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카트리지(100)는 용지(p)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하우징(200)에 장착되어 지속적으로 용지(p)를 인쇄부로 공급할 수 있다. 카트리지(100)에는 디컬부(R3)가 형성된다.
하우징(200)에 카트리지(100)가 장착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200)의 상면은 원통 형태의 카트리지(100)의 형태에 대응되어 개구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00)와의 보다 견고한 체결을 위해 카트리지(100)에 형성되는 별도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삽입홈이 내부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200)은 카트리지(100)를 수용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카트리지(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200)에 제1 가이드부(R1) 및 제2 가이드부(R2)가 형성될 수 있다.
인쇄부(400)는 하우징(200)에 장착된 카트리지(100)로부터 공급된 용지(p)를 인쇄한다(도 6 참고). 예를 들어, 인쇄부(400)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한 쌍의 몸체부를 갖고, 용지(p)를 한 쌍의 몸체부의 사이로 통과시켜 용지(p)를 인쇄한다. 일 실시예로서, 인쇄부(400)는 용지(p)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 경로에 위치하는 써멀 헤드와, 용지(p)를 일 방향으로 인출하는 피드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써멀 헤드는 별도로 구비되는 복수 개의 발열 소자를 선택적으로 발열시킴으로써 용지(p)와 접촉하고 열을 가하여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피드 롤러는 용지(p)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인쇄부(400)의 일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구성을 통해, 인쇄부(400)는 카트리지(100)로부터 공급받은 용지(p)를 용이하게 인쇄하고, 일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다.
접촉부(R)는 카트리지(100)에 수납된 용지(p)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디컬을 수행함으로써 용지(p)가 되감기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접촉부(R)는 제1 가이드부(R1), 제2 가이드부(R2) 및 디컬부(R3)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하우징(200)에 장착된 카트리지(100)에 수납된 용지(p)는 카트리지(100) 및 하우징(200)을 통과하고, 이 과정에서 접촉부(R)에 의해 디컬된다.
접촉부(R)는 제1 가이드부(R1), 제2 가이드부(R2) 및 디컬부(R3)를 포함한다. 디컬부(R3)는 용지의 상측에서 디컬 방향으로 용지(p)와 면접촉하여, 인출된 용지(p)가 되감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디컬부(R3)가 용지(p)에 가하는 압력을 지탱하기 위해, 제1 가이드부(R1) 및 제2 가이드부(R2)는 용지(p)와 면접촉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00)에는 제1 가이드부(R1) 및 제2 가이드부(R2)가 형성되고, 카트리지(100)에 디컬부(R3)가 형성된다. 예컨대, 제1 가이드부(R1) 및 제2 가이드부(R2)는 서로 단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1 가이드부(R1)와 제2 가이드부(R2)가 90도를 형성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차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카트리지에 형성된 디컬부(R3)가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별도의 롤러가 구비되는 종래기술과 비교했을 때 롤러를 생략하면서도 용지(p)의 디컬을 위해 요구되는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프린터의 소형화가 용이하다.
예컨대, 제1 가이드부(R1) 또는 제2 가이드부(R2)의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는 용지(p)와 접하는 모서리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R1)에서 용지(p)와 면접촉을 이루는 모서리는 제1 곡률반경(R11)을 갖거나, 제2 가이드부(R2)에서 용지(p)와 면접촉을 이루는 모서리는 제2 곡률반경(R21)을 가질 수 있다(도 8 참고). 제1 곡률반경(R11) 또는 제2 곡률반경(R21)을 각각 갖는 제1 가이드부(R1) 또는 제2 가이드부(R2)는 용지(p)와 면접촉을 이루는 과정에서 용지(p)가 과도하게 꺾이는 것을 방지하여 용지(p)의 불필요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지(p)와 접촉하는 가이드부의 모서리가 직각인 경우와 비교했을 때, 용지(p)가 제1 가이드부(R1) 또는 제2 가이드부(R2)로부터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용지(p)를 보다 정확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정확한 인쇄 작업도 가능하다. 또한, 용지(p)가 마모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R1) 및 제2 가이드부(R2) 모두 제1 곡률반경(R11) 및 제2 곡률반경(R21)을 각각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용지(p)의 들뜸 방지, 변형 방지 및 마모 방지 효과가 보다 현저해질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디컬부(R3)는 카트리지(100)에 형성된다. 상세하게, 디컬부(R3)는 카트리지(100)가 하우징(200)에 장착되었을 때, 인출되는 용지(p)의 상측에서 용지(p)와 디컬 방향으로 면접촉한다. 이에 따라, 디컬부(R3)는 용지(p)를 디컬하여 용지(p)의 되말림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디컬부(R3)의 모서리는 용지(p)에 대하여 디컬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용지(p)를 디컬할 수 있다.
또는, 용지(p)의 상면과 면접촉을 이루는 디컬부(R3)의 모서리는 제3 곡률반경(R31)을 갖도록 구비되고, 제3 곡률반경(R31)은 제1 곡률반경(R11) 및 제2 곡률반경(R21)보다 작도록 형성되어(도 8 참고), 디컬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디컬부(R3)의 모서리는 수직이거나 제1 곡률반경(R11) 및 제2 곡률반경(R21)보다 작은 제3 곡률반경(R31)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제1 가이드부(R1), 제2 가이드부(R2) 및 디컬부(R3)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가이드부(R1)는 카트리지(100)로부터 인출되는 용지(p)와 면접촉을 이루고 용지(p)가 디컬부(R3)로 이동하도록 경로를 제공하며, 용지(p)의 인출과정에서 용지(p)가 들뜨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도 7에서 제1 가이드부(R1)는 제2 가이드부(R2)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지만,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가이드부(R1)는 컬 방향으로 용지(p)의 내피 또는 하면과 면접촉을 이루고, 용지(p)는 제1 가이드부(R1)와 접촉한 이후 디컬부(R3) 쪽으로 이동한다. 용지(p)와 면접촉하는 제1 가이드부(R1)의 모서리는 소정의 제1 곡률반경(R11)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부(R1) 및 제2 가이드부(R2)는 서로 단차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가이드부(R1)의 제1 면(R12)과 디컬부(R3)의 제3 면(R32) 사이에는 제1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간부가 구비됨에 따라, 카트리지(100)로부터 인출되는 용지(p)는 제1 곡률반경(R11)을 갖는 제1 가이드부(R1)의 모서리와 면접촉을 한 후, 디컬부(R3)의 제3 곡률반경(R31)을 갖는 모서리와 면접촉을 이룬다.
디컬부(R3)는 제1 가이드부(R1)를 통과한 용지(p)를 디컬하며, 용지(p)와 면접촉을 이루는 모서리는 제1 곡률반경(R11) 및 제2 곡률반경(R21)보다 작은 크기의 제3 곡률반경(R31)을 갖도록 라운딩 처리된다. 디컬부(R3)는 제1 가이드부(R1)를 통과한 용지(p)가 제3 곡률반경(R31)을 갖는 모서리를 향해 이동되도록 제3 면(R32)을 갖는다. 제3 면(R32)은 제1 가이드부(R1)의 제1 면(R12)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갖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3 면(R32)과 제4 면(R33)은 제3 곡률반경(R31)을 갖는 모서리를 형성한다. 제1 가이드부(R1)를 통과한 용지(p)의 외피는 제3 곡률반경(R31)을 갖는 모서리와 면접촉을 이루고, 제3 곡률반경(R31)을 갖는 모서리는 디컬 방향으로 용지(p)를 구부림으로써, 용지(p)가 디컬된 상태에서 제2 가이드부(R2)를 향해 이동된다.
제2 가이드부(R2)는 디컬부(R3)에서 디컬된 용지(p)를 인쇄부(400)로 가이드한다. 이를 위해, 제2 가이드부(R2)는 제1 가이드부(R1)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가이드부(R1) 및 제2 가이드부(R2)는 역 "ㄴ" 형상을 형성할 수 있고, 디컬부(R3) 및 제2 가이드부(R2)의 사이에는 제2 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제2 가이드부(R2)는 제1 가이드부(R1)의 제1 면(R12)과 연결되는 제2 면(R22)을 포함한다. 제2 면(R22)은 제1 면(R12)과 수직을 형성하고, 디컬부(R3)의 제4 면(R33)과 소정의 간격을 갖고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면(R12) 및 제3 면(R32) 사이의 간격(이하, '제1 간격'으로 지칭됨) 및 제2 면(R22) 및 제4 면(R33) 사이의 간격(이하, '제2 간격'으로 지칭됨)의 크기는 동일하거나, 설계자의 설정에 따라 각각 상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공간부를 통과한 용지(p)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고자 할 경우, 제1 간격 및 제2 간격을 증가시켜 디컬부(R3)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간격 및 제2 간격은 0.1mm 내지 3mm의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가이드부(R2)에는 제2 곡률반경(R21)을 갖는 모서리가 더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2 면(R22)은 제2 가이드부(R2)를 통과하여 인쇄부(400)로 향하는 용지(p)를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안내하기 위한 모서리를 가지며, 상기 모서리는 제2 곡률반경(R21)을 갖도록 라운딩 처리된다. 이와 같은 제2 곡률반경(R21)의 모서리를 통해, 인쇄부(400)로 향하는 용지(p)가 하우징(200)과 인쇄부(400) 사이에서 들뜨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인쇄부(400)로의 이동 과정에서 용지(p)에 선 모양의 자국이 남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인쇄된 용지(p)에 대한 품질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또는, 제1 가이드부(R1), 제2 가이드부(R2) 또는 디컬부(R3)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각각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1 가이드부(R1), 제2 가이드부(R2) 또는 디컬부(R3) 중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는 제1 곡률반경(R11), 제2 곡률반경(R21) 또는 제3 곡률반경(R3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용지(p)의 두께 및 재질에 따라 설계자가 변경시킬 수 있어, 각각 다른 두께 및 재질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용지(p)에 대해 최적의 디컬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및 후술할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가이드부(R1), 제2 가이드부(R2) 및 디컬부(R3)의 폭은 일 방향으로 인출되는 용지의 폭보다 크도록 형성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도 9은 제2 가이드(R2)에 의해 굴곡된 용지의 사이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곡률반경(R21)을 갖는 제2 가이드부(R2)의 모서리를 통과하는 용지(p)는 제2 가이드부(R2)와의 면접촉에 의해 굴곡되어 사이각(t)을 갖는다. 상세하게, 제2 가이드부(R2)와의 면접촉 이전의 용지(p) 및 제2 가이드부(R2)와의 면접촉 이후의 용지(p)가 사이각(t)을 형성한다. 이는 용지(p)가 인쇄부(400)로 용이하게 공급됨과 동시에 용지(p)가 과도하게 디컬되는 것을 교정하는 목적을 갖는다. 예컨대, 사이각(t)은 120도 이상으로 구비되고, 인쇄부(400)는 이와 같은 사이각(t)을 갖도록 제2 가이드부(R2)를 통과하는 용지(p)를 인출한다. 이를 통해, 인쇄부(400)에서 인출되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디컬되어 컬의 반대방향으로 되말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커버(300)를 더 포함하고, 디컬부(R3)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형성된다. 커버(300)는 하우징(200)의 상면을 개폐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커버(300)는 하우징(200)과 체결되되 별도로 형성되는 힌지를 통해 힌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커버(300)는 하우징(200)의 상면을 개폐하여 외기 및 먼지 등의 이물질로부터 카트리지(100)에 수용된 용지(p)를 보호할 수 있다.
커버(300)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컬부(R3)가 형성된다. 디컬부(R3)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형상 및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컬부(R3)는 카트리지 대신 하우징(200)의 커버(300)에 형성된다. 즉, 디컬부(R3)는 커버(300)에 구비되되 제1 가이드부(R1) 및 제2 가이드부(R2)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커버(300)가 힌지 운동을 통해 하우징(200)의 상면을 폐쇄할 시, 커버(300)에 형성된 디컬부(R3)는 커버(300)와 일체로 힌지 운동하여 제1 가이드부(R1) 및 제2 가이드부(R2)의 위에 위치하고, 이후 용지(p)가 카트리지(100)로부터 인출되는 동안 디컬부(R3)는 용지(p)의 외피 또는 상면와의 면접촉을 수행하여 용지(p)를 디컬시킨다. 선술한 일련의 구성을 통해, 용지(p)의 디컬이 필요한 경우 커버(300)를 힌지 운동시켜 원할 때 용지(p)를 디컬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2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1 가이드부(R1)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구비된다. 제1 가이드부(R1)는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제1 곡률반경(R11)을 갖는 모서리를 갖도록 형성되되, 카트리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가이드부(R1)는 카트리지(10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두께 조절부(R4)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두께 조절부(R4)는 용지(p)의 두께에 따라 제1 간격 및/또는 제2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두께 조절부(R4)는 디컬부(R3)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되 탈 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예컨대, 두께 조절부(R4)는 디컬부(R3)와 나사 체결, 자력을 이용한 체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체결되어 탈 장착이 가능하다. 두께 조절부(R4)는 용지(p)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탈착하여 용지(p)에 대한 압력이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방지하고, 용지(p)의 두께가 작은 경우 디컬부(R3)의 하측 방향에 부착하여 용지(p)에 대한 디컬부(R3)의 압력이 커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세하게, 두께 조절부(R4)가 장착된 경우 제2 간격이 감소하여 용지(p)에 대한 디컬부(R3)의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고, 두께 조절부(R4)가 탈착되는 경우 제2 간격이 증가하여 용지(p)에 대한 디컬부(R3)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두께 조절부(R4)를 탈부착함으로써, 용지(p)의 두께에 대응하여 디컬부(R3)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어 유연한 대처가 가능하고, 이는 용지(p)의 두께에 제한받지 않고 인쇄 및 디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와 같은 두께 조절부(R4)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제2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간격을 조절하도록 두께 조절부(R4)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p: 용지
100: 카트리지
200: 하우징
400: 인쇄부
R3: 디컬부
100: 카트리지
200: 하우징
400: 인쇄부
R3: 디컬부
Claims (12)
- 권취된 롤 형태로 감겨진 용지를 인출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용지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용지를 인출하는 인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폐쇄할 때, 상기 용지가 인출되는 동안 상기 용지의 상측에서 상기 용지와 면접촉을 하는 디컬부가 형성되고,
상기 카트리지에는, 상기 용지가 인출되는 동안 상기 용지의 하측에서 상기 용지와 면접촉을 하는 제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용지가 인출되는 동안 상기 용지의 하측에서 상기 용지와 면접촉을 하는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는 서로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지는 상기 디컬부와 상기 단차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디컬되는, 프린터.
- 권취된 롤 형태로 감겨진 용지를 인출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용지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용지를 인출하는 인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에는, 상기 용지가 인출되는 동안 상기 용지의 상측에서 상기 용지와 면접촉을 하는 디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용지가 인출되는 동안 상기 용지의 하측에서 상기 용지와 면접촉을 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는 서로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지는 상기 디컬부와 상기 단차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디컬되는, 프린터.
- 삭제
- 삭제
- 권취된 롤 형태로 감겨진 용지를 인출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용지를 수용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하우징; 및
상기 용지를 인출하는 인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개폐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폐쇄할 때, 상기 용지가 인출되는 동안 상기 용지의 상측에서 상기 용지와 면접촉을 하는 디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용지가 인출되는 동안 상기 용지의 하측에서 상기 용지와 면접촉을 하는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제2 가이드부는 서로 단차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용지는 상기 디컬부와 상기 단차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면서 디컬되는, 프린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컬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하우징에 장착 시,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간의 상기 단차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는, 프린터.
- 제1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컬부는, 상기 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폐쇄 시, 상기 제1 가이드부와 상기 제2 가이드부 간의 상기 단차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는, 프린터.
- 제1항, 제 2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컬부는, 상기 디컬부의 두께를 조절하여 상기 디컬부의 상기 용지에 대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탈 부착가능한 두께 조절부를 구비하는, 프린터.
- 제1항, 제 2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 상기 제2 가이드부 또는 상기 디컬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용지와 접하는 모서리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프린터.
- 제1항, 제 2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 상기 제2 가이드부 및 상기 디컬부는, 상기 용지와 면접촉하는 모서리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디컬부의 모서리의 곡률반경이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의 모서리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프린터.
- 제1항, 제 2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용지와 면접촉하는 모서리가 소정의 곡률반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디컬부의 모서리는 수직인, 프린터.
- 제1항, 제 2 항 또는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부는 상기 용지를 인출하며,
상기 인쇄부는, 상기 제2 가이드부에서 굴곡된 상기 용지가 120도 이상의 사이각을 갖도록 상기 용지를 인출하는, 프린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8/013942 WO2020101066A1 (ko) | 2018-11-14 | 2018-11-14 | 프린터 |
US16/301,951 US11247491B2 (en) | 2018-11-14 | 2018-11-14 | Printer |
KR1020180140283A KR102004412B1 (ko) | 2018-11-14 | 2018-11-14 | 프린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0283A KR102004412B1 (ko) | 2018-11-14 | 2018-11-14 | 프린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4412B1 true KR102004412B1 (ko) | 2019-07-26 |
Family
ID=67469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0283A KR102004412B1 (ko) | 2018-11-14 | 2018-11-14 | 프린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247491B2 (ko) |
KR (1) | KR102004412B1 (ko) |
WO (1) | WO202010106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6311B1 (ko) * | 2019-02-27 | 2019-09-27 |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 프린터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0942U (ko) | 1997-12-30 | 1999-07-26 | 전주범 | 팩스용지의 되말림 방지장치 |
KR20070077776A (ko) | 2006-01-24 | 2007-07-27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기록지 컬 교정 기구 및 기록지 컬 교정 방법 |
EP1303413B1 (en) * | 2000-06-30 | 2008-08-13 | Silverbrook Research Pty. Limited | Print cartridge with air filtering means |
US20110081189A1 (en) * | 2009-10-05 | 2011-04-07 | Canon Kabushiki Kaisha | Printer and printing method |
JP5292834B2 (ja) * | 2008-01-29 | 2013-09-18 | Nkワークス株式会社 | デカール機構 |
KR101712404B1 (ko) * | 2016-11-16 | 2017-03-06 |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 재접착식 메모지용 프린터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84660A (ko) * | 2016-01-12 | 2017-07-20 |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 기록매체용 카트리지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
-
2018
- 2018-11-14 WO PCT/KR2018/013942 patent/WO2020101066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11-14 US US16/301,951 patent/US11247491B2/en active Active
- 2018-11-14 KR KR1020180140283A patent/KR10200441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30942U (ko) | 1997-12-30 | 1999-07-26 | 전주범 | 팩스용지의 되말림 방지장치 |
EP1303413B1 (en) * | 2000-06-30 | 2008-08-13 | Silverbrook Research Pty. Limited | Print cartridge with air filtering means |
KR20070077776A (ko) | 2006-01-24 | 2007-07-27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기록지 컬 교정 기구 및 기록지 컬 교정 방법 |
JP5292834B2 (ja) * | 2008-01-29 | 2013-09-18 | Nkワークス株式会社 | デカール機構 |
US20110081189A1 (en) * | 2009-10-05 | 2011-04-07 | Canon Kabushiki Kaisha | Printer and printing method |
KR101712404B1 (ko) * | 2016-11-16 | 2017-03-06 | 망고슬래브 주식회사 | 재접착식 메모지용 프린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247491B2 (en) | 2022-02-15 |
WO2020101066A1 (ko) | 2020-05-22 |
US20210268810A1 (en) | 2021-09-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86244B2 (en) | Paper roll feed mechanism, paper roll feed casset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5725750B2 (ja) | 給紙装置 | |
KR102026311B1 (ko) | 프린터 | |
US20140347432A1 (en) | Media processing device with enhanced media and ribbon loading and unloading features | |
KR102004412B1 (ko) | 프린터 | |
US4668960A (en) | Recording apparatus with dual-purpose guide | |
JP2007160801A (ja) | ロール紙給紙機構、ロール紙給紙カセ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 |
US20210197585A1 (en) | Heating device, liquid apply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post-processing apparatus, and conveying device | |
JP2009190799A (ja) | ロール紙給紙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 |
US9156639B1 (en) |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9950543B2 (en) | Cartridge for recording mediu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6672520B1 (ja) | プリンタ | |
JPH10291699A (ja) | 記録体ロール支持装置 | |
US10603933B2 (en) | Roll paper holder | |
JP3831291B2 (ja) | シート体搬送装置 | |
JP2006264238A (ja) | 画像形成方法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US6909494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7428694B2 (ja) | プリンタ | |
JP2008007235A (ja) | 用紙反り矯正装置およびプリンタ | |
US9764572B2 (en) | Printer | |
US20070077109A1 (en) | Media casset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H08133542A (ja) | 画像読み取り記録装置 | |
JP2003154742A (ja) | 印字装置 | |
KR20200059077A (ko) | 염료 승화형 프린터의 분리형 카트리지 | |
US6554513B1 (en) | Apparatus for transporting single sheets through a device for exposing or printing the single shee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