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913B1 -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 - Google Patents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913B1
KR102003913B1 KR1020180040542A KR20180040542A KR102003913B1 KR 102003913 B1 KR102003913 B1 KR 102003913B1 KR 1020180040542 A KR1020180040542 A KR 1020180040542A KR 20180040542 A KR20180040542 A KR 20180040542A KR 102003913 B1 KR102003913 B1 KR 102003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frame
mirror
mounting plate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지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지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지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040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2Furniture or othe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hairdressers' rooms and not covered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거울을 필요에 따라 쉽고 빠르게 장, 탈착할 수 있는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의 구조프레임은 각각,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양단이 45°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프레임본체; 상기 프레임본체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프레임본체의 전방 쪽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설치판; 상기 프레임본체에 설치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설치판이 상기 프레임본체의 전방 쪽 외측면에 밀착 유지시키는 판스프링 및; 상기 프레임본체의 양단에 조립되어 복수 개의 프레임본체를 사각 틀 모양으로 조립하는 "ㄱ"자 모양의 고정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Frame Assembly for Smart Mirror}
본 발명은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정보가 출력되기 위해 모니터가 설치되는 스마트 미러에 있어서, 모니터와 제어부 및 거울을 설치하기 위한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미용실의 손님들이 머리를 손질하는 동안 자신의 머리를 확인함과 동시에 TV광고, 영화 또는 미용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미러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스마트 미러의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353510호의 스마트 기능을 갖는 이미용 경대(이하 '스마트 미러'라 한다)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스마트 미러는, 벽면에 설치 고정되며 내측에 개구부와 절개부가 형성되고 외면에 환기공을 갖는 마감프레임이 마련되며 상기 개구부와 절개부의 인접한 외측에 다수개의 고정클립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클립의 단부에 상기 고정클립을 벽면에 고정하기 위해 앵커볼트가 삽입되는 설치공이 마련되며 상기 절개부의 하부 양측에 받침편이 마련된 몸체부; 상기 절개부에 삽입 설치되며 전방커버와 후방커버가 볼트 체결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방커버의 내측에 화면표시창이 마련되며 양측에 상기 몸체부와 볼트체결을 통해 결속을 이루는 고정편이 형성되고 상기 후방커버의 하부에는 배선홀이 형성된 수납함체; 상기 수납함체 내에 설치되며 외부입력신호의 인가시 이에 해당하는 영상과 음향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설치 고정되며 내측에 투명표시부가 마련된 거울;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측에 배선공간이 형성되고 외측에 상기 배선공간과 연통을 이루는 배선공이 마련된 받침대; 및 상기 몸체부와 받침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볼트 체결되며 후방에 배선홈이 형성된 선반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스마트 미러는 상하로 길이를 가지는 몸체부의 일측에 디스플레이패널이 설치된 다음, 디스플레이패널의 위치에 맞추어 투명표시부가 형성된 거울이 나사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몸체부와 조립된다.
상기 특허문헌에 따르면 거울에 나사 조립을 위한 구멍을 정확한 위치에 형성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또한 거울의 후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패널을 유지보수 하기 위해서는 조립된 복수 개의 나사를 모두 풀어 프레임으로부터 거울을 분리한 다음 유지보수가 끝나면 다시 복수 개의 나사를 조립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 미러 시스템에 있어서, 거울을 프레임에 쉽고 빠르게 장, 탈착할 수 있는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1353510 B1 (2014. 01. 14.) KR 20-0342246 Y1 (2004. 02. 06.) KR 20-2008-0001521 U (2008. 06. 03.) KR 20-2010-0004160 U (2010. 04. 2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거울을 필요에 따라 쉽고 빠르게 장, 탈착할 수 있는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는, 구조프레임이 각각,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양단이 45°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프레임본체; 상기 프레임본체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프레임본체의 전방 쪽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설치판; 상기 프레임본체에 설치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설치판을 상기 프레임본체의 전방 쪽 외측면에 밀착 유지시키는 판스프링 및; 상기 프레임본체의 양단에 조립되어 복수 개의 프레임본체를 사각 틀 모양으로 조립하는 "ㄱ"자 모양의 고정쇠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본체는, 전방 쪽 하부 길이를 따라 "ㄱ"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의 수직의 하단에 연결되면서 전방 쪽으로 수평의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단면 모양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원형결합돌기; 상기 프레임본체의 후방 쪽 가운데 부분이 상기 프레임본체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ㄷ"자 모양을 가지는 조립부; 상기 프레임본체의 전방 쪽 상면에 전방 쪽 외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의 길이를 가지는 거울지지부; 및 상기 프레임본체의 후방 쪽 외측면과 연결되어 수직의 길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연장부의 저면에 상기 원형결합돌기의 외측면과 연장되도록 호 형상을 가지는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설치판이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원형결합돌기와 결합되는 수평부; 및 일단이 상기 수평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프레임본체의 전방 쪽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는, 상기 수평부의 선단에 위치되면서 상기 원형결합돌기의 외측면에 끼움 조립되는 호 형상의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의 외측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판스프링과 접촉되는 소정 폭의 평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는, 상기 수직부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프레임본체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 및 상기 수평부와 상기 가압부 사이의 상기 수직부에 형성되면서 상기 프레임본체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설치부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고정부; 상기 좌우 한 쌍의 고정부의 사이로 서로 마주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자유단을 연결하면서 상기 설치판과 접촉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소정 길이의 평면 부분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미러의 상하좌우측 구조프레임이 각각 프레임본체와 설치판으로 구성되고, 이에 의해 사용자가 설치판을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프레임본체의 거울지지부에 거울을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본체에 거울을 설치하고 난 후 설치판이 프레임본체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회전시키면,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프레임본체의 외측면에 설치판이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장착된 거울이 프레임본체에 강건하게 고정 유지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리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본체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설치판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판스프링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정면도.
도 9(a, b)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본체가 고정쇠를 이용하여 조립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본체에 설치판이 조립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본체에 설치판이 조립되어 회전 동작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본체와 설치판을 이용하여 거울과 디스플레이유닛이 설치되는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 미러 시스템의 거울을 필요에 따라 쉽고 빠르게 장, 탈착할 수 있는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는 상측 구조프레임(1A), 하측 구조프레임(1B), 좌측 구조프레임(1C) 및 우측 구조프레임(1D)이 사각 틀 모양으로 서로 조립되고, 이러한 구조프레임(1A, 1B, 1C, 1D)은 각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본체(10)와 설치판(20), 판스프링(30) 및 고정쇠(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조프레임(1A, 1B, 1C, 1D)에 설치된 거울(1E)이 노출되는 방향을 '전방'으로 지칭하여 설명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으로 지칭하여 설명한다.
프레임본체(10)는 소정 크기의 투명부가 구비된 거울(1E)과, 상기 거울(1E)의 투명부에 맞추어 설치되는 소정 크기의 디스플레이유닛(1F)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프레임본체(10)는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사출 제작된 다음 적절한 길이로 절단되어 사용되고, 이때 프레임본체(10)의 양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여 위치되는 또 다른 프레임본체(10)와 90°로 조립되도록 45°로 경사지게 절단된다.
그리고 프레임본체(10)의 전방 쪽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쪽 하부와 저면의 소정 폭이 프레임본체(1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프레임본체(10)의 길이를 따라 "ㄱ"자 모양을 가지는 설치부(11)가 형성되고, 이러한 설치부(11) 중 수직으로 형성된 면의 하단에는 프레임본체(10)의 전방 쪽으로 수평의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는 연장부(12)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12)의 자유단에는 단면 모양이 원형이 되도록 소정 크기의 지름을 가지는 원형결합돌기(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연장부(12)의 저면에는 원형결합돌기(13)의 외측면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소정 깊이의 홈(13A)이 형성되고, 이러한 홈(13A)에 의해 후술되는 설치판(20)이 외측으로 회전될 때 회전 반경이 더욱 커지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본체(10)의 후방 쪽에는 가운데 부분이 프레임본체(1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ㄷ"자 모양을 가지는 조립부(14)가 길이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조립부(14)와 프레임본체(10)의 후방 쪽 외측면이 서로 맞닿는 상하 양측에는 서로 마주하여 수직으로 돌출되는 소정 길이의 고정돌기(14A)가 형성된다.
또한, 프레임본체(10)의 상면에는 프레임본체(10)의 전방 쪽 외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의 길이를 가지는 거울지지부(15)와, 프레임본체(10)의 후방 쪽 외측면과 연결되어 수직의 길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지지부(16)가 형성된다.
이때 디스플레이지지부(16)는 거울지지부(15)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고, 거울지지부(15)는 거울(1E)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 만큼 프레임본체(10)의 전방 쪽 외측면과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프레임본체(10)의 구성에 의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조립되도록 프레임본체(10)가 소정 길이로 절단되고, 절단된 프레임본체(10)의 양단으로 노출되는 조립부(14)에는 후술되는 고정쇠(40)가 삽입되어 서로 90°로 맞닿는 2개의 프레임본체(10)가 고정되며, 이에 의해 복수 개의 프레임본체(10)가 전체적으로 사각 틀 모양으로 조립되게 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본체(10)가 사각 틀 모양으로 조립되면 사각 틀의 내측면을 따라 거울지지부(15)와 디스플레이지지부(16)가 돌출되게 되고, 상기 거울지지부(15)에는 소정 크기로 재단된 거울(1E)이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좌우 양측에 위치되는 수직의 디스플레이지지부(16)에는 디스플레이유닛(1F)이 고정된다.
이때 디스플레이지지부(16)에는 디스플레이유닛(1F)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를 따라 나사 조립되는 위치의 조절이 가능한 장공이 형성된다.
설치판(20)은 프레임본체(10)의 전방 쪽 외측면에 밀착되어 거울지지부(15)에 설치된 거울(1E)의 전방 쪽 둘레를 가압하여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설치판(20)은 프레임본체(10)와 같이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사출 제작된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본체(10)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도록 절단되어 사용되고, 이때 절단된 설치판(20)의 양단은 프레임본체(10)와 같이 45°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설치판(2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평부(21)와, 상기 수평부(21)의 일단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직부(22)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수평부(21)와 수직부(22)에 의해 설치판(20)이 전체적으로 "ㄴ"자 모양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수평부(21)의 자유단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결합돌기(13)의 외측면에 끼움 조립되는 호 형상의 결합부(21A)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부(21A)의 외측면에는 후술되는 판스프링(30)과 면 접촉되는 소정 폭의 평면부(21B)가 결합부(21A)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다.
이때 결합부(21A)의 양단 부분에는 소정 폭 절단되어 절개부(21A')가 형성되고, 이러한 절개부(21A')에 의해 설치판(20)이 사각 틀 모양의 프레임본체(10)에 조립된 상태에서 원형결합돌기(13)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될 때, 인접하는 또 다른 설치판(20)의 결합부(21A)에 간섭받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수직부(22)의 상부에는 프레임본체(1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 폭의 가압부(22A)가 돌출 형성되고, 수직부(22)의 가운데 부분(수평부(21)와 가압부(22A) 사이)에는 소정 크기의 보강부(22B)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보강부(22B)는 설치판(20)이 프레임본체(10)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수직부(22)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프레임본체(10)의 외측면에 맞닿아 설치판(20)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판스프링(30)은 프레임본체(10)에 설치되어 탄성력(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설치판(20)을 프레임본체(10)의 전방 쪽 외측면에 밀착 유지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판스프링(3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본체(10)의 설치부(11)에 고정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는 좌우 한 쌍의 고정부(31)와, 상기 좌우 한 쌍의 고정부(31)의 사이로 서로 마주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부(32) 및 상기 연결부(32)의 자유단을 연결하면서 상기 설치판(20)과 접촉되는 지지부(33)를 포함한다.
이때 지지부(33)는 소정 길이 평면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지지부(33)에 의해 설치판(20)의 결합부(21A)에 형성된 평면부(21B)와 지지부(33)가 더욱 넓게 접촉되면서 설치판(20)이 더욱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되게 된다.
고정쇠(40)는 복수 개의 프레임본체(10)를 사각 틀 모양으로 조립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러한 고정쇠(40)는 도 2 및 도 9(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프레임본체(10)의 양단에 조립된다.
그리고 고정쇠(40)에는 복수 개의 체결공(41)이 관통 형성되고, 이러한 체결공에는 나사(42)가 각각 체결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쇠(40)의 구성에 의해 프레임본체(10)의 조립부(14)에 고정쇠(40)의 일단을 삽입한 다음 체결공(41)에 조립된 나사(42)를 조이면 나사(42)의 선단이 고정쇠(40)를 관통하여 조립부(14) 쪽으로 돌출되면서 고정쇠(40)가 조립부(14)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만큼 고정쇠(40)가 고정돌기(14A)에 밀착되게 되고, 이에 의해 고정쇠(40)는 조립부(14)에 삽입된 상태로 강건하게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를 사용하여 거울을 설치할 때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틀 모양의 구조프레임(1A, 1B, 1C, 1D) 중에서 상, 하측에 위치되는 프레임본체(10)의 설치부(11)에 판스프링(30)을 적절한 위치에 고정한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본체(10)의 원형결합돌기(13)에 설치판(20)의 결합부(21A)를 측면에서 슬라이딩 삽입하여 조립한다.
그리고 프레임본체(10)의 양단에 노출되는 조립부(14)에 각각 고정쇠(40)의 일단을 삽입하고, 나사(42)를 조여 조립구(14)에 고정쇠(40)를 고정한다.
또한, 좌, 우측에 위치되는 또 다른 프레임본체(10)의 설치부(11)에 판스프링(30)을 적절한 위치에 고정하고, 프레임본체(10)의 원형결합돌기(13)에 설치판(20)을 측면에서 슬라이딩 삽입하여 조립한다.
그런 다음, 좌, 우측에 위치되는 프레임본체(10)의 양단에 노출되는 조립부(14)에 상, 하측에 위치되는 프레임본체(10)에 설치된 고정쇠(40)의 타단을 삽입하고, 고정쇠(40)에 조립된 나사(42)를 조이면 상하좌우측 4개의 프레임본체(10)가 사각 틀 모양으로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조립된 구조프레임(1A, 1B, 1C, 1D)에 거울(1E)을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설치판(20)의 자유단을 원형결합돌기(13)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로 회전시켜 프레임본체(10)의 거울지지부(15)가 외측에서 노출되도록 하고, 이 상태에서 소정 크기로 재단된 거울(1E)을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지지부(15)에 삽입한다.
그런 다음, 설치판(20)을 다시 프레임본체(10)의 전방 쪽 외측면에 맞닿도록 소정 각도 회전시키면, 판스프링(3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설치판(20)이 자동으로 회전되면서 설치판(20)의 가압부(22A)가 거울(1E)의 전방 둘레를 가압한 상태로 유지되게 되고, 이에 의해 구조프레임(1A, 1B, 1C, 1D)에 거울(1E)이 고정된다.
이때 설치판(20)은 판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설치판(20)의 자유단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음과 동시에 프레임본체(10)의 전방 쪽 외측면을 향하여 회전되려는 힘이 상시 작용하게 되고, 이에 의해 거울지지부(15)와 설치판(20)의 가압부(22A) 사이에 거울(1E)이 유동되지 않고 강건하게 고정 유지된다.
그리고 거울(1E)에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투명부(도시하지 않음)의 위치에 맞추어 거울(1E)의 후방 쪽에 디스플레이유닛(1F)을 위치시키고, 이 상태에서 디스플레이지지부(16)에 나사(도시하지 않음)를 체결하여 디스플레이유닛(1F)의 양단을 고정하고, 이렇게 디스플레이유닛(1F)의 설치가 끝나면 조립이 완료되도록 한다.
위에서는 거울(1E)을 먼저 설치한 다음, 디스플레이유닛(1F)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디스플레이유닛(1F)이 먼저 설치된 다음 거울(1E)이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조프레임(1A, 1B, 1C, 1D) 중, 수직으로 설치되는 일측의 구조프레임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울(1E)의 후방 쪽에 설치되는 제어기(도시하지 않음)를 필요에 따라 구조프레임의 측면에서 쉽게 점검 및 교체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관통공(H)이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공(H)은 별도의 커버에 의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마트 미러의 상하좌우측 구조프레임이 각각 프레임본체와 회전 동작 가능한 설치판으로 구성되므로 사용자가 설치판을 회전시켜 거울을 쉽게 장, 탈착할 수 있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 스마트 미러 1A, 1B, 1C, 1D: 구조프레임
1E: 거울 1F: 디스플레이유닛
10: 프레임본체 11: 설치부
12: 연장부 13: 원형결합돌기
13A: 홈 14: 조립부
14A: 고정돌기 15: 거울지지부
16: 디스플레이지지부 20: 설치판
21: 수평부 21A: 결합부
21A': 절개부 21B: 평면부
22: 수직부 22A: 가압부
22B: 보강부 30: 판스프링
31: 고정부 32: 연결부
33: 지지부 40: 고정쇠
41: 체결공 42: 나사
H: 관통공

Claims (5)

  1. 스마트 미러(1)의 거울(1E)과 디스플레이유닛(1F)을 고정하는 상하좌우측 4개의 구조프레임(1A, 1B, 1C, 1D)으로 이루어지는 사각 틀 모양의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구조프레임(1A, 1B, 1C, 1D)은 각각,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양단이 45°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프레임본체(10);
    상기 프레임본체(10)와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프레임본체(10)의 전방 쪽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설치되는 설치판(20);
    상기 프레임본체(10)에 설치되면서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설치판(20)을 상기 프레임본체(10)의 전방 쪽 외측면에 밀착 유지시키는 판스프링(30) 및;
    상기 프레임본체(10)의 양단에 조립되어 복수 개의 프레임본체(10)를 사각 틀 모양으로 조립하는 "ㄱ"자 모양의 고정쇠(40);
    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본체(10)는,
    전방 쪽 하부 길이를 따라 "ㄱ"자 모양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설치부(11);
    상기 설치부(11)의 수직의 하단에 연결되면서 전방 쪽으로 수평의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는 연장부(12);
    상기 연장부(12)의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단면 모양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원형결합돌기(13);
    상기 프레임본체(10)의 후방 쪽 가운데 부분이 상기 프레임본체(10)의 내측으로 절곡되어 "ㄷ"자 모양을 가지는 조립부(14);
    상기 프레임본체(10)의 전방 쪽 상면에 전방 쪽 외측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의 길이를 가지는 거울지지부(15); 및
    상기 프레임본체(10)의 후방 쪽 외측면과 연결되어 수직의 길이를 가지는 디스플레이지지부(1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12)의 저면에는,
    상기 원형결합돌기(13)의 외측면과 연장되도록 호 형상을 가지는 소정 깊이의 홈(1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20)은,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원형결합돌기(13)와 결합되는 수평부(21); 및
    일단이 상기 수평부(21)와 연결되면서 상기 프레임본체(10)의 전방 쪽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수직부(22);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부(21)는,
    상기 수평부(21)의 선단에 위치되면서 상기 원형결합돌기(13)의 외측면에 끼움 조립되는 호 형상의 결합부(21A); 및
    상기 결합부(21A)의 외측면에 형성되면서 상기 판스프링(30)과 접촉되는 소정 폭의 평면부(21B);
    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22)는,
    상기 수직부(22)의 상부에 위치되면서 상기 프레임본체(10)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압부(22A); 및
    상기 수평부(21)와 상기 가압부(22A) 사이의 상기 수직부(22)에 형성되면서 상기 프레임본체(10)의 외측면에 맞닿도록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되는 보강부(22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30)은,
    상기 설치부(11)에 고정되는 좌우 한 쌍의 고정부(31);
    상기 좌우 한 쌍의 고정부(31)의 사이로 서로 마주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소정 길이의 연결부(32); 및
    상기 연결부(32)의 자유단을 연결하면서 상기 설치판(20)과 접촉되는 지지부(33);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33)는 소정 길이의 평면 부분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
KR1020180040542A 2018-04-06 2018-04-06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 KR102003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542A KR102003913B1 (ko) 2018-04-06 2018-04-06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542A KR102003913B1 (ko) 2018-04-06 2018-04-06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913B1 true KR102003913B1 (ko) 2019-07-25

Family

ID=67468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542A KR102003913B1 (ko) 2018-04-06 2018-04-06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9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4553A (ko) * 2020-09-11 2022-03-18 주식회사 예승 수직 기둥에 장착되는 거울용 브라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246Y1 (ko) 2003-10-08 2004-02-18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거울 조립구조
KR20060058860A (ko) * 2004-11-26 2006-06-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모듈용 마운팅프레임
KR20080001521U (ko) 2006-11-29 2008-06-03 유정규 광고 겸용 거울
KR20100004160U (ko) 2008-10-13 2010-04-22 장우창 곡률 가변 기능을 갖는 거울
KR101353510B1 (ko) 2012-08-01 2014-02-05 주식회사 뷰티인포 스마트 기능을 갖는 이미용 경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246Y1 (ko) 2003-10-08 2004-02-18 주식회사 피엠씨코리아 거울 조립구조
KR20060058860A (ko) * 2004-11-26 2006-06-0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모듈용 마운팅프레임
KR20080001521U (ko) 2006-11-29 2008-06-03 유정규 광고 겸용 거울
KR20100004160U (ko) 2008-10-13 2010-04-22 장우창 곡률 가변 기능을 갖는 거울
KR101353510B1 (ko) 2012-08-01 2014-02-05 주식회사 뷰티인포 스마트 기능을 갖는 이미용 경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4553A (ko) * 2020-09-11 2022-03-18 주식회사 예승 수직 기둥에 장착되는 거울용 브라켓
KR102515422B1 (ko) * 2020-09-11 2023-03-29 주식회사 예승 수직 기둥에 장착되는 거울용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7994B1 (ko) 평판형 디스플레이 모듈 - 하우징 어셈블리
US5355255A (en) Exterior rear view mirror for a motor vehicle
US6905103B2 (en) Display apparatus
JP5125427B2 (ja) 表示装置
US20090065667A1 (en) Monitor as a door
KR102003913B1 (ko) 스마트 미러 설치용 프레임 조립체
KR102129186B1 (ko) 고정 장치, 고정 장치 키트 및 고정 장치 키트의 용도
US5313307A (en) Casing for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 and screen mounting method
JP4316631B2 (ja) 背面投写型表示装置
US20030230954A1 (en) Cabinet fixing structure
JP4129024B2 (ja) 表示パネルの取付け構造
KR101996047B1 (ko) 디스플레이의 설치 높이 조절이 용이한 스마트 미러 조립체
KR20010031445A (ko) 벽 장착용 설비 하우징
US6332295B1 (en) Office partition wall arrangement
KR100405502B1 (ko) 하우징에의전방프레임부착장치
JP3118676U (ja) 取付装置及び該取付装置を用いた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
JP2010243719A (ja) 筐体組み立て構造及び画像表示装置
KR101857259B1 (ko) 안테나 설치용 브래킷
JP2001154082A (ja) ミラー取付構造
JP2010072499A (ja) 電子機器のスタンド取付構造
US7747161B2 (en) Camera with external flash unit
JP3979971B2 (ja) エキスパンションジョイント
KR200308870Y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KR930005671Y1 (ko) 프론트 캐비넷의 접속부 지지장치
JPH01238412A (ja) プレート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