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559B1 -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방법 - Google Patents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559B1
KR102003559B1 KR1020180129657A KR20180129657A KR102003559B1 KR 102003559 B1 KR102003559 B1 KR 102003559B1 KR 1020180129657 A KR1020180129657 A KR 1020180129657A KR 20180129657 A KR20180129657 A KR 20180129657A KR 102003559 B1 KR102003559 B1 KR 102003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olition
restoration
space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순
Priority to KR1020180129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철거/원상복구 지원 서버가, 사업공간 또는 거주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공사시에 적용되는 건축공간 공사내역, 사용자재, 및 특수공사이력을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공간정보 DB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공간정보 DB 구축 과정; 기존에 인테리어 공사된 공간에 대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의 견적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철거/원상복구 지원 서버가, 상기 공간정보 DB를 이용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산출하는 견적 산출 과정; 및 상기 철거/원상복구 지원 서버가, 산출된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철거 및 원상복구 요청한 회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견적 제공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방법{Method for building and using spatial information in demolish}
본 발명은 공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방법으로서, 철거 및 원상복구 시에 공사의 공간정보를 구축하여 이를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산업에 있어서 견적의 중요성은 익히 알려져 있으며, 특히, 건축물 철거 기획 단계에서 과거 시공된 유사건물의 통계와 물가지수를 참고하여 대략적인 비용을 산출하는데, 이는 의사결정 및 예산 범위의 설정을 위하여 중요한 사항이다.
이때, 공사의 견적을 원격에서 받는 방법은 건물 정보 및 규격화된 표준 라이브러리를 통하여 견적을 연산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건설산업이 대형화, 복잡화되어감에 따라 정보 부족으로 인한 견적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초고층 빌딩 산업의 경우 한층 더 극명하다고 할 수 있으며, 철거 공사와 같은 경우에는 대부분 개인인 비전문가가 신청을 하는 경우가 많아서, 확실한 이행보증을 받는 철거 공사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적정한 가격을 모르기 때문에 더 많은 금액을 지급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다.
특히 시공능력 미검증 소규모 리모델링 업체 난립, 소비자의 피해 역시 내면 큰 폭으로 증가한다. 이는, 철거 및 원상복구의 작업시에 비정형화, 체계성이 부족한 정보 운영에 기인한다.
따라서 철거 및 원상복구 시에 불공한 거래 패턴을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혁신 수단이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35109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철거 및 원상복구의 작업시에 비정형화, 체계성이 부족한 정보를 개선시켜, 효율적인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철거/원상복구 지원 서버가, 사업공간 또는 거주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공사시에 적용되는 건축공간 공사내역, 사용자재, 및 특수공사이력을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공간정보 DB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공간정보 DB 구축 과정; 기존에 인테리어 공사된 공간에 대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의 견적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철거/원상복구 지원 서버가, 상기 공간정보 DB를 이용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산출하는 견적 산출 과정; 및 상기 철거/원상복구 지원 서버가, 산출된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철거 및 원상복구 요청한 회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견적 제공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 DB는, 인테리어가 이루어지는 공간의 천장구조, 벽체구조, 바닥구조별로 사용된 자재 정보가 저장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공간정보 DB는, 인테리어가 이루어지는 공간 유형의 특성 조건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견적 산출 과정은, 철거 및 원상복구의 견적 요청이 이루어진 철거대상에 등록되어 있는 공사내역, 사용자재, 및 특수공사이력을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공간정보 DB에서 추출하는 공간정보 추출 과정; 및 추출한 철거대상의 공간정보를 미리 등록된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산출하는 알고리즘 적용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고리즘 적용 과정은, 추출한 철거대상의 공간정보를 미리 등록된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예상 견적을 산출하는 예상 견적 산출 과정; 추출한 철거대상의 공간정보를 빅데이터 분석에 적용하여, 빅데이터 분석에 의한 빅데이터 기반 견적을 산출하는 빅데이터 기반 견적 산출 과정;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파악되는 빅데이터 기반 견적과 상기 예상 견적 간의 차이인 견적 오차를 산출하는 견적 오차 산출 과정; 상기 견적 오차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견적 오차가 임계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을 수정하는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 수정 과정; 및 수정된 다중 선형 회귀분석 수정 알고리즘에 철거대상의 공간정보를 적용하여 실제 견적을 산출하는 실제 견적 산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 수정 과정은, 철거대상 공간 유형의 특성 조건에 따른 가중치를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알고리즘을 수정할 수 있다.
견적을 받은 후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를 진행한 고객의 단말기에 매장이전 및 매장확장 시에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전자 쿠폰을 지급하는 할인 전자 쿠폰 지급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간가치 분석기술과 IOT 기반의 기술을 활용하여 온라인 기반으로 정확한 견적을 받고 정당한 가격의 업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철거 객체의 위치, 견적 데이터 산정, 중개 시스템을 통한 철거업체와 신청자간의 협의를 통해 진행할 수 있으며, 원격에서 현장 답사를 받는 것과 같은 정확한 견적 제공 및 가격 검증을 통한 업체 비교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철거/원상복구 지원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공간 체계(Hierarchy)별로 DB화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국 공사 신청이 등록되어 공사정보가 공사현황 지도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과정들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별 자재 정보가 저장되는 예시 그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간 유형별 특성 조건을 도시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견적 산출이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예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철거/원상복구 지원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축공간 체계(Hierarchy)별로 DB화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국 공사 신청이 등록되어 공사정보가 공사현황 지도에 표시되도록 하기 위한 절차를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공간 공사내역 및 사용자재 및 특수공사이력을 DB에 저장하여, 해당 공사 이력 대상이 일정 기간 지난후(예컨대, 임대차 종료에 따른 2년후)에 철거 및 원상복구시 저장한 DB기반으로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산출하여 제공해준다.
이를 위하여 도시한 철거/원상복구 지원 서버(1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되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통신부(110), 공간정보 DB(120), 지도 제공부(130), 및 견적 산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10)는, 공사 현장의 담당자 또는 철거/원상복구 견적 요청한 고객이 사용하는 단말기와 각각 통신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서버 통신부(110)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공간정보 DB(120)는, 사업공간 또는 거주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공사시에 적용되는 건축공간 공사내역, 사용자재, 및 특수공사이력을 포함하는 공간정보가 저장되는 저장체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공사 현장에 있는 공사 관리자의 단말기로부터 인테리어 공사시에 적용되는 건축공간 공사내역, 사용자재, 및 특수공사이력을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제공받아 공간정보 DB(120)에 등록되어 저장된다. 공간정보 DB(120)에는 지역별, 공간별 DB등록 구조설정, 텍스트정보+관련이미지, 작업자정보, 업체정보, 연락처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건축공간의 10개 공간구별, Hierarchy(계층, 체계 구조)분류 및 DB구축 되도록 한다.
참고로, 공간정보 DB(120)의 저장체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지도 제공부(130)는, 공사정보 지도를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전국의 철거 및 원상복구 프로젝트를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역별 공사 현장, 현황을 표시하며, 나아가, 안전, 난이도, 공사기간, 참여 업체 등의 공사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견적 산출부(140)는, 기존에 인테리어 공사된 공간에 대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의 견적 요청이 있는 경우, 공간정보 DB(120)를 이용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산출한 후, 산출된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철거 및 원상복구 요청한 회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견적을 산출함에 있어서, 철거 및 원상복구의 견적 요청이 이루어진 철거대상에 등록되어 있는 공사내역, 사용자재, 및 특수공사이력을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공간정보 DB(120)에서 추출한 후, 추출한 철거대상의 공간정보를 미리 등록된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산출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과정들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조별 자재 정보가 저장되는 예시 그림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공간 유형별 특성 조건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견적 산출이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예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방법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업공간 또는 거주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공사시에 적용되는 건축공간 공사내역, 사용자재, 및 특수공사이력을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공간정보 DB(120)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공간정보 DB 구축 과정(S510)과, 기존에 인테리어 공사된 공간에 대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의 견적 요청이 있는 경우, 공간정보 DB(120)를 이용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산출하는 견적 산출 과정(S520)과, 산출된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철거 및 원상복구 요청한 회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견적 제공 과정(S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할인 전자 쿠폰 지급 과정(S5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하기로 한다.
공간정보 DB 구축 과정(S510)은, 철거/원상복구 지원 서버(100)가, 사업공간 또는 거주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공사시에 적용되는 건축공간 공사내역, 사용자재, 및 특수공사이력을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공간정보 DB(120)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공간정보 DB(12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테리어가 이루어지는 공간의 천장구조, 벽체구조, 바닥구조별로 사용된 자재 정보가 저장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따라서 구조별 자재 정보가 일목요연하게 DB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나아가 공간정보 DB(120)는, 인테리어가 이루어지는 7개의 공간 유형의 특성 조건별로 데이터베이스로서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점의 경우 주방이라는 특성 조건에 따른 자재 정보가 DB화될 수 있으며, 사무실의 경우 가설벽, 비품이라는 특성 조건에 따른 자재 정보가 DB화될 수 있다.
견적 산출 과정(S520)은, 기존에 인테리어 공사된 공간에 대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의 견적 요청이 있는 경우, 철거/원상복구 지원 서버(100)가, 공간정보 DB(120)를 이용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산출하는 과정이다.
견적 제공 과정(S530)은, 철거/원상복구 지원 서버(100)가, 산출된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철거 및 원상복구 요청한 회원의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견적 제공을 통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 업체를 중개해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비자는, 자신의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철거 대상의 건물을 선택한 후, 용도, 평수, 층수를 차례로 입력하여, 견적을 산출받을 수 있게 된다.
참고로, 철거대상의 견적을 산출하는 단말기를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지만,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인 전자 쿠폰 지급 과정(S540)은, 견적을 받은 후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를 진행한 고객의 단말기에 매장이전 및 매장확장 시에 사용할 수 있는 할인 전자 쿠폰을 지급하는 과정이다. 고객을 사전에 확보하는 차원에서, 철거 및 원상복구 진행한 고객에게 추후에 매장이전 및 매장확장 시에 공사비를 할인받을 수 있는 할인 전자 쿠폰을 지급해주는 것이다.
한편, 견적 산출 과정(S520)은, 공간정보 추출 과정(S521)과 알고리즘 적용 과정(S522)을 포함할 수 있다.
공간정보 추출 과정(S521)은, 철거 및 원상복구의 견적 요청이 이루어진 철거대상에 등록되어 있는 공간정보를 공간정보 DB(120)에서 추출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공간정보라 함은, 공사내역, 사용자재, 및 특수공사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신청자(고객)으로부터 '철거 대상' 정보를 입력받게 되면, 입력되는 철거 대상의 공간정보(공사내역, 사용자재, 및 특수공사이력 등)을 공간정보 DB(120)에서 추출하는 것이다.
알고리즘 적용 과정(S522)은, 추출한 철거대상의 공간정보를 미리 등록된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의 데이터 마이닝에 적용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산출하는 과정이다. 여기서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algorithm)이라 함은, 공지되어 있는 하기의 회귀분석 알고리즘 식을 말한다.
Figure 112018106513223-pat00001
공지된 바와 같이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은,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출력변수, 반응변수) Y와 예측변수(PREDICTOR:독립변수, 입력변수, 회귀변수, 공변량)군인 x1,x2,x....xp 사이의 선형 관계를 적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분석 알고리즘이다.
전통적인 통계에서는 제한된 데이터로부터 결론을 유도하고 그 결론이 얼마나 신뢰할 만한가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의 데이터마이닝에서는 데이터가 일반적으로 풍부하기 때문에 모형에 대한 성과와 신뢰성은 새로운 데이터를 모형에 적용함으로써 쉽게 입증될 수 있다.
나아가 알고리즘 적용 과정(S522)은,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을 통해 산출되는 견적을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산출되는 견적과 오차 범위내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를 위하여 알고리즘 적용 과정(S522)은,추출한 철거대상의 공간정보를 미리 등록된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예상 견적을 산출하는 예상 견적 산출 과정(S5221)과, 추출한 철거대상의 공간정보를 빅데이터 분석에 적용하여, 빅데이터 분석에 의한 빅데이터 기반 견적을 산출하는 빅데이터 기반 견적 산출 과정(S5222)과,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파악되는 빅데이터 기반 견적과 예상 견적 간의 차이인 견적 오차를 산출하는 견적 오차 산출 과정(S5223)과, 견적 오차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견적 오차가 임계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을 수정하는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 수정 과정(S5224)과, 수정된 다중 선형 회귀분석 수정 알고리즘에 철거대상의 공간정보를 적용하여 실제 견적을 산출하는 실제 견적 산출 과정(S5225)을 가진다.
즉, 산출한 예상 견적과 실제 견격가의 비교 분석을 통한 빅데이터 기반한 오차 범위를 계산하고, 이러한 오차 범위 내에 견적이 산출되도록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을 수정하여, 수정한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견적을 산출하도록 하여, 소비자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 수정 과정(S5224)은, 철거대상 공간 유형의 특성 조건(핵심 조건)에 따른 가중치를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알고리즘을 수정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식점의 경우 주방이라는 특성 조건에 따른 자재 정보가 있을 수 있으며, 사무실의 경우 가설벽, 비품이라는 특성 조건에 따른 자재 정보가 있을 수 있는데, 철거대상이 주방일 경우, 주방의 바닥, 주방집기, 덕트, 오폐수관을 철거시키기 위한 추가 공사비용 등의 가중치를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수정하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철거 대상의 특성 조건에 맞는 맞춤형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정확한 견적이 산출될 수 있다.
결국, 철거 및 원상복구 신청자와 관련 회사(철거 시공, 자재, 인력공급, 폐기물) 파트너스 모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고객이 원하는 니즈와 알맞은 업체에 대한 정보 제공 및 매칭 서비스가 가능해지며, 검색, 분석, 매칭, 추천, 정산, 회원, 통계, 데이터 로그 수집, 지역 ASP 기능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철거/원상복구 지원 서버
110:서버 통신부
120:공간정보 DB
130:지도 제공부
140:견적 산출부

Claims (7)

  1. 철거/원상복구 지원 서버가, 사업공간 또는 거주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공사시에 적용되는 건축공간 공사내역, 사용자재, 및 특수공사이력을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공간정보 DB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공간정보 DB 구축 과정;
    기존에 인테리어 공사된 공간에 대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의 견적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철거/원상복구 지원 서버가, 상기 공간정보 DB를 이용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산출하는 견적 산출 과정; 및
    상기 철거/원상복구 지원 서버가, 산출된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철거 및 원상복구 요청한 회원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견적 제공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공간정보 DB는, 인테리어가 이루어지는 공간의 천장구조, 벽체구조, 바닥구조별로 사용된 자재 정보가 저장되며, 인테리어가 이루어지는 공간 유형의 특성 조건별로 데이터베이스화되고,
    상기 견적 산출 과정은,
    철거 및 원상복구의 견적 요청이 이루어진 철거대상에 등록되어 있는 공사내역, 사용자재, 및 특수공사이력을 포함하는 공간정보를 공간정보 DB에서 추출하는 공간정보 추출 과정-상기 공간정보는 공사내역, 사용자재 및 특수공사이력을 포함함-; 및
    추출한 철거대상의 공간정보를 미리 등록된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철거 및 원상복구 견적을 산출하는 알고리즘 적용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알고리즘 적용 과정은,
    추출한 철거대상의 공간정보를 미리 등록된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예상 견적을 산출하는 예상 견적 산출 과정;
    추출한 철거대상의 공간정보를 빅데이터 분석에 적용하여, 빅데이터 분석에 의한 빅데이터 기반 견적을 산출하는 빅데이터 기반 견적 산출 과정;
    빅데이터 분석에 의해 파악되는 빅데이터 기반 견적과 상기 예상 견적 간의 차이인 견적 오차를 산출하는 견적 오차 산출 과정;
    상기 견적 오차가 미리 설정된 임계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견적 오차가 임계 오차 범위 내에 존재하도록 상기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을 수정하는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 수정 과정; 및
    수정된 다중 선형 회귀분석 수정 알고리즘에 철거대상의 공간정보를 적용하여 실제 견적을 산출하는 실제 견적 산출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 수정 과정은, 철거대상 공간의 유형의 특성 조건에 따른 가중치를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알고리즘을 수정하는 과정이고, 상기 철거대상 공간이 주방인 경우에 상기 주방의 바닥, 주방집기, 덕트 및 오폐수관을 철거하기 위한 추가 공사비용에 대한 가중치를 상기 다중 선형 회귀분석 알고리즘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129657A 2018-10-29 2018-10-29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방법 KR102003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657A KR102003559B1 (ko) 2018-10-29 2018-10-29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657A KR102003559B1 (ko) 2018-10-29 2018-10-29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559B1 true KR102003559B1 (ko) 2019-07-24

Family

ID=67481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657A KR102003559B1 (ko) 2018-10-29 2018-10-29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822B1 (ko) * 2019-08-01 2020-07-16 주식회사 더순 철거공사 qr코드 쿠폰 제공 및 결제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439A (ko) * 2003-08-06 2005-02-21 이영미 인터넷을 이용한 인테리어 정보 및 서비스 방법
KR101173158B1 (ko) * 2012-01-04 2012-09-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적 시설개요 생성을 기반으로 한 도시재생사업의 사업비 및 사업기간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35109B1 (ko) 2013-02-22 2013-12-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을 이용한 골조 공사의 개산견적 연산 방법
JP2016021205A (ja) * 2014-07-16 2016-02-04 住友林業株式会社 リフォーム工事費用積算システム
KR101816609B1 (ko) * 2017-06-02 2018-01-10 원상훈 철거 공사 견적 및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5439A (ko) * 2003-08-06 2005-02-21 이영미 인터넷을 이용한 인테리어 정보 및 서비스 방법
KR101173158B1 (ko) * 2012-01-04 2012-09-1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적 시설개요 생성을 기반으로 한 도시재생사업의 사업비 및 사업기간 예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35109B1 (ko) 2013-02-22 2013-12-0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을 이용한 골조 공사의 개산견적 연산 방법
JP2016021205A (ja) * 2014-07-16 2016-02-04 住友林業株式会社 リフォーム工事費用積算システム
KR101816609B1 (ko) * 2017-06-02 2018-01-10 원상훈 철거 공사 견적 및 중개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822B1 (ko) * 2019-08-01 2020-07-16 주식회사 더순 철거공사 qr코드 쿠폰 제공 및 결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1820B2 (en) Program managed design for complex construction projects
US20230138551A1 (en) Green building system and method
US202002580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home automation services
CN106020715A (zh) 存储池容量管理
KR101994454B1 (ko) 업무 분배 및 평가 방법
US9292363B2 (en) Predicting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consumption using social networks
KR20190081197A (ko) 인테리어 토탈 서비스 관리 시스템
KR102379322B1 (ko) 온라인 기반 건축 자재 경매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201902365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resource capacity with client resource needs
Arashpour et al. Framework for improving workflow stability: Deployment of optimized capacity buffers in a synchronized construction production
KR102464663B1 (ko) 인테리어 서비스 시스템 및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3559B1 (ko) 철거 및 원상복구 공사 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 방법
WO2014054232A1 (ja) 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方法および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プログラム
CN114997414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JP2016192176A (ja) セキュリティ対策支援装置およびセキュリティ対策支援方法
WO2014054231A1 (ja) 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装置、情報システム構築支援方法および記憶媒体
CN115422933B (zh) 一种成本数据提取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1641517A (zh) 同质网络的社群划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11165599B2 (en) Cognitive component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KR20180042726A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 방법 및 장치
US20160012450A1 (en) Identification of alternate modes of customer service based on indoor positioning system detection of physical customer presence
CN113901051A (zh) 生成WebGL数据的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2312363B1 (ko) 수의 계약으로 건축 공사에 대한 시공사를 선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014843A (ko) 인테리어 이미지 상의 태그 라벨링을 통한 견적 이미지 제공 방법
KR20220067350A (ko) 건축설계를 위한 실내재료마감표 작성 자동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