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555B1 -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 - Google Patents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555B1
KR102003555B1 KR1020180067774A KR20180067774A KR102003555B1 KR 102003555 B1 KR102003555 B1 KR 102003555B1 KR 1020180067774 A KR1020180067774 A KR 1020180067774A KR 20180067774 A KR20180067774 A KR 20180067774A KR 102003555 B1 KR102003555 B1 KR 102003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lock
lifting
coupled
support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정윤
Original Assignee
최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인 filed Critical 최병인
Priority to KR1020180067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 벽면에 지지되는 제1,2등받이부재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하 승강시킴으로써, 사용자인 장애인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애인 좌변기에 설치되는 등받이장치를 덮개가 있는 좌변기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Device for supporting a back in a toilet bowel}
본 발명은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장실 벽면에 지지되는 제1,2등받이부재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하 승강시킴으로써, 사용자인 장애인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애인 좌변기에 설치되는 등받이장치를 덮개가 있는 좌변기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화장실에서 앉은 상태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시설물으로서, 이러한 좌변기의 구성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앉기에 적합한 높이의 좌변기 본체가 화장실의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여기서 좌변기 본체는 오물을 받는 보울을 구비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의 후방에 좌대와 덮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좌대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여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용도이며, 덮개는 필요 시 본체에 형성되는 보울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기 위한 용도이다
이러한 좌변기는 통상 정상인들이 사용하는 것이며, 하체의 힘이 약한 노약자 또는 하체를 사용하지 못해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이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따르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각종 공중시설에는 장애인용 화장실이 별도로 마련되어 장애인들이 불편 없이 용변을 볼 수 있도록 배려하고 있다.
이러한 장애인용 화장실에는 행동이 부자연스러운 장애인을 고려하여 용변을 보고 난 뒤 장애인을 감지하여 수세밸브를 자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센서가 장착되어 있는 데, 이때 센서는 통상 좌변기 본체 뒤쪽 벽면에 장착되어 좌변기의 좌대에 착석한 장애인을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장애인용 화장실에는 좌변기에 구비되어 있는 덮개가 사용과정에서 세워지고 나면 좌변기 본체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센서를 가려주게 됨으로서 센서의 동작에 방해를 주지 않도록 않도록 제거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장애인용 화장실의 경우에는 언급한 바와 같이 덮개를 포함한 센서를 가려줄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사용할 수 없음으로서 특히, 장애인이 용변을 보는 과정에서 등을 기댈 수 있는 등받이 자체를 설치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여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기존 장애인용 좌변기 등받이장치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78798호 "장애인 화장실의 좌변기용 등받이"(공개일자 : 2015.07.0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의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좌변기에 착석한 장애인의 등을 받쳐주는 장애인 화장실의 좌변기용 등받이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의 후방 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에 설치되며 상기 좌변기에 착석한 장애인을 감지하여 세척수공급관을 개폐시키는 밸브를 동작시켜 상기 좌변기로 세척수를 자동 공급하도록 하는 센서, 상기 지지플레이트 전면에 서포트를 사이에 두고 연결 설치되며 상기 좌변기에 착석한 장애인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플레이트 및 상기 등받이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에서 발산되는 센서광을 통과시켜 상기 센서가 상기 등받이플레이트에 기대어 있는 장애인을 감지하도록 하는 센서광 통과구멍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기존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1-1641892호 "등받이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장애인 양변기용 등받이 장치"(등록일자 : 2016.07.18)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형성되는 지지대 평판부와, 양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쿠션 평판부와, 상기 지지대 평판부와 쿠션 평판부 사이에 형성되는 평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대 평판부에는 한 쌍의 수평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쿠션 평판부에는 수직 슬릿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 평판부와 평면부 사이에는 제1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평면부와 쿠션 평판부 사이에는 제2 절곡부가 형성된 것이다.
그런데, 기존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는 화장실 벽면에 고정된 구조이므로, 센서 위치를 변경하더라도 등받이와 덮개와의 간섭 때문에 등받이를 덮개가 제거된 좌변기에만 한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덮개를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상관없이 일정 높이에서만 사용할 수 밖에 없으므로 신체 조건이 남다른 성인이나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화장실의 사용이 완료된 후에 물내림밸브를 사용할 경우 등받이가 물내림밸브의 전면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물내림밸브 사용시 등받이를 피해서 물내림밸브를 동작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78798호 "장애인 화장실의 좌변기용 등받이"(공개일자 : 2015.07.0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1-1641892호 "등받이 브라켓 및 이를 구비한 장애인 양변기용 등받이 장치"(등록일자 : 2016.07.18)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화장실 벽면에 지지되는 제1,2등받이부재의 높이가 가변되도록 상,하 승강시킴으로써, 사용자인 장애인의 신체 조건에 적합하도록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애인 좌변기에 설치되는 등받이장치를 덮개가 있는 좌변기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부가 화장실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바와, 상기 고정바의 타단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지지되는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승강수단에 의해 상기 지지바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되어 승강동작되는 승강블록과, 상기 승강블록에 일단부가 끼워지도록 고정되며 타단부가 자유단이 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에 후면부가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2등받이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바의 개구된 일면에 결합되는 분할면과, 상기 분할면과 상기 지지바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와, 상기 지지바의 하부에 대해 상기 분할면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분할면과 지지바의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부재, 및 상기 지지바와 상기 분할면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을 구비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바의 내측에 내장되고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자석부재와, 상기 승강블록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자석부재와 자성에 의해 부착되도록 다른 극을 갖는 제2자석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바와 분할면에 접촉되도록 승강블록의 상,하 테두리 부위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롤러베어링을 더 구비하거나,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지지바의 일측면과 타측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는 승강홈과, 상기 승강블록의 내측 테두리 중간에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승강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베어링을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승강블록의 전면에는 커버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의 전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더 구비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2고정바(110,120)로 구성된 고정바(100)의 길이조절 작업을 통해 화장실의 벽면으로부터 제1,2등받이부재(510,520)의 이격 거리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바(200)와 분할면(610)에 대해 승강블록(300)의 상,하 승강동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덮개(15)가 있는 좌변기의 경우 덮개(15)를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물내림밸브(20)의 사용시 제1,2등받이부재(510,520)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 승강수단(600)은 승강블록(300)이 상부 위치에 있을 때 스프링부재(630)의 탄성력에 의해 분할면(610)의 하부가 분할면(610)의 상부보다 더 외측으로 튀어나오게 되어 분할면(610)이 경사각을 가지게 되므로, 승강블록(300)에 아무런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도 승강블록(300)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려오지 않도록 승강블록(300)의 하강동작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제1,2등받이부재(510,520)의 높이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 승강수단(600)은 지지바(200)와 분할면(610)에 접촉되도록 승강블록(300)의 상,하 테두리 부위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롤러베어링(650)을 더 구비함으로써, 승강블록(300)의 승강동작을 원만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승강수단(600A)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1,2등받이부재(510,520)가 지지된 승강블록(300)을 지지바(200)에 대해 상,하 승강시킬 수 있으며, 제1,2자석부재(660,670)의 자력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원하는 높이에 승강블록(3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승강수단을 나타낸 지지바와 분할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스프링부재에 의해 분할면의 하부가 경사각을 갖도록 상부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케이싱이 제거된 승강블록 및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승강수단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 승강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의 일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단부가 화장실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바(100)와, 상기 고정바(100)의 타단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지지되는 지지바(200)와, 상기 지지바(20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승강수단(600)에 의해 상기 지지바(200)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되어 승강동작되는 승강블록(300)과, 상기 승강블록(300)에 일단부가 끼워지도록 고정되며 타단부가 자유단이 되는 연결바(400), 및 상기 연결바(400)에 후면부가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2등받이부재(510,520)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바(100)는 일단부가 화장실의 벽면에 볼팅 결합으로 일체로 고정되고, 타단부는 지지바(200)의 상,하부를 연결브라켓(140)으로 각각 감싸도록 결합되며, 볼트를 이용하여 연결브라켓(140)과 지지바(200)를 연결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고정바(100)는 일단부에 화장실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볼트가 관통 체결되도록 고정브라켓(12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바(100)는 상,하측에 서로 이격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고정바(100)들의 서로 이격된 높이는 상기 승강블록(300)의 승강 높이를 일정 범위로 제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바(100)는 상기 연결브라켓(140)이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지지바(200)에 결합되는 제1고정바(110)와, 상기 제1고정바(110)의 내부에 결합되어 외측으로 텔레스코픽 가능하게 인출 가능하며 고정브라켓(125)이 단부에 형성된 제2고정바(120), 및 상기 제2고정바(120)를 제1고정바(110)에 고정시키는 연결볼트(130)로 구성되어서, 상기 제1,2고정바(110,120)의 합한 길이를 신축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200)는 상기 고정바(100)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되게 배치되고 일면이 개구된 사각 파이프 단면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승강블록(300)은 상기 지지바(200)의 외주를 감싸는 블록 형태로 결합되며, 전면에 상기 연결바(400)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승강블록(300)은 롤러베어링(650)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케이싱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200)는 상기 승강블록(300)의 상측 이동시 롤러베어링(650)과 간섭되어 스톱퍼 기능을 수행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외측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스톱퍼홈(202)이 더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스톱퍼홈(202)은 상기 지지바(200)의 일면 중 하나 또는 복수면에 각각 오목하게 형성되어 롤러베어링(650)과의 마찰 간섭에 의해 승강블록(300)을 스톱퍼홈(202)이 형성된 정위치에 정지시키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수단(600)은 상기 지지바(200)의 개구된 일면에 결합되는 분할면(610)과, 상기 분할면(610)과 상기 지지바(20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620)와, 상기 지지바(200)의 하부에 대해 상기 분할면(610)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분할면(610)과 지지바(200)의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부재(630), 및 상기 지지바(200)와 상기 분할면(610)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640)을 구비한다.
상기 분할면(610)은 "ㄷ"자 형태로 형성된 지지바(200)의 개구된 일면 부위를 마감하도록 결합되고, 내측 좌,우 양측 테두리가 내측으로 절곡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힌지핀(640)은 상기 지지바(200)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함과 아울러, 상기 분할면(610)의 좌,우 양측 절곡부위를 관통하여 핀 연결됨으로써, 상기 분할면(610)이 상기 지지바(20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핀(640)은 분할면(610)의 하부가 스프링부재(630)에 의해 외측으로 튀어나와 분할면(610)의 하부가 상부에 대해 경사각을 갖도록 회전 가능한 위치(분할면(610)의 상단부)에 핀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부재(630)는 지지바(200)의 하부와 분할면(610) 사이에 내장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분할면(610)의 하부를 외측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분할면(610)이 상기 힌지핀(640)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지지바(200)에 대해 분할면(610)의 상부와 하부가 경사각을 갖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볼트(620)는 분할면(610)과 지지바(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분할면(610)과 지지바(200)의 하단부를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프링부재(630)에 의해 분할면(610)의 하부가 지지바(200)의 외측으로 돌출되더라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부재(630)가 지지바(200)의 하부에 배치됨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할면(610)의 하부가 분할면(610)의 상부에 대해 경사진 경사각(θ)을 갖도록 외측으로 더 돌출됨으로써, 승강블록(300)이 분할면(610)과 지지바(200)의 상부에서 위치할 경우 승강블록(300)의 내측 테두리 부위가 경사진 각도를 갖는 분할면(610)에 간섭되면서 승강블록(300)이 쉽게 하강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수단(600)은 상기 지지바(200)와 분할면(610)에 접촉되도록 승강블록(300)의 상,하 테두리 부위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롤러베어링(65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롤러베어링(650)은 승강블록(300)의 좌,우 및 상,하 내측 테두리에 배치되어 승강블록(300)의 상,하 방향 슬라이딩 동작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베어링(650)은 승강블록(300)의 좌,우 및 상,하 내측 테두리에 총 8개로 구비되어 있으나, 안정적인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도록 지지바(20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접촉되는 롤러베어링(65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연결바(400)는 일단이 승강블록(300)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타단이 자유단이 되어 제1,2등받이부재(510,520)의 후면부위에 끼워져 지지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바(400)는 상기 승강블록(300)의 전면과 커버(350)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승강블록(300)의 전면과 커버(350)의 서로 접하는 면에는 상기 연결바(400)의 형태와 대응되는 끼움홈(305,355)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연결바(400)는 원형 파이프 또는 사각 파이프 형태로 구성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커버(350)는 승강블록(300)의 전면에 볼트로 체결되며, 전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52)가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손잡이(3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부(352a)가 암나사산이 내주면에 형성된 커버(350)의 체결공(351)에 체결되며, 상기 체결부(352a)의 단부가 상기 연결바(400)에 접촉되어 상기 연결바(400)를 고정할 수 있으므로, 체결부(352a)와 체결공(351)의 체결상태 해제시 상기 연결바(400)를 좌,우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제1,2등받이부재(510,520)의 좌,우 위치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2등받이부재(510,520)는 인체의 신체 후면 곡률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형성되며, 서로 좌,우 대칭되는 구조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일 실시 예의 조립과정을 먼저 설명하면, 고정브라켓(125)을 매개로 고정바(100)의 일단부를 화장실 벽면에 고정시키도록 볼팅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바(100)의 타단부에 마련된 연결브라켓(140)을 이용하여 고정바(100)를 지지바(200)의 상,하부에 연결시켜 상기 지지바(200)가 상기 고정바(10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도록 배치시킨다.
이때, 상기 지지바(200)에는 지지바(200)의 외주를 감싸도록 결합된 승강블록(300)이 상,하 승강가능하게 결합되며, 승강블록(300)의 전면에 연결바(400)를 끼우기 위해 커버(350)가 볼팅 결합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손잡이(352)를 파지한 상태로 상,하로 승강블록(300)을 당기거나 밀어 올리면, 승강블록(300)이 지지바(200)의 외주를 감싼 상태로 롤러베어링(650)에 의해 구름 운동되어 상,하 승강동작된다.
또한, 상기 승강블록(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부재(630)의 탄성력에 의해 분할면(610)의 하부가 상부에 비해 외측으로 더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분할면(610)의 상부와 하부가 경사각을 갖도록 배치됨에 따라 승강블록(300)의 내측 테두리 부위가 경사진 분할면(610)에 접촉되면서 간섭되어 승강블록(300)의 하강동작을 억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블록(300)을 하측으로 하강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잡이(352)를 잡고 하측으로 끌어 내리는 힘이 분할면(610)과의 간섭력보다 더 큰 힘으로 작용하게 되어 승강블록(300)의 하강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지지바(200)와 분할면(6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승강블록(300)의 내측이 분할면(610)을 가압하여 스프링부재(630)를 수축시키게 된다.
한편, 하부에 위치한 승강블록(300)을 다시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될 경우에는 분할면(610)의 하부에 내장된 스프링부재(630)의 탄성력에 의해 분할면(610)의 하부가 외측으로 튀어 나오게 됨에 따라 분할면(610)의 상,하부가 경사진 각도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마찰이 약한 분할면(610)의 경사면을 따라 승강블록(300)이 상승하게 되어 적은 힘으로도 승강블록(300)을 상측으로 밀어 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승강블록(300)의 승강동작시 롤러베어링(650)은 분할면(610)과 지지바(200)의 외면을 타고 구름운동되어 승강블록(300)의 승강동작을 가이드하게 된다.
상기 롤러베어링(650)은 지지바(200)의 외면 중 일면 또는 복수면(도면상의 좌측면과 전면)에 접촉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승강블록(300)이 상부에 위치하게 될 경우에는 덮개(15)가 있는 좌변기(10)에서는 덮개(15)를 자유롭게 닫거나 열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덮개(15)와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화장실의 측면벽에 배치하거나, 덮개(15) 후방의 화장실 벽면에 제1,2등받이부재(510,520) 사이로 센서신호가 통과하도록 센서 위치를 배치시켜 센서와 제1,2등받이부재(510,520)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고정바(110,120)로 구성된 고정바(100)의 길이조절 작업을 통해 화장실의 벽면으로부터 제1,2등받이부재(510,520)의 이격 거리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바(200)와 분할면(610)에 대해 승강블록(300)의 상,하 승강동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덮개(15)가 있는 좌변기(10)의 경우 덮개(15)를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물내림밸브(20)의 사용시 제1,2등받이부재(510,520)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승강수단(600)의 스프링부재(63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블록(300)이 상부 위치에 있을 때 분할면(610)의 하부가 분할면(610)의 상부보다 더 외측으로 튀어나오게 되어 분할면(610)이 경사각을 가지게 되므로, 승강블록(300)에 아무런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도 승강블록(300)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려오지 않도록 승강블록(300)의 하강동작을 예방할 수 있게 되어 제1,2등받이부재(510,520)의 높이를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 일 실시 예의 승강수단(600)은 지지바(200)와 분할면(610)에 접촉되도록 승강블록(300)의 상,하 테두리 부위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롤러베어링(650)을 더 구비함으로써, 승강블록(300)의 승강동작을 원만하게 가이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승강수단의 다른 실시 예로서, 승강수단(600A)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동일 부호를 기재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선 실시 예의 승강수단(600) 중 스프링부재(630)가 생략된다.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의 승강수단(600A)은 지지바(200)의 내측에 내장되고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자석부재(660)와, 상기 승강블록(3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자석부재(660)와 자성에 의해 부착되도록 다른 극을 갖는 제2자석부재(670)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제1자석부재(660)는 지지바(200)에 내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자석부재(670)는 상기 지지바(200)의 외면과 접하는 승강블록(300)의 내측 중 일면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제1,2자석부재(660,670)의 사이에 지지바(200)가 개재되는 배치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자석부재(660)는 상기 승강블록(300)의 승강동작시 제2자석부재(670)에 부착된 상태로 지지바(200)의 내부에서 승강블록(300)의 상,하 움직임에 연동되어 같이 승강동작된다.
상기 제1,2자석부재(660,670)는 서로 다른 자석의 극을 갖도록 함으로써, 제1,2자석부재(660,670)의 자력으로 승강블록(300)이 하강되지 않도록 높이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자석부재(660)는 지지바(20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자석부재(670)를 구비한 승강블록(300)의 움직임에 따라 같이 승강동작되면서 승강블록(300)을 간편하게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블록(300)은 사용자가 손잡이(352)를 파지한 상태로 제1,2자석부재(660,670)의 자력보다 더 큰 힘으로 누르거나 밀어 올릴 경우 지지바(200)에 대해 승강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 승강수단의 다른 실시 예에도 앞서와 설명한 바와 같이, 승강블록(300)의 상,하 승강동작시 승강블록(300)을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승강블록(300)의 좌,우 및 상,하 내측 테두리에 롤러베어링(650)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승강수단(600A)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제1,2등받이부재(510,520)가 지지된 승강블록(300)을 지지바(200)에 대해 상,하 승강시킬 수 있으며, 제1,2자석부재(660,670)의 자력을 이용하여 원하는 높이에 간편하게 승강블록(3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앞서와 동일하게 제1,2고정바(110,120)로 구성된 고정바(100)의 길이조절 작업을 통해 화장실의 벽면으로부터 제1,2등받이부재(510,520)의 이격 거리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바(200)와 분할면(610)에 대해 승강블록(300)의 상,하 승강동작이 가능하게 되므로 덮개(15)가 있는 좌변기(10)의 경우 덮개(15)를 열고 닫을 수 있으며, 물내림밸브(20)의 사용시 제1,2등받이부재(510,520)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도 7은 본 발명 승강수단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선 실시 예들과는 달리 롤러베어링(650)을 지지바(200)의 좌측면 및 분할면(610)에 배치되도록 지지바(200)의 일측면과 상기 분할면(610)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는 승강홈(680)과, 승강블록(300)의 내측 테두리 중간에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승강홈(68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베어링(650)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롤러베어링(650)은 승강블록(3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승강홈(680)에 각각 접촉되도록 수용된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에는 앞서 실시 예들보다 롤러베어링(650)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롤러베어링(650)이 지지바(200)의 전면이나 후면에 더 설치될 경우 3면 지지방식으로 승강블록(300)의 유동을 억제하면서 안정적으로 승강블록(300)의 상,하 슬라이딩 동작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좌변기 15 : 덮개
20 : 물내림밸브 100 : 고정바
110 : 제1고정바 120 : 제2고정바
130 : 연결볼트 140 : 연결브라켓
200 : 지지바 202 : 스톱퍼홈
300 : 승강블록 305,355 : 끼움홈
350 : 커버 351 : 체결공
352 : 손잡이 352a : 체결부
400 : 연결바 510,520 : 제1,2등받이부재
600,600A : 승강수단 610 : 분할면
620 : 고정볼트 630 : 스프링부재
640 : 힌지핀 650 : 롤러베어링
660 : 제1자석부재 670 : 제2자석부재
680 : 승강홈

Claims (6)

  1. 일단부가 화장실 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바(100)와,
    상기 고정바(100)의 타단부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지지되는 사각 파이프 단면 구조의 지지바(200)와,
    상기 지지바(20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승강수단(600)에 의해 상기 지지바(200)의 외주를 따라 슬라이딩 동작되어 승강동작되는 승강블록(300)과,
    상기 승강블록(300)에 일단부가 끼워지도록 고정되며 타단부가 자유단이 되는 연결바(400), 및
    상기 연결바(400)에 후면부가 끼워지도록 결합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2등받이부재(510,5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600)은 상기 지지바(200)의 개구된 일면에 결합되는 분할면(610)과,
    상기 분할면(610)과 상기 지지바(20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620)와,
    상기 지지바(200)의 하부에 대해 상기 분할면(610)의 하부를 탄성 지지하도록 상기 분할면(610)과 지지바(200)의 내부에 내장된 스프링부재(630), 및
    상기 지지바(200)와 상기 분할면(610)의 상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64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600A)은 상기 지지바(200)의 내측에 내장되고 상,하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자석부재(660)와,
    상기 승강블록(300)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자석부재(660)와 자성에 의해 부착되도록 다른 극을 갖는 제2자석부재(67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600)(600A)은 상기 지지바(200)와 분할면(610)에 접촉되도록 승강블록(300)의 상,하 테두리 부위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복수의 롤러베어링(65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600)은 상기 지지바(200)의 일측면과 상기 분할면(610)의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각각 형성되는 승강홈(680)과,
    상기 승강블록(300)의 내측 테두리 중간에 공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승강홈(68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베어링(65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블록(300)의 전면에는 커버(350)가 결합되고, 상기 커버(350)의 전면에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352)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
KR1020180067774A 2018-06-12 2018-06-12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 KR102003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774A KR102003555B1 (ko) 2018-06-12 2018-06-12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774A KR102003555B1 (ko) 2018-06-12 2018-06-12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555B1 true KR102003555B1 (ko) 2019-07-24

Family

ID=6748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774A KR102003555B1 (ko) 2018-06-12 2018-06-12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55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134B1 (ko) * 2019-11-08 2021-03-23 최병현 좌변기용 승강형 등받이
KR102372562B1 (ko) 2021-11-01 2022-03-10 한국토지주택공사 화장실 대변기 커버 개폐를 위한 스마트 등받이
KR102372559B1 (ko) 2021-11-01 2022-03-10 한국토지주택공사 화장실 대변기용 스마트 덮개 개폐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099A (ja) * 1998-07-16 2000-02-02 Yaskawa Electric Corp 交流電動機の可変速制御装置
KR20150078798A (ko) 2013-12-31 2015-07-08 박만식 장애인 화장실의 좌변기용 등받이
KR20170094525A (ko) * 2017-07-31 2017-08-18 성판원 화장실용 안전 보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7099A (ja) * 1998-07-16 2000-02-02 Yaskawa Electric Corp 交流電動機の可変速制御装置
KR20150078798A (ko) 2013-12-31 2015-07-08 박만식 장애인 화장실의 좌변기용 등받이
KR20170094525A (ko) * 2017-07-31 2017-08-18 성판원 화장실용 안전 보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134B1 (ko) * 2019-11-08 2021-03-23 최병현 좌변기용 승강형 등받이
KR102372562B1 (ko) 2021-11-01 2022-03-10 한국토지주택공사 화장실 대변기 커버 개폐를 위한 스마트 등받이
KR102372559B1 (ko) 2021-11-01 2022-03-10 한국토지주택공사 화장실 대변기용 스마트 덮개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3555B1 (ko)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
US5517704A (en) Combined commode and shower chair apparatus
KR101352684B1 (ko) 거동 불편자용 목욕의자
US4941218A (en) Seat structure for easy access to bathtubs
CN210631416U (zh) 一种多功能轮椅床
KR101301874B1 (ko) 암레스트를 구비한 양변기
US5498064A (en) Seat unit
KR102035211B1 (ko) 좌변 보조장치
US20070151007A1 (en) Seat lifter
KR20090097510A (ko) 노인과 환자를 위한 좌변기
US7540040B2 (en) Bedside care unit
JP5105129B2 (ja) 介護用車椅子
JP7461657B2 (ja) 傾倒防止具
TWM585616U (zh) 移位椅
JP4855804B2 (ja) 階段昇降機の着座装置
KR102135066B1 (ko) 베리어 프리 변기 시트
EP4082503B1 (en) Movable support device for people
KR102597868B1 (ko) 안전 시트
JP2012152255A (ja) ペーパーホルダー
JP2002065802A (ja) 浴槽、及び入浴装置
JP2012254108A (ja) 動作訓練機構
KR20130003231A (ko) 좌변기 시트 어셈블리
KR101918529B1 (ko) 탈·부착용 변기보조의자
JP3931996B2 (ja) 入浴補助装置
JP2003076266A (ja) 運動障害者用トイレ体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