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7510A - 노인과 환자를 위한 좌변기 - Google Patents

노인과 환자를 위한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7510A
KR20090097510A KR1020080022682A KR20080022682A KR20090097510A KR 20090097510 A KR20090097510 A KR 20090097510A KR 1020080022682 A KR1020080022682 A KR 1020080022682A KR 20080022682 A KR20080022682 A KR 20080022682A KR 20090097510 A KR20090097510 A KR 20090097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toilet
cylinder
toilet sea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민
Original Assignee
이재민
이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민, 이순호 filed Critical 이재민
Priority to KR1020080022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97510A/ko
Publication of KR2009009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5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07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mounted on or in combination with a toi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0Flushing devices with pressure-operated reservoir, e.g. air chamber

Abstract

본 발명은 노인과 환자(특히, 척추장애)들이 보다 손 쉽게 좌변기에 앉고, 일어서기 위한 좌변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
중환자나 노인들이 좌변기에 앉고자 한다면, 세워져 있는 좌변기시트에 기대어 시트조절기의 시트조절레바를 돌리면 실린더본체 내부의 물이 좌변기시트의 누름에 따라 물이 빠지면서, 좌변기시트에 앉을 때,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고 좌변기에 앉질 수 있다. 또한, 용변을 처리한 후, 좌변기에서 일어나고자 하다면, 시트조절레바를 돌려 화장실의 수도와 연결한 물을 실린더본체에 유입시키면, 규정 수압에 의하여 실린더본체에 물이 차고 그로 인하여 좌변기시트가 들어 올려짐으로써 사용자를 쉽게 일어나게 해준다.
이는 중환, 치매, 척추 장애자 등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있는 가정이나 병원, 공공시설 등에 설치하여 일어나고 앉는 자세가 불편한 환자들의 고통을 감소시키면서, 보다 더 쉽게 용변을 처리하여, 중환자나 노인들이 심리적 수치감과 육체적 고통을 덜어 줄 수 있는 노인과 환자를 위한 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P1020080022682
좌변기, 척추환자, 실리더, 좌변기 시트, 화장실

Description

노인과 환자를 위한 좌변기{A toilet stool}
본 발명은 노인과 환자들이 보다 쉽게 좌변기에 앉고, 일어서기 위한 수압과 실린더를 이용한 좌변기 시트에 관한 것이다.
현재 노인 인구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특히 척추 장애 환자의 경우를 대비하여 나오는 좌변기 시스템은 미약 한 것이 현실이다.
장애우들을 위한 난간형 보호장치나, 중풍(뇌경색)환자들을 위한 침대 삽입형 변기는 소개되어 있으나, 경증 환자나 자신의 의지로 거동하고 싶어하는 환자들이 스스로 화장실을 이용하고자 하여도 특별한 보호장비나 보조 장비가 없는 것이 문제점이다.
이는 화장실을 이용하고 싶어하는 환자들이, 간병인이나 같은 병실의 보호자에게 도움을 받아야만 하기 때문에, 화장실을 이용하기를 꺼리거나 누워서 화장실을 대신하기에 신체의 활동 범위가 줄고, 노인이나 환자들의 인권을 침해하고 현실까지도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노인들이나 중환자, 치매, 중풍, 척추장애 등으로 스스로 몸을 가누지 못하고 간병인 내지는 외부인의 도움을 받아야만 대소변을 처리해야 한다. 또한, 상기 노약자(상기 환자 전체인 중환자, 치매환자, 중풍환자, 척추장애환자 등을 노약자라 칭한다.)가 스스로 화장실까지 이동하여도 좌변기에 앉는 것은 간병인의 도움이 절실하다.
그러나 상기 노약자들이 척추나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고 좌변기에 앉는 방법은 좌변기의 시트가 신체의 이동에 따라 천천히 이동하는 방법을 만들어야만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좌변기 시트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화장실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동력원을 찾고자 한다. 화장실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동력원은 약 4-5kg/m2의 수압 에너지를 가진 수도관의 수압을 이용하여 동력원을 얻어 좌변기 시트를 이동하고자 한다.
이는 중환자나 척추장애인들이 혼자서도 신체에 고통을 주지 않고, 외부인의 도움으로 수치심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자기 스스로 좌변기를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서술하자면,
좌변기가 놓여 있는 화장실은 세면장과 같이 붙어 있어 물을 구하기는 싶다. 또한, 현재 보급되어 있는 수도물의 경우 대부분이 일정 수압인 약 4-5kg/m2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좌변기의 작동을 손쉽게 확보하기 위하여, 수도설비의 수압을 그대로 이용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병의 좌변기의 좌변기시트의 작동은,
미사용시 노약자가 좌변기에 앉기 전, 대기 상태인 세워져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는 좌변기시트의 뒷부분에 거치 되어 있는 실리더이동축이 실린더본체내부의 수압을 받아 돌출되어 있기 때문이다. 수압이 있는 상태에서는 좌변기시트가 수직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노약자가 시트조절기의 시트조절레바를 돌려 실린더에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면 좌변기시트는 신체의 무게와 같이 따라 내려가게 된다. 실린더의 물(유체) 배출구(실린더호수연결구)가 배출호수보다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신체의 누름이 없으면 물을 배출되지 않는다. (이때, 신체의 누름은 몸무게를 나타낸다.) 좌변기시트가 좌변기시트 받침부에 다다르면, 일반 좌변기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좌변기의 사용이 끝나면, 시트조절기의 시트조절레바를 반대로 돌려 실린더본체내부로 수도물을 유입시키면, 좌변기시트는 천천히 올라오게 됨으로 처음 서있는 상태로 노약자를 위치하게 하여준다.
이로써, 노약자들이 신체에 무리를 주지않고, 타인의 도움에 의한 수치심을 느끼지 않으면서도 혼자서 좌변기를 이용할 수 있게 한다.
노인인구의 지속적인 증가와 더불어 척추환자의 발생이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노인인구의 증가로 노인인구의 돌봄이나, 환자들의 병간호도 모두 노령화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노인과 환자를 위한 좌변기를 이용하면,
중환자나 노인들이 좌변기에 앉고자 한다면, 세워져 있는 좌변기시트에 기대어 시트조절기의 시트조절레바를 돌리면 실린더본체 내부의 물이 좌변기시트의 누름에 따라 물이 빠지면서, 좌변기시트에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고 앉질 수 있다.
또한, 좌변기에서 일어나고자 하다면, 시트조절레바를 돌려 실린더본체에 물을 유입시키면, 수압에 의하여 실린더본체에 물이 차고 그로 인하여 좌변기시트가 들어 올려짐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일어나게 해준다.
이는 노약자들이 좌변기에서 혼자서 앉고 일어남으로 인하여 오는 척추의 무리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척추환자 및 일반 환자들이 손쉽게 좌변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이는 간병인이나 외부인의 도움없이도 화장실을 이용할 수 있음으로 개인의 사생활이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노인화와 핵가족시대에 부부 중 어느 한편이 거동이 불편한 환자가 된다면, 노약자끼리 간병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며 간병에 의하여 신체적 무리가 지속되었을 때도, 환자 스스로 좌변기를 이용할 수 있음으로 경제적으로나 정신적, 육제적으로도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서술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도이며, 본 발명의 구성 사시도이다.
본 발명체를 좌변기(10)의 좌변기시트받침부(11) 방향으로 밀어 넣어 4개의 기둥고정구(25)를 이용하여 화장실의 바닥에 고정 시킨다. 기둥고정구(25)의 위에는 보호대(20)가 설치되어 있는데, 보호대의 구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보호대(21), 보호대앞기둥(22), 보호대뒷기둥(23), 보호대지지기둥(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노약자가 좌변기(10)를 이용하고자 할 때, 거치구로 사용하기 위한 구조면서 좌변기시트(12)의 작동을 위한 지지구조이기도 하다.
보호대지지기둥(24)의 일측 면에 실린더부(40)를 설치(좌우의 실린더부 구조가 동일함으로 한 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좌우 작동은 1개의 시트조절기(30)가 수행하도록 유입호수(31), 실리더호수(32), 배출호수(33)는 튜브 피팅에 의하여 통합 연결되어있다.) 한다. 실린더부(40)의 실린더본체고정부(42)가 보호대지지기둥(24)에 고정되고, 실린더이동축(43)의 이동축고정부(44)가 좌변기시트(12)의 뒷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실린더부(40)의 구조는 일반 유공압실린더와 동일하나 회전 반경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원형구조를 갖는 유공압실린더를 이용한다. 실린더본체(41)에는 물의 유입을 위하여 실린더호수연결구(45)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실린더호수연구(45)인 튜브 피팅(Tube fitting), 일명 니플은 내부의 유체(공기)량 조절하기 위하여 스프트 컨트롤러가 내장되어 있는 제품들을 그대로 사용한다.(여기서 스피드 컨트 롤러 튜브 피팅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호대(20)는 구조는 파이프 형태의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호대(20) 구조 내부에 유입호수(31), 실린더호수(32), 배출호수(33)를 삽입하여 노약자의 사용시 불편함이 없도록 설치한다.
보호대(20)의 상단보호대(21)의 일측 면에는 물(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시트조절기(30)를 설치하고, 시트조절기이동체(35a)를 회전하기 위하여 시트조절기이동체(35a)의 윗면에는 시트조절레바(30a)를 설치한다.
좀 더 자세하게 설명을 하기 위하여,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며, 좌변기에 거치 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한다.
기존 좌변기(10)의 좌변기시트받침부(11)에서 기존의 좌변기 시트를 제거하고 본 창안물을 설치한다. 여기서 실린더의 작동을 위하여 물(유체)의 유입은 기존 좌변기에 설치되어 있는 물 유입호수의 일부분을 절단하고 튜브 피팅을 이용하여 호수연결구(34)로 물을 유입시킨다. 일반적으로 수도물의 규정 압력은 4-5kg/m2를 유지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이 규정 수압을 그대로 이용하여 상기의 서술과 같이 튜브 피팅의 스피드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노약자 특성에 맞는 좌변기시트(12)의 이동 속도를 선정한다.
이렇게 유입된 물(유체)의 작동원리는 다음과 같다.
도 3은 시트조절기의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3AA는 유입호수(31)로 물이 유입되면서 시트조절기(30)가 실린더본체(40)로 물을 밀어 넣어 실린더이동축(43)이 돌출되어 좌변기시트(12)를 세우게 하는 물의 흐름을 나타낸 상태 단면도이다.
3BB는 실린더본체(41)에서 좌변기시트(12)가 눌림으로 인하여 실린더본체(41)의 물이 실린더호수(32)로 배출되고, 이는 다시 시트조절기(30)에 의하여 배출호수(33)로 빠져나가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렇게 방향이 조절된 물(유체)의 흐름을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도 4는 실린더부(40)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여기서, 4AA는 실린더본체(41)의 실린더본체내부(41a)에 물이 유입되어 실린더이동축(43) 수압에 의하여 이동축밀림판(43a)이 밀려 좌변기시트(12)가 세워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4BB는 환자가 시트에 기대어 좌변기시트(12)을 누름으로 실린더본체(41) 내부에 유입된 물이 실린더이동축(43)의 이동축밀림판(43a)에 밀려 실린더본체(41) 밖으로 밀려나가 좌변기시트(12)가 내려가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4CC는 실린더본체내부(41a)에 유입된 물이 좌변기시트(12)를 누름으로 실린더본체내부(41a)의 물이 모두 빠져나가고, 좌변기시트(12)가 좌변기(10)의 좌변기시트받침부(11)와 평행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설명을 다시 종합하여 서술하면,
좌변기시트(12)의 작동을 위하여 실린더부(40)의 작동 동력을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규정수압을 이용하여 실린더본체내부(41a)에 물을 공급한다. 이때, 호수 연결구(34)를 통하여 유입된 물(유체)는 시트조절기(30)의 시트조절레바(30a)를 회전하고 그 시트조절레바(30a)의 하단에 설치(일반적으로 시트조절기(30)는 수도꼭지의 수도물 수량 및 수압을 조절하는 수도손잡이와 동일한 구조이다.)되어 있는 시트조절기이동체(35a)가 회전 하면서, 유체 실린더유입방향(40a)과 같이 실린더에 물(유체)을 공급하게 된다.
실린더본체내부(41a)에 유입된 물은 실린더이동축(43)의 실린더본체내부(41a)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축밀림판(43a)를 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실린더이동축(43)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이동축고정부(44)을 들어 올리게 되고, 다시, 이로 인하여 좌변기시트(12)가 시트중심축(12a)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시트이동축(12b)이 세워지게 된다.
노약자가 좌변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세워진(도 4의 4AA) 좌변기시트(12)에 몸을 기대고, 시트조절기(30)의 시트조절기이동체(도 3의 3BB의 35a(B))를 유체 실린더 배출방향(40b)에 위치하도록 하면, 실린더본체내부(41a)의 물(유체)이 노약자의 몸무게에 의하여 배출호수(33)로 배출되게 되면서 좌변기시트(12)가 서서히 내려가 좌변기시트받침부(11)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므로 노약자가 좌변기(10)에 신체의 고통 없이, 또는 간병인의 직접적인 도움이 없이도 좌변기(10)에 앉게 되는 것이다.
다시, 좌변기에서 일어나고자 한다면, 좌변기시트받침부(11)에 위치한(도 4의 4CC) 상태에서 시트조절기(30)의 시트조절기이동체(도 3의 3AA의 35a(A))를 유체 실린더 유입방향(40a)에 위치하도록 하면, 실린더본체내부(41a)에 물(유체)이 유입되면서 좌변기시트(12)가 서서히 올라가게 되고, 그로 인하여 노약자가 간병인의 도움이 없이도 천천히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좌변기시트(12)를 이동시킬 수 있는 원동력을 찾기 위해서는 전기나 기타 공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화장실의 특성상 전기의 이용이 불안하고, 세밀한 주의를 요구하는 반면 경제적으로도 많은 경비를 들여야 한다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수도물의 규정수압을 좌변기시트(12)의 동력원으로 이용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좌변기시트(12)에 노약자가 기대어 시트조절기(30)의 방향을 유체 실린더 배출방향(40b)로 향하게 하면 실린더본체내부(41a)의 물(유체)이 빠지면서, 좌변기시트(12)가 내려가고, 용변을 다 본 후 시트조절기(30)의 방향을 유체 실린더 유입방향 (40a)로 향하게 하면 실린더본체내부(41a)로 물(유체)이 유입되면서, 좌변기시트(12)가 올라와 노약자를 일어나게 해주는 노인과 환자를 위한 좌변기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표도이며, 본 발명의 구성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며, 좌변기에 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시트조절기의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3AA는 유입호수(31)로 물이 유입되면서 시트조절기(30)가 실린더본체(40)로 물을 밀어넣어 실린더이동축(43)이 돌출되어 좌변기시트(12)를 세우게 하는 물의 흐름을 나타낸 상태 단면도이다.
3BB는 실린더본체(41)에서 좌변기시트(12)가 눌림으로 인하여 실린더본체내부(41a)의 물이 실린더호수(32)로 배출되고, 이는 다시 시트조절기(30)에 의하여 배출호수(33)로 빠져나가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실린더부(40)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도이다.
4AA는 실린더본체(41)의 실린더본체내부(41a)에 물이 유입되어 실린더이동축(43) 수압에 의하여 이동축밀림판(43a)이 밀려 좌변기시트(12)가 세워져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4BB는 환자가 시트에 기대어 좌변기시트(12)을 누름으로 실린더본체(41) 내부에 유입된 물이 실린더이동축(43)의 이동축밀림판(43a)에 밀려 실린더본체(41) 밖으로 밀려나가 좌변기시트(12)가 내려가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4CC는 실린더본체(41a) 내부에 유입된 물이 좌변기시트(12)를 누름으로 실린더본체내부(41a)의 물이 모두 빠져나가고, 좌변기시트(12)가 좌변기(10)의 좌변기시트받침부(11)와 평행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좌변기, 11:좌변기시트받침부,
12:좌변기시트, 12a:시트중심축, 12b:시트이동축
20:보호대
21:상단보호대, 22:보호대앞기둥, 23:보호대뒷기둥
24:보호대지지기둥, 25:기둥고정구
30:시트조절기, 30a:시트조절레바
31:유입호수, 32:실린더호수, 33:배출호수, 34:호수연결구
35:시트조절기본체, 35a:시트조절기이동체, 35b:조절기이동체연결구
40:실린더부
40a:유체 실린더 유입방향, 40b:유체 실린더 배출방향
41:실린더본체, 41a:실린더본체내부, 42:실린더본체고정부
43:실린더이동축, 43a:이동축밀림판,
44:이동축고정부, 45:실린더호수연결구

Claims (2)

  1. 좌변기의 시트에 있어서,
    좌변기시트(12)에 노약자가 기대어 시트조절기(30)의 방향을 유체 실린더 배출방향(40b)로 향하게 하면 실린더본체내부(41a)의 물(유체)이 빠지면서, 좌변기시트(12)가 내려가고, 용변을 다 본 후 시트조절기(30)의 방향을 유체 실린더 유입방향 (40a)로 향하게 하면 실린더본체내부(41a)로 물(유체)이 유입되면서, 좌변기시트(12)가 올라와 노약자를 일어나게 해주는 노인과 환자를 위한 좌변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좌변기시트(12)의 작동을 위하여 실린더부(40)의 작동 동력을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규정수압을 이용하여 실린더본체내부(41a)에 물을 공급하고, 시트조절기(30)의 시트조절기이동체(35a)을 이용하여 실린더본체내부(41a)의 물을 배출시키는 수도물의 규정수압을 좌변기시트(12)의 동력원으로 이용한 노인과 환자를 위한 좌변기.
KR1020080022682A 2008-03-12 2008-03-12 노인과 환자를 위한 좌변기 KR200900975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682A KR20090097510A (ko) 2008-03-12 2008-03-12 노인과 환자를 위한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2682A KR20090097510A (ko) 2008-03-12 2008-03-12 노인과 환자를 위한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510A true KR20090097510A (ko) 2009-09-16

Family

ID=41356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2682A KR20090097510A (ko) 2008-03-12 2008-03-12 노인과 환자를 위한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9751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611B1 (ko) * 2011-06-30 2013-10-14 주식회사 유멘토스 좌변기 시트 어셈블리
KR101466378B1 (ko) * 2013-07-22 2014-11-27 박미옥 노약자용 좌변기 보조 장치
CN110680643A (zh) * 2019-10-10 2020-01-14 燕山大学 一种老人起床辅具
CN111802950A (zh) * 2020-07-22 2020-10-23 温州医科大学 一种多功能老人升降椅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611B1 (ko) * 2011-06-30 2013-10-14 주식회사 유멘토스 좌변기 시트 어셈블리
KR101466378B1 (ko) * 2013-07-22 2014-11-27 박미옥 노약자용 좌변기 보조 장치
CN110680643A (zh) * 2019-10-10 2020-01-14 燕山大学 一种老人起床辅具
CN111802950A (zh) * 2020-07-22 2020-10-23 温州医科大学 一种多功能老人升降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194B1 (ko) 욕조를 구비한 침대
FI73775B (fi) Anordning foer hoejdinstaellning av en sanitetsenhet.
AU2006248639A1 (en) Bathing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1352684B1 (ko) 거동 불편자용 목욕의자
KR20090097510A (ko) 노인과 환자를 위한 좌변기
KR101750065B1 (ko) 실내에서 노약자 및 장애인이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의자
KR101661068B1 (ko) 중증 장애인 배변ㆍ목욕용 침대
US6279178B1 (en) Bathing chair
ATE340899T1 (de) Zum urinal verstellbare toiletten-vorrichtung
KR102003555B1 (ko) 장애인 좌변기용 등받이장치
JP2007032268A (ja) 調整可能便器
JP6504777B2 (ja) 移動式トイレ装置
WO2011112168A1 (en) Wheelchair with enhanced toilet accessibility
JP2016202225A (ja) 便器の手摺り構造および移動用便器
KR101102513B1 (ko) 거동불편자용 다기능 침대
KR20110137148A (ko) 목욕 보조용 기구
US20120090086A1 (en) Toilet adaptable wheelchair and method of use
KR101158484B1 (ko) 환자용 침대 형 좌변기
CN213759102U (zh) 一种升降式护理便盆
KR200496762Y1 (ko)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
US6415459B1 (en) Tub for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s
KR200336171Y1 (ko) 다기능 환자용 침대의 슬라이딩식 좌변기 안전구조
WO2018183776A1 (en) Portable bathing seat for bathtub and shower
KR200269802Y1 (ko) 좌대 승.하강기
CN218738647U (zh) 一种辅助坐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