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762Y1 -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 - Google Patents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762Y1
KR200496762Y1 KR2020200004336U KR20200004336U KR200496762Y1 KR 200496762 Y1 KR200496762 Y1 KR 200496762Y1 KR 2020200004336 U KR2020200004336 U KR 2020200004336U KR 20200004336 U KR20200004336 U KR 20200004336U KR 200496762 Y1 KR200496762 Y1 KR 200496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wheelchair
seat
lower body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3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283U (ko
Inventor
이윤
Original Assignee
이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 filed Critical 이윤
Priority to KR20202000043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762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2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2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7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59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02Parts, details or accessories with toilet facil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the 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4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pelvis or butto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Abstract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는, 한 쌍의 앞바퀴와 한 쌍의 뒤바퀴를 구비하고, 변기가 후측에서 진입되는 진입공간부를 형성하는 하측바디부와, 하측바디부에 결합되고, 변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바디부와, 상측바디부에 너비방향으로 구비되어 변기의 수용공간에 대응되는 관통홀부를 형성하는 좌판부재와, 상측바디부의 후측에 구비되어 사용자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재와, 좌판부재의 높이를 침대의 높이와 맞추어 사용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측바디부에 대해 상측바디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WHEELCHAIR FOR PEPOLE WITH LOWER BODY DISABILITIES}
본 고안은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휠체어에 높이조절부를 구비하여 휠체어의 좌판부재의 높이를 침대의 높이와 같도록 조절하므로 하체 지체자를 포함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휠체어에 탑승하도록 하고, 휠체어의 내부에 후방에 위치한 변기측으로 진입 가능한 진입공간부를 구비하여 좌판부재에 앉은 상태로 대소변을 볼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병원에 입원하여 수술한 환자분 또는 요양원등에서 연로한 노인분들이 침대등의 어느 한 장소에서 화장실등의 다른 장소로 이동할 때 앉아서 편안하게 이동하게 하는 이동기구이다.
휠체어는 침대에 누워 있는 환자 특히 하체 지체자가 화장실을 사용하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에는 간병인 등의 조력자가 침대에서 휠체어 시트에 앉혀야 하고, 휠체어 시트에 앉아 화장실로 이동한 후 화장실 변기 시트에 앉을 때 역시 조력자의 도움이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휠체어는 휠체어 시트와 침대의 높이가 서로 같지 않아 하체 지체자의 경우 조력자의 도움없이 휠체어의 시트에 앉을 수 없을 뿐만아니라, 힘들게 침대에서 휠체어 시트에 탑승했다 하더라도 화장실에서 휠체어 시트에서 변기 시트로 이동하는 데 자력으로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23526호(2006.08.02, 고안의 명칭: 장애인용 휠체어)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휠체어에 높이조절부를 구비하여 휠체어의 좌판부재의 높이를 침대의 높이와 같도록 조절하므로 하체 지체자를 포함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휠체어에 탑승하도록 하고, 휠체어의 내부에 후방에 위치한 변기측으로 진입 가능한 진입공간부를 구비하여 좌판부재에 앉은 상태로 대소변을 볼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는, 한 쌍의 앞바퀴와 한 쌍의 뒤바퀴를 구비하고, 변기가 후측에서 진입되는 진입공간부를 형성하는 하측바디부; 상기 하측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변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바디부; 상기 상측바디부에 너비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변기의 수용공간에 대응되는 관통홀부를 형성하는 좌판부재; 상기 상측바디부의 후측에 구비되어 사용자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재; 및 상기 좌판부재의 높이를 침대의 높이와 맞추어 사용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측바디부에 대해 상기 상측바디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하측바디부의 상측을 형성하고, 삽입홀을 구비하는 하측지지부재; 상기 하측지지부재의 삽입홀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측바디부의 하측을 형성하는 상측지지부재; 상기 하측지지부재에 측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부; 상기 체결홀부에 대응하고, 상기 상측지지부재의 측면으로 관통 형성되면서 상하측 설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위치조절홀부; 및 상기 체결홀부에 체결되고, 상기 위치조절홀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좌판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는, 휠체어에 높이조절부를 구비하여 휠체어의 좌판부재의 높이를 침대의 높이와 같도록 조절하므로 하체 지체자를 포함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휠체어에 탑승하도록 하고, 휠체어의 내부에 후방에 위치한 변기측으로 진입 가능한 진입공간부를 구비하여 좌판부재에 앉은 상태로 대소변을 볼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의 후측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에서, 높이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에서, 분리장착부에 의한 안착시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에서, 분리장착부를 이용한 안착시트의 장착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의 후측에서 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의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에서, 높이조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조립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에서, 분리장착부에 의한 안착시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조립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에서, 분리장착부를 이용한 안착시트의 장착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는, 하측바디부(100), 상측바디부(200), 좌판부재(300), 등받이부재(400) 및 높이조절부(500)를 포함한다.
하측바디부(100)는 한 쌍의 앞바퀴(110)와 한 쌍의 뒤바퀴(120)를 구비하고, 변기(2)가 후측에서 진입되는 진입공간부(130)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앞바퀴(110)는 방향조절이 용이한 캐스터바퀴를 포함한다.
뒷바퀴(110)는 침대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침대(미도시)에서 휠체어로 이동하는 하체 지체자를 포함한 사용자가 부딪치는 것을 방지하여 이동을 편리하게 해준다. 이때, 하체 지체자는 관절염, 골절, 하체근육장애 등으로 하체가 불편한 사람들을 지칭한다.
뒷바퀴(120)에는 사용자의 손으로 밀어주는 휠회전부(140)가 구비된다. 휠회전부(130)는 뒤바퀴(120)의 프레임에서 측면으로 돌출되어 손으로 잡기 편하도록 구성된다.
휠회전부(140)는 사용자의 손으로 잡기 좋도록 요철형상으로 배열된 너이링(knurling)이 형성될 수 있다.
진입공간부(130)는 하측바디부(100)의 후측에서 변기(2)를 진입시킬 수 있도록 진입 공간이 형성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대소변을 위해 휠회전부(130)를 통해 뒷바퀴(120)를 회전시켜 휠체어를 후진 이동하여 진입공간부(130)를 변기(2)에 진입시키도록 한 후, 사용자가 좌판부재(300)에 탑승한 살태로 관통홀부(310)를 통해 변기(2)의 수용공간로 대소변을 해결하도록 한다.
하측바디부(100)에는 사용자가 발을 놓을 수 있는 발판부재(150)가 구비된더, 발판부재(150)는 하측바디부(100)의 전측에 너비방향으로 연결되어 배치된다.
상측바디부(200)는 하측바디부(100)에 결합되고, 변기(2)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상측바디부(200)는 ㄷ자 형성으로 구성되어 좌판부재(300)와 등받이부재(400)와 연결된다.
하측바디부(100)와 상측바디부(200)는 원형기둥 또는 다각기둥을 포함한다.
상측바디부(200)는 하측바디부(100)에 삽입되도록 하측바디부(1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좌판부재(300)는 상측바디부(200) 너비방향으로 구비되어 변기(2)의 수용공간에 대응되는 관통홀부(310)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좌판부재(300)는 금속판재 또는 강화플라스틱판재로 향성될 수 있다.
좌판부재(300)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로 목욕을 할 수 있도록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다수개의 타공홀부(320)를 형성한다.
타공홀부(320)는 작은 구멍으로서, 좌판부재(300)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열시켜 사용자가 휠체어의 좌판부재(300)에 앉은 상태로 목욕을 할 때 목욕물이 좌판부재(300)의 상측에 잔류하지 않도록 원활하게 하측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등받이부(400)는 상측바디부(200)의 후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구성이다. 등받이부(400)는 ㄷ자 형상으로 굴곡진 상태로 형성되며, 가운데 공간부에 천 또는 망시 등이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등받이부(400)의 상측에는 후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높이조절부(500)는 좌판부재(300)의 높이를 침대의 높이와 맞추어 사용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측바디부(100)에 대해 상측바디부(200)의 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높이조절부(500)는 휠체어의 좌판부재(300)의 높이를 침대의 높이와 같도록 간병인 등의 조력자가 미리 맞추어준 후 하체 지체자 등의 사용자가 조력자의 도움 없이도 편리하게 휠체어의 좌판부재(300)에 탑승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높이조절부(500)는, 하측바디부(100)의 상측을 형성하고, 삽입홀(512)을 구비하는 하측지지부재(510)와, 하측지지부재(510)의 삽입홀(512)에 끼워지도록 상측바디부(200)의 하측을 형성하는 상측지지부재(520)와, 하측지지부재(510)에 측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부(530)와, 체결홀부(530)에 대응하고, 상측지지부재(520)의 측면으로 관통 형성되면서 상하측 설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위치조절홀부(540)와, 체결홀부(530)에 체결되고, 위치조절홀부(54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좌판부재(3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550)를 포함한다.
하측지지부재(52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파이프 기둥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형상이고 작은 직경을 갖는 상측지지부재(502)가 삽입홀(512)에 끼워져서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상측바디부(200)에 구비된 좌판부재(300)의 높낮이가 조절된다.
체결홀부(530)는 높이조절부재(550)의 수나사산이 체결되도록 암사산이 형성된다.
위치조절홀부(540)는 밋밋한 홀이거나 높이조절부재(550)의 수나사산에 체결되는 암나산을 형성할 수도 있다.
체결홀부(530)와 높이조절홀부(540)는 하측지지부재(510)와 상측지지부재(520)에 양측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높이조절부재(500)는, 체결홀부(530)의 암나사산에 체결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부재(552)와, 나사부재(552)의 단부에 구비되고, 손으로 돌릴 수 있도록 너어링부가 마련되는 머리부(554)를 포함한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좌판부재(300)에는 안착시트(600)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시트(600)는 분리장착부(700)에 의해 좌판부재(300)에서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안착시트(600)는 변기(2)의 좌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휠체어에 탑승할 때 변기(2)에 앉은 것과 같은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다.
안착시트(600)는 평상시에는 분리장착부(700)에 의해 좌판부재(300)에 장착되어 사용되다가 목욕시에는 배수를 위해 좌판부재(300)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분리장착부(700)는, 좌판부재(300)의 후측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너비방향으로 배치되는 봉형상의 장착부재(710)와, 안착시트(600)의 후측에 구비되고, 장착부재(710)에 설치되는 끼움홀부(730)가 형성되는 결합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끼움홀부(730)의 입구 간격은 장착부재(710)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므로 끼움홀부(730)가 장착부재(710)에 진입시 탄성적으로 벌려졌다가 복원되면서 끼워져 결합부재(720)는 장착부재(710)에서 분리가 방지된다.
장착부재(710)의 양측에는 결합부재(72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여 안착시트(6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턱부(740)가 구비될 수 있다.
유동방지턱부(740)는 장착부재(710)의 반경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되어 결합부재(720)의 양측면을 걸어줌으로써 안착시트(600)가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휠체어의 높이를 하체 지체자를 포함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침대(미도시) 높이에 맞추도록 하측바디부(100)의 하측지지부재(510)의 삽입홀(512)에 끼워진 상측바디부(200)의 상측지지부재(520)의 높낮이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조절한다.
연이어, 높이조절부재(550)의 머리부(554)를 돌려 나사부재(332)를 체결홀부(530)에 체결하여 높이조절홀부(54) 중 중 어느 하나에 끼워줌으로써, 상측바디부(200)에 구비된 좌판부재(300)를 침대의 높이에 맞추어 준다.
그 다음, 사용자가 필힘으로 신체를 이동시켜 좌판부재(300)로 이동하고, 사용자의 발을 발판부재(150)에 안착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뒷바퀴(120)의 휠회전부(140)를 회전시켜 뒷바퀴(120)와 앞바퀴(110)를 굴려서 회장실로 이동하고 후진 이동으로 진입공간부(130)를 통해 휠체어를 변기(2)측으로 진입시켜 좌판부재(300)의 관통홀부(310)가 변기(2)의 수용공간에 대응하는 상태로 위치시킨다.
연이어, 사용자는 대소변을 본 후에 상술한 반대 과정을 거치면서 침대로 복귀하도록 한다.
한편, 사용자는 안착시트(600)를 분리장착부(700)를 이용하여 좌판부재(300)에서 분리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평상시에는 사용자는 안착시트(600)를 좌판부재(300)에서 분리장착부(700)를 이용하여 장착한 후, 좌판부재(300)에 장착된 안착시트(600)에 착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목욕시에는 사용자는 안착시트(600)를 분리장착부(700)를 통해 좌판부재(300)에서 분리한 후, 좌판부재(300)에 착석한 상태로 화장실에서 목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목욕물은 좌판부재(300)의 타공홀부(320)와 관통홀부(320)를 거쳐 하부로 배수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는, 휠체어에 높이조절부를 구비하여 휠체어의 좌판부재의 높이를 침대의 높이와 같도록 조절하므로 하체 지체자를 포함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휠체어에 탑승하도록 하고, 휠체어의 내부에 후방에 위치한 변기측으로 진입 가능한 진입공간부를 구비하여 좌판부재에 앉은 상태로 대소변을 볼 수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변기 100: 하측바디부
110: 앞바퀴 120: 뒤바퀴
130: 진입공간부 140: 휠회전부
150: 발판부재 200: 상측바디부
300: 좌판부재 310: 관통홀부
320: 타공홀부 400: 등받이부재
500: 높이조절부 510: 하측지지부재
520: 상측지지부재 530: 체결홀부
540: 위치조절홀부 550: 높이조절부재
552: 나사부재 554: 머리부
600: 안착시트 700: 분리장착부
710: 장착부재 720: 결합부재
730: 끼움홀부 740: 유동방지턱부

Claims (2)

  1. 한 쌍의 앞바퀴와 한 쌍의 뒤바퀴를 구비하고, 변기가 후측에서 진입되는 진입공간부를 형성하는 하측바디부; 상기 하측바디부에 결합되고, 상기 변기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측바디부; 상기 상측바디부에 너비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변기의 수용공간에 대응되는 관통홀부를 형성하는 좌판부재; 상기 상측바디부의 후측에 구비되어 사용자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재; 및 상기 좌판부재의 높이를 침대의 높이와 맞추어 사용자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기 하측바디부에 대해 상기 상측바디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판부재에는 안착시트가 구비되고, 상기 안착시트는 분리장착부에 의해 좌판부재에서 탈부착되며,
    상기 분리장착부는, 상기 좌판부재의 후측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너비방향으로 배치되는 봉형상의 장착부재; 및 상기 안착시트의 후측에 구비되고, 상기 장착부재에 설치되는 끼움홀부가 형성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끼움홀부의 입구 간격은 상기 장착부재의 직경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상기 끼움홀부가 상기 장착부재에 진입시 탄성적으로 끼워져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장착부재에서 분리가 방지되고,
    상기 장착부재의 양측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여 상기 안착시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유동방지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동방지턱부는 상기 장착부재의 반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좌판부재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로 목욕을 할 수 있도록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다수개의 타공홀부를 형성하며,
    상기 타공홀부는 상기 좌판부재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배열시켜 하측으로 배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하측바디부의 상측을 형성하고, 삽입홀을 구비하는 하측지지부재;
    상기 하측지지부재의 삽입홀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측바디부의 하측을 형성하는 상측지지부재;
    상기 하측지지부재에 측면으로 관통 형성되는 체결홀부;
    상기 체결홀부에 대응하고, 상기 상측지지부재의 측면으로 관통 형성되면서 상하측 설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위치조절홀부; 및
    상기 체결홀부에 체결되고, 상기 위치조절홀부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좌판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
KR2020200004336U 2020-11-27 2020-11-27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 KR200496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336U KR200496762Y1 (ko) 2020-11-27 2020-11-27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336U KR200496762Y1 (ko) 2020-11-27 2020-11-27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283U KR20220001283U (ko) 2022-06-03
KR200496762Y1 true KR200496762Y1 (ko) 2023-04-17

Family

ID=8197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336U KR200496762Y1 (ko) 2020-11-27 2020-11-27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762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6653B2 (ja) * 1993-02-08 2001-11-05 チクシ電気株式会社 送電線鉄塔の閃絡検出装置
KR101352684B1 (ko) 2013-04-09 2014-01-16 김인겸 거동 불편자용 목욕의자
KR101789789B1 (ko) 2016-07-01 2017-10-25 주식회사 이씨엠 앉은 상태에서 좌변기 사용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JP2019072085A (ja) 2017-10-13 2019-05-16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椅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0388A (ja) * 1998-04-15 1999-10-26 Mikuni Corp 車椅子
KR20120003933U (ko) * 2010-11-26 2012-06-05 정주연 재활용 의자
KR101496742B1 (ko) * 2013-08-16 2015-02-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휴대용 휠체어
KR20160015424A (ko) * 2014-07-30 2016-02-15 주식회사 나라컨트롤 착탈식 시트부를 구비한 휠체어
KR20180007831A (ko) * 2016-07-14 2018-01-24 청-피아오 라이 배설 장치를 구비하는 절첩식 휠체어
JP3226653U (ja) * 2020-04-20 2020-07-09 泉得興業股▲ふん▼有限公司 移乗補助椅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6653B2 (ja) * 1993-02-08 2001-11-05 チクシ電気株式会社 送電線鉄塔の閃絡検出装置
KR101352684B1 (ko) 2013-04-09 2014-01-16 김인겸 거동 불편자용 목욕의자
KR101789789B1 (ko) 2016-07-01 2017-10-25 주식회사 이씨엠 앉은 상태에서 좌변기 사용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JP2019072085A (ja) 2017-10-13 2019-05-16 アロン化成株式会社 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283U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60292A (en) Bath chair
KR102214760B1 (ko) 이동 보행기
US10835433B2 (en) Assistive apparatus with rotatable grab bar
KR200478004Y1 (ko) 목욕의자
US10813505B2 (en) Bathing auxiliary chair
KR20180081893A (ko) 샤워기거치대를 구비하는 목욕의자
KR200496762Y1 (ko) 하체 지체자용 휠체어
EP3531884A1 (en) Bathing platform for a bathtub
JPH0956523A (ja) 浴用椅子
US20200022536A1 (en) Portable bathing seat for bathtub and shower
KR102323148B1 (ko) 거동이 불편한 중증 환자용 수동식 휠체어
KR200355599Y1 (ko) 좌변기용 발판
CN214858453U (zh) 一种心胸外科护理床
JPH0731027U (ja) 補助椅子付き組合せベッド
JPH076875Y2 (ja) 椅子型便器
JP6609652B2 (ja) 介護用トイレ装置
JP4665246B2 (ja) 介護用ベッド
JP3051092U (ja) 身体障害者用入浴補助具
KR200263481Y1 (ko) 좌변기용 발판
JP2000271184A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付き介助浴槽システム。
KR200320368Y1 (ko) 좌변기
RU2063736C1 (ru) Банное кресло для инвалидов
JP3625151B2 (ja) 浴用椅子
JP3081729U (ja) 介護用低座位便器
JP3059758U (ja) 介護用浴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