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3129B1 -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3129B1
KR102003129B1 KR1020170147079A KR20170147079A KR102003129B1 KR 102003129 B1 KR102003129 B1 KR 102003129B1 KR 1020170147079 A KR1020170147079 A KR 1020170147079A KR 20170147079 A KR20170147079 A KR 20170147079A KR 102003129 B1 KR102003129 B1 KR 102003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hrase
tag
automatic
posi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2197A (ko
Inventor
남경태
김천수
김남수
Original Assignee
(주) 지씨에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씨에스씨 filed Critical (주) 지씨에스씨
Priority to KR1020170147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312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2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3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3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6Anti-theft; Abd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물고기 등의 대상물을 잡기 위한 자망이나 통발과 같은 어구의 정상 또는 유실 등의 정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어구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신하고 분석하여 어구의 현재 상태를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어구에 이상 상태 발생시 신속한 어구 회수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구에 부착되어 어구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어구정보를 정기적으로 무선 송출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와, 상기 어구 자동식별장치로부터 정기적으로 수신되는 어구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어구정보 분석으로 인해 어구 상태를 판단하는 육상 관제국의 관제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Managing system and method of fishing gear using automatic identification device}
본 발명은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물고기 등의 대상물을 포획하기 위한 자망이나 통발과 같은 어구에 설치되는 자동식별장치로부터 식별정보와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어구정보를 정기적으로 무선 통신으로 제공받아 육상 관제국에서 각 어구정보를 수신하여 분류, 관리, 저장하여 어구의 상태 판단 및 체계적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구(漁具; fishing gear)는 물 속에 넣어서 직접 물고기 등의 대상물을 포획 ·채취하는 데 쓰이는 도구로서 대표적으로 자망이나 통발 등이 있다.
이와 같은 자망 등의 각종 어구는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함은 물론 선박의 안전한 항로를 유도하기 위해 부표(부이 또는 부구(浮具))를 구비하여 그 위치를 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어구는 바다 등에 드리워 조업을 행하는 경우 파도나 풍랑에 의해 유실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일어나며, 이는 어민의 막대한 재산 피해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유실 어구의 위치 확인을 위한 시스템이 등록특허 제10-1191136호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상에 설치되는 어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어구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어구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 상기 어구에서 분리되면 상기 어구의 유실 정보를 무선 IP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는 IP-RFID 태그를 구비하는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 상기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의 근방 해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와 IP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어구의 유실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포인트; 상기 스마트 포인트와 네트워크를 매개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스마트 포인트로부터 상기 어구의 유실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관리 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어구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 IP-RFID 태그를 구비하는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가 어구에서 분리되면 상기 어구의 유실 정보를 무선 IP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는 구조여서 어구가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함께 유실되는 경우 어구의 유실 정보의 전송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물고기 등의 대상물을 잡기 위한 자망이나 통발과 같은 어구의 정상 또는 유실 등의 정상 상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어구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신하고 분석하여 어구의 현재 상태를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어구에 이상 상태 발생시 신속한 어구 회수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어구에 설치되는 자동식별장치로부터 식별정보와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어구정보를 정기적으로 무선 통신으로 제공받아 육상 관제국에서 각 어구정보를 수신하여 분류, 관리, 저장하여 어구의 상태 판단 및 체계적 관리를 할 수 있고 어구에 이상 상태 발생시 최종 위치 및 예상 이동 경로를 판단하여 어구를 추적 관리할 수 있는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구 유실로 판단되면 해당 유실정보를 해경 등의 관리선박으로 실시간 전송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어구에 부착되어 어구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어구정보를 정기적으로 무선 송출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와, 상기 어구 자동식별장치로부터 정기적으로 수신되는 어구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어구정보 분석으로 인해 어구 상태를 판단하는 육상 관제국의 관제서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어구 자동식별장치는 어구에 연결설치되는 부표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시간으로 GPS위성으로 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와, 상기 위치정보와 어구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어구정보를 정기적으로 출력하는 제1제어부와, 상기 제1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어구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신호송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어구 자동식별장치의 어구정보는 육상 관제국의 어구정보 수신기를 통해 관제서버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관제서버는 상기 어구의 위치정보가 임계치 내에 존재하면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임계치를 벗어나면 비정상으로 판단하며; 상기 관제서버는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어구정보를 기반으로 각 어구의 과거 위치 정보와 현재 수신되고 있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임의의 임계치를 벗어나면 유실 및 도난 상태로 판단하며,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동안 어구 자동식별장치로부터 어구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분실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제서버는 어구 상태를 판단하여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관리되는 어구의 고유한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참고하여 어구의 이동동선을 파악하여 어구 추적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송출하며, 상기 관제서버에서 송출되는 어구 추적정보는 관리선박에 구비되는 추적정보 수신기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추적정보 수신기는 상기 어구 추적정보 송신기에서 무선 송출되는 어구 추적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신호수신부와, 상기 무선신호수신부에서 수신되는 어구 추적정보를 가공하는 제2제어부와, 상기 제2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어구 추적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출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관제서버는 어구가 설치되는 구역, 시간, 어구, 어구의 설치 어선, 어구 상태의 통계 조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어구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구에 구비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로 부터 어구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어구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제1단계; 상기 어구의 위치정보가 임계치 내에 존재하면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임계치를 벗어나면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어구 상태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관리되는 어구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참고하여 어구 추적정보를 추출하는 제3단계; 상기 어구 추적정보를 관리선박에 구비되는 추적정보 수신기로 무선 송출하는 제4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방법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단계는, 어구가 설치되는 구역, 시간, 어구(고유 식별ID, 종류), 어구의 설치 어선, 어구의 상태의 통계 조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어구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어구의 위치정보가 임계치 내에 존재하면 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임계치를 벗어나면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어구가 비정상 상태이면 어구정보를 기반으로 각 어구의 과거 위치 정보와 현재 수신되고 있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임의의 임계치를 벗어나면 유실 및 도난 상태로 판단하며,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동안 어구 자동식별장치로부터 어구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분실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구에 어구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어구정보를 무선 송출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구비하여 정기적으로 어구정보를 육상 관제국의 관제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분석하여 어구가 정상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어구의 현재 상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은 물론 어구에 이상 상태 발생시 해경 등의 관제선박으로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신속한 어구 회수 등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어구에 이상 상태 발생시 최종 위치 및 예상 이동 경로를 판단하여 해경 등의 관제선박에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서 어구를 효율적으로 추적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의 어구 정보 전송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의 어구 정보의 정상 및 비정상시 판단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어구 자동식별장치의 통계 관리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은 물고기 등의 대상물을 포획하기 위한 자망이나 통발과 같은 어구(1)에 설치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100)로부터 식별정보와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어구정보를 정기적으로 무선 통신으로 제공받아 육상 관제국(2)에서 각 어구정보를 수신하여 분류, 관리, 저장하여 어구의 상태 판단 및 체계적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은 어구(1)에 부착되어 어구의 식별(ID)정보와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어구정보를 정기적으로 무선 송출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100)와, 상기 어구 자동식별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어구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하고 상기 어구정보 분석으로 인해 어구(1) 상태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어구 추적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송출하는 육상 관제국(2)의 관제서버(200)와, 상기 관제서버(200)에서 송출되는 어구 추적정보를 수신하는 해경 등의 관리선박(3)에 구비되는 추적정보 수신기(30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상기 어구 자동식별장치(100)는 자망이나 통발과 같은 어구(1)에 설치되어 어구정보를 송신하는 것으로, 어구(1)의 위치를 해상에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어구(1)에 연결설치되는 부표(10)에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어구 자동식별장치(100)는 실시간으로 GPS위성으로 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110)와, 상기 위치정보와 어구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어구정보를 정기적으로 출력하는 제1제어부(120)와, 상기 제1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어구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신호송출부(1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제어부(120)는 일 예로 어구(1)의 고유한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내장메모리가 구비되는 마이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선신호송출부(130)는 원격지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장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어구 자동식별장치(100)는 상기 제1제어부(120)의 구동을 위한 제1전원부(140)가 더 포함되며, 이 경우 상기 제1전원부(140)는 밧데리 또는 태양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어구 자동식별장치(100)는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체크하며 이를 포함하는 어구정보를 육상 관제국(2)의 관제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어구정보는 정기적(예를 들어 수초 ~ 수분 단위)로 전송하여 제1전원부(140)의 전력소모를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육상 관제국(2)의 관제서버(200)는 상기 어구 자동식별장치(100)에서 정기적으로 송출되는 어구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한다.
이때, 상기 어구 자동식별장치(100)의 어구정보는 육상 관제국(2)의 어구정보 수신기(220)를 통해 관제서버(200)로 수신된다. 상기 어구정보 수신기(220)는 어구 자동식별장치(100)의 무선신호송출부(130)에서 송출되는 어구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장거리 무선 통신모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제서버(200)는 상기 어구정보 수신기(220)를 통해 어구정보가 수신되면 우선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 관리, 분류한 후 어구 상태를 분석한다. 이 경우 상기 관제서버(200)는 어구정보가 입력되면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 관리되는 어구(1)의 고유한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참고하여 패턴을 비교(200a)하여 어구(1)의 현재 상태를 판단(200b)한다.
상기 관제서버(200)는 어구(1)의 식별부호 및 위치정보의 패턴을 비교(200a)하여 어구(1)의 위치정보가 임의의 임계치(설정 거리 또는 구역) 내에 존재하면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임계치를 벗어난 경우에는 비정상으로 판단한다. 특히 상기 관제서버(200)는 비정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어구정보를 기반으로 각 어구(1)의 과거 위치 정보와 현재 수신되고 있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임의의 임계치(설정 거리 또는 구역)를 벗어나면 유실 및 도난 상태로 판단하며,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동안 어구 자동식별장치(100)로부터 어구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분실 상태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관제서버(200)는 어구(1)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 관리되는 어구(1)의 고유한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참고하여 어구(1)의 이동동선을 파악하여 어구 추적정보를 추출(200c)한다.
이와 같은 관제서버(200)의 어구 추적정보는 어구 추적정보 송신기(230)를 통해 무선 송출되어 해경 등의 관리선박(3)에 구비되는 추적정보 수신기(300)에 수신되며 해경 등은 신속한 어구(1)의 추적 관리를 수행한다. 이 경우 상기 어구 추적정보는 비정상적인 상태의 어구(유실 및 도난상태, 분실 상태)에 대해 실시간으로 위경도에 관한 추적 정보를 어선 및 관리선(해경)에 제공하여 회수하도록 한다.
즉, 관제서버(200)는 어구의 비정상 상태의 경우 실시간으로 어구 추적정보를 해경 등의 관리선박(3)에 제공하여 신속한 회수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추적정보 수신기(300)는 해경 등의 관리선박(3)에 구비되는 것으로, 어구 추적정보 송신기(230)에서 무선 송출되는 어구 추적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신호수신부(310)와, 상기 무선신호수신부(310)에서 수신되는 어구 추적정보를 가공하는 제2제어부(320)와, 상기 제2제어부(320)에서 출력되는 어구 추적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출력부(330)로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정보출력부(330)는 상기 어구 추적정보를 해도상에 표시하는 모니터와, 경고방송을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추적정보 수신기(300)는 상기 제2제어부(320) 구동을 위한 제2전원부(34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제2전원부(340)는 밧데리 또는 태양전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관제서버(200)는 해당 어구(1)를 추적하기 위한 어구 자동식별장치(100)의 최종위치와 그 이전위치를 포함하는 추적정보를 관리선박에 무선 송신하여 분실상태의 어구를 회수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상기 관제서버(200)는 어구(1)를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며 관리하기 위한 통계조건을 설정(200d)하여 관리한다. 이 경우 통계조건은 어구(1)가 설치되는 구역, 시간, 어구(고유 식별ID, 종류), 어구의 설치 어선, 어구의 상태(정상, 유실, 분실) 등의 조건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계 조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10)에 어구정보를 등록 관리(200e)하여 통계관리(200f)를 하게 된다.
즉, 상기 관제서버(200)는 어구 자동식별장치(100)로부터 무선 통신으로 제공받은 어구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여 저장된 데이터에 대한 통계 조건을 설정하여 어구 현황을 통계 관리한다.
이와 같은 체계적 관리에 따라 어구 자동식별장치(100)에서 수신된 어구정보를 육상 관제국(2)의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하여 어구 모니터링시 원하는 조건에 따라 어구를 통계 관리가 가능하고, 통계 조건(구역, 시간, 어구, 어선 등)에 따라 조회를 할 수 있으며, 어구의 상태정보(정상, 유실, 분실)를 통계 조건에 추가하여 어구 상태 현황에 관한 통계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과정을 설명한다.
어구 자동식별장치(100)가 구동되면 어구의 식별(ID)정보와 위치정보 등을 포함하는 어구정보가 정기적으로 무선 송출된다.
상기 어구정보는 육상 관제국(2)의 어구정보 수신기(220)를 통해 관제서버(200)로 수신된다. 이때, 어구정보는 데이터베이스(210)에 우선 등록(저장, 관리, 분류)한 후 어구 상태를 분석한다.
상기 관제서버(200)는 어구(1)의 위치정보가 임의의 임계치(설정 거리 또는 구역) 내에 존재하면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임계치를 벗어난 경우에는 비정상으로 판단한다. 이때 관제서버(200)는 각 어구(1)의 과거 위치 정보와 현재 수신되고 있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임의의 임계치(설정 거리 또는 구역)를 벗어나면 유실 및 도난 상태로 판단하며, 일정 이상의 시간동안 어구 식별장치로부터 위치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분실 상태로 판단하게 된다.
상기 관제서버(200)는 어구(1)가 비정상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 관리되는 어구(1)의 고유한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참고하여 어구(1)의 이동동선을 파악하여 어구 추적정보를 추출하여 어구 추적정보 송신기(230)를 통해 무선 송출한다.
이와 같은 어구 추적정보는 해경 등의 관리선박(3)에 구비되는 추적정보 수신기(300)에 수신되며 해경 등은 신속한 어구(1)의 추적을 통해 회수하게 된다.
한편, 상기 관제서버(200)는 어구(1)가 설치되는 구역, 시간, 어구(고유 식별ID, 종류), 어구의 설치 어선, 어구의 상태(정상, 유실, 분실) 등의 통계조건에 따라 어구정보를 등록 관리하며, 이에 어구 모니터링시 원하는 조건에 따라 어구를 통계 관리가 가능하고, 통계 조건(구역, 시간, 어구, 어선 등)에 따라 조회하거나 를 어구 상태 현황(정상, 유실, 분실)에 관한 통계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어구 2: 육상 관제국
10: 부표 100: 어구 자동식별장치
110: GPS수신부 120: 제1제어부
130: 무선신호송출부 200: 관제서버
210: 데이터베이스 220: 어구정보 수신기
230: 어구 추적정보 송신기 300: 추적정보 수신기
310: 무선신호수신부 320: 제2제어부
330: 정보출력부

Claims (10)

  1. 어구(1)에 부착되어 어구의 식별(ID)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어구정보를 정기적으로 무선 송출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100)와, 상기 어구 자동식별장치(100)로부터 정기적으로 수신되는 어구정보를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하고 상기 어구정보 분석으로 인해 어구 상태를 판단하는 육상 관제국(2)의 관제서버(200)로 구성되되;
    상기 어구 자동식별장치(100)는 어구(1)에 연결설치되는 부표(10)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시간으로 GPS위성으로 부터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GPS수신부(110)와, 상기 위치정보와 어구의 고유한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어구정보를 정기적으로 출력하는 제1제어부(120)와, 상기 제1제어부(120)에서 출력되는 어구정보를 무선으로 송출하는 무선신호송출부(130)로 구성되고;
    상기 관제서버(200)는 상기 어구(1)의 위치정보가 임계치 내에 존재하면 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임계치를 벗어나면 상기 어구(1)의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관제서버(200)는 상기 어구(1)가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어구정보를 기반으로 각 어구(1)의 과거 위치 정보와 현재 수신되고 있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임의의 임계치를 벗어나면 유실 및 도난 상태로 판단하며,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동안 어구 자동식별장치(100)로부터 어구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분실 상태로 판단하며;
    상기 관제서버(200)는 상기 어구(1)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 관리되는 어구(1)의 고유한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참고하여 어구(1)의 이동동선을 파악하여 어구 추적정보를 추출한 후 어구 추적정보 송신기(230)를 통해 무선 송출하며, 상기 관제서버(200)에서 송출되는 어구 추적정보는 관리선박(3)에 구비되는 추적정보 수신기(300)로 수신되며;
    상기 추적정보 수신기(300)는 상기 어구 추적정보 송신기(230)에서 무선 송출되는 어구 추적정보를 수신하는 무선신호수신부(310)와, 상기 무선신호수신부(310)에서 수신되는 어구 추적정보를 가공하는 제2제어부(320)와, 상기 제2제어부(320)에서 출력되는 어구 추적정보를 출력하는 정보출력부(3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구 자동식별장치(100)의 어구정보는 육상 관제국(2)의 어구정보 수신기(220)를 통해 관제서버(200)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제서버(200)는 어구(1)가 설치되는 구역, 시간, 어구의 설치 어선, 어구의 상태의 통계 조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10)에 어구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4. 어구(1)에 구비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100)로 부터 어구의 식별(ID)정보와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어구정보를 정기적으로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하는 제1단계;
    상기 어구(1)의 위치정보가 임계치 내에 존재하면 정상상태로 판단하고, 임계치를 벗어나면 비정상으로 판단하는 제2단계;
    상기 어구 상태가 비정상으로 판단되면 데이터베이스(210)에 등록 관리되는 어구(1)의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참고하여 어구(1)의 이동동선을 파악하여 어구 추적정보를 추출하는 제3단계;
    상기 어구 추적정보를 관리선박(3)에 구비되는 추적정보 수신기(300)로 무선 송출하는 제4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제2단계는 상기 어구(1)의 위치정보가 임계치 내에 존재하면 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임계치를 벗어나면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어구(1)가 비정상 상태이면 어구정보를 기반으로 각 어구(1)의 과거 위치 정보와 현재 수신되고 있는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임의의 임계치를 벗어나면 유실 및 도난 상태로 판단하며,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시간동안 어구 자동식별장치(100)로부터 어구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분실 상태로 판단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어구(1)가 설치되는 구역, 시간, 어구의 고유 식별ID 및 종류, 어구의 설치 어선, 어구 상태의 통계 조건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10)에 어구정보를 등록 관리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147079A 2017-11-07 2017-11-07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031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079A KR102003129B1 (ko) 2017-11-07 2017-11-07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079A KR102003129B1 (ko) 2017-11-07 2017-11-07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197A KR20190052197A (ko) 2019-05-16
KR102003129B1 true KR102003129B1 (ko) 2019-07-25

Family

ID=66671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079A KR102003129B1 (ko) 2017-11-07 2017-11-07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31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602B1 (ko) 2020-11-25 2021-05-06 광주과학기술원 해상 무선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629B1 (ko) 2013-12-13 2014-08-22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어장정보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136B1 (ko) * 2010-09-20 2012-10-15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197753B1 (ko) * 2010-10-25 2012-12-24 (주)휴엔텍 어망 감시기
KR101249535B1 (ko) * 2010-10-25 2013-04-01 (주)휴엔텍 어망 감시 시스템
KR101506646B1 (ko) * 2013-05-20 2015-03-27 케이아이씨시스템즈 (주) 이상상황 알림을 위한 원형형태의 가두리 양식장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629B1 (ko) 2013-12-13 2014-08-22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어장정보 전송 네트워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197A (ko) 2019-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778779A (zh) 危险品运输车辆的管理系统
US20130214942A1 (en) Man Overboard Detection, Tracking and Recovery
US9939540B2 (en) System and methods for remote monitoring
CN110525456B (zh) 一种列车安全驾驶监测系统及方法
CN111739345A (zh) 一种基于ais的水上智能监控管理方法及系统
US2011006917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nomous video monitoring
CN104143073A (zh) 一种基于rfid的枪支位置判定系统
KR20110037129A (ko) 특정 범죄자 접근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904328A (zh) 一种海上风电场的雷达光电跟踪预警系统及预警方法
CN110110964A (zh) 一种基于深度学习的船舶及渡口监管系统
KR102003129B1 (ko)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692700B (zh) 一种基于海缆的海洋环境感知检测方法、装置及系统
KR102117762B1 (ko) 어구 부이 통계량 관리 시스템
CN111681391A (zh) 近海与远海安全生产作业监管系统
EP3984891B1 (en) Satellite imaging acquisition re-plann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ship automatic identification information
CN111812610B (zh) 一种水上目标监管系统、方法、终端设备及存储介质
GB2525893A (en) Detection system for underwater signals
KR102558387B1 (ko) 실시간 레이더 이미지 기반 선박 운동정보 및 크기정보 제공시스템 및 방법
CN114655361A (zh) 智能浮标、海上巡航的无人机集群化控制管理系统和方法
CN106983209A (zh) 自动抄表智能安全帽
CN102426655A (zh) 集成有gps模块的rfid读写器芯片
CN202330714U (zh) 海上救生定位系统
KR20210021672A (ko) 어업도구 상태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1130655A (zh) 一种无人机识别系统与反制方法
CN106993270B (zh) 环境状况异常通知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