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1136B1 -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1136B1
KR101191136B1 KR1020110094509A KR20110094509A KR101191136B1 KR 101191136 B1 KR101191136 B1 KR 101191136B1 KR 1020110094509 A KR1020110094509 A KR 1020110094509A KR 20110094509 A KR20110094509 A KR 20110094509A KR 101191136 B1 KR101191136 B1 KR 101191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gear
information
lost
phrase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4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0965A (ko
Inventor
최형림
박병권
곽광훈
이창섭
박용성
최기남
Original Assignee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1/006947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2039579A2/ko
Publication of KR20120030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0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1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1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009Transmission of position information to remote stations
    • G01S5/0045Transmission from base station to mobile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252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 G01S5/02529Radio frequency fingerprinting not involving signal parameters, i.e. only involving identif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6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with addi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e.g. for direction or speed deter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4Network layer protocols, e.g. mobile IP [Internet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어구의 유실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유실시 해당 정보를 수집하여 IP 통신을 통하여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는 해상에 설치되는 어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어구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어구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 어구에서 분리되면 어구의 유실 정보를 무선 IP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포인트로 전송하는 IP-RFID 태그를 구비한다. 스마트 포인트는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의 근방 해상에 설치되어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와 IP 통신을 수행하며,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로부터 어구의 유실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관리 단말은 스마트 포인트와 네트워크를 매개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스마트 포인트로부터 어구의 유실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이때 어구에 장착되는 유실 어구 확인 장치의 IP-RFID 태그는 해당 어구가 설치된 해역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IP 통신을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 단말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는 원거리에서 관리 단말을 통하여 해상에 설치된 어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rming position by washed fishing implements using IP-RFID}
본 발명은 어구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에 설치되는 어구에 IP-RFID 태그(Internet Protocol-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가 장착되어 해당 어구의 유실 여부를 포함한 어구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무선 엑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인 스마트 포인트(smart point) 장치를 이용, IP 통신 기반의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구는 수중에서 직접 어류와 같은 대상물을 포획 또는 채취하는 데 쓰이는 도구이다. 그리고 해상의 어장에 설치되는 어구들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부표(浮標)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활용하고 있다.
부표는 수면에 띄운 부체(浮體)로 된 표시 수단으로서, 부이(buoy) 또는 부구(浮具)라고도 하며, 어구에 연결되어 어구의 위치를 표시한다. 부표를 이용하는 경우, GPS 방식에 비해서 저비용으로 어구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는 데에 반하여, 작업자가 부표를 이용하여 어구의 위치를 일일이 확인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파악하기 어렵고 또한 육안으로는 정확한 파악이 힘들다.
GPS를 이용하는 경우, 부표에 의한 방식에 비해, 어구에 장착된 GPS 모듈을 통하여 어구의 위치를 원거리에서 수월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반면에, 고가의 GPS 모듈을 이용함으로 인한 비용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어구가 유실되어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되면, 어구와 함께 GPS 모듈이 가라앉게 되어 유실된 어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어구에 장착된 부표나 GPS 모듈은 단순히 어구의 위치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할 뿐 그 외 정보, 예컨대 어구가 설치된 지역의 해수 온도, 유속, 풍속, 기온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해상에 나가지 않는 이상 해상에 설치된 어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구의 유실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유실시 해당 정보를 수집하여 IP 통신 기반의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면 아래로 유실된 어구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유실된 어구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구가 설치된 해역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IP 통신을 통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여 해상에 설치된 어구를 원거리에서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상에 설치되는 어구에 IP-RFID 태그가 장착되어 해당 어구의 유실 여부를 포함한 어구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무선 엑세스 포인트인 스마트 포인트(smart point)와의 IP 통신을 통하여 제공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 스마트 포인트 및 관리 단말을 포함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는 해상에 설치되는 어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어구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어구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 상기 어구에서 분리되면 상기 어구의 유실 정보를 무선 IP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는 IP-RFID 태그를 구비한다. 상기 스마트 포인트는 상기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의 근방 해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와 IP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어구의 유실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관리 단말은 상기 스마트 포인트와 네트워크를 매개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스마트 포인트로부터 상기 어구의 유실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본 발명은 또한, 부유체, IP-RFID 태그 및 와이어를 포함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부유체는 해상에 설치되는 어구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IP-RFID 태그는 상기 부유체에 설치되며, 상기 부유체가 상기 어구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분리되는 경우, 상기 어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유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유실 정보를 IP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포인트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어구와 상기 부유체를 연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는, 상기 어구와 상기 부유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부유체를 상기 어구에서 이격되게 설치하며, 일측은 상기 어구와 상기 부유체 중에 하나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다른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IP-RFID 태그는 상기 부유체가 상기 어구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상기 지지대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부분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관 형이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지지대 내에서 상기 어구와 상기 부유체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는, 상기 와이어를 감고 있으며, 상기 지지대 안쪽의 상기 어구 또는 상기 부유체에 설치되는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롤러에 감긴 와이어는 분리되어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어구에 의해 풀릴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IP-RFID 태그는, 상기 부유체가 상기 어구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 상태 확인 센서와, 상기 스마트 포인트와 무선으로 IP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와, 상기 연결 상태 확인 센서로부터 상기 어구의 분리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어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유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유실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포인트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IP-RFID 태그는 상기 어구의 위치 정보와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어구의 위치 정보와 등록 정보를 호출하여 상기 유실 정보를 생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IP-RFID 태그는 상기 어구가 설치된 지역의 해수 온도, 기온, 유속, 풍속, 풍향, 파고 중에 적어도 하나의 어구 환경 정보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환경 정보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한 어구 환경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어구 환경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거나 능동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포인트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어구 환경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상태 확인 센서는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부유체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부유체가 상기 어구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상태 확인 센서는 상기 롤러와 마주보는 상기 부유체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 여부의 확인을 통하여 상기 부유체가 상기 어구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해상에 설치된 어구에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어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부유체에 설치된 IP-RFID 태그가 상기 어구에서 상기 부유체가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분리되는 경우, 상기 부유체에 의해 수면에 뜨는 상기 IP-RFID 태그가 상기 어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유실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와, 상기 IP-RFID 태그가 상기 생성한 유실 정보를 IP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포인트에 전송하는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상기 부유체에서 분리된 상기 어구는 상기 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부유체에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실 정보는 상기 어구의 유실 메시지 정보, 상기 어구의 등록 정보 또는 상기 어구의 유실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확인 단계는 상기 IP-RFID 태그는 상기 어구가 설치된 지역의 해수 온도, 기온, 유속, 풍속, 풍향, 파고 중에 적어도 하나의 어구 환경 정보를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방법은, 상기 확인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IP-RFID 태그는 상기 저장된 어구 환경 정보를 IP 통신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포인트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구에 장착된 IP-RFID 태그는 해당 어구가 설치된 해역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IP 통신을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는 원거리에서 해상에 설치된 어구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어구에 장착된 IP-RFID 태그는 어구의 유실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유실시 해당 정보를 수집하여 IP 통신을 통하여 관리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유실된 어구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유실된 어구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해양오염, 선박 안전사고의 발생 등을 줄일 수 있다.
특히 IP-RFID 태그는 부유체에 설치되고, 부유체는 어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어구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되면 어구에서 부유체와 함께 분리되어 수면 위로 떠서 유실된 어구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수면 아래로 유실된 어구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유실된 어구를 회수하는 데에 따른 시간, 인력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어구에서 부유체가 분리되었는 지의 여부를 어구와 부유체를 연결하는 부재, 예컨대 지지대, 롤러 또는 와이어에 인접한 부유체 부분에 연결 상태 확인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쉽게 어구에서 부유체가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어구에 설치된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IP-RFID 태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P-RFID를 이용한 어구 환경 정보 획득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5는 어구에 IP-RFID 태그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어구의 유실에 의해 IP-RFID 태그가 어구에 분리되어 수면에 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수면에 떠 있는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 부분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고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5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구(50)에 설치되는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 스마트 포인트(200), 네트워크(400) 및 관리 단말(3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서로 간에 IP를 기반으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여 정보를 교환한다. 특히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500)은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를 통하여 해상에 설치되는 어구(50)의 유실 여부를 포함한 어구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IP를 기반으로 한 무선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포인트(200)를 경유하여 관리 단말(300)로 전송한다.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는 무선으로 스마트 포인트(200)와 양방향 IP 통신을 수행하고, 해상에 설치되는 어구(5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는 어구(50)와 분리되더라도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어구(50)와 연결되는 와이어(도 2의 41)를 구비한다.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는 어구(50)가 분리되어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 유실되는 지의 여부를 감시하고,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 어구(50)에서 분리되면 어구(50)의 유실 정보를 IP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포인트(200)로 전송한다. 이때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는 자신의 IP 주소를 갖고 있으며, 관리 단말(3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이때 관리 단말(300)의 식별정보는, 관리 단말(300)이 이동통신단말인 경우, 이동식별번호(MIN; Mobile Indentity Number), 이동디렉토리번호(MDN; Mobile Directory Number), 장치일련번호(ESN; Electronic serial number) 중에 하나를 포함한다.
스마트 포인트(200)는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와 관리 단말(200)을 중계하는 무선 엑세스 포인트로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와 양방향 IP 통신을 수행하고, 네트워크(400)를 매개로 관리 단말(300)과 원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스마트 포인트(200)는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의 근방의 해상에 설치되어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와 IP 통신을 수행하며,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로부터 어구(50)의 유실 정보와 어구(50)의 환경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스마트 포인트(200)는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된 관리 단말(300)의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관리 단말(300)로 필요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포인트(200)는 관리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포함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해당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로 해당 정보를 전달한다.
이때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와 스마트 포인트(200)는 2.45GHz 또는 433MHz 대역에서 IP 통신을 수행한다. IP 주소 체계로는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을 사용하며, IPv4를 사용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400)는 스마트 포인트(200)와 관리 단말(300) 간의 정보 전송 및 정보 교환을 위한 일련의 정보 송수신 동작을 수행한다. 네트워크(400)는 스마트 포인트(200)와 관리 단말(300) 간에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는 형태로서, 기술적으로 IP를 기반으로 한 인터넷 망 또는 특정 주소 값을 기반으로 네트워크 등이 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케이블이 없는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형성된 망, 이동성을 지원하는 이동통신망 등 다양한 통신 네트워크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네트워크(400)는 이동통신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위성통신망, 근거리무선통신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400)는 전술된 특정한 형태의 통신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 포인트(200)와 관리 단말(300) 간에 정보 송수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리 단말(300)은 어구(5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로서, 스마트 포인트(200)와 네트워크(400)를 매개로 양방향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관리 단말(300)은 관리할 어구(50)에 설치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의 IP 주소를 갖고 있으며, 스마트 포인트(200)로부터 어구(50)의 유실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관리 단말(300)은 스마트 포인트(200)로 어구(50)의 환경 정보를 요청하고, 요청한 어구(50)의 환경 정보를 스마트 포인트(200)로부터 수신하여 관리한다. 이때 관리 단말(300)은 네트워크(400)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단말로서, 이동통신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을 포함한다. 또한 관리 단말(300)은 향후 개발될 모든 무선 통신 단말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어구에 설치된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IP-RFID 태그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는 부유체(20), IP-RFID 태그(10) 및 와이어(41)를 포함하며, 그 외 지지대(30), 롤러(43) 및 고정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유체(20)는 해상에 설치되는 어구(5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어구(50)에서 분리될 때 IP-RFID 태그(10)를 수면 위로 뜨게 한다. 부유체(20)는 해수의 비중보다 낮은 재질로 형성되어 항상 수면 상에 부유하게 된다. 이때 부유체(20)의 소재로는 경량의 플라스틱 또는 목재가 사용될 수 있다. 부유체(20)는 구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P-RFID 태그(10)는 부유체(20)에 설치된다. IP-RFID 태그(10)는 부유체(20)가 어구(50)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분리되는 경우, 어구(5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유실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유실 정보를 IP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포인트(200)에 전송한다. 이때 RFID-태그(10)는 부유체(20)의 표면에 노출되게 설치되거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안테나(12)는 부유체(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RFID-태그(10)의 안테나(12)는 부유체(20)가 수면에 떠 있을 때, 수면에서 가능한 먼 쪽의 부유체(20) 부분에서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30)는 어구(50)와 부유체(20) 사이에 개재되어 부유체(20)를 어구(50)에서 이격되게 설치한다. 지지대(30)는 어구(50)와 부유체(20) 중에 하나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31)와, 다른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탈착부(33)를 포함한다. 예컨대 지지대(30)의 고정부(31)는 어구(50)에 고정 설치되고, 지지대(30)의 탈착부(33)는 부유체(20)에 연결될 수 있다. 탈착부(33)는 어구(50)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 유실 될 때, 일정 수압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형태로 부유체(20)에 결합된다. 예컨대, 탈착부(33)는 부유체(20)에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접착부재를 매개로 부착되거나, 탄성체를 매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방법으로 부유체(20)에 탈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IP-RFID 태그(10)는 부유체(20)가 어구(50)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지지대(3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탈착부(33)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로 확인한다. 후술되겠지만 연결 상태 확인 센서(15a)는 지지대(30)의 탈착부(33)가 연결되는 부유체(20)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41)는 어구(50)와 부유체(20)를 연결하며, 어구(50)가 유실되어 수면 아래로 가라앉더라도 어구(50)와 부유체(20) 간의 연결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와이어(41)로는 금속 와이어 또는 플라스틱 소재의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와이어(41)는 지지대(30) 내에서 어구(50)와 부유체(20)를 연결한다. 와이어(41)는 유실되어 해수의 바닥면(도 6의 63)으로 떨어지는 어구(50)에 대해서 부유체(20)를 수면 위에 떠 있을 수 있도록, 어구(50)가 설치되는 수심의 깊이보다는 적어도 긴 길이를 갖는다.
롤러(43)와 고정대(45)는 부유체(20)와 어구(50)에 설치되어 와이어(41)의 양단부를 연결한다. 롤러(43)는 와이어(41)를 감고 있으며, 지지대(30) 안쪽의 부유체(20)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롤러(43)에 감긴 와이어(41)는 분리되어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어구(50)에 의해 풀릴 수 있다.
그리고 고정대(45)는 지지대(30) 안쪽의 어구(50)에 고정 설치되며, 와이어(41)의 일단이 고정된다. 이때 고정대(45)는 고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롤러(43)가 부유체(20)에 설치되고, 고정대(45)가 어구(50)에 설치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a)는 롤러(47)가 어구(50)에 설치되고, 고정대(49)가 부유체(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b)는 부유체(20)와 어구(50)에 각각 롤러(43,47)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는 부유체와 어구에 각각 고정대가 설치되고, 지지대 안쪽에 와이어가 감긴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특히 IP-RFID 태그(10)는 무선 통신부(11), 저장부(13), 센서부(15), 표시부(17) 및 제어부(19)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는 안테나(12)를 통하여 스마트 포인트(200)와 무선으로 IP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무선 통신부(11)는 스마트 포인트(200)로부터 어구(50)의 환경 정보(13c)의 요청을 수신하며, 제어부(19)의 제어에 따라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를 스마트 포인트(200)로 전송한다. 무선 통신부(11)는 제어부(19)의 제어에 따라 어구(50)의 위치 정보(13a)를 포함하는 어구(50)의 유실 정보를 스마트 포인트(200)로 전송한다.
저장부(13)는 IP-RFID 태그(10)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의 수행 중에 발생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3)는 어구(50)가 설치되는 해상의 어구 환경 정보(13c)를 수집하고, 어구(50)의 유실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유실되는 어구(50)의 위치 정보(13a)를 포함한 유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부(13)는 어구(50)의 위치 정보(13a)와 어구(50)의 등록 정보(13b)를 저장하고, 해당 IP-RFID(10)의 IP 주소와 관리 단말(300)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13)는 어구(50)가 설치된 지역의 해수 온도, 기온, 유속, 풍속, 풍향, 파고 등과 같은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는 어구(13)의 유실에 따라 생성된 유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유실 정보는 어구(50)의 위치 정보(13a)와 관리 단말(3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그 외 어구(50)의 유실 메시지 정보, 어구(50)의 등록 정보(13b) 또는 어구(50)의 유실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5)는 연결 상태 확인 센서(15a)와 환경 정보 검출 센서(15b)를 포함한다. 연결 상태 확인 센서(15a)는 부유체(20)가 어구(50)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분리시 분리 정보를 제어부(19)로 전송한다. 이때 연결 상태 확인 센서(15a)가 지지대(30)의 탈착부(33)가 연결되는 부유체(20)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연결 상태 확인 센서(15a)로는 스위치, 압력 센서, 변위 센서 또는 근접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환경 정보 검출 센서(15b)는 어구(50)가 설치된 지역의 해수 온도, 기온, 유속, 풍속, 풍향, 파고 등과 같은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를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제어부(19)로 전달한다.
한편 제1 실시예에서는 연결 상태 확인 센서(15a)가 지지대(30)의 탈착부(33)가 연결되는 부유체(20) 부분에 설치되어, 지지대(30)의 탈착부(33)가 부유체(20)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로 부유체(20)가 어구(50)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c)는 롤러(47)과 마주보는 부유체(20) 부분에 연결 상태 확인 센서(15a)가 설치될 수 있다. 연결 상태 확인 센서(15a)는 롤러(47)의 회전 여부의 확인을 통하여 부유체(20)가 어구(50)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즉 부유체(20)가 어구(5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인 경우, 롤러(47)는 회전하지 않는다. 반면에 부유체(20)가 어구(50)에서 분리되면, 롤러(47)에 감긴 와이어(41)가 풀리면서 롤러(47)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연결 상태 확인 센서(15a)는 롤러(47)의 회전을 감지하여 부유체(20)가 어구(50)에서 분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연결 상태 확인 센서(15a)는 롤러(47)에 감긴 와이어(41)의 상태를 감지하여 부유체(20)가 어구(50)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표시부(17)는 IP-RFID 태그(10)의 동작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어구(50)의 유실에 따른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7)는 IP-RFID 태그(10)의 동작 상태와 어구(50)의 유실에 따른 상태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하며, 램프로는 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9)는 IP-REID 태그(1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이다. 특히 제어부(19)는 어구(50)가 설치되는 해상의 환경 정보 수집 및 제공을 제어하고, 어구(50)의 유실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유실되는 어구(50)의 위치 정보(13a)를 포함한 유실 정보의 제공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부(19)는 아래와 같이 유실 정보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 먼저 연결 상태 확인 센서(15a)가 어구(50)로부터 부유체(20)의 분리 여부에 대한 감시 중 분리를 확인하면, 연결 상태 확인 센서(15a)는 확인한 분리 정보를 제어부(19)로 전송한다. 제어부(19)는 연결 상태 확인 센서(15a)로부터 어구(50)의 분리 정보를 수신하면, 어구(50)의 위치 정보(13a)를 포함한 유실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9)는 생성한 유실 정보를 무선 통신부(11)를 통하여 스마트 포인트(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부(19)는 아래와 같이 환경 정보 수집 및 제공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는 주기적으로 환경 정보 검출 센서(15b)를 동작시켜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를 수집하고, 수집한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를 저장부(13)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9)는 무선 통신부(11)를 통하여 스마트 포인트(200)로부터 어구(50)의 환경 정보(13c)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저장부(13)에서 기 저장된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를 추출하여 무선 통신부(11)를 통하여 해당 스마트 포인트(200)로 전송한다. 이때 제어부(19)는 스마트 포인트(200)가 요청하지 않더라도 능동적으로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를 스마트 포인트(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9)는 관리자가 관리 단말(300)을 통하여 원격지에서 어구(50)를 관리할 수 있도록,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를 능동적으로 스마트 포인트(200)를 거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는 수집한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로부터 어구(50)의 주변 상황을 파악한 후, 어구(50)의 유실 우려가 있는 경우 해당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를 포함한 어구(50)의 유실 우려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 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IP-RFID 태그(10)는 능동적으로 정보를 스마트 포인트(200)로 전송하고, 센서부(15)를 통하여 정보를 수집하는 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어구(50)에 장착된 IP-RFID 태그(10)는 해당 어구(50)가 설치된 해역의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IP 통신을 통하여 원격지의 관리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는 관리 단말(300)을 통하여 원거리에서 해상에 설치된 어구(50)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어구(50)에 장착된 IP-RFID 태그(10)는 어구(50)의 유실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유실시 해당 정보를 수집하여 IP 통신을 통하여 관리 단말(300)로 제공하기 때문에, 유실된 어구(50)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가 가능하다. 이로 인해 유실된 어구(50)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해양오염, 선박 안전사고의 발생 등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IP-RFID 태그(10)는 부유체(20)에 설치되고, 부유체(20)는 어구(5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어구(50)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되면 어구(50)에서 부유체(20)와 함께 분리되어 수면 위로 떠서 유실된 어구(50)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수면 아래로 유실된 어구(50)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유실된 어구(50)를 회수하는 데에 따른 시간, 인력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어구(50)에서 부유체(20)가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어구(50)와 부유체(20)를 연결하는 부재, 예컨대 지지대(30), 롤러(43) 또는 와이어(41)에 인접한 부유체(20) 부분에 연결 상태 확인 센서(15a)를 설치함으로써, 쉽게 어구(50)에서 부유체(20)가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500)에서의 유실 어구 위치 확인 방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5는 어구에 IP-RFID 태그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어구의 유실에 의해 IP-RFID 태그가 어구에 분리되어 수면에 떠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6의 수면에 떠 있는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 부분을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여기서 도 5 내지 도 7은 도 4의 유실 어구 위치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먼저 S71단계에서 IP-RFID 태그(10)는 어구(50)의 위치 정보(13a)와 등록 정보(13b)를 저장한다. 이때 IP-RFID 태그(10)를 포함하는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가 설치된 어구(60)가 해상에 설치된 이후에, IP-RFID 태그(10)는 해당 IP-RFID 태그(10)의 인근 해상에 설치된 스마트 포인트(200)를 매개로 관리 단말(300)로부터 해당 어구(50)의 위치 정보(13a)와 등록 정보(13b)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어구(50)가 해상에 설치되기 전에 IP-RFID 태그(10)는 해당 어구(50)의 위치 정보(13a)와 등록 정보(13b)를 미리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어구(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61)에 근접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어구(50)에 설치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의 IP-RFID 태그는 수면(61) 위로 노출되어 있다.
다음으로 S73단계에서 IP-REID 태그(10)는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를 검출하여 저장한다. 즉 IP-RFID 태그(10)는 주기적으로 환경 정보 검출 센서(15b)를 동작시켜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를 수집하고, 수집한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를 저장부(13)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S75단계에서 IP-RFID 태그(10)는 스마트 포인트(200)로부터 어구(50)의 환경 정보(13c)의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관리 단말(300)이 스마트 포인트(200)로 어구(50)의 환경 정보(13c)의 전송을 요청하면, 스마트 포인트(200)는 해당 어구(50)의 IP-RFID 태그(10)로 어구(50)의 환경 정보(13c)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포인트(200)는 관리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요청 신호에 포함된 어구(50)의 IP 주소 즉, IP-RFID 태그의 IP 주소를 기반으로 해당 어구(50)의 IP-RFID 태그(10)로 어구(50)의 환경 정보(13c)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S75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된 경우, S77단계에서 IP-RFID 태그(10)는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를 스마트 포인트(200)로 전송한다. 즉 IP-RFID 태그(10)는 저장부(13)에서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를 추출하고, 추출한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를 무선 통신부(11)를 통하여 스마트 포인트(200)로 전송한다. 한편 스마트 포인트(200)는 수신한 어구(50)의 환경 정보(13c)를 해당 관리 단말(300)로 전송한다. 이때 어구(50)의 환경 정보(13c)의 요청, 전송 및 전달은 IP-RFID 태그(10)에 부여된 IP 주소와, 관리 단말(300)에 부여된 식별정보 또는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부여된 IP 주소를 기반으로 한다.
한편 S75단계의 판단 결과 수신되지 않은 경우 또는 S77단계를 수행한 이후에, S79단계에서 IP-RFID 태그(10)는 어구(50)에서 부유체(20)가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예컨대, IP-RFID 태그(10)는 연결 상태 확인 센서(15a)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부유체(20)가 지지대(30)의 탈착부(33)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S79단계의 확인 결과 분리되지 않은 경우, IP-RFID 태그(10)는 S73단계부터 다시 시작한다.
반면에 S79단계의 확인 결과 분리된 경우, S81단계에서 IP-RFID 태그(10)는 유실 정보를 생성한다. 즉 어구(50)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61) 아래로 가라앉기 시작하면, 어구(50)에 설치된 어구 위치 확인 장치(100)도 함께 수면(61) 아래로 가라앉게 된다. 이때 부유체(20)에는 수면(61) 위로 상승하려는 부력이 작용하게 되며, 어구(50)에는 수면(61)의 깊이에 따라 수압이 작용하기 때문에, 일정 수압에 도달하게 되면 지지대(30)의 탈착부(33)에서 부유체(20)는 분리되어 수면(61) 위로 뜨게 된다. 어구(50)는 해수의 바닥면(63)에 떨어질 수 있다. 이때 부유체(20)와 어구(50)는 와이어(41)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아울러 IP-RFID 태그(10)는 탈착부(33)에서 부유체(20)가 분리된 사실을 연결 상태 확인 센서(15a)를 통하여 감지한다. IP-RFID 태그(10)는 연결 상태 확인 센서(13a)로부터 분리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어구(50)의 위치 정보(13a)를 포함하는 유실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유실 정보는 관리 단말(300)의 식별정보를 포함하며, 그 외 어구(50)의 유실 메시지 정보, 어구(50)의 등록 정보(13b) 또는 어구(50)의 유실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S83단계에서 IP-RFID 태그(10)는 생성한 유실 정보를 무선 통신부(11)를 통하여 스마트 포인트(200)로 전송한다. 아울러 IP-RFID 태그(10)는 어구(50) 유실시 표시부(17)를 통하여 유실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스마트 포인트(200)는 수신한 유실 정보를 네트워크(400)를 통하여 해당 어구(50)를 관리하는 관리 단말(300)로 전송한다. 관리 단말(300)은 수신한 유실 정보에 포함된 어구(50)의 위치 정보(13a)를 기반으로 유실된 어구(50)를 수거하는 등의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 IP-RFID 태그 11 : 무선 통신부
12 : 안테나 13 : 저장부
15 : 센서부 15a : 연결 상태 확인 센서
15b : 환경 정보 검출 센서 17 : 표시부
19 : 제어부 20 : 부유체
30 : 지지대 31 : 고정부
33 : 탈착부 41 : 와이어
43 : 롤러 45 : 고정대
50 : 어구 61 : 수면
63 : 바닥면 100 :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
200 : 스마트 포인트 300 : 관리 단말
400 : 네트워크 500 :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Claims (15)

  1. 해상에 설치되는 어구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어구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구비하고, 상기 어구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아 상기 어구에서 분리되면 상기 어구의 유실 정보를 무선 IP 통신을 통하여 전송하는 IP-RFID 태그를 구비하는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
    상기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의 근방 해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와 IP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로부터 상기 어구의 유실 정보를 수신하는 스마트 포인트;
    상기 스마트 포인트와 네트워크를 매개로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스마트 포인트로부터 상기 어구의 유실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관리 단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2. 해상에 설치되는 어구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부유체;
    상기 부유체에 설치되며, 상기 부유체가 상기 어구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분리되는 경우, 상기 어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유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유실 정보를 IP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포인트에 전송하는 IP-RFID 태그;
    상기 어구와 상기 부유체를 연결하는 와이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구와 상기 부유체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부유체를 상기 어구에서 이격되게 설치하며, 일측은 상기 어구와 상기 부유체 중에 하나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다른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IP-RFID 태그는 상기 부유체가 상기 어구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상기 지지대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부분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관 형이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지지대 내에서 상기 어구와 상기 부유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를 감고 있으며, 상기 지지대 안쪽의 상기 어구 또는 상기 부유체에 설치되는 롤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에 감긴 와이어는 분리되어 수면 아래로 가라앉는 어구에 의해 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IP-RFID 태그는,
    상기 부유체가 상기 어구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연결 상태 확인 센서;
    상기 스마트 포인트와 무선으로 IP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연결 상태 확인 센서로부터 상기 어구의 분리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어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유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유실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포인트로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P-RFID 태그는,
    상기 어구의 위치 정보와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어구의 위치 정보와 등록 정보를 호출하여 상기 유실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P-RFID 태그는,
    상기 어구가 설치된 지역의 해수 온도, 기온, 유속, 풍속, 풍향, 파고 중에 적어도 하나의 어구 환경 정보를 주기적으로 검출하는 환경 정보 검출 센서;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한 어구 환경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어구 환경 정보의 전송 요청을 수신하거나 능동적으로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포인트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어구 환경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상태 확인 센서는
    상기 지지대의 타측에 연결되는 상기 부유체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부유체가 상기 어구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상태 확인 센서는
    상기 롤러와 마주보는 상기 부유체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롤러의 회전 여부의 확인을 통하여 상기 부유체가 상기 어구에서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장치.
  11. 해상에 설치된 어구에 와이어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어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부유체에 설치된 IP-RFID 태그가 상기 어구에서 상기 부유체가 분리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확인 결과 분리되는 경우, 상기 부유체에 의해 수면에 뜨는 상기 IP-RFID 태그가 상기 어구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유실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단계;
    상기 IP-RFID 태그가 상기 생성한 유실 정보를 IP 통신을 통하여 스마트 포인트에 전송하는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에서,
    상기 부유체에서 분리된 상기 어구는 상기 와이어를 매개로 상기 부유체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실 정보는,
    상기 어구의 유실 메시지 정보, 상기 어구의 등록 정보 또는 상기 어구의 유실 시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단계는,
    상기 IP-RFID 태그는 상기 어구가 설치된 지역의 해수 온도, 기온, 유속, 풍속, 풍향, 파고 중에 적어도 하나의 어구 환경 정보를 주기적으로 검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단계 이후에 수행되는,
    상기 IP-RFID 태그는 상기 저장된 어구 환경 정보를 IP 통신을 통하여 상기 스마트 포인트에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방법.
KR1020110094509A 2010-09-20 2011-09-20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191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1/006947 WO2012039579A2 (ko) 2010-09-20 2011-09-20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00092490 2010-09-20
KR1020100092490 2010-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965A KR20120030965A (ko) 2012-03-29
KR101191136B1 true KR101191136B1 (ko) 2012-10-15

Family

ID=4613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4509A KR101191136B1 (ko) 2010-09-20 2011-09-20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11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238A (ko) 2018-10-18 2020-04-29 (주) 지씨에스씨 해상 관제를 위한 전동 콘솔 데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129B1 (ko) * 2017-11-07 2019-07-25 (주) 지씨에스씨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85630B1 (ko) * 2018-04-18 2020-03-06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저전력광역통신 기반 어구식별 스마트부이 및 어선용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7585B1 (en) 2002-05-21 2003-12-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ystem for generating GPS position of underwater vehicle
JP2006117062A (ja) 2004-10-20 2006-05-11 Mitsui Zosen Akishima Kenkyusho:Kk 海底観測装置並びに漂流ブイ及び浮遊体の回収方法
JP2009527763A (ja) 2006-02-23 2009-07-30 オーシヤン・サーバー・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水中移動体の位置決定のシステム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7585B1 (en) 2002-05-21 2003-12-0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System for generating GPS position of underwater vehicle
JP2006117062A (ja) 2004-10-20 2006-05-11 Mitsui Zosen Akishima Kenkyusho:Kk 海底観測装置並びに漂流ブイ及び浮遊体の回収方法
JP2009527763A (ja) 2006-02-23 2009-07-30 オーシヤン・サーバー・テクノロジー・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水中移動体の位置決定のシステム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4238A (ko) 2018-10-18 2020-04-29 (주) 지씨에스씨 해상 관제를 위한 전동 콘솔 데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0965A (ko)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11492B2 (en) Pet tracking systems, other tracking systems, and portable virtual fence
US7098790B2 (en) Electronic device attached to a pet
KR101249535B1 (ko) 어망 감시 시스템
KR101191136B1 (ko)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
US20120009943A1 (en) Tracking System and Portable Virtual Fence
CN105092810A (zh) 一种智能多参数监测浮标装置
AU2015376080B2 (en) Sensing of water quality
FR2881837B1 (fr) Dispositif de signalisation et de localisation d'un individu a la mer et procede pour sa mise en oeuvre
CN104819742B (zh) 一种具有水下定位功能的船载危险品集装箱无线监测装置及方法
KR101955808B1 (ko) 누수 감지 장치 및 누수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누수 감지 관리 시스템
CN102161377A (zh) 一种多功能的智能救生系统
KR20130099329A (ko) 어망 관리 시스템
KR101496446B1 (ko) 무선주파수 인식 방식을 이용한 해저케이블 관리시스템 및 방법
US20170346557A1 (en) Underwater visible light transceiving terminal
KR20140086030A (ko) Gps기반 수질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9282963A (ja) 落水者検出装置
KR101197753B1 (ko) 어망 감시기
JP2018017572A (ja) 位置算出用装着物、位置算出システム及び位置算出方法
JP2008157736A (ja) ブイおよび魚群探知システム
CN104301662A (zh) 一种预防学生溺水的监控系统
WO2012039579A2 (ko) Ip-rfid를 이용한 유실 어구 위치 확인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2410574B1 (ko) 해상 조난자 위치 추적 장치
KR102003129B1 (ko) 어구 자동식별장치를 이용한 어구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564715B1 (ko) 휴대 단말용 커버
CN202219835U (zh) 一种多功能的智能救生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