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896B1 - 컨텐츠 서비스에서 알림 시간을 개인화 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텐츠 서비스에서 알림 시간을 개인화 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896B1
KR102002896B1 KR1020160017895A KR20160017895A KR102002896B1 KR 102002896 B1 KR102002896 B1 KR 102002896B1 KR 1020160017895 A KR1020160017895 A KR 1020160017895A KR 20160017895 A KR20160017895 A KR 20160017895A KR 102002896 B1 KR102002896 B1 KR 102002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ification
time
unit
block
unit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474A (ko
Inventor
박지은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17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896B1/ko
Priority to JP2017011010A priority patent/JP6339249B2/ja
Priority to US15/429,958 priority patent/US10523774B2/en
Publication of KR20170096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5Tracking the activity of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4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H04L67/2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2Establishing a time schedule for servicing the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컨텐츠 서비스에서 알림 시간을 개인화 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알림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는 시간인 사용자 이용 시간을 단위 기간 별로 관리하는 단계; 상기 단위 기간 각각에 대해 상기 사용자 이용 시간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단위 기간에 개인화 된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하는 단계; 및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알림 이벤트의 발생 시점과 대응되는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에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서비스에서 알림 시간을 개인화 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ATION NOTIFICATION TIME WITHIN CONTENTS SERVICE}
아래의 설명은 컨텐츠에 대한 푸시 알림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초고속 통신망 이용자의 급격한 증가는 통신망을 통한 신규 서비스의 개발 및 서비스 아이템의 다양화를 가능하게 한다.
모바일 장치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의 기능이나 모바일 장치로부터 데이터에 액세스 하는 방식 등과 관련하여 여러 가지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동적 컨텐츠 전달은 사용자로 하여금 데이터를 직접 찾아 소비하기 보다는 정보 또는 데이터가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푸시 되도록 할 수 있게 해준다. 데이터의 예는 신작 웹툰, 주식 시세, 최신 날씨 정보, 최신 교통 정보, 동적 바탕 화면(dynamic wallpaper), 광고,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에게 바람직한 기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09565호(공개일 2014년 09월 16일)에는 사용자가 지정한 정보에 대해 푸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이용 기록을 분석하여 개인화 된 푸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용자 이용 패턴에 맞추어 컨텐츠에 대한 알림 시간을 최적화 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알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는 시간인 사용자 이용 시간을 단위 기간 별로 관리하는 단계; 상기 단위 기간 각각에 대해 상기 사용자 이용 시간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단위 기간에 개인화 된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하는 단계; 및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알림 이벤트의 발생 시점과 대응되는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에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림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전자 기기와 결합되어 알림 제공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알림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는 시간인 사용자 이용 시간을 단위 기간 별로 관리하는 단계; 상기 단위 기간 각각에 대해 상기 사용자 이용 시간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단위 기간에 개인화 된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하는 단계; 및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알림 이벤트의 발생 시점과 대응되는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에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발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컴퓨터로 구현되는 알림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는 시간인 사용자 이용 시간을 단위 기간 별로 관리하는 관리부; 상기 단위 기간 각각에 대해 상기 사용자 이용 시간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단위 기간에 개인화 된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하는 선정부; 및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알림 이벤트의 발생 시점과 대응되는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에 상기 사용자에게 알림을 발송하는 알림 발송부를 포함하는 알림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이용 기록을 분석하여 개인화 된 푸시 알림을 통해 컨텐츠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접근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컨텐츠 제공을 위한 필요 자원이나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소비하는 이용 시간 히스토리를 기록하여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패턴을 인식한 후 사용자 패턴에 맞추어 컨텐츠에 대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알림 발송 시간의 개인화는 물론 최적화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알림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패턴 별 개인 알림 시간의 설정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들은 인터넷을 통해 디지털 형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텐츠에 진입할 수 있는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네트워크 환경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 복수의 서버들(150, 160) 및 네트워크(170)를 포함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전자 기기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은 컴퓨터 장치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의 예를 들면,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 내비게이션,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이 있다. 일례로 제1 전자 기기(110)는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70)를 통해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 및/또는 서버(150, 16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17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17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17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서버(150, 160) 각각은 복수의 전자 기기들(110, 120, 130, 140)과 네트워크(170)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 컴퓨터의 예로는 서버 컴퓨팅 디바이스, 개인용 컴퓨터, 서버 컴퓨터, 일련의 서버 컴퓨터들, 미니 컴퓨터, 및/또는 메인프레임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 컴퓨터는 분산형 시스템일 수 있고, 그리고 서버 컴퓨터의 동작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 상에서 동시에 그리고/또는 순차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례로, 서버(150)는 클라이언트(client)인 제1 전자 기기(110)를 대상으로 웹툰을 비롯한 디지털 형태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서비스 플랫폼 역할을 한다. 특히, 서버(150)는 컨텐츠 서비스 내에서 사용자 이용 기록을 분석하여 개인화 된 패턴의 푸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160)는 네트워크(170)를 통해 접속한 제1 전자 기기(110)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위한 파일을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전자 기기(110)는 서버(160)로부터 제공된 파일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가 포함하는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일례로 브라우저나 상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서버(150)에 접속하여 서버(150)가 제공하는 서비스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기기(110)가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비스 요청 메시지를 서버(150)로 전송하면, 서버(150)는 서비스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코드를 제1 전자 기기(110)로 전송할 수 있고, 제1 전자 기기(110)는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코드에 따른 화면을 구성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자 기기 및 서버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전자 기기에 대한 예로서 제1 전자 기기(110), 그리고 하나의 서버에 대한 예로서 서버(15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한다. 다른 전자 기기들(120, 130, 140)이나 서버(160) 역시 동일한 또는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는 메모리(211, 221), 프로세서(212, 222), 통신 모듈(213, 223)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1, 221)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11, 221)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제1 전자 기기(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상술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을 이용하여 메모리(211, 221)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13, 223)을 통해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160))이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1, 221)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12, 222)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1, 221) 또는 통신 모듈(213, 223)에 의해 프로세서(212, 222)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12, 222)는 메모리(211, 22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13, 223)은 네트워크(170)를 통해 제1 전자 기기(110)와 서버(15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다른 전자 기기(일례로 전자 기기 2(120)) 또는 다른 서버(일례로 서버(160))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가 메모리(211)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 통신 모듈(213)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170)를 통해 서버(150)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서버(150)의 프로세서(222)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 컨텐츠, 파일 등이 통신 모듈(223)과 네트워크(170)를 거쳐 제1 전자 기기(110)의 통신 모듈(213)을 통해 제1 전자 기기(110)로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13)을 통해 수신된 서버(150)의 제어 신호나 명령 등은 프로세서(212)나 메모리(211)로 전달될 수 있고, 컨텐츠나 파일 등은 제1 전자 기기(11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224)는 입출력 장치(215)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통신 세션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제1 전자 기기(110)의 프로세서(212)는 메모리(211)에 로딩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함에 있어서 서버(150)나 전자 기기 2(120)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서비스 화면이나 컨텐츠가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를 통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전자 기기(110) 및 서버(150)는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기기(11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215)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는 웹툰, 동영상, 사진, 이미지, 음악, 문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되어 유통되는 각종 정보 또는 그 내용물을 포괄하여 의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프로세서가 포함할 수 있는 구성요소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가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150)의 프로세서(222)는 관리부(310), 선정부(320), 및 알림 발송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222)의 구성요소들은 도 4의 방법이 포함하는 단계들(S410 내지 S430)을 수행하도록 서버(15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를 위해 메모리(221)가 포함하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단계(S410)에서 관리부(310)는 컨텐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단위 기간 별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이용 시간을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이용 시간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한 시간으로, 예를 들어 웹툰의 경우 사용자가 웹툰을 읽은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단위 기간은 컨텐츠의 업데이트 주기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관리부(310)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읽은 시간들을 요일 별로 기록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일례로, 관리부(310)는 사용자 각각에 대하여 단위 기간 별 사용자 이용 시간을 서버(150) 상에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저장 및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전자 기기(110) 상에 설치된, 컨텐츠 서비스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에서 단위 기간 별 사용자 이용 시간을 기록할 수 있으며, 이때 관리부(310)는 제1 전자 기기(110)로부터 단위 기간 별 사용자 이용 기록을 수신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기기(110)에서는 어플리케이션 런치 시간(launch time)을 로컬로 체크하여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는 시간을 기록할 수 있으며, 서버(150)의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이용 시간에 대한 기록 데이터를 서버(150)로 제공할 수 있다.
단계(S420)에서 선정부(320)는 단위 기간 각각에 대해 해당 단위 기간의 사용자 이용 시간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각 단위 기간에 개인화 된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일 별로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는 패턴이 다를 수 있으므로 선정부(320)는 요일 각각에 대해 사용자가 과거 해당 요일에 컨텐츠를 소비한 시간들을 분석함으로써 각 요일 별로 사용자가 주로 컨텐츠를 소비하는 시간대(time span)를 찾아 해당 요일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할 수 있다. 일례로, 선정부(320)는 단위 기간을 복수의 블록 단위로 분할한 후(예컨대, 하루를 15분의 블록 단위로 나눈 후) 복수의 블록 단위 중 사용자가 주로 컨텐츠를 소비하는 시간대에 해당되는 블록 단위를 체크하여 해당 블록 단위의 시작점을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선정부(320)는 단위 기간의 사용자 이용 시간을 직접 클러스터링 하여 가장 많은 데이터를 가진 클러스터를 찾고 해당 클러스터의 데이터 중 가장 빠른 시간을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정부(320)는 Mean-Shift 알고리즘, K-means 알고리즘 등의 클러스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 이용 시간에 대한 클러스터링을 통해 사용자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단계(S430)에서 알림 발송부(330)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컨텐츠에 대한 푸시 알림을 발송하되, 컨텐츠와 관련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단계(S420)에서 선정된 단위 기간 별 개인 알림 시간 중 이벤트 발생 시점과 대응되는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에 해당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알림은 컨텐츠에 바로 진입할 수 있는 경로가 포함된 메시지 형태로 발송될 수 있다. 알림 발송부(330)는 컨텐츠와 관련된 알림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시점과 대응되는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에 알림 메시지를 발송할 수 있다. 일례로, 알림 발송부(330)는 새로 등록된 컨텐츠에 대해 주기적으로 신작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해당 알림 주기에 대응되는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을 알림 발송 시간으로 적용하여 신작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알림 발송부(330)는 사용자가 일정 기간(예컨대, 2주) 이상 컨텐츠 이용 기록이 없는 경우 장기 미접속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때 알림 제공 시점에 대응되는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을 알림 발송 시간으로 적용하여 장기 미접속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따라서, 알림 발송부(330)는 컨텐츠와 관련된 알림 제공 시 사용자에게 개인화 된 알림 발송 시간에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의 개인 알림 시간 선정 방법은 도 4를 통해 앞에서 설명한 방법의 단계(S420)에 해당되는 것으로, 도 3과 관련하여 선정부(320)에 의해 각각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개인 알림 시간 선정 방법은 도시된 순서대로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단계들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추가의 과정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5의 개인 알림 시간 선정 방법은 단위 기간 각각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혹은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S51)에서 선정부(320)는 단위 기간을 시간에 따라 복수의 블록 단위로 분할하여 블록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복수의 블록 단위 중 사용자 이용 시간을 기록한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된 유효 블록을 선별할 수 있다. 이때, 블록 단위는 서비스 이용자들의 1회 평균 이용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블록 단위는 지역 별로, 혹은 사용자 별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위 기간은 각 요일에 해당되고, 15분을 단위로 하여 하루를 00:00:00~00:14:59, 00:15:00~00:29:59, ...와 같이 96개의 블록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선정부(320)는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이용 시간을 기록한 데이터를 해당 시간대의 블록 단위에 매칭시킬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매칭된 블록 단위를 유효 블록으로 선별할 수 있다. 이때, 선정부(320)는 단위 기간 별 개인 알림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최근 일정 기간의 해당 단위 기간 별 사용자 이용 시간을 이용할 수 있다. 월요일의 개인 알림 시간을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선정부(320)는 최근 3주 동안 월요일마다 기록된 사용자 이용 시간을 이용할 수 있다.
단계(S52)에서 선정부(320)는 유효 블록 중 설정 개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특정 블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정부(320)는 2개 이상의 데이터가 존재하는, 다시 말해 사용자 이용 기록이 두 번 이상 존재하는 시간대의 블록을 선별할 수 있다.
단계(S53)에서 선정부(320)는 단계(S52)의 판단 결과 설정 개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특정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특정 블록이 복수 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54)에서 선정부(320)는 단계(S53)의 판단 결과 유효 블록 중 특정 블록이 복수 개가 아닌 단일 개수인 경우 특정 블록에 해당되는 블록 단위의 시작점을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S55)에서 선정부(320)는 단계(S53)의 판단 결과 유효 블록 중 특정 블록이 복수 개인 경우 각 특정 블록에 매칭된 데이터의 개수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S56)에서 선정부(320)는 단계(S55)의 판단 결과 각 특정 블록에 매칭된 데이터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 복수 개의 특정 블록 중 시간대가 가장 빠른 블록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정부(320)는 단계(S56)에서 선택된 특정 블록에 해당되는 블록 단위의 시작점을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S57)에서 선정부(320)는 단계(S55)의 판단 결과 각 특정 블록에 매칭된 데이터의 개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복수 개의 특정 블록 중 데이터의 개수가 가장 많은 블록을 선택한다. 그리고, 선정부(320)는 단계(S57)에서 선택된 특정 블록에 해당되는 블록 단위의 시작점을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계(S58)에서 선정부(320)는 단계(S52)의 판단 결과 설정 개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특정 블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유효 블록 간에 설정 시간 범위 이내로 인접한 블록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정부(320)는 유효 블록 중 ±15분 이내로 서로 인접한 블록들을 선별할 수 있다.
단계(S59)에서 선정부(320)는 단계(S58)의 판단 결과 유효 블록 중 설정 시간 범위 이내로 인접한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인접 블록들을 하나의 블록 단위로 묶음 처리할 수 있다. 선정부(320)는 유효 블록 중 인접한 블록들을 동일한 블록으로 간주하고 묶음 처리한 블록 단위에 대하여 상기한 과정(S52~S58)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선정부(320)는 단계(S58)의 판단 결과 유효 블록 중 설정 시간 범위 이내로 인접한 블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유효 블록 중 시간대가 가장 빠른 블록을 선택한 후, 선택된 블록에 해당되는 블록 단위의 시작점을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알림 이벤트가 발생한 시각과 가장 가까운 시간 이벤트가 없는 경우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을 00(시):00(분):00(초)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패턴 별 개인 알림 시간의 설정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알림 트리거가 월요일 00(시):00(분):00(초)에 발생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 패턴 분석을 위해 최근 3주 동안 월요일마다 기록된 사용자 이용 시간을 이용한다. 예를 들어, 15분을 단위로 하루를 00:00:00~00:14:59, 00:15:00~00:29:59, ...와 같이 96개의 블록 단위로 분할하고,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이용 시간을 기록한 데이터를 해당 시간대의 블록 단위에 매칭시킴으로써 사용자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근 3주 동안 알림 트리거 발생 시점과 같은 단위 기간(월요일)에 기록된 데이터가 모두 동일한 시간대의 블록 단위, 예를 들어 19:00:00~19:14:59의 블록에 수렴되는 경우 월요일의 개인 알림 시간은 해당 블록의 시작점인 "19:00:00"로 선정된다.
도 7은 도 6의 사용자 패턴과 달리 최근 3주 동안 알림 트리거 발생 시점과 같은 단위 기간(월요일)에 기록된 데이터가 모두 다른 시간대에 나타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패턴이 3주 전에는 08:30:00~08:44:59의 블록에서 한번, 2주 전에는 12:30:00~12:44:59의 블록에서 한번, 1주 전에는 16:30:00~16:44:59의 블록에서 한번 나타난다. 이와 같이, 모든 접속 시간이 다른 패턴을 보이고 특히 블록 단위 간에 서로 인접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은 사용자 이용 기록이 한번이라도 존재하는 블록들 중 시간 상 가장 빠른 블록, 즉 08:30:00~08:44:59의 시작점인 "08:30:00"로 선정된다.
도 8은 사용자 패턴이 하나의 블록 단위에서 두 번 이상 나타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패턴이 3주 전에는 19:30:00~19:44:59의 블록에서 한번 나타나고, 2주 전과 1주 전에는 모두 19:15:00~19:29:59의 블록에서 나타난다. 이러한 경우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은 사용자 이용 기록이 존재하는 블록 중 데이터의 개수가 가장 많은 쪽의 블록, 즉 19:15:00~19:29:59의 시작점인 "19:15:00"로 선정된다.
도 9는 사용자 이용 기록이 존재하는 블록 중 블록 단위 간에 서로 인접한 블록이 존재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패턴이 3주 전에는 08:30:00~08:44:59의 블록에서 한번, 2주 전에는 19:00:00~19:14:59의 블록에서 한번, 1주 전에는 19:15:00~19:29:59의 블록에서 한번 나타날 때 19:00:00~19:14:59의 블록과 19:15:00~19:29:59의 블록을 하나의 블록 단위로 간주한다. 따라서, 사용자 이용 기록이 존재하는 블록 중 서로 인접한 블록들의 데이터를 동일한 블록 단위의 데이터로 클러스터링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08:30:00~08:44:59의 블록과 19:00:00~19:29:59의 블록 중 데이터의 개수가 많은 블록인 19:00:00~19:29:59을 기준으로 해당 블록의 시작점 "19:00:00"을 월요일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한다.
도 10과 도 11은 인접한 블록의 클러스터링을 통해 사용자 이용 기록이 2개 이상 존재하는 블록이 복수 개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근 3주 동안 월요일마다 기록된 사용자 이용 시간이 08:00:00~08:44:59의 블록에서 두 번, 12:30:00~12:59:59의 블록에서 두 번, 23:15:00~23:59:59의 블록에서 세 번 나타나는 경우, 클러스터링 된 데이터 개수가 가장 많은 블록인 23:15:00~23:59:59을 기준으로 해당 블록의 시작점 "23:15:00"을 월요일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한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근 3주 동안 월요일마다 기록된 사용자 이용 시간이 08:00:00~08:14:59의 블록에서 두 번, 12:30:00~12:59:59의 블록에서 두 번, 23:15:00~23:59:59의 블록에서 두 번으로 모두 동률로 나타나는 경우에는 시간 상 가장 빠른 블록인 08:00:00~08:14:59을 기준으로 해당 블록의 시작점 "08:00:00"을 월요일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한다.
따라서, 선정부(320)는 컨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의 개인 이용 패턴을 블록화 하여 각 블록의 데이터 개수를 통해 사용자가 가장 자주 이용하는 시간을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패턴을 보이는 블록 간에 데이터의 개수가 동률인 경우에는 알림 이벤트에 최대한 가까운 시간을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단위 기간을 블록화 하여 사용자 이용 기록이 많은 블록의 시작점을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위 기간을 블록 단위로 나누지 않고 사용자 이용 시간을 기록한 데이터를 바로 클러스터링 하여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근 일정 기간 동안 월요일마다 기록된 데이터를 시간을 기준으로 클러스터링 한 후 클러스터(C1, C2, C3) 중 데이터의 개수가 가장 많은 클러스터(C2)를 선별하고 해당 클러스터(C2)에 포함된 데이터 중 가장 빠른 시간을 월요일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데이터의 개수가 가장 많은 클러스터가 복수 개이거나 클러스터의 데이터 개수가 동률인 경우 시간 상 빠른 쪽의 클러스터를 선택하여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할 수 있다.
사용자 이용 시간을 기록한 데이터를 직접 클러스터링 하는 방법은 Mean-Shift 알고리즘, K-means 알고리즘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50) 측에서 발송된 알림 메시지는 제1 전자 기기(1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제어에 따라 제1 전자 기기(110)의 화면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알림 메시지를 선택하는 경우 알림 메시지에 포함된 경로에 따라 해당 작품의 상세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서버(150)는 개인화 된 알림에 대한 사용자 설정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사용자의 최근 이용 기록을 바탕으로 선정된 개인 알림 시간에 컨텐츠에 대한 푸시 알림을 발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서비스 내에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는 시간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 패턴에 개인화 및 최적화 된 시간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으로 구현된 서버(150)에서 컨텐츠 서비스 내의 사용자 이용 기록을 분석하여 개인화 된 알림을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과 관련된 특징들이 제1 전자 기기(110) 상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되어 제1 전자 기기(110)에서 직접 사용자 이용 기록을 분석하여 개인화 된 알림을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이용 기록을 분석하여 개인화 된 푸시 알림을 통해 컨텐츠를 자동으로 제공함으로써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접근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컨텐츠 제공을 위한 필요 자원이나 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를 소비하는 이용 시간 히스토리를 기록하여 사용자가 자주 이용하는 패턴을 인식한 후 사용자 패턴에 맞추어 컨텐츠에 대한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알림 발송 시간의 개인화는 물론 최적화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알림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0)

  1. 컴퓨터로 구현되는 알림 제공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알림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알림 제공 시스템의 프로세서가,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는 시간인 사용자 이용 시간을 단위 기간 별로 관리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단위 기간 각각에 대해 상기 사용자 이용 시간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단위 기간에 개인화 된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알림을 발송하고자 하는 시점과 대응되는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에 상기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상기 알림을 발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기간은 상기 컨텐츠의 업데이트 주기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단위 기간에 대하여 상기 선정된 개인 알림 시간을 해당 단위 기간의 알림 발송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단위 기간에 발송하고자 하는 알림은 해당 단위 기간 중 상기 설정된 알림 발송 시간에 발송되고,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업데이트 주기에 따라 결정된 상기 단위 기간 각각에 대해 최근 일정 기간 동안 해당 단위 기간마다 기록된 사용자 이용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알림을 발송하기 위한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하되,
    상기 단위 기간을 시간에 따라 복수의 블록 단위로 분할한 후 상기 사용자 이용 시간을 기록한 데이터를 해당 시간대의 블록 단위에 매칭시키고, 상기 복수의 블록 단위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매칭된 블록 단위를 이용하여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하고,
    상기 블록 단위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이용자들의 평균 이용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기간에 발송하고자 하는 알림의 경우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에 발송하되 상기 알림을 상기 컨텐츠에 바로 진입 가능한 경로가 포함된 메시지 형태로 발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제공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기간을 복수의 블록 단위로 분할한 후 상기 사용자 이용 시간을 기록한 데이터를 해당 시간대의 블록 단위에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블록 단위 중 상기 데이터의 개수가 가장 많은 블록의 시작점을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림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기간을 복수의 블록 단위로 분할한 후 상기 사용자 이용 시간을 기록한 데이터를 해당 시간대의 블록 단위에 매칭시키는 단계;
    상기 복수의 블록 단위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매칭된 블록 단위인 유효 블록을 선별하는 단계;
    상기 유효 블록 중 설정 개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특정 블록이 복수 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블록이 하나인 경우 상기 특정 블록의 시작점을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알림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블록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특정 블록 중 상기 데이터의 개수가 가장 많은 블록의 시작점을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알림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블록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특정 블록 중 시간대가 가장 빠른 블록의 시작점을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알림 제공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블록이 복수 개인경우 상기 특정 블록에 포함된 상기 데이터의 개수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특정 블록에 포함된 상기 데이터의 개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상기 특정 블록 중 상기 데이터의 개수가 가장 많은 블록의 시작점을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블록에 포함된 상기 데이터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 상기 특정 블록 중 시간대가 가장 빠른 블록의 시작점을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알림 제공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블록 중 설정 시간 이내로 인접한 블록들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인접한 블록들을 하나의 블록 단위로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알림 제공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블록 중 상기 특정 블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효 블록 중 설정 시간 이내로 인접한 블록들을 하나의 블록 단위로 처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알림 제공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유효 블록 중 상기 특정 블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유효 블록 중 시간대가 가장 빠른 블록의 시작점을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알림 제공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컴퓨터로 구현되는 알림 제공 시스템과 결합되어 알림 제공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있어서,
    상기 알림 제공 방법은,
    상기 알림 제공 시스템의 프로세서가,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는 시간인 사용자 이용 시간을 단위 기간 별로 관리하는 단계;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단위 기간 각각에 대해 상기 사용자 이용 시간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단위 기간에 개인화 된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알림을 발송하고자 하는 시점과 대응되는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에 상기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상기 알림을 발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기간은 상기 컨텐츠의 업데이트 주기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단위 기간에 대하여 상기 선정된 개인 알림 시간을 해당 단위 기간의 알림 발송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단위 기간에 발송하고자 하는 알림은 해당 단위 기간 중 상기 설정된 알림 발송 시간에 발송되고,
    상기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업데이트 주기에 따라 결정된 상기 단위 기간 각각에 대해 최근 일정 기간 동안 해당 단위 기간마다 기록된 사용자 이용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알림을 발송하기 위한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하되,
    상기 단위 기간을 시간에 따라 복수의 블록 단위로 분할한 후 상기 사용자 이용 시간을 기록한 데이터를 해당 시간대의 블록 단위에 매칭시키고, 상기 복수의 블록 단위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매칭된 블록 단위를 이용하여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하고,
    상기 블록 단위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이용자들의 평균 이용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발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위 기간에 발송하고자 하는 알림의 경우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에 발송하되 상기 알림을 상기 컨텐츠에 바로 진입 가능한 경로가 포함된 메시지 형태로 발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컴퓨터로 구현되는 알림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소비하는 시간인 사용자 이용 시간을 단위 기간 별로 관리하는 관리부;
    상기 단위 기간 각각에 대해 상기 사용자 이용 시간에 대한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단위 기간에 개인화 된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하는 선정부; 및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알림을 발송하고자 하는 시점과 대응되는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에 상기 사용자의 전자 기기로 상기 알림을 발송하는 알림 발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기간은 상기 컨텐츠의 업데이트 주기에 따라 결정되고,
    상기 단위 기간에 대하여 상기 선정된 개인 알림 시간을 해당 단위 기간의 알림 발송 시간으로 설정하고,
    상기 단위 기간에 발송하고자 하는 알림은 해당 단위 기간 중 상기 설정된 알림 발송 시간에 발송되고,
    상기 선정부는,
    상기 컨텐츠의 업데이트 주기에 따라 결정된 상기 단위 기간 각각에 대해 최근 일정 기간 동안 해당 단위 기간마다 기록된 사용자 이용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와 관련된 알림을 발송하기 위한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하되,
    상기 단위 기간을 시간에 따라 복수의 블록 단위로 분할한 후 상기 사용자 이용 시간을 기록한 데이터를 해당 시간대의 블록 단위에 매칭시키고, 상기 복수의 블록 단위 중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매칭된 블록 단위를 이용하여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을 선정하고,
    상기 블록 단위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전체 이용자들의 평균 이용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고,
    상기 알림 발송부는,
    상기 단위 기간에 발송하고자 하는 알림의 경우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에 발송하되 상기 알림을 상기 컨텐츠에 바로 진입 가능한 경로가 포함된 메시지 형태로 발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제공 시스템.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부는,
    상기 단위 기간을 복수의 블록 단위로 분할한 후 상기 사용자 이용 시간을 기록한 데이터를 해당 시간대의 블록 단위에 매칭시키고, 상기 복수의 블록 단위 중 설정 개수 이상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특정 블록의 시작점을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제공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부는,
    상기 특정 블록이 복수 개인 경우 상기 특정 블록 중 상기 데이터의 개수가 가장 많은 블록의 시작점을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제공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부는,
    상기 특정 블록이 복수 개인경우 상기 특정 블록 중 시간대가 가장 빠른 블록의 시작점을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제공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부는,
    상기 특정 블록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매칭된 블록 단위 중 시간대가 가장 빠른 블록의 시작점을 해당 단위 기간의 개인 알림 시간으로 선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제공 시스템.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선정부는,
    상기 복수의 블록 단위에서 하나 이상의 데이터가 매칭된 블록 단위 중 설정 시간 이내로 인접한 블록들을 하나의 블록 단위로 처리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알림 제공 시스템.
KR1020160017895A 2016-02-16 2016-02-16 컨텐츠 서비스에서 알림 시간을 개인화 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2002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895A KR102002896B1 (ko) 2016-02-16 2016-02-16 컨텐츠 서비스에서 알림 시간을 개인화 하는 방법 및 시스템
JP2017011010A JP6339249B2 (ja) 2016-02-16 2017-01-25 コンテンツサービスで通知時間を個人化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15/429,958 US10523774B2 (en) 2016-02-16 2017-02-10 Method and system for personalizing notification time within contents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895A KR102002896B1 (ko) 2016-02-16 2016-02-16 컨텐츠 서비스에서 알림 시간을 개인화 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474A KR20170096474A (ko) 2017-08-24
KR102002896B1 true KR102002896B1 (ko) 2019-10-01

Family

ID=5955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895A KR102002896B1 (ko) 2016-02-16 2016-02-16 컨텐츠 서비스에서 알림 시간을 개인화 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23774B2 (ko)
JP (1) JP6339249B2 (ko)
KR (1) KR1020028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82366A (zh) * 2020-09-15 2021-01-05 北京每日优鲜电子商务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6469A (ja) 2007-03-22 2008-10-02 Pioneer Electronic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89111A1 (en) 2009-09-16 2014-07-0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adaptation of online services to user behavio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9667A (ja) * 2002-12-04 2004-07-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提供装置及びその方法
KR100685286B1 (ko) * 2004-11-23 2007-02-22 주식회사 팬택 특정 사용 패턴에 따른 인공 지능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4726938B2 (ja) * 2008-09-22 2011-07-20 京セラ株式会社 移動局
JP2010157074A (ja) * 2008-12-26 2010-07-15 Fujitsu Ltd 情報配信装置、そ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08711B2 (ja) * 2009-07-03 2014-02-05 Kddi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制御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コンテンツ受信端末
US8655321B2 (en) * 2011-04-11 2014-02-18 Microsoft Corporation Adaptive notifications
KR102104100B1 (ko) * 2013-01-23 2020-04-2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실사용 이력 기반 디지털 컨텐츠 추천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09565A (ko) 2013-03-05 2014-09-16 (주)필링크 푸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20390A (ko) * 2013-08-13 2015-02-2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추천 방법과 이를 제공하는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36469A (ja) 2007-03-22 2008-10-02 Pioneer Electronic Corp コンテンツ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40189111A1 (en) 2009-09-16 2014-07-0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ime adaptation of online services to user behavio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형창 외 4인. ‘아이템 사용시간을 고려한 Apriori알고리즘’. 전기학회논문지.2010.07.31., 제59권, 제7호, (제1327면 내지 제1331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23774B2 (en) 2019-12-31
JP6339249B2 (ja) 2018-06-06
JP2017146964A (ja) 2017-08-24
US20170237821A1 (en) 2017-08-17
KR20170096474A (ko)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81842A1 (en) Techniques for service execution and monitoring for run-time service composition
US11403125B2 (en) Optimizing the deployment of virtual resources and automating post-deployment actions in a cloud environment
US986664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ory push search for a homescreen browser
JP2018181326A (ja) ディープラーニングを活用した個人化商品推薦
US11657425B2 (en) Target user estimation for dynamic assets
US2013021930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untime user interface management
JP6906736B2 (ja) ユーザのToDoリストに対する通知を提供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US20160132314A1 (en) Remote configuration management of applications
EP3651099A1 (en) Distributed transaction processing
US1124571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host classification
KR102632639B1 (ko) 이미지 기반 컨텐츠의 개인화 추천을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CN107040579B (zh) 在内容服务中提供个性化通知的方法及系统
KR102337536B1 (ko) 장기간 관련 있는 이슈 단위의 클러스터를 이용한 문서 타임라인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40098151A1 (en) ENHANCED PROCESSING OF USER PROFILES USING DATA STRUCTURES SPECIALIZED FOR GRAPHICAL PROCESSING UNITS (GPUs)
KR102002896B1 (ko) 컨텐츠 서비스에서 알림 시간을 개인화 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94377B1 (ko) 컨텐츠 서비스에서 개인화 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888305B1 (ko) 컨텐츠 서비스에서 개인화 된 알림을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30393860A1 (en) Automatic application configuration synchronization based on data analytics
US20230239377A1 (en) System and techniques to autocomplete a new protocol definition
KR101810321B1 (ko) 소셜 기반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73818A (ko) 응답률을 고려한 챗봇 시나리오 제작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63076A (ko) 명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85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613

Effective date: 2019041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