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431B1 - 치과용 체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치과용 체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431B1
KR102002431B1 KR1020170118276A KR20170118276A KR102002431B1 KR 102002431 B1 KR102002431 B1 KR 102002431B1 KR 1020170118276 A KR1020170118276 A KR 1020170118276A KR 20170118276 A KR20170118276 A KR 20170118276A KR 102002431 B1 KR102002431 B1 KR 102002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handpiece
chair
patien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0815A (ko
Inventor
김만용
이종호
김봉주
정국현
김원현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치과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치과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치과병원
Priority to KR1020170118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4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61G15/16Storage, holding or carrying means for dental handpiec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07Control devices or systems
    • A61C1/0015Electrical systems
    • A61C1/0023Foot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61Air and water supply systems; Val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4Tool-holders, i.e. operating tool holders, e.g. burr holders
    • A61C1/145Instruments or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02Foldable, portable or collapsible chairs, e.g. for surgery or dent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과용 체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물, 에어, 워셔, 배큠(Vacuum) 및 전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재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체어부; 및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공급재가 공급되는 하나 이상의 핸드피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핸드피스 유닛은 상기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체어시스템 {CHAIR SYSTEM FOR A DENTAL CLINIC}
본 발명은 치과용 체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는 환자의 치아에 대한 진단 및 치료를 받기 적합한 형태의 치과용 체어시스템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치과용 체어시스템 치과 진료 행위에 필요한 장비를 종합적으로 갖추거 각종 치과치료 및 처치에 사용되는 의료기구로써, 환자가 편하게 앉아서 누울 수 있고, 또한 의사가 환자의 구강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러한 종래의 치과용 체어시스템에 대한 선행문헌은 아래와 같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등록실용신안 20-0433983호 (공고일자 : 2006년 12월 14일, 발명의 명칭 : 정수기가 자체 구비된 치과용 유닛체어)
종래의 치과용 체어시스템은 치과용 체어, 핸드피스 유닛을 제어하는 핸드피스 패널, 상기 핸드피스 패널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핸드피스 유닛, 상기 핸드피스 패널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피스 동작을 조절할 수 있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의사는 상기 디스플레이부나 핸드피스 패널의 터치조작을 통해 상기 핸드피스 패널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핸드피스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여 환자를 치료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치과용 체어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상기 치과용 체어시스템은 상기 치과용체어, 상기 핸드피스 패널 및 상기 핸드피스 유닛이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분리가 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핸드피스 유닛의 소독하기 어려우며, 소독하려면 핸드피스 패널이 설치된 진료실 내부에서 소독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상기 치과용 체어시스템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둘째, 핸드피스 유닛이 핸드피스 패널과 일체로 결합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의사가 필요한 핸드피스 유닛만 별도로 구매하지 못하고 불필요한 핸드피스 유닛이 구비되어 있더라도 과도한 비용을 들여 구매해야 되는 문제가 있다.
셋째, 상기 핸드피스 패널 및 핸드피스 유닛의 소독이 어려움에 따라, 실제 진료실에는 상기 치과용 체어시스템이 구비될 수 있으나, 치아에 대한 수술을 위한 수술실에는 상기 치과용 체어시스템이 위생상 구비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넷째, 상기 치과용 체어시스템은 양측 중 일측이 치과의사용, 나머지 타측이 보조인력(치위생사 등)용으로 고정되어 제조되기 때문에, 치과의사와 보조인력이 필요에 따라 자리교체를 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이는 치과의사가 왼손잡이일 때 효율적인 진단 및 치료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다섯째로, 핸드피스의 조작은 핸드피스 패널이나 디스플레이부 터치를 통해 하기 때문에, 환자를 진료하던 손으로 터치를 하게되어 오염이 손쉽게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체어부에 핸드피스 유닛이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별도의 핸드피스 패널이 불필요한 치과용 체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논-터치 방식으로 핸드피스를 제어하여 오염을 방지하는 치과용 체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어시스템은 물, 에어, 워셔, 배큠(Vacuum) 및 전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재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체어부; 및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공급재가 공급되는 하나 이상의 핸드피스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핸드피스 유닛은 상기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하지 않는 핸드피스 유닛의 별도 소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체어부의 양 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체어부의 양 측 중 원하는 곳에 위치하여 진료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체어부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체어부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핸드피스 유닛은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교차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어부는, 상기 핸드피스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핸드피스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어시스템은, 상기 핸드피스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피스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핸드피스제어부로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 핸드피스 유닛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부는 풋터치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어시스템은 환자의 진단정보 및 치료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동작을 통해 원격으로 핸드피스 유닛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내장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동작정보가 상기 핸드피스제어부로 전달되어 상기 핸드피스 유닛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음성을 통해 원격으로 핸드피스 유닛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내장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정보가 상기 핸드피스제어부로 전달되어 상기 핸드피스 유닛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어시스템은, 상기 체어부의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핸드피스 유닛이 거치되는 행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행거부는 상기 체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어시스템은 물, 에어, 워셔, 배큠(Vacuum) 및 전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재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체어부; 및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공급재가 공급되는 하나 이상의 핸드피스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핸드피스 유닛은 상기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용하지 않는 핸드피스 유닛의 별도 소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체어부의 양 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체어부의 양 측 중 원하는 곳에 위치하여 진료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체어부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체어부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핸드피스 유닛은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교차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어부는, 상기 핸드피스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핸드피스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어시스템은, 상기 핸드피스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피스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핸드피스제어부로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 핸드피스 유닛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부는 풋터치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어시스템은 환자의 진단정보 및 치료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동작을 통해 원격으로 핸드피스 유닛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내장된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동작정보가 상기 핸드피스제어부로 전달되어 상기 핸드피스 유닛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음성을 통해 원격으로 핸드피스 유닛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입력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내장된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정보가 상기 핸드피스제어부로 전달되어 상기 핸드피스 유닛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어시스템은, 상기 체어부의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핸드피스 유닛이 거치되는 행거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행거부는 상기 체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어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어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어시스템의 행거부에 핸드피스 유닛이 거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어시스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어시스템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어시스템의 행거부에 핸드피스 유닛이 거치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어시스템(1)은 치과의사 및 보조인력이 환자를 진단 또는 치료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기 치과용 제어시스템은 체어부(100) 및 하나 이상의 핸드피스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체어부(100)는 환자가 진단 또는 진료를 위해 앉거나 누울 수 있는 수단이다. 또한, 환자의 진단 또는 진료를 위해 필요한 공급재를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으로 공급할 수 있고,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수단이다. 상기 체어부(1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체어부(100)는 상기 환자가 안착할 수 있는 안착부(110); 상기 안착부(110)가 상기 환자의 체형에 맞게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안착부(110)의 높낮이 또는 기울기를 조절하는 높이제어부(120) 및 상기 환자의 구강을 진단 또는 치료하기 위해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으로 공급되는 공급재가 저장되는 저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10)는 상기 환자의 머리부분이 안착될 수 있는 헤드레스트(111); 상기 헤드레스트(111)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상체가 기대어질 수 있는 백레스트(112) 및 상기 환자가 착석하고 환자의 하체가 안착될 수 있는 시트(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드레스트(111), 상기 백레스트(112) 및 상기 시트(113)는 각각 높낮이 및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환자의 체형 또는 진단이나 진료형태에 맞추어 상기 안착부(110)의 높이 또는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10)는 상기 환자의 팔이 안착될 수 있는 사이드레스트(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사이드레스트(114)는 상기 시트(113)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환자의 양 팔이 안착될 수 있는 수단이다.
또한, 상기 헤드레스트(111), 상기 백레스트(112) 및 상기 시트(113)의 각각은 인조가죽, 가죽 또는 직물로 커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인조가죽, 가죽 또는 직물은 일체로 이루어져 별도의 연결부(210)위나 재봉선이 없기 때문에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높이제어부(120)는 상기 안착부(110)의 높낮이 또는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높이제어부(120)는 상기 헤드레스트(111), 상기 백레스트(112) 및 상기 시트(113)의 높낮이 또는 기울기를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안착부(110)의 각 구성에는 구동모터가 연결되어 상기 높이제어부(120)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가 회전하여 상기 안착부(110)의 높낮이 또는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안착부(110)의 높낮이 또는 기울기가 조절되도록 구동되는 수단이라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환자의 구강내부 또는 치아를 진단 또는 치료하기 위해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으로 공급되는 하나 이상의 공급재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저장부(13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수납공간 및 전원부가 배치되어, 상기 수납공간에는 상기 공급재가 각각 나누어 보관될 수 있고, 상기 전원부는 상기 핸드피스로 공급되기 위한 전원을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공급재는 물, 에어, 워셔, 배큠(Vacuum) 전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물이나 에어는 환자의 치아에 분출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한, 상기 배큠(Vacuum)은 환자의 구강내부에 분출되는 이물질이나 물을 흡입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또한, 전기는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을 동작시키기 위해 전원으로 공급되는 수단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환자의 진단 또는 진료에 필요한 약품 등도 상기 공급재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에 공급될 수 있다면 공급재의 재료는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상기 저장부(130)는 상기 안착부(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환자의 진단 또는 진료에 방해되지 않는다면 그 위치에 한정은 없음을 밝혀둔다.
또한, 상기 체어부(100)는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공급재가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이 결합가능한 결합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은 상기 결합부(140)에 분리가능하게 결할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수단으로,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이 상기 결합부(140)에 결합되면 상기 공급재가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사 또는 보조인력이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으로 상기 환자의 구강 및 치아를 진단 또는 진료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핸드피스 유닛(200)이 각각 독립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커넥터(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넥터(141)는 상기 핸드피스에 상기 전원부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핸드피스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전원 커넥터(14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41)는 물, 워셔 또는 에어가 공급될 수 있도록 호스 또는 튜브형상이 체결/탈착 가능하도록 형성된 커넥터(141)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141)는 공급재의 공급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하나의 커넥터(141)를 통해 전원과 공급재 공급공간이 함께 구비된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141)는 상기 물, 워셔, 에어 또는 배큠(vacuum)을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으로 공급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상기 커넥터(141)를 통해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은 상기 물, 워셔, 에어 또는 배큠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커넥터(141)는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으로 상기 물만을 공급하거나, 상기 물, 워셔 및 에어를 공급하거나 필요에 있어서는 상기 물, 워셔, 에어 및 배큠을 모두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141) 중 둘 이상에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이 결합된 경우, 상기 핸드피스 유닛은 모두 선택적으로 상기 공급재를 공급받을 수 있고, 의료인은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을 통해 환자의 진료 상태에 따라 상기 공급재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안착부(11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140a) 및 상기 안착부(11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결합부(140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140a) 및 상기 제2 결합부(140b)는 각각 하나 이상의 커넥터(141)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1 결합부(140a) 및 제2 결합부(140b)에 형성된 커넥터(141)는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를 직접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치과의사는 상기 안착부(110)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1 결합부(140a)에 환자의 진단 및 치료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하나 이상의 핸드피스 유닛(200)을 연결함으로써 환자를 진단 또는 치료할 수 있고, 보조인력은 상기 안착부(110)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결합부(140b)에 의사의 진단 또는 치료를 보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핸드피스 유닛(200)을 연결함으로써 의사를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의사가 왼손잡이인 경우, 의사는 상기 안착부(110)의 타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 결합부(140b)에 필요한 핸드피스 유닛(20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보조인력은 상기 제1 결합부(140a)에 필요한 핸드피스 유닛(20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의사와 보조인력은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의 위치에 구속받을 필요없이 상기 안착부(110)의 양 측 중 필요한 위치에 언제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어부(100)는 상기 결합부(140)에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이 결합되는 경우,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핸드피스제어부(150)를 더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핸드피스제어부(150)는 상기 결합부(140)에 형성된 상기 커넥터(141)에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이 결합된 경우,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의 온/오프동작, 상기 공급재의 분출량, 분출세기, 분출각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핸드피스제어부(150)가 상기 핸드피스를 제어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은 환자의 구강 또는 치아를 치료하기 위한 수단이다. 상세히,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은 상기 저장부(130)에 저장된 상기 공급재를 이용하여 환자의 구강 또는 치아를 치료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은 상기 연결부(210)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만을 별도로 소독하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핸드피스 유닛(200)을 사용하면서 동시에 사용하지 않는 핸드피스 유닛(200)은 소독할 수 있어 진료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은 상기 결합부(140)에 일 측이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210) 및 상기 연결부(21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결합부(140)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공급재로 환자의 구강 또는 치아를 치료하기 위한 치료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10)와 상기 치료부(220)는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에 공급되는 공급재의 종류, 치료방법에 따라 그 형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이 환자의 치아를 자르거나 깎아내기 위한 드릴인 경우, 상기 연결부(210)는 전원이 공급되기 위한 전선형상일 수 있고 상기 치료부(220)는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모터 및 회전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이 환자의 치아를 스켈링하기 위한 스켈링 기구인 경우, 상기 연결부(210)는 전원 및 물이 공급될 수 있는 전선 및 튜브일 수 있고, 상기 치료부(220)는 상기 전원에 의해 초음파의 진동에 따른 수압으로 물이 분출되는 수단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의사 또는 보조인력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필요한 핸드피스 유닛(200)을 상기 결합부(14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치료효율이 높을 뿐 아니라 필요한 핸드피스 유닛(200)만을 구입함으로써 구매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어시스템(1)은 환자의 진단기록이나 치료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60) 및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는 상기 환자의 진단현황, 구강상태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는 치과의 네트워크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진료기록 및 진료현황 등을 외부로 출력하거나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으로 상기 환자의 구강상태를 촬영하여 출력함으로써, 의사 또는 환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를 통해 진단 또는 진료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70)는 상기 체어부(100)의 상기 핸드피스제어부(150)와 연결되어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신호를 상기 핸드피스제어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핸드피스제어부(150)는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입력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60)에 내장된 카메라(172)일 수 있다. 이 경우, 의사 또는 보조인력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60)를 터치하지 않고 원격동작을 통해 비접촉식으로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의사 또는 보조인력가 원격동작을 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172)에 의해 입력된 원격동작 정보신호가 상기 핸드피스제어부(150)로 전달될 수 있고, 상기 핸드피스제어부(150) 저장된 동작정보에 따라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이 동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원격동작으로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60)에는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의 동작정보가 추가로 출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입력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60)에 내장된 마이크(173)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목소리로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세히, 사용자가 목소리를 내면 상기 마이크(173)에 음성신호가 입력될 수 있고, 음성신호가 상기 핸드피스제어부(150)로 입력되어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입력부(170)는 풋터치 기구(171)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발을 사용하여 스위치를 가압 또는 터치하는 풋터치 신호를 상기 핸드피스제어부(150)에 전달하여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입력부(170)를 통해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는 비접촉식으로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진단 또는 치료단계에서 손을 사용한 교차감염이나 추가감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체어시스템(1)은 상기 체어부(100)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이 임시로 거치될 수 있는 행거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행거부(180)는 하나 이상의 홈(181) 또는 개구가 형성되어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이 삽입되거나 걸림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행거부(180)는 상기 체어부(100)에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행거부(180)는 상기 안착부(110)의 양 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안착부(110)에 삽입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행거부(180)는 상기 안착부(110)의 상기 시트(113)에 삽입될 수 있다. 다만, 그 위치는 한정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행거부(180)를 상기 체어부(100)에 삽입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을 사용하여 환자를 진단 또는 치료하는 경우에는 상기 행거부(180)를 추출하여 상기 핸드피스 유닛(200)을 거치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7)

  1. 물, 에어, 워셔, 배큠(Vacuum) 및 전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재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체어부; 및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부로부터 상기 공급재가 공급되는 하나 이상의 핸드피스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핸드피스 유닛은 상기 결합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체어부의 양 측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체어부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체어부의 타 측에 배치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핸드피스 유닛은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에 교차결합 가능하고,
    상기 체어부는,
    상기 핸드피스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핸드피스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피스제어부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피스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핸드피스제어부로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카메라 또는 마이크를 구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손으로 터치하지 않고, 상기 핸드피스 유닛을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진료 또는 치료단계에서 손을 사용한 교차 및 추가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체어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부의 양 측에 배치되어 상기 핸드피스 유닛이 거치되는 행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행거부는 상기 체어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체어시스템
KR1020170118276A 2017-09-15 2017-09-15 치과용 체어시스템 KR102002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276A KR102002431B1 (ko) 2017-09-15 2017-09-15 치과용 체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8276A KR102002431B1 (ko) 2017-09-15 2017-09-15 치과용 체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815A KR20190030815A (ko) 2019-03-25
KR102002431B1 true KR102002431B1 (ko) 2019-07-23

Family

ID=6590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8276A KR102002431B1 (ko) 2017-09-15 2017-09-15 치과용 체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6741A1 (ko) * 2019-02-14 2020-08-20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치과용 체어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931A (ja) * 2000-05-01 2001-11-06 Morita Mfg Co Ltd 歯科診療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931A (ja) * 2000-05-01 2001-11-06 Morita Mfg Co Ltd 歯科診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815A (ko) 201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9168B2 (ja) 医療用実習装置
US20190239969A1 (en) Medical robotic work station
JP2018532541A (ja) 歯科用セルフアシスタント装置
KR101745434B1 (ko) 치과용 셀프 어시스턴트 장치
KR102002431B1 (ko) 치과용 체어시스템
JP6839678B2 (ja) アシスト機能を有する歯科診療装置
JP5804349B2 (ja) 医療用実習装置及び疑似生体模型
JP6968035B2 (ja) 医療用診療装置
US20060167391A1 (en) Buccodental care device
JP4037650B2 (ja) 歯科治療装置
JP3178977U (ja) 口腔鏡装置
CN113556991B (zh) 用于治疗装置的器具承载件和具有这种器具承载件的治疗装置
JP2018057670A (ja) 歯周スケーラ
WO2020166741A1 (ko) 치과용 체어시스템
KR20210000372A (ko) 핸드 피스 및 그를 가지는 유니트 체어
WO2024060278A1 (zh) 一种牙科综合治疗机及进水进气生命体征监测系统
JP6984865B2 (ja) 歯科治療用設備
JP7093330B2 (ja) 医療用装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210991997U (zh) 口腔医疗器械用消毒装置
JP2590029Y2 (ja) 歯科診療装置
CN208677845U (zh) 一种牙科综合治疗机的手柄控制台
KR102376025B1 (ko) 치과용 온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9518561A (ja) 歯科治療および/または検査アセンブリ、歯科用連結ユニット、および歯科治療および/または検査アセンブリの液体伝導システムを洗い流す方法
JP3790918B2 (ja) 超音波手術システム
JP5105507B2 (ja) フレキシブル移動キャビ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