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643B1 - 내진 랙 시스템 - Google Patents
내진 랙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1643B1 KR102001643B1 KR1020190038808A KR20190038808A KR102001643B1 KR 102001643 B1 KR102001643 B1 KR 102001643B1 KR 1020190038808 A KR1020190038808 A KR 1020190038808A KR 20190038808 A KR20190038808 A KR 20190038808A KR 102001643 B1 KR102001643 B1 KR 1020016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frame
- vertical
- earthquake
- reinforced
- reinforc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20—Earthquake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열의 유닛프레임 중 일부는 배면을 수직 브레이스로 보강하여 보강유닛프레임으로 형성하고 비보강유닛프레임은 인접한 보강유닛프레임에 지지시킴으로써, 효율적인 내진 보강과 동시에 보강 개소의 최소화로 경제적이고 적재물의 진출입이 용이하여 사용성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시공이 용이한 내진 랙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은 각각 복수의 수직 포스트 및 상기 수직 포스트를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각각 연결하는 다단의 종방향빔과 횡방향빔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배면이 경사 배치되는 수직 브레이스에 의해 보강되는 보강유닛프레임; 및 상기 보강유닛프레임의 일측 또는 보강유닛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는 비보강유닛프레임;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은 각각 복수의 수직 포스트 및 상기 수직 포스트를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각각 연결하는 다단의 종방향빔과 횡방향빔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배면이 경사 배치되는 수직 브레이스에 의해 보강되는 보강유닛프레임; 및 상기 보강유닛프레임의 일측 또는 보강유닛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는 비보강유닛프레임;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복수 열의 유닛프레임 중 일부는 배면을 수직 브레이스로 보강하여 보강유닛프레임으로 형성하고 비보강유닛프레임은 인접한 보강유닛프레임에 지지시킴으로써, 효율적인 내진 보강과 동시에 보강 개소의 최소화로 경제적이고 적재물의 진출입이 용이하여 사용성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시공이 용이한 내진 랙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2016년 경주 지진, 2017년 포항 지진 등 최근 지진의 발생 빈도와 규모가 증가하고 있어 국내도 더는 지진에 대한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이에 각종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설계나 사용시 지진 발생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기둥이나 보, 벽체 등과 같은 구조재에 대한 내진 보강을 주로 진행하였다. 그러나 각종 설비나 천장, 랙 구조 등 비구조재 역시 지진 발생시 재산 피해는 물론 인명 피해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비구조재에 대한 내진 보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지난 수십 년 동안 물류산업의 발전 및 증가로 인하여 물류창고에서는 랙(rack) 구조물의 사용량이 많이 증가하고 있고, 규모 또한 대규모화되고 있다.
이러한 랙 구조물은 비구조재에 해당한다. 그러나 랙 구조물이 대규모화되고 이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중량 및 부피가 커질수록 지진 발생시 전도나 붕괴 등으로 인해 재산 및 인명 피해를 크게 입을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내진 보강이 요구된다.
일례로 등록특허 제10-1857879호에서는 기둥과 수평바의 조인트를 개선하여 지진 발생시 선반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적재물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는 내진랙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상기 등록 기술은 조인트 상세가 매우 복잡하여 경제성 및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랙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적재물의 낙하로 인한 피해보다는 랙 구조물 전체의 붕괴 또는 전도로 인한 피해 규모가 더 크기 때문에, 적재물의 낙하 방지만으로는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조인트의 회전 강성과 적재물의 중량에 따라 랙 구조물의 동적 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실제 지진 발생시 선반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해 내진에 효과적이지 않다.
아울러 일본특허공보 제4716111호에는 랙 프레임의 후방 면에 브레이스를 설치하여 랙 구조물을 내진 보강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기술은 적재물을 팔렛트(pallet) 단위로 보강하는 팔렛트 랙의 경우, 팔렛트 후단이 랙 후방으로 돌출되므로 랙 후방에 브레이스 설치시 팔렛트 적재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재물의 진출입이 용이하여 사용성에 지장을 주지 않는 내진 랙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내진 보강이 가능한 내진 랙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시공이 용이하며 경제적인 내진 랙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각각 복수의 수직 포스트 및 상기 수직 포스트를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각각 연결하는 다단의 종방향빔과 횡방향빔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배면이 경사 배치되는 수직 브레이스에 의해 보강되는 보강유닛프레임; 및 상기 보강유닛프레임의 일측 또는 보강유닛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는 비보강유닛프레임; 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유닛프레임은 횡방향빔이 접합되는 위치의 수직 포스트에 조인트 어셈블리가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에 경사 배치되는 수직 브레이스를 결합하여 배면이 브레이싱 보강되되,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는 수직 포스트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수직 포스트에 볼트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이격바로 구성되는 내진브래킷 부재 및 상기 내진브래킷 부재의 외측단에 결합되는 확장결합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랙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내진브래킷 부재의 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는 내진브래킷 부재와 연결하는 수평보강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랙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내진브래킷 부재의 측면에는 보강바 고정브래킷이 결합되고, 상기 보강바 고정브래킷은 수평보강바의 단부에 삽입되어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랙 시스템을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브레이스의 하단은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랙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확장결합플레이트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격바의 상면에 거치되어 볼트 결합되는 상부지지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랙 시스템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상부지지플레이트와 이격바의 사이에는 마찰 패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랙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 열의 유닛프레임 중 일부는 배면을 수직 브레이스로 보강하여 강성프레임인 보강유닛프레임으로 형성하고, 나머지는 비보강유닛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인접한 보강유닛프레임에 지지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횡방향 하중에 대하여 전체 내진 랙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보강하면서도 보강 개소를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각 유닛프레임을 수직 포스트와 종방향빔 및 횡방향빔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보강유닛프레임의 배면에만 대각선 방향으로 수직 브레이스가 배치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쉽게 시공할 수 있다.
셋째, 지진 발생 등으로 인한 횡하중 작용시, 보강유닛프레임의 수직 포스트에 결합된 조인트 어셈블리의 내진브래킷 부재 및 확장결합플레이트를 통해 수직 브레이스로 하중을 전달하여 지지할 수 있으며, 수직 브레이스에 의하여 랙 구조물의 횡방향 강성을 증가시켜 내진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보강유닛프레임의 배면만을 수직 브레이스로 보강하므로, 적재물의 진출입시 수직 브레이스와의 간섭이 없어 사용성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보강유닛프레임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수직 포스트와 횡방향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의 (a)와 (b)는 각각 싱글 랙과 더블 랙인 경우에 대한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조인트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조인트 어셈블리에 의한 수직 포스트 및 수평보강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최하단 수직 브레이스와 베이스 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조인트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3은 마찰 패드가 구비된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인트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보강유닛프레임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수직 포스트와 횡방향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의 (a)와 (b)는 각각 싱글 랙과 더블 랙인 경우에 대한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조인트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조인트 어셈블리에 의한 수직 포스트 및 수평보강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최하단 수직 브레이스와 베이스 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조인트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3은 마찰 패드가 구비된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인트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보강유닛프레임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수직 포스트와 횡방향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은 각각 복수의 수직 포스트(21) 및 상기 수직 포스트(21)를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각각 연결하는 다단의 종방향빔(23)과 횡방향빔(2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배면이 경사 배치되는 수직 브레이스(4)에 의해 보강되는 보강유닛프레임(2a); 및 상기 보강유닛프레임(2a)의 일측 또는 보강유닛프레임(2a)의 사이에 구비되는 비보강유닛프레임(2b);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재물(1)의 진출입이 용이하여 사용성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내진 보강이 가능하고, 간단한 구조로 시공이 용이하며 경제적인 내진 랙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은 보강유닛프레임(2a)과 비보강유닛프레임(2b)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보강유닛프레임(2a)과 비보강유닛프레임(2b)은 각각 수직 포스트(21)와 종방향빔(23) 및 횡방향빔(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유닛프레임(2a)은 배면에 수직 브레이스(4)가 경사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랙 구조물을 전체에 걸쳐 내진 보강할 경우, 경제성이 저하되고 설치 기간이 많이 소요되어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랙 구조물을 구성하는 복수 열의 유닛프레임(2a, 2b) 중 일부 열의 유닛프레임만 횡방향 하중에 대해 내진 보강하고, 나머지 열의 유닛프레임들은 내진 보강된 유닛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체 시스템을 보강하면서도 경제성을 도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 열의 유닛프레임(2a, 2b) 중 일부 열은 배면을 수직 브레이스(4)에 의해 브레이싱 보강하여 강성프레임인 보강유닛프레임(2a)으로 형성하고, 나머지 열은 별도 보강이 없는 비보강유닛프레임(2b)으로 구성하여 인접한 보강유닛프레임(2a)에 지지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횡방향 하중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내진 보강을 실시하면서도 보강 개소를 최소화하여 자재 및 공기를 절약하고,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특히, 랙 구조물의 최외곽에 위치한 유닛프레임을 보강유닛프레임(2a)으로 구성하고, 사이에 위치한 유닛프레임을 비보강유닛프레임(2b)으로 구성하여 중간의 비보강유닛프레임(2b)이 양측의 보강유닛프레임(2a)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랙 구조물의 폭이 큰 경우, 즉, 유닛프레임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도 2의 (a)와 같이 중간에 위치한 유닛프레임을 보강유닛프레임(2a)으로 추가 구성할 수 있다.
반대로 랙 구조물의 폭이 작은 경우에는 도 2의 (b)와 같이 일측 최외곽 유닛프레임만을 보강유닛프레임(2a)으로 구성하고, 상기 보강유닛프레임(2a)의 측면에 위치한 유닛프레임은 일측의 보강유닛프레임(2a)에 의해서만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종방향으로는 전후 한 쌍의 수직 포스트(21) 사이에 브레이스를 설치하여 횡하중에 대한 내진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나, 황방향은 적재물(1) 적재를 위해 개방하여야 하기 때문에 내진 보강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강유닛프레임(2a)의 배면만을 수직 브레이스(4)로 보강함으로써, 적재물(1) 적재시 수직 브레이스(4)와 적재물(1) 사이에 간섭이 없도록 하였다.
상기 보강유닛프레임(2a)과 비보강유닛프레임(2b)은 각각 복수의 수직 포스트(21) 및 상기 수직 포스트(21)를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각각 연결하는 다단의 종방향빔(23)과 횡방향빔(22)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 포스트(21)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수직 포스트(21)는 다양한 단면 형상의 형강재 등으로 제작 가능하며,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개방된 단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횡방향빔(22)은 좌우로 이웃하는 수직 포스트(21)를 상호 연결하도록 횡방향으로 구비된다.
도 6,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횡방향빔(22)은 단부에 평면상 ㄱ자 형상의 빔 고정브래킷(24)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빔 고정브래킷(24)을 수직 포스트(21)의 외측면에 결합하여 횡방향빔(22)을 수직 포스트(21)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포스트(21)는 외측면에 복수의 걸림홀(211)이 형성되고, 상기 빔 고정브래킷(24)에는 복수 개의 후크(241)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후크(241)를 걸림홀(211)에 삽입하여 빔 고정브래킷(24)을 수직 포스트(21)에 거치함으로써, 매우 간편하게 시공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횡방향빔(22)은 적재물(1)의 팔렛트가 거치되는 부분이다.
도 5, 도 7과 같이, 상기 횡방향빔(22)의 하부에는 수평 브레이스(25)를 결합하여 평면상 유닛프레임(2a, 2b)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아울러 도 4와 같이, 전후 횡방향빔(22)의 사이에는 전후 횡방향빔(22)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함과 동시에 적재물(1)을 거치하여 하중을 횡방향빔(22)으로 전달하기 위한 타이빔(26)이 구비될 수 있다.
전후로 이웃하는 한 쌍의 수직 포스트(21) 사이에는 종방향빔(23)이 결합된다.
상기 수직 브레이스(4)는 보강유닛프레임(2a)의 배면에 경사 배치되어 랙 구조물을 보강한다.
상기 수직 브레이스(4)는 ㄷ 단면 형상의 채널 등과 같이 개단면으로 형성하여, 후술할 조인트 어셈블리(3)를 구성하는 확장결합플레이트(32)의 전면 또는 후면에 밀착 고정 가능하다(도 4, 도 5 등).
또한, 상기 수직 브레이스(4)는 환봉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수직 브레이스(4)의 단부에 별도의 결합부를 형성하여 결합부를 조인트 어셈블리(3)의 확장결합플레이트(32)에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강유닛프레임(2a)은 하나의 유닛프레임을 X 자형 브레이싱으로 보강할 수 있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2개의 유닛프레임을 보강유닛프레임(2a)으로 구성하고, 중앙의 수직 포스트(21)에 양측 수직 브레이스(4)의 단부가 집중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경사 배치되는 수직 브레이스(4)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보강유닛프레임(2a)의 폭을 확대하여 안정적인 내진 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유닛프레임(2a)은 횡방향빔(22)이 접합되는 위치의 수직 포스트(21)에 조인트 어셈블리(3)가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3)에 경사 배치되는 수직 브레이스(4)를 결합하여 배면이 브레이싱 보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 비보강유닛프레임(2b)의 상세를 그대로 활용하여 내진 보강 가능하도록 수직 포스트(21)에 별도로 조인트 어셈블리(3)를 결합한 후,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3)에 수직 브레이스(4)를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닛프레임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내진 보강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이다.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3)는 보강유닛프레임(2a)과 수직 브레이스(4) 사이에 구비되어, 상부 하중을 수직 브레이스(4)로 전달한다.
뿐만 아니라 적재물(1)의 중량 증가, 유닛프레임 추가 등으로 인하여 구조물의 거동에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 비보강유닛프레임(2b)에 조인트 어셈블리(3)를 결합하여 보강유닛프레임(2a)으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하중 여건에 따라 다양한 조합으로 변경이 용이하다.
상기 수직 포스트(21)와 횡방향빔(22)으로 구성되는 사각형의 유닛프레임에 대해 각 절점을 구속하여 횡방향 변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3)는 횡방향빔(22)과의 접합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의 (a)와 (b)는 각각 싱글 랙과 더블 랙인 경우에 대한 본 발명 내진 랙 시스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3)는 수직 포스트(21)의 배면에 결합되는 내진브래킷 부재(31) 및 상기 내진브래킷 부재(31)의 외측단에 결합되는 확장결합플레이트(32)로 구성 가능하다.
이에 따라 지진 발생 등으로 인한 횡하중 작용시, 보강유닛프레임(2a)의 수직 포스트(21)에 결합된 조인트 어셈블리(3)의 내진브래킷 부재(31) 및 확장결합플레이트(32)를 통해 수직 브레이스(4)로 하중이 전달되어 지지된다.
특히, 상기 수직 브레이스(4)는 조인트 어셈블리(3)의 확장결합플레이트(32)에 단부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수직 브레이스(4)는 랙 구조물의 횡방향 강성을 증가시켜 내진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보강유닛프레임(2a)의 배면에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전술한 상기 수평 브레이스(25)가 평면상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과 달리, 상기 수직 브레이스(4)는 입면상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7의 (a)에는 랙 구조물이 1열로 배치되는 싱글 랙에 대한 평면도가 도시된다.
그리고 도 7의 (b)에는 랙 구조물이 2열로 배치되는 더블 랙에 대한 평면도가 도시된다.
더블 랙의 경우, 보강유닛프레임(2a, 2a')의 배면에 구비되는 서로 이웃하는 확장결합플레이트(32, 32')를 볼트 등으로 결합함으로써, 2개의 보강유닛프레임(2a, 2a')을 서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수직 브레이스(4, 4')로 각 보강유닛프레임(2a, 2a')을 보강하면서도 상호 간섭 없이 이웃하는 보강유닛프레임(2a, 2a')을 결합하여 쉽게 더블 랙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브래킷 부재(31)의 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는 내진브래킷 부재(31)와 연결하는 수평보강바(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 브레이스(4)는 보강유닛프레임(2a)의 횡방향빔(22)과 소정 간격 이격되므로, 수직 브레이스(4)에 의해 작용하는 수평력을 횡방향빔(22)이 직접 지지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내진브래킷 부재(31)의 측면에 별도로 수평보강바(5)를 설치함으로써 수직 브레이스(4)의 수평력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 브레이스(4)는 확장결합플레이트(32)의 모서리에 결합하여 수평보강바(5)와 간섭이 없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조인트 어셈블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9는 조인트 어셈블리에 의한 수직 포스트 및 수평보강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브래킷 부재(31)의 측면에는 보강바 고정브래킷(33)이 결합되고, 상기 보강바 고정브래킷(33)은 수평보강바(5)의 단부에 삽입되어 볼트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강바 고정브래킷(33)이 수평보강바(5)의 단부에 삽입되면 수평보강바(5)가 보강바 고정브래킷(33) 상에 거치되므로, 볼트 체결 전까지 수평보강바(5)의 위치를 가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보강바 고정브래킷(33)은 내진브래킷 부재(31)의 측면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수평보강바(5) 설치시, 보강바 고정브래킷(33)과의 간섭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강바 고정브래킷(33)과 볼트 체결이 용이하도록 상기 수평보강바(5)는 하부가 개방된 C 형강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바 고정브래킷(33)과 수평보강바(5)의 볼트 결합을 위하여 이들 부재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볼트결합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진브래킷 부재(31)는 수직 포스트(21)에 볼트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311)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311)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이격바(312)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11)는 내진브래킷 부재(31)를 수직 포스트(21)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보강유닛프레임(2a)에 횡하중 작용시 하중을 이격바(312)를 통해 수직 브레이스(4)로 전달한다.
상기 이격바(312)는 수직 브레이스(4)를 보강유닛프레임(2a)과 일정 간격 이격시킨다.
상기 이격바(312)의 단부에는 수직 브레이스(4)를 결합하기 위한 상기 확장결합플레이트(32)가 결합된다.
상기 이격바(312)는 일단이 보강유닛프레임(2a)의 수직 포스트(21)에 결합되고, 타단이 수직 브레이스(4)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보강유닛프레임(2a)에 횡력 작용시, 횡력 작용 방향에 따라 이격바(312)의 변형 방향이 바뀔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토션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이격바(312)는 폐단면으로 구성하여 어느 방향으로나 단면 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최하단 수직 브레이스와 베이스 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브레이스(4')의 하단은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6)에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부 유닛프레임을 보강하여 강성프레임인 보강유닛프레임(2a)으로 구성한다.
즉, 상기 보강유닛프레임(2a)은 캔틸레버 거동에 의해 횡하중을 지지하여야 하므로, 하부가 지반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야 한다.
또한, 기존의 수직 브레이스(4)는 단부를 수직 포스트(21)의 측면에 결합하였다. 이에 따라 수직 포스트(21) 또는 수직 포스트(21)와의 연결부에서 응력 집중이 커지고 이로 인해 수직 포스트(21)에 좌굴이 발생하기도 한다.
아울러 수직 포스트(21)의 손상으로 인해 수직 브레이스(4)와의 연결부에 변위 발생시 수직 브레이스(4)가 횡하중에 저항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최하단 수직 브레이스(4')의 하단을 수직 포스트(21)가 아닌 바닥에 직접 결합함으로써, 보강유닛프레임(2a)의 하부를 지반에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할 뿐 아니라 수직 브레이스(4')에 의해 전달되는 하중을 바닥으로 전달하고, 수직 포스트(21)에는 하중 부담이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횡하중에 대해 보강유닛프레임(2a)이 강성프레임으로서 저항하고, 수직 브레이스(4')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수직 포스트(21)의 변형에 상관없이 수직 브레이스(4')가 횡하중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포스트(21)에 작용하는 횡력을 차단해 수직 포스트(21)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부재(6)는 앵커에 의해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플레이트(61) 및 상기 베이스플레이트(61)의 상부에 구비되어 수직 브레이스(4)의 하단이 볼트 결합되는 연결플레이트(62)로 구성 가능하다.
도 11은 조인트 어셈블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장결합플레이트(32)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격바(312)의 상면에 거치되어 볼트 결합되는 상부지지플레이트(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격바(312)를 관통하는 볼트(B)에 의해 상부지지플레이트(34)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상부지지플레이트(34)는 좌우로 길이가 확장되어 수평보강바(5)의 상부와 일정 길이 겹쳐지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수평보강바(5)를 보강바 고정브래킷(33)과 볼트 체결시, 볼트(B)로 상부지지플레이트(34)와 수평보강바(5) 및 보강바 고정브래킷(33)을 함께 체결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확장결합플레이트(32)의 일측면에는 이격바(312)의 하면에 밀착되는 하부지지플레이트(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격바(312)의 단부가 상부지지플레이트(34)와 하부지지플레이트(35) 사이에 삽입될 수 있으므로, 볼트 본조임 전까지 확장결합플레이트(32)의 위치를 가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격바(312)를 상하로 관통하는 장볼트(B')에 의해 상부지지플레이트(34)와 하부지지플레이트(35)까지 한 번에 고정할 수 있다.
도 13은 마찰 패드가 구비된 조인트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인트 어셈블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플레이트(34)와 이격바(312)의 사이에는 마찰 패드(36)가 구비될 수 있다.
횡하중 작용시, 상기 확장결합플레이트(32)에 결합된 수직 브레이스(4)와 보강유닛프레임(2a)에 결합된 이격바(312)의 상대 변위를 허용하되, 이러한 상대 변위에 의해 에너지 흡수 및 감쇠가 가능하도록 확장결합플레이트(32)에 결합된 상부지지플레이트(34)와 이격바(312)의 사이에는 마찰 패드(36)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확장결합플레이트(32)의 일측면에 하부지지플레이트(35)가 구비된 경우에는 하부지지플레이트(35)와 이격바(312)의 사이에도 마찰 패드(36)를 구비하여, 이격바(312)의 상면 및 하면에서 에너지 감쇠가 가능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에 따라 상기 수직 브레이스(4)에 의해 횡방향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랙 구조물의 감쇠 능력을 키워 내진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지지플레이트(34)와 하부지지플레이트(35) 또는 이격바(312)에 형성된 볼트공은 좌우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함으로써, 상부지지플레이트(34)와 하부지지플레이트(35) 및 이격바(312)의 상대변위를 허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1: 적재물 2a: 보강유닛프레임
2b: 비보강유닛프레임 21: 수직 포스트
211: 걸림홀 22: 횡방향빔
23: 종방향빔 24: 빔 고정브래킷
241: 후크 25: 수평 브레이스
26: 타이빔 3: 조인트 어셈블리
31: 내진브래킷 부재 311: 고정플레이트
312: 이격바 32: 확장결합플레이트
33: 보강바 고정브래킷 34: 상부지지플레이트
35: 하부지지플레이트 36: 마찰 패드
4: 수직 브레이스 5: 수평보강바
6: 베이스 부재 61: 베이스플레이트
62: 연결플레이트
2b: 비보강유닛프레임 21: 수직 포스트
211: 걸림홀 22: 횡방향빔
23: 종방향빔 24: 빔 고정브래킷
241: 후크 25: 수평 브레이스
26: 타이빔 3: 조인트 어셈블리
31: 내진브래킷 부재 311: 고정플레이트
312: 이격바 32: 확장결합플레이트
33: 보강바 고정브래킷 34: 상부지지플레이트
35: 하부지지플레이트 36: 마찰 패드
4: 수직 브레이스 5: 수평보강바
6: 베이스 부재 61: 베이스플레이트
62: 연결플레이트
Claims (9)
- 각각 복수의 수직 포스트(21) 및 상기 수직 포스트(21)를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각각 연결하는 다단의 종방향빔(23)과 횡방향빔(22)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배면이 경사 배치되는 수직 브레이스(4)에 의해 보강되는 보강유닛프레임(2a); 및
상기 보강유닛프레임(2a)의 일측 또는 보강유닛프레임(2a)의 사이에 구비되는 비보강유닛프레임(2b); 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강유닛프레임(2a)은 횡방향빔(22)이 접합되는 위치의 수직 포스트(21)에 조인트 어셈블리(3)가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3)에 경사 배치되는 수직 브레이스(4)를 결합하여 배면이 브레이싱 보강되되,
상기 조인트 어셈블리(3)는 수직 포스트(21)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수직 포스트(21)에 볼트 결합되는 고정플레이트(31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311)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이격바(312)로 구성되는 내진브래킷 부재(31) 및 상기 내진브래킷 부재(31)의 외측단에 결합되는 확장결합플레이트(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랙 시스템.
- 삭제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내진브래킷 부재(31)의 측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는 내진브래킷 부재(31)와 연결하는 수평보강바(5)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랙 시스템.
- 제4항에서,
상기 내진브래킷 부재(31)의 측면에는 보강바 고정브래킷(33)이 결합되고, 상기 보강바 고정브래킷(33)은 수평보강바(5)의 단부에 삽입되어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랙 시스템.
- 삭제
- 제1항에서,
최하단에 위치하는 수직 브레이스(4')의 하단은 바닥에 고정되는 베이스 부재(6)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랙 시스템.
- 제1항에서,
상기 확장결합플레이트(32)의 일측면에는 상기 이격바(312)의 상면에 거치되어 볼트 결합되는 상부지지플레이트(3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랙 시스템.
- 제8항에서,
상기 상부지지플레이트(34)와 이격바(312)의 사이에는 마찰 패드(3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랙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8808A KR102001643B1 (ko) | 2019-04-03 | 2019-04-03 | 내진 랙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8808A KR102001643B1 (ko) | 2019-04-03 | 2019-04-03 | 내진 랙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1643B1 true KR102001643B1 (ko) | 2019-07-18 |
Family
ID=67469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8808A KR102001643B1 (ko) | 2019-04-03 | 2019-04-03 | 내진 랙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1643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72007A (ja) * | 1991-02-27 | 1992-09-28 | Daifuku Co Ltd | 枠組棚 |
JPH1087033A (ja) * | 1996-09-13 | 1998-04-07 | Daifuku Co Ltd | 移動棚 |
JP2017082532A (ja) * | 2015-10-30 | 2017-05-18 | 大成建設株式会社 | ブレース付き柱架構 |
CN206265692U (zh) * | 2016-12-02 | 2017-06-20 | 广东得友鑫物流系统设备有限公司 | 一种驶入式货架 |
-
2019
- 2019-04-03 KR KR1020190038808A patent/KR1020016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272007A (ja) * | 1991-02-27 | 1992-09-28 | Daifuku Co Ltd | 枠組棚 |
JP2669162B2 (ja) * | 1991-02-27 | 1997-10-27 | 株式会社ダイフク | 枠組棚 |
JPH1087033A (ja) * | 1996-09-13 | 1998-04-07 | Daifuku Co Ltd | 移動棚 |
JP2017082532A (ja) * | 2015-10-30 | 2017-05-18 | 大成建設株式会社 | ブレース付き柱架構 |
CN206265692U (zh) * | 2016-12-02 | 2017-06-20 | 广东得友鑫物流系统设备有限公司 | 一种驶入式货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06626A (en) | Pre-assembled internal shear panel | |
KR101728700B1 (ko) | 흙막이 가시설용 보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흙막이 가시설 구조 | |
KR101920417B1 (ko) |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 |
US7231742B2 (en) | Structural braced frame wall panel system | |
KR101992186B1 (ko) | 철골프레임을 이용한 기둥과 보의 외부 또는 면내 설치 내진 보강 공법 | |
US20120298600A1 (en) | Reinforcement post for pallet rack frame and pallet rack frame incorporating the same | |
KR100995937B1 (ko) | 철근콘크리트건축물의 내진 보강구조 | |
KR100765719B1 (ko) | 철골구조물용 가새의 보강구조 | |
KR102001643B1 (ko) | 내진 랙 시스템 | |
JP7228344B2 (ja) | 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躯体とブレースと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部材 | |
KR102001642B1 (ko) | 내진 랙 구조물 | |
KR100699040B1 (ko) | 흙막이 벽체 지지용 버팀보의 연결구조 | |
KR102200236B1 (ko) |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 | |
KR102317705B1 (ko) | 증축 골조형 내진 보강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2587786B1 (ko) | 면내강성 보강재를 활용한 대공간 천장의 가새시스템 | |
JP3804322B2 (ja) | 耐震補強鋼板を用いた耐震補強構造、耐震補強鋼板の取付方法、耐震補強鋼板を用いた耐震補強方法 | |
JP5371390B2 (ja) | 建物ユニットの補強構造及びユニット建物 | |
JP3138112U (ja) | 屋根ユニット構造及びこれに使用する連結用金物 | |
JP5628601B2 (ja) | 既存鉄骨建物の耐震補強方法 | |
JP2017022850A (ja) | 取付架台 | |
KR200360595Y1 (ko) |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 |
KR101810106B1 (ko) | 방음터널용 다이아몬드 골조 | |
KR20050106703A (ko) | 토류벽과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 연결공법 | |
KR20120075282A (ko) | 프레임 연결구조 | |
JP7361561B2 (ja) | ブレース取付構造、構造物およびブレース取付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