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505B1 - 차량용 시트레일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레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505B1
KR102001505B1 KR1020170180237A KR20170180237A KR102001505B1 KR 102001505 B1 KR102001505 B1 KR 102001505B1 KR 1020170180237 A KR1020170180237 A KR 1020170180237A KR 20170180237 A KR20170180237 A KR 20170180237A KR 102001505 B1 KR102001505 B1 KR 102001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lever
pin
lock
rail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8369A (ko
Inventor
김천
김정한
채수영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주)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주)
Priority to KR102017018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505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5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with pin alignment systems, e.g.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ocking pins always aligned w.r.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n-receiv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레일에 관한 것으로, 릴리즈레버(54)의 조작부(54a)와 작동부(54b)가 릴리즈레버(54)의 회전동작에 상관없이 항상 브라켓플랜지(53a)의 상하방향 폭(D11)내에 위치하고, 릴리즈레버(54)의 작동부(54b)와 록킹핀(58)의 록킹핀플랜지(58a)가 서로 면접촉하며, 가이드브라켓(57)이 록킹핀(58)을 상하의 이중구조로 지지함으로써 록킹핀(58)의 원활한 상하이동 및 작동소음의 발생을 없앨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레일{SEAT RAI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레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록킹핀의 상하방향 이동을 이중으로 가이드함과 더불어 충돌 사고시 록킹핀의 이탈방지 기능을 도모할 수 있는 가이드브라켓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레일에 관한 기술이다.
차량의 시트는 시트레일을 이용해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시트레일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차실내의 플로어패널에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레일(1), 상기 고정레일(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레일(1)과 결합된 이동레일(2)을 포함한다.
그리고, 시트레일에는 이동레일(2)의 전후방향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록킹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바, 상기 록킹장치는 크게 모터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전동타입 및 승객이 직접 조작하는 매뉴얼타입이 있다.
매뉴얼타입의 한 종류로서 다수개의 록킹핀이 독립적으로 작동함에 따라 보다 면밀한 작동을 구현하는 록킹핀 타입은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마운팅브라켓(3), 릴리즈레버(4), 레버축(5)과 레버스프링(6), 가이드브라켓(7), 다수개의 록킹핀(8) 및 1개의 록킹핀(8)마다 1개씩 설치된 록킹핀스프링(9)을 포함한다.
록킹마운팅브라켓(3)은 이동레일(2)의 상부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이동레일(2)에 결합시 이동레일(2)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브라켓플랜지(3a)가 형성된다.
2개의 브라켓플랜지(3a)사이에는 릴리즈레버(4)가 위치하고, 레버축(5)은 2개의 브라켓플랜지(3a) 및 릴리즈레버(4)를 전후방향을 따라 일체로 관통해서 결합되며, 레버스프링(6)은 레버축(5)에 감겨져서 일단은 록킹마운팅브라켓(3)에 지지되고 타단은 릴리즈레버(4)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가이드브라켓(7)은 L형상으로 된 1개의 단판으로 일단은 이동레일(2)의 한쪽 측벽의 안쪽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타단은 이동레일(2)의 안쪽공간을 좌우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다수개의 록킹핀(8)은 전후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각각의 록킹핀(8)은 고정레일(1)의 핀구멍(1a)과 가이드브라켓(7)의 핀구멍(7a) 및 이동레일(2)의 핀구멍(2a)과 록킹마운팅브라켓(3)을 일체로 관통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록킹핀스프링(9)은 리테이너(10)와 록킹핀플랜지(8a)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리테이너(10)는 이동레일(2)의 상부면 안쪽에 구비된 구조이고, 록킹핀플랜지(8a)는 록킹핀(8)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도 2는 릴리즈레버(4)를 작동하지 않은 상태이고, 이때 록킹핀(8)은 고정레일(1)의 핀구멍(1a)과 이동레일(2)의 핀구멍(2a)을 동시에 관통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동레일(2)은 전후방향의 이동이 불가능한 록킹상태이다.
도 2의 상태에서 도 3과 같이 릴리즈레버(4)의 조작부(4a)를 아래로 누르면 릴리즈레버(4)는 레버축(5)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릴리즈레버(4)의 작동부(4b)는 록킹핀플랜지(8a)와 접촉해서 록킹핀(8)을 상승시키고, 상승하는 록킹핀(8)의 하단이 고정레일(1)의 핀구멍(1a)으로부터 빠지게 되면, 이때부터 이동레일(2)은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언록킹상태가 된다.
한편, 릴리즈레버(4)의 조작시 록킹핀(8)은 가이드브라켓(7)의 핀구멍(7a)과 최대한 간섭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록킹핀(8)은 최대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에 도시된 실선 L1 참조)
하지만, 릴리즈레버(4)는 레버축(5)을 중심으로 한 회전반경을 따라 회전하고, 릴리즈레버(4)의 회전시 작동부(4b)가 록킹핀플랜지(8a)와 접촉해서 록킹핀(8)을 상승시키는 구조인 바, 따라서 록킹핀(8)은 실선 L1으로부터 일정각도 편심된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도 3에 도시된 실선 L2 참조)
실적적으로 록킹핀(8)이 실선 L2와 같이 수직선(L1)에 대해 일정각도 편심된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하더라도 이동거리가 짧으면 편심량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록킹핀(8)의 원활한 상하이동 및 작동소음의 발생을 없앨 수가 있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구조는 도 2와 같은 록킹상태일 때에 릴리즈레버(4)의 조작부(4a)는 브라켓플랜지(3a)의 상하방향 폭(D1)내에 위치하고 이로 인해 릴리즈레버(4)의 작동부(4b)는 브라켓플랜지(3a)의 상하방향 폭(D1)을 벗어나서 아래쪽에 위치하며, 또한 도 3과 같은 언록킹상태일 때에 릴리즈레버(4)의 조작부(4a)는 브라켓플랜지(3a)의 상하방향 폭(D1)을 벗어나서 아래쪽에 위치하고 이로 인해 릴리즈레버(4)의 작동부(4b)는 브라켓플랜지(3a)의 상하방향 폭(D1)내에 위치하는 구조로, 이와 같은 구조는 릴리즈레버(4)의 조작시 록킹핀(8)의 상하방향 이동거리(M1)를 길어지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록킹핀(8)의 상하방향 이동거리(M1)가 길어지면 록킹핀(8)의 상하방향 이동시 편심각도(A1)가 커지게 되며, 이는 결국 록킹핀(8)의 불완전한 작동 및 록킹핀(8)과 가이드브라켓(7)의 핀구멍(7a)과의 간섭발생으로 작동소음 발생과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릴리즈레버(4)의 작동부(4b)가 록킹핀플랜지(8a)와 면접촉으로 접촉해서 록킹핀(8)을 작동시키면 록킹핀(8)의 상하방향 이동시 편심각도(A1)를 줄일 수가 있는데, 종래의 구조는 릴리즈레버(4)의 작동부(4b)가 록킹핀플랜지(8a)와 점접촉으로 접촉하는 구조로(도면부호 P1), 이와 같은 점접촉 구조는 록킹핀(8)의 상하방향 이동시 편심각도(A1)를 더욱 커지게 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이로 인해 종래의 구조는 록킹핀(8)의 불완전한 작동과 록킹핀(8)의 간섭발생 및 작동소음을 더욱 가중시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구조는 록킹핀(8)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브라켓(7)이 1개의 단일판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이와 같은 단일판 구조의 가이드브라켓(7)은 록킹핀(8)의 상하방향 이동시 편심각도(A1)를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어서 록킹핀(8)의 불완전한 작동과 록킹핀(8)의 간섭발생 및 작동소음을 경감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특히 1개의 단일판으로 된 가이드브라켓(7)은 충분한 내구력을 갖추고 있지 못함에 따라 충돌 사고시 록킹핀(8)의 이탈을 방지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10-1716985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레일은 릴리즈레버 및 록킹핀을 사용하는 구조에서, 시트레일의 록킹상태 및 언록킹상태에 상관없이 릴리즈레버의 조작부 및 작동부가 항상 브라켓플랜지의 상하방향 폭내에 위치하는 구조가 되게 함으로써, 릴리즈레버의 조작시 록킹핀의 상하방향 이동거리를 크게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록킹핀의 상하방향 이동시 편심각도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이 결과 록킹핀의 원활한 작동유도를 도모하고, 록킹핀과 가이드브라켓의 핀구멍과의 간섭발생 방지를 통해 작동소음을 없애고 내구성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릴리즈레버의 작동부가 록킹핀플랜지와 면접촉으로 접촉해서 록킹핀을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록킹핀의 상하방향 이동시 편심각도를 한층 더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록킹핀의 상하방향 이동을 이중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브라켓을 사용해서 록킹핀의 상하방향 이동시 편심각도를 한층 더 줄일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이중 가이드구조의 가이드브라켓을 사용함에 따라 충돌 사고시 록킹핀의 이탈을 방지하는 데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릴리즈레버의 회전 조작시 릴리즈레버가 록킹핀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동레일의 록킹 및 언록킹 동작이 진행되는 차량용 시트레일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레버는 조작부 및 록킹핀과 접촉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릴리즈레버의 조작부와 작동부는 릴리즈레버의 회전동작에 상관없이 항상 릴리즈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위의 상하방향 폭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레일에는 브라켓플랜지를 구비한 록킹마운팅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릴리즈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위는 브라켓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릴리즈레버는 레버축 및 레버스프링을 매개로 브라켓플랜지에 탄력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릴리즈레버의 작동부는 록킹핀에 구비된 록킹핀플랜지와 면접촉으로 접촉해서 록킹핀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레일의 안쪽 공간에 위치하도록 이동레일에 결합된 것으로 록킹핀의 이동시 록킹핀을 항상 상하방향에서 이중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은 이동레일에서 한쪽 측벽의 안쪽면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서 이동레일의 안쪽공간을 좌우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상측가이드부; 및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서 상측가이드부와 동일방향으로 연장된 하측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핀은 상측가이드부와 하측가이드부를 일체로 관통함에 따라 상하방향에서 이중으로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브라켓은 하측가이드부의 끝에서 이동레일의 반대쪽 측벽을 향해 연장된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끝은 이동레일의 반대쪽 측벽과 소정 틈새로 이격되어 있다가 충돌 사고시 록킹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동레일의 반대쪽 측벽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레일은, 릴리즈레버의 조작부와 작동부가 릴리즈레버의 회전동작에 상관없이 항상 브라켓플랜지의 상하방향 폭내에 위치하는 구조이고, 릴리즈레버의 작동부와 록킹핀의 록킹핀플랜지가 서로 면접촉하는 구조이고, 록킹핀을 상하의 이중구조로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의 구조로서,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록킹핀의 상방향 이동시 록킹핀의 편심량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바, 이 결과 록킹핀의 원활한 상하이동이 가능해지고 작동소음의 발생을 없앨 수가 있으며, 더 나아가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돌사고 발생시 가이드브라켓의 지지부가 이동레일의 반대쪽 측벽과 접촉해서 지지력을 발휘하는 구조로서, 이를 통해 시트레일의 형상붕괴 방지 및 록킹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릴리즈레버와 록킹핀을 구비한 종래의 시트레일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와 도 3은 종래 시트레일의 록킹상태 및 언록킹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레일의 구조로서 도 2와 대비되는 록킹상태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도 3과 대비되는 언록킹상태의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레일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레일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차실내의 플로어패널에 고정되게 설치된 고정레일(51), 상기 고정레일(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고정레일(51)과 결합된 이동레일(52)을 포함한다.
그리고, 시트레일에는 이동레일(52)의 전후방향 이동을 구속하기 위한 록킹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바, 릴리즈레버 및 록킹핀 등을 구비한 매뉴얼타입 록킹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마운팅브라켓(53), 릴리즈레버(54), 레버축(55)과 레버스프링(56), 가이드브라켓(57), 다수개의 록킹핀(58) 및 1개의 록킹핀(58)마다 1개씩 설치된 록킹핀스프링(59)을 포함한다.
록킹마운팅브라켓(53)은 이동레일(52)의 상부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이동레일(52)에 결합시 이동레일(52)의 외측에서 측방으로 돌출되고 전후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브라켓플랜지(53a)가 형성된다.
2개의 브라켓플랜지(53a)사이에는 릴리즈레버(54)가 위치하고, 레버축(55)은 2개의 브라켓플랜지(53a) 및 릴리즈레버(54)를 전후방향을 따라 일체로 관통해서 결합되며, 레버스프링(56)은 레버축(55)에 감겨져서 일단은 록킹마운팅브라켓(53)에 지지되고 타단은 릴리즈레버(54)에 지지되게 설치된다.
릴리즈레버(54)는 조작부(54a) 및 록킹핀(58)과 접촉하는 작동부(54b)를 포함하는 바, 상기 조작부(54a)는 레버축(55)을 기준으로 시트레일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위로서 작업자가 직접 조작하는 부위이고, 상기 작동부(54b)는 이동레일(52)을 관통해서 단부가 이동레일(52)내에 위치하고 조작부(54a)의 조작시 록킹핀(58)의 이동을 위해 록킹핀(58)과 접촉하는 부위이다.
작업자가 릴리즈레버(54)를 아래로 누르면 레버스프링(56)은 압축되고, 누르고 있던 릴리즈레버(54)를 놓아주면 레버스프링(56)의 복원력에 의해 릴리즈레버(54)는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가이드브라켓(57)은 상하방향으로 복수층을 구비한 U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동레일(52)의 안쪽 공간에 위치하도록 이동레일(52)에 구비된 것으로, 록킹핀(58)의 이동시 록킹핀(58)을 항상 상하방향에서 이중으로 가이드해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브라켓(57)은 이동레일(52)에서 한쪽 측벽(52a)의 안쪽면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된 결합부(57a), 상기 결합부(57a)의 상단에서 이동레일(52)의 안쪽공간을 좌우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상측가이드부(57b), 상기 결합부(57a)의 하단에서 상측가이드부(57b)와 동일방향으로 연장된 하측가이드부(57c), 및 상기 하측가이드부(57c)의 끝에서 이동레일(52)의 반대쪽 측벽(52b)을 향해 연장된 지지부(57d)를 포함한다.
여기서, 록킹핀(58)은 가이드브라켓(57)의 상측가이드부(57b) 및 하측가이드부(57c)를 일체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바, 이로 인해 록킹핀(58)은 가이드브라켓(57)에 의해서 상하방향을 따라 이중으로 가이드됨과 동시에 지지되는 구조가 된다.
충돌사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시 가이드브라켓(57)을 구성하는 지지부(57d)의 끝은 이동레일(52)의 반대쪽 측벽(52b)과 소정 틈새(C11)를 유지하고, 충돌사고로 인해 이동레일(52)의 형상에 변형이 발생하면 지지부(57d)의 끝과 이동레일(52)의 반대쪽 측벽(52b)과 서로 접촉하게 되며, 이로 인해 지지부(57d)에 의한 지지력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시트레일의 형상붕괴 방지 및 록킹핀(58)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수개의 록킹핀(58)은 전후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고, 각각의 록킹핀(58)은 고정레일(51)의 핀구멍(51c), 가이드브라켓(57)에서 상측가이드부(57b) 및 하측가이드부(57c)의 핀구멍(57e,57f), 이동레일(52)의 핀구멍(52c), 록킹마운팅브라켓(53)을 일체로 관통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록킹핀스프링(59)은 리테이너(60)와 록킹핀플랜지(58a)에 양단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리테이너(60)는 이동레일(52)의 상부면 안쪽에 구비된 구조이고, 록킹핀플랜지(58a)는 록킹핀(58)에 일체로 형성된 구조이다.
도 4는 릴리즈레버(54)의 조작부(54a)를 누르지 않은 상태이고, 이때 록킹핀(58)은 고정레일(51)의 핀구멍(51a)과 이동레일(52)의 핀구멍(52c)을 동시에 관통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이동레일(52)은 전후방향의 이동이 불가능한 록킹상태이다.
도 2의 상태에서 도 4와 같이 릴리즈레버(54)의 조작부(54a)를 아래로 누르면 릴리즈레버(54)는 레버축(55)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릴리즈레버(54)의 작동부(54b)는 록킹핀플랜지(58a)와 접촉해서 록킹핀(58)을 상승시키고, 상승하는 록킹핀(58)의 하단이 고정레일(51)의 핀구멍(51a)으로부터 빠지게 되면, 이때부터 이동레일(52)은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언록킹상태가 된다.
릴리즈레버(54)의 작동부(54b)는 록킹핀(58)에 형성된 록킹핀플랜지(58a) 및 가이드브라켓(57)을 구성하는 상측가이드부(57b)사이에 위치하는 구조로서, 작동부(54b)의 하강이동은 상측가이드부(57b)에 의해 구속되는 구조가 된다.
릴리즈레버(54)의 조작시 상하로 이동하는 록킹핀(58)은 가이드브라켓(57)을 구성하는 하측가이드부(57c)의 핀구멍(57f)과 최대한 간섭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록킹핀(58)은 최대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에 도시된 실선 L1 참조)
하지만, 릴리즈레버(54)는 레버축(55)을 중심으로 한 회전반경을 따라 회전하고, 릴리즈레버(54)의 회전시 작동부(54b)가 록킹핀플랜지(58a)와 접촉해서 록킹핀(58)을 상승시키는 구조인 바, 따라서 록킹핀(58)은 수직하게 상승하지 못하고 수직선에 대해 레버축(55)이 있는 방향으로 일정각도 편심된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도 3에 도시된 실선 L2 참조)
실적적으로 록킹핀(58)이 수직선에 대해 일정각도 편심된 상태로 상승하더라도 록킹핀(58)의 이동거리가 짧으면 편심량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록킹핀(58)의 원활한 상하이동 및 작동소음의 발생을 없앨 수가 있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릴리즈레버(54)의 조작부(54a)와 작동부(54b)가 릴리즈레버(54)의 회전동작에 상관없이 항상 릴리즈레버(5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위의 상하방향 폭(D11)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인 바, 상기 릴리즈레버(5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위는 록킹마운팅브라켓(53)에 형성된 브라켓플랜지(53a)가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도 4와 같은 록킹상태일 때에 릴리즈레버(54)의 조작부(54a)는 브라켓플랜지(53a)의 상하방향 폭(D11)내에 위치하고 릴리즈레버(54)의 작동부(54b)도 브라켓플랜지(53a)의 상하방향 폭(D11)내에 위치하며, 또한 도 6과 같은 언록킹상태일 때에도 릴리즈레버(54)의 조작부(54a)는 브라켓플랜지(53a)의 상하방향 폭(D11)내에 위치하고 릴리즈레버(54)의 작동부(54b)도 브라켓플랜지(53a)의 상하방향 폭(D11)내에 위치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릴리즈레버(54)의 조작부(54a)와 작동부(54b)가 릴리즈레버(54)의 회전동작에 상관없이 항상 브라켓플랜지(53a)의 상하방향 폭(D11)내에 위치하는 구조가 되면, 릴리즈레버(54)의 조작시 록킹핀(58)의 상방향 이동거리(M11)가 종래의 구조에 비해 크게 줄어들게 되며, 록킹핀(58)의 이동거리(M11)가 줄어들면 록킹핀(58)이 수직선에 대해 일정각도 편심된 상태로 상승하더라도 록킹핀(58)의 편심량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바, 이를 통해 록킹핀(58)의 원활한 상하이동이 가능해지고 작동소음의 발생을 없앨 수가 있으며, 더 나아가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릴리즈레버(54)의 작동부(54b)가 록킹핀(58)에 구비된 록킹핀플랜지(58a)와 면접촉으로 접촉해서 록킹핀(58)을 작동시키는 것이 특징으로, 이와 같이 작동부(54b)와 록킹핀플랜지(58a)가 서로 면접촉으로 접촉하면 록킹핀(58)의 상방향 이동시 록킹핀(58)의 편심각도를 한층 더 줄일 수가 있게 되는 바, 이를 통해 록킹핀(58)의 원활한 작동 및 작동소음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브라켓(57)의 상측가이드부(57b) 및 하측가이드부(57c)를 이용해서 록킹핀(58)을 상하의 이중구조로 지지하는 구조로서, 이를 통해 록킹핀(58)의 상방향 이동시 록킹핀(58)의 편심각도를 한층 더 줄일 수가 있게 되는 바, 이 결과 록킹핀(58)의 원활한 작동 및 작동소음을 없앨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브라켓(57)은 충돌사고 발생시 지지부(57d)가 이동레일(52)의 반대쪽 측벽(52b)과 접촉해서 지지력을 발휘하는 구조인 바, 이를 통해 시트레일의 형상붕괴 방지 및 록킹핀(58)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릴리즈레버(54)의 조작부(54a)와 작동부(54b)가 릴리즈레버(54)의 회전동작에 상관없이 항상 브라켓플랜지(53a)의 상하방향 폭(D11)내에 위치하는 구조, 릴리즈레버(54)의 작동부(54b)와 록킹핀(58)의 록킹핀플랜지(58a)가 서로 면접촉하는 구조, 그리고 록킹핀(58)을 상하의 이중구조로 지지하는 가이드브라켓(57)의 구조로서,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록킹핀(58)의 상방향 이동시 록킹핀(58)의 편심량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되는 바, 이 결과 록킹핀(58)의 원활한 상하이동이 가능해지고 작동소음의 발생을 없앨 수가 있으며, 더 나아가 내구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돌사고 발생시 가이드브라켓(57)의 지지부(57d)가 이동레일(52)의 반대쪽 측벽(52b)과 접촉해서 지지력을 발휘하는 구조로서, 이를 통해 시트레일의 형상붕괴 방지 및 록킹핀(58)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51 - 고정레일 52 - 이동레일
53 - 록킹마운팅브라켓 54 - 릴리즈레버
55 - 레버축 56 - 레버스프링
57 - 가이드브라켓 58 - 록킹핀
59 - 록킹핀스프링 60 - 리테이너

Claims (7)

  1. 릴리즈레버의 회전 조작시 릴리즈레버가 록킹핀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이동레일의 록킹 및 언록킹 동작이 진행되는 차량용 시트레일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레버는 조작부 및 록킹핀과 접촉하는 작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릴리즈레버의 조작부와 작동부는 릴리즈레버의 회전동작에 상관없이 항상 릴리즈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위의 상하방향 폭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레일의 안쪽 공간에 위치하도록 이동레일에 결합된 것으로 록킹핀의 이동시 록킹핀을 항상 상하방향에서 이중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브라켓에는 이동레일의 반대쪽 측벽을 향해 연장된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의 끝은 이동레일의 반대쪽 측벽과 소정 틈새로 이격되어 있다가 충돌 사고시 록킹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동레일의 반대쪽 측벽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일에는 브라켓플랜지를 구비한 록킹마운팅브라켓이 결합되고;
    상기 릴리즈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위는 브라켓플랜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레버는 레버축 및 레버스프링을 매개로 브라켓플랜지에 탄력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레버의 작동부는 록킹핀에 구비된 록킹핀플랜지와 면접촉으로 접촉해서 록킹핀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은 이동레일에서 한쪽 측벽의 안쪽면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게 결합된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단에서 이동레일의 안쪽공간을 좌우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연장된 상측가이드부; 및
    상기 결합부의 하단에서 상측가이드부와 동일방향으로 연장된 하측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핀은 상측가이드부와 하측가이드부를 일체로 관통함에 따라 상하방향에서 이중으로 가이드되고;
    상기 지지부는 하측가이드부의 끝에서 이동레일의 반대쪽 측벽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
  7. 삭제
KR1020170180237A 2017-12-26 2017-12-26 차량용 시트레일 KR102001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237A KR102001505B1 (ko) 2017-12-26 2017-12-26 차량용 시트레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237A KR102001505B1 (ko) 2017-12-26 2017-12-26 차량용 시트레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369A KR20190078369A (ko) 2019-07-04
KR102001505B1 true KR102001505B1 (ko) 2019-07-18

Family

ID=67259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237A KR102001505B1 (ko) 2017-12-26 2017-12-26 차량용 시트레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5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7924B3 (de) * 2020-06-25 2021-07-29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mit einem ein Verriegelungselement in einer Verriegelungsposition formschlüssig sichernden Sicherungsabschnitt, Verriegelungsbaugruppe und Fahrzeugsitz mit einer derartigen Verriegelungsvorrichtung
KR20240012112A (ko) 2022-07-20 2024-01-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레일 리테이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654B1 (ko) * 2012-08-06 2012-11-14 대원정밀공업(주) 시트 트랙 록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985B1 (ko) 2015-12-24 2017-03-16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레일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654B1 (ko) * 2012-08-06 2012-11-14 대원정밀공업(주) 시트 트랙 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369A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505B1 (ko) 차량용 시트레일
KR101384850B1 (ko) 엘리베이터 카 도어에 의해 샤프트 도어를 동반 이동하는 디바이스
JP2003118397A (ja) バッテリ装置の取り付け構造
CN103180168B (zh) 纵向导轨导引装置
EP2875991A1 (en) Vehicle seat slide device
WO2008015824A1 (fr) Siège de véhicule
JP4631327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140015605A (ko) 차량 시트
KR102001502B1 (ko) 차량용 시트레일
JP2018095152A (ja) スライドレール支持構造体
US4573709A (en) Latch device for a webbing anchor
KR101549969B1 (ko)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CN101152832A (zh) 滑动天窗封盖的安全制动装置
JP4990078B2 (ja) 荷台部積み降ろし車両
WO2014199757A1 (ja) 車両用スライドレール装置
JP4243616B2 (ja) 車両シート用ランナーおよびこのランナーの製造方法
JP4001176B1 (ja) 車両用シート
JP5381413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H0632162U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CN210591932U (zh) 锁定系统、道岔和轨道交通系统
JP4853192B2 (ja) 車両用シート
JP4848902B2 (ja) 車両用シート
CN109421553B (zh) 车辆用座椅装置
CN114750677B (zh) 约束装置、车厢及车载医疗设备
JP2007230333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