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549B1 -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 Google Patents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0549B1
KR102000549B1 KR1020157006648A KR20157006648A KR102000549B1 KR 102000549 B1 KR102000549 B1 KR 102000549B1 KR 1020157006648 A KR1020157006648 A KR 1020157006648A KR 20157006648 A KR20157006648 A KR 20157006648A KR 102000549 B1 KR102000549 B1 KR 102000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
air
head
plate
mannequ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6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210A (ko
Inventor
압둘 라쉬드 도아드
Original Assignee
싱가포르 퍼스트 에이드 트레이닝 센터 피티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싱가포르 퍼스트 에이드 트레이닝 센터 피티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싱가포르 퍼스트 에이드 트레이닝 센터 피티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150058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0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28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for 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mass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28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medicine
    • G09B23/30Anatomical models
    • G09B23/32Anatomical models with mov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gebra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및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조립 키트로, 입구를 갖는 머리, 가슴부, 상기 가슴부에 피벗 결합된 판, 공기 챔버를 포함하는 공기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수집부의 일 단부는 상기 입구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 챔버는 상기 판과 상기 가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입구를 통해 공기를 상기 공기 챔버 안으로 불어넣었을 때 상기 판이 상기 가슴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피벗 회전하고, 상기 공기 챔버에서 공기가 배출되면 상기 판이 상기 가슴부를 향해 피벗 회전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Description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A MANNEQUIN FOR PRACTI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구강 대 구강 소생 및 가슴 압박을 연습하기에 적합한 마네킹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심폐소생술(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을 연습하는데는 마네킹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마네킹은 머리, 목, 그리고 가슴을 포함하는 인간의 상체를 시뮬레이션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마네킹의 입 및/또는 코를 통해 구강 대 구강 소생술을 실시할 수 있고, 마네킹의 가슴에는 가슴 압박을 실시할 수 있다. 마네킹은 마네킹에 실시하는 심폐소생술을 실제 응급 상황의 인간에게 실시하는 심폐소생술과 쉽게 연관시킬 수 있도록 인간의 고통 시 모습과 반응을 시뮬레이션하여 만들어진다.
그러나, 시중의 마네킹은 대체로 가격이 고가이다. 시중의 마네킹은 대부분 고가의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결국 가격이 올라간다. 이러한 가격적인 이유 때문에 CPR 훈련 시 그룹 전체가 하나의 마네킹을 사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경우, 숙련된 CPR 교육관만 CPR을 실시하고 훈련을 받는 사람들은 하나의 마네킹에 실시되는 CPR을 관찰만 하게 된다. 또는, 하나의 마네킹에 돌아가며 CPR을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결국, 사람들은 충분한 직접 경험을 할 수 없고 및/또는 실제 상황에서 사람에게 CPR을 실시하기 위해 필요한 연습을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입구를 갖는 머리부; 가슴부; 상기 가슴부에 피벗 결합된(pivot coupled) 판; 및 공기 챔버(air chamber)를 포함하는 공기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수집부의 일 단부는 상기 입구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 챔버는 상기 판과 상기 가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입구를 통해 공기를 상기 공기 챔버 안으로 불어넣었을 때 상기 판이 상기 가슴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피벗 회전하고, 상기 공기 챔버에서 공기가 배출되면 상기 판이 상기 가슴부를 향해 피벗 회전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이 제공된다.
상기 판은 상기 가슴부를 향해 피벗 회전하도록 바이어스(bias)될 수 있다.
상기 판은 탄성 코드(elastic chord), 탄성 섬유, 또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바이어스 메커니즘(biasing mechanism)에 의해 상기 가슴부를 향해 피벗 회전하도록 바이어스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수집부는 상기 판과 상기 가슴부가 결합된 영역에 위치하는 통로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수집부는 상기 통로와 상기 입구로부터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가슴부는 심폐소생술 시 상기 가슴부에 대한 압박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압축 부재(compressible member)를 수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압축 부재는 탄성 폼(resilient foam)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슴부는 상기 압축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칸막이(compartment)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 부재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5cm 깊이까지 압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압축 부재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 5cm 깊이까지 압축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 상기 가슴부 또는 상기 판은 판지(cardboard)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가슴부는 사용자가 생명체의 갈비뼈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접촉이 가능하게 마련된 갈비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네킹은 장난감 캐릭터를 닮은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공기 수집부는 상기 공기 수집부에서 공기가 빠졌을 때 상기 공기 챔버 위에 쌓을 수 있도록 구성된 또 다른 공기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는 상기 머리부에서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판은 상기 가슴부에서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마네킹은 상기 머리부를 상기 가슴부에 연결하기 위한 접합부(joint)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수집부는 상기 공기 수집부의 일 단부를 상기 공기 챔버에 연결하는 길쭉한 공기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 수집부는 공기 용량이 400 내지 600 ml(밀리리터)일 수 있다.
상기 공기 수집부는 공기 용량이 20 내지 399 ml(밀리리터)일 수 있다.
상기 머리부는 상기 공기 수집부가 공기를 수집하지 못하도록 상기 입구가 상기 공기 수집부를 막고 있는 제1 구성과, 상기 공기 수집부가 공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가 상기 가슴부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제2 구성 사이를 이동가능할 수 있다.
상기 머리부는 중앙이 비어 있고 상기 빈 중앙 안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머리부, 가슴부, 및 공기 수집부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을 조립하는 키트(kit)가 제공된다.
상기 키트는 심폐소생술 시 상기 가슴부에 대한 압박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압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입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a는 마네킹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마네킹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마네킹의 분해도이다.
도 3a는 마네킹의 머리부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가슴부를 마주보는 머리부의 측면도이다.
도 3c는 도 3b의 반대편에서 본 머리부의 측면도이다.
도 3d는 마네킹의 머리부 안에 지지 부재들을 배치하는 방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e는 마네킹의 코 덮개(nose flap)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f는 마네킹의 입구 또는 입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마네킹의 가슴부의 세부 사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머리부에 근접한 가슴부의 측면도이다.
도 4c는 판(plate)은 올려진 위치에 있고, 압축 부재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X-X선을 따라 절단한 도 4a의 단면도이다.
도 4d는 판은 휴지 위치(rest position)에 있고, 압축 부재는 압축된 상태에서의, X-X선을 따라 절단한 도 4a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마네킹의 공기 수집부의 상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공기 수집부의 측면도이다.
도 5c는 복수의-챔버를 갖는 (multi-chambered) 공기 수집부의 측면도이다.
도 5d는 2개 부분으로 된 공기 수집부의 측면도이다.
도 6a는 마네킹의 머리와 가슴부가 동일 평면상에 있고, 판은 휴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도 1의 X-X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마네킹의 머리는 가슴부에 대해 기울어져 있고, 판은 올려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도 1의 X-X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b, 도 6a 및 도 6b의 점선들은 단지 명료한 설명을 위해 포함되었다.
도 1a는 심폐소생술(CPR) 연습용 마네킹(1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마네킹(100)은 CPR 연습 시 마네킹이 놓이게 되는 표면상에 수평으로 누워 있고, 판지(cardboard), 플라스틱 등과 같이 마네킹의 형태와 전반적인 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마네킹(100)은 머리부(10), 가슴부(20), 판(22) 및 공기 수집부(14)를 갖는다. 머리부(10), 가슴부(20), 및 판(22)은 CPR 연습 시 마네킹이 놓이게 되는 표면으로부터 먼, 윗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머리부(10)는 입을 시뮬레이션한 입구(inlet, 11)를 갖는데, 여기서는 CPR 교육관이 공기 수집부(14) 안으로 공기를 내쉴 수 있도록 하는 튜브형 입구이다. 판(22)은 CPR 시 인간의 가슴 반응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가슴부(20)에 피벗 회전하도록(pivotably) 결합된다. 주지할 사실은, 입구(11)가 원형 외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입구(11)는 원통형 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공기 수집부(14)는 입구(11)에 결합되는 개방 단부(28)와, 판(22)과 가슴부(20)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 챔버(56)를 갖는, 전반적인 T-자 형태로 구현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단부(28)는 팽창 시 A-A선을 따라 원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공기 챔버(56)는 전반적인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공기 챔버(56)는 입구(11)를 통해 공기 수집부(14) 안으로 공기를 불어넣었을 때 판(22)이 가슴부(20)로부터 멀어지게 피벗 회전하고, 공기 챔버(56)에서 공기가 배출되었을 때는 가슴부(20)를 향해 피벗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피벗 회전하는 판(22)과 함께 그 아래에 배치되는 공기 수집부(14)의 공기 챔버(56)는 인간의 가슴과 폐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단순하지만 실행 가능한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마네킹은 복수의 공기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b는 도 5a의 공기 수집부(14)의 사시도이다.
인간의 목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접합부(15)(joint)가 머리부(10)와 가슴부(20) 사이에 마련된다. 접합부(15)는 마네킹(100)이 누워 있는 지면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된다. 인간의 기관(windpipe)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길쭉한 공기 통로(42)(elongated air passage)가 공기 수집부(14)의 개방 단부(28)를 공기 챔버(56)에 연결한다.
또한, 인간의 코의 존재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코(12)가 머리부(10)에 마련된다. 가슴부(20)는 심폐소생술 시 가슴의 압박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압축 부재(24)(compressible member)를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마네킹(100)의 상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길쭉한 공기 통로(42)가 접합부(15) 위에 배치되는데, 길쭉한 공기 통로(42)의 너비는 접합부(15)보다 좁다. 접합부(15)의 위치는 머리부(10) 및 가슴부(20)의 가운데이다. 접합부(15)는 머리부(10)가 가슴부(20)에 대해 기울어질 때 구부러질 수 있도록 유연한 물질로 구성되어, 구강 대 구강 소생시 인간의 위치를 시뮬레이션한다. 접합부(15)가 공기 수집부(14)를 방해하지 않는 한, 접합부(15)는 머리부(10)를 마주보는 가슴부(20)의 측벽(29) 상의 어느 위치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측벽(29)의 상면도는 도 4b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a의 마네킹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은 마네킹의 여러 부분들이 서로 연결되는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머리부(10)는 중앙이 비어있으며, 단면이 사다리꼴 일 수 있다. 머리부(10)는 머리부(10)의 모든 측 부재들 중에서 표면적이 가장 큰 바닥측 부재(10A)(bottom side member)를 갖는다. 바닥측 부재(10A)는 CPR 연습 시 마네킹이 놓이게 되는 표면상에 놓이도록 마련된다. 바닥측 부재(10A)가 제공하는 넓은 표면적은 CPR 연습 시 마네킹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마네킹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접합부(15)는 가슴부(20)를 마주보는 바닥측 부재(10A)의 일 단부에서 가슴부(20)로 연장된다. 접합부(15)가 머리부(10) 및/또는 가슴부(20)로부터 탈착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머리부는 바닥측 부재(10A)와 반대편에 위치하는 상측 부재(10C)(top side member)를 더 포함한다. 상측 부재(10C)는 코(12)와 입구(11)를 끼울 수 있도록 형성된다. 코(12)와 입구(11)는 각각 머리부(10)로부터 탈착 가능하다. 코(12)는 상측 부재(10C) 안의 슬릿(slit)을 통해 머리부(10)에 끼울 수 있고, 입구(11)는 그 일부가 머리부(10) 안으로 들어가도록 상측 부재(10C) 내의 개구부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가슴부(20)는 직사각형의 몸체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외 적합한 임의의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마네킹(100)의 모든 부분들은 마네킹이 장난감 캐릭터를 닮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슴부(20)는 중앙이 비어있고, 압축 부재(24)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23)를 갖는 상측 부재(21)를 포함한다. 가슴부(20)는 CPR 시 인체 중 가슴에 대한 압박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압축 부재(24)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부(23) 대신, 맞춤 제작된 칸막이(compartment)[예: 개구부(23)에 배치될 수 있는 추가적인 고정 요소]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CPR 연습 시 압축 부재(24)가 제자리를 유지하고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압축 부재(24)가 압축 전 상태에서 적어도 5cm(센티미터) 깊이까지 압축 가능하여, 성인 또는 청소년의 가슴에서 압박 가능한 깊이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아동이나 유아의 가슴에서 압축 가능한 깊이를 시뮬레이션하도록 최대 5cm(센티미터) 깊이까지 압축 가능하도록 압축 부재가 구현될 수 있다. 5cm라는 값은 성인, 청소년, 아동 또는 유아의 가슴에서 압축 가능한 깊이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필요한 충분한 깊이를 결정한 실행 가능한 예에 불과하므로 이 크기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상황에 따라 요구되는 시뮬레이션에 따라 다른 값으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CPR 교육관은 CPR 시, 인간의 심폐소생술 시 필요한 가슴 압박의 정도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압축 부재(24)를 마네킹이 누워 있는 표면을 향해 약 5cm까지 누를 수 있다. 도 4c 및 도 4d에서는 각각 압축 전과 압축 후의 압축 부재(24)를 도시하고 있다.
유리하게도, 중앙이 빈 머리부(10)와, 역시 중앙이 빈 가슴부(20) 때문에 마네킹이 가볍고 휴대가 가능해진다.
압축 부재(24)는 CPR 시 가슴 압박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탄성 폼 물질(resilient foam material)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탄성 폼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그 외 압축 가능한 탄성 물질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서는 압축 부재가 직육면체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직육면체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프링(spring) 등 압축 부재와 기능적으로 같은 구성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가슴부(20)에는 시뮬레이션 갈비뼈(25)들이 마련된다. 이들은 사용자가 인간의 갈비뼈의 존재를 인식하도록, 상측 부재(21)의 표면상에 엠보싱(양각 또는 돋을새김) 및/또는 식각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갈비뼈들은 CPR 교육관이 CPR 시 가슴을 압박할 지점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실제 상황에서 살아 있는 사람의 갈비뼈를 과도하게 압박해서 부러뜨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예비 단계 또한 가슴부(20)의 갈비뼈(25)들의 존재 하에 CPR 교육관에 의해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상측 부재(21)의 표면에 엠보싱 및/또는 식각된 구조가 아닌 단순히 가슴부(20)에 그림이나 표시 등으로 갈비뼈(25)들을 표현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b에서는, 머리부(10)의 중앙 빈 부분에, 마네킹의 머리부(10)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서로 결합된 내부 지지 부재(13A, 13B, 및 13C)들이 포함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b와 도 3c는 도 3a의 머리부(10)의 측면도이며, 도 3b와 도 3c의 화살표들은 가슴부(20)에 머리부(10)를 끼우는 방향을 나타낸다. 도 3d의 (i)와 (ii)는 머리부(10) 안에 내부 지지 부재들을 배치할 수 있는 2가지 가능한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지지 부재(13A)는 머리부(10)의 상측 부재(10C)[즉, 도 3d의 (i)] 또는 바닥측 부재(10A)[즉, 도 3d의 (ii)]와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d의 (ii)에 도시된 방향과 관련하여, 지지 부재(13B 및 13C)들의 엣지들은 상측 부재(10C)와 머리부(10)의 측 부재들이 형성하는 모서리들과 접한다. 이 엣지들은 머리부(10)의 사디리꼴 형태의 결과로서 형성된다. 도 3d의 (i)에 도시된 방향과 관련해서는, 지지 부재(13B 및 13C)들의 엣지들은 바닥측 부재(10A) 상의 이격된 위치들과 각각 접한다. 지지 부재(13B 및 13C)들은 머리부(10)가 사다리꼴 형태를 유지하고 쉽게 부서지거나 납작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향된다. 선택적으로, 머리부(10)는 더 튼튼하게 하기 위해 지지 부재(13B 및 13C)들의 엣지들을 끼우기 위한 슬릿(slit)들을 가질 수 있다.
도 3e에서 실시 예로서 도시된 코(12)는 머리부(10)에 코(12)를 끼워넣기 위한 넓은 단부(12A)가 마련된 삼각형 덮개(triangle flap)이다. 고통 중인 환자에게 CPR을 시행할 때, 엄지와 검지 사이로 환자의 코를 쥐어야 한다. 코(12)는 실제 인간의 코를 시뮬레이션한 것으로 엄지와 검지 사이에 코를 쥘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3f에서는 입구(11)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입구(11)는 양단부에 개구부(11A 및 11B)가 마련된 속이 빈 튜브 형태이다.
각각 인간의 코와 입을 시뮬레이션한 코(12)와 입구(11) 외에, 머리부(10)는 인간의 모습을 시뮬레이션하고 실제 인간의 얼굴에 가까운 경험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 눈(미도시) 및 귀(미도시)를 포함하는 인간의 얼굴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a에서는 가슴부(20)에 피벗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판(22)을 도시하고 있다. 판(22)은 가슴부(20)에서 탈착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판(22)은 판(22) 및 가슴부(20)과 이어지는 접합부(22')를 중심으로 피벗 회전한다. 판(22)을 가슴부(20)를 향해 바이어스(bias)하기 위한 스프링, 탄성 코드(들)(elastic cord(s)), 탄성 섬유, 고무 밴드(들) 등의 바이어스 메커니즘(26)(biasing mechanism)이 제공된다. 바이어스 메커니즘(26)은 공기 챔버(56)로부터 공기를 밀어내는 것을 돕는 기능을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이어스 메커니즘(26)의 가능한 배열은 판(22)의 이동 가능한 단부를 가슴부(20)에 연결하기 위한 탄성 코드들 등을 사용한다. 공기 수집부(14)로부터 공기를 밀어낼 수 있는 그외 유사한 배열 또한 사용 가능하다.
도 4b에는 2개의 통로(27 및 29)가 도시되어 있다. 판과 가슴부가 결합된 영역에 위치하는 통로(27)는 공기 수집부(14)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머리부(10)를 마주보는 가슴부(20)의 일측 상에서 통로(27)의 수직 하부에 위치하는 통로(29)는 머리부(10)와 가슴부(20)를 연결하여 마네킹을 형성하기 위한 접합부(15) 부분을 수용한다.
도 4c와 도 4d는 각각 압축되지 않은 상태 및 압축된 상태의 압축 부재(24)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공기 수집부(14)는 개방 단부(28)를 공기 챔버(56)에 연결하는 길쭉한 공기 통로(42)를 갖는 전반적인 T-자 형태의 속이 빈 구조를 갖는다. 공기 수집부(14)는 통합된 구조이거나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세그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수집부(14)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가늘고 유연한 물질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 예에서, 공기 수집부(14)는 수용 공기 용량이 400 내지 600ml(밀리리터)인데, 이는 성인 또는 청소년의 폐의 용량과 같다. 선택적으로, 공기 수집부는 수용 공기 용량이 20 내지 399ml(밀리리터)일 수 있는데, 이는 아동이나 유아의 폐의 용량과 같다. 공기 수집부(14)는 손상 또는 파손 시 쉽게 교체될 수 있도록 입구(11)와 판(2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에 명시된 것 외의 공기 수집부의 형태들 또한 구현 가능하다. T-자 형태의 공기 수집부는 단지 선택 사항일 뿐이다.
개방 단부(28)는 CPR 교육관이 불어넣은 공기를 받고, 공기 챔버(56)는 공기 수집부(14) 안으로 불어넣은 공기를 수용한다. 공기 수집부(14)는 입구(11)로부터 목의 축을 따라 연장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챔버(56)가 판(22) 하부에 놓이도록 판(22)과 가슴부(20)가 결합한 영역에 위치하는 통로(27)를 관통한다. 공기 챔버(56)는 인간의 가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도록 판(22) 하부에서 완전히 도포될 수 있다. 공기 수집부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5c에서는 2개의 챔버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챔버 (즉, 2개 이상의 공기 챔버)일 수 있고, 또는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부분들[즉, 공기 챔버(56)와 공기 통로(42)는 서로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별도의 부분들]로 된 구조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 예에서는, 공기 수집부(14)가 2개의 공기 챔버로 구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는 공기 수집부(14)가 팽창되었을 때 하나의 공기 챔버가 나머지 다른 공기 챔버 위에 쌓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구성에서 2개의 공기 챔버들이 판(22)과 가슴부(20) 사이에 배치되면, 공기 챔버들이 서로 쌓여있지 않을 때에 비해 판(22)을 움직이기 위해 공기 챔버들로부터 받아야 하는 공기 양이 줄어든다. 이러한 방식으로, 아동이나 유아의 경우와 같이 폐 용량이 작아서 채워야 하는 공기의 양이 적을 때도 시뮬레이션 가능하다.
머리부(10)는, 입구(11)가 공기 수집부(14)의 공기 수집을 막는 제1 구성과 공기 수집부(14)가 공기를 수집할 수 있도록 머리부(10)가 가슴부(20)에 대해 기울어진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의 경우, 머리부(10)가 기울어져 있지 않으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에서는, 머리부(10)와 가슴부(20)가 동일한 평면상에서 전반적으로 수평으로 놓이고 공기 수집부(14)의 공기 통로(42)는 입구(11)의 모서리들에 의해 막히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공기 챔버(56)는 CPR 교육관이 입구(11)를 통해 공기 수집부(14)로 공기를 불어넣으려고 노력해도 공기 챔버(56)가 팽창하지 않는데, 이는 공기가 공기 수집부로 진입할 수 없기 때문이다. 판(22)은 공기 챔버(56) 위에 바이어스 상태로 놓여있게 되고 판(22)은 휴지 위치에 있게 된다. 머리부(10)가 가슴부(20)에 대해 기울어져 있고, 판(22), 공기 수집부(14)의 공기 챔버(56)와 공기 챔버(56)의 공기 통로(42)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축을 따라 놓이는 제2 구성에서는, 공기 막힘이 해제된다. 공기 수집부(14)로 불어넣은 공기는 공기 챔버(56)를 진입하여 공기 챔버를 팽창시킨다 (도 6b). 팽창된 공기 챔버는 그 위에 놓인 판을, 가슴부(20)에서 떨어져 가슴부(20)의 표면(21)에 대해 각도를 갖는 올려진 위치로 밀어낸다. 이는 들숨 시 팽창된 인간의 폐를 시뮬레이션한다. CPR 교육관이 입구로 공기를 불어넣는 것을 멈추면, 바이어스 메커니즘(26)은 가슴부(20)에 대해 판(22)을 유지하고 판을 올려진 위치에서 다시 휴지 위치로 되돌려 놓기 위해 바이어스(기울어짐)함에 따라 공기 챔버(56)에서 공기가 배출된다. 판의 피벗 이동은 심폐소생술 시 인간의 가슴을 시뮬레이션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판(22)은 탄성 코드, 탄성 섬유 또는 스프링일 수 있는 바이어스 메커니즘(26)에 의해 가슴부(20)를 향해 피벗 회전하기 위해 바이어스(기울어짐)한다.
입구(11)를 포함하는 마네킹(100)은 주로 판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판지의 값이 비교적 저렴할 수 있기 때문에, 마네킹 제작 전반에 드는 비용은 줄어든다. 마네킹은 또한 환경친화적이고 환경에 악영향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마네킹은 또한 플라스틱 등의 저렴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네킹이 저렴하면 그룹 CPR 훈련 세션의 모든 참가자가 마네킹을 제공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효과적인 훈련 도구가 될 수 있다. 압축 부재로 탄성 폼을 사용하는 마네킹은 구강 대 구강 소생 시뮬레이션을 위한 약 30번의 가슴 압박 및 반복적인 공기 수집부로의 공기 내쉼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로 튼튼하다.
마네킹은 또한 조립 전 부품들로 구성된 키트(kit)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자들은 CRP 연습을 위한 자신만의 마네킹을 조립할 수 있다. 가령, 상기 키트에는 마네킹 조립을 위한 머리부(도 1에서 10), 가슴부(도 1에서 20), 및 공기 수집부(도 1에서 14), 그리고 선택적으로는 압축 부재(도 1에서 24), 입구(도 2에서 11), 코(도 1에서 12), 및/또는 판(도 1에서 22) 등이 조립되기 전 상태로 포함될 수 있다.
마네킹은 다양한 사용자들 및 그들의 다양한 목적에 맞게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가령, 아이들이 CPR을 연습할 수 있도록 테디 베어 같은 장난감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어린이나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CPR 연습을 위해 소형 마네킹도 제공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을 바탕으로, 저렴한 물질을 사용하는 저가의 마네킹이 제공될 수 있다. 저가의 마네킹은 저렴한 가격에 보통 사람들과 대중에게 판매될 수 있다. 학교, 응급 처치 훈련 센터 등 그룹 CPR 훈련 세션들을 정기적으로 갖는 단체들에서는 그룹 훈련 세션에서 학생 각각을 위한 저가의 마네킹을 구입할 수 있을 것이다. 유리하게는, 개인별로 제공된 마네킹을 사용해 직접적인 연습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더 넓게는, 저가의 마네킹을 통해 사람들은 CPR의 생명 구조 기술을 배우고 연습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당업자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및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조립 키트에 변형을 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및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조립 키트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에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6)

  1.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으로서,
    입구를 갖는 머리부;
    가슴부;
    상기 가슴부에 피벗 결합된 판; 및
    공기 챔버를 포함하는 공기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수집부의 일 단부는 상기 입구에 결합되고, 상기 공기 챔버는 상기 판과 상기 가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입구를 통해 공기가 상기 공기 챔버 안으로 불어넣어질 때 상기 판이 상기 가슴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피벗 회전하고, 상기 공기 챔버에서 공기가 배출되면 상기 판이 상기 가슴부를 향해 피벗 회전하며,
    상기 머리부는 중앙이 비어 있고, 상기 마네킹이 놓이게 되는 표면 상에 놓이도록 마련된 바닥측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측 부재는 상기 머리부의 모든 측 부재들 중에서 가장 큰 표면적을 가지며, 상기 머리부는 상기 가슴부로부터 탈착가능하고, 상기 바닥측 부재는 상기 머리부와 상기 가슴부를 연결하기 위한 접합부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상기 가슴부를 향해 피벗 회전하도록 바이어스(bias)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탄성 코드(elastic chord), 탄성 섬유 또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바이어스 메커니즘에 의해, 상기 가슴부를 향해 피벗 회전하도록 바이어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수집부는 상기 판과 상기 가슴부가 결합된 영역에 위치하는 통로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수집부는 상기 통로와 상기 입구로부터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부는 심폐소생술 시 상기 가슴부에 대한 압박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압축 부재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재는 탄성 폼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부는 상기 압축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칸막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재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적어도 5cm 깊이까지 압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 부재는 압축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 5cm 깊이까지 압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 상기 가슴부 또는 상기 판은 판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부는 사용자가 생명체의 갈비뼈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접촉이 가능하게 마련된 갈비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네킹은 장난감 캐릭터를 닮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수집부는 상기 공기 수집부에서 공기가 빠졌을 때 상기 공기 챔버 위에 쌓을 수 있도록 구성된 또 다른 공기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1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상기 머리부에서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1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은 상기 가슴부에서 탈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1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를 상기 가슴부에 연결하기 위한 접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1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수집부는 상기 공기 수집부의 일 단부를 상기 공기 챔버에 연결하는 길쭉한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수집부는 공기 용량이 400 내지 600 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수집부는 공기 용량이 20 내지 399 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2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상기 공기 수집부가 공기를 수집하지 못하도록 상기 입구가 상기 공기 수집부를 막고 있는 제1 구성과, 상기 공기 수집부가 공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머리부가 상기 가슴부에 대해 기울어져 있는 제2 구성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2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의 비어 있는 중앙부 내에는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23. 제1항의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을 조립하기 위한 키트로서,
    머리부와; 가슴부; 및 공기 수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심폐소생술 시 상기 가슴부에 대한 압박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한 압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6.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KR1020157006648A 2012-09-18 2012-09-18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KR1020005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SG2012/000340 WO2014046609A1 (en) 2012-09-18 2012-09-18 A mannequin for practicing cadiopulmonary resusci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210A KR20150058210A (ko) 2015-05-28
KR102000549B1 true KR102000549B1 (ko) 2019-07-16

Family

ID=50341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648A KR102000549B1 (ko) 2012-09-18 2012-09-18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332422B2 (ko)
EP (1) EP2898497B1 (ko)
JP (1) JP6088055B2 (ko)
KR (1) KR102000549B1 (ko)
CN (1) CN104040609A (ko)
HK (1) HK1197311A1 (ko)
SG (1) SG11201404254PA (ko)
TW (1) TWI619100B (ko)
WO (1) WO20140466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91058A1 (en) * 2014-08-28 2016-03-02 Les Hôpitaux Universitaires de Genève Thorax simulator
WO2016030393A1 (en) * 2014-08-28 2016-03-03 Les Hopitaux Universitaires De Geneve Thorax simulator
US10420905B2 (en) * 2015-04-08 2019-09-24 The Cpr Lifewrap Llc CPR template
CN111033598A (zh) * 2017-09-29 2020-04-17 安布股份有限公司 训练用人体模型
KR102045467B1 (ko) * 2018-01-30 2019-11-15 장진혁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심폐소생술 트레이닝 시스템
CN110299037A (zh) * 2019-07-03 2019-10-01 广西农业职业技术学院 一个电工培训用的人工救护训练及考核装置及方法
CN113658500B (zh) * 2021-09-24 2023-04-07 娄底市中心医院 一种心肺复苏实时反馈app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934B2 (ja) * 1991-11-22 2000-04-24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
JP2003515194A (ja) * 1999-11-18 2003-04-22 バイタル サイ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任意な自動外部細動除去を伴うcpr人体模型
US20080081321A1 (en) * 2003-09-12 2008-04-03 Cantrell Elroy T Cpr training device
JP2011509438A (ja) * 2008-01-11 2011-03-24 レールダル メディカル エー エス 変化する肺のコンプライアンスをシミュレートする装置
US20120100516A1 (en) * 2009-06-19 2012-04-26 Kyoto University Portable practice tool for heart massaging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01777A1 (de) * 1992-01-23 1993-07-29 Laerdal Asmund S As Modell zum ueben der cardiopulmonaren wiederbelebung (cpr) eines menschen
US5312259A (en) 1993-04-19 1994-05-17 Stephen Flynn CPR mannequin
US5423685A (en) * 1993-05-28 1995-06-13 Adamson; Ian A. CPR training manikin
US5628633A (en) * 1996-07-25 1997-05-13 Zevco Inc. Training manikin
JP3036934U (ja) 1996-08-20 1997-05-06 株式会社三幸製作所 煙害実験装置
DE19700529A1 (de) * 1997-01-09 1998-07-16 Laerdal Asmund S As Modell zum Üben der cardiopulmonaren Wiederbelebung (CPR) eines Menschen
US6500009B1 (en) 1999-11-18 2002-12-31 Vital Signs, Inc. CPR manikin with optional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ion
US6530783B1 (en) 2000-11-01 2003-03-11 American Red Cross Of Greater Indianapoli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annequin
NO319006B1 (no) * 2003-05-09 2005-06-06 Laerdal Medical As Treningsdukke for innoving av gjenoppliving, omfattende en oppblasbar kropp
TWI333180B (en) * 2004-06-11 2010-11-11 Laerdal Medical As Manikin for practi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KR200366260Y1 (ko) 2004-07-19 2004-11-03 김인택 심폐소생시술 훈련용 마네킹
WO2007002728A2 (en) * 2005-06-28 2007-01-04 Clar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d adapting a media stream
US9092995B2 (en) * 2005-09-01 2015-07-28 Prestan Products Llc Medical training device
US20090001743A1 (en) * 2007-06-28 2009-01-01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Load bearing cover assembly having support ribs that facilitate cargo management
US8770985B2 (en) * 2007-07-10 2014-07-08 Timothy Adams Heimlich or abdominal thrust maneuver teaching aid for choking relief or rescue
JP2009115993A (ja) * 2007-11-06 2009-05-28 Koken Co Ltd 一次救命トレーニングモデルキット
KR20110011791U (ko) 2010-06-16 2011-12-22 고영석 다기능 응급처치 교육용 마네킹
KR20120014979A (ko) 2010-08-11 2012-02-21 정재은 복합 교육용 마네킹
CN202306929U (zh) 2011-09-16 2012-07-04 天津市医学堂科技有限公司 一种婴儿气管插管训练机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934B2 (ja) * 1991-11-22 2000-04-24 三洋電機株式会社 画像符号化装置
JP2003515194A (ja) * 1999-11-18 2003-04-22 バイタル サイン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任意な自動外部細動除去を伴うcpr人体模型
US20080081321A1 (en) * 2003-09-12 2008-04-03 Cantrell Elroy T Cpr training device
JP2011509438A (ja) * 2008-01-11 2011-03-24 レールダル メディカル エー エス 変化する肺のコンプライアンスをシミュレートする装置
US20120100516A1 (en) * 2009-06-19 2012-04-26 Kyoto University Portable practice tool for heart massaging i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46609A9 (en) 2014-08-21
HK1197311A1 (en) 2015-01-09
JP2015529857A (ja) 2015-10-08
EP2898497A4 (en) 2016-06-15
US20150187230A1 (en) 2015-07-02
JP6088055B2 (ja) 2017-03-01
EP2898497B1 (en) 2019-11-06
SG11201404254PA (en) 2014-08-28
TWI619100B (zh) 2018-03-21
WO2014046609A8 (en) 2014-05-22
US10332422B2 (en) 2019-06-25
TW201428703A (zh) 2014-07-16
CN104040609A (zh) 2014-09-10
KR20150058210A (ko) 2015-05-28
EP2898497A1 (en) 2015-07-29
WO2014046609A1 (en) 201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0549B1 (ko) 심폐소생술 연습용 마네킹
AU2004273835B2 (en) CPR training device
JP2854972B2 (ja) 心肺蘇生術教授用人体模型
JP5641443B2 (ja) 心肺蘇生法における心臓マッサージ用の可搬タイプの練習器具
JP4610551B2 (ja) 蘇生訓練用人体模型
US5468151A (en) Dummy for practic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of a human being
US6736643B2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anikin
US6780017B2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anikin with replaceable lung bag and installation tool
EP0306328A1 (en) Teaching device for artificial respiration
US6530783B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mannequin
EP1230634B1 (en) Cpr manikin with optional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ion
JP7096453B1 (ja) 風船型喀痰吸引用医療シミュレーター
KR102167763B1 (ko) 이동식 화상보드와 퍼즐모듈을 연계한 어셈블리형 영유아교구
TW200540737A (en) Training manik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