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814B1 -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9814B1 KR101999814B1 KR1020180133366A KR20180133366A KR101999814B1 KR 101999814 B1 KR101999814 B1 KR 101999814B1 KR 1020180133366 A KR1020180133366 A KR 1020180133366A KR 20180133366 A KR20180133366 A KR 20180133366A KR 101999814 B1 KR101999814 B1 KR 1019998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xing
- soundproof wall
- component
- raw material
- suction 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4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paddles or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8—Feeding the material into the injection moulding apparatus, i.e. feeding the non-plastified material into the injection uni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762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ejection or removal of mould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는 사출성형 원료를 혼합하기 위한 제 1 혼합부재와, 상기 제 1 혼합부재로부터 상기 원료를 전달받는 제 2 혼합부재와, 상기 제 2 혼합부재로부터 원료를 전달받아 가열하면서 성형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가열공급부재와, 상기 가열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된 사출성형 원료에 압력을 가하여 방음벽을 구성하기 위한 부품을 성형하는 성형장치와, 상기 성형장치로부터 성형된 방음벽 부품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로부터 전달된 방음벽 부품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부재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성형장치로 진입되어 성형된 방음벽 부품을 인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방음벽 부품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인출부재에 대해 90도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흡착부재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흡착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흡착구에는 음압을 인가하기 위한 음압인가튜브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흡착구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출성형기에 의해 형성된 방음벽 부품을 자동화 과정에 의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어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방음벽 부품에 대해 용이하게 변경 적용이 가능하여 설계 변경이 용이해진다.
또한, 방음벽 부품을 신뢰성 있게 이동시킬 수 있어 이송 중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방음벽 부품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의 혼합 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균일한 혼합이 가능해지며, 원료의 이송 과정에서 배관 내에 원료가 적체되어 이송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출성형기에 의해 형성된 방음벽 부품을 자동화 과정에 의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어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방음벽 부품에 대해 용이하게 변경 적용이 가능하여 설계 변경이 용이해진다.
또한, 방음벽 부품을 신뢰성 있게 이동시킬 수 있어 이송 중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방음벽 부품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의 혼합 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균일한 혼합이 가능해지며, 원료의 이송 과정에서 배관 내에 원료가 적체되어 이송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음벽 형성을 위한 부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화 방식에 의해 신뢰성 있게 부품을 이송시키면서도, 원료의 혼합 효율을 향상시키고, 배관의 내에서의 연료 적체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고속도로나 철도 주변 또는 소음 다발 지역에 설치되며, 소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이동을 차단하고 감쇄시키도록 설치된다.
상기 방음벽의 종류로는 흡음부재에서 소음을 흡수하는 흡음형과, 방음판에 의해 소음을 반사시키는 반사형 및 입사되는 소음과 반사되는 소음이 서로 부딪혀 감쇄되도록 구성되는 간섭형 등이 있다.
상기 방음벽을 구성하는 재질로서는 금속에서부터 합성수지재 및 섬유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재료들이 이용된다.
통상 상기 방음벽은 도로 등의 방음벽 설치 영역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의 수직 지지대들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수직 지지대들 사이에 소리를 차단 및 감쇄시키기 위한 방음패널부품(이하, "방음벽 부품"이라 함)을 적층 결합하여 형성된다.
종래에는 상기 방음벽 부품으로서 금속재 플레이트를 가공하여 형성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근래에는 가벼우면서도 성형이 용이한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상기 방음벽 부품을 형성하는 방식이 이용되는 추세이다.
통상, 합성수지재로써 상기 방음벽 부품을 형성하는 방식으로서는 주로 대형 사출성형기가 이용되었다.
그런데, 사출성형기를 이용하여 방음벽 부품을 형성하는 경우, 방음벽에 이용되는 패널의 크기가 큰 특성으로 인해, 형성된 방음벽 부품을 사출성형기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별도의 조치가 요구된다.
즉, 방음벽 부품의 경우 소음 감쇄를 위해 여러 형태의 돌출 부분들이 패널 내에 형성되는데, 크기가 큰 방음벽 부품이 사출성형기로부터 자유낙하 방식으로 배출되는 경우에는, 낙하 과정에서 상기 돌출 부분들이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형성된 방음벽 부품을 사출성형기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기구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만약 인력으로 방음벽 부품을 인출하는 경우에는 그 크기로 인해 생산 수율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성형기에 의해 형성된 방음벽 부품을 자동화 과정에 의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방음벽 부품에 대해 용이하게 변경 적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음벽 부품을 신뢰성 있게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음벽 부품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의 혼합 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균일한 혼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료의 이송 과정에서 배관 내에 원료가 적체되어 이송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는 사출성형 원료를 혼합하기 위한 제 1 혼합부재와, 상기 제 1 혼합부재로부터 상기 원료를 전달받는 제 2 혼합부재와, 상기 제 2 혼합부재로부터 원료를 전달받아 가열하면서 성형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가열공급부재와, 상기 가열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된 사출성형 원료에 압력을 가하여 방음벽을 구성하기 위한 부품을 성형하는 성형장치와, 상기 성형장치로부터 성형된 방음벽 부품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로부터 전달된 방음벽 부품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부재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성형장치로 진입되어 성형된 방음벽 부품을 인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방음벽 부품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인출부재에 대해 90도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흡착부재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흡착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흡착구에는 음압을 인가하기 위한 음압인가튜브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흡착구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부재는 하나의 가로프레임부재와, 한쌍의 세로프레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프레임부재와 세로프레임부재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홈 또는 결합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흡착구는 상기 결합개구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세로프레임부재에서 결합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착구는 탄성부재를 매개로 상기 세로프레임부재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흡착구는 상기 부품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음압인가튜브가 결합되는 튜브결합부와 상기 접촉부와 튜브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와 몸체부 사이에는 주름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 개의 흡착구들은 하나의 음압인가튜브를 매개로 음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인출부재에는 상기 흡착부재에 부품이 흡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부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거리감지센서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혼합부재로부터 상기 제 2 혼합부재로 원료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이 설치되되, 상기 이송관은 상기 원료를 직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직각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각이송부에는 적체방지돌출부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적체방지돌출부의 표면에는 돌기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혼합부재 내부에는 제 1 교반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제 1 교반부재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는 서로 다른 형상과 각도로 상기 제 1 혼합부재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혼합부재 내부에는 제 2 교반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제 2 교반부재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혼합부재 내부에서 보다 높은 위치에는 보다 큰 외경의 블레이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2 교반부재의 블레이드 단부는 상방으로 꺽여 형성되며, 상기 단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교반부재의 블레이드에는 이를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공급부재에는 냉각팬과 상기 냉각팬에 연결 설치되는 냉각덕트가 설치되며, 상기 냉각덕트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단면을 갖는 디퓨져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방음벽 부품을 지지하면서 이송하기 위한 벨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부재의 표면에는 격자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출성형기에 의해 형성된 방음벽 부품을 자동화 과정에 의해 외부로 인출할 수 있어 생산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방음벽 부품에 대해 용이하게 변경 적용이 가능하여 설계 변경이 용이해진다.
또한, 방음벽 부품을 신뢰성 있게 이동시킬 수 있어 이송 중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음벽 부품을 형성하기 위한 원료의 혼합 시간을 단축시키면서도 균일한 혼합이 가능해진다.
또한, 원료의 이송 과정에서 배관 내에 원료가 적체되어 이송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 는 제 1 혼합부재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3 은 직각이송부의 단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직각이송부의 다른 단면도이며,
도 5 는 적체방지돌출부의 정면도이며,
도 6 은 제 2 혼합부재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7 은 가열공급부재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8 은 흡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9 는 상기 흡착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10 은 흡착구의 사시도이며,
도 11 은 상기 흡착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2 는 상기 흡착부재가 회전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3 은 방음벽 부품의 사시도이며,
도 14 는 전달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5 는 방음벽 부품이 적층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 는 제 1 혼합부재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3 은 직각이송부의 단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직각이송부의 다른 단면도이며,
도 5 는 적체방지돌출부의 정면도이며,
도 6 은 제 2 혼합부재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7 은 가열공급부재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8 은 흡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9 는 상기 흡착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10 은 흡착구의 사시도이며,
도 11 은 상기 흡착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2 는 상기 흡착부재가 회전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3 은 방음벽 부품의 사시도이며,
도 14 는 전달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5 는 방음벽 부품이 적층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 는 제 1 혼합부재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3 은 직각이송부의 단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직각이송부의 다른 단면도이며, 도 5 는 적체방지돌출부의 정면도이며, 도 6 은 제 2 혼합부재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7 은 가열공급부재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8 은 흡착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9 는 상기 흡착부재의 정면도이며, 도 10 은 흡착구의 사시도이며, 도 11 은 상기 흡착부재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2 는 상기 흡착부재가 회전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3 은 방음벽 부품의 사시도이며, 도 14 는 전달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5 는 방음벽 부품이 적층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 과 8 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는 사출성형 원료를 혼합하기 위한 제 1 혼합부재(10)와, 상기 제 1 혼합부재(10)로부터 상기 원료를 전달받는 제 2 혼합부재(20)와, 상기 제 2 혼합부재(20)로부터 원료를 전달받아 가열하면서 성형장치(40)로 공급하기 위한 가열공급부재(30)와, 상기 가열공급부재(30)로부터 공급된 사출성형 원료에 압력을 가하여 방음벽을 구성하기 위한 부품을 성형하는 성형장치(40)와, 상기 성형장치(40)로부터 성형된 방음벽 부품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부재(50)와, 상기 인출부재(50)로부터 전달된 방음벽 부품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재(60)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장치(40)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부재(70)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출부재(50)는 상기 하우징부재(7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성형장치(40)로 진입되어 성형된 방음벽 부품을 인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출부재(50)는 상기 방음벽 부품(80)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부재(90)를 포함하되, 상기 흡착부재(90)는 상기 인출부재(50)에 대해 90도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흡착부재(90)는 프레임부재(92, 94)와, 상기 프레임부재(92, 94)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흡착구(96)들을 포함하며, 상기 흡착구(96)에는 음압을 인가하기 위한 음압인가튜브(98)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흡착구(96)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혼합부재(10)는 방음벽을 구성하기 위한 부품(80, 이하, 방음벽 부품) 형성용 재료들을 일차적으로 혼합하여 상기 제 2 혼합부재(2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방음벽 부품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합성수지재 원료 비드들과 함께 색깔을 부여하기 위한 색상 칩 및 산화방지제 등이 혼합된다.
이전 단계에서 상기 원료 비드 등은 세척되는 경우가 많은데, 방음벽 부품의 균일한 특성을 위해서는 상기 원료 비드들과 함께 색상 칩 등이 균일하게 혼합되고, 그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이 제거된 상태에서 상기 성형장치(40)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혼합부재(10)는 탱크 형태의 용기(12)와 그 내부의 제 1 교반부재(14)를 포함하며, 상기 교반부재(14)는 서로 다른 밀도를 갖는 상기 원료 비드들과 색상 칩 및 산화방지제 등이 빠른 시간 내에 원활히 혼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혼합부재(10)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 1 교반부재(14)는 중심축(142)을 기준으로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블레이드(144, 146)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144, 146)들은 서로 다른 형상과 각도로 상기 제 1 혼합부재(10) 내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중심축(142)을 기준으로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블레이드(144)는 대략 삼각형에 가까운 형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금속 선재(148)를 통해 상기 중심축(14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축(142)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블레이드(146)는 대략 사각형으로서 상기 제 1 블레이드(144)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축(142)에 그 측부가 직접 용접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중심축(142)에 대해 방사상으로 가까운 영역은 보다 작은 크기의 상기 제 2 블레이드(146)를 통해 교반하고, 방사상 보다 먼 영역은 상기 제 1 블레이드(144)를 통해 교반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는 상기 제 1 블레이드(144)는 상기 중심축(142)의 높이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 비스듬히 기울어진 각도로 설치된다.
그리하여, 보다 큰 크기로 형성되는 상기 제 1 블레이드(144)가 원료 비드들을 교반하는 과정에서 보다 원활히 회전될 수 있으면서도, 기울어져 설치되는 상기 제 1 블레이드(144) 표면을 따라 원료 비드 등이 유동됨으로써, 상방으로 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심축(142)의 원주 방향으로 원료 비드들을 회전시키는 힘을 발생시킴과 동시에, 상기 중심축(142)의 높이 방향으로 원료 비드 등을 비산시킴으로써, 비드 원료 등을 보다 신속하고도 균일하게 혼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원료 비드 등의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의 증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혼합부재(10)에 의해 일차적으로 혼합된 상기 원료 비드 등은 상기 제 2 혼합부재(20)로 전달된다.
상기 제 1 혼합부재(10)와 제 2 혼합부재(20) 사이에는 상기 제 1 혼합부재(10)에 의해 혼합된 원료 비드 등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관(15)이 설치된다.
상기 제 1 혼합부재(10)에 비해 상기 제 2 혼합부재(20)가 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상기 이송관(15)은 보다 높은 위치로 원료 비드 등을 이송하기 위한 직각이송부(152)를 포함한다.
그런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각이송부(152)의 모퉁이 부분에서 합성수지 원료 비드 등이 적체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직각이송부(152)에 설치되는 이송관 개폐부재(1522)를 개방하고 적체된 원료 비드 등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은 번거롭고 생산 수율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도 4 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직각이송부(152)에 적체방지돌출부(154)가 설치된다.
상기 적체방지돌출부(154)는 모퉁이 부분의 이송관을 폐쇄하기 위한 개폐부재(1522)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측단면 상 만곡된 곡면의 단면 형상 표면(1542)을 갖는다.
또한, 도 5 에서와 같이, 정면에서 볼 경우에는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적체방지돌출부(154)는 딱딱한 경성의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직각이송부(152)로 진입되는 원료 비드 등이 상기 곡면의 단면 형상 표면(1542)에 부딪혀 상방으로 튕겨져 나가도록 구성됨으로써, 원료 비드 등이 모퉁이 부분에 적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적체방지돌출부(154)의 표면(1542)에는 원료 비등 등에 비해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돌기(1544)들이 형성되어, 비드 등이 상기 표면(1542)에 접촉되는 영역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표면(1542)에 부착 또는 적체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혼합부재(20)는 상기 제 1 혼합부재(10)로부터 전달된 원료 비드 등을 더욱 균일하게 혼합하여, 상기 가열공급부재(30)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 2 혼합부재(20)는 수용용기(22)와 상기 수용용기(22) 내에 설치되는 제 2 교반부재(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교반부재(24)는 중심축(242)과 상기 중심축(242)에서 높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244)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용기(22) 내부에서 보다 높은 위치에는 보다 큰 외경을 갖는 블레이드(244)가 설치된다.
상기 제 2 혼합부재(20) 내부로 투입되는 원료 비드 등은 서로 다른 밀도를 가지는 다양한 합성수지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밀도 차이에 의해, 제 2 교반부재(24)를 통해 원료 비드 등을 혼합하면서 마찰시키는 경우, 밀도가 큰 원료들은 주로 하부에 그리고 밀도가 작은 원료들은 높은 위치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밀도가 큰 원료들의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은 제거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보다 높은 위치에 보다 큰 외경의 블레이드를 설치하여, 상기 제 2 교반부재(24)에 의해 마치 디퓨져와 같은 원리로써 높이 방향을 따라 압력 구배를 발생시키고, 상방으로 강한 압력의 유동을 형성하여, 원료 비드 등이 상방으로 유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원료 비드 등을 수용용기(22)의 높이 방향을 따라 순환 유동시킴으로써, 상기 원료 비드 등의 표면에 잔류하는 수분을 보다 원활하고도 신속히 제거하고 원료들 간의 충분한 혼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원료 비드 등을 원운동 회전시키는 경우에 비해 불규칙적인 난류 유동을 증대시켜, 원료들 간의 충돌이 단위 시간 동안 보다 빈번해지게 된다.
따라서, 원료 비드들 간의 혼합이 보다 균일해지면서도, 표면 잔류 수분의 증발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244)들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블레이드의 원주 방향 단부(2442)는 상방으로 꺽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꺽여져 형성되는 상기 블레이드(244)의 단부(2442)에는 절개부(2444)들이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단부(2442)와 원료들의 접촉 면적을 더욱 증대시켜 혼합 효율 및 와류 형성에 의한 유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에는 이를 관통하는 개구(2446)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 2 혼합부재(20)에 의해 더욱 균일하게 혼합되고, 수분이 증발된 원료 비드 등은 상기 가열공급부재(30)로 공급된다.
상기 가열공급부재(30)는 상기 제 2 혼합부재(20)로부터 전달받은 합성수지 원료 비드 등을 가열하여 용융시킨 상태에서 상기 성형장치(40)로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가열공급부재(30)의 하우징(32) 내부에는 도시되지 않은 전열선들이 설치되며, 상기 전열선들에 의해 상기 가열공급부재(30) 내부로 유동되는 원료 비등 등이 용융된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열공급부재(30)에는 냉각팬(34)과 상기 냉각팬(34)에 연결 설치되는 냉각덕트(36)가 설치되며, 상기 냉각덕트(36)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단면을 갖는 디퓨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냉각팬(34)을 통해 유동되는 냉각 공기가 보다 강한 압력으로 상기 가열공급부재의 하우징(3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팬(34)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냉각팬(34)의 구동 여부와 구동 속도가 제어되어, 상기 가열공급부재(30)의 가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열선에 의해 공급되는 열과 상기 냉각팬(34)의 구동에 의한 냉각에 의해 온도가 오프셋 제어되어, 용융 압출되는 원료의 종류에 따라 상기 가열공급부재(30)의 가열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성형장치(40)는 상기 가열공급부재(30)로부터 공급된 용융된 원료 비드 등에 압력을 가하여 방음벽을 구성용 부품(80)을 성형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성형장치(40)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부재(70)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부재(70) 측부에는 상기 성형장치(40)로부터 성형된 방음벽 부품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인출부재(50)는 전후좌우 및 높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제 3 암부(52)를 포함한다.
상기 인출부재(50)에서 기둥몸체부(502)는 지지몸체부(50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 1 암부(503)는 상기 기둥몸체부(502)에 대해 지면(紙面)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 암부(504)는 상기 제 1 암부(503)를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암부(52)는 상기 제 2 암부(504)에 대해 아래 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제 3 암부(52)는 전후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암부(52)에는 방음벽 부품(80)을 흡착에 의해 파지하기 위한 흡착부재(90)가 설치된다.
상기 흡착부재(90)와 제 3 암부(52)는 상기 하우징부재(70)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성형장치(40)로 진출입되어, 성형된 방음벽 부품(80)을 외부로 인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3 암부(5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흡착부재(90)는 상기 제 3 암부(52)에 대해 90도 회전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성형장치(40)에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방음벽 부품(80)은 부품안착부(42)에서 수직 방향(높이 방향)으로 형성 배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 3 암부(52)가 하강되어 상기 성형장치(40)의 부품안착부(42)로부터 방음벽 부품(80)을 전달받는 상태에서는, 도 11 에서와 같이, 상기 흡착부재(90) 역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어 흡착구(96)에 부품(80)을 흡착한다.
이후, 상기 부품(80) 이송 과정에서는 도 12 에서와 같이 상기 흡착부재(90)가 90도 회전되어, 상기 전달부재(60)의 벨트부재(62)에 상기 방음벽 부품(80)의 넓은 면이 닿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암부(52)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흡착부재(90)는 프레임부재(92, 94)와, 상기 프레임부재(92, 94)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흡착구(96)들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재는 하나의 가로프레임부재(92)와, 한 쌍의 세로프레임부재(94)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프레임부재(92)와 세로프레임부재(94)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부(922) 또는 결합개구(942)가 길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가로프레임부재(92)에 형성되는 결합개구(922)를 따라 상기 세로프레임부재(94)들의 상대 위치를 조절하면서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도 9 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프레임부재(92) 상에서 상기 세로프레임부재(94)의 설치 위치가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세로프레임부재(94)의 하단부를 회전시켜 고정함으로써, 상기 세로프레임부재(94)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흡착구(962, 963)들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로프레임부재(94)의 결합개구(942)에 대해 흡착구들(961, 962, 963, 964)들의 위치가 조절되면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하여, 상기 가로프레임부재(92)에 대해 세로프레임부재(94)의 위치와 설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세로프레임부재(94)의 결합개구(942)를 따라 상기 흡착구(961, 962, 963, 964)들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흡착구(96)들의 위치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상기 흡착구(96)는 상기 부품(80)에 접촉되는 접촉부(962)와 상기 음압인가튜브가 결합되는 튜브결합부(964)와 상기 접촉부(962)와 튜브결합부(964)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부(966)를 포함한다.
상기 튜브결합부(964)에는 음압인가튜브(98)가 연결되어, 상기 음압인가튜브(98)를 통해 음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흡착구(96)에 부품(80)을 흡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 개의 흡착구(96)들은 하나의 음압인가튜브(98)를 통해 음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개별 흡착구(96)들에 음압인가튜브(98)들이 연결되는 경우에 비해, 음압 인가에 요구되는 구성을 보다 단순하게 할 수 있으며, 흡착구(96)의 위치 변경 시 음압인가튜브(98)와 흡착구(96) 또는 프레임부재(92, 94)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962)와 몸체부(966) 사이에는 주름(96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흡착구(96)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95)를 매개로 상기 세로프레임부재(94)에 결합된다.
그리하여, 상기 흡착구(96)를 통한 부품(80) 흡착 시 아직 완전히 냉각되지 않은 부품 표면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완충함으로써, 부품(80) 표면의 변형과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3 암부(52)에서 상기 흡착부재(90)의 상부에는 상기 흡착부재(90)에 부품이 흡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부(54)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부(54)는 가장 가격이 저렴한 거리감지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흡착부재(90)에 음압이 인가되고, 도 12 에서와 같이 부품이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부품 표면과의 거리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흡착부재(90)에 부품이 올바르게 흡착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인출부재(50)에 의해 성형장치 외부로 인출된 방음벽 부품(80)은 상기 전달부재(60)로 전달된다.
도 14 에 도시된, 상기 전달부재(60)는 이후의 검사 공정 등으로 상기 방음벽 부품(80)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방음벽 부품(80)을 지지한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벨트부재와 상기 벨트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벨트부재(62)의 표면에는 격자 형태의 오목부(622)가 형성되어, 상기 벨트부재(62)를 통한 방음벽 부품(80)의 이송 과정에서 상기 부품(8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달부재(60)를 통해 이동된 방음벽 부품(80)은 도 15 에서와 같이 복수 개 적층된 상태에서 방음벽을 구성하는 설치기둥 내에 고정 설치된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제 1 혼합부재
20: 제 2 혼합부재
30: 가열공급부재
40: 성형장치
50: 인출부재
60: 전달부재
20: 제 2 혼합부재
30: 가열공급부재
40: 성형장치
50: 인출부재
60: 전달부재
Claims (17)
- 사출성형 원료를 혼합하기 위한 제 1 혼합부재와;
상기 제 1 혼합부재로부터 상기 원료를 전달받는 제 2 혼합부재와;
상기 제 2 혼합부재로부터 원료를 전달받아 가열하면서 성형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가열공급부재와;
상기 가열공급부재로부터 공급된 사출성형 원료에 압력을 가하여 방음벽을 구성하기 위한 부품을 성형하는 성형장치와;
상기 성형장치로부터 성형된 방음벽 부품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부재와;
상기 인출부재로부터 전달된 방음벽 부품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성형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부재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성형장치로 진입되어 성형된 방음벽 부품을 인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출부재는 상기 방음벽 부품을 흡착하기 위한 흡착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인출부재에 대해 90도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흡착부재는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흡착구들을 포함하며,
상기 흡착구에는 음압을 인가하기 위한 음압인가튜브가 연결 설치되고,
상기 흡착구는 상기 프레임부재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재는 하나의 가로프레임부재와, 한쌍의 세로프레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프레임부재와 세로프레임부재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결합홈 또는 결합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착구는 상기 결합개구에 대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상기 세로프레임부재에서 결합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흡착구는 탄성부재를 매개로 상기 세로프레임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구는 상기 부품에 접촉되는 접촉부와 상기 음압인가튜브가 결합되는 튜브결합부와 상기 접촉부와 튜브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와 몸체부 사이에는 주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흡착구들은 하나의 음압인가튜브를 매개로 음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재에는 상기 흡착부재에 부품이 흡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센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거리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부재로부터 상기 제 2 혼합부재로 원료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이 설치되되,
상기 이송관은 상기 원료를 직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직각이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각이송부에는 적체방지돌출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체방지돌출부의 표면에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혼합부재 내부에는 제 1 교반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제 1 교반부재는 중심축을 기준으로 양측에 결합되는 한 쌍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는 서로 다른 형상과 각도로 상기 제 1 혼합부재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부재 내부에는 제 2 교반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제 2 교반부재는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설치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혼합부재 내부에서 보다 높은 위치에는 보다 큰 외경의 블레이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교반부재의 블레이드 단부는 상방으로 꺽여 형성되며, 상기 단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교반부재의 블레이드에는 이를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공급부재에는 냉각팬과 상기 냉각팬에 연결 설치되는 냉각덕트가 설치되며,
상기 냉각덕트는 상기 가열공급부재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넓어지는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방음벽 부품을 지지하면서 이송하기 위한 벨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부재의 표면에는 격자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3366A KR101999814B1 (ko) | 2018-11-02 | 2018-11-02 |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3366A KR101999814B1 (ko) | 2018-11-02 | 2018-11-02 |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99814B1 true KR101999814B1 (ko) | 2019-07-12 |
Family
ID=67254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3366A KR101999814B1 (ko) | 2018-11-02 | 2018-11-02 |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9814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0546B1 (ko) * | 2005-02-25 | 2007-10-29 | 삼마이엔지주식회사 | 생분해성 용기의 성형제조장치 |
KR20120064670A (ko) * | 2009-08-21 | 2012-06-19 | 우미코레 아게 운트 코 카게 | 혼합 장치 |
KR20140007874A (ko) * | 2011-02-28 | 2014-01-20 | 술저 믹스팩 아게 | 동적 혼합기 |
KR20160103799A (ko) * | 2015-02-25 | 2016-09-02 |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 직렬의 일방향 유동라인을 구축하는 다수의 에어호스를 포함하는 사출물 취출장치 |
-
2018
- 2018-11-02 KR KR1020180133366A patent/KR10199981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0546B1 (ko) * | 2005-02-25 | 2007-10-29 | 삼마이엔지주식회사 | 생분해성 용기의 성형제조장치 |
KR20120064670A (ko) * | 2009-08-21 | 2012-06-19 | 우미코레 아게 운트 코 카게 | 혼합 장치 |
KR20140007874A (ko) * | 2011-02-28 | 2014-01-20 | 술저 믹스팩 아게 | 동적 혼합기 |
KR20160103799A (ko) * | 2015-02-25 | 2016-09-02 |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 직렬의 일방향 유동라인을 구축하는 다수의 에어호스를 포함하는 사출물 취출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50351973A1 (en) | Method and device for feeding granular powder | |
JP5102582B2 (ja) | 吸収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 |
KR101959233B1 (ko) | 재활용 플라스틱을 이용한 펠릿 제조장치 | |
KR101215962B1 (ko) | Efem의 버퍼 스토리지 박스 | |
KR101999814B1 (ko) | 방음벽을 구성하는 합성수지재 부품 제조장치 | |
JP6152570B2 (ja) | ガラス処理装置及びガラス処理方法 | |
TWI712454B (zh) | 超音波洗淨裝置及超音波洗淨系統 | |
JP3674337B2 (ja) | 合成樹脂供給装置 | |
US8827673B2 (en) | Device for dry-forming a fibrous web | |
WO2017073561A1 (ja) | レーザ処理装置整流装置およびレーザ処理装置 | |
US6516816B1 (en) | Spin-rinse-dryer | |
US2015035282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Granular Powder-Containing Sheet | |
KR101560305B1 (ko) | 기판 절단 시스템 및 기판 지지장치 | |
KR20170014165A (ko) | 차선도색기용 비드분사장치 | |
KR101509864B1 (ko) | 비산 파우더 크리닝 장치 | |
US9551097B2 (en) | Device for producing absorbent body | |
CN207054474U (zh) | 一种养殖场鸡蛋收集处理装置 | |
TWI676541B (zh) | 要求高潔淨度之板材加工裝置 | |
US20120076881A1 (en) | Hood for sucking-up fine particles, and a device intended for the laser ablation of a surface layer of a wall and including such a hood | |
KR102234158B1 (ko) | 폐 광케이블 재활용 자동화 시스템 | |
US2535561A (en) | Automatic strand starting mechanism | |
KR101021571B1 (ko) | 파티클 세정수단을 구비한 도광판 레이저 가공장치 | |
US20120231102A1 (en) | Device for granulating | |
CN219405380U (zh) | 一种吸塑盒拖吸塑机的脱模冷却机构 | |
JP7433565B1 (ja) | 加工ノズルおよびレーザ加工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