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303B1 - 연약지반 처리를 위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처리를 위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303B1
KR101999303B1 KR1020180158757A KR20180158757A KR101999303B1 KR 101999303 B1 KR101999303 B1 KR 101999303B1 KR 1020180158757 A KR1020180158757 A KR 1020180158757A KR 20180158757 A KR20180158757 A KR 20180158757A KR 101999303 B1 KR101999303 B1 KR 101999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iber
wire
geosynthetic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귀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아건설산업
Priority to KR10201801587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6/00Unwinding, paying-out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2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transverse stationary or adjust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4Textile; fib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는 토목섬유가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포설되는 상기 토목섬유의 포설 방향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토목섬유가 원활하게 포설되도록 보조하는 포설 보조 받침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약지반 처리를 위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Geotextile installation apparatus for reinforcing poor ground}
본 발명은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된 토목섬유를 초연약지반에 중첩없이 팽팽하게 포설할 수 있는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지반은 장기간 퇴적에 의해 생성된 지역으로 인력이나 소형장비가 진입할 수 있는 곳을 말하고, 초연약지반은 해안에 준설토 등으로 매립된 지역으로 인력 보행이 어렵고, 설사 인력의 진입이 가능하다고 해도 장비 진입은 불가능한 지역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초연약지반의 경우 장비 진입에 필요한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토목 섬유를 포설하게 된다. 상기 토목섬유는 인장강도가 5 ton/m 미만인 분리매트와 인장강도가 10 ton/m ~ 30 ton/m인 인장매트로 구분되는데, 초연약지반에는 인장매트가 주로 이용된다. 한편, 토목섬유의 포설 후에는 상기 토목섬유가 인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부에 토사, 모래 및 쇄석 등의 복토재를 복토하게 된다.
초연약지반은 통상 펌프 준설선을 이용하여 배사관으로 물과 점토를 함께 투기하는 방법으로 형성되므로, 지반 상부에 물이 고여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준설토 투기장의 규모는 한 변의 길이가 500m ~ 1000m 정도가 일반적이고, 외곽은 호안으로 축조되어 있으며, 호안의 상단 폭은 5m 정도로 작업차량 한 대가 운행할 수 있는 정도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초연약지반은 준설토 투기 초기에는 인력 진입이 불가능한 상태이고, 최소 3개월 내지 6개월을 방치한 이후에나 인력의 진입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초연약지반은 준설토의 토질, 준설토 상부의 배수에 따른 수로 및 준설토 투기 심도에 따른 자중 압밀 침하량 차이 등에 의해 침하 불균형이 발생하여 준설토 표면이 평탄하지 못하고 다수의 요철이 형성되게 되는데, 통상 지반고 차이가 1m ~ 2m에 이른다.
종래에는 초연약지반에 인력을 이용하여 토목섬유를 운반 및 포설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었으나, 인력으로 운반 가능한 토목섬유의 크기 및 양에 한계가 있어, 토목섬유의 봉합부위가 다수 발생할 수밖에 없고, 이에 따라 토목섬유의 인장강도가 저하되고 포설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근래에는 초연약지반에 토목섬유를 포설하는 방법으로 함체를 이용한 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토목섬유 포설 대상구역의 표면 지층이 매우 연약하여, 상기 함체 및 상기 함체에 적재된 토목섬유의 중량에 의해 함체가 지반 표면 아래로 가라않게 되고, 이로 인해 함체의 견인시 뻘이 함체 전면에 밀려 올려가 함체의 견인력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현상에 의해 지반면에 요철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요철에 의해 토목섬유가 지반면에 겹쳐져 포설되어 복토 시공시 평탄성이 유지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토목섬유가 충분한 인장력을 발휘하지 못해 파단되는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함체를 이용한 토목섬유 포설시 복수의 함체를 연결하고, 토목섬유를 복수의 함체에 걸쳐서 적재하는데, 이때 함체 사이에서 토목섬유가 과도하게 쳐지게 되고, 함체에 적재된 토목섬유가 포설시 지반면에 강하게 밀착되지 못하는 부분이 많아 강풍 등에 휘날리는 등의 문제들 또한 발생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6717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함체의 견인력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포설되는 토목섬유가 중첩없이 팽팽하게 포설되도록 하며, 함체 사이에서 토목섬유가 과도하게 처지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포설된 토목섬유가 초연약지반에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충분한 인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는 토목섬유가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포설되는 상기 토목섬유의 포설 방향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토목섬유가 원활하게 포설되도록 보조하는 포설 보조 받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설 보조 받침대의 일측에는 상기 토목섬유의 포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또는 상기 포설 보조 받침대의 일측에는 포설되는 상기 토목 섬유 또는 포설이 완료된 상기 토목섬유를 하방으로 압착하기 위한 압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를 적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고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고리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고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회전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인접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결합장치가 더 구비되고, 상기 결합장치는 상호 인접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 및 상호 인접한 상기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와 상기 결합부재의 양단이 결합되는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소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함체의 중량을 줄이기 위하여 FRP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에 적재된 상태로 포설되는 토목섬유가 포설 보조 받침대를 거쳐 초연약지반에 포설되므로, 토목섬유가 중첩 포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강성이 높은 파이프를 이용하여 복수의 함체를 연결함으로써 함체 사이에 위치하는 토목섬유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함체를 경량의 FRP로 제조하고, 함체 전면에 경량의 와이어 받침대를 구비함으로써 함체의 견인시 연약층 지반의 굴곡을 최소화하여 함체의 견인에 필요한 힘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넷째, 압착부재를 이용하여 지반에 포설된 토목섬유를 가압함으로써 토목섬유가 지반과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가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 섬유 포설용 함체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토목섬유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의 B-B 단면을 활용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 섬유 포설용 함체를 이용하여 토목 섬유를 초연약지반에 포설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도 3의 C-C 단면을 활용한 종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를 이용하여 토목 섬유를 초연약지반에 포설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결합고리(200), 결합장치(300), 포설 보조 받침대(400) 및 압착부재(500)로 구성된다.
본체(100)는 내부에 소정크기로 반복해서 접힌 토목섬유(1000)가 적재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일 예로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상자 형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때, 본체(100)의 일측면, 특히 전면부 및 후면부의 하부는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연약 표층과의 마찰저항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본체(100)의 횡단면이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본체(100)의 이동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선박과 같이 본체(100)의 전면부를 유선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처럼 본체(100)는 내부에 토목섬유(1000)를 적재하고 연약표층 상에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또한, 본체(100)는 연약표층에서 무게에 의한 침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FRP(Fibre-reinforced plastic) 등과 같이 가볍고 강성이 큰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100)의 내부에는 토목섬유(1000)가 적재될 수 있는 받침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상단에 결합된 강봉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받침대(110)가 본체(100)의 내부 바닥면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면 본체(100)가 이동 시 초연약지반을 구성하는 모래, 자갈 등이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받침대(110) 상부에 적재된 토목섬유(1000)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적재된 토목섬유(1000)의 긁힘 또는 찢어짐과 같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밑면부, 즉, 본체(100)의 외측 바닥면에는 본체(100)의 이동 시 상기 본체(100)가 편향되지 않고 전방을 향해 직진으로 견인될 수 있도록 키 역할을 수행하는 방향키(1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향키(120)는 본체(100)의 바닥면에 원통형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고, 본체(100)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키(120)는 본체(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전면 및 후면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향키(120)에 의해 본체(100)의 직진성이 향상되고, 본체(100)의 이동시 본체(100) 전단에 뻘이 쌓여 상기 본체(100)를 견인하는데 필요한 힘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결합고리(200)는 본체(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본체(100)의 진행방향 전방면 일측에 구비되고 본체(100)를 이동시키기 위해 동력을 전달하는 견인와이어(610)와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고리(200)는 견인와이어(610)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장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결합고리(200)는 본체(100) 전방면의 하단부와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고리(200)가 본체(100)의 하단부에 결합되면 견인력이 본체(100)의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인가되어, 상기 본체(100)의 전방부가 약간 들린 상태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체(100)의 상단부가 들린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본체(100)가 이동 과정에서 지반면에 파묻히거나 본체(100) 전방에 뻘이 축적되어 견인력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결합고리(200)에 상방향 견인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고리(200)에 연결된 연결와이어(620)와 상기 연결와이어(620)가 연결된 견인와이어(610)의 결합부에 와이어받침대(700)를 설치하여 상기 결합부의 위치가 상기 결합고리(200)와 본체(100)의 결합부 위치보다 높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결합고리(200)의 일측에는 결합고리(200)를 따라 이동 가능한 회전부재(2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회전부재(210)는 롤러 또는 도르래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움직 도르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이과 같이 구성된 회전부재(210)를 연결와이어(620)와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연결와이어(620)의 견인 방향에 따라 회전부재(210)가 결합고리(200) 상에서 힘의 균형이 이루어지는 위치로 이동되므로, 본체(100)의 견인시 결합고리(200)의 양단 중 어느 일측에만 응력이 집중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결합장치(300)는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인접한 본체(100)를 상호 연결하는 장치이다. 이처럼 상호 인접한 본체(100)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다만, 복수의 본체(100)는 지반의 굴곡 등에 따라 그 높이가 상이하므로, 상기 결합장치(300)는 상하로 회전 가능한 힌지(320)를 이용하여 본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토목섬유는 복수의 본체(100)에 적재되는데, 이때 상기 본체(100)와 본체(100) 사이의 결합장치(300)에 의해 상기 토목섬유가 본체(100) 사이에서 처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장치(300)는 강성이 크고 무게가 가벼운 강봉 및 플라스틱 파이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장치(300)의 개수와 길이는 본체(100)의 크기 및 상기 본체(100)의 견인 방향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100)와 본체(100) 사이에 복수개의 결합장치(300)를 이용하는 경우, 상기 결합장치(300)는 볼트공이 형성된 내봉과 외봉으로 구성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때 상기 결합장치(300)가 본체(100)와 결합되는 힌지(320)는 결합장치(300)의 길이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볼조인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포설 보조 받침대(400)는 본체(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토목섬유(1000)가 본체(100)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서 중첩없이 지반으로 포설되도록 유도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포설 보조 받침대(400)는 본체(1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토목섬유(1000)가 포설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본체(100)의 일측에 결합되는 평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설 보조 받침대(400)와 본체(100)는 와이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포설 보조 받침대(400)는 본체(100)의 폭과 대응되거나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갖도록 이루어 질 수 있으며, 그 길이는 포설되는 토목섬유(1000)의 포설 각도 등을 고려하여 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설 보조 받침대(400)는 견인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부로 돌출된 전단부(401) 및 지반면과 평행한 후단부(402)로 구성되되, 상기 전단부(401)와 후단부(402)가 곡면으로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견인시 전단부(401)에 가해지는 뻘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전단부(401)에 와이어와 결합되는 위치를 본체(100)의 와이어 결합 위치보다 낮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설 보조 받침대(400)의 내부는 토목섬유를 지반면으로 유도하기 위해 전단부(401)에서 후단부(402)를 향해 경사진 형태일 수 있다.
한편, 전술한 포설 보조 받침대(400)의 일측에는 본체(100)에서 포설 보조 받침대(400)를 통해 초연약지반으로 포설되는 토목섬유(1000)의 포설을 용이하게 가이드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부재(4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410)는 포설 보조 받침대(400)와 토목 섬유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일예로, 가이드 부재(410)는 토목섬유(1000)와 포설 보조 받침대(400)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며 토목섬유(1000)의 포설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포설 보조 받침대(400)의 폭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롤러 또는 베어링 등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부재(4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설 보조 받침대(400)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좋으나, 사용양태에 따라서는 포설 보조 받침대(400)의 중심부 일측에 구비되거나, 복수로 구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처럼 회전 가능한 가이드 부재(410)에 의해 토목섬유(1000)와 포설 보조 받침대(400) 사이의 마찰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포설되는 토목섬유(1000)는 포설 보조 받침대(400)를 통해 초연약지반으로 중첩없이 포설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재(500)는 보조 받침대(4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초연약지반 상에 포설이 완료된 토목섬유(1000)를 지면에 압착시켜 토목섬유(1000)가 초연약지반에서 뜨거나, 구겨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압착부재(500)는 초연약지반으로 포설이 완료된 토목섬유(1000)를 압착하기 위해 소정 중량을 갖는 압착롤러 일 수 있다. 이러한 압착부재(500)는 본체(100)의 전방에 결합되는데, 본체(100)와 압착부재(500)의 결합을 위해 본체(100)에 고정 결합된 결합봉(501) 및 상기 결합봉(501)과 압착부재(500)를 결합시키는 결합와이어(5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와이어(502)는 압착부재(500)의 무게 및 크기 등에 따라 강봉 등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를 이용한 토목섬유 포설 방법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를 이용하여 토목섬유(1000)를 초연약지반에 포설하는 방법을 보다 상세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토목섬유(1000)를 필요로 하는 초연약지반의 면적 및 작업 환경을 고려하여 토목섬유(1000)를 작업장으로 이동하여 보관하는 선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장에서 토목 섬유를 제작하여 현장상황에 따라 소정 크기로 1차 공장 봉합한다. 이후, 작업 상황에 따라 현장에서 다시 소정의 크기로 2차 현장 봉합을 실시한다. 이러한 봉합작업은 퀸라이트 미싱과 같은 봉합기계를 이용하여 봉합한다.
다음으로 1차봉합 및 2차봉합이 된 토목섬유(1000)를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의 크기 및 작업 현장을 고려하여 일정한 폭으로 접어서 겹침 방식으로 야적한다.
선처리 작업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초연약지반상에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를 배치한다.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가 상호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 섬유 포설용 함체가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토목섬유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의 B-B 단면을 활용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를 이용하여 토목 섬유가 초연약지반에 포설되는 공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를 작업환경에 맞추어 초연약지반 상에 복수개 배치하고, 이러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를 견인할 수 있는 크레인 등의 동력장치(600)를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의 이송방향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한다. 일예로 도 3과 같이 3대의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를 결합장치(300)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이때, 3대의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의 이격 간격은 일정한 것이 좋으며, 그 간격은 토목섬유(1000)의 하중, 작업현장의 상황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처럼 3대의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를 하나의 조로 이루어 한 대의 동력장치(600)를 이용하여 견인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장치(600)와 연결되는 견인와이어(610)를 3개의 연결와이어(620)와 결합하고, 상기 연결와이어(620)는 하나의 조를 이루는 3대의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의 하부에 구비된 결합고리(200)의 회전부재(210)에 각각 연결한다.
이때, 중간에 배치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는 견인와이어(610)의 인장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견인되기 때문에 운송에 지장이 없으나, 좌, 우에 배치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는 견인와이어(610)의 인장력을 소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받고, 토목섬유(1000)는 도 4와 같이 복수의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에 걸쳐서 적재되기 때문에 복수의 본체(100)를 연결하는 연결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경우 운송 중 운송방향이 틀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결와이어(620)와 연결되는 결합고리(200)에는 움직 도르래와 같이 결합고리(200)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회전부재(210)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확대 부분과 같이, 연결와이어(620)와 결합고리(200)의 연결각도에 따라 회전부재(210)가 그와 대응되는 위치로 결합고리(200)를 따라 이동하여 결합고리(200)의 일부분에만 힘이 가해지지 않고, 결합고리(200)를 전체적으로 사용하여 힘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의 하부에는 방향키(120)가 구비되어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의 이동방향을 1차적으로 제어한다. 그리고 각각의 본체(100)를 연결하는 결합장치(300)를 통해 포설용 함체(10)의 이격 간격을 조절 및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장치(300)는 높은 강성을 갖는 파이프를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각각의 본체(100)를 연결하는 결합장치(300) 상에 토목섬유(1000)가 적재되더라도 토목섬유(1000)의 하중에 의해 복수의 본체(100)가 이송방향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을 통해 복수의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를 하나의 조로 구성하여 복수의 조를 작업 현장에 배치하고, 각각의 조를 하나의 동력장치(600) 및 견인와이어(610)를 통해 연결하여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의 이송 준비가 완료되면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에 토목섬유(1000)를 적재한다.
이때, 토목섬유(1000)의 폭은 하나의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와 비교하여 넓은 폭으로 일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토목섬유의 적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본체(100)에 구비된 받침대(110) 및 인접한 본체(100)를 연결하는 결합장치(300) 전체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토목 섬유의 적재가 완료되면 각각의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와 견인와이어(610)를 통해 연결된 동력장치(600)를 구동시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를 이송시키면서 상기 함체(10)에 적재된 토목섬유(1000)를 포설한다.
이때 경량의 와이어받침대(700)를 견인와이어(610)와 연결와이어(620)의 결합부 하단에 배치하여, 상기 연결와이어(620)의 견인력이 본체(100)의 하단부에 연결된 결합고리(200)를 통해 본체(100)의 하단부에서 상방을 향해 인가될 수 있도록 한다.
토목섬유(1000)의 포설은 토목섬유(1000)의 시점 부분을 소정 길이 먼저 1차 포설한 후, 시방규정에 의해 정한 폭만큼 앵커링(Anchoring) 후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10)의 운행을 재개하여 적재된 토목섬유(1000)의 포설을 이어간다.
이와 같은 토목섬유 포설은 토목섬유가 포설 보조 받침대(400)를 거쳐 초연약지반으로 포설되기 때문에 토목섬유가 중첩 포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포설 보조 받침대(400)에는 가이드 부재(410)가 설치되어 토목섬유(1000)가 보다 팽팽하고 충첩없이 포설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이 압착부재(500)가 포설이 완료된 토목섬유(1000)를 하방으로 압착하며 이동하기 때문에 별도의 후처리 공정이 없이도 토목섬유(1000)의 포설과 동시에 토목섬유(1000)를 초연약지반에 압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
100 : 본체
110 : 받침대
120 : 방향키
200 : 결합고리
210 : 회전부재
300 : 결합장치
310 : 결합부재
320 :체결부
400 : 포설 보조 받침대
401: 전단부
402: 후단부
410 : 가이드 부재
500 : 압착부재
501 : 결합봉
502 : 결합와이어
600 : 동력장치
610 : 견인와이어
620 : 연결와이어
700 : 와이어받침대
1000 : 토목섬유

Claims (3)

  1. 토목섬유가 적재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서 포설되는 상기 토목섬유의 포설 방향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의 후방에 상기 본체와 이격되어 와이어로 연결되고 본체와 함께 지반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이동하며 본체에 적재된 토목섬유가 지반면에 포설되기 전에 임시로 적재되어 상기 토목섬유가 원활하게 포설되도록 보조하는 포설 보조 받침대;를 포함하되,
    상기 포설 보조 받침대의 후방에는 상기 토목섬유의 포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가 더 구비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의 회전에 따라 지반면에 포설된 토목섬유를 상기 토목섬유 상부에서 지반면으로 압착하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와 이격되는 압착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압착부재는,
    본체에 고정 결합되는 결합봉;
    상기 결합봉과 결합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와 결합되는 압착롤러;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연결와이어가 결합되는 결합고리가 더 구비되되,
    또한, 상기 결합고리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고리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회전부재가 구비되며,
    한편,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인접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결합장치가 더 구비되되,
    상기 결합장치는 상호 인접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부재; 및
    상호 인접한 상기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와 상기 결합부재의 양단이 결합되는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재가 소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롤러와 상기 가이드 부재 사이에 토목섬유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처리를 위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FRP로 구성되는 연약지반 처리를 위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
KR1020180158757A 2018-12-11 2018-12-11 연약지반 처리를 위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 KR101999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757A KR101999303B1 (ko) 2018-12-11 2018-12-11 연약지반 처리를 위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757A KR101999303B1 (ko) 2018-12-11 2018-12-11 연약지반 처리를 위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303B1 true KR101999303B1 (ko) 2019-07-12

Family

ID=6725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757A KR101999303B1 (ko) 2018-12-11 2018-12-11 연약지반 처리를 위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3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5757A (zh) * 2022-06-18 2022-08-05 山东恒阳新材料有限公司 一种土工膜施工用铺设装置
CN117802938A (zh) * 2024-03-01 2024-04-02 浙江省第一水电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砂肋软体排及铺设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6052A1 (de) * 1992-04-15 1993-10-20 Alfred Bleise Strassenbaumaschine und Verfahren zur Ausbesserung von Fahrbahndecken mit einem Vliesmaterial
JPH07268850A (ja) * 1994-03-31 1995-10-17 Toyo Tire & Rubber Co Ltd 広幅長尺シート敷設用の合成樹脂発泡体製筏
KR100467171B1 (ko) 2002-09-30 2005-01-24 최귀봉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토목섬유 포설방법
KR101547441B1 (ko) * 2015-02-27 2015-08-26 주식회사 고뫄스방수 시트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현장제작 복합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6052A1 (de) * 1992-04-15 1993-10-20 Alfred Bleise Strassenbaumaschine und Verfahren zur Ausbesserung von Fahrbahndecken mit einem Vliesmaterial
JPH07268850A (ja) * 1994-03-31 1995-10-17 Toyo Tire & Rubber Co Ltd 広幅長尺シート敷設用の合成樹脂発泡体製筏
KR100467171B1 (ko) 2002-09-30 2005-01-24 최귀봉 연약지반에의 장비진입을 위한 토목섬유 포설방법
KR101547441B1 (ko) * 2015-02-27 2015-08-26 주식회사 고뫄스방수 시트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시트현장제작 복합방수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5757A (zh) * 2022-06-18 2022-08-05 山东恒阳新材料有限公司 一种土工膜施工用铺设装置
CN114855757B (zh) * 2022-06-18 2024-03-26 山东恒阳新材料有限公司 一种土工膜施工用铺设装置
CN117802938A (zh) * 2024-03-01 2024-04-02 浙江省第一水电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砂肋软体排及铺设方法
CN117802938B (zh) * 2024-03-01 2024-05-28 浙江省第一水电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砂肋软体排及铺设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4717B (zh) 工字钢顶管工作坑的施工方法
CN212026272U (zh) 一种复合型拉森钢板桩基坑支护结构
CN109898520A (zh) 一种沉墙施工法
KR101999303B1 (ko) 연약지반 처리를 위한 토목섬유 포설용 함체
KR102259699B1 (ko) 스톤백을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시공방법
CN109538246A (zh) 拱盖法暗挖地铁车站拱脚加固结构及施工方法
CN101476317B (zh) 淤泥面固化处理工艺
US9399851B2 (en) Piling apparatus and process for installation of pile assembly
CN106498957A (zh) 钢板桩围堰施工平台及一体化施工方法
CN106939605A (zh) 一种护坡砌块的搬运设备和搬运方法
CN212404680U (zh) 一种路基基底碎石桩复合地基结构
CN206736921U (zh) 一种护坡砌块的搬运设备
CN108894206B (zh) 沙洲污水管、井抗浮体系及施工方法
CN105544463A (zh) 一种土工膜面板坝复合面板的施工方法
WO2022247015A1 (zh) 波纹板挡土墙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438857A (zh) 一种山岭重丘区钢筋笼石笋桩及其施工工艺
CN105926635B (zh) 一种竖向方形预制构件施工设备、组合体和施工方法
CN214272066U (zh) 高含水量软土降水开挖整体下沟管道
CN212358261U (zh) 一种排水速度快的深淤泥地基处理结构
JP3350517B2 (ja) V字状コンクリート排水溝の施工方法及び施工用バケット
JPH01146020A (ja) 盛土による基礎構築体とその築造方法
KR102066728B1 (ko) 옹벽 설치용 기구
JP7018351B2 (ja) 外壁部材
AU2012252277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effect of polymer on soil
CN219011296U (zh) 一种加筋土挡墙的施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