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634B1 -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 Google Patents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634B1
KR101998634B1 KR1020170148959A KR20170148959A KR101998634B1 KR 101998634 B1 KR101998634 B1 KR 101998634B1 KR 1020170148959 A KR1020170148959 A KR 1020170148959A KR 20170148959 A KR20170148959 A KR 20170148959A KR 101998634 B1 KR101998634 B1 KR 101998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amid
unit
optical fiber
light cabl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3016A (ko
Inventor
이영호
조영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148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6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5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cutting
    • H01B15/006Making a longitudinal c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5/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 H01B15/003Apparatus or processes for salvaging material from cables by heating u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Abstract

본 발명은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광케이블의 외피 및 내피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절개모듈; 절개된 상기 폐광케이블이 통과시 열풍을 공급하여 젤리 회수부로 젤리를 떨어뜨려 회수하는 젤리 분리모듈; 및 상기 폐광케이블의 광섬유를 분리시켜 회수하고, 아라미드를 흡입하여 회수하는 광섬유 및 아라미드 분리모듈;을 포함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업성 결여 및 수출 규제로 사업활성화가 부진하고 전국에 방치되어 국토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외피, 내피, 아라미드(Aramid) 등 각종 유용자원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어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Resource recovery apparatus for recycling waste optical fiber cables}
본 발명은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폐광케이블의 자원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광섬유를 보호 피복에 넣어 다양한 외부 환경에 견디도록 한 케이블을 의미한다.
이러한 광케이블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지상용 및 해저용으로 구분될 수 있고, 용도에 따라 통신용, 영상 전달용 및 검출기용으로 분류될 수 있다.
광케이블은 사용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대략 10~15년 주기로 교체됨에 따라 폐기량 또한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때, 폐광케이블은 최근까지 90% 이상이 수출되고 나머지는 소각 및 매립되었으나, 현재는 수출 규제로 소각 및 매립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있다.
여기서, 광케이블은 내부의 광섬유를 둘러싸고 있는 금속재로 된 내피와 내피 둘레에 압착되어 있는 폴리에틸렌(PE) 등의 소재로 된 외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폐기 처리되는 광케이블은 각 소재 종류별로 재활용을 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PE) 등의 재질인 외피를 벗겨내서 분리하게 된다.
그러나, 폐광케이블의 외피는 내피 둘레에 견고하게 압착되어 있기 때문에, 외피를 내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특히, 폐기 처리되는 광케이블의 탈피작업을 칼날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작업성이 매우 떨어져서 폐광케이블의 처리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폐광케이블 재활용 업체에서는 단순 탈피 장치로 외피만 회수 후 나머지는 현장에 야적 혹은 매립/소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써, 폐광케이블은 전국에 산재되어 방치된 상태로 국토의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현재 폐광케이블의 재활용 수준은 약 30%(외피) 수준에 불과하고, 금속류, 인장선, 광섬유, 고가의 아라미드 등은 제대로 회수되지 않아 전체적으로 자원 유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발생되는 폐광케이블을 환경 친화적 방법으로 분리하고 유용 자원의 회수율을 높이기 위한 자원회수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술 개발의 도입이 시급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0458호(등록일자: 2011.09.28.)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외피뿐만 아니라 내피, 아라미드(Aramid) 등 각종 유용자원의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사업성 결여 및 수출 규제로 사업활성화가 부진하고 전국에 방치되어 국토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외피, 내피, 아라미드(Aramid) 등 각종 유용자원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폐광케이블의 외피 및 내피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절개모듈; 절개된 상기 폐광케이블이 통과시 열풍을 공급하여 젤리 회수부로 젤리를 떨어뜨려 회수하는 젤리 분리모듈; 및 상기 폐광케이블의 광섬유를 분리시켜 회수하고, 아라미드를 흡입하여 회수하는 광섬유 및 아라미드 분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절개모듈은, 칼날이 구비되어 상기 외피 및 내피의 상하 또는 좌우측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인출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젤리 분리모듈은, 절개된 상기 폐광케이블이 통과시 열풍을 공급하는 제1열풍공급부; 및 상기 폐광케이블의 외피 및 내피로부터 상기 광섬유 및 아라미드가 이완되게 하는 타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광섬유 및 아라미드 분리모듈은, 상기 폐광케이블의 외피, 내피, 광섬유 및 아라미드를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제1선별부; 상기 제1선별부로부터 상기 아라미드를 흡입하여 회수하는 아라미드 회수부; 및 상기 제1선별부로부터 분리된 상기 광섬유를 회수하는 광섬유 회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폐광케이블의 외피와 내피를 박리시키고, 자력으로 금속재의 내피를 분리시켜 회수하는 외피 및 내피 분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외피 및 내피 분리모듈은 상기 폐광케이블의 외피와 내피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박리시키는 가열부; 및 금속재의 상기 내피를 자력으로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제2선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외피뿐만 아니라 내피, 아라미드(Aramid) 등 각종 유용자원의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업성 결여 및 수출 규제로 사업활성화가 부진하고 전국에 방치되어 국토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외피, 내피, 아라미드(Aramid) 등 각종 유용자원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의 커팅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의 이송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의 커팅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의 이송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10)는, 폐광케이블의 외피 및 내피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절개모듈(100); 절개된 폐광케이블이 통과시 열풍을 공급하여 젤리 회수부(250)로 젤리를 떨어뜨려 회수하는 젤리 분리모듈(200); 및 폐광케이블의 광섬유를 분리시켜 회수하고, 아라미드를 흡입하여 회수하는 광섬유 및 아라미드 분리모듈(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10)는 절개모듈(100), 젤리 분리모듈(200), 광섬유 및 아라미드 분리모듈(300), 및 외피 및 내피 분리모듈(4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폐광케이블은 빛 신호를 전달하는 광섬유(optical fiber)와, 인장, 구부림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하도록 광섬유를 감싸는 아라미드(aramid)와, 철(Fe),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져 절단, 마모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하도록 아라미드를 감싸는 내피, 폴리에틸렌(PE)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 열에 대한 저항성을 강화하도록 내피를 감싸는 외피 및 광섬유가 움직일 수 있도록 광섬유와 내피 사이에 위치하는 젤리(gelly) 포함한다.
절개모듈(100)은 폐광케이블의 외피 및 내피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것으로, 인입되는 폐광케이블의 외피 및 내피를 상하 또는 좌우의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인출한다.
절개모듈(100)은, 절단칼날(112)이 구비되어 폐광케이블의 외피 및 내피를 상하 또는 좌우측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인출하는 커팅부(110);를 포함한다.
커팅부(110)는 가이드관의 상하 또는 좌우 양측에 절단칼날(112)이 구비되어 인입되는 외피 및 내피의 상하 또는 좌우측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젤리 분리모듈(200)의 제1열풍공급부(210)로 이송시킨다.
이때, 절단칼날(112)은 조절볼트 등을 통해 절개되는 깊이를 조정할 수 있으며, 가이드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젤리 분리모듈(200)은 절개된 폐광케이블이 통과시 열풍을 공급하여 젤리 회수부(250)로 젤리를 떨어뜨려 회수하는 것으로, 절개모듈(100)로부터 이송되는 폐광케이블의 젤리를 분리하여 외피, 내피, 광섬유 및 아라미드를 광섬유 및 아라미드 분리모듈(300)로 이송시킨다.
젤리 분리모듈(200)은, 절개된 폐광케이블이 통과시 열풍을 공급하는 제1열풍공급부(210); 및 폐광케이블의 외피 및 내피로부터 광섬유 및 아라미드가 이완되게 하는 타격부(220); 타격부(220)로부터 이완된 폐광케이블을 인출하는 이송부(230); 및 절개된 폐광케이블이 통과시 열풍을 공급하는 제2열풍공급부(240);를 포함한다.
제1열풍공급부(210)는 커팅부(110)로부터 외피와 내피가 절개되어 이송되는 폐광케이블에 젤리가 녹아 분리될 수 있도록 뜨거운 바람(열풍)을 폐광케이블에 분사한다.
이에 따라, 폐광케이블의 젤리는 제1열풍공급부(210)에 의해 젤리 회수부(250)로 회수되고, 외피, 내피, 광섬유 및 아라미드는 타격부(220)로 이송된다.
타격부(220)는 폐광케이블의 외피 및 내피로부터 광섬유 및 아라미드가 이완되도록 폐광케이블의 측면을 연속적으로 타격하며, 이송부(230)는 외피 및 내피로부터 광섬유 및 아라미드가 이완된 폐광케이블을 제2열풍공급부(240)로 이송시킨다.
이때, 타격부(220)는 폐광케이블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타격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이송부(230)는 폐광케이블이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쌍의 롤러(232)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열풍공급부(240)는 이송부(230)로부터 이송되는 폐광케이블에 남아있는 젤리가 녹아 분리될 수 있도록 뜨거운 바람(열풍)을 폐광케이블에 분사한다.
이와 같이 젤리 분리모듈(200)은 커팅부(110)로부터 외피와 내피가 절개되어 이송되는 폐광케이블이 통과시 젤리가 녹아 분리될 수 있도록 뜨거운 바람(열풍)을 폐광케이블에 분사하여 젤리를 분리하고, 폐광케이블의 외피 및 내피로부터 광섬유 및 아라미드가 이완되도록 폐광케이블의 측면을 연속적으로 타격하며, 외피 및 내피로부터 광섬유 및 아라미드가 이완된 폐광케이블을 광섬유 및 아라미드 분리모듈(300)의 제1선별부(310)로 이송시킨다.
광섬유 및 아라미드 분리모듈(300)은 폐광케이블의 광섬유를 분리시켜 회수하고, 아라미드를 흡입하여 회수하는 것으로, 젤리 분리모듈(200)로부터 이송되는 폐광케이블의 광섬유 및 아라미드를 분리하여 외피 및 내피를 외피 및 내피 분리모듈(400)로 이송시킨다.
광섬유 및 아라미드 분리모듈(300)은, 폐광케이블의 외피, 내피, 광섬유 및 아라미드를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제1선별부(310); 제1선별부(310)로부터 아라미드를 흡입하여 회수하는 아라미드 회수부(320); 및 제1선별부(310)로부터 분리된 광섬유를 회수하는 광섬유 회수부(330);를 포함한다.
제1선별부(310)는 폐광케이블의 광섬유를 분리하여 광섬유 회수부(330)로 이송시키고, 아라미드를 분리하여 아라미드 회수부(320)로 이송시키며, 외피와 내피를 외피 및 내피 분리모듈(400)의 가열부(410)로 이송시킨다.
아라미드 회수부(320)는 제1선별부(310)로부터 아라미드를 흡입하여 회수하는 것으로, 아라미드를 포함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선회 운동을 주어 원심력으로 아라미드를 벽면에 충돌시켜 포집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제1선별부(310)로부터 분리된 아라미드를 회수하며, 광섬유 회수부(330)는 제1선별부(310)로부터 분리된 광섬유를 회수한다.
보다 상세하게 아라미드 회수부(320)는 원뿔형 원통 위쪽에 원둘레의 접선 방향으로부터 아라미드를 포함한 공기를 유입시키면 고속의 와류가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와류에 대한 원심력으로 아라미드를 분리시켜 포집하게 된다.
계속해서, 외피 및 내피 분리모듈(400)은 폐광케이블의 외피와 내피를 박리시키고, 자력으로 금속재의 내피를 분리시켜 회수하는 것으로, 광섬유 및 아라미드 분리모듈(300)로부터 이송되는 폐광케이블의 외피 및 내피를 분리하여 외피를 외피 회수부(430)로 이송시키고, 내피를 내피 회수부(440)로 이송시킨다.
외피 및 내피 분리모듈(400)은 폐광케이블의 외피와 내피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박리시키는 가열부(410); 및 금속재의 내피를 자력으로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제2선별부(420);를 포함한다.
가열부(410)는 폐광케이블의 외피와 내피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박리시키는 것으로, 한쌍의 가압롤러(412) 외주면 각각에 히터(414)가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한쌍의 가압롤러(412) 사이를 통과하는 폐광케이블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외피와 내피를 박리시킨다.
이때, 가열부(410)는 박리된 외피를 외피 회수부(430)로 이송시키고, 박리된 내피를 제2선별부(420)로 이송시킨다.
제2선별부(420)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된 2개의 풀리(422)에 무한 회전하는 밸트(424)가 감겨진 구조로, 2개의 풀리(422) 사이에는 자석(426)이 구비되며, 자석(426)의 자력으로 금속재의 내피를 분리하여 내피 회수부(440)로 이송시킨다.
이때, 이송부(230), 가열부(410) 및 제2선별부(420)의 회전 속도는 각 자재의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자원회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팅부(110)를 통해 인입되는 폐광케이블의 상하 또는 좌우측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젤리 분리모듈(200)의 제1열풍공급부(210)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커팅부(110)로부터 외피와 내피가 절개되어 이송되는 폐광케이블이 통과시 젤리가 녹아 분리될 수 있도록 제1열풍공급부(210)를 통해 뜨거운 바람(열풍)을 폐광케이블에 분사하여 젤리를 분리하고, 폐광케이블의 외피 및 내피로부터 광섬유 및 아라미드가 이완되도록 타격부(220)를 통해 폐광케이블의 측면을 연속적으로 타격하며, 이송부(230)를 통해 외피 및 내피로부터 광섬유 및 아라미드가 이완된 폐광케이블을 광섬유 및 아라미드 분리모듈(300)의 제1선별부(310)로 이송시킨다.
이때, 이송되는 폐광케이블에 남아있는 젤리가 녹아 분리될 수 있도록 제2열풍공급부(240)를 통해 뜨거운 바람(열풍)을 폐광케이블에 다시 분사한다.
이때, 젤리 회수부(250)를 통해 폐광케이블로부터 녹아 분리된 젤리를 회수한다.
그리고, 제1선별부(310)를 통해 폐광케이블의 광섬유를 분리하여 광섬유 회수부(330)로 이송시키고, 아라미드를 분리하여 아라미드 회수부(320)로 이송시키며, 외피와 내피를 외피 및 내피 분리모듈(400)의 가열부(410)로 이송시킨다.
이때, 아라미드 회수부(320)를 통해 제1선별부(310)로부터 아라미드를 흡입하여 회수하며, 광섬유 회수부(330)를 통해 제1선별부(310)로부터 분리된 광섬유를 회수한다.
그리고, 가열부(410)를 통해 폐광케이블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외피와 내피를 박리시키고, 박리된 외피를 외피 회수부(430)로 이송시키고, 박리된 내피를 선별부를 통해 분리하여 내피 회수부(440)로 이송시킨다.
이때, 외피 회수부(430)를 통해 폴리에틸렌(PE)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외피를 회수하고, 내피 회수부(440)를 통해 철(Fe), 알루미늄(Al)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진 내피를 회수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업성 결여 및 수출 규제로 사업활성화가 부진하고 전국에 방치되어 국토환경오염을 유발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외피, 내피, 아라미드(Aramid) 등 각종 유용자원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어 회수율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100 : 절개모듈
110 : 커팅부
200 : 젤리 분리모듈
210 : 제1열풍공급부
220 : 타격부
230 : 이송부
240 : 제2열풍공급부
300 : 광섬유 및 아라미드 분리모듈
310 : 제1선별부
320 : 아라미드 회수부
330 : 광섬유 회수부
400 : 외피 및 내피 분리모듈
410 : 가열부
420 : 제2선별부
430 : 외피 회수부
440 : 내피 회수부
C : 폐광케이블

Claims (6)

  1. 폐광케이블(C)의 외피 및 내피를 길이방향으로 절개하는 절개모듈(100);
    절개된 상기 폐광케이블(C)이 통과시 열풍을 공급하여 젤리 회수부(250)로 젤리를 떨어뜨려 회수하는 젤리 분리모듈(200);
    상기 폐광케이블(C)의 광섬유를 분리시켜 회수하고, 아라미드를 흡입하여 회수하는 광섬유 및 아라미드 분리모듈(300); 및
    상기 폐광케이블(C)의 외피와 내피를 박리시키고, 자력으로 금속재의 내피를 분리시켜 회수하는 외피 및 내피 분리모듈(400);
    을 포함하며,
    상기 절개모듈(100)은,
    가이드관의 상하 또는 좌우 양측에 구비되되 조절볼트를 통해 절개되는 깊이를 조정할 수 있는 절단칼날(112)이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관으로 인입되는 상기 외피 및 내피의 상하 또는 좌우측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인출하는 커팅부(110);
    를 포함하고,
    상기 젤리 분리모듈(200)은,
    상기 커팅부(110)로부터 상기 외피와 내피가 절개되어 이송되는 상기 폐광케이블(C)의 젤리가 녹아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폐광케이블(C)로 열풍을 분사하는 제1열풍공급부(210);
    상기 폐광케이블(C)의 외피 및 내피로부터 상기 광섬유 및 아라미드가 이완되게 상기 폐광케이블(C)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폐광케이블(C)의 측면을 연속적으로 타격하는 복수개의 타격부(220);
    상기 타격부(220)로부터 이완된 폐광케이블(C)을 인출하는 이송부(230); 및
    상기 이송부(230)로부터 이송된 상기 폐광케이블(C)에 남아있는 상기 젤리가 녹아 분리될 수 있도록, 절개된 상기 폐광케이블(C)로 열풍을 공급하는 제2열풍공급부(240);
    를 포함하며,
    상기 광섬유 및 아라미드 분리모듈(300)은,
    상기 폐광케이블(C)의 외피, 내피, 광섬유 및 아라미드를 분리하여 이송시키는 제1선별부(310);
    상기 제1선별부(310)로부터 상기 아라미드를 포함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선회 운동을 주어 원심력으로 아라미드를 벽면에 충돌시켜 포집하여 회수하는 아라미드 회수부(320); 및
    상기 제1선별부(310)로부터 분리된 상기 광섬유를 회수하는 광섬유 회수부(330);
    를 포함하고,
    상기 외피 및 내피 분리모듈(400)은,
    한쌍의 가압롤러(412) 외주면 각각에 히터(414)가 원주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한쌍의 가압롤러(412) 사이를 통과하는 상기 폐광케이블(C)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외피와 내피를 박리시키며, 박리된 상기 외피를 외피 회수부(430)로 이송시키는 가열부(410); 및
    일정한 거리를 두고 이격된 2개의 풀리(422)에 무한 회전하는 밸트(424)가 감겨지고, 2개의 풀리(422) 사이에 자석(426)이 구비되어 자석(426)의 자력으로 금속재의 내피를 분리하여 내피 회수부(440)로 이송시키는 제2선별부(4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148959A 2017-11-09 2017-11-09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KR101998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959A KR101998634B1 (ko) 2017-11-09 2017-11-09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959A KR101998634B1 (ko) 2017-11-09 2017-11-09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016A KR20190053016A (ko) 2019-05-17
KR101998634B1 true KR101998634B1 (ko) 2019-07-11

Family

ID=66678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959A KR101998634B1 (ko) 2017-11-09 2017-11-09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6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14520B (zh) * 2019-12-30 2021-06-18 重庆工程职业技术学院 一种废旧钢丝绳或钢绞线切丸设备
KR102435911B1 (ko) * 2020-05-01 2022-08-24 박용호 광케이블 절연젤 처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7317A (ja) * 2002-11-06 2004-06-03 Nasu Seiko:Kk 光ファイバ心線の被覆層除去装置および被覆層除去方法
KR101683045B1 (ko) 2016-06-03 2016-12-07 탁현철 폐광케이블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광케이블 분리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639B1 (ko) * 2007-03-21 2008-04-16 김정태 절연 젤리가 충진된 케이블의 세척분리방법
KR101070458B1 (ko) 2011-03-24 2011-10-06 성광모 폐광케이블 재생장치 및 재생방법
KR20140010832A (ko) * 2012-07-17 2014-01-27 박동수 폐 젤리통신선의 처리방법
KR20140124510A (ko) * 2013-04-17 2014-10-27 강문실 폐젤리전선 처리방법
KR20150066418A (ko) * 2013-12-06 2015-06-16 박일찬 폐통신선으로부터 구리와 피복재 및 젤리를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799066B1 (ko) * 2015-11-02 2017-11-17 명등호 폐 전선 처리장치
KR20170062003A (ko) * 2015-11-27 2017-06-07 전상현 폐 광케이블 재생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7317A (ja) * 2002-11-06 2004-06-03 Nasu Seiko:Kk 光ファイバ心線の被覆層除去装置および被覆層除去方法
KR101683045B1 (ko) 2016-06-03 2016-12-07 탁현철 폐광케이블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광케이블 분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016A (ko) 2019-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8634B1 (ko) 폐광케이블의 재활용을 위한 자원회수장치
CN103752590B (zh) 一种回收羽绒服面料及羽绒的方法
CN107626605A (zh) 一种用于与传送装置配套的下摆式剔除装置
KR101683045B1 (ko) 폐광케이블 분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폐광케이블 분리방법
KR101835969B1 (ko) 폐광케이블의 자원 재활용 제고를 위한 통합 재생처리 방법 및 시스템
CN1650385A (zh) 用于分解包括阴极射线管的电子产品和回收材料的方法
CN107552410A (zh) 一种用于与传送装置配套的抽取式剔除装置
KR20170062003A (ko) 폐 광케이블 재생시스템
KR102046172B1 (ko) 광케이블의 피복 절단장치
KR102072984B1 (ko) 광케이블 피복 박리 및 절단장치
US8201694B2 (en) Eddy current separator
KR101864702B1 (ko) 폐 광케이블 재생용 탈피장치
KR101865266B1 (ko) 광케이블 재활용 장치 및 방법
JP3163451U (ja) 風力選別装置
KR102072983B1 (ko) 광케이블 표면 절개장치
JP2001195934A (ja) 廃電線や廃信号線の被覆と芯線を分離する機構
KR102435911B1 (ko) 광케이블 절연젤 처리방법
WO20212506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on of light plastic materials from waste materials
CN114147038A (zh) 一种大型自动垃圾分类系统及方法
KR20010063131A (ko) 폐전선 피복 제거 장치
CN107895914A (zh) 电缆剥皮装置
CN215848528U (zh) 一种用于凹印生产线中的废纸边收集破碎装置
CN112117711B (zh) 一种废旧电缆线的分离回收装置及使用方法
CN203779537U (zh) 一种导料槽前帘剪切设备
CN108923337A (zh) 一种剥电缆外皮的机电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