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8362B1 -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 - Google Patents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8362B1
KR101998362B1 KR1020180168507A KR20180168507A KR101998362B1 KR 101998362 B1 KR101998362 B1 KR 101998362B1 KR 1020180168507 A KR1020180168507 A KR 1020180168507A KR 20180168507 A KR20180168507 A KR 20180168507A KR 101998362 B1 KR101998362 B1 KR 101998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s
electrode
proximity sensor
present
multipl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세영
김현수
윤경섭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세영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영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세영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180168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3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position, not involving coordinate determin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2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01V3/08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operating with electric field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45Proximity switch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접센서를 구성하는 전극의 형태와 배열구조를 개선하여 근접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한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는 서로 폭이 다르게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제1 전극과 선택적으로 조합되며,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의 동작 관련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PROXIMITY SENSOR WITH MULTIPLE ELECTRODES}
본 발명은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물체가 근접하면 반응하여 동작하기 위한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에 따른 근접센서는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은 장애물 감지용 센서스트립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스트립전극과 제2 스트립전극이 서로 평행하게 상하로 배치되어 절연체로 몰딩되고 있다.
이때 상기 스트립전극은 일정한 넓이를 가진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U자 또는 V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가 공동(Cavity) 없이 충진되어 있는 센서바디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매설되어 정전용량 감지회로가 탑재된 PCB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근접센서는 제1 스트립전극과 제2 스트립전극을 구성하기 위한 형태로서, 일정부분 높이를 확보해야 하는 관계로 전체적으로 높이가 높고, 측면방향에서 접근하는 물체에도 반응하여 원하지 않는 동작을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근접센서는 자동차의 오토파워윈도우나 전철역의 스크린도어(슬라이딩도어) 등 편의시설의 자동화에 따른 안전사고예방을 위하여 인체나 손(손가락)이 도어의 틈새 등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고 있는데, 그 특성상 인체나 손(손가락)이 아닌 도어도 물체로 감지하여 오동작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히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는 제1,2 스트립전극의 폭이 일정하여 발생하는 문제로서, 상기 제1,2 스트립전극의 폭을 줄이면 센서의 감소를 줄일 수 있어 해결 가능하나, 이 경우 근접센서의 전체적인 성능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17096호
본 발명의 목적은 근접센서를 구성하는 전극의 형태와 배열구조를 개선하여 근접센서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는 서로 폭이 다르게 형성되어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제1 전극과 선택적으로 조합되며,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의 하부에 배치된 제2 전극;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서로 폭이 다른 3개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복수의 제1 전극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는 복수의 제1 전극의 상부 및 제2 전극의 하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는 두께는 같되, 서로 폭이 다르게 형성되어 폭이 넓은 전극에서 폭이 좁은 전극 순으로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의 폭 방향 양측에 이격 배치되도록 분리 구성되되, 서로 회로 연결된 하나의 전극으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특성임피던스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제1 전극과 선택적으로 조합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절연체;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서로 폭이 다른 3개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은 분리 구성되어 복수의 제1 전극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근접센서를 구성하는 전극의 형태와 배열구조를 개선하여 근접센서의 오동작을 방지 가능함으로써, 근접센서의 동작신뢰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전극이 복수로 구성됨으로써, 제2 전극과 조합시 다양한 특성임피던스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양한 산업분야에 용이하게 응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을 폭 방향으로 배치하여 근접센서를 구성 가능하고, 이를 통해 근접센서의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슬림화된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의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를 단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이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의 하부에 제2 전극(20)이 절연체(3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제2 전극(20)의 하부와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의 상부에 절연체(30)가 각각 배치되어 구성된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는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은 두께는 같되, 서로 폭이 다르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은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구성된다.
예컨대,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은 서로 폭이 다른 3개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게 된다. 여기서 3개로 구성되는 제1 전극(10a)(10b)(10c)은 설명 및 이해의 용이함을 위하여 이하, 폭이 넓은 순으로 제1-1 전극(10a), 제1-2 전극(10b), 제1-3 전극(10c)으로 지칭하게 된다.
즉 상기 제1-1 전극(10a)은 가장 폭이 넓게 형성되어 도면상 좌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3 전극(10c)은 가장 폭이 좁게 형성되어 도면상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3 전극(10c)과 제1-1 전극(10a) 사이에 제1-2 전극(10b)이 배치된다.
이러한 제1-1 전극(10a), 제1-2 전극(10b) 및 제1-3 전극(10c)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데, 동일한 간격이거나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절연체(30)에 의해 절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는 절연체(30)를 사이에 두고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1-1 전극(10a), 제1-2 전극(10b) 또는 제1-3 전극(10c)과 선택적으로 조합되는 제2 전극(20)을 포함한다.
즉 서로 폭이 다르게 형성된 제1-1 전극(10a), 제1-2 전극(10b) 또는 제1-3 전극(10c)은 제2 전극(20)과 조합되어 서로 다른 특성임피던스, 달리 말해 서로 다른 감도를 가질 것이므로, 그 응용에 있어, 각기 다른 값을 얻어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를 상향 운동을 하는 자동차 윈도우에 적용하여 운용하게 되면,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에 연결된 제어회로에서 윈도우의 운동거리(위치)에 따라 제1-1 전극(10a), 제1-2 전극(10b) 또는 제1-3 전극(10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특성임피던스가 다른 값을 얻을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윈도우가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에 근접했을 때 오동작하지 않는 방법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예컨대, 제1-1 전극(10a)의 특성임피던스가 가장 크고, 제1-3 전극(10c)의 특성임피던스가 가장 작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1-3 전극(10c)을 윈도우에 가깝게 도어프레임에 설치하여 윈도우가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에 접근하더라도 특성임피던스의 변화가 작기 때문에 감도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이용하면 오동작 방지의 한 방법으로 활용 가능하다.
달리 말해, 상기 제1-3 전극(10c)은 감지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이에 윈도우가 접근하더라도 감지가 안 되거나 감지된다 하더라도 이 값을 무시하는 방법 등으로 오동작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과 제2 전극(20) 간의 배열구조의 개선을 통해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의 오동작을 방지 가능함으로써, 동작 관련 신뢰성 향상에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2 전극(20)은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 즉 제1-1 전극(10a), 제1-2 전극(10b) 및 제1-3 전극(10c)의 두께(H1)와 동일한 두께(H2)로 형성되어 절연체(30)를 사이에 두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를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예로써, 제2 전극(20)의 두께와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의 두께가 반드시 동일한 필요는 없으며, 이때의 동일한 두께는 실질적인 동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2 전극(20)은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의 전체 폭과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되어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2 전극(20) 및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을 절연하는 절연체(30)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과 제2 전극(20) 사이는 물론이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의 상부 및 제2 전극(20)의 하부에도 배치되어 절연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를 단면도로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과 제2 전극(20)이 폭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부와 하부에 절연체(30)가 배치되어 구성된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를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는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은 두께는 같되, 서로 폭이 다르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은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구성된다.
예컨대,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은 서로 폭이 다른 3개의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게 된다. 여기서 3개로 구성되는 제1 전극(10a)(10b)(10c)은 설명 및 이해의 용이함을 위하여 이하, 폭이 넓은 순으로 제1-1 전극(10a), 제1-2 전극(10b), 제1-3 전극(10c)으로 지칭하게 된다.
즉 상기 제1-1 전극(10a)은 가장 폭이 넓게 형성되어 도면상 좌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3 전극(10c)은 가장 폭이 좁게 형성되어 도면상 우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3 전극(10c)과 제1-1 전극(10a) 사이에 제1-2 전극(10b)이 배치된다.
이러한 제1-1 전극(10a), 제1-2 전극(10b) 및 제1-3 전극(10c)은 서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데, 동일한 간격이거나 상이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와 하부에 배치되는 절연체(30)에 의해 절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는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제1-1 전극(10a), 제1-2 전극(10b) 또는 제1-3 전극(10c)과 선택적으로 조합되며, 이들의 폭 방향 일측에 이격 배치되는 제2 전극(20)을 포함한다. 이때의 동일한 두께란 실질적인 동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즉 서로 폭이 다르게 형성된 제1-1 전극(10a), 제1-2 전극(10b) 또는 제1-3 전극(10c)은 일측 또는 도면상 양측에 배치된 제2 전극(20)과 조합되어 서로 다른 특성임피던스, 달리 말해 서로 다른 감도를 가질 것이므로, 그 응용에 있어, 각기 다른 값을 얻어 이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면상 제1-1 전극(10a)의 좌측 및 제1-3 전극(10c)의 우측에 각기 배치되는 제2 전극(20)은 두 개의 전극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전극이 분리 구성되어 서로 회로 연결된 하나의 전극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는 예컨대, 상향 운동을 하는 자동차 윈도우에 적용하여 운용하게 되면,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에 연결된 제어회로에서 윈도우의 운동거리(위치)에 따라 제1-1 전극(10a), 제1-2 전극(10b) 또는 제1-3 전극(10c)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특성임피던스가 다른 값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윈도우가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에 근접했을 때 오동작하지 않는 방법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예컨대, 제1-1 전극(10a)의 특성임피던스가 가장 크고, 제1-3 전극(10c)의 특성임피던스가 가장 작다고 가정하면, 상기 제1-3 전극(10c)을 윈도우에 가깝게 도어프레임에 설치하여 윈도우가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에 접근하더라도 특성임피던스의 변화가 작기 때문에 감도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이용하면 오동작 방지의 한 방법으로 활용 가능하다.
달리 말해, 상기 제1-3 전극(10c)은 감지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이에 윈도우가 접근하더라도 감지가 안 되거나 감지된다 하더라도 이 값을 무시하는 방법 등으로 오동작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과 제2 전극(20)의 구조개선을 통해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의 오동작을 방지 가능함으로써, 동작 관련 신뢰성 향상에 효과적이다.
또한, 복수의 제1 전극(10a)(10b)(10c)과 제2 전극(20)의 폭 방향 배치를 통해 그 높이를 낮출 수 있어 슬림화된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1)를 제공 가능함으로써, 다양한 산업분야에 용이하게 응용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
10a, 10b, 10c: 복수의 제1 전극
10a: 제1-1 전극
10b: 제1-2 전극
10c: 제1-3 전극
20: 제2 전극
30: 절연체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두께는 같되, 서로 폭이 다르게 형성되어 폭이 넓은 전극에서 폭이 좁은 전극 순으로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 배치된 복수의 제1 전극;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의 폭 방향 양측에 이격 배치되도록 분리 구성되되, 서로 회로 연결된 하나의 전극으로 구성되며, 서로 다른 특성임피던스를 갖도록 상기 복수의 제1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제1 전극과 선택적으로 조합되는 제2 전극; 및
    상기 복수의 제1 전극과 제2 전극의 상부와 하부에 배치된 절연체;
    를 포함하는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은 서로 폭이 다른 3개의 전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
  7. 삭제
KR1020180168507A 2018-12-24 2018-12-24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 KR101998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507A KR101998362B1 (ko) 2018-12-24 2018-12-24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507A KR101998362B1 (ko) 2018-12-24 2018-12-24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362B1 true KR101998362B1 (ko) 2019-07-09

Family

ID=6726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507A KR101998362B1 (ko) 2018-12-24 2018-12-24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3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096B1 (ko) 2010-09-30 2011-02-25 (주)펄스테크 장애물 감지용 센서스트립 및 그 결합구조
KR20140129135A (ko) * 2012-02-10 2014-11-0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패턴화된 전기적으로 격리된 영역을 갖는 터치 센서 전극
KR20160125565A (ko) * 2015-04-21 2016-11-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근접 검출이 가능한 필름 타입의 촉각 센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7096B1 (ko) 2010-09-30 2011-02-25 (주)펄스테크 장애물 감지용 센서스트립 및 그 결합구조
KR20140129135A (ko) * 2012-02-10 2014-11-06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패턴화된 전기적으로 격리된 영역을 갖는 터치 센서 전극
KR20160125565A (ko) * 2015-04-21 2016-11-0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근접 검출이 가능한 필름 타입의 촉각 센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2624B1 (ko) 비접촉식 장애물 감지시스템에 사용되는 연성 정전용량 스트립
US20150177298A1 (en) Capacitive sensor electrode
US7400153B2 (en) Detector with capacitance sensor for detecting object being caught by door
JP4463653B2 (ja) ハイブリッドセンサ
US20080211519A1 (en) Capacitance sensor
KR20050096106A (ko) 정전 용량 검출형 근접 센서
CN101142369A (zh) 开闭装置
JP2005227244A (ja) 静電容量型センサ
US20170254633A1 (en) Proximity sensor
JP4257636B2 (ja) 物体検知センサ及び開閉体挟み込み検知装置
JP6119482B2 (ja) タッチセンサ
US9797169B2 (en) Presence sensor for an openable body section of a motor vehicle
KR101998362B1 (ko) 다중전극을 가지는 근접센서
JP6379708B2 (ja) タッチスイッチ
KR20120017258A (ko) 박막 대전 센서
JP2009250857A (ja) 静電容量センサ
WO2017038523A1 (ja) 静電検出装置
JP2008249522A (ja) ガラス破損検知装置
JP2009085961A (ja) 物体検知センサ及び開閉体挟み込み検知装置
KR102260985B1 (ko) 접촉식 및 비접촉식 겸용 센서
JP2007055590A (ja) 挟み込み検出装置
CN217555544U (zh) 用于实现防夹指功能的电梯控制装置和包含其的电梯系统
CN106793873B (zh) 具有传感器装置的家具
JP5403547B2 (ja) コード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挟み込み検知装置
JP6099296B2 (ja) セ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