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908B1 -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908B1
KR101997908B1 KR1020137033813A KR20137033813A KR101997908B1 KR 101997908 B1 KR101997908 B1 KR 101997908B1 KR 1020137033813 A KR1020137033813 A KR 1020137033813A KR 20137033813 A KR20137033813 A KR 20137033813A KR 101997908 B1 KR101997908 B1 KR 101997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center
holding fixture
belt retractor
tub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3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3151A (ko
Inventor
보리스 지벡
데말 제힉
줄리우스 아도마이트
Original Assignee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알더블유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33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3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6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 B60R22/40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 B60R2022/401Belt retractors, e.g. reels self-locking in an emergency responsive only to vehicle movement with adjustable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가 차량 민감형 센서 및 센서를 위한 유지 고정체(10)를 포함한다. 센서 및 유지 고정체(10)는, 센서가 유지 고정체 내에서 다양한 공간적 배향들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상호작용하고 서로 조절되는 기하학적 설계들을 구비한다. 그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벨트용 벨트 리트랙터에서, 유지 고정체(10)는, 벨트 리트랙터의 벨트 릴이 그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벨트 리트랙터의 프레임에 고정된 위치에서 센서와 연결된다.

Description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ASSEMBLY FOR A BELT RETRACTOR}
본 발명은 차량 민감형 센서 및 센서를 위한 유지 고정체를 포함하는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벨트용 벨트 리트랙터에 관한 것이다.
벨트 릴(belt reel)을 차단하기 위한 차량 민감형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벨트 리트랙터들은 관성체를 포함하는 가속도 센서를 포함하며, 관성체의 편향은 차단 작동을 개시한다. 센서들은 벨트 리트랙터의 프레임 상에 고정적으로 배열되거나 결합된다.
안전 및 신뢰할 수 있는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서 특정 배향을 취해야만 한다는 것이, 그러한 센서들의 단점이다. 차량에서 벨트 리트랙터의 장착 위치가, 그러나 특히 차량의 유형에 의존하여, 변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 상응하게 상이한 센서의 공간적 배향들을 구비하는 벨트 리트랙터의 상이한 변형들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더욱 유연한 방식으로 사용되도록 맞춰지는 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 1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조립체에 의해, 뿐만 아니라 청구항 제9항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벨트 리트랙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 및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리트랙터의 장점들 및 유리한 구성들은 종속항들로부터 유래한다.
벨트 리트랙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는 차량 민감형 센서 및 센서를 위한 유지 고정체를 포함한다. 센서 및 유지 고정체는, 센서가 유지 고정체 내에서 다양한 공간적 배향으로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상호작용하며 서로 조절되는 기하학적 설계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은, 서두에 진술되는 단점들이 벨트 리트랙터의 프레임에 대해 센서의 배향을 조절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의해 회피될 수 있다는, 결과에 근거한다. 유지 고정체는 나아가 벨트 리트랙터에서 센서를 위한 고정적인 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 및 유지 고정체의 의 특정한 공간적 배치구조들은, 센서가 유지 고정체에 최종적으로 고정되기 이전에, 센서의 폭넓게 자유롭게 선택가능한 배향을 허용한다. 따라서, 센서는 벨트 리트랙터의 이후의 장착 위치에 맞춰질 수 있다. 벨트 리트랙터의 상이한 변형들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필요한 부가적인 구성요소들 없이 낮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다른 장점은 센서가 유지 고정체 내에서 센서의 배향을 변경함에 의해 (센서 기능 값들을 조절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따라서, 또한 도구 비용들이 감소된다.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들로 인해 유휴 위치(idle position) 밖으로 이동되도록 맞춰지는 관성체를 포함하는, 센서에 의해 해제되는 차단 메커니즘들 자체가 시험되었다. 그러한 관성체가 조절됨에 따라, 유지 고정체의 기하학적 설계가, 그의 유휴 위치에서 관성체의 중심 또는 무게 중심 또는 기울임 축 또는 선회 축에 대해 대칭인, 내측 수용 표면을 포함하는 것에서, 센서의 배향의 자유도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특히 관성체를 수용하는 센서 하우징은, 그의 유휴 위치에서 관성체의 중심 또는 무게 중심 또는 기울임 축 또는 선회 축에 대해 대칭인, 외측 표면을 포함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고정체의 내측 수용 표면 및 센서의 외측 표면은 각각, 둥근 부분, 바람직하게, 자체의 중심이 관성체의 중심 또는 무게 중심과 일치하는, 가상의 볼(imaginary ball)의 둥근 부분을 포함한다. 이는, 유지 고정체에 대한 그리고 따라서 벨트 리트랙터에 대한 관성체 중심의 위치가 항상 일정하게 머무르도록 함과 더불어, 유지 고정체 내에서 임의의 공간적 방향들로의 센서의 연속적인 회전을 허용한다.
얼마 전부터, 소위 "유동 스풀(floating spool)" 개념에 기초한 벨트 리트랙터들이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유형의 벨트 리트랙터에서, 벨트 릴 자체는 해제 위치 및 차단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벨트 릴은 선회 레버에 지지되고, 센서의 차량 민감형 제어의 경우에, 띠(webbing)의 인장력에 의해 차단 톱니 시스템 내에 맞물리게 되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관성체의 이동에 의해 선회되는 중간 레버가 유지 고정체에서 선회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레버는 또한, 벨트 릴의 제어 톱니 시스템과 맞물림에 의해, 벨트 리트랙터의 프레임에서 차단을 위한 자체의 이동을 개시하는, 차량 민감형 차단 메커니즘의 일부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특히 바람직한 구조에 따르면, 관성체와 중간 레버 사이에, 센서 레버가, 관성체를 수용하는 센서 하우징 상에 장착되고 센서 하우징에 대해 선회하도록, 배열된다. 센서 레버는, 중간 레버 상에서의 한정된 선회 이동의 형태인, 자체의 유휴 위치의 밖으로의 관성체의 이동을 제공한다.
특히 관성체의 중심 또는 무게 중심에 대해 회전가능한 센서를 위해, 관성체를 덮고, 둥근 부분, 바람직하게 자체의 중심이 관성체의 중심 또는 무게 중심과 일치하는 가상의 볼의 둥근 부분을 포함하는 외측 표면을 갖는 캡 부분을 구비하는, 센서 레버가 유익하다. 센서가 유지 고정체 내에서 회전할 때, 센서 레버와 중간 레버 사이의 접촉 지점의 공간적 위치는 따라서, 2개의 레버가 적어도 계속해서 대향하고 있는 한, 영향받지 않고 그대로 있게 된다.
센서가 벨트 리트랙터의 수명 도중에 요구에 의존하여 일단 설정된 유지 고정체 내에서의 자체의 배향을 이후에 의도와 다르게 변경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센서 및/또는 유지 고정체는, 센서가 그에 의해 유지 고정체 내에서의 공간적 배향에 무관하게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벨트용 벨트 리트랙터를 제공한다. 유지 고정체는, 벨트 리트랙터의 벨트 릴이 그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벨트 리트랙터의 프레임 상의 위치에 고정되는 센서와 연결된다. 벨트 리트랙터의 차량 내에서의 장착 위치에 의존하여, 센서의 상대적인 장착 위치가 이후에 맞춰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이 뒤따르는 설명 및 참조되는 첨부 도면으로부터 유래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확대도시된 상세도;
도 4는 도 3의 상세 사시도; 및
도 5 내지 도 16은 센서의 상이한 장착 위치들을 갖는 조립체의 측면도들 및 사시도들.
도 1 및 도 2에, 차량 민감형 센서를 위한 유지 고정체가 도시된다. 유지 고정체(10) 및 센서는, 벨트 릴 및 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 시트 벨트용 벨트 리트랙터의 일부이며, 프레임 내에서 벨트 릴이 해제 위치로부터 이동될 수 있고, 해제 위치에서 벨트 릴이 차단 위치로 프레임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으며, 차단 위치에서 벨트 릴의 차단 톱니 시스템이 프레임에서 차단 톱니들과 맞물린다. 이러한 차단 개념은 소위 "유동 스풀" 개념으로 당업자에세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의 유지 고정체는, 벨트 릴이 그 내부에 지지되는, 벨트 리트랙터의 선회 레버이다. 선회 레버는 더불어, 띠-민감형 잠금(webbing-sensitive locking)을 위한 내부 톱니 시스템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벨트 릴의 차량 민감형 차단을 위해, 유지 고정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중간 레버(12)가, 중간 레버가 벨트 릴의 제어 톱니 시스템과 맞물리지 않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해제 위치로부터 선회될 수 있으며, 따라서 중간 레버가,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중간 레버의 팁(14)이 제어 톱니 시스템과 맞물리게 되는 것이, 이러한 유형의 벨트 리트랙터에서 본질적이다. 중간 레버(12)를 선회시키기 위해, 센서 하우징(16), 관성체(18), 이 경우에 볼, 관성체(18)에 의해 작동가능한 센서 레버(20)를 포함하는 차량 민감형 방식으로 응답하는, 센서가 제공된다.
센서가 도 3 및 도 4에서 확대된 도면으로 도시된다. 관성체(18)는 센서(16) 내에 수용되고, 센서 내의 안정적인 유휴 위치를 취한다. 관성체(18)는 진동, 강한 감속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인한 외력들에 의해 유휴 위치 밖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형의 관성체(18)의 주어진 경우에, 이는 관성체(18)의 (무게 중심과 일치하는) 중심(M)의 변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스탠딩 맨(standing man)" 또는 "벨(bell)" 센서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다른 관성체들에서, 유휴 위치 밖으로의 이동은 축에 대한 기울임 또는 선회의 형태로 실행된다.
관성체(18)는 센서 레버(20)의 캡 부분(22)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인다. 센서 레버(20)는 결과적으로 센서 하우징(16) 상에 또는 센서 하우징에 확고하게 연결되는 지탱 부분 상에 지지되고, 따라서 캡 부분(22)은 관성체(18)의 유휴 위치 밖으로의 이동에 의한 한정된 방식으로 편향된다(선회된다). 캡 부분(22)의 형상, 특히 그의 구형 외측 표면은, 캡이 관성체(18)와 같은 동일 중심을 구비하는 (가상의) 중공 볼의 일부가 되도록 하기 위해 고려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도 4로부터 최상으로 추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간 레버(12)의 접촉 부분(24)이 센서 레버(20)의 캡 부분(22) 상에 놓여 있다. 따라서, 중간 레버(12)는 센서 레버(20)와 연결되고, 벨트 릴의 차단을 해제하기 위해 요구되는 방식으로, 자체의 편향에 의해 선회된다.
특히 중요한 것은, 완전하게 장착되는 벨트 리트랙터에 대해 이동할 수 없는 유지 고정체(10) 내에서의 센서의 유지의 유형이다. 구성요소들, 즉 관성체(18), 센서 하우징(16) 및 센서 레버(20)는, 유지 고정체 내에 상이한 배향들로 장착되도록 맞춰지는, 유닛을 구성한다. 유지 고정체(10)의 내측 기하학적 설계 및 센서의 외측 기하학적 설계는 서로 조절되고, 따라서 센서는, 유지 고정체 내에 최종적으로 고정되기 이전에, 다양한 공간적 배향으로 위치하게 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가능한 배향들은 관성체의 중심(M)을 통해 연장되는 공간 축들에 대한 센서의 회전들로부터 유래한다(도 4 참조).
이를 위해, 센서 하우징(16)이, 자체의 중심이 관성체(18)의 중심(M)과 일치하는 (가상의) 볼의 둥근 부분을 나타내는 외측 표면을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면들에 예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공된다. 이는 유지 고정체(10)의 하나 이상의 부분의 내측 표면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다시 말해 이러한 표면 역시, 자체의 중심이 관성체의 중심(M)에 대응하는, (가상의) 볼의 둥근 부분을 나타낸다. 센서가 유지 고정체의 구형 내측 표면 상에서 구형 외측 표면으로 멈춰 있는 한, 관성체(18)의 중심은 (그의 유휴 위치에서) 항상 유지 고정체(10)에 대해 동일한 예정된 위치를 취하게 된다.
구형 표면들 덕택으로, 모든 공간적 축들에 대한 센서의 연속적인 회전이 기본적으로 가능하다. 요구되는 장착 위치를 조정한 이후에, 센서는 유지 고정체(10) 내에 영구적으로 고정된다.
가능한 장착 위치들은 단지, 기능을 위해 본질적인 센서 레버(20)의 중간 레버(12)로의 연결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사실에 의해 제한된다. 주어진 경우에서, 이는, 센서 레버(20)의 캡 부분(22)이 중간 레버(12)의 대향하는 접촉 부분(24)과 접촉한다는 것 및 센서 레버(20)의 편향이 중간 레버(12)의 충분한 선회를 야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 내지 도 16에, 유지 고정체(10) 내의 센서의 다양한 가능한 장착 위치들이 예시된다. 중간 레버(12)의 접촉 부분(24) 및 센서 레버(20)의 캡 부분(22)은, (이상에서 한정된 한도 이내의) 유지 고정체(10) 내에서의 센서의 회전이 중간 레버(12)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설계되며, 즉, 받아들일 수 있는 장착 위치가 아닌 곳에서는, 중간 레버(12)의 팁(14)과 벨트 릴의 제어 톱니 시스템 사이에 상이하게 큰 틈새들을 수반하도록 하는, 센서 레버(20)와 중간 레버(12) 또는 제공되는 중간 레버(12)의 임의의 상당한 편향 사이에, 다른 장착 위치에 비교되는, 틈새가 존재한다는 것이, 이러한 도면들로부터 명백해진다.
또한 관성체(18)의 중심(M)에 대해 회전하게 되는 센서의 배향들을 허용하는 센서 및 유지 고정체(10)의 다른 기하학적 설계들을 상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조립체는 또한, "유동 스풀" 개념에 기초하지 않지만 잠금 톱니 시스템을 구비하는 분리된 연결 디스크 및 움직일 수 없는 벨트 릴을 포함하는, 벨트 리트랙터에 사용될 수 있다.
10: 유지 고정체
12: 중간 레버
14: 팁
16: 센서 하우징
18: 관성체
20: 센서 레버
22: 센서 캡
24: 접촉 부분

Claims (9)

  1. 벨트 릴 및 프레임을 포함하는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에 있어서,
    센서 하우징(16), 관성체(18) 및 센서 레버(20)로 구성되는 차량 민감형 센서와,
    상기 센서 하우징(16)을 위한 유지 고정체(10)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 하우징(16)은 둥근 부분을 갖는 외측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고정체(10)는 둥근 부분을 갖는 내측 표면을 포함하며, 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조절되어, 상이한 공간적 배향 및 공간적 축으로 회전되는 동안에, 상기 센서 하우징(16)이 상기 유지 고정체(10) 내로 장착될 수 있는 것인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외부에서 작용하는 힘들로 인해 유휴 위치 밖으로 이동되도록 맞춰지는 관성체(18)를 포함하고,
    상기 유지 고정체(10)의 기하학적 설계는, 관성체의 유휴 위치에서 상기 관성체(18)의 중심(M) 또는 무게 중심 또는 기울임 축 또는 선회 축에 대해 대칭인, 내측 수용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관성체의 유휴 위치에서 상기 관성체(18)의 중심(M) 또는 무게 중심 또는 기울임 축 또는 선회 축에 대해 대칭인, 외측 표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
    상기 유지 고정체(10)의 내측 수용 표면 및 상기 센서의 외측 표면은 각각, 자체의 중심이 상기 관성체의 중심 또는 무게 중심과 일치하는 둥근 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 레버(12)가, 상기 관성체(18)의 이동에 의해 선회될 수 있도록, 상기 유지 고정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체(18)를 수용하는 센서 하우징(16)에 장착되며 상기 센서 하우징(16)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센서 레버(20)가, 상기 관성체(18) 및 상기 중간 레버(12)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레버(20)는, 상기 관성체(18)를 덮고, 자체의 중심이 상기 관성체의 중심(M) 또는 무게 중심과 일치하는 둥근 부분을 나타내는 외측 표면을 구비하는, 캡 부분(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
  8.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상기 유지 고정체(10) 또는 상기 센서 및 상기 유지 고정체(10)는, 상기 유지 고정체 내에 공간적 배향에 무관하게 상기 센서를 영구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
  9. 삭제
KR1020137033813A 2011-05-25 2012-05-22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 KR1019979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1110103113 DE102011103113A1 (de) 2011-05-25 2011-05-25 Baugruppe für einen Gurtaufroller
DE102011103113.1 2011-05-25
PCT/EP2012/002161 WO2012159731A1 (de) 2011-05-25 2012-05-22 Baugruppe für einen gurtauf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3151A KR20140033151A (ko) 2014-03-17
KR101997908B1 true KR101997908B1 (ko) 2019-07-08

Family

ID=46298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813A KR101997908B1 (ko) 2011-05-25 2012-05-22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99123B2 (ko)
EP (1) EP2714475B1 (ko)
KR (1) KR101997908B1 (ko)
CN (1) CN103764456B (ko)
BR (1) BR112013030202A2 (ko)
DE (1) DE102011103113A1 (ko)
WO (1) WO2012159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08570B4 (de) * 2014-05-07 2018-08-23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4210396B4 (de) * 2014-06-03 2021-05-27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für eine Sicherheitsgurt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6202383B4 (de) * 2016-02-17 2018-05-24 Autoliv Development Ab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DE102017126987A1 (de) * 2017-11-16 2019-05-16 Trw Automotive Gmbh Sensor zur Aktivierung eines fahrzeugsensitiven Sperrmechanismus eines Gurtaufrollers
DE102018130923A1 (de) * 2018-12-05 2020-06-10 Trw Automotive Gmbh Trägheitssensor und Verfahren zur Verringerung der Reibung zwischen zwei Komponenten eines Trägheitssensors
DE102021118420A1 (de) 2021-07-16 2023-01-19 Zf Automotive Germany Gmbh Baugruppe für einen Gurtaufroller sowie Gurtaufroll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02921A1 (de) * 1974-01-22 1975-08-28 Artur Foehl Traegheitssteuerung
US4978087A (en) * 1987-11-10 1990-12-18 Britax-Kolb Gmbh & Co. Acceleration sensor for vehicle-sensitive systems
DE19500722A1 (de) * 1995-01-12 1996-07-18 Trw Repa Gmbh Sensor für einen Sicherheitsgurtaufroller
DE19758495C2 (de) * 1997-08-12 2003-12-04 Hs Tech & Design Sicherheitsgurtaufroller
GB2349119B (en) * 1999-04-21 2001-05-30 Breed Automotive Tech A sensor for a seat belt retractor
KR100323845B1 (ko) * 1999-12-09 2002-02-07 이승복 차량용 좌석벨트 리트랙터
DE20006314U1 (de) * 2000-04-06 2000-08-17 Trw Repa Gmbh Trägheitssensor
US7631830B2 (en) * 2006-04-17 2009-12-15 Key Safety Systems, Inc. Retractor with rotary rack pretensioner
DE202007000909U1 (de) * 2007-01-18 2007-04-05 Takata-Petri Ag Sensoreinrichtung zur Aktivierung eines Sperrmechanismus für einen Gurtaufroller eines Kraftfahrzeugs
KR100751773B1 (ko) * 2007-01-24 2007-08-23 주식회사 삼송 시트벨트 리트랙터
US7628349B2 (en) * 2007-03-06 2009-12-08 Autoliv Asp, Inc. Inertia actuator for seat belt retractor
US7568649B2 (en) * 2007-03-23 2009-08-04 Autoliv Asp, Inc. Vehicle sensitive seat belt retractor control with suppressed Z-axis sensitivity
KR101001776B1 (ko) * 2009-04-03 2010-12-17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좌석벨트 리트랙터
GB2472433B (en) * 2009-08-06 2011-06-29 Martin Baker Aircraft Co Ltd A pawl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764456A (zh) 2014-04-30
EP2714475B1 (de) 2018-03-28
DE102011103113A1 (de) 2012-11-29
BR112013030202A2 (pt) 2016-11-29
US9499123B2 (en) 2016-11-22
US20150115090A1 (en) 2015-04-30
CN103764456B (zh) 2018-01-19
KR20140033151A (ko) 2014-03-17
WO2012159731A1 (de) 2012-11-29
EP2714475A1 (de) 201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908B1 (ko) 벨트 리트랙터용 조립체
US9358951B2 (en) Seatbelt retractor
CA1053207A (en) Dual spool retractor
JP4927833B2 (ja) シートベルトが巻取られるときのみ移動されることができる調整可能なセンサを備えるシートベルト巻取機
US6527214B2 (en) Webbing retractor
KR100751773B1 (ko) 시트벨트 리트랙터
EP1394004A1 (en) Webbing retractor
US6883742B2 (en) Webbing retractor
KR102439218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US5839790A (en) Remote mechanical sensor and seat belt retractor operated thereby
KR101752234B1 (ko) 웨빙 권취 장치
JP6096603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021035835A5 (ko)
KR102573808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US20050224623A1 (en) Webbing retractor
US5145123A (en) Seat belt retractor with vehicle sensitive locking mechanism
US20040095010A1 (en) Belt retractor
KR102521551B1 (ko) 차량 센서 장치 및 그가 적용된 시트벨트 리트랙터
US9346434B2 (en) Seat belt retractor having an inertia sensor with a pivotal sensor housing
JP5752570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5515180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5613204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20230242067A1 (en) Sensor and belt retractor
GB2345473A (en) Deceleration sensor
JP2013052730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