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764B1 -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764B1
KR101997764B1 KR1020180093048A KR20180093048A KR101997764B1 KR 101997764 B1 KR101997764 B1 KR 101997764B1 KR 1020180093048 A KR1020180093048 A KR 1020180093048A KR 20180093048 A KR20180093048 A KR 20180093048A KR 101997764 B1 KR101997764 B1 KR 10199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kick
image
unit
soccer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드리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드리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드리치
Priority to KR1020180093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764B1/ko
Priority to PCT/KR2019/009225 priority patent/WO2020032442A1/ko
Priority to US17/266,149 priority patent/US1194488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2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footb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03Analysing the course of a movement or motion sequences during an exercise or trainings sequence, e.g. swing for golf or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63B2024/0031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at the starting poi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28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 A63B2024/0034Tracking the path of an object, e.g. a ball inside a soccer pitch during fl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21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 A63B2024/0056Tracking a path or terminating locations for statistical or strategic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75Means for generating exercise programs or schemes, e.g. computerized virtual trainer, e.g. using expert databases
    • A63B2024/0081Coaching or training aspects related to a group of us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7Photo camer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축구 세트피스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데이터송수신부, 이미지출력부, 킥정보분석부 및 이미지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는 센싱장치로부터 축구공의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출력부는 상기 데이터송수신부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미지출력장치에 세트피스 배경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이미지출력장치의 일측에 상기 센싱된 축구공의 위치 및 상기 축구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 우 각도 또는 상, 하 각도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는 보조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는 촬영장치를 통해 전송된 사용자의 킥동작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의 킥에 의한 상기 축구공의 속도정보, 회전량정보 및 방향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킥정보분석부는 상기 킥동작이미지 또는 상기 킥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축구공의 이동경로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처리부는 분석된 상기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세트피스 배경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에 상기 축구공의 이동궤적, 공의 속도 및 공의 회전정보를 표시한다.

Description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SET-PIECE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제 경기장에서 플레이하는 것과 같은 향상된 실감을 제공하는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축구 강습의 경우 주로 야외에서 이루어지지만 동절기 또는 악천후(예: 폭우, 자외선, 미세먼지, 오존 경보 등)에는 강습이 불가하다. 또한, 도심지역의 경우 축구를 연습할 만한 충분한 공간의 확보가 어렵다. 도심지의 유소년 축구 강습 등은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기 어려운 실내공간에서는 드리블 연습, 미니게임 등 간단한 기술연습 위주로 트레이닝이 이루어진다.
실제 축구 경기장의 길이는 약 90-120m, 너비는 약 45-90m이므로, 넓은 공간을 활용한 강한 킥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또한 같은 팀과 상대 팀 선수의 위치 및 움직임을 고려하여 정교한 패스가 필요하므로 힘과 정교함이 모두 요구된다. 실내에서의 축구 트레이닝은 실제 축구경기에 필요한 강하고 정교한 킥의 연습에 적합하지 않다. 실내에서의 축구 강습 등을 위하여 야외와 유사한 킥(kicking) 연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면 보다 효율적인 트레이닝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최근 스크린 골프, 스크린 야구 등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한 놀이시설이 유행하고 있다. 종래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공의 타격에 따른 물리 량을 계산하여 사용자에게 공의 이동 궤적에 대한 영상을 보여줌으로써 게임의 흥미를 더하고 실제 야외에서 게임을 즐기는 듯한 현장감을 제공하고 있다.
골프 또는 야구와 같은 스포츠의 경우 강한 힘으로 공을 타격하게 된다. 이때 골프 클럽(golf club), 배트(bat)와 같은 도구를 사용한다. 야구 배트는 규격이 거의 일정하고 공을 타격하는 부위가 제한적인 특징이 있다. 스크린 골프의 경우에는 클럽의 길이가 각각 다르고 헤드가 지면과 이루는 각도가 상이하기 때문에 플레이 하기 전에 골프클럽에 대하여 미리 세팅을 하고 플레이 하게 된다. 이처럼, 골프 또는 야구 등은 공의 궤적 등을 추적하기 위하여 변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반면, 축구의 경우 축구공을 차기 위해서 발을 이용하게 되는데 키커(kicker)의 발모양, 다리 길이 등이 일정하지 않은 특징이 있다. 또한, 축구공의 크기도 골프공 또는 야구공 등 타 구기종목에 비하여 커서 타격점의 위치가 공의 궤적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처럼 축구공의 타격점, 키커의 무게중심의 이동에 따른 좌우 어깨의 높낮이, 몸의 중심축의 위치, 키커의 다리 길이, 키커의 발모양, 타격 순간의 발의 움직임 등을 고려하면 타 스포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물리적 계산이 필요하다.
한편, 세트피스(set-piece) 상황은 축구에서 그라운드내에 공을 멈춰 놓고 약속된 플레이를 통해 경기를 운영하는 상황으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 킥(free kick)이나 코너 킥(corner kick), 페널티 킥(penalty kick) 등을 얻어 키커가 약속된 플레이로 킥을 하면서 상대 문전에 공격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얻어가는 경우가 세트피스 상황이라 할 수 있다. 페널티 킥, 프리 킥 등 세트피스 같은 정교하고 강한 킥을 시뮬레이션 하고자 하는 경우, 킥의 강도, 바람의 방향과 바람의 세기 등에 의하여 축구공의 궤적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하여 물리 량을 계산해야 한다.
이러한 특징 및 변수로 인하여, 축구의 세트피스 상황을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서는 종래 스크린 골프, 스크린 야구 또는 스크린 테니스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는 구기종목 스포츠와는 다른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구성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제 세트피스 상황과 유사한 환경에서 강하고 정교한 킥 연습을 할 수 있는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세트피스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시스템은, 데이터송수신부, 이미지출력부, 킥정보분석부 및 이미지처리부를 포함하고, 데이터송수신부는 센싱장치로부터 축구공의 위치를 수신하고, 이미지출력부는 데이터송수신부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미지출력장치에 세트피스 배경화면을 출력하고, 이미지출력장치의 일측에 센싱된 축구공의 위치 및 축구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 우 각도 또는 상, 하 각도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는 보조정보를 출력하고, 데이터송수신부는 촬영장치를 통해 전송된 사용자의 킥동작이미지 및 사용자의 킥에 의한 축구공의 속도정보, 회전량정보 및 방향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킥정보를 수신하고, 킥정보분석부는 킥동작이미지 또는 킥정보를 분석하여 축구공의 이동경로를 분석하고, 이미지처리부는 분석된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세트피스 배경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에 축구공의 이동궤적, 공의 속도 및 공의 회전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킥정보분석부는 축구공의 이동경로를 분석함에 있어서,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룸 컨디션 조절장치로부터 제공된 환경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경로를 보정하도록 구비되고, 룸 컨디션 조절장치는 습기제공장치 또는 송풍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송수신부는 사용자기기로부터 코칭정보를 수신하고, 킥정보분석부는 코칭정보를 이용하여 킥의 속도, 킥의 자세, 킥의 방향 또는 축구공의 타격지점에 대한 타격정보를 생성하고, 이미지출력부는 타격정보를 이미지출력장치의 소정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비되고, 사용자기기는 터치입력부를 포함하고, 코칭정보는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드래깅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출력부는 이미지출력장치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소정의 영역에 사용자기기로부터 입력된 실제 세트피스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타겟 또는 가상의 골대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미지출력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모니터, 스크린과 투사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장치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가상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레이저출력장치(레이저를 이용한 홀로그래픽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제공방법은,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센싱장치로부터 축구공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의 이미지출력부가 데이터송수신부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미지출력장치에 세트피스 배경화면을 출력하고, 이미지출력장치의 일측에 센싱된 축구공의 위치 및 축구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 우 각도 또는 상, 하 각도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는 보조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송수신부를 통하여 촬영장치를 통해 전송된 사용자의 킥동작이미지 및 사용자의 킥에 의한 축구공의 속도정보, 회전량정보 및 방향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의 킥정보분석부가 킥동작이미지 또는 킥정보를 분석하여 축구공의 이동경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서비스 서버의 이미지처리부가 분석된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세트피스 배경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에 축구공의 이동궤적, 공의 속도 및 공의 회전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축구공의 이동경로를 분석하는 단계는,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룸 컨디션 조절장치로부터 제공된 환경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경로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룸 컨디션 조절장치는 습기제공장치 또는 송풍장치일 수 있다.
여기에서, 방법은,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사용자기기로부터 코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서비스 서버의 킥정보분석부가 코칭정보를 이용하여 킥의 속도, 킥의 자세, 킥의 방향 또는 축구공의 타격지점에 대한 타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서비스 서버의 이미지출력부가 타격정보를 이미지출력장치의 소정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사용자기기는 터치입력부를 포함하고, 코칭정보는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드래깅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조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이미지출력부가 이미지출력장치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소정의 영역에 사용자기기로부터 입력된 실제 세트피스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타겟 또는 가상의 골대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제 세트피스 상황과 유사한 환경에서 강하고 정교한 킥 연습을 할 수 있는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시스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의 시스템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사용자의 킥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세트피스 상황 중 페널티킥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과 실제 상황의 차이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실제 상황을 고려한 보조골대의 이미지가 투사된 이미지출력장치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실제 상황을 고려한 보조골대 등의 지표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입력과 관련한 예시적 도면이다.
도 9는 이미지출력장치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결과 및 사용자 킥 분석 장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사용자의 킥 모션(motion) 중의 정지이미지가 사용자기기에 디스플레이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코칭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기기의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골키퍼의 설정에 관한 페널티킥 또는 프리킥 상황에서의 세트피스상황에 대한 시뮬레이션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 "...부" 또는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각 구성요소들, 기능 블록들 또는 수단들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하부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구성요소들이 수행하는 전기, 전자, 기계적 기능들은 전자회로, 집적회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자들 또는 기계적 요소들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 별개로 구현되거나 2 이상이 하나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휴대용 노트북 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온라인 게임 서비스 제공 서버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아래에서 설명할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장치에 이용 가능한 메모리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물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장치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기 위한 프로세스를 생성하여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기기라고 함은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폰, PDA, 휴대전화, 게임기 등 데이터를 수집, 판독, 처리, 가공, 저장, 표시할 수 있는 모든 계산 수단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용자 기기는 해독 가능한 코드로 작성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소프트웨어를 자체적으로 저장하기도 하고, 또는 외부로부터 데이터와 함께 읽어 들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단말기에는 위와 같은 데이터 처리 기능뿐 아니라 입력, 출력, 저장 등의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위하여 일반적인 컴퓨터 장치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카드, 하드디스크, 사운드 카드, 스피커,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USB, 통신 모뎀 등의 각종 요소들뿐만 아니라 무선 스마트폰 단말기들이 갖는 CPU, 메인보드, 그래픽 칩, 메모리 칩, 사운드엔진, 스피커, 터치패드, USB 등의 외부 연결 단자, 통신 안테나, 3G, 4G, 5G, LTE, LTE-A, WiFi,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구현할 수 있는 통신 모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블록으로 표시된 장치 또는 그 일부분들은 위와 같은 사용자 기기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요소들이 단독으로 또는 2 이상이 함께, 또는 각종 요소들의 일부분이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의 시스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서버(110)의 시스템블록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다른 장치와 정보를 주고받기 위한 데이터송수신부(111), 시뮬레이션 정보를 이용하여 그래픽 형태로 데이터의 가공 및 이미지출력장치로 전송할 데이터를 마련하기 위한 이미지출력부(112), 사용자의 킥이미지 또는 축구공의 속도, 회전속도 등을 분석하기 위한 킥정보분석부(113) 및 상기 축구공의 이동궤적, 공의 속도 및 공의 회전정보 등을 처리하여 이미지정보로 생성하는 서비스 서버(110)를 중심으로 이미지출력장치, 센싱장치(120), 사용자기기(140), 송풍장치(150)를 통하여 시뮬레이션을 제공한다.
상기 이미지출력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모니터, 스크린과 투사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장치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가상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레이저출력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송수신부(111)는 센싱장치(120)로부터 축구공의 위치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 경우 센싱장치(120)는 서비스 서버(110)의 데이터송수신부(111)와 유무선 방식으로 통신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센싱장치(120)로부터 축구공의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에 놓일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데이터송수신부(111)는 촬영장치를 통해 전송된 사용자의 킥동작이미지 및 사용자의 킥에 의한 축구공의 속도정보, 회전량정보 및 방향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킥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데이터송수신부(111)는 외부의 장치와 정보 송수신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다음으로, 킥정보분석부(113)는 킥동작이미지 또는 킥정보를 분석하여 축구공의 이동경로를 분석하도록 구비된다. 킥정보분석부(113)는 종래 공의 타격 및 이동경로와 관련하여 물리량을 계산할 수 있도록 구비된 물리엔진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사용자의 킥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이미지출력부(112)는 상기 이미지출력장치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소정의 영역에 사용자기기(140)로부터 입력된 실제 세트피스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타겟 또는 가상의 골대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킥을 하는 사용자의 정지 이미지가 순차로 도시되거나 또는 킥을 하는 사용자의 신체 각부분이 지면 또는 상호간 이루는 각도가 측정될 수 있도록 촬영된다. 이러한 킥 동작이미지는 축구공의 빠르기, 회전(사이드 스핀)등의 정보에 해당하는 킥정보와 함께 축구공의 이동경로를 분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미지처리부(114)는 분석된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세트피스 배경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에 표시하기 위한 축구공의 이동궤적, 공의 속도 및 공의 회전정보를 이미지화하도록 구비된다. 이미지화된 정보는 시뮬레이션 결과로 이미지처리장치에 출력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110)의 이미지출력부(112)는 프로젝터, 모니터 등과 같은 이미지출력장치를 통하여 세트피스 상황의 배경화면을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배경화면과 함께 화면 내에서의 축구공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며, 축구공의 위치를 중심으로 가로축 또는 세로축 상에 각도를 표시한 보조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실제 상황을 고려한 보조골대 등의 지표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입력과 관련한 예시적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축구공을 중심으로한 가로축눈금과 화면왼편의 세로축눈금이 도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스크린 거리 설정의 메뉴가 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디스플레이장치로 프로젝터와 프로젝션된 이미지가 나타나는 스크린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골대와 같은 타겟은 현장감을 전달하기 위하여 실제 골대 크기와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과 실제 상황의 차이점을 예시한 도면이다. 스크린의 크기와 축구공으로부터 거리를 고려하면 실제 경기장과 다른 환경에 해당한다. 비례관계를 충실히 적용하여 스크린상에 스크린골대가 표현된다면 현장감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 화면에서의 골대는 임의의 크기로 설정하여 디스플레이 하고, 실제 킥을 할 때 유의하여야 할 킥의 좌우각도, 세로축각도를 계산할 수 있도록 보조정보가 도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정보의 활용을 위하여 도 8의 스크린 거리 설정과 같은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스크린 거리 설정을 통하여 실제 경기장에서의 킥과 유사한 느낌으로 축구공을 찰 수 있도록 보조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킥정보분석부(113)는 축구공의 이동경로를 분석함에 있어서, 데이터송수신부(111)를 통하여 수신된 룸 컨디션 조절장치로부터 제공된 환경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경로를 보정하도록 구비되고, 룸 컨디션 조절장치는 습기제공장치 또는 송풍장치(150)가 구비될 수 있다.
룸 컨디션 장치로는 송풍기 또는 축구공에 습기를 제공하는 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실제 경기장과 같은 외부환경에서는 특히 바람이 축구공의 궤적과 회전정도와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사용자가 실제경기장과 유사한 환경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송풍장치(150)를 통해 실제와 동일한 조건의 풍압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세밀한 시뮬레이션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시뮬레이션 결과와 사용자의 체험이 서로 일치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룸 컨디션 장치의 송풍장치(150)는 단순히 풍압을 일으키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송풍장치(150)가 발생시킨 바람의 속도 등 데이터를 킥정보분석부(113)에 제공됨으로써 축구공의 킥에 따른 이동경로를 보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습기제공장치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축구공 등에 분사된 습기 등의 데이터를 환경조건 데이터로 제공하여 실제와 같은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송수신부(111)는 사용자기기(140)로부터 코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킥정보분석부(113)는 상기 코칭정보를 이용하여 킥의 속도, 킥의 자세, 킥의 방향 또는 축구공의 타격지점에 대한 타격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출력부(112)는 상기 타격정보를 상기 이미지출력장치의 소정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기기(140)는 터치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칭정보는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드래깅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별도의 사용자기기(140)를 통하여 코칭정보가 입력되면 스크린 등 이미지출력장치에 코칭정보가 출력되어 효과적인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스크린 등을 구비한 사용자기기(140)를 통하여 코칭정보가 이루어지게 될 수 있으며, 지도자는 킥의 방향, 거리 등을 직관적으로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정보는 킥을 할 때의 물리량 계산이 역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텍스트 정보 등으로 변환되어 킥을 하는 사용자에게 킥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제공방법은 서비스 서버(110)의 데이터송수신부(111)를 통하여 센싱장치(120)로부터 축구공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S1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제공방법은 종래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되는 센서장비를 이용할 수 있으며, 축구공이 킥에 적합한 위치에 놓인 것을 센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축구공이 킥에 적합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센싱되는 위치는 센싱장치(120)에 포함된 센서가 축구공의 움직임에 따른 물리량을 분석하는데 적합한 위치라면 제한없이 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110)의 이미지출력부(112)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111)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미지출력장치에 세트피스 배경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이미지출력장치의 일측에 상기 센싱된 축구공의 위치 및 상기 축구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 우 각도 또는 상, 하 각도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는 보조정보를 출력하는 단계가 포함된다(S12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세트피스 상황 중 페널티킥을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제공방법과 관련하여 페널티킥 상황을 중심으로 예를 들면, 축구공의 위치는 페널티킥을 하기 위한 위치에 놓인 것으로 센싱된 경우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널티킥을 위한 골대, 골키퍼 등의 배경이미지가 출력된다. 또한, 도 5를 참고하면, 이미지출력장치의 화면 아래에 가로축을 기준으로 각도가 표시된 눈금이 이격적으로 도시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왼쪽 세로축을 기준으로 각도가 표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과 실제 상황의 차이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이미지출력장치에 포함되는 스크린에는 골대와 골키퍼의 이미지가 도시되는데, 실내 공간이 실제 경기장 보다 적은 면적인 경우 실제 페널티킥을 할 경우와 비교하면 상당한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눈에 보이는 스크린에 투사된 골대는 흥미를 배가하고 게임의 재미를 느끼도록 하는 장점이 있으므로, 실제 골대와 달리 사용자가 바라보는 스크린에 최적화되어 도시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린에 도시된 골대(이하, 스크린골대)에 맞추어 킥을 하게 된다면 실제 상황과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표시된 골대의 상부에 표시된 원 3개를 타겟으로 하여 킥을 할 수 있는데, 스크린골대가 실제골대보다 가까운 위치에 있는 경우라면 스크린골대의 타겟을 적중할 수 있지만, 실제 골대보다 훨씬 높은 위치로 공을 차올리는 결과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축구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 우 각도 또는 상, 하 각도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는 보조정보는 실제 골대를 고려하여 축구공을 기준으로 실제 골대의 골포스트 또는 크로스바와의 거리와 스크린골대와의 거리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계산하여 산출된 값에 해당한다. 따라서, 보조정보는 스크린골대의 세팅값에 따라서 각각 다르게 계산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보조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출력부(112)가 상기 이미지출력장치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소정의 영역에 사용자기기(140)로부터 입력된 실제 세트피스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타겟 또는 가상의 골대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실제 상황을 고려한 보조골대의 이미지가 투사된 이미지출력장치의 모습이고, 도 8은 실제 상황을 고려한 보조골대 등의 지표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입력과 관련한 예시적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실제와 같은 상황의 페널티킥을 연습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사용자기기(140)를 이용하여 입력되었거나 또는 미리 세팅된 값의 보조정보를 이용하여 킥연습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사용자기기(140)를 통하여 세트피스 상황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 7은 스크린골대와 실제 골대의 조건을 계산한 가상의 보조골대의 이미지로서 스크린 하단의 원 3개는 실제 골대를 상정한 이후의 타겟부위를 나타낸 것이고, 상기 원 주위의 밝은 색의 라인은 실제 골대와의 비례관계를 고려한 크기로 출력된 보조골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보조골대, 가로축 또는 세로축의 각도정보를 위한 스크린 거리 설정과 관련한 사용자 입력창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따르면, 골대간격, 골대높이, 시작점-스크린 간격, 골포스트-스크린 끝 간격, 세로 눈금 간격, 가로 눈금 간격, 스크린 아래 간격 등을 포함한 스크린 거리 설정 및 매우 낮음, 낮음, 보통, 좋음, 높음, 매우 높은 등을 포함한 그래픽 품질 설정 등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사용자기기(140)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상기 도 7 및 도 8은 페널티킥을 예시한 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축구경기 등 세트피스 상황, 예를 들면 코너킥(corner kick) 또는 프리킥(free kick)상황을 고려한 세트피스 상황에 따라 실제와 매칭되는 타겟을 설정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촬영장치를 통해 전송된 사용자의 킥동작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의 킥에 의한 상기 축구공의 속도정보, 회전량정보 및 방향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가 포함된다(S130).
도 9는 이미지출력장치에 도시된 시뮬레이션 결과 및 사용자 킥 분석 장면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사용자의 킥 모션(motion) 중의 정지이미지가 사용자기기(140)에 디스플레이 된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본 단계를 통하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가 축구공을 킥하는 경우 사용자의 몸의 중심축, 디딤 발과 킥하는 발의 위치, 킥 중심축과 몸 중심축이 이루는 각도, 축구공과 킥하는 발의 접점 등을 분석할 수 있는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에서의 사용자의 킥 정보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양한 정보가 이미지와 텍스트를 포함한 정보로서 제공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110)의 킥정보분석부(113)가 상기 킥동작이미지 또는 상기 킥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축구공의 이동경로를 분석하는 단계가 포함된다(S140).
본 단계에서의 킥정보분석부(113)는 스크린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사용되는 물리량 계산을 위한 계산장치, 계산방법 등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축구공의 이동경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송수신부(111)를 통하여 수신된 룸 컨디션 조절장치로부터 제공된 환경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경로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제 축구경기를 예로 들면, 축구공은 타 스포츠에 비하여 큰 부피를 갖는다. 따라서 야외경기인 특성을 고려하면, 킥 이후 축구공 이동 경로상의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경기장의 온도 조건, 강수조건에 따라서 축구공의 표면의 마찰계수가 달라질 수 있다.
룸 컨디션 조절장치는 습기제공장치 또는 송풍장치(150) 등이 구비되어 실제 습기와 바람과 같은 조건을 생성할 뿐만 아니라, 실제 발생한 정도의 데이터를 킥분석부에 제공함으로써 실제와 같은 감각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110)의 이미지처리부(114)가 분석된 상기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세트피스 배경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에 상기 축구공의 이동궤적, 공의 속도 및 공의 회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가 포함된다(S150).
킥정보분석부(113)에 의하여 분석된 축구공의 이동궤적이 스크린에 표시되고, 또한 축구공의 속도와 회전량에 관한 회전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세트피스 상황에 대한 효과적인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제공방법은 코칭을 위하여 스크린과 같은 이미지출력장치 등 이외에 터치스크린 등이 구비된 태블릿 컴퓨터에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데이터송수신부(111)를 통하여 사용자기기(140)로부터 코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110)의 킥정보분석부(113)가 상기 코칭정보를 이용하여 킥의 속도, 킥의 자세, 킥의 방향 또는 축구공의 타격지점에 대한 타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110)의 이미지출력부(112)가 상기 타격정보를 상기 이미지출력장치의 소정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기기(140)는 터치입력부를 포함한 태블릿 컴퓨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아울러, 코칭정보는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드래깅정보를 포함하여 직관적인 코칭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코칭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기기(140)의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우선 도 11을 참고하면, 사용자기기(140)의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프리킥에 해당하는 세트피스 상황을 코칭하는 모습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 상의 1번, 2번 및 3번과 관련한 코칭정보를 손가락으로 입력창을 드래깅하는 방법을 통하여 입력하고, 이러한 정보가 태블릿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창과 스크린에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세트피스 상황에 대한 적절한 코칭과 반복적인 세트피스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깅입력을 통하여 축구공의 궤적을 타겟방향으로 입력하면, 도 13과 같이 축구공의 속도(ball speed) 등 각종 정보가 제공되므로 킥을 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세밀한 정보를 제공하여 코칭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제공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페널티킥을 위한 세트피스 상황이고, 도 15는 프리킥을 위한 세트피스 상황으로서, 사용자기기를 통하여 목표점 프리셋을 설정하고, 궤적프리셋을 설정하도록 터치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설정이 이루어진 이후 축구공이 목표점을 향하여 날아가도록 디스플레이될 경우, 이미지출력부(112)는 이미지출력장치 상의 골키퍼가 공의 목표점으로 이동하여 골을 막는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킥정보분석부(113)는 킥의 속도, 킥의 자세, 킥의 방향 또는 축구공의 타격지점과 타격시의 발의 모양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이미지출력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를 통하여 골키퍼의 입장에서 페널티킥 또는 프리킥 상황에서의 공격수의 킥 정보를 학습하고 이를 통하여 골을 막는 이미지트레이닝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골키퍼 이미지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골을 막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임의로 골키퍼를 드래깅 조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축구공의 이동궤적, 공의 속도 및 공의 회전정보를 표시하는 단계(S150)는 골키퍼 이미지의 드래깅 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드래깅 정보는 이미지출력부(112)로 제공되어 이미지출력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하여 복수의 사용자는 각각 공격수와 골키퍼의 역할을 동시에 연습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축구 세트피스 시뮬레이션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데이터송수신부, 이미지출력부, 킥정보분석부 및 이미지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는 센싱장치로부터 축구공의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이미지출력부는 상기 데이터송수신부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미지출력장치에 세트피스 배경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이미지출력장치의 일측에 상기 센싱된 축구공의 위치 및 상기 축구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 우 각도 또는 상, 하 각도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는 보조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는 촬영장치를 통해 전송된 사용자의 킥동작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의 킥에 의한 상기 축구공의 속도정보, 회전량정보 및 방향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킥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킥정보분석부는 상기 킥동작이미지 또는 상기 킥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축구공의 이동경로를 분석하고, 상기 이미지처리부는 분석된 상기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세트피스 배경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에 상기 축구공의 이동궤적, 공의 속도 및 공의 회전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킥정보분석부는 상기 축구공의 이동경로를 분석함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룸 컨디션 조절장치로부터 제공된 환경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경로를 보정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룸 컨디션 조절장치는 습기제공장치 또는 송풍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는 사용자기기로부터 코칭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킥정보분석부는 상기 코칭정보를 이용하여 킥의 속도, 킥의 자세, 킥의 방향 또는 축구공의 타격지점에 대한 타격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미지출력부는 상기 타격정보를 상기 이미지출력장치의 소정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기기는 터치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칭정보는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드래깅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출력부는 상기 이미지출력장치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소정의 영역에 사용자기기로부터 입력된 실제 세트피스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타겟 또는 가상의 골대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출력장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모니터, 스크린과 투사장치를 포함하는 스크린장치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가상의 이미지를 출력하는 레이저출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6. 서비스 서버의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센싱장치로부터 축구공의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의 이미지출력부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미지출력장치에 세트피스 배경화면을 출력하고, 상기 이미지출력장치의 일측에 상기 센싱된 축구공의 위치 및 상기 축구공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좌, 우 각도 또는 상, 하 각도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 형태로 제공하는 보조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송수신부를 통하여 촬영장치를 통해 전송된 사용자의 킥동작이미지 및 상기 사용자의 킥에 의한 상기 축구공의 속도정보, 회전량정보 및 방향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킥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의 킥정보분석부가 상기 킥동작이미지 또는 상기 킥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축구공의 이동경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의 이미지처리부가 분석된 상기 이동경로를 이용하여 상기 세트피스 배경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에 상기 축구공의 이동궤적, 공의 속도 및 공의 회전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제공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구공의 이동경로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룸 컨디션 조절장치로부터 제공된 환경조건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경로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룸 컨디션 조절장치는 습기제공장치 또는 송풍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제공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데이터송수신부를 통하여 사용자기기로부터 코칭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의 킥정보분석부가 상기 코칭정보를 이용하여 킥의 속도, 킥의 자세, 킥의 방향 또는 축구공의 타격지점에 대한 타격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비스 서버의 이미지출력부가 상기 타격정보를 상기 이미지출력장치의 소정영역에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기기는 터치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칭정보는 상기 터치입력부를 통하여 입력된 드래깅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제공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이미지출력부가 상기 이미지출력장치의 이미지가 표시되는 소정의 영역에 사용자기기로부터 입력된 실제 세트피스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한 타겟 또는 가상의 골대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제공방법.
  10. 제6항에 따른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제공방법을 컴퓨터 상에서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저장매체.
KR1020180093048A 2018-08-09 2018-08-09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 KR101997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48A KR101997764B1 (ko) 2018-08-09 2018-08-09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
PCT/KR2019/009225 WO2020032442A1 (ko) 2018-08-09 2019-07-25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
US17/266,149 US11944886B2 (en) 2018-08-09 2019-07-25 Set piece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mulation by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048A KR101997764B1 (ko) 2018-08-09 2018-08-09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7764B1 true KR101997764B1 (ko) 2019-07-08

Family

ID=6725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048A KR101997764B1 (ko) 2018-08-09 2018-08-09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944886B2 (ko)
KR (1) KR101997764B1 (ko)
WO (1) WO20200324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8428B (zh) * 2022-05-20 2023-02-17 沈阳体育学院 足球运动检测方法、系统、计算机设备及其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4185A (ja) * 1993-03-10 1994-09-13 World:Kk サッカーゲーム機
JP2004097662A (ja) * 2002-09-12 2004-04-02 Toshiba Eng Co Ltd サッカーシミュレーションゲーム装置および方法
KR20140091630A (ko) * 2013-01-11 2014-07-22 이삼신 프리킥 시뮬레이션게임
KR101841427B1 (ko) * 2017-03-15 2018-05-04 (주)에어패스 이동궤적추적장치, 이동궤적추적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슈팅시뮬레이션 장치
EP3324200A1 (en) * 2016-11-16 2018-05-23 Steltronic S.P.A. Improved recreational/sport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8078B2 (en) * 2011-11-02 2018-11-06 Toca Football,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ball throwing machine and intelligent goal
US20140080638A1 (en) * 2012-09-19 2014-03-20 Board Of Regents,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raining and instruction to a football kicker
US9656140B2 (en) * 2012-11-09 2017-05-23 Wilson Sporting Goods Co. Sport performance system with ball sensing
NO336535B1 (no) * 2014-05-13 2015-09-21 Geir Kroken Treningsutstyr for ball omfattende elastisk snor
US9710711B2 (en) * 2014-06-26 2017-07-18 Adidas Ag Athletic activity heads up display systems and methods
WO2018218253A1 (en) * 2017-05-26 2018-11-29 vSports, LLC Mixed-reality kick tracking and simulation
WO2018227011A1 (en) * 2017-06-07 2018-12-13 vSports, LLC Mixed-reality sports tracking and simul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4185A (ja) * 1993-03-10 1994-09-13 World:Kk サッカーゲーム機
JP2004097662A (ja) * 2002-09-12 2004-04-02 Toshiba Eng Co Ltd サッカーシミュレーションゲーム装置および方法
KR20140091630A (ko) * 2013-01-11 2014-07-22 이삼신 프리킥 시뮬레이션게임
EP3324200A1 (en) * 2016-11-16 2018-05-23 Steltronic S.P.A. Improved recreational/sport apparatus
KR101841427B1 (ko) * 2017-03-15 2018-05-04 (주)에어패스 이동궤적추적장치, 이동궤적추적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슈팅시뮬레이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99537A1 (en) 2021-09-30
WO2020032442A1 (ko) 2020-02-13
US11944886B2 (en)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9258B2 (en) Stereoscopic image capture with performance outcome prediction in sporting environments
KR101800795B1 (ko) 이동 디바이스 모션 센서 입력을 갖는 웹 기반 게임 플랫폼
US964309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imulated gameplay based on a geospatial position
JP2019535347A (ja) ゲームの制御のために制御機器のセンサを用いる方法及びシステム
US20090029754A1 (en) Tracking and Interactive Simulation of Real Sports Equipment
US20100203969A1 (en) Game device, game program and game object operation method
KR101059258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방법,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구현 방법,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설계 방법,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 수행 방법 및 이를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CN105999677B (zh) 一种可联网的便携式高尔夫模拟系统及模拟方法
KR101078986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1997764B1 (ko) 세트피스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제공 방법
CN108579080A (zh) 混合现实环境下实体球拍与虚拟球的交互实现方法及系统
KR102037966B1 (ko) 스크린 축구 시스템 및 스크린 축구 제공방법
KR20020092266A (ko) 하이브리드 골프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100972824B1 (ko) 미니맵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0972825B1 (ko) 기상 애니메이션을 제공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913034B1 (ko) 광선 패턴 이미지와 광센서를 이용한 가정용 골프 시뮬레이터
KR102344919B1 (ko) 가상 골프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스템
KR101967828B1 (ko) 멀티 스포츠 시뮬레이션 계측장치
CN112807649A (zh) 一种基于5g信息传递的虚拟高尔夫模拟方法及其装置
KR20120036155A (ko) 스크린 골프장과 필드 골프장 및 레이저빔 조사기를 이용하여 골프 게임을 하는 장치와 골프 게임을 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2225912B1 (ko) 멀티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될 수 있는 발구름 센싱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KR102421029B1 (ko) 비전 센서와 스윙 센서의 결합을 통한 타구와 타격의 동시 분석 시스템 및 그 방법
RU2629152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вычисления прогноза игровой ситуации после воздействия игровых инструментов на игровые предметы
CN113457094A (zh) 一种室内高尔夫挥杆练习用辅助设备
TW202106358A (zh) 高爾夫球虛擬實境之球桿更換方法、程式產品及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