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216B1 - 전선연결단자 - Google Patents

전선연결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216B1
KR101997216B1 KR1020170165016A KR20170165016A KR101997216B1 KR 101997216 B1 KR101997216 B1 KR 101997216B1 KR 1020170165016 A KR1020170165016 A KR 1020170165016A KR 20170165016 A KR20170165016 A KR 20170165016A KR 101997216 B1 KR101997216 B1 KR 101997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
fitting
connecting terminal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5643A (ko
Inventor
정선우
김선준
김기찬
Original Assignee
정선우
김선준
김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우, 김선준, 김기찬 filed Critical 정선우
Priority to KR1020170165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2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01R4/481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전선연결단자에 삽입된 전선이 용이하게 접속단자에 닿을 수 있도록 하며, 샤프트지지부나 고정부가 마모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전선연결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단자는, 상단에 고정부가 구성되며 양단에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부를 형성하는 본체단자, 상기 본체단자의 내부에 삽입되며 양단이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끼움홀이 형성된 절곡부로 구성된 접속단자 및 양단 하부에 가압부를 형성하며 중앙에 형성된 끼움샤프트가 상기 본체단자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단자를 포함하는 전선연결단자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눌림부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부로 경사지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연결단자{WIRE CONNECTOR}
본 개시내용은 전선과 전선을 상호 연결하는 전선연결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이 필요한 전자기기의 경우에는 전선에 의하여 전원과 전자기기를 연결한다. 종래에는 전선을 연결시킬 부분의 피복을 일부 제거하고 난 후 전선부분을 꼬아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상호 연결하였으나 절연테이프를 부착한 경우에도 감전 또는 누전 등의 안정성 문제 및 절연테이프의 내구성이 약하여 쉽게 찢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선커넥터라고 불리는 전선연결단자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도 1 참조). 이는 전선을 삽입할 수 있는 전선삽입부를 양쪽에 구비하는 본체 내부에, 양단이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끼움홀이 형성된 절곡부로 구성된 전도체인 접속단자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 상부에는 끼움단자가 끼움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선삽입부를 통하여 양쪽에서 전선을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본체 상부에 결합된 끼움단자를 한쪽 방향으로 가압하여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접속단자의 일단을 눌러 삽입 가능하도록 공간을 확보하고 전선이 삽입되어 접속단자의 일측에 닿도록 한다. 다른 방향도 마찬가지로 끼움단자를 가압하여 전선이 접속단자에 닿도록 하여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전선연결단자는 전선을 깊숙히 삽입하게 되면 절곡부의 상부를 통과하여 전선부분이 접속단자와 닿지 않게 됨으로써 전선연결단자의 역할을 못할 수 있을 뿐더러, 전선을 삽입할 때마다 상기 끼움단자를 가압하여야 하는데 그에 따라 샤프트를 지지하는 지지부나 본체의 고정부가 쉽게 마모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전선연결단자에 삽입된 전선이 용이하게 접속단자에 닿을 수 있도록 하며, 샤프트지지부나 고정부가 마모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전선연결단자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단에 고정부가 구성되며 양단에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부를 형성하는 본체단자, 상기 본체단자의 내부에 삽입되며 양단이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접속단자 및 양단 하부에 가압부를 형성하며 중앙에 형성된 끼움샤프트가 상기 본체단자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단자를 포함하는 전선연결단자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눌림부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부로 경사지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는 상부 양측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끼움단자는 상기 끼움샤프트의 상부에 탄성소재의 샤프트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절곡부가 눌림부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부로 경사지면서 연장되도록 구성하여 종래 전선연결단자보다 전선이 절곡부 상부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접촉불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부의 상부 양측을 깍아내어 경사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샤프트지지부와 끼움결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마모 또는 파손을 줄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선연결단자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단자에 있어서, 접속단자의 사시도.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단자에 있어서, 끼움단자의 측면도.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단자에 있어서, 본체단자의 사시도.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단자에 있어서, 본체단자의 측면에 형성된 피복절단정도 측정부를 포함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단자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전선연결단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내부 구성으로는, 상단에 고정부(21)가 구성되며 양단에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부(25)를 형성하는 본체단자(20)와, 상기 본체단자(20)의 내부에 삽입되며 양단이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부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끼움홀(15)이 형성된 절곡부(13)로 구성된 접속단자(10) 및 양단 하부에 가압부(37)를 형성하며 중앙에 형성된 끼움샤프트(33)가 상기 본체단자(20)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21)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단자(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접속단자(10)의 양단은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굽은 형상을 가지는 눌림부(11)를 형성하며 그 상부에서 가압홀(23)을 통과하여 가압부(37)가 외력을 가하여 상기 눌림부(11)가 탄성력으로 인하여 하부로 눌리게 되고 그에 따라 전선이 내부까지 삽입될 수 있어 전선 연결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10)의 중앙에는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절곡부(13)를 형성하고 있어 전선이 상기 절곡부(13)와 맞닿아 전선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절곡부(13)의 중앙에는 끼움홀(15)을 형성하여 끼움샤프트(33)가 고정부(21)를 통하여 삽입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단자에 있어서, 접속단자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곡부(13)는 높이(a) 및 상부로 경사지면서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그 폭(b)이 도 1에 도시된 종래 전선연결단자의 접속단자와 비교하여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전선을 전선삽입부(25)를 통하여 삽입하여 절곡부(13)에 닿는 경우의 수를 증가시켜 접촉불량을 최소화시키도록 하였으며, 상부로 연장될수록 상부의 폭(b)이 커져 짧은 전선을 삽입한 경우라도 닿을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단자에 있어서, 끼움단자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본체단자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단자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1)는 상부 양측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전선열결단자의 본체부에 구성된 고정부와 달리 상기 끼움단자(30)가 접속단자(10)의 눌림부(11)를 가압하기 위하여 플레이트(31)의 일측에 외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끼움단자(30)의 끼움샤프트(33) 및 샤프트지지부(35)가 상기 고정부(21)를 가압하게 된다. 이를 반복하게 되면 상기 고정부(21)의 상부 양측이 쉽게 마모되어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21)의 상부 양측을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21)를 사다리꼴 형상으로 가공하여 상부는 고정하는 역할을 하면서 상부 측면부는 상기 끼움단자(30)가 가압하여도 마모 또는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37)는 외측의 폭이 내측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37)는 가압홀(23)을 통하여 상기 눌림부(11)를 가압하여 전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데, 종래 전선연결단자의 가압부는 사각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플레이트(31)를 가압하는데 소정의 힘이 소모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단자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37)는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눌림부(11)를 가압하는데 드는 힘을 감소시켜 사용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단자(30)는 상기 끼움샤프트(33)의 상부에 탄성소재의 샤프트지지부(3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전선연결단자는 끼움샤프트(33)의 상부에 샤프트지지부(35)를 형성하여 플레이트(31)의 하부를 지탱하고 상기 고정부(21)에 끼움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31)의 일측을 가압하게 되면 끼움결합된 고정부(21)가 상기 샤프트지지부(35)와 마찰이 발생되어 마모나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감소하기 위하여 샤프트지지부(35)를 탄성소재로 형성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이나 우레탄 소재로 형성된 샤프트지지부(35)를 통하여 상기 고정부(21)를 가압할 경우 완충 역할을 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단자에 있어서, 상기 본체단자(20)는 피복절단정도 측정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 전선연결단자의 경우 전선을 전선삽입부(25)에 깊숙히 삽입하게 되면 접속단자(10)에 전선 부분이 접촉되지 않고 피복 부분이 접촉되어 상호 연결이 되지 않아 접촉 불량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연결단자에는, 상기 본체단자(20)의 측면에 내부가 보이도록 하여 피복절단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피복절단정도 측정부(40)를 형성한다. 따라서, 과도한 전선 삽입으로 인한 접촉 불량을 방지하고 필요한 만큼 전선을 더 삽입하거나 빼내어 상호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피복절단정도 측정부(40)에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미세한 길이 차이를 측정하게 되어 전선과 접속단자가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전선연결단자
10 : 접속단자
11 : 눌림부
13 : 절곡부
15 : 끼움홀
20 : 본체단자
21 : 고정부
23 : 가압홀
25 : 전선삽입부
30 : 끼움단자
31 : 플레이트
33 : 끼움샤프트
35 : 샤프트지지부
37 : 가압부
40 : 피복절단정도 측정부

Claims (5)

  1. 상단에 고정부가 구성되며 양단에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삽입부를 형성하는 본체단자, 상기 본체단자의 내부에 삽입되며 양단이 굽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중앙에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며 끼움홀이 형성된 절곡부로 구성된 접속단자 및 양단 하부에 가압부를 형성하며 중앙에 형성된 끼움샤프트가 상기 본체단자 상단에 형성된 고정부에 끼움결합되는 끼움단자를 포함하는 전선연결단자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접속단자의 양단이 일정각도 경사지도록 굽은 형상을 가지는 눌림부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부로 경사지면서 연장되며,
    상기 본체단자는 눈금이 형성되어 있는 피복절단정도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부 양측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외측의 폭이 내측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단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단자는 상기 끼움샤프트의 상부에 탄성소재의 샤프트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단자.
  5. 삭제
KR1020170165016A 2017-12-04 2017-12-04 전선연결단자 KR101997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016A KR101997216B1 (ko) 2017-12-04 2017-12-04 전선연결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016A KR101997216B1 (ko) 2017-12-04 2017-12-04 전선연결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643A KR20190065643A (ko) 2019-06-12
KR101997216B1 true KR101997216B1 (ko) 2019-07-05

Family

ID=66845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016A KR101997216B1 (ko) 2017-12-04 2017-12-04 전선연결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2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370B1 (ko) * 2021-05-25 2024-01-08 한국전력공사 배전선로용 접지 커넥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635B1 (ko) * 2016-04-19 2017-03-15 최종하 전선 연결단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4425A (ja) * 1991-10-23 1993-05-07 Tokyo Electric Co Ltd 電線接続装置
KR20090009562U (ko) * 2008-03-19 2009-09-23 주식회사보림전자 전선연결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635B1 (ko) * 2016-04-19 2017-03-15 최종하 전선 연결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643A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8630B2 (ja)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6741040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装置
US7637783B2 (en) Contact member having multiple contact parts and connector including same
US763527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118409B2 (en) Connector and cable retainer
US6079987A (en) Connector for electronic parts
WO2013054910A1 (ja) 端子
US7402049B2 (en) Contact for an interposer-type connector array
TWI517504B (zh) Electrical connector
US10396483B2 (en) Terminal and connector for connecting board including the same
TW200729646A (en) Electric connector
TWI677686B (zh) 接觸器
KR101113591B1 (ko) 마이크로 usb 소켓
KR101997216B1 (ko) 전선연결단자
JP2006339088A (ja) 電気コネクタ
US11162979B2 (en) Plate spring-type connecting pin
TWI427863B (zh) 具備上下電觸點結構之彈簧式接地端子
US7284999B1 (en) Electrical connector
US10840628B2 (en) Connector
WO2020012768A1 (ja) 電気コネクタ
KR101922566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9472880B2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KR102205885B1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시험 장치
KR101759156B1 (ko) 전력선통신용 계량기 접속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1837820B2 (en) Clippable interconnection module and associated connection co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