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188B1 - 왁스 분산액 - Google Patents

왁스 분산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188B1
KR101997188B1 KR1020120141191A KR20120141191A KR101997188B1 KR 101997188 B1 KR101997188 B1 KR 101997188B1 KR 1020120141191 A KR1020120141191 A KR 1020120141191A KR 20120141191 A KR20120141191 A KR 20120141191A KR 101997188 B1 KR101997188 B1 KR 101997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x
dispersion
block copolymer
po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3211A (ko
Inventor
이성화
김일혁
김구면
최대웅
김동원
백두만
박형담
Original Assignee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정밀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188B1/ko
Publication of KR20140073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3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1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e.g. anisotropy, viscosity or electrical condu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53Core-shell polymer

Abstract

왁스 분산액이 개시된다. 개시된 왁스 분산액은 고분자 분산제로서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왁스 분산액{Wax dispersion}
왁스 분산액이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분자 분산제로서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을 포함하는 왁스 분산액이 개시된다.
왁스 분산액은 레이져 프린터용 토너, 잉크, 페인트, 가정용 바닥재의 보호재, 방청제, 또는 발수제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왁스 유화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왁스 유화기술로는 호모 믹서(homo mixer)나 고압 균질기(high pressure homogenizer)등의 기계력에 의해 왁스의 에멀젼을 제조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일본공개특허 제2002-308994호 등). 상기 방법은 500~1,000kg/cm2의 고압으로 왁스의 유화를 진행함으로써 과다한 에너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왁스의 유화기술은 일반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만, 이러한 계면활성제는 왁스의 내수성(water-resisting qualities) 및 방오성 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왁스 에멀젼을 열전사 리본용 첨가제로 사용하면 상기 열전사 리본의 내블로킹성, 내수성, 밀착성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왁스 분산액은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기술은 왁스 분산액의 제조에 과다한 에너지를 요구하거나, 계면활성제의 사용에 따른 물성 저하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고분자 분산제로서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을 포함하는 왁스 분산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물 및 수용성 유기용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분산매;
상기 분산매 중에 분산되고 마이셀의 형태로 존재하는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및
상기 마이셀 형태의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와 결합되거나 그 부근에 위치하는 왁스를 포함하는 왁스 분산액을 제공한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는 소수성 블록 세그먼트와 친수성 블록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친수성 블록 세그먼트가 PEG(polyethylene glycol) 블록, 당고분자(glycopolymer) 블록, PAA(polyacrylic acid) 블록, PMAA(poly(methacrylic acid)) 블록, P2VP(poly(2-vinylpyridine)) 블록, P4VP(poly(4-vinylpyridine)) 블록, PEI(polyethylenimine) 블록 및 PLL(poly(L-lysine)) 블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소수성 블록 세그먼트가 PPO(polypropylene oxide) 블록, PBO(polybutylene oxide) 블록, PS(polystyrene) 블록,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블록, PD(polydiene) 블록, PLGA(poly(D,L-lactic-co-glycolic acid)) 블록, PLA(polylactide) 블록 및 폴리아미노산 블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100,000일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는 40~400nm의 부피평균입경(D50(v))을 갖는 복수의 마이셀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왁스 분산액의 5~20중량%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왁스는 파라핀계 왁스, 폴리에스테르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 왁스를 상기 왁스 분산액의 5~30중량% 범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왁스 분산액은, 고분자 분산제로서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을 포함함으로써, 장기 보존시 분산액의 증점 및 겔화 현상의 발생이 억제되어 분산 안정성이 향상된 왁스 분산액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왁스 분산액은 장기 보존시 왁스 입자의 침강이 발생하더라도 재분산성이 양호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왁스 분산액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왁스 분산액의 TEM 사진이다.
도 3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왁스 분산액의 TEM 사진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왁스 분산액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왁스 분산액은, 분산매, 상기 분산매에 분산된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amphiphilic block copolymer) 및 상기 분산매에 분산된 왁스를 포함하고,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는 마이셀의 형태로 존재한다. 본 명세서에서, “마이셀(micelle)”이란 코어(도 1의 21) 및 상기 코어에 결합된 코로나(도 1의 22)를 포함하는 콜로이드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분산매는 물 및 수용성 유기용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은 정제수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유기 용매의 비유전율은 5 이상, 예를 들어, 1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유기 용매의 비유전율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왁스 분산액의 비유전율이 충분이 높아져서 왁스 입자들간의 정전 반발력이 커지고, 이에 따라 상기 왁스 분산액의 분산 안정성이 높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비유전율 범위를 충족하는 수용성 유기 용매로는 에테르(ether)류, 알코올(alcohol)류, 에테르 알코올(ether alcohol)류, 에스테르(ester)류, 케톤(ketone)류, 산류, 아민류, 산아민류 등의 유기용매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성 유기용매는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트리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tr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propylene glycol monobutyl ether),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디메틸 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탄산 에틸렌, 탄산 프로필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은 상기 왁스 분산액에서 고분자 분산제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는 소수성 블록 세그먼트와 친수성 블록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은 왁스 입자의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쳐, 상기 왁스 분산액에서 왁스 입자에 정전기적 또는 구조적인 안정성을 부여하여 왁스 입자가 침전(separation)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친수성 블록 세그먼트는 PEG(polyethylene glycol) 블록, 당고분자(glycopolymer) 블록, PAA(polyacrylic acid) 블록, PMAA(poly(methacrylic acid)) 블록, P2VP(poly(2-vinylpyridine)) 블록, P4VP(poly(4-vinylpyridine)) 블록, PEI(polyethylenimine) 블록 및 PLL(poly(L-lysine)) 블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소수성 블록 세그먼트는 PPO(polypropylene oxide) 블록, PBO(polybutylene oxide) 블록, PS(polystyrene) 블록,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블록, PD(polydiene) 블록, PLGA(poly(D,L-lactic-co-glycolic acid)) 블록, PLA(polylactide) 블록 및 폴리아미노산 블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는 PEG-b-PLA, PEG-b-PMMA, PEG-b-PLGA, PEG-b-PS, PEI-b-PLGA, PLL-b-폴리아미노산, 당고분자-b-PMMA, PMAA-b-PD, PMAA-b-PPO, PMAA-b-PBO, PMAA-b-PS, P2VP-b-PS, P4VP-b-PS 및 PAA-b-PS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100,000일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는 40~400nm의 부피평균입경(D50(v))을 갖는 복수의 마이셀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마이셀의 부피평균입경(D50(v))”이란 마이셀의 입경을 측정하여 작은 입자부터 부피를 누적할 경우 총 부피의 50%에 해당하는 입경을 의미한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은 상기 왁스 분산액의 5~20중량%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왁스 분산액은 우수한 분산 안정성 및 적당한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왁스는 상기 마이셀 형태의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와 결합되거나 그 부근에 위치한다.
상기 왁스는 파라핀계 왁스 및 폴리에스테르 왁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라핀계 왁스는 C20~C36의 직쇄형 포화 탄화수소를 주체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30~500의 중량평균분자량 및 40~80℃의 융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왁스는 상기 파라핀계 왁스와 상기 폴리에스테르 왁스의 혼합 왁스, 예를 들어, HNP-9 또는 HNP-11왁스일 수 있다.
상기 왁스의 함량은 상기 왁스 분산액의 5~30중량%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왁스의 함량이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왁스 분산액이 이형성의 부여를 위해 토너 등에 사용될 경우 이형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으며, 또한 높은 분산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은 상기 왁스 분산액에서 고분자 분산제로 작용함으로써, 상기 왁스의 경시적 분산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왁스 분산액은 토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왁스 분산액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왁스 분산액의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왁스 분산액은 분산매(10) 및 마이셀(20)을 포함한다.
분산매(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물 및 수용성 유기용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셀(20)은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응집체이다.
마이셀(20)은 소수성 코어(21)와 친수성 코로나(22)를 포함한다.
소수성 코어(21)는 마이셀(20)의 내부에 위치하고, 친수성 코로나(22)는 마이셀(20)의 표면에 위치하여 분산매(10)와 접촉한다.
왁스(미도시)는 마이셀(20) 내부의 소수성 코어(21)에 결합되어 있거나, 그 부근에 위치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왁스는 분산매(10)에 분산된 마이셀(20) 쪽으로 이동하여 마이셀(20)과 마찬가지로 분산매(10)에 균일하게 분산되게 된다.
이하, 상기 왁스 분산액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왁스 분산액의 제조방법은, 분산매,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및 왁스를 혼합하여 왁스 혼합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왁스 혼합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분산매,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및 상기 왁스는 전술한 것들과 각각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왁스 분산액의 제조방법은, 상기 분산매와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얻는 단계(S10), 상기 제1 혼합물을 1차 열처리하여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을 형성하고, 결과로서 제2 혼합물을 얻는 단계(S20), 상기 제2 혼합물에 왁스를 첨가하여 제3 혼합물을 얻는 단계(S30), 및 상기 제3 혼합물을 2차 열처리하여 상기 왁스를 녹이고, 결과로서 제4 혼합물을 얻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S10)에서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상기 단계(S20)에서 형성되는 마이셀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이 감소할수록 상기 마이셀의 크기가 감소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최종 왁스 분산액 중의 왁스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이셀의 크기가 감소할수록 상기 왁스 입자의 크기가 감소한다.
또한, 상기 단계(S10)에서는 상기 제1 혼합물 중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을 한계 마이셀 농도(CMC: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이상으로 조절한다. 본 명세서에서, “한계 마이셀 농도”란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가 마이셀을 형성하기 시작하는 농도를 의미한다.
상기 단계(S20)에서 상기 1차 열처리는 60~80℃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열처리 온도가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이 원활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마이셀들 중 소수성 블록 세그먼트들간의 상호작용이 강하지 않아 상기 마이셀의 내부에 왁스가 용이하게 포집될 수 있다.
상기 단계(S20)는 교반하에 1~24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S20)에서는 고압 분산기(high pressure homogenizer)와 같은 별도의 분산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이 상기 분산매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단계(S30)에서 상기 제2 혼합물에 첨가되는 왁스는 고형 왁스일 수 있다.
상기 단계(S40)에서는 상기 왁스가 녹은(melted) 다음, 상기 분산매를 매개로 하여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구체적으로, 소수성 코어)로 이동한다. 만일, 상기 왁스가 고체 상태로 존재할 경우에는, 상기 왁스는 상기 마이셀의 소수성 코어쪽으로 거의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단계(S40)에서 상기 2차 열처리는 90~95℃의 온도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2차 열처리 온도가 상기 범위이내이면, 상기 왁스가 잘 녹으며, 상기 분산매가 끓어 오르지 않아 균일한 왁스 분산액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단계(S40)는 교반하에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40)는 상기 왁스가 상기 마이셀 쪽으로 전부 이동할 때까지 지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계(S40)는 교반하에 1~3시간 동안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왁스 분산액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4 혼합물을 냉각한 후 여과하는 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단계(S40)에서는 고압 분산기와 같은 별도의 분산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기 왁스가 상기 분산매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상기 단계(S50)에서는 상기 제4 혼합물을 상온(약 25℃)로 냉각한 후, 소정 크기의 필터로 여과하여 원하는 크기의 마이셀 입자를 갖는 왁스 분산액을 얻는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4
교반기 및 히터가 장착된 20L 반응기에, 물(정제수)과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를 투입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기의 내용물을, 교반하에, 65℃의 온도로 가열한 후, 상기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결과로서,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복수의 마이셀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반응기에, 고형 왁스(HNP-9, 일본 세이로 제품)를 투입한 다음, 상기 반응기의 내용물을, 교반하에, 92℃의 온도로 가열한 후, 상기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이후, 상기 반응기의 내용물을 상온(25℃)으로 냉각한 다음, 100㎛의 공극 크기를 갖는 필터로 여과하였다. 결과로서, 왁스 분산액을 얻었다. 상기 반응기에 투입된 성분들의 종류 및/또는 함량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아울러,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복수의 마이셀의 부피평균입경(D50(v))을 Microtrac Inc의 Microtrac 252를 사용하여 측정한 후,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중량%)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왁스(중량%) 마이셀의 D50(v)(nm)
종류 함량(중량%)
실시예 1 80 PMAA-b-PS*1 15 5 45
실시예 2 70 PMAA-b-PD*2 15 15 350
실시예 3 85 PMAA-b-PS*1 5 10 120
실시예 4 60 PMAA-b-PS*1 20 20 113
*1: 제조사: Polymer Source, 상품명: P5918-SAA, 중량평균분자량: 9,200
*2: 제조사: Polymer Source, 상품명: P5530A-BdAA, 중량평균분자량: 9,700
비교예 1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대신에 DF2A1(Dow Chemical Company)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왁스 분산액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왁스 분산액의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왁스 분산액의 안정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제조 직후 대비 4주 경과후 왁스 입자의 부피평균입경(D50(v))의 변화)
상기 각 분산액에서 왁스 입자의 부피평균입경(D50(v))을 Microtrac Inc의 Microtrac 252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왁스 입자의 부피평균입경(D50(v))”이란 왁스 입자의 입경을 측정하여 작은 입자부터 부피를 누적할 경우 총 부피의 50%에 해당하는 입경을 의미한다.
(분산 안정성(보관 안정성))
상기 각 왁스 분산액 100mL를 100mL 메스실린더에 넣고 상온(25℃)에서 4주간 정치시킨 다음, 왁스 입자의 침강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4가지 단계로 구분하였다.
◎: 침강층이 왁스 분산액 전체 높이의 3% 미만
○: 침강층이 왁스 분산액 전체 높이의 3% 이상 10% 미만
△: 침강층이 왁스 분산액 전체 높이의 10% 이상 20% 미만
×: 침강층이 왁스 분산액 전체 높이의 20% 이상
(재분산성)
2주 경과후의 침강층의 비율과 메스실린더를 3회 상하 반전시킨 뒤 침강층의 재분산성을 육안으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4가지 단계로 구분하였다.
◎: 침강층이 왁스 분산액 전체 높이의 3% 미만이면서 재분산 가능
○: 침강층이 왁스 분산액 전체 높이의 3%이상 10% 미만이면서 재분산
가능
△: 침강층이 왁스 분산액 전체 높이의 10% 이상 20% 미만이면서 재분산
가능
×: 침강층이 왁스 분산액 전체 높이의 20% 이상이면서 재분산 불가능
상기와 같은 왁스 분산액의 안정성 평가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제조 직후 D50(v)(nm) 4주경과 후 D50(v)(nm) 분산 안정성
(보관 안정성)
재분산성
실시예 1 45 50
실시예 2 350 370
실시예 3 120 143
실시예 4 113 133
비교예 1 215 265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제조 직후 대비 4주 경과 후 왁스 분산액 중 왁스 입자의 입도 변화를 살펴보면, 실시예 1~4의 경우는 23nm 이하이고, 비교예 1의 경우는 50nm인 것으로 나타나, 실시예 1~4의 경우가 비교예 1의 경우에 비해 입도 변화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분산 안정성(보관 안전성)은 실시예 1~4의 경우가 비교예 1의 경우와 같거나 이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분산성은 실시예 1~4의 경우가 비교예 1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상기 왁스 분산액의 제조방법에 따라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마이셀을 분산제로 사용하여 제조한 왁스 분산액은 일반적인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왁스 분산액 보다 분산 안정성(보관 안전성) 및 재분산성중 적어도 하나의 특성이 향상되었다.
평가예 2: 왁스 분산액의 TEM 분석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왁스 분산액의 TEM 사진을 촬영하여 도 2 및 도 3에 각각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왁스 분산액의 제조시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분자량을 조절함으로써 왁스 입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 및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구현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분산매 20: 마이셀
21: 코어 22: 코로나

Claims (6)

  1. 물 및 수용성 유기용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분산매;
    상기 분산매 중에 분산되고 마이셀의 형태로 존재하는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 및
    상기 마이셀 형태의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와 결합되거나 그 부근에 위치하는 왁스를 포함하고,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100,000이고,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는 40~400nm의 부피평균입경(D50(v))을 갖는 복수의 마이셀의 형태로 존재하고,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의 함량이 5~20중량% 범위이고,
    상기 왁스의 함량이 5~30중량% 범위인 왁스 분산액.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친매성 블록 공중합체는 소수성 블록 세그먼트와 친수성 블록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친수성 블록 세그먼트가 PEG(polyethylene glycol) 블록, 당고분자(glycopolymer) 블록, PAA(polyacrylic acid) 블록, PMAA(poly(methacrylic acid)) 블록, P2VP(poly(2-vinylpyridine)) 블록, P4VP(poly(4-vinylpyridine)) 블록, PEI(polyethylenimine) 블록 및 PLL(poly(L-lysine)) 블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소수성 블록 세그먼트가 PPO(polypropylene oxide) 블록, PBO(polybutylene oxide) 블록, PS(polystyrene) 블록,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블록, PD(polydiene) 블록, PLGA(poly(D,L-lactic-co-glycolic acid)) 블록, PLA(polylactide) 블록 및 폴리아미노산 블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블록을 포함하는 왁스 분산액.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가 파라핀계 왁스, 폴리에스테르 왁스 또는 이들의 혼합 왁스를 포함하는 왁스 분산액.
KR1020120141191A 2012-12-06 2012-12-06 왁스 분산액 KR101997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191A KR101997188B1 (ko) 2012-12-06 2012-12-06 왁스 분산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1191A KR101997188B1 (ko) 2012-12-06 2012-12-06 왁스 분산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211A KR20140073211A (ko) 2014-06-16
KR101997188B1 true KR101997188B1 (ko) 2019-07-05

Family

ID=5112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1191A KR101997188B1 (ko) 2012-12-06 2012-12-06 왁스 분산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8661A1 (ko) * 2014-12-31 2016-07-07 (주)아모레퍼시픽 화학적 이방성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효능 원료가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
WO2016108659A1 (ko) * 2014-12-31 2016-07-07 (주)아모레퍼시픽 표면 개질된 양친매성 이방성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유화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WO2016108583A1 (ko) * 2014-12-31 2016-07-07 (주)아모레퍼시픽 화학적 비대칭 이방성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유중수화(w/o) 유화 조성물
KR101889327B1 (ko) * 2014-12-31 2018-09-20 (주)아모레퍼시픽 다양한 유화 입자 사이즈를 함유하는 혼성 유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6108579A1 (ko) * 2014-12-31 2016-07-07 (주)아모레퍼시픽 화학적 이방성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6108567A1 (ko) * 2014-12-31 2016-07-07 (주)아모레퍼시픽 다양한 유화 입자 사이즈를 함유하는 혼성 유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08347B1 (ko) * 2014-12-31 2018-10-17 (주)아모레퍼시픽 화학적 비대칭 이방성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유중수화(w/o) 유화 조성물
KR102071511B1 (ko) * 2015-11-27 2020-01-30 (주)아모레퍼시픽 미세 왁스 입자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67055B1 (ko) * 2015-11-27 2020-01-17 (주)아모레퍼시픽 세라마이드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74297B1 (ko) * 2015-11-27 2020-02-07 (주)아모레퍼시픽 광 간섭 안료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50397B1 (ko) * 2015-11-27 2019-12-02 (주)아모레퍼시픽 극성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유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994A (ja) 2001-04-13 2002-10-23 Seiko Kagaku Kogyo Co Ltd ワックス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0069B1 (ko) * 2002-11-29 2006-03-13 주식회사 태평양 생분해성 양친성 블록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60093934A1 (en) * 2004-10-31 2006-05-04 Timothy Roberts Dry toners comprising amphipathic copolymeric binder and non-volatile plasticizer
US20110118361A1 (en) * 2008-01-07 2011-05-19 Mitsui Chemicals, Inc. Novel polymer particles and use thereof
KR20100020721A (ko) * 2008-08-13 2010-02-23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분산 안정성이 향상된 왁스 분산액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994A (ja) 2001-04-13 2002-10-23 Seiko Kagaku Kogyo Co Ltd ワックスエマルジョン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3211A (ko)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7188B1 (ko) 왁스 분산액
KR102322827B1 (ko) 분말상 용융 열가소성 폴리머
JP6628814B2 (ja) ポリイミド前駆体の材料押出し付加製造
KR102439242B1 (ko) 초미세 구형 폴리머 입자의 제조를 위한 유화 방법
WO2017127569A1 (en) Additive processing of fluoroelastomers
US20210206061A1 (en) Method of forming a three-dimensional body
US20200283300A1 (en) Method for producing hollow silica particles
JP6161230B2 (ja) 難燃性材料を加工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WO2005090056A1 (de) Lasersintern mit lasern mit einer wellenlänge von 100 bis 3000 nm
TWI588196B (zh) Polyvinyl acetal microparticles for aqueous dispersions
CN107849257B (zh) 制备聚合物分散体的方法以及由此制备的聚合物分散体
EP3700966B1 (en) Process for forming a powder
JP4662804B2 (ja) 中空樹脂微粒子、中空樹脂微粒子の製造方法、及び、複合材
US10125252B2 (en)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microparticles, dispersion liquid and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ethod of producing said microparticles
DE2429200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merdispersionen
JPH0373317A (ja) ポリ(シロキサン―グリコール)界面活性剤を含有する水ベースの離型剤組成物
WO2002064669A1 (fr) Procede de production d"une composition de resine coloree et utilisation de cette composition
EP3303449A1 (en) Laser-initiated additive manufacturing of polyimide precursor
US8921469B2 (en) Solvent composition and wire coating medium
Fustin et al. Multiple micellar morphologies from tri‐and tetrablock copoly (2‐oxazoline) s in binary water–ethanol mixtures
JP6986631B2 (ja) ポリアミド4粒子の製造方法
JP2011148888A (ja) ポリ乳酸系樹脂エマルション
KR100867984B1 (ko) 나일론 6을 이용한 레이저 소결용 분말,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이용한 성형체
JP7168821B1 (ja) 熱膨張性マイクロカプセル
KR101584515B1 (ko) 화학적으로 제조된 천연 오일계 토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