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736B1 -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돼지 신장 유래 세포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돼지 신장 유래 세포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736B1
KR101996736B1 KR1020170181030A KR20170181030A KR101996736B1 KR 101996736 B1 KR101996736 B1 KR 101996736B1 KR 1020170181030 A KR1020170181030 A KR 1020170181030A KR 20170181030 A KR20170181030 A KR 20170181030A KR 101996736 B1 KR101996736 B1 KR 101996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cell line
ksbv
cells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진
김윤성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성 filed Critical 김윤성
Priority to KR1020170181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7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84Cells of the urinary tract or kidneys
    • C12N5/0686Kidney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0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 C07K16/1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viruses from RNA viruses
    • C07K16/1009Picornaviridae, e.g. hepatitis A vir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05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omprising antibod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770/00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ssRNA viruses positive-sense
    • C12N2770/00011Details
    • C12N2770/32011Picornaviridae
    • C12N2770/32051Methods of production or purification of viral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Sacbrood virus)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수탁번호 KCTC 13435BP로 기탁된 돼지 신장(porcine kidney) 조직배양세포 유래의 PK C4 세포주, 상기 세포주를 이용한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증식 또는 검출 방법 및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에 대한 다클론항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돼지 신장 유래 세포주 및 이의 용도{Cell line derived from porcine kidney for mass production of Sacbrood virus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돼지 신장 유래 세포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Sacbrood virus)에 의해 유발되는 낭충봉아부패병은 꿀벌의 감염성 전염병으로, 꿀벌의 유충에 발생하는 주요 질병 중 하나이다. 이 병에 걸린 꿀벌의 유충은 벌집 내에서 썩어 말라붙는 점에서 부저병(foulbrood)과 유사하지만 전혀 다른 질병이다. 이 병의 발생 초기의 모습이 물집이 생긴 모습과 비슷하여 낭충병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병이 발병한 꿀벌의 유충들은 몸에 물집이 생긴 듯 액이 꽉 차고 피부가 굳어지기 시작하며 몸은 백색에서 점차 회황색으로 변해 가다가 머리 쪽부터 갈색 내지 회갈색으로 되어 나중에는 암갈색으로 변하면서 점차 말라 벌집에 남는다. 성충벌의 몸에 머물러 증식해 있던 바이러스 입자는 주로 먹이를 통해 벌 유충의 체내에 들어간다. 바이러스 감염 2일부터 증상이 나타나며 이 병에 걸린 유충들은 허물을 벗지 못하며 번데기가 되지 못하고 죽어서 썩게 되어 심한 부패취를 발생시킨다.
서양종 꿀벌에서 발병하여 피해를 주고 있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는 1913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고, 동양종 꿀벌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는 중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Chinese Sacbrood Virus)는 1972년 중국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국내에서는 2010년 봄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낭충봉아부패병은 양봉산업에 커다란 피해를 입히는 심각한 전염병이나, 바이러스성 질병인 낭충봉아부패병에 대한 치료제가 현재까지 없다. 이는, 꿀벌 유래 주화세포(established cell line)가 없기 때문에 이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에 많은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현재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에는 항원을 진단하는 효소중합연쇄반응법(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이 있으나 세포배양을 통한 바이러스를 분리하는 방법이 쉽지 않고 항원의 정량적 측정 방법 역시 뚜렷하게 개발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곤충 바이러스인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안정적이고 대량으로 증식시킬 수 있는 동물세포 유래 세포주를 개발하였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437465호에는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감염 진단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단 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600983호에는 건조 인진쑥, 건조 뽕잎 및 건조 모시잎의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꿀벌의 낭충봉아부패병 예방 및 치료제'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돼지 신장 유래 세포주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기재된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곤충 바이러스인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Sacbrood virus)를 대량으로 증식시킬 수 있는 동물세포 유래 세포주를 찾기 위해, 벌 유충세포를 동물세포 배양배지에서 증식할 수 있게 적응시킨 후, 바이러스를 유충세포에 접종하여 감염시키고, 상기 바이러스가 감염된 유충세포 배양액에 돼지 신장 유래 세포를 혼합하여 배양시켰다. 그 결과,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세포변성효과(cytopathic effect)가 나타나는 돼지 신장 유래 세포가 확인되었고, 돼지 신장 유래 세포 중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민감도 및 바이러스 증식능이 우수한 클론을 개발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Sacbrood virus)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수탁번호 KCTC 13435BP로 기탁된 돼지 신장(porcine kidney) 조직배양세포 유래의 PK C4 세포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감염이 의심되는 꿀벌 유충의 시료를 수탁번호 KCTC 13435BP로 기탁된 돼지 신장 조직배양세포 유래의 PK C4 세포주에 처리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탁번호 KCTC 13435BP로 기탁된 돼지 신장 조직배양세포 유래의 PK C4 세포주를 이용한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증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으로 증식된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SBV)를 동물에 주입하여 항혈청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생산된 항혈청에서 다클론항체를 분리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에 대한 다클론항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에 대한 다클론항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클론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낭충봉아부패병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꿀벌에 처리하여 낭충봉아부패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탁번호 KCTC 13435BP로 기탁된 돼지 신장 유래 PK C4 세포주는, 곤충 바이러스인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대량으로 생산가능하여, 낭충봉아부패병에 대한 치료제 개발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세포주는 바이러스 감염 후 1~2일 내에 세포변성효과(cytopathic effect)가 나타나므로, 기존 PCR 기법에 비해 검출이 용이하고, 정확도 또한 PCR 기법에 비해 우수하여, 검체 내의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검출 및 진단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배양 3일째의 정상 PK C4 세포(cell cluster)의 배양 사진이다.
도 2는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후, 3일째의 PK C4 세포주의 배양 사진으로, 세포변성효과가 나타나 세포가 사멸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Sacbrood virus)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수탁번호 KCTC 13435BP로 기탁된 돼지 신장(porcine kidney) 조직배양세포 유래의 PK C4 세포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PK C4 세포주는 동물세포(돼지 신장) 유래이나, 곤충(꿀벌의 유충) 세포를 숙주로 하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가 세포 내에서 증식될 수 있는 세포주이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PK C4 세포주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감염 초기에(1~2일 후) 세포변성효과(cytopathic effect)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세포변성효과(cytopathic effect)'란, 조직배양세포에 바이러스를 감염시키면 감염세포는 바이러스로 인해 변성을 일으켜 괴사하게 되는데, 이를 바이러스의 세포변성효과라 한다. 현미경적으로 세포변성의 정도를 관찰할 수 있고, 결국에 세포는 유리면에서 탈락하게 된다. 종양바이러스는 감염세포 내에서 이상하게 증식하는데 세포변성효과는 흔히 나타나지 않는다. 세포변성효과는 바이러스 증식의 지표가 되므로, 세포변성효과의 관찰은 바이러스의 분리 및 배양에 있어서 중요하다. 또한, 세포변성효과는 바이러스에 따라 특유한 형태를 나타내는 동시에 출현까지의 시간도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증식이 빠른 바이러스(예컨대, 엔테로바이러스(enterovirus) 또는 단순헤르페스바이러스(herpes simplex virus))는 바이러스 접종 후 조기에(1 ~ 2일) 나타나고, 증식이 더딘 바이러스인 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cytomegalovirus)에서는 바이러스 접종 후 2~3주일에 세포변성효과가 나타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PK C4 세포주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대량으로 증식시킬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1 x 105 ~ 1 x 108 TCID50/0.01ml의 농도로 생산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분리 및 배양할 수 있는 세포주는 현재까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본 발명의 돼지 신장 조직배양세포 유래 PK C4는 상기와 같이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에 감염이 되고, 상기 바이러스를 대량으로 증식시킬 수 있어, 본 발명자들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2017년 12월 15일자로 상기 세포주를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 13435BP).
본 발명은 또한,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Sacbrood virus)의 감염이 의심되는 꿀벌 유충의 시료를 수탁번호 KCTC 13435BP로 기탁된 돼지 신장 조직배양세포 유래의 PK C4 세포주에 처리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검출 방법은, 감염 의심 꿀벌 시료를 처리한 PK C4 세포가 세포변성효과를 나타내면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가 유충 시료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검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감염이 의심되는 꿀벌의 유충은 3 ~ 9일령의 유충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탁번호 KCTC 13435BP로 기탁된 돼지 신장 조직배양세포 유래의 PK C4 세포주를 이용한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검출 방법은,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에 의한 바이러스 검출 방법보다 민감도가 최대 103배 이상 우수하다(표 9 참고).
본 발명은 또한, 수탁번호 KCTC 13435BP로 기탁된 돼지 신장 조직배양세포 유래의 PK C4 세포주를 이용한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증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증식 방법은 구체적으로는,
(a)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또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함유 시료를 수탁번호 KCTC 13435BP로 기탁된 돼지 신장 조직배양세포 유래의 PK C4 세포주에 처리하여 배양하여 배양액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배양액을 회수하여 새로운 PK C4 세포주에 처리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증식 방법은,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1 x 105 ~ 1 x 108 TCID50/0.01ml의 농도로 생산하는 PK C4 세포주(수탁번호 KCTC 13435BP)를 이용하는 것으로,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또는 상기 바이러스 함유 시료를 PK C4 세포주에 처리하여 1차 배양한 후, 상기 1차 배양액을 회수하여 새로운 PK C4 세포주에 재처리하여 배양하여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대량으로 증식시킬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2~3 회 반복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PK C4 세포주를 이용하여 증식된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SBV)를 동물에 주입하여 항혈청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생산된 항혈청에서 다클론항체를 분리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에 대한 다클론항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에 대한 다클론항체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의 용어 '다클론항체(polyclonal antibody)'란 하나의 항원에 대하여 여러 개의 클론이 동시에 활성화되어 만들어진 항체를 의미한다. 즉, 하나의 항원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항원결정기(에피토프)를 인식하는 항체의 모임이 다클론항체인 것이다.
상기 용어 "항체"는 당업계에 공지된 용어이며 공지된 항원에 결합하는 분자 또는 분자의 활성 단편을 의미한다. 공지된 항원에 결합하는 활성 단편의 예는 Fab 및 F(ab')2 단편을 포함한다. 상기 활성 단편은 수많은 기술에 의해서 본 발명의 항체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항체의 활성 단편 분리에 대한 일반적인 기술들에 대한 설명은 문헌(예를 들면, Khaw, B.A. et al., (1982) J. Nucl. Med. 23:1011-1019)을 참조한다. 용어 "항체"는 또한 이특이적(bispecific) 및 키메라(chimeric) 항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다클론 항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물은 바람직하게는 돼지, 토끼, 생쥐 또는 염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항체의 제조에 이용되는 동물은 더 많은 항체를 분리할 수 있는 더 많은 양의 혈청을 가지는 비교적 큰 포유동물이 우선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동물에 면역원이 주입되면, 면역계의 B 세포를 자극하여 면역원에 대해 특이적인 면역글로불린(immunoglobulin, Ig)이 생산된다.
본 명세서의 용어 '항혈청(antiserum)'은 외부로부터 들어온 항원에 대해 특이적인 항체를 갖고 있는 혈청을 의미한다. 항원이 사람 및 실험동물의 체내에 들어가면 이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가 생성되는데, 새롭게 만들어진 항체는 혈액의 혈청(serum) 성분에 존재하게 되며, 이렇듯 항체를 포함한 혈청을 항혈청 또는 면역혈청이라고 부른다. 항체는 IgG, IgM, IgA, IgE, IgD 면역글로불린 중의 어느 것이지만, 통상은 그들의 혼합이고 혈청 내에 많은 다른 혈청단백질과 동시에 혼합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다클론항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클론 항체는 PK C4 세포주를 이용하여 증식된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SBV)로 면역시킨 동물의 항혈청에서 분리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항체는 여과, 투석, 이온 교환 크로마토그래피, 크기배제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와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항혈청으로부터 정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에 대한 다클론항체는, 곤충세포를 숙주로하는 곤충 감염성 바이러스를 곤충세포가 아닌 동물세포에 감염시켜, 동물세포 내에서 증폭 및 분리한 바이러스를 면역원으로 사용하여 동물세포에서 제조된 항체(면역글로불린)으로, 꿀벌의 감염성 바이러스인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증식시킬 수 있는 최초의 동물세포 유래 세포주를 이용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으며,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동물에서 추출한 항체를 최초로 곤충에 적용하여 치료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항체라는 점에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클론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낭충봉아부패병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다클론항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에 대한 다클론항체를 포함하는 치료용 조성물을 사용하면, 시료 내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가 다클론항체에 의해 중화되어 낭충봉아부패병이 치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낭충봉아부패병 치료용 조성물은 예를 들어, 직접 분사가능한 용액, 분말 및 현탁액의 형태 또는 고농축 수성, 유성 또는 다른 현탁액, 분산액, 에멀젼, 유성 분산액, 페이스트, 분진, 흩뿌림 물질 또는 과립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낭충봉아부패병 치료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예를 들어 용매 및/또는 담체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종종, 비활성 첨가제 및 표면-활성 물질, 예를 들어 유화제 또는 분산제를 제제에 혼합한다. 적합한 표면-활성 물질은 방향족 술폰산(예를 들어 리그노술폰산, 페놀-술폰산, 나프탈렌- 및 디부틸나프탈렌술폰산), 지방산, 알킬- 및 알킬아릴술포네이트, 알킬 라우릴 에테르, 지방 알코올 술페이트의 알칼리 금속, 알카라인 토금속, 암모늄염, 술페이트화 헥사-, 헵타- 및 옥타데칸올, 지방 알코올 글리콜 에테르의 염, 술포네이트 나프탈렌 및 이의 유도체,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나프탈렌 또는 나프탈렌술폰산, 페놀 및 포름알데히드의 축합물, 폴리옥시에틸렌옥틸 페놀 에테르, 에톡실화 이소옥틸-, 옥틸- 또는 노닐페놀, 알킬페닐 또는 트리부틸페닐 폴리글리콜 에테르, 알킬아릴폴리에테르 알코올, 이소트리데실 알코올, 지방 알코올/에틸렌 옥사이드 축합물, 에톡실화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라우릴 알코올 폴리글리콜 에테르 아세테이트, 소르비톨 에스테르, 리그닌-술파이트 폐액 또는 메틸셀룰로오스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적합한 고형 담체 물질은 원칙적으로, 모두 다공성이고, 농업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예를 들어 광물토류(예컨대 실리카, 실리카 겔, 실리케이트, 활석, 고령토, 석회암, 석회, 초크, 보울, 황토, 점토류, 백운석, 규조 토류, 황산칼슘, 황산 마그네슘, 산화마그네슘, 분쇄 합성물질), 비료(예컨대 황산암모늄, 인산암모늄, 질산암모늄, 우레아), 식물성 제품(예컨대 곡물 가루, 나무 껍질 가루, 목분(wood meal) 및 견과 껍질 가루) 또는 셀룰로오스 분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고형 담체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조성물을 꿀벌에 처리하여 낭충봉아부패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낭충봉아부패병 치료용 조성물은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에 대한 다클론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다클론항체는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낭충봉아부패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낭충봉아부패병 감염 의심 꿀벌의 봉군에 처리하여 낭충봉아부패병을 치료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치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낭충봉아부패병을 치료하기 위해 치료용 조성물을 물로 균일하게 희석한 후 동력살포기와 같은 적절한 살포장치를 이용하여 꿀벌 또는 봉군에 살포하거나, 다클론항체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꿀벌에 섭식시키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유효량'은 유익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일으키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벌 유충세포의 동물세포 배양배지 및 온도 조건 적응
통상적으로 꿀벌의 유충세포는 pH 6.5인 곤충 배지(insect medium)로 28 ~ 30℃의 저온부란기에 배양을 하는데, 곤충 배지에는 pH를 표시하는 지시약인 페놀 레드(phenol red)가 함유되어 있지 않아, 배양된 세포의 생사(生死)를 특수염색을 실시해서 확인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꿀벌의 유충세포를 37℃에서 배양하기 위하여 배양온도를 점진적으로 높였고, 배양액도 곤충 배지에서 동물세포 배양액인 알파 배지(Alpha medium)로 바꾸기 위하여, 곤충 배지 100%의 배양액에서 출발하여 차츰 알파 배지의 혼합비율을 높여 최종적으로 꿀벌의 유충세포를 알파 배지 100%로 37℃에서 배양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KSBV)에 감염된 토종벌 유충세포를 알파 배지로 자가 배양(autoculture)하여 3 ~ 4일 간격으로 배양액을 교환해가며 일년 이상 유지하고 있으며, 상기 세포의 배양액에서는 현재까지도 KSBV가 검출되고 있다. 가검물(可檢物)의 자가 배양법은 바이러스 분리율이 높고, 장기간 배양함으로써 조직배양 순화 약독주를 작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배양을 지속하고 있다.
토종벌 가검유충의 장기간 자가배양한 세포와 쌍살벌 유충세포에서 채독한 바이러스의 교차중화시험에 의한 동정
바이러스 배양기간 중화항체가 비고
KSBV - 256 -
쌍살벌 유충세포에서 채독한 바이러스 2016.09.30~2017.09.28 128 2017.09.22~28 채독
자가배양세포에서 채독한 바이러스 2016.09.30~2017.09.28 128 2017.09.22~28 채독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지(旣知)의 KSBV와 쌍살벌 유충세포에서 채독한 바이러스, 토종벌 가검유충의 자가배양세포에서 채독한 바이러스 모두 기지의 KSBV와 완전교차 중화가 성립되어, 장기간 배양한 자가배양세포에서 채독된 바이러스가 KSBV임이 동정되었다.
실시예 2. 돼지 신장 유래 세포의 곤충 바이러스(KSBV) 감염 여부 분석
본 발명자들은 기보유한 돼지 신장(porcine kidney) 유래 주화세포(이하 PK)에 KSBV를 적응시키기로 하였다. KSBV 바이러스는 꿀벌 유충에 감염 및 증식하는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으므로, PK 세포에서는 KSBV가 증식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쌍살벌 유충세포 부유액을 작은 원형 배양병에 분주함과 동시에 KSBV를 접종하고 37℃에 회전 배양하였으며, 이후 3 ~ 4일 간격으로 배양액을 교환하며 유지하였다.
배양액을 3차 교환할 때, 쌍살벌 유충세포에서 KSBV가 충분히 증식되였을 것이라 생각하고, PK 세포 부유액을 넣어 쌍살벌 유충세포와 혼합배양하였다. 이는 쌍살벌 유충세포에서 KSBV가 계속 방출되는 배양액 속에 PK 세포가 노출되므로 배양 과정 중에 계속하여 KSBV에 PK 세포가 접촉하게 되어 결국에는 KSBV가 PK 세포에 감염 및 증식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기 때문이다. 혼합배양 또한, 3 ~ 4일 간격으로 배양액을 교환하며 유지시켰고, 매일 현미경으로 PK 세포를 관찰하였다.
PK 세포를 혼합배양한 후 14일째에 PK 세포에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세포변성효과(cytopathic effect, CPE)의 초기에 나타나는, 단층세포가 융합되어 출현하는 다핵세포군(多核細胞群)이 PK 세포에서 나타나기 시작하였고, CPE는 계속 진행되어 혼합배양 41일 후 거의 완전한 CPE가 출현하여, 배양액을 채독하고 새로운 PK 세포에 처리하여 배양을 진행하였다.
KSBV 감염 유충세포와 혼합배양한 PK 세포의 변이과정
일자 PK 세포 변이 과정 비고
0 - -
14 세포 변이 시작 세포변성효과(CPE) 출현 시작, 다핵세포군 출현
41 완전한 CPE 보임 CPE의 마지막 단계인 세포 완전 파괴, 탈락
실시예 3. KSBV를 고농도로 생산하는 돼지 신장 유래 세포주 개발
상기 실시예 2를 통해 동물세포인 PK 세포가 곤충 바이러스인 KSBV에 감염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CPE가 너무 늦게 나타나고 최종 판독을 하는데 여러 날이 소요되었기 때문에, CPE가 빨리 출현하고 최종 판독을 단시일 내에 할 수 있는 세포를 클로닝 하기로 하였다.
PK 세포의 클로닝은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PK 세포 부유액을 하나의 웰에 한 개의 세포가 들어가게끔 희석하여 플레이트에 넣어주고, 세포의 증식 상태를 관찰하여 6개의 클론을 선별하여 증식시켰다.
KSBV (유충 제1주)와 KSBV (RCSV Cl 3주, 조직배양세포 순화 바이러스)의 2개의 바이러스를 클로닝된 6개의 PK 클론 세포에 처리한 후, 각 PK 클론 세포로부터 생산되는 바이러스의 역가, 바이러스의 증식성, CPE의 선명도 및 결과판독의 난이도 등을 조사하였다. CPE는 바이러스 접종량에 따라 1일 후부터 출현하기 시작하였고, 7일 후에 최종 판독을 진행하였다.
KSBV (유충 제1주) 처리된 PK 클론 세포의 특성 분석
클론 번호 TCID50/0.01㎖ 증식성 CPE 선명도 결과판독 비고
1 10^5 - - -
2 10^6 - - -
3 10^7 - - -
4 10^8 좋음 선명함 쉬움 CPE 출현 한계가 분명함
5 10^7 - - -
6 10^6 - - -
KSBV (유충 제1주)를 처리한 후, PK 클론 세포에서의 바이러스 역가를 측정하였을 때 클론 번호 4가 바이러스의 증식성이 제일 좋고, CPE도 선명하게 확인되며, CPE의 한계가 분명하여(clear-cut) 결과판독에 어려움이 없었다.
KSBV (RCSV Cl 3주) 처리된 PK 클론 세포의 특성 분석
클론 번호 TCID50/0.01㎖ 증식성 CPE 선명도 결과판독 비고
1 10^5 - - -
2 10^5 - - -
3 10^6 - - -
4 10^8 좋음 선명함 쉬움 CPE 출현 한계가 분명함
5 10^6 - - -
6 10^7 - - -
KSBV (RCSV Cl 3주) 처리 결과에서도, 클론 번호 4가 바이러스의 증식성, CPE 선명도 등이 가장 우수하여, 바이러스 역가 측정결과, CPE 선명도 및 결과판독의 난이도등을 비교분석한 결과를 종합하여 클론 번호 4를 KSBV의 대량 배양 및 역가측정용 세포로 선정하고, PK C4로 명명하였다. 상기 클론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에 2017년 12월 15일자로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 13435BP).
실시예 4. PK C4 세포주를 이용한 KSBV 분리 방법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5.0 x 105 세포/㎖의 PK C4 세포 배양액을 0.1ml씩 분주하고 6개의 가검유충 유제액을 10-진법으로 희석하여 처리한 후, 37℃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PK C4 세포를 이용하여 가검유충에서 KSBV를 분리하는 방법 (1대)
가검유충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A. 10X 유제액 3+* 6+ - - - - - -
B. 10X 유제액 - - - - 3+ 4+ - -
C. 10X 유제액 6+ 7+ 6+ - - - - -
D. 10X 유제액 6+ - - - - - - -
E. 10X 유제액 6+ - - - - - - 9+
F. 10X 유제액 6+ 6+ 6+ - 7+ 6+ - 6+
* 접종 후 CPE 출현한 경과 일 수.
조직배양세포에서 바이러스의 역가를 측정하였을 때 바이러스의 농도가 높은 희석배수부터 순차적으로, 한계가 분명하게 CPE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실제 결과에서는 CPE가 들쑥날쑥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KSBV가 감염될 숙주세포가 곤충이 아닌 동물세포인 까닭으로 유추되었다. 새로운 96 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PK C4 세포 부유액를 웰당 0.1ml씩 분주하고, 상기 표 5의 마이크로플레이트 배양액을 0.01ml씩 옮겨 접종하였다. 그 후, CPE 출현 일자를 다시 분석하였다.
PK C4 세포를 이용하여 가검유충에서 KSBV를 분리하는 방법 (2대)
가검유충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A. 10X 유제액 1대 1+* 1+ 3+ - - - - -
B. 10X 유제액 1대 - - - - 3+ 6+ - -
C. 10X 유제액 1대 1+ 3+ 1+ - - - - -
D. 10X 유제액 1대 1+ - - 4+ - - - -
E. 10X 유제액 1대 1+ 3+ - 3+ - - - 3+
F. 10X 유제액 1대 1+ 3+ 3+ - 3+ 3+ 3+ 3+
* 접종 후 CPE 출현한 경과 일 수.
그 결과, 바이러스 분리 1대 때와 비슷한 패턴으로 CPE가 출현하였으나, 출현 일수가 줄어들고 새롭게 CPE를 나타내는 웰도 늘어났다.
가검유충 별로 CPE가 출현한 웰의 배양액를 채독하여 혼합하고 이것을 종독으로 사용하였다. PK C4세포 부유액 20ml에 각각의 종독을 희석하여 접종하고(3대), CPE 출현 일자를 분석하였다.
PK C4 세포를 이용하여 가검유충에서 KSBV-like 바이러스를 분리하는 방법 (3대)
바이러스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A. PK C4 (3대) 3+* 3+ 3+ 3+ 7+ 7+ - -
B. PK C4 (3대) 3+ 3+ 3+ 3+ 3+ 7+ - -
C. PK C4 (3대) 3+ 3+ 3+ 3+ 3+ 7+ - -
D. PK C4 (3대) 3+ 3+ 3+ 3+ 7+ 7+ - -
E. PK C4 (3대) 3+ 3+ 3+ 3+ 7+ 7+ - -
F. PK C4 (3대) 3+ 3+ 3+ 3+ 7+ 7+ 7+ -
* 접종 후 CPE 출현한 경과 일 수.
그 결과, 상기 표 7과 같이, PK C4 세포에 3대 계대되는 동안 바이러스가 숙주세포에 적응되었는지 모든 시료에서 고르게 바이러스 함량이 많이 함유된 10-1 희석 시료에서부터 순차적으로 CPE가 깨끗하게 나타났다. 이런 과정을 거쳐서 가검유충에서 KSBV-like 바이러스를 분리하게 되었다.
실시예 5. KSBV (유충 제1주)의 PK C4 세포에서의 증식성
KSBV를 PK C4 세포에 접종하면 강력한 CPE를 나타내면서 최고 108 TCID50/0.01ml를 보이면서 잘 증식하였다.
KSBV (유충 제1주)의 증식성
바이러스 사용 세포 접종량 배양 일수 바이러스 역가(TCID50/0.01ml)
KSBV(유충 제1주) PK C4 10^3 TCID50/ml 1 10^2
2 10^3
3 10^5
4 10^6
5 10^8
6 10^8
7 10^7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KSBV 접종 1일에는 102 TCID50/0.01ml의 역가를 보이던 것이 시간이 경과할수록 바이러스 역가가 상승하여 5일에는 108 TCID50/0.01ml의 최고 역가를 보였고, 6일까지 높은 역가를 유지하다가 7일에는 약간 하강하였다. 이는 완전한 CPE가 일어나 세포가 사멸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유추되었다.
실시예 6. PK C4로부터 분리한 KSBV의 동정시험
6-1. PCR 기법에 의한 동정시험
가검유충 A, C 및 E의 10X 유제액과 B, D 및 F의 유제액을 PK C4 세포에서 3대 계대한 감염배양액(TC 세포감염액)을 이용하여 PCR 기법(윤병수 외, 2012, 한국양봉학회지 제27권 제2호, 129-135)으로 바이러스를 동정한 결과는 하기 표 9와 같다.
가검유충에서 KSBV 분리함에 있어 PCR 기법과 조직배양세포 접종법과의 감수성 비교

PCR 검사시료

PCR 기법 결과
PCR 바이러스 역가 조직배양 바이러스 역가
copies/㎕ TCID50/0.01ml
A. 10x 유제액 음성 - 10^3
B. TC 세포감염액 양성 7.10 x 10^2 10^6
C. 10x 유제액 음성 - 10^6
D. TC 세포감염액 양성 4.44 x 10^3 10^6
E. 10x 유제액 음성 - 10^4
F. TC 세포감염액 양성 9.70 x 10^1 10^7
RCSV Cl 3 약독주 음성 - 10^7
가검유충 유제액을 PK C4 세포에 접종하여 증식시킨 B, D 및 F의 감염배양액은 PCR 검사결과 양성임이 판정되어 분리된 바이러스가 KSBV임이 확인되었으나, 가검유충 유재액 A, C 및 E는 PCR 검사결과에서는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상기 가검유충 유재액 A, C 및 E는 PK C4 세포를 이용한 조직배양을 통해 각각 103 TCID50/0.01ml, 106 TCID50/0.01ml 및 104 TCID50/0.01ml의 바이러스를 함유하고 있음이 확인되어, PCR 기법이 PK C4 세포를 이용한 조직배양법에 비해 바이러스의 진단 감도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6-2. 중화시험법에 의한 동정시험
KSBV의 면역혈청을 생산하기 위해, 구입한 자돈 2두의 체온을 측정하고 일일간 임상관찰를 실시하였으며 이상이 없음을 확인한 후, KSBV를 접종하여 면역시켰다.
KSBV의 자돈에 대한 면역혈청생산(중화항체가)
자돈 번호 0일 7일 14일 21일 35일
1 8 2 2 256 256
2 8 2 2 256 256
표 10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바이러스 접종 전 KSBV에 대한 자돈의 중화항체가가 자돈 1, 2호에서 각각 8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비특이항체로 생각되었다. 이들 자돈에 108.3 TCID50/두의 기지의 KSBV를 접종하였다. 7일 간격으로 채혈하고 측정한 중화항체가는 자돈 1, 2호 모두 7일후에 2배를 나타내고, 14일까지 2배의 항체가를 유지하였다. 이들 자돈에 5 x 108.3 TCID50/두의 KSBV를 보강접종하고 1주일 후에 측정한 중화항체가는 급속히 256배로 상승하였고, 보강접종 2주 후에도 256배의 항체가를 유지하고 있어, 전채혈하여 KSBV에 대한 면역혈청을 생산하였다.
중화시험은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배양액을 0.05ml씩 분주하고 KSBV 면역혈청을 2-진법으로 2 ~ 256배까지 8조를 희석해 놓고, 기지 KSBV, PK C4 세포에서 조직배양한 가검유충에서 분리한 A ~ F 까지의 바이러스 및 조직배양세포 순화 바이러스인 RCSV Cl 3 바이러스를 각각 200 TCID50/0.05ml가 함유되게 희석하고 면역혈청이 준비된 각 웰에 동량(0.05ml)씩 가한 후, 37℃ CO2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중화시켰다. 중화시키는 동안 15분 간격으로 진탕하여 중화가 잘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그 후, 상기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PK C4 세포를 0.1ml 씩 분주하고 37℃ CO2 배양기에 배양하였다. 매일 CPE 출현 여부를 관찰하고 7일 후 최종판독하고 CPE를 억제한 혈청의 최고 희석배수를 중화항체가로 산정하였다.
기지 KSBV, 분리한 KSBV 및 조직배양 순화 RCSV Cl 3 바이러스의 KSBV 면역혈청에 대한 One-Way Cross-Serum 중화시험
바이러스 내역 중화항체가 비고
KSBC 기지 KSBV 256 면역혈청은 2-진법으로 희석함
A. PK C4 (3대) 분리된 바이러스 128
B. PK C4 (3대) 분리된 바이러스 128
C. PK C4 (3대) 분리된 바이러스 128
D. PK C4 (3대) 분리된 바이러스 128
E. PK C4 (3대) 분리된 바이러스 128
F. PK C4 (3대) 분리된 바이러스 128
RCSV Cl 3 약독주 조직배양 순화 바이러스 64
그 결과, 상기 표 11과 같이 기지(旣知) KSBV와 완전히 교차가 성립되어 분리된 바이러스 모두 KSBV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PK C4 세포가 KSBV를 생산할 수 있는 세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KSBV의 물리화학적 성상 분석
본 발명에서는 PK C4 세포를 이용하여 많은 양의 KSBV를 배양하고 채독한 바이러스의 역가 측정은 물론 KSBV의 물리화학적 성상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과학자들은 꿀벌의 2일령 유충에 CSV(Chinese sacbrood virus)를 접종하면 100%가 폐사하는 그들의 시험결과를 이용하여 CSV의 물리화학적 성상을 조사한 보고가 있는데, 본 발명자들이 PK C4 세포로 조사한 결과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K C4 세포로부터 생산 및 채독된 KSBV는 클로로포름(chloroform) 처리와 50℃, 1시간 처리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60℃, 1시간 처리부터는 역가가 감소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70℃, 1시간 처리에서는 바이러스가 완전히 불활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KSBV의 물리화학적 성상
바이러스 처리 바이러스 역가(TCID50/0.01㎖) 비고
KSBV 무처리 10^6
클로로포름 10^5 영향 받지 않음
50℃, 1시간 10^6
60℃, 1시간 10^2
70℃, 1시간 <10
KSBV의 pH에 대한 영향
바이러스 처리 (pH) 바이러스 역가(TCID50/0.01㎖)
KSBV 무처리 10^6
5.7 10^6
6.5 10^6
7.2 10^6
8.0 10^6
또한, 상기 표 13과 같이 pH를 5.7 ~ 8.0에서 1시간 처리 후 바이러스의 역가를 측정하여 KSBV의 pH에 대한 영향을 분석한 결과, pH에는 영향을 받지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8. KSBV에 대한 면역혈청의 낭충봉아부패병 방제 효과 분석
바이러스에 의해 발병되는 질병은 치료약이 없고 다만 해당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혈청이 그 바이러스를 중화시킬 수 있다.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또한 바이러스성 감염병이기 때문에, 상기에서 PK C4 세포주를 통해 분리 및 증식시킨 KSBV를 불활화시키고 돼지에 접종하여 면역혈청을 생산하고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메탄올 분획법 또는 PEG 분획법을 이용하여 감마 글로불린(Gamma globulin)을 분획하였다.
KSBV의 돼지에 대한 면역혈청으로 감마 글로불린 분획
Lot 번호 단백질(g/㎖) 중화항체가(KSBV) 생산량 (㎖)
1 7.0 40 1,500
2 7.2 16 4,700
3 6.8 128 5,000
4 9.6 32 6,000
상기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4 반복하여 분획한 감마 글로불린의 단백질 함량은 100ml당 6.8 ~ 9.6g이었으며 중화항체가는 16 ~ 128배로 확인되었다.
KSBV에 감염되어 유충이 죽으면 일벌은 죽은 애벌레를 벌통 밖으로 물어다 버린다. 상기에서 분리한 감마 글로불린을 100ml 중 ±8.5% 농도로 포함하는 시료와 꿀 100ml를 혼합하고 KSBV에 감염된 벌 50통은 벌통 내부에 분무를 하고, 다른 50통은 상기 혼합된 용액을 용기에 담아 벌통 입구 인근에 방치하여 일벌이 물어다 애벌레에게 먹이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마 글로불린을 분무 처리한 봉군 50통 중 35통이 치유되어 치유율이 70%로 확인되었고, 먹이로 공급한 봉군도 50통 중 34통이 치유되어 치유율이 68%에 이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발병한 벌통의 유충이 모두 폐사하는 것이 아니고 45%만이 폐사하고 55%는 살아남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감마 글로불린을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은 100%가 감염되었고, 유충의 치사율도 100%에 달하였다.
치료 방법 봉군수 치유 봉군수 치유율(%) 발병 봉군수 유충치사율
분무 50통 35통 70 15통 45%
먹임 50통 34통 68 16통 45%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3435BP 20171215

Claims (12)

  1.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Sacbrood virus)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수탁번호 KCTC 13435BP로 기탁된 돼지 신장(porcine kidney) 조직배양세포 유래의 PK C4 세포주로서,
    상기 PK C4 세포주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감염 후 1~2일 내에 세포변성효과(cytopathic effect)가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K C4 세포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K C4 세포주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1 x 105 ~ 1 x 108 TCID50/0.01ml의 농도로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K C4 세포주.
  4.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Sacbrood virus)의 감염이 의심되는 꿀벌 유충의 시료를 수탁번호 KCTC 13435BP로 기탁된 돼지 신장 조직배양세포 유래의 PK C4 세포주에 처리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바이러스의 검출은 PK C4 세포의 세포변성효과 출현 유무를 통해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검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충은 3 ~ 9일령의 유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검출 방법.
  6. 삭제
  7. (a)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또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 함유 시료를 제1항의 PK C4 세포주에 처리하고 배양하여 배양액을 얻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배양액을 회수하여 새로운 제1항의 PK C4 세포주에 처리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증식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를 2~3 회 반복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증식하는 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의 방법을 통해 증식된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SBV)를 동물에 주입하여 항혈청을 생산하는 단계; 및
    상기 생산된 항혈청에서 다클론항체를 분리정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에 대한 다클론항체의 제조방법.
  10. 제9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에 대한 다클론항체.
  11. 제9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클론항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낭충봉아부패병 치료용 조성물.
  12. 제11항의 조성물을 꿀벌에 처리하여 낭충봉아부패병을 치료하는 방법.
KR1020170181030A 2017-12-27 2017-12-27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돼지 신장 유래 세포주 및 이의 용도 KR101996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030A KR101996736B1 (ko) 2017-12-27 2017-12-27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돼지 신장 유래 세포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030A KR101996736B1 (ko) 2017-12-27 2017-12-27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돼지 신장 유래 세포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736B1 true KR101996736B1 (ko) 2019-07-04

Family

ID=6725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030A KR101996736B1 (ko) 2017-12-27 2017-12-27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돼지 신장 유래 세포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7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5869C1 (ru) * 2019-12-13 2020-11-0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й ветеринарии имени К.И. Скрябина и Я.Р. Коваленко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ирусоцидного действия средств и способов борьбы с вирусом мешотчатого расплода пчел
KR20210112507A (ko) * 2020-03-05 2021-09-15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클론항체 및 이의용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7854A (ko) * 2013-03-27 2014-10-08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배양방법 및 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17854A (ko) * 2013-03-27 2014-10-08 대한민국(관리부서 :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의 배양방법 및 검출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35869C1 (ru) * 2019-12-13 2020-11-0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Федеральный научный центр -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экспериментальной ветеринарии имени К.И. Скрябина и Я.Р. Коваленко Российской академии наук"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вирусоцидного действия средств и способов борьбы с вирусом мешотчатого расплода пчел
KR20210112507A (ko) * 2020-03-05 2021-09-15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클론항체 및 이의용도
KR102358642B1 (ko) 2020-03-05 2022-02-03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형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단클론항체 및 이의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mith et al.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pathogenicity studies of a bovine respiratory syncytial virus
Williams et al. Immunolog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Coxiella burnetii, phases I and II, separated from host components
Wright Ser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isation of putative new serotypes of bluetongue virus and epizootic haemorrhagic disease virus isolated from an alpaca
World Health Organization Arboviruses and human disease: report of a WHO scientific group [meeting held in Geneva from 26 September to 1 October 1966]
Sutmoller et al. Improved techniques for the detection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in carrier cattle
Hubálek et al. West Nile virus investigations in south Moravia, Czechland
Johnson et al. The neutralizing characteristics of strains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 as measured by the constant-virus variable-serum method in chicken tracheal cultures
Chasey et al. European brown hare syndrome in the UK; a calicivirus related to but distinct from that of viral haemorrhagic disease in rabbits
KR101996736B1 (ko) 낭충봉아부패병 바이러스를 대량 증식시킬 수 있는 돼지 신장 유래 세포주 및 이의 용도
CN100535108C (zh) 活的减毒的鲤鱼dna病毒及其用途
CN103505724A (zh) 猪瘟、猪伪狂犬病二联疫苗及其制备方法与应用
Conraths et al. Bluetongue disease: an analysis of the epidemic in Germany 2006–2009
Inaba et al. Bovine diarrhea virus II. END phenomenon: Exaltation of Newcastle disease virus in bovine cells infected with bovine diarrhea virus
CN111686246B (zh) 一种用于猪流行性腹泻病毒的抗原抗体复合物疫苗及其制备方法
KR101642727B1 (ko) 약독화된 돼지열병 바이러스 생마커백신주 및 이를 이용한 경구투여용 백신 조성물
Arkush et al. Production and initial characterization of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channel catfish virus
De Boer et al. Epizootiology of maedi/visna in sheep
Carlos-Valdez et al. Effect of timing of Mannheimia haemolytica challenge following short-term natural exposure to bovine viral diarrhea virus type 1b on animal performance and immune response in beef steers 1
CZ156195A3 (en) Process for preparing active toxoplasma gindii bradyzoit vaccine in tissue cultures
Cole Jr et al. Formalin-inactivated Venezuelan equine encephalomyelitis (Trinidad strain) vaccine produced in rolling-bottle cultures of chicken embryo cells
Rweyemamu et al. Isolation of “non-syncytia forming” herpes viruses from cattle in Tanzania
KR20120108548A (ko) 조류인플루엔자를 유발하는 신규의 바이러스 및 이에 대한 IgY타입의 항체를 포함하는 가축 사료 첨가제
JPH02295934A (ja) イヌコロナウイルスワクチン
Ephrem et al. Production of Polyclonal Antibodies (IgY) Against Foot-and-Mouth Disease (Serotype: O, A and Sat-2) in Ethiopia by Using Layer Hens
Rodriguez et al. Prevalence of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 on salmonid fish farms in Sp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