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015B1 -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 - Google Patents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015B1
KR101996015B1 KR1020170121261A KR20170121261A KR101996015B1 KR 101996015 B1 KR101996015 B1 KR 101996015B1 KR 1020170121261 A KR1020170121261 A KR 1020170121261A KR 20170121261 A KR20170121261 A KR 20170121261A KR 101996015 B1 KR101996015 B1 KR 101996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drum
output
prin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2875A (ko
Inventor
조항태
조은정
Original Assignee
조항태
조은정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항태, 조은정,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항태
Priority to KR102017012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01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2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28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6Braille print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00Machines for printing and issuing ticke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이 증명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양각으로 돌출되어 인쇄된 점자 증명서를 일반 원본 증명서와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인과 시각장애인들이 모두 함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박스형의 발급기 본체와, 발급기 본체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이 손가락을 짚어 점자를 출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점자 출력 버튼과, 상기 발급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점자 출력 버튼에 따라 인쇄출력물에 점자를 성형하는 점자 인쇄 장치를 갖는 민원서류 무인발급기로서, 상기 점자 인쇄 장치는 상기 점자 출력 버튼의 작동에 따라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롤러 겉 표면에 점자 오목부를 갖는 점자 오목드럼과; 상기 점자 오목드럼에 대향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점자 오목부에 대응하여 드럼 사이를 횡단하는 인쇄출력물에 점자 블록을 인쇄하도록 설치되는 점자 블록 성형드럼과; 상기 점자 오목드럼과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을 횡단하는 인쇄출력물에서 문자 인쇄 위치에 맞도록 인쇄출력물을 감지하여 인쇄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인쇄출력물 정지센서와; 상기 인쇄출력물 정지센서에 의해 정지된 인쇄출력물을 감지하여 점자 인쇄 초기 또는 상기 점자 출력 버튼의 작동에 따라 다른 인쇄출력물의 접근 여부를 확인함과 동시에 새로운 점자 블럭을 재 세팅하도록 감지하는 점자 블록 조정센서와; 상기 점자 출력 버튼의 작동을 인지한 후,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을 구동시켜 인쇄출력물에 점자를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점자 블럭 구동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점자 출력 버튼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점자 인쇄 장치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민원서류 종류에 맞게 인쇄출력물의 문자 위치에 정확하게 맞도록 점자를 인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인쇄 장치를 갖는 민원서류 무인발급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A automatic document issue device for blind}
본 발명은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이 증명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양각으로 돌출되어 인쇄된 점자 증명서를 일반 원본 증명서와 함께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일반인과 시각장애인들이 모두 함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민원인은 증명서를 발급받기 위하여 그 대상에 따라 동사무소나 구청, 시청, 법원, 학교, 은행 등과 같은 관공서나 교육기관 및 금융기관의 민원실을 방문하여 해당 증명서 발급을 담당하는 창구의 담당 직원에게 신청서를 제출하여 증명서를 발급받게 된다.
이러한 증명서 발급 과정은 민원실에 담당 직원이 부재하는 경우 담당 직원이 돌아올 때까지 대기하여야 하며, 접수 창구에 대기자가 많은 경우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근래에 들어 무인으로 민원 증명서를 발급하는 무인 민원증명서 발급 장치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인 민원증명서 발급 장치는 해당 민원 증명서 데이터가 보관된 민원서버와 전산망을 통하여 연결되어 민원인이 신청하는 증명서를 발급받아 이를 출력하여 민원인에게 제공하게 된다.
상기 민원실 또는 무인 민원 증명서 발급 장치를 통하여 민원인에게 제공되는 증명서는 민원인의 정보 및 인증마크가 인쇄된 일반 증명서이다. 따라서, 시각장애인의 경우에는 이러한 증명서의 내용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 증명서의 내용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증명서 발급기관에 요청해 해당 내용의 증명서를 시각 장애인이 인지할 수 있는 점자나 음성 등의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증명서 발급기관에서는 일반 증명서를 점자 증명서로 변환하는 과정을 직접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에 외부에 의뢰하여 처리하여야 했으며, 일반 증명서의 점자 증명서로의 변환이 일반적으로 수작업에 의하여 처리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시각 장애인이 증명서를 발급받아 확인하는 데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필요할 때 즉시 증명서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여 불이익을 당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무인민원발급기에 시각장애인이 사용하는 점자모듈을 구비하여 안내음성과 함께 해당발급 단계에 대응하는 문자 또는 문장이 점자모듈상으로 표현되도록 하여, 시각장애인도 자력으로 무인민원발급기를 통해 원하는 민원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상기 제안된 방안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0017호, 그 명칭으로 '시각장애인용 무인 민원발급장치'가 제안되었는 바, 상기 제안에 의하면, 발급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과, 민원인의 확인 유무를 검출하는 센싱수단, 터치스크린의 모드를 제어하고 센싱수단에 의해 일정시간 이상 입력조작시간이 경과하면 민원인의 장애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민원서류 발급단계별 안내 메세지를 출력하는 안내부, 안내 메세지에 따라 이를 음각 및 양각으로 점역되는 8점자식 점자모듈, 숫자를 입력하는 숫자입력버튼 및 5번째 숫자단위에 형성된 숫자 개수 확인 돌기로 이루어지는 숫자 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각장애인용 무인민원발급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제안은 시각장애인이 숫자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는 점자모듈을 수동으로 전환하여 점자모듈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숫자입력버튼과 숫자 '5' 단위마다 형성된 숫자개수확인돌기를 인식하면서 원하는 숫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다는 편리함은 있지만, 무인민원발급기의 발급단계별로 요구되는 문자 또는 문장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다시 점자모듈을 수동으로 전환하고 6점자식 점자모듈을 사용하여 입력하게 되는데, 시각장애인은 문자 또는 문장을 입력하는 것은 시각장애인용 점자단말기인 브라이유보드의 8개의 브라이유키를 사용하여 문자 또는 문장을 입력하는 것에 익숙하고 상기 제안에 따른 8점자식 점자모듈을 직접 사용하는 것은 시각장애인에게 전혀 통상적인 방법이 아니어서, 시각장애인이 빈번히 요구되는 문자 또는 문장을 입력하여 진행해야 하는 발급단계에 따른 문자 또는 문장의 입력에 대한 명확한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안은 무인민원발급기에 구비되는 일반인용 버튼입력부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고 단지 숫자입력은 숫자입력버튼만을 눌러 입력해야 하므로 숫자입력 역시 일반인만큼 편리하지 못하여 시각장애인은 숫자, 문자 또는 기능을 나타내는 버튼입력부를 활용할 수 없고, 단지 안내 메세지 또는 이에 따라 점역되어 표시되는 8자식 점자모듈에만 의존하여 점자모듈을 수동으로 변환하고 통상적인 방법인 브라이유키를 사용하지 못하고 시각장애인이 출력부로서 컨텐츠의 점역에만 사용되던 전혀 생소한 8점자식 점자모듈을 사용하여 문자 또는 문장을 입력해야 한다는 한계점이 발생하였다.
그러나, 시각장애인이 통상적으로 사용하던 시각장애인용 브라이유보드가 무인민원발급기에 적용되어 시각장애인이 브라이유보드의 입력부인 브라이유키를 사용하여 정상인과 동일하게 신속하고 편리하게 무인민원발급기를 통해 민원서류를 발급받도록 하는 제안은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0017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민원 증명서의 발급시 민원인의 선택에 따라 점자 표시가 된 점자 증명서를 원본 증명서와 함께 발급하여 현장에서 시각장애인이 발급된 점자 증명서를 통하여 증명서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민원 편익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점자 인쇄 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상인과 같이 시각장애인이 원하는 민원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무인민원발급기에 구비되는 버튼 입력부의 버튼 상에 해당 버튼의 의미를 나타내는 점자를 형성하여 발급단계별 안내 멘트에 대응하여 시각장애인이 숫자, 문자, 기능을 점자 버튼 입력부의 버튼을 이용하여 매우 용이하게 인식하여 입력하도록 하여 편리성과 원활하게 시각장애인용 무인민원발급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성지원코드(보이스아이) 모든 민원서류에 표시하도록 법제화하고 있다. 그러나 시각장애인들이 다수의 민원서류를 발급시 어느 것이 민원서류인지를 인지하지 못하여 음성지원서비스 및 다수의 민원 서류가 어떤 서류인지를 구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모든 민원서류에서 제목 및 음성지원코드의 위치를 점자로 표기하여 모든 시각장애인이 접근하기 쉽고 또한 위조 방지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박스형의 발급기 본체와, 발급기 본체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이 손가락을 짚어 점자를 출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점자 출력 버튼과, 상기 발급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점자 출력 버튼에 따라 인쇄출력물에 점자를 성형하는 점자 인쇄 장치를 갖는 민원서류 무인발급기로서, 상기 점자 인쇄 장치는 상기 점자 출력 버튼의 작동에 따라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롤러 겉 표면에 점자 오목부를 갖는 점자 오목드럼과; 상기 점자 오목드럼에 대향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점자 오목부에 대응하여 드럼 사이를 횡단하는 인쇄출력물에 점자 블록을 인쇄하도록 설치되는 점자 블록 성형드럼과; 상기 점자 오목드럼과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을 횡단하는 인쇄출력물에서 문자 인쇄 위치에 맞도록 인쇄출력물을 감지하여 인쇄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인쇄출력물 정지센서와; 상기 인쇄출력물 정지센서에 의해 정지된 인쇄출력물을 감지하여 점자 인쇄 초기 또는 상기 점자 출력 버튼의 작동에 따라 다른 인쇄출력물의 접근 여부를 확인함과 동시에 새로운 점자 블럭을 재 세팅하도록 감지하는 점자 블록 조정센서와; 상기 점자 출력 버튼의 작동을 인지한 후,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을 구동시켜 인쇄출력물에 점자를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점자 블럭 구동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점자 출력 버튼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점자 인쇄 장치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민원서류 종류에 맞게 인쇄출력물의 문자 위치에 정확하게 맞도록 점자를 인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인쇄 장치를 갖는 민원서류 무인발급기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점자 오목드럼과 점자 블록 성형드럼의 내측에는 선명한 인쇄출력물에 점자를 각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열선이 각각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은, 상기 점자 오목드럼의 점자 오목부에 대응하여 타격이 이루어지는 점자 침봉을 내장하는 외측 성형드럼과; 상기 외측 성형드럼의 안쪽에 마련되어 상기 점자 침봉에 대응하여 점자 침봉을 돌출시키도록 작동하는 내측 성형드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성형드럼은, 몸체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6점자 천공홀과; 상기 6점자 천공홀에 각각 내장된 점자 침봉과; 상기 점자 침봉에 탄력이 유지 되도록 설치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자 침봉은, 일측 상단으로 둥근 형태의 봉침과; 상기 봉침의 하단으로 구슬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베어링 볼과; 상기 봉침과 상기 베어링 볼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이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성형드럼은,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의 6점자 돌기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점자 침봉에 대응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 점자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점자는 상기 내측 성형드럼의 원둘레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오르골 타입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성형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돌출 점자에 의해 상기 외측 성형드럼에 형성된 상기 6점자 천공홀이 관통된 상측으로 상기 점자 침봉이 상부로 들리면서 돌출되어 상기 점자 오목드럼에 형성되는 점자 오목부에 대응하여 인쇄출력물에 점자를 인쇄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민원 증명서의 발급시 민원인의 선택에 따라 점자 표시가 된 점자 증명서를 원본 증명서와 함께 발급하여 현장에서 시각장애인이 발급된 점자 증명서를 통하여 증명서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민원 편익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점자 인쇄 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상인과 같이 시각장애인이 원하는 민원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무인민원발급기에 구비되는 버튼 입력부의 버튼 상에 해당 버튼의 의미를 나타내는 점자를 형성하여 발급단계별 안내 멘트에 대응하여 시각장애인이 숫자, 문자, 기능을 점자 버튼 입력부의 버튼을 이용하여 매우 용이하게 인식하여 입력하도록 하여 편리성과 원활하게 시각장애인용 무인민원발급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지원코드(보이스아이) 모든 민원서류에 표시하도록 법제화하고 있다. 그러나 시각장애인들이 다수의 민원서류를 발급시 어느 것이 민원서류인지를 인지하지 못하여 음성지원서비스 및 다수의 민원 서류가 어떤 서류인지를 구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서 모든 민원서류에서 제목 및 음성지원코드의 위치를 점자로 표기하여 모든 시각장애인이 접근하기 쉽고 또한 위조 방지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의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의 점자 인쇄장치에 따른 전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장치의 요부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점자 인쇄장치의 점자 성형드럼을 보인 상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인 "A" 부분을 발췌한 점자 침봉의 작동 전/후를 보인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점자 인쇄장치에 따른 점자 블록 성형드럼을 보인 평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점자 인쇄장치에 따른 롤러 겉 표면에 점자 오목부를 갖는 점자 오목드럼을 보인 상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점자 인쇄장치에 따른 점자 오목드럼에 대응하는 점자 블록 성형드럼의 외측 성형드럼을 보인 상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점자 인쇄장치에 따른 점자 블록 성형드럼의 외측 성형드럼에 대응하는 오르골 타입의 내측 성형드럼을 보인 상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의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10)는 박스형의 발급기 본체(11)와, 민원서류 무인 발급을 위한 금액을 투입하도록 설치되는 지폐 투입구(12)와, 상기 발급기 본체(11)의 상단에 위치되어 상황을 볼 수 있도록 설치되는 무인발급 모니터(13)와; 상기 발급기 본체(11)의 일측 정면에 설치되어 일반인들이 무인발급을 위한 작동을 하기 위한 터치 패널(14)과, 상기 발급기 본체(11)의 다른 정면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이 손가락을 짚어 사용 안내 및 점자 출력을 위한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점자 안내 및 점자 출력 버튼(15), 상기 발급기 본체(11)에서 프린터 된 민원 서류들이 출력되어 배출되는 민원서류 배출구(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무인민원발급기(10)의 내측에는 민원 일반서류를 프린트하는 프린터 인쇄장치(미도시)와, 일반서류에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가 별도로 인쇄되도록 하는 점자 인쇄장치(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점자 인쇄장치(100)는, 상기 점자 출력 버튼(15)의 작동에 따라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하면서 롤러 겉 표면에 점자 오목부(111)를 갖는 점자 오목드럼(110)과; 상기 점자 오목드럼(110)에 대향하고,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점자 오목부(111)에 대응하여 드럼 사이를 횡단하는 인쇄출력물(1)에 점자 블록을 인쇄하도록 설치되는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과; 상기 점자 오목드럼(110)과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을 횡단하는 인쇄출력물(1)에서 문자 인쇄 위치에 맞도록 인쇄출력물(1)을 감지하여 인쇄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인쇄출력물 정지센서(130)(130A)와; 상기 인쇄출력물 정지센서(130)(130A)에 의해 정지된 인쇄출력물(1)을 감지하여 점자 인쇄 초기 및 상기 점자 출력 버튼(15)의 작동에 따라 다른 인쇄출력물(1)의 접근 여부를 확인함과 동시에 새로운 점자 블럭을 재 세팅하도록 감지하는 점자 블록 조정센서(140)와;
상기 점자 출력 버튼(15)의 작동을 인지한 후,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을 구동시켜 인쇄출력물(1)에 점자를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점자 블럭 구동 센서(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점자 오목드럼(110)은 상기 점자 인쇄장치(100)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원통 드럼에 롤러 형태로 6점자가 오목 홈 형태로 점자 오목부(111)를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점자 오목드럼(110)의 내측에는 선명한 인쇄출력물(1)에 점자를 각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열선(112)이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상기 점자 오목드럼(110)과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이 같이 회전되면서 드럼 사이를 횡단하는 인쇄출력물(1)의 표면을 열처리 가압하여 점자 모양을 인쇄출력물에 더욱 선명하게 인쇄하도록 하는 점자 인쇄출력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은, 상기 점자 오목드럼(110)의 점자 오목부(111)에 대응하여 볼록한 형태의 점자 침봉을 밀어 넣어주는 형태로 프린터 된 종이(인쇄출력물)에 점자를 각인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점자 오목드럼(110)의 점자 오목부(111)에 대응하여 타격이 이루어지는 점자 침봉(123)을 내장하는 외측 성형드럼(121)과; 상기 외측 성형드럼(121)의 안쪽에 마련되어 상기 점자 침봉(123)에 대응하여 점자 침봉(123)을 상측으로 돌출시키도록 작동하는 내측 성형드럼(125)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의 내측에는 선명한 인쇄출력물(1)에 점자를 각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열선(127)이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 성형드럼(121)은 일측 외주면에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6점자 천공홀(122)과, 상기 6점자 천공홀(122)에 각각 내장된 점자 침봉(123)과, 상기 점자 침봉(123)에 탄력이 유지 되도록 설치되는 탄성 스프링(12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자 침봉(123)은 일측 상단으로 둥근 형태의 봉침(123a)과, 상기 봉침(123a)의 하단으로 구슬장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베어링 볼(123b)과, 상기 봉침(123a)과 상기 베어링 볼(123b)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124)이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123c)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성형드럼(125)은 롤러 형태의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의 6점자 돌기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점자 침봉(123)에 대응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 점자(126)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베어링 볼(123b)은 볼펜 볼과 같은 형식으로서, 상기 돌출 점자(126)와의 간섭에 따른 마모를 최소화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 점자(126)는 상기 내측 성형드럼(125)의 원둘레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오르골 타입으로 다수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르골 타입에 의해 상기 외측 성형드럼(121) 내에서 내측 성형드럼(125)의 돌출 점자(126)를 신속 정확하게 인쇄 위치에 맞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한편으로는, 상기 점자 침봉(123)과 상기 돌출 점자(126)는 상호 대응하는 전자석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로써 전자석 코드값에 따라 상기 점자 침봉(123)을 돌출 점자가 위치된 위에서 반대되는 전극으로 밀어 올리는 기능으로, 상기 점자 침봉(123)을 상기 외측 성형드럼(121)의 6점자 천공홀(122)의 상측으로 돌출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어 점자 인쇄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 성형드럼(125)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돌출 점자(126)에 의해 상기 외측 성형드럼(121)에 형성된 상기 6점자 천공홀(122)이 관통된 상측으로 상기 점자 침봉(123)이 상부로 들리면서 돌출되어 상기 점자 오목드럼(110)에 형성되는 점자 오목부(111)에 대응하여 인쇄출력물에 점자를 인쇄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쇄출력물 정지센서((130)(130A)는 인쇄출력물이 진행하는 전방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인쇄출력물 정지센서(130)와, 인쇄출력물이 진행하는 후방 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인쇄출력물 정지센서(130A)로 이루어지며, 상기 인쇄출력물 정지센서(130)(130A)는 상기 점자 출력 버튼(15)과 연결된 전자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해 전자적으로 제어되도록 연결 설치된다.
다시 말해, 무인민원발급기 내에서 프린터 출력된 인쇄출력물이 점자 인쇄를 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쇄출력물이 점자 인쇄장치(100) 내측으로 진입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인쇄출력물 정지센서(130)(130A)에 의해 인쇄출력물에 점자 인쇄를 할 수 있도록 정확한 위치에서 상기 점자 오목드럼(110)과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기능으로 인쇄출력물의 정지를 유도 및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점자 블록 조정센서(140)는 상기 인쇄출력물 정지센서(130)(130A)에 의해 정지된 인쇄출력물(1)을 감지하여 점자 인쇄를 준비하는 것으로서, 상기 점자 블럭 구동센서(150)의 감지에 의해 상기 점자 오목드럼(110)과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의 내측 성형드럼(125)을 제로 상태 즉, 상기 내측 성형드럼(125)의 돌출 점자(126)가 없는 부위로 세팅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점자 인쇄 준비를 할 수 있다.
상기 점자 블록 구동센서(150)는 상기 점자 출력 버튼(15)의 작동을 인지한 후,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을 구동시켜 인쇄출력물에 점자를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점자 출력 버튼(15)의 민원서류에 해당되는 종류로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점자 블록 구동센서(150)의 감지 신호에 의해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의 내측 성형드럼(125)이 구동되어 민원서류 종류에 해당되는 점자 블럭이 성형된 상기 돌출 점자(126)를 상기 외측 성형드럼(121)의 점자 침봉(123)이 있는 위치로 이동케 함으로써, 점자 인쇄를 시작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점자 오목드럼(110)과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의 외측 성형드럼(121)은 그 몸체 롤러 외주면이 상호 대응하는 위치에서 6점자의 음각 점자 부위로서 상기 점자 오목부(111)와, 6점자의 천공 점자로서 6점자 천공홀(122)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6점자의 점자 오목부(111)와 상기 6점자 천공홀(122)의 부분은 민원서류의 제목 명 부위에 해당하는 점자 블럭(111a)(122a)과 보이스 아이에 해당하는 점자 블록(111b)(122b)으로 동일한 6점자 패턴으로서 구분되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의 내측 성형드럼(125)은 그 몸체 롤러 외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각종 민원서류의 내용에 맞게 돌출된 점자에 해당하는 다수개의 돌출 점자(126)들이 오르골 타입으로 돌출 형성할 수 있는 데, 점자 블록의 성형부가 없는 "0"인 상태와 민원서류 종류 즉, 주민등록등초본, 가족관계증명서 등의 종류에 따라서 1~ 00번 순으로 정해진 다수개의 돌출 점자(126)들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민원서류가 있는 해당 순번에 맞게 상기 내측 성형드럼(125)을 회전시켜 상기 돌출 점자(126)에 의해 점자 침봉(123)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각종 민원서류의 종류에 맞추어 성형 된 돌출점자인 돌출 점자(126)는 그 돌출 높이가 0.4mm ~ 0.6mm 정도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며, 돌출 점자의 형성 갯수는 20개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의 작용 및 효과를 상기한 구성을 바탕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각장애인이 점자 인쇄장치(100)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10)를 사용함에 있어, 발급기 본체(11)의 점자 출력 버튼(15)의 하단에 형성된 점자 사용 안내판(15a)을 통해서 사용 안내 사항을 숙지한다.
다음, 시각장애인이 발급을 원하는 민원서류의 종류에 해당하는 점자 출력 버튼(15)의 번호를 눌러 민원서류에 해당하는 인쇄출력물을 발급을 시작한다.
다음으로, 상기 점자 출력 버튼(15)의 작동에 따라 먼저 민원서류에 해당하는 내부 프린터장치에서 묵자로 프린터 된 인쇄출력물을 발행한다.
그런 다음, 인쇄출력물은 상기 점자 인쇄장치(100)로 이동하여 점자 인쇄를 준비한다.
한편, 상기 인쇄출력물이 발행되는 동안에는 상기 점자 출력 버튼(15)의 작동에 따라 점자 블록 구동센서(150)에서 신호를 받아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을 구동시켜 민원서류의 종류에 해당하는 점자 인쇄를 준비한다.
여기서, 상기 점자 오목드럼(110)과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을 횡단하는 인쇄출력물(1)을 상기 인쇄출력물 정지센서(130)(130A)에 의해 감지하여 점자 인쇄의 문자 인쇄 위치에 맞도록 인쇄출력물(1)을 감지하여 정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인쇄출력물(1)이 점자 인쇄 위치에서 정치 된 상태에서 상기 점자 블럭 조정센서(140)에서 감지한 후, 상기 점자 블럭 성형드럼(120)을 작동한다. 여기서 상기 점자 오목드럼(110)과, 상기 점자 블럭 성형드럼(120)의 외측 성형드럼(121)은 6점자 성형 부위가 상호 대응하는 위치해서 정지된 상태이다.
그런 다음, 상기 점자 블럭 성형드럼(120)의 내측 성형드럼(125)이 작동을 시작한다. 여기서, 상기 내측 성형드럼(125)의 작동은 상기 외측 성형드럼(121)에 설치된 점자 침봉(123)에 대응하여 상기 내측 성형드럼(125)이 회전하면서 내측 성형드럼(125)에 성형 된 돌출 점자(126)를 상기 점자 침봉(123)의 하측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상기 점자 침봉(123)이 상기 외측 성형드럼(121)의 6점자 천공홀(122)에서 상부로 들어 올려진 점자 인쇄 준비된 상태이다.
끝으로, 신호에 따라 인쇄출력물(1)은 상기 점자 오목드럼(110)과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을 횡단함과 동시에,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에서 돌출된 점자 침봉이 상기 점자 오목드럼(110)의 점자 오목부(111)에 대응하여 각인하는 것으로서, 상기 인쇄출력물(1)에 점자 인쇄를 각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반복적으로는, 하나의 민원정보가 담긴 점자가 인쇄된 인쇄출력물이 발행된 이후에는, 상기 점자 블록 조정센서(140)에서 감지하여 인쇄 초기 및 상기 점자 출력 버튼(15)의 작동에 따라 다른 인쇄출력물(1)의 접근 여부를 확인함과 동시에 새로운 점자 블럭 성형드럼(120)의 돌출 점자(126)를 회전시켜 점자 블럭을 재 세팅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각장애인 고객이 시각 안내판을 수지 한 후, 엘리베이터 식으로 형성된 점자 출력 버튼(15)을 손가락으로 터치함과 동시에 점자 블럭 구동센서(150)에 의해 감지, 점자 블록 성형드럼(120)의 구동모터에 의해 내측 성형드럼의 돌출 점자인, 예를 들어 1번 코드 위치로 이동 후 내측 성형드럼을 정지한다. 그런 다음, 인쇄출력물 정지센서(130)(130A)에 의해 감지한 후, 점자 오목드럼(110)과 점자 블럭 성형드럼(120)을 동시에 회전하는 것으로서, 인쇄출력물(1)의 묵자가 프린터 된 제목 주변이나 보이스 아이가 프린터 된 위치 주변에 점자를 각인하는 인쇄를 하여 점자가 인쇄된 무인 민원발급 서류를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점자 출력 버튼(15)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점자 인쇄장치(100)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민원서류 종류에 맞게 인쇄출력물의 문자 및 보이스아이 위치에 정확하게 맞도록 점자를 인쇄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민원 증명서의 발급시 민원인의 선택에 따라 점자 표시가 된 점자 증명서를 원본 증명서와 함께 발급하여 현장에서 시각장애인이 발급된 점자 증명서를 통하여 증명서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민원 편익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점자 인쇄 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점자 인쇄장치
110 : 점자 오목드럼
111 : 점자 오목부
112 : 열선
120 : 점자 블럭 성형드럼
121 : 외측 성형드럼
122 : 6점자 천공홀
123 : 점자 침봉
124 : 탄성 스프링
125 : 내측 성형드럼
126 : 돌출 점자
130, 130A : 인쇄출력물 정지센서
140 : 점자 블록 조정센서
150 : 점자 블록 구동센서

Claims (8)

  1. 박스형의 발급기 본체와, 발급기 본체에 설치되어 시각장애인이 손가락을 짚어 점자를 출력을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점자 출력 버튼과, 상기 발급기 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점자 출력 버튼에 따라 인쇄출력물에 점자를 성형하는 점자 인쇄 장치를 갖는 민원서류 무인발급기로서,
    상기 점자 인쇄 장치는
    상기 점자 출력 버튼의 작동에 따라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롤러 겉 표면에 점자 오목부를 갖는 점자 오목드럼과;
    상기 점자 오목드럼의 점자 오목부에 대응하여 타격이 이루어지는 점자 침봉을 내장하는 외측 성형드럼; 및
    상기 외측 성형드럼의 안쪽에 마련되어 상기 점자 침봉에 대응하여 점자 침봉을 돌출시키도록 작동하는 내측 성형드럼을 포함하는, 상기 점자 오목드럼에 대향하여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점자 오목부에 대응하여 드럼 사이를 횡단하는 인쇄출력물에 점자 블록을 인쇄하도록 설치되는 점자 블록 성형드럼과;
    상기 점자 오목드럼과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을 횡단하는 인쇄출력물에서 문자 인쇄 위치에 맞도록 인쇄출력물을 감지하여 인쇄 위치에 정지시키기 위한 인쇄출력물 정지센서와;
    상기 인쇄출력물 정지센서에 의해 정지된 인쇄출력물을 감지하여 점자 인쇄 초기 또는 상기 점자 출력 버튼의 작동에 따라 다른 인쇄출력물의 접근 여부를 확인함과 동시에 새로운 점자 블럭을 재 세팅하도록 감지하는 점자 블록 조정센서와;
    상기 점자 출력 버튼의 작동을 인지한 후, 상기 점자 블록 성형드럼을 구동시켜 인쇄출력물에 점자를 인쇄하도록 제어하는 점자 블럭 구동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점자 출력 버튼의 작동 여부에 따라 상기 점자 인쇄 장치에서 출력되는 다수의 민원서류 종류에 맞게 인쇄출력물의 문자 위치에 맞도록 점자를 인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인쇄 장치를 갖는 민원서류 무인발급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오목드럼과 점자 블록 성형드럼의 내측에는 인쇄출력물에 점자를 각인할 수 있도록 하는 열선이 각각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인쇄 장치를 갖는 민원서류 무인발급기.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성형드럼은,
    몸체의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6점자 천공홀과;
    상기 6점자 천공홀에 각각 내장된 점자 침봉과;
    상기 점자 침봉에 탄력이 유지 되도록 설치되는 탄성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인쇄 장치를 갖는 민원서류 무인발급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침봉은,
    일측 상단으로 둥근 형태의 봉침과;
    상기 봉침의 하단으로 구슬 방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베어링 볼과;
    상기 봉침과 상기 베어링 볼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탄성 스프링이 걸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가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인쇄 장치를 갖는 민원서류 무인발급기.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성형드럼은,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다수의 6점자 돌기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점자 침봉에 대응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 점자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인쇄 장치를 갖는 민원서류 무인발급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점자는
    상기 내측 성형드럼의 원둘레 외주면을 따라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오르골 타입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인쇄 장치를 갖는 민원서류 무인발급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성형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돌출 점자에 의해 상기 외측 성형드럼에 형성된 상기 6점자 천공홀이 관통된 상측으로 상기 점자 침봉이 상부로 들리면서 돌출되어 상기 점자 오목드럼에 형성되는 점자 오목부에 대응하여 인쇄출력물에 점자를 인쇄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점자 인쇄 장치를 갖는 민원서류 무인발급기.
KR1020170121261A 2017-09-20 2017-09-20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 KR101996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261A KR101996015B1 (ko) 2017-09-20 2017-09-20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261A KR101996015B1 (ko) 2017-09-20 2017-09-20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875A KR20190032875A (ko) 2019-03-28
KR101996015B1 true KR101996015B1 (ko) 2019-07-03

Family

ID=6590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261A KR101996015B1 (ko) 2017-09-20 2017-09-20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0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014A (ko) * 2019-09-05 2021-03-15 (주)에이티소프트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pdf 등의 전자문서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844B1 (ko) * 2020-01-31 2021-11-23 김남용 점자가 인쇄된 포장재 필름의 제조방법
KR102182716B1 (ko) * 2020-02-19 2020-11-25 한국타피(주) 점자 모듈, 이를 포함하는 무인민원발급 장치 및 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45265B1 (ko) * 2022-01-14 2024-03-0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체를 이용한 점자 라벨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6822A (ja) * 2007-09-11 2009-04-02 Asake Seiko Kk 点字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123A (ja) * 1993-06-02 1994-12-13 Fuji Xerox Co Ltd 点字刻印装置
JPH10124736A (ja) * 1996-10-15 1998-05-15 Brother Ind Ltd 書類自動発行機
KR20070054159A (ko) * 2007-04-30 2007-05-28 주식회사 쥬신제국 비닐용지 점자인쇄용 헤드 및 인쇄방법
KR101080017B1 (ko) 2009-09-15 2011-11-04 (주)본시스 시각장애인용 무인민원발급장치
KR20170078353A (ko) * 2015-12-29 2017-07-07 조항태 점자 인쇄시스템 및 그 점자 인쇄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66822A (ja) * 2007-09-11 2009-04-02 Asake Seiko Kk 点字プリン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014A (ko) * 2019-09-05 2021-03-15 (주)에이티소프트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pdf 등의 전자문서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296939B1 (ko) 2019-09-05 2021-09-01 (주)에이티소프트 다중 모드를 지원하는 pdf 등의 전자문서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2875A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015B1 (ko) 점자 인쇄장치를 갖는 무인민원발급기
US4425099A (en) Educational aid for use with workbook
US6061666A (en) Automatic bank teller machine for the blind and visually impaired
US20080093449A1 (en) Ballot marking system and apparatus utilizing multiple key switch voter interface
US81917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security features on paper ballots
CA24147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xaminations
MXPA06007768A (es) Boleta electronica-dispositivo de votacion.
US2009015233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amper proof electronic voting with intuitive user interfaces
US20060041468A1 (en) Custom printed, voter verified ballots with fixed range input
US6112050A (en) Scanning and scoring grading machine
US7222787B2 (en) Ballot marking system and apparatus utilizing single print head
JP2006251838A (ja) 入力装置、電子機器及び決済端末装置
EP0561952A4 (en) MANUAL BRAILLE WRITING MACHINE.
KR100996485B1 (ko) 점자 라벨기
KR910008220B1 (ko) 전기능 수표발행기 및 그 제조방법
JP2002352039A (ja) 電子投票装置
JP2012020459A (ja) 走査型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印刷制御プログラム
KR100871808B1 (ko) 투표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표장치의 제어방법
JP5000556B2 (ja) 表示機構、機器、および、表示方法
JP2003109058A (ja) 電子投票機
JPH0740642A (ja) 認証管理機
Jonnala Auto Braille: A Self Operatable Braille Printer For Taking Notes
JP3596146B2 (ja) チェックライタ
JPH11161151A (ja) 情報入力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3055310U (ja) 点字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