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5803B1 - 테이프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테이프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5803B1
KR101995803B1 KR1020177030576A KR20177030576A KR101995803B1 KR 101995803 B1 KR101995803 B1 KR 101995803B1 KR 1020177030576 A KR1020177030576 A KR 1020177030576A KR 20177030576 A KR20177030576 A KR 20177030576A KR 101995803 B1 KR101995803 B1 KR 101995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cartridge
bit
tape cartridge
ident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9259A (ko
Inventor
마사히로 오이다
히데키 사카노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9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9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5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5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4Cassettes or cartridges contai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tape, for setting into pri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2Detachable carriers or holders f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7/00Mechanisms for manipulating page-width impression-transfer material, e.g. carbon paper
    • B41J17/36Alarms, indicators, or feed-disabling devices responsible to material breakage or exhaus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Landscapes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 Handling Of Continuous Sheets Of Paper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테이프 인쇄 장치(1)에 대하여 착탈 방향을 따르는 벽면에 설치된 피검출부(143)와, 장착 방향 안쪽측의 벽면으로부터 설치된 끼워맞춤부(244)를 구비하고, 끼워맞춤부(244)를 따라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장착되었을 때에, 피검출부(143)가, 검출광을 조사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종별 정보를 판독하는 테이프 인쇄 장치(1)의 검출부(59)와 대치하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이다.

Description

테이프 카트리지{TAPE CARTRIDGE}
본 발명은, 테이프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되어, 테이프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에 제공되는 테이프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테이프 카트리지가 이용되는 테이프 인쇄 장치(테이프 라이터)로서, 각종 부품을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테이프 카트리지를 착탈 자유롭게 장착하기 위한 카트리지 장착부와, 카트리지 장착부의 내벽에 배열된 복수의 포토 인터럽터(Photointerrupter) 등의 광학 센서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테이프 카트리지에는, 측면부에, 인쇄용 테이프나 인쇄용 잉크의 사양을 식별하기 위한 사양 표시 시일(seal)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인쇄 장치의 복수의 포토 인터럽터(광학 센서)는, 이 테이프 카트리지를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했을 때, 사양 표시 시일에 대치하도록 설치되고, 사양 표시 시일에 형성된 사양 표시부에, 검은색 잉크가 인쇄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사양을 식별한다.
일본특허공보 3247585호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테이프 인쇄 장치에서는, 테이프 카트리지와, 카트리지 장착부의 사이에, 제조 공차상의 여유를 형성할 수밖에 없다. 그 결과,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의 위치가 그 공차분만큼 어긋나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 때문에, 각 포토 인터럽터(광학 센서)와, 테이프 카트리지에 형성된 사양 표시부(사양 표시 시일)의 위치 관계가 장착할 때마다 어긋나 버려, 사양 표시부의 위치가, 각 포토 인터럽터가 검출을 행하기 위한 최적 위치로부터 어긋나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각 포토 인터럽터에 의한 검출 능력이 저하하여, 상기 사양을 올바르게 식별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의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
본 적용예의 테이프 카트리지는, 테이프 카트리지에 설치된 피검출부에 검출광을 조사하여 상기 피검출부로부터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종별 정보를 판독하는 검출부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에 대하여, 착탈 방향으로 착탈되는 테이프 카트리지로서, 상기 착탈 방향에 따르는 벽면에 설치된 상기 피검출부와, 장착 방향 안쪽측의 벽면으로부터 설치된 끼워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피검출부는, 상기 끼워맞춤부를 따라서 장착되었을 때에 상기 검출부와 대치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적용예에 의하면, 테이프 카트리지를 끼워맞춤부를 따라서 테이프 인쇄 장치에 장착함으로써, 테이프 카트리지와 홀더를 일체화하여, 피검출부의 위치에 대하여, 검출부의 위치가 위치 결정된다. 이 장착에 수반하는 위치 결정에 의해, 검출부와 피검출부의 위치 관계를, 최적의 위치 관계로 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가 장착된 경우에, 당해 테이프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따르는 벽면에 설치된 피검출부와 대치하도록 검출부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검출부와 검출부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어, 테이프 카트리지와 홀더의 위치 어긋남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즉, 검출부와 피검출부의 최적의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출부와 피검출부의 위치 관계를 최적의 위치 관계로 할 수 있음과 함께, 당해 최적의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검출부에 의한 검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테이프 카트리지의 종별 정보를 정확하게 판독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피검출부가, 전술의 배경 기술에 있어서의 사양 표시부(사양 표시 시일)에 상당한다.
[적용예 2]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테이프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피검출부는, 비트 구성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적용예에 의하면, 비트 구성부를 이용함으로써, 테이프 카트리지의 식별 정보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적용예 3]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테이프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비트 구성부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적용예에 의하면, 비트 구성부를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함으로써, 한정된 스페이스에서, 보다 많은 테이프 카트리지의 식별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적용예 4]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테이프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피검출부는, 상기 비트 구성부에 설치된 상기 식별부의 조합에 의해, 상기 종별 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적용예에 의하면, 비트 구성부에 설치된 식별부의 조합으로 테이프 카트리지의 종별 정보를 구성함으로써, 용이하게, 또한 한정된 스페이스에서, 보다 많은 테이프 카트리지의 식별 정보를 구성할 수 있다.
[적용예 5]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테이프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피검출부는, 상기 벽면에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적용예에 의하면, 접착 가능한, 예를 들면 시일 등을 이용하여 피검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벽면에 용이하게 피검출부를 설치할 수 있다.
[적용예 6]
상기 적용예에 기재된 테이프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피검출부는, 상기 벽면에 묘화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적용예에 의하면, 벽면에 직접 피검출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져, 부품의 삭감이나 접착 등의 공수 삭감 등에 의한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인쇄 장치의 덮개 열림 상태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의 평면도(a), 이면도(b), 정면도(c), 배면도(d), 좌측면도(e), 우측면도(f)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의 평면에서 본 사시도(a) 및, 이면에서 본 사시도(b)이다.
도 4는 도 2(a)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a) 및, B-B선 단면도(b)이다.
도 5는 테이프 인쇄 장치의 카트리지 장착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테이프 인쇄 장치의 패턴 판독부 주위를 나타내는 평면도(a) 및 사시도(b)이다.
도 7은 테이프 인쇄 장치의 센서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a), 정면도(b) 및 A-A'선 단면도(c) 및, 센서 홀더의 이면 사시도(d)이다.
도 8은 개폐 덮개를 이면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상 케이스와 하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테이프 카트리지의 평면도(a) 및 상 케이스의 이면도(b)이다.
도 10은 플래튼 구동축 및 플래튼 롤러의 확대 단면도(a) 및 그 스플라인 걸어맞춤 부분의 확대도(b)이다.
도 11은 카트리지 장착부의 사시도(a) 및, 베이스 볼록부 주위의 확대 사시도(b)이다.
도 12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이면 우방으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a), 이면 좌방으로부터 본 확대 사시도(b) 및, 코어 오목부 주위의 확대 평면도이다(c).
도 13은 테이프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한 비장착 상태의 단면도(a) 및, 장착 상태의 단면도(b)이다.
도 14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한 비장착 상태의 단면도(a) 및, 장착 상태의 단면도(b)이다(제1 변형예).
도 15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카트리지 장착부에 대한 비장착 상태의 단면도(a) 및, 장착 상태의 단면도(b)이다(제2 변형예).
도 16은 테이프 카트리지에 있어서의 피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피검출부에 있어서의 식별부의 조합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은 피검출부에 있어서의 식별부의 조합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피검출부에 있어서의 식별부의 조합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은 피검출부에 있어서의 식별부의 조합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1은 피검출부에 있어서의 식별부의 조합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피검출부에 있어서의 식별부의 조합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3은 피검출부에 있어서의 식별부의 조합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4는 피검출부에 있어서의 식별부의 조합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는 식별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테이프 카트리지에 대해, 이것이 장착되는 테이프 인쇄 장치와 함께 설명한다. 이 테이프 인쇄 장치는, 장착한 테이프 카트리지로부터 인쇄 테이프 및 잉크 리본을 조출하면서 인쇄를 행하고, 인쇄 테이프의 인쇄된 부분을 절단하여, 라벨(테이프편)을 작성하는 것이다.
[테이프 인쇄 장치의 개요]
도 1은, 테이프 인쇄 장치 및 이것에 장착되는 테이프 카트리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외각(outer shell)을 구성하는 장치 케이스(3)와,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착탈 자유롭게 장착되는 카트리지 장착부(5)와, 카트리지 장착부(5)를 개폐하는 개폐 덮개(7)를 구비하고 있다. 장치 케이스(3)의 상면에는, 안쪽측에 카트리지 장착부(5)가 설치되고, 중앙에 디스플레이(11)가 설치되고, 앞쪽측에 키보드(13)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 덮개(7)의 근방에는, 손가락 걸이용의 패임부(15)가 형성되어 있고, 개폐 덮개(7)는, 이 패임부(15)를 통하여 튀어오르도록 개방된다. 그리고, 장치 케이스(3)의 측면(좌측면)에는, 인쇄 테이프(102)가 배출되는 세로로 긴 테이프 배출구(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카트리지 장착부(5)에 세워 설치된 인쇄 헤드(21)를 갖는 인쇄 기구부(23)와, 카트리지 장착부(5)의 이측 공간에 내장한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와, 테이프 배출구(17)의 근방에 내장한 테이프 절단 기구부(27)를 구비하고 있다.
유저는, 키보드(13)로부터 인쇄 정보를 입력하고, 디스플레이(11)에서 인쇄 정보를 확인한 후, 키 조작에 의해 인쇄를 실행한다. 인쇄가 지령되면, 테이프 이송 기구부(25)가 구동하고, 인쇄 테이프(102)와 잉크 리본(110)을 병주(run in parallel)시켜, 이에 인쇄 기구부(23)에서 열 전사에 의한 인쇄가 행해진다. 이 인쇄 전송에 의해, 인쇄 테이프(102)는 테이프 배출구(17)로부터 배출되어 가고, 인쇄가 완료하면, 테이프 절단 기구부(27)가 구동하여, 인쇄 테이프(102)의 인쇄된 부분이 잘려 떨어진다.
[테이프 카트리지의 개요]
도 2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인쇄 테이프(102)를 테이프 코어(104)에 권회한 테이프 롤(106)과, 잉크 리본(110)을 조출 코어(112)에 권회한 리본 롤(11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사용 후의 잉크 리본(110)을 권취하는 권취 코어(116)와, 인쇄 헤드(21)가 잉크 리본(110) 및 인쇄 테이프(102)를 사이에 두고 맞닿음과 함께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을 이송하는 플래튼 롤러(120)(플래튼)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이들 테이프 롤(106), 리본 롤(114), 권취 코어(116) 및 플래튼 롤러(120)를 수용한 카트리지 케이스(13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외각이 카트리지 케이스(130)로 덮인, 소위 쉘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에는, 테이프 인쇄 장치(1)에 장착될 때, 인쇄 헤드(21)가 삽입되는 삽입 개구(134)가,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형성되고, 인쇄 테이프(102)가 송출되는 테이프 송출구(13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지만, 테이프 롤(106)은,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내측으로 돌출 설치된 원통 형상의 코어 축부(192)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도 4 참조).
상기의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에 의해, 플래튼 롤러(120) 및 권취 코어(116)가 구동되면, 인쇄 테이프(102)는 테이프 코어(104)로부터 조출되고, 잉크 리본(110)은 조출 코어(112)로부터 조출된다. 조출된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은, 플래튼 롤러(120)의 부분에서 병주하여, 인쇄 헤드(21)에 의해 인쇄에 제공된다. 인쇄가 행해진 인쇄 테이프(102)의 조출 단부(인쇄된 부분)는, 테이프 송출구(138)로부터 테이프 배출구(17)를 향하여 송출된다. 한편, 잉크 리본(110)은, 삽입 개구(134)의 둘레벽 부분을 주회(周回)하여, 권취 코어(116)에 권취된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에는,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폭에 따라서, 두께가 상이한 복수종의 것이 준비되어 있다.
[테이프 인쇄 장치의 상세]
도 1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5)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평면 형상과 상보적인 평면 형상으로 형성됨과 함께, 장착 가능한 복수종의 테이프 카트리지(100) 중, 최대 두께의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대응하는 깊이를 갖고, 패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카트리지 장착부(5)의 저판부를 구성하는 장착 베이스(31)와 측판부(33)는, 수지 등으로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5)와 상기의 테이프 배출구(17)의 사이에는, 슬릿 형상의 테이프 배출 경로(35)가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에, 상기의 테이프 절단 기구부(27)가 내장되어 있다.
카트리지 장착부(5)의 장착 베이스(31)에는,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장착되었을 때에 그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코어 축부(192)(도 4 참조)의 내주부가 끼워맞춰지는, 식별 수단으로서의 베이스 볼록부(40)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베이스 볼록부(40)는, 장착 베이스(31) 상에 세워 설치한 원형의 대좌부(41)와, 대좌부(41) 상에 세워 설치한 식별 볼록부(42)를 갖고 있다.
또한, 장착 베이스(31)에는, 헤드 커버(43)에 덮인 인쇄 헤드(21)와, 플래튼 롤러(120)를 회전 구동하는 플래튼 구동축(45)과, 권취 코어(116)를 회전 구동하는 권취 구동축(47)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권취 구동축(47)의 근방에 위치하여 장착 베이스(31)에는, 인쇄 테이프(102)의 종별(속성 정보)을 검출하는 테이프 검출부(51)와, 조출 코어(112) 및 권취 코어(116)의 회전 정지를 해제하는 코어 해제부(5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착 베이스(31)에는, 대각 위치에 한 쌍의 소돌기(55)가 형성되고, 더하여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중간부를 걸어 고정하는 한 쌍의 걸림 고정편(5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장착 베이스(31)의 이측 공간에는, 플래튼 구동축(45) 및 권취 구동축(47)을 회전시키는 모터 및 기어열(모두, 도시 생략)을 갖는 상기의 테이프 이송 기구부(25)가 내장되어 있다. 테이프 이송 기구부(25)는, 기어열로 동력 분기하여, 플래튼 구동축(45) 및 권취 구동축(47)을 동기 회전시킨다.
한편, 카트리지 장착부(5)의 측판부(33)(앞쪽측)에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측면에 형성된 피검출부로서의 종별 판독 시일(143)의 비트 패턴(종별 판독 패턴)을 판독하는 검출부로서의 패턴 판독부(59)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테이프 검출부(51)가,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수용된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폭을 검출(인식)하고, 당해 패턴 판독부(59)가, 테이프폭을 제외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종별 정보(수용된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색이나 재질, 수용된 잉크 리본(110)의 리본색 등)를 인식한다. 패턴 판독부(59) 및 종별 판독 시일(143)의 비트 패턴(종별 판독 패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인쇄 기구부(23)는, 서멀 헤드로 구성된 인쇄 헤드(21)와, 인쇄 헤드(21)를 지지함과 함께 회전 이동시키는 헤드 지지 프레임(61)과, 헤드 지지 프레임(61)을 통하여 인쇄 헤드(21)를 인쇄 위치와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회전 이동시키는 헤드 릴리스 기구(도시 생략)와, 인쇄 헤드(21)(및 헤드 지지 프레임(61))를 덮는 헤드 커버(43)를 갖고 있다.
헤드 릴리스 기구는, 상기의 개폐 덮개(7)의 개폐에 연동하여 작동하고, 개폐 덮개(7)의 폐색 동작에 연동하여 인쇄 헤드(21)를 인쇄 위치로 이동(회전 이동)시키고,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인쇄 헤드(21)를 퇴피 위치로 이동(회전 이동)시킨다. 인쇄 위치로 이동한 인쇄 헤드(21)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플래튼 롤러(120)에, 잉크 리본(110) 및 인쇄 테이프(102)를 사이에 두고 맞닿고, 퇴피 위치로 이동한 인쇄 헤드(21)는, 플래튼 롤러(120)로부터 이간된다. 이에 따라,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착탈할 때에, 인쇄 테이프(102)나 잉크 리본(110)의 인쇄 헤드(21)로의 간섭이 방지된다.
인쇄 헤드(21)에는, 복수의 발열 소자가 형성되고, 복수의 발열 소자는, 플래튼 롤러(120)의 축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열지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의 이송과, 복수의 발열 소자의 선택적 구동에 의해 인쇄가 행해진다. 헤드 커버(43)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장착 베이스(31)(카트리지 장착부(5))와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또한, 헤드 커버(43)는, 장착 베이스(31)로부터 수직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내측에 있어서 인쇄 헤드(21)의 회전 이동을 허용한다.
테이프 검출부(51)는,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51a)로 구성되어 있고, 후술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피검출부(180)(도 3 참조)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걸어맞춰지고,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폭이나 테이프 색, 재질 등의 종별을 검출한다. 그리고,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인쇄 헤드(21)나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의 구동이 제어된다.
코어 해제부(53)는, 조출 코어(112)용 및 권취 코어(116)용의 2개의 해제 핀(53a)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는 후술하지만, 카트리지 케이스(130)에는, 조출 코어(112) 및 권취 코어(116)에 각각 걸림 고정되는 회전 정지 훅(206)이 설치되어 있다(도 9 참조).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장착하면, 이들 회전 정지 훅(206)에 해제 핀(53a)이 걸어맞춰져, 조출 코어(112) 및 권취 코어(116)의 회전 정지가 해제된다.
플래튼 구동축(45)은, 플래튼 롤러(120)를 삽입 통과하도록 설치된 고정 지지축(48)과, 고정 지지축(48)의 기부(基部)에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된 스플라인 형상의 스플라인 구동축(49)(구동축)을 갖고 있다(도 5 및 도 10 참조).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의 회전 동력은, 이 스플라인 구동축(49)에 전달되고, 또한 스플라인 구동축(49)으로부터 플래튼 롤러(120)에 전달된다(상세는 후술함).
동일하게, 권취 구동축(47)은, 고정축(47a)과, 고정축(47a)에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된 스플라인 형상의 가동축(47b)을 갖고 있다. 이 경우도,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의 회전 동력은, 가동축(47b)에 전달되고, 또한 가동축(47b)으로부터 권취 코어(116)에 전달된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하면, 베이스 볼록부(40)에 코어 축부(192)(후술하는 코어 오목부(260))가 걸어맞춰져(도 13 참조), 플래튼 구동축(45)에 플래튼 롤러(120)가 걸어맞춰지고, 또한 권취 구동축(47)에 권취 코어(116)가 걸어맞춰진다. 그리고, 개폐 덮개(7)를 폐색하면, 인쇄 헤드(21)가 회전 이동하여,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을 사이에 끼고 플래튼 롤러(120)에 맞닿아, 테이프 인쇄 장치(1)는 인쇄 대기 상태가 된다.
도 1, 도 5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덮개(7)는, 안쪽측에 설치한 힌지부(71)를 통하여, 장치 케이스(3)에 회전 이동 자유롭게, 즉 개폐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개폐 덮개(7)는, 개폐 덮개 본체(73)와, 개폐 덮개 본체(73)의 중앙에 형성한 관측창(75)을 갖고 있다. 또한, 개폐 덮개(7)는, 개폐 덮개 본체(73)의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힌지부(71)에 회전 이동 자유롭게 축 지지된 한 쌍의 축 지지편(77)과, 개폐 덮개 본체(73)의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인쇄 헤드(21)를 회전 이동시키는 작동 레버(79)를 갖고 있다. 또한, 개폐 덮개(7)는, 개폐 덮개 본체(73)의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압입하는 2개의 압입 돌기(81)와, 개폐 덮개 본체(73)의 이면에 돌출 형성되어, 내장되는 덮개 폐색 검출 스위치(도시 생략)를 작동(ON)시키는 압하 돌기(83)를 갖고 있다.
관측창(75)은, 가로로 길게 형성되고, 개폐 덮개 본체(73)와는 별도체가 되는 투명(가시광에 대하여 투명)인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관측창(75) 너머로,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시인(인쇄 테이프(102)의 종별이나 테이프 잔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축 지지편(77), 작동 레버(79), 2개의 압입 돌기(81) 및 압하 돌기(83)와, 개폐 덮개 본체(73)는, 수지로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작동 레버(79)는, 개폐 덮개 본체(73)의 이면으로부터 크게 돌출되어 있고, 개폐 덮개(7)의 폐색에 수반하여, 카트리지 장착부(5)의 측방에 형성한 슬릿 개구(87)에 삽입된다. 슬릿 개구(87)에 삽입된 작동 레버(79)는, 상기의 헤드 릴리스 기구를 작동시켜, 인쇄 헤드(21)를 플래튼 롤러(120)를 향하여 회전 이동시킨다. 동일하게 압하 돌기(83)는, 개폐 덮개(7)의 폐색에 수반하여, 슬릿 개구(87)에 인접하는 직사각형 개구(91)에 삽입되어, 덮개 폐색 검출 스위치를 ON시킨다.
한쪽의 압입 돌기(81)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플래튼 롤러(120)의 근방 위치에 대응하고 있고, 다른 한쪽의 압입 돌기(81)는, 상기의 테이프 검출부(51)의 바로 위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개폐 덮개(7)를 폐색하면, 2개의 압입 돌기(81)는,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카트리지 장착부(5)의 장착 베이스(31)에 착좌하도록 이를 압입함과 함께,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부상(浮上)을 방지한다.
[테이프 카트리지의 상세]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4 및, 도 9를 참조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설명에서는, 도 1을 예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상측 정면인 장착 방향 앞쪽의 면을 「표면」으로, 반대측의 장착 방향 안쪽측의 면을 「이면」으로, 좌측의 측면을 「좌측면」으로, 우측의 측면을 「우측면」으로, 상측의 원호 형상의 측면을 「선단면(leading end surface)」으로, 하측의 측면을 「기단면(base end surface)」으로, 호칭하는 것으로 한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전술과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130)와, 이것에 수용한 테이프 롤(106), 리본 롤(114), 권취 코어(116) 및 플래튼 롤러(120)를 구비하고 있다(도 9 참조).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형성된 삽입 개구(134)와, 플래튼 롤러(120)의 근방에 있어서 좌측면에 형성한 테이프 송출구(138)와, 테이프 롤(106)이 수용되어 있는 부위의 표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걸쳐 접착된 식별 시일(141)(도 1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식별 시일(141)에는, 수용된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폭이나 테이프 색, 재질 등(속성 정보의 일부)이, 표면 및 좌측면의 2개소에 표시되어 있다.
카트리지 케이스(130)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외곽을 구성하는 것이고(쉘 구조), 우측면의 기단측이 약간 돌출된, 평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표리 방향에 있어서 카트리지 케이스(130)는,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했을 때에 안쪽측이 되는 하 케이스(150)와, 앞쪽측이 되는 상 케이스(152)를 갖고 있다. 실시 형태의 카트리지 케이스(130)는, 상 케이스(152)가 투명한 수지의 성형품으로 구성되고, 하 케이스(150)가 불투명한 수지의 성형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 케이스(152)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표면을 구성하는 천벽부(156)와, 천벽부(156)의 주연부에 수직 설치된 상 둘레벽부(158)로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또한, 하 케이스(150)는,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이면을 구성하는 저벽부(160)와, 저벽부(160)의 주연부에 세워 설치된 하둘레벽(162)과, 상기의 삽입 개구(134)를 획성하기 하기 위하여 저벽부(160)에 세워 설치된 개구 둘레벽부(164)로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상 케이스(152)에 있어서의 상 둘레벽부(158)의 하단면에는, 적절한 간격으로 복수의 접합 핀(170)이 형성되는 한편, 하 케이스(150)의 하둘레벽(162)에는, 이 복수의 접합 핀(170)에 대응하여 복수의 접합공(172)이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하 케이스(150)에, 테이프 롤(106)이나 리본 롤(114) 등의 구성 부품을 세트한 후, 복수의 접합공(172)에 복수의 접합 핀(170)을 압입하도록 상 케이스(152)를 접합함으로써,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조립된다. 또한, 각 접합공(172)은, 성형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관통공으로 되어 있다.
한편, 하 케이스(150)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는, 상기의 한 쌍의 걸림 고정편(57)에 걸림 고정되는 한 쌍의 걸림 고정 수용부(174)가 형성되어 있다(도 2(e), (f) 및 도 3(b) 참조).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한 쌍의 걸림 고정 수용부(174)에, 카트리지 장착부(5)측의 한 쌍의 걸림 고정편(57)이 걸림 고정됨으로써,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부상이 방지된다. 또한, 하 케이스(150)의 이면에는, 상기의 한 쌍의 소돌기(55)가 약간 여유를 갖고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소공(176)이 형성되어 있다(도 3(b) 참조). 장착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한 쌍의 끼워맞춤 소공(176)에, 카트리지 장착부(5)측의 한 쌍의 소돌기(55)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장착 베이스(31) 상에 있어서의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간단한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하 케이스(150)의 이면에는, 기단면측의 좌 모퉁이부(표면측으로부터 보아 우 모퉁이부)에 위치하고, 상기의 테이프 검출부(51)에 대응하는 테이프 피검출부(180)가 형성되어 있다(도 3(b) 참조). 테이프 피검출부(180)는, 테이프 검출부(51)의 복수의 마이크로 스위치(51a)에 대응하는 부분에 구성되고, 이 부분에 형성된 수용공(180a)의 유무에 의해, 복수의 비트 패턴을 얻도록 하고 있다. 즉, 이 비트 패턴이, 상기한 인쇄 테이프(102)의 종별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테이프 롤(106)이 수용되어 있는 부위의 표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걸쳐 접착된 종별 표시 시일(141)(도 1 참조)과,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하 케이스(150)의 기단면(150a)에 접착된 피검출부로서의 종별 판독 시일(143)(도 2(c) 및 도 3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종별 표시 시일(141)에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종별 정보(수용된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 폭, 테이프 색, 재질 등)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피검출부로서의 종별 판독 시일(143)에는, 비트 구성부(145)가 형성되고, 이 비트 구성부(145)에,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종별 정보(수용된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색, 재질, 수용된 잉크 리본(110)의 리본색 등)를 나타내는 비트 패턴(종별 판독 패턴)을 구성하는 식별부(147)가 배치되어 있다(도 16 참조). 또한, 비트 구성부(145) 및, 비트 패턴(종별 판독 패턴)을 구성하는 식별부(147)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 2(c)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 케이스(150)의 기단면(150a)에는, 상기 종별 판독 시일(143)을 접착하기 위한 판독 시일 접착부(175)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판독 시일 접착부(175)는, 장방형 형상의 오목부를, 종별 판독 시일(143)의 두께분(혹은 두께 이상)의 깊이가 되도록, 기단면(150a)에 대하여 오목하게 형성한 것이다. 판독 시일 접착부(175)에 의해, 종별 판독 시일(143)이, 기단면(150a)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의 상측 공간(선단면측)에는, 넓게 테이프 롤(106)이 수용되는 테이프 수용 에어리어(190)가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수용 에어리어(190)의 중앙에는, 하 케이스(150)에 일체로 형성(성형)된 코어 축부(192)가 세워 설치되어 있다. 코어 축부(192)는, 계단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192b)에는 테이프 롤(106)(테이프 코어(104))이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되어 있다(도 4 참조).
상세는 후술하지만, 계단식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코어 축부(192)에는, 그 내주측에 상기의 베이스 볼록부(40)가 끼워맞춰지는 코어 오목부(260)가 형성되어 있다. 코어 오목부(260)는, 베이스 볼록부(40)의 대좌부(41)가 끼워맞춰지는 함몰부(depressed portion; 262)와, 식별 볼록부(42)가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 수단으로서의 식별 오목부(264)를 갖고 있다. 또한, 코어 오목부(260)의 상부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 테이프 롤(106)의 역회전 정지용 스프링(193)이 조입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20)의 근방에 위치하여 테이프 수용 에어리어(190)에는, 조출된 인쇄 테이프(102)를 플래튼 롤러(120)로 유도하는 테이프 가이드(194)가, 하 케이스(150)에 일체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테이프 롤(106)을 기점으로 하여, 테이프 가이드(194) 및 플래튼 롤러(120)를 거쳐 테이프 송출구(138)에 이르는 테이프 이송 경로(196)가 구성되어 있다. 테이프 롤(106)로부터 조출된 인쇄 테이프(102)는, 테이프 가이드(194)를 통하여 플래튼 롤러(120)로 유도되고, 여기에서 인쇄에 제공되고, 추가로 플래튼 롤러(120)로부터 테이프 송출구(138)로 유도된다.
테이프 롤(106)은, 인쇄 테이프(102) 및 테이프 코어(104)를 가짐과 함께, 롤 형상의 인쇄 테이프(102)의 양 단면에 접착된 2매의 원형 필름(198)을 갖고 있다. 이 2매의 원형 필름(198)은, 테이프 코어(104)에 권회한 인쇄 테이프(102)의 늘어짐을 방지하고 있다.
도 4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테이프 코어(104)는, 인쇄 테이프(102)가 권회 장착된 릴부(104a)와, 릴부(104a)의 내측에 복수의 내향 리브(104b)를 통하여 형성한 구름 접촉부(rolling contact portion; 104c)를 갖고, 이 구름 접촉부(104c)에 의해, 상기의 코어 축부(192)에 회전 자유롭게 축 지지되어 있다. 또한, 구름 접촉부(104c)의 단면에는, 방사 형상의 복수의 단면 홈(home; 104d)이 형성되고, 이 단면 홈(104d)에, 상기의 역회전 정지용 스프링(193)이 걸림거나 이탈되도록 되어 있다. 즉, 코어 축부(192)의 상부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슬릿(192a)이 형성되고, 이 세로 슬릿(192a)으로부터, 역회전 정지용 스프링(193)의 선재(wire material) 단부가 돌출되고, 구름 접촉부(104c)의 단면 홈(104d)에 걸어맞춰져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운반할 때에는, 이 역회전 정지용 스프링(193)에 의해, 테이프 롤(106)(인쇄 테이프(102))의 역회전이 방지된다. 한편,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하면, 상기의 베이스 볼록부(40)에 의해 역회전 정지용 스프링(193)이 압축되어, 그 선재 단부가 구름 접촉부(104c)의 단면 홈(104d)으로부터 이탈하여 역회전 정지가 해제된다(모두 도 13 참조). 이에 따라, 인쇄 테이프(102)의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의 기부 우측에는, 삽입 개구(134)에 인접하여 리본 수용 에어리어(200)가 구성되어 있다. 리본 수용 에어리어(200)의 우측 가까이에는, 리본 롤(114)(조출 코어(112))을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조출측 베어링부(202)가, 또한 좌측 가까이에는, 권취 코어(116)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권취측 베어링부(204)가, 각각 카트리지 케이스(130)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 케이스(152) 및 하 케이스(150)에, 각각 조출측 베어링부(202) 및 권취측 베어링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하 케이스(150)에 형성된 조출측 베어링부(202) 및 권취측 베어링부(204)의 절결 부분에는, 선단부를 이들 조출측 베어링부(202) 및 권취측 베어링부(204)를 향하게 한 회전 정지 훅(206)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회전 정지 훅(206)은 조출 코어(112)에, 다른 한쪽의 회전 정지 훅(206)은 권취 코어(116)에, 각각 회전 정지 상태로 걸어맞춰져 있다.
조출측 베어링부(202)의 근방에 위치하여 리본 수용 에어리어(200)에는, 조출된 잉크 리본(110)을 플래튼 롤러(120)로 유도하는 제1 리본 가이드(210)가, 하 케이스(150)에 일체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의 개구 둘레벽부(164)의 외주측에는, 잉크 리본(110)의 주회를 가이드하는 복수의 제2 리본 가이드(2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즉, 카트리지 케이스(130)의 내부에는, 리본 롤(114)을 기점으로 하여, 제1 리본 가이드(210), 플래튼 롤러(120) 및 복수의 제2 리본 가이드(212)를 거쳐 권취 코어(116)에 이르는 리본 이송 경로(214)가 구성되어 있다. 리본 롤(114)로부터 조출된 잉크 리본(110)은, 제1 리본 가이드(210)를 통하여 플래튼 롤러(120)에 유도되어, 여기에서 인쇄에 제공되고, 추가로 플래튼 롤러(120)로부터 개구 둘레벽부(164)(복수의 제2 리본 가이드(212))를 주회하여 권취 코어(116)에 권취된다.
리본 롤(114)은, 잉크 리본(110) 및 조출 코어(112)를 가짐과 함께, 조출 코어(112)에 제동 부하를 부여하는 둥근 고리 형상의 판 스프링(220)을 갖고 있다(도 9(b) 참조). 판 스프링(220)은, 둘레 방향에 있어서 물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 방향에 있어서 상 케이스(152)의 천벽부(156)와 조출 코어(112)의 사이에 개재 형성되어 있다. 즉, 조출 코어(112)에는, 이 판 스프링(220)의 탄발력에 의해 회전 제동 부하가 부여된다. 이에 따라, 권취 코어(116)에 의해 조출되어 가는 잉크 리본(110)에는, 백 텐션이 부여되어 그 느슨함이 방지된다.
조출 코어(11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 케이스(150)측의 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절결(222)이 형성되어 있다(도 3(b) 참조). 그리고, 복수의 절결(222)에는, 상기의 회전 정지 훅(206)이 걸리거나 이탈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조출 코어(112)를 지지하는 하 케이스(150)측의 조출측 베어링부(202)는 원형의 개구로 구성되어 있지만, 상 케이스(152)측의 조출측 베어링부(202)는, 원통 형상의 돌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돌출 부분에 상기의 판 스프링(220)이 장착되어 있다(모두 도 9(b) 참조).
마찬가지로, 권취 코어(116)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 케이스(150)측의 단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절결(224)이 형성되어 있다(도 3(b) 참조). 그리고, 복수의 절결(224)에는, 상기의 회전 정지 훅(206)이 걸리거나 이탈된다. 또한, 권취 코어(116)의 내주면에는 스플라인 모양의 슬릿 홈(226)이 형성되고, 상기의 권취 구동축(47)에 스플라인 걸어맞춰진다. 이에 따라, 권취 구동축(47)의 회전력이 권취 코어(116)에 전달되어, 잉크 리본(110)이 권취된다.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의 기부 좌측에는, 삽입 개구(134)에 인접하여 플래튼 수용 에어리어(230)가 구성되어 있다. 플래튼 수용 에어리어(230)의 중앙에는, 하 케이스(150)에 형성된 타원 형상 개구의 하 베어링부(234)와(도 3(b) 참조), 상 케이스(152)에 형성된 타원 형상 개구의 상 베어링부(232)(도 9(b)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 베어링부(232) 및 하 베어링부(234)에는, 플래튼 롤러(120)가 회전 자유롭게 또한 미소하게 횡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타원 형상의 상 베어링부(232) 및 하 베어링부(234)에 지지된 플래튼 롤러(120)는, 플래튼 구동축(45)에 걸어맞추는 홈 위치와, 인쇄 테이프(102)를 사이에 끼고 테이프 가이드(194)에 접하는 협지 위치의 사이에서, 횡 이동(미소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 테이프 카트리지(100)는, 인쇄 테이프(102)의 조출 단부를, 테이프 송출구(138)로부터 외부로 미소하게 돌출시킨 상태로 운반된다(도 1 참조). 그 때, 잘못하여 인쇄 테이프(102)의 조출 단부에 압입력이나 인입력이 작용하면, 이것에 끌려간 플래튼 롤러(120)가 상기의 협지 위치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인쇄 테이프(102)의 조출 단부가, 테이프 송출구(138)로부터 카트리지 케이스(130) 내로 인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플래튼 롤러(120)는, 원통 형상의 롤러 기체(240)와, 롤러 기체(240)의 외주면에 장착한 고무 롤러(242)를 갖고 있다(도 10 참조). 고무 롤러(242)는, 축 방향에 있어서 인쇄 헤드(21)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있고, 인쇄 위치로 이동한 인쇄 헤드(21)는, 인쇄 테이프(102) 및 잉크 리본(110)을 사이에 끼고 이 고무 롤러(242)에 접촉한다.
또한, 롤러 기체(240)의 기부에는, 끼워맞춤부로서의 스플라인 보스부(244)가 형성되고, 스플라인 보스부(244)에는, 상기의 플래튼 구동축(45)의 스플라인 구동축(49)(구동축)이 스플라인 걸어맞춰진다(도 10 참조). 이에 따라, 플래튼 구동축(45)의 회전력이 플래튼 롤러(120)에 전달되어, 인쇄 테이프(102)(및 잉크 리본(110))가 인쇄 전송된다.
[코어 오목부 및 플래튼 롤러의 구조]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코어 오목부(260) 및 플래튼 롤러(120)의 구조에 대해서, 카트리지 장착부(5)의 베이스 볼록부(40) 및 플래튼 구동축(45)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과 같이, 카트리지 장착부(5)에는, 상호 이간하여 플래튼 구동축(45) 및 베이스 볼록부(40)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에는 플래튼 롤러(120) 및 코어 오목부(26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구동축(45)은, 장착 베이스(31)의 하방에 위치하는 장치 프레임(270)에 세워 설치된 고정 지지축(48)과, 고정 지지축(48)의 하부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스플라인 구동축(49)을 갖고 있다. 고정 지지축(48)은, 장치 프레임(270)에 외팔보로 고정되고, 장착 베이스(31)를 관통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착탈 방향으로 연재하고 있다. 스플라인 구동축(49)은 기부의 기어부(272)와, 기어부(272)로부터 연장되는 스플라인 축부(274)를 갖고, 기어부(272)에, 상기의 테이프 이송 기구부(25)의 기어열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플래튼 롤러(120)는, 전술과 같이 롤러 기체(240)와 고무 롤러(242)를 갖고, 롤러 기체(240)의 기부에 스플라인 보스부(244)가 형성되어 있다. 즉, 롤러 기체(240)에는, 상기의 스플라인 축부(274)에 스플라인 걸어맞춰지는 스플라인 보스부(244)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하면, 플래튼 롤러(120)의 롤러 기체(240)에 플래튼 구동축(45)의 고정 지지축(48)이 삽입 통과된다. 또한, 플래튼 롤러(120)의 스플라인 보스부(244)에 플래튼 구동축(45)의 스플라인 축부(274)가 걸어맞춰진다.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플라인 축부(274)에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의 스플라인 톱니(274a)가 형성되고, 스플라인 보스부(244)에는, 복수의 스플라인 톱니(274a)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플라인 홈(24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스플라인의 구조와 달리, 스플라인 홈(244a)의 홈 수는, 스플라인 톱니(274a)의 톱니수보다도 많은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스플라인 홈(244a)의 둘레 방향의 간격은, 복수의 스플라인 톱니(274a)의 둘레 방향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플라인 홈(244a)의 홈 수가 6개이고, 스플라인 톱니(274a)의 톱니수가 3개로 되어 있고, 스플라인 톱니(274a)는, 스플라인 홈(244a)에 1개걸러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플라인 보스부(244)의 내주면 기부는, 모따기되어 있고, 소위 유도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도 10(a) 참조).
이와 같이, 스플라인 걸어맞춤에 있어서의 홈 수와 톱니수의 상위 및, 스플라인 보스부(244)의 유도하는 형상에 의해, 스플라인 축부(274)의 스플라인 보스부(244)로의 끼워맞춤(걸어맞춤)이 원활히 행해진다. 즉,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카트리지 장착부(5)로의 장착이 원활히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볼록부(40)는, 장착 베이스(31) 상에 세워 설치한 대좌부(41)와, 대좌부(41) 상에 세워 설치한 식별 볼록부(42)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대좌부(41)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그 둘레 방향의 일부에 절결 개구부(280)를 갖고 있다. 또한, 식별 볼록부(42)는 원주 형상(중공)의 볼록부 본체(282)와, 볼록부 본체(282)의 외주면에 십자 형상을 이루도록 설치한 4개의 돌조부(284)와, 볼록부 본체(282)로부터 대좌부(41)의 상면을 따르도록 지름 방향으로 돌출된 설편(286)을 갖고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 오목부(260)는, 베이스 볼록부(40)의 대좌부(41)가 끼워맞춰지는 함몰부(262)와, 식별 볼록부(42)가 끼워맞춰지는 식별 오목부(264)를 갖고 있다. 함몰부(262)와 식별 오목부(264)는, 일체의 공간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식별 오목부(264)에는, 이 공간을 향하여 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절결 개구부(280)에 대응하는 끼워맞춤 볼록부(290)(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식별 오목부(264)에는, 이 공간으로부터 몰입하도록, 식별 볼록부(42)의 설편(286)에 대응하는 끼워맞춤 오목부(292)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하면, 베이스 볼록부(40)의 대좌부(41)가 코어 오목부(260)의 함몰부(262)에 끼워맞춰짐과 동시에, 베이스 볼록부(40)의 식별 볼록부(42)가, 코어 오목부(260)의 식별 오목부(264)에 끼워맞춰진다(도 13 참조). 또한, 이 끼워맞춤에 맞추어, 끼워맞춤 볼록부(290)가 절결 개구부(280)에 끼워맞춰지고, 끼워맞춤 오목부(292)에 설편(286)이 끼워맞춰진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카트리지(100)에서는, 구성 부품 중에서 테이프 롤(106)이 극단적으로 무거워, 평면에서 봐서 테이프 코어(104)의 근방에 중심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장착시에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파지하면, 특별히 의식하지 않는 한,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선(leading)부가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지는 경향이 강하다. 이러한 경우에, 식별 오목부(264)에 식별 볼록부(42)가 끼워맞춰지기 전에, 식별 볼록부(42)가 함몰부(262)에 부딪치기 쉽고, 이에 따라 기울어진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자세가 교정된다. 즉, 장착에 있어서,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수평 자세로 교정되기 때문에, 장착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상세는 후술함).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코어 오목부(260)와 베이스 볼록부(40)의 협동에 의해, 카트리지 종별의 식별을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의 카트리지 종별은, 인쇄 테이프(102)의 종별이 아니라(테이프 종별은, 테이프 검출부(51)에 의함), 예를 들면 용도(공업용이나 가정용), 발송 지역(미국발이나 유럽발) 등의 식별을 행한다.
이 때문에,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코어 오목부(260)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오목부(292)의 위치를, 둘레 방향으로 예를 들면 90° 피치로 어긋나게 한(위상을 어긋나게 한), 발송 지역별(용도별)의 복수종의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준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에 대응하여, 베이스 볼록부(40)에 있어서의 설편(286)의 위상을 어긋나게 한, 발송 지역별(용도별)의 복수종의 테이프 인쇄 장치(1)를 준비하도록 하고 있다(제1 식별 패턴).
또한, 카트리지 종별의 다수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코어 오목부(260)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볼록부(290)의 위상을 어긋나게 한 패턴(베이스 볼록부(40)에 있어서의 절결 개구부(280)의 위상을 어긋나게 한 패턴)도 더하도록 하고 있다(제2 식별 패턴). 또한, 위상을 어긋나게 하는 것(제1 식별 패턴 및/또는 제2 식별 패턴)을 대신하여, 혹은 위상을 어긋나게 하는 것에 더하여, 끼워맞춤 오목부(292)(설편(286))나 끼워맞춤 볼록부(290)(절결 개구부(280))의 형상을 바꾸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의하면, 식별 오목부(264)가 함몰부(26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에 있어서, 베이스 볼록부(40)의 식별 볼록부(42)에 대하여 식별 오목부(264)가 끼워맞춤을 개시하기 전에, 식별 볼록부(42)가 일단 함몰부(262)에 부딪쳐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자세가 교정된다. 이 때문에, 식별 볼록부(42)에 식별 오목부(264)가 끼워맞춤을 개시하기 전에, 스플라인 구동축(49)(스플라인 축부(274))에 스플라인 보스부(244)가 끼워맞춤을 개시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즉,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장착에 있어서, 기울어진 자세로 장착이 개시되어도, 스플라인 보스부(244)로부터 끼워맞춤을 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플라인 보스부(244)가 스플라인 구동축(49)에 가로막히는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오목부(264)에 대하여 스플라인 보스부(244)의 끼워맞춤이 선행함으로써, 장착 개시시에,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기울어짐이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또한, 스플라인 보스부(244)의 끼워맞춤 개시와 식별 오목부(264)의 끼워맞춤 개시의 사이에서 타이밍의 차를 설정함으로써, 장착시의 충격력을 분산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테이프 인쇄 장치(1)의 장착부로의 장착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오목부(264)가 함몰부(262)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별 오목부(264)(코어 축부(192))를 실질적으로 짧게 할 수 있어, 적당한 강도를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식별 오목부(264)는, 낙하 충격 등에 대하여 직접적인 충격력을 받을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식별 오목부(264)를 파손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다. 또한, 함몰부(262)에 의해, 식별 오목부(264)에 끼워맞춤 볼록부(290) 등의 돌기가 있어도 이것이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일이 없어,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겹쳐 보관하는 경우에, 끼워맞춤 볼록부(290) 등이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제1 변형예]
다음으로,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 형태의 제1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1 변형예에서는, 베이스 볼록부(40)의 내부에 카트리지 검출부(300)(피작동부)를 조입하도록 하고 있다. 이 카트리지 검출부(300)는, 상기 코어 오목부(260)의 끼워맞춤 볼록부(290)가 작동부로서 작동되고, 상기의 카트리지 종별에 있어서의 적정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장착을 검출한다. 따라서, 제1 변형예에 있어서의 끼워맞춤 볼록부(290)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측의 피검출부로서도 기능한다.
카트리지 검출부(300)는, 베이스 볼록부(40)에 있어서의 대좌부(41)의 내부에 조입되어 있고, 작동부인 끼워맞춤 볼록부(290)로부터 아래로 이동하는 피작동 부재(302)와, 피작동 부재(302)에 하측으로부터 접촉하는 스위치 본체(304)를 갖고 있다. 스위치 본체(304)는, 고정적으로 형성된 마이크로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피작동 부재(302)는, 캡 형상으로 형성되고, 대좌부(41)의 내주면에 상하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하면, 코어 오목부(260)의 끼워맞춤 볼록부(290)가, 베이스 볼록부(40)의 절결 개구부(280)를 통하여 피작동 부재(302)에 맞닿아, 이것을 아래로 이동시킨다. 이 피작동 부재(302)의 아래로의 이동에 의해 스위치 본체(304)가 작동(ON)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장착이 검출된다.
이와 같이, 제1 변형예에 의하면, 베이스 볼록부(40) 내에 카트리지 검출부(300)를 형성함으로써, 발송 지역별(용도별)의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적정하게 장착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검출부(300)는, 피작동 부재(302)를 통하여 스위치 본체(304)를 작동시키는 구조이며, 또한 피작동 부재(302)가 캡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 식별을 위해서 절결 개구부(280)의 위치나 형상을 변경해도, 카트리지 검출부(300)측에 변경을 가할 필요가 없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한랭지용 등의 발송 지역(용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카트리지 검출부(300)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테이프 인쇄 장치(1)를 한랭지 모드로 전환하는 등의 동작을 행해도 좋다.
[제2 변형예]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 형태의 제2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2 변형예에서는, 베이스 볼록부(40)의 내부에 조입된 카트리지 검출부(300)에 있어서, 피작동 부재(302A)가 설편(286)을 겸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제2 변형예에서는, 설편(286)에 대응하는 코어 오목부(260)의 끼워맞춤 오목부(292)가, 테이프 카트리지(100)측의 피검출부로서 기능한다.
이 카트리지 검출부(300)에서는, 피작동 부재(302A)가, 축 형상부(310)와, 설편(286)을 겸하는 설 형상부(312)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축 형상부(310)는, 베이스 볼록부(40)에 있어서의 볼록부 본체(282)의 내주면에 상하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설 형상부(312)는, 볼록부 본체(282)의 측면으로부터 대좌부(41)의 상면에 걸쳐 형성한 L자 슬릿부(316)에 상하이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설 형상부(312)는, 작동 스트로크를 고려하여, 초기 위치가 상기의 설편(286)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하면, 코어 오목부(260)의 끼워맞춤 오목부(292)(의 천면)가, 피작동 부재(302A)의 설 형상부(312)에 맞닿아, 피작동 부재(302A)를 아래로 이동시킨다. 이 피작동 부재(302A)의 아래로의 이동에 의해 스위치 본체(304)가 작동(ON)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장착이 검출된다.
이와 같이, 제2 변형예에 의하면, 베이스 볼록부(40) 내에 카트리지 검출부(300)를 설치함으로써, 발송 지역별(용도별)의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적정하게 장착된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피작동 부재(302A)가 설편(286)을 겸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패턴 판독부의 상세]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검출부로서의 패턴 판독부(59)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출부로서의 패턴 판독부(59)는, 카트리지 장착부(5)의 측판부(33)의 앞쪽측에 형성되고, 카트리지 장착부(5)의 내측을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즉, 패턴 판독부(59)는,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카트리지 장착부(5)에 장착했을 때에,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기단면(하 케이스(150)의 기단면(150a))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패턴 판독부(59)는, 카트리지 장착부(5)의 내측을 향하여 설치된 센서 유닛(400)과, 센서 유닛(400)을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유닛 지지부(402)와, 센서 유닛(400)을 카트리지 장착부(5)의 내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유닛 탄성 지지부(404)를 구비하고 있다.
유닛 지지부(402)는, 카트리지 장착부(5)의 측판부(33)에 개구된 개구 부분(33a)에 형성되고, 센서 유닛(400)을 카트리지 장착부(5)의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유닛 탄성 지지부(404)는, 좌우 한 쌍의 코일 스프링(406)을 갖고, 당해 한 쌍의 코일 스프링(406)에 의해, 센서 유닛(400)에 형성된 한 쌍의 스프링 수용부(424)(후술함)를 탄성 지지한다. 즉, 유닛 탄성 지지부(404)는, 한 쌍의 코일 스프링(406)에 의해, 한 쌍의 스프링 수용부(424)를 통하여, 센서 유닛(400)을 카트리지 장착부(5)의 내측으로 탄성 지지한다. 당해 탄성 지지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센서 유닛(400)이, 카트리지 장착부(5)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센서 유닛(400)이, 테이프 카트리지(100)측으로 탄성 지지되고, 센서 유닛(400)이,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기단면에 압압된 상태가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유닛(400)은, 센서 기판(408)에 복수의 광학 센서(409)를 실장한 센서부(410)(검출부)와, 센서부(410)를 탑재한 센서 홀더(412)(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 기판(408)은, 연직 자세로, 센서 홀더(412)의 기단부에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센서 기판(408)이 센서 홀더(412)에 부착됨으로써, 센서 홀더(412)가 센서부(410)를 유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복수의 광학 센서(409)는, 센서 기판(408) 상에 있어서, 상기 비트 구성부(145)(도 3 참조)와 동일하게, 2행 4열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도 7(b) 참조). 또한, 복수의 광학 센서(409)는, 각각 광 반사형의 광학식 비접촉 센서로 구성되어 있고, 각 비트 구성부(145)(식별부(147))에 대하여 검출광을 조사함과 함께, 각 비트 구성부(145)(식별부(147))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비트 구성부(145)에 있어서의 식별부(147)는, 흰바탕의 인쇄 영역에, 검은색 잉크가 인쇄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비트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고, 각 광학 센서(409)는, 당해 각 비트 구성부(145)(식별부(147))로부터의 반사광의 유무(엄밀하게는 광량이 일정량 이상인지 아닌지)에 따라, 비트 구성부(145)에 식별부(147)의 검은색 잉크가 인쇄되어 있는지 아닌지(식별부(147)가 형성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비트 구성부(145)가 나타내는 비트 정보를 판독한다. 센서부(410)는, 복수의 광학 센서(409)에 의해, 각 비트 구성부(145)의 비트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상기 비트 패턴을 판독하고, 이에 대응하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종별 정보를 판독한다.
센서 홀더(412)는, 측면에서 보아 사다리꼴 형상의 홀더 본체(420)와, 홀더 본체(420)로부터 기단측으로 돌출되는 상하 한 쌍의 기판 부착 훅(422)과, 홀더 본체(420)의 기단부로부터 좌우로 돌출되는 좌우 한 쌍의 스프링 수용부(424)와, 홀더 본체(420)의 우전방에 형성된 위치 결정 핀(426)(피걸어맞춤부)과, 위치 결정 핀(426)과 홀더 본체(420)를 연결하는 연결부(42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홀더 본체(420), 한 쌍의 기판 부착 훅(422), 한 쌍의 스프링 수용부(424), 위치 결정 핀(426) 및 연결부(428)는, 수지 등으로 일체로 형성(성형)되어 있다.
한 쌍의 기판 부착 훅(422)은, 센서 기판(408)을 센서 홀더(412)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즉, 이 한 쌍의 기판 부착 훅(422)에 의해, 센서 기판(408)이, 센서 홀더(412)에 부착되어 있다.
한 쌍의 스프링 수용부(424)는, 상기 한 쌍의 코일 스프링(406)의 일단이 맞닿아, 한 쌍의 코일 스프링(406)의 탄성 지지력을 받는 부분이다. 당해 한 쌍의 스프링 수용부(424)는, 카트리지 장착부(5)의 측판부(33)에 맞닿아, 센서 유닛(400)의 이동에 있어서의 전단 규제(regulation of front end)를 행하는 전단 규제부로서도 기능한다.
홀더 본체(420)는, 복수의 광학 센서(409) 전체를 덮는 홀더 커버(430)와, 각 광학 센서(409)를 개개로 둘러싸는 칸막이 부재(432)로 이루어진다. 홀더 커버(430)의 선단부에는, 복수의 광학 센서(409)에 대응하는 복수의 센서공(434)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광학 센서(409)는, 이 각 센서공(434)으로부터 검출광을 조사하고, 또한, 이 각 센서공(434)으로부터, 비트 구성부(145)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한다.
홀더 커버(430)는, 각 광학 센서(409)로의 외광을 차광하는 외광 차광부로서 기능한다. 한편, 칸막이 부재(432)는, 인접하는 광학 센서(409)로부터의 검출광을 차광하여, 광학 센서(409)끼리의 간섭을 막는 간섭 방지부로서 기능한다.
또한, 홀더 커버(430)는, 외광 차광부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기단면에 맞닿아, 센서부(410)(각 광학 센서(409))와 비트 구성부(145)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소정의 클리어런스로 하는 스페이서로서도 기능한다. 즉, 홀더 커버(430)의 선단면(430a)이,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기단면에 대한 맞닿음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유닛 탄성 지지부(404)(한 쌍의 코일 스프링(406))의 탄성 지지에 의해, 한 쌍의 스프링 수용부(424)를 통하여, 홀더 커버(430)가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압압되면, 당해 선단면(430a)이,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기단면에 맞닿아 밀착함으로써, 센서부(410)와 비트 구성부(145)의 사이에 상기 소정의 클리어런스를 형성한다. 또한, 홀더 커버(430)의 선단면(430a)은,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기단면을 따르도록, 약간 앞으로 내리막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홀더 커버(430)의 전방 상단부에는, 전방측으로 내리막 경사지는 유도 경사면(430b)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유도 경사면(430b)은,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장착할 때에,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이면측 단부에 맞닿아, 테이프 카트리지(100)를 장착하는 힘의 일부(분력)를, 센서 유닛(400)을 카트리지 장착부(5)의 외측으로 되미는(pushing back) 힘으로서 작용시키는 것이다. 당해 유도 경사면(430b)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장착에 수반하여, 센서 유닛(400)이, 유닛 탄성 지지부(404)에 저항하여 되밀린다. 이에 따라,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장착이 완료했을 때, 센서 유닛(400)이 테이프 카트리지(100)에 압압된 상태가 된다.
[종별 판독 패턴(비트 구성부)의 상세]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피검출부로서의 종별 판독 시일(143)에 형성된 비트 구성부(145) 및, 비트 구성부(145)에 형성되는 비트 패턴(종별 판독 패턴)을 구성하는 식별부(147)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별 판독 시일(143)에는,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종별 정보(수용된 인쇄 테이프(102)의 테이프색, 재질, 수용된 잉크 리본(110)의 리본색 등)를 나타내는 종별 판독 패턴을 형성하는 영역으로서 비트 구성부(145)가 형성되어 있다. 비트 구성부(145)는, 2행 4열로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8개의 영역 bit1∼영역 bit8을 갖고 있다. 그리고, 영역 bit1~영역 bit8에는, 식별부(147)가 배치된 비트 패턴(종별 판독 패턴)이 구성되어 있다. 식별부(147)는, 흰바탕의 인쇄 영역에, 검은색 잉크가 인쇄(민인쇄)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각 1비트의 비트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다. 환언하면, 비트 구성부(145)의 각 영역 bit1~영역 bit8 각각의, 무지(plain)/빈틈없이 칠하기(solid fill)에 의한 2진수로 나타내는 비트 정보가 된다. 즉, 합계 8개의 식별부(147)에 의해, 8비트의 비트 패턴(종별 판독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8비트의 비트 패턴(종별 판독 패턴)을 구비한 비트 구성부(145)와, 전술한 검출부로서의 패턴 판독부(59)(도 5, 도 6 참조)에 의해, 주사 판독(scanning reading)을 행하는 일 없이,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각종 종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즉, 간편하게 단시간에, 또한 장착자(이용자)의 손을 번거롭게 하지 않고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각종 종별 정보를 판독할 수 있다.
비트 패턴(종별 판독 패턴)의 구성의 일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구성예는, bit1과 bit5를 제1열, bit2와 bit6을 제2열, bit3과 bit7을 제3열 및, bit4와 bit8을 제4열로 한다. 그리고, 제1열의 비트 패턴에 의해 4가지의 리본색을 식별하고, 제2열 및 제4열의 비트 패턴에 의해 16가지의 테이프색을 식별하고, 제3열의 비트 패턴에 의해 4가지의 테이프폭을 식별한다. 이와 같이, 당해 8비트의 비트 패턴(종별 판독 패턴)이, 상기 각종 종별 정보에 대응하고 있어, 당해 비트 패턴에 의해, 상기 각종 종별 정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구성예와 같이, 제1열과 제2열, 제2열과 제3열 등과 같이 서로 이웃하는 열을 동일한 종별 정보로서 이용하는 것을 피함으로써, 패턴 판독부(59)의 위치 어긋남 등이 일어나도, 각각이 상이한 종별 정보이기 때문에, 오판정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종별 정보의 판정을 보다 정확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비트 구성부(145)에 있어서의, 식별부(147)의 배치의 조합예(비트 패턴)로서는, 전술과 같이 8비트의 비트 패턴(종별 판독 패턴)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7 내지 도 24에, 식별부(147)의 배치의 조합예(비트 패턴)를 구체적으로 나열한다. 패턴 A0(도 17 참조)에서 패턴 P15(도 24 참조)까지의 256가지의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256가지의 패턴 중에서 임의의 패턴을 선택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종별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비트 구성부(145)의 외연(outer edge)을 나타내는 파선은, 설명의 편의상, 비트 구성부(145)의 영역을 나타내도록 도시한 것이고, 실제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파선을 대신하여 실선으로 하는 등, 다른 선종을 이용해도 좋다.
[식별부의 변형예]
다음으로, 도 25를 참조하여, 식별부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에서는, 식별부(147)로서, 각각의 비트 구성부(145)의 영역(영역 bit1∼영역 bit8) 전체에 검은색 잉크가 인쇄(민인쇄)된 구성을 예시하여 설명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식별부(147)으로서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검은색 잉크로 인쇄(민인쇄)된 원형의 식별부(147a), 검은색 잉크로 인쇄(민인쇄)된 삼각형의 식별부(147b), 검은색 잉크로 인쇄(민인쇄)된 사각형의 식별부(147c), 검은색 잉크로 인쇄(민인쇄)된 오각형의 식별부(147d), 검은색 잉크로 인쇄(민인쇄)된 육각형의 식별부(147e), 혹은 검은색 잉크로 인쇄(민인쇄)된 타원 형상(트랙 형상)의 식별부(147f)와 같이, 흰바탕의 비트 구성부(145)와의 판별이 가능한 구성이면 좋다. 또한, 식별부(147)로서는, 전술의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타원, 혹은 직선부와 곡선부를 조합한 외형을 갖는 형상 등, 식별부(14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트 구성부(145)와의 판별이 가능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식별부(147)의 다른 구성예로서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교차하는 복수의 직선으로 구성된 격자 모양의 식별부(147h)나 검은 글자에 색이 없는 원형이 형성된 식별부(147g) 등, 식별부(14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트 구성부(145)와의 판별이 가능한 구성이면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의 형태에 의하면,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끼워맞춤부로서의 스플라인 보스부(244)와, 테이프 인쇄 장치(1)의 플래튼 구동축(45)의 스플라인 구동축(49)(구동축)이 스플라인 걸어맞춰짐으로써,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장착에 의해, 테이프 카트리지(100)와 홀더(카트리지 장착부(5))를 일체화하여, 피검출부로서의 종별 판독 시일(143)(비트 구성부(145))의 위치에 대하여, 검출부로서의 패턴 판독부(59)의 위치가 위치 결정된다. 이에 따라, 패턴 판독부(59)와 종별 판독 시일(143)(비트 구성부(145))의 위치 관계를, 최적의 위치 관계로 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카트리지(100)가 장착된 경우에, 당해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장착 방향을 따르는 벽면에 설치된 피검출부로서의 종별 판독 시일(143)(비트 구성부(145))과 대치하도록 검출부로서의 패턴 판독부(59)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패턴 판독부(59)와 종별 판독 시일(143)(비트 구성부(145))의 거리를 단축할 수 있어, 테이프 카트리지와 홀더의 위치 어긋남의 영향을 받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즉, 패턴 판독부(59)와 종별 판독 시일(143)(비트 구성부(145))의 최적의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턴 판독부(59)와 종별 판독 시일(143)(비트 구성부(145))의 위치 관계를 최적의 위치 관계로 할 수 있음과 함께, 당해 최적의 위치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패턴 판독부(59)에 의한 검출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테이프 카트리지의 종별 정보를 정확하게 판독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비트 구성부(145) 및 광학 센서(409)를, 2행 4열의 8개씩 구비하는 구성이었지만, 이들의 개수 및 배치(행수 및 열수)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1행 6열의 6개와 같이, 가로 나열로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좋고, 6행 1열의 6개와 같이 세로 나열로 설치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4행 4열의 16개와 같이, 행수와 열수가 동수라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비트 구성부(145)가, 흰바탕의 인쇄 영역에, 검은색 잉크가 인쇄(민인쇄)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1비트의 비트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었지만, 인쇄 영역의 색이나, 인쇄하는 잉크의 색은, 광학 센서(409)에 의해 비트 정보를 검출할 수 있으면(검출광을 조사했을 때의 반사광의 유무나 강약을 검출할 수 있으면),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검은 바탕의 인쇄 영역에 흰색 잉크가 인쇄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따라, 1비트의 비트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인쇄 영역의 색 및 잉크의 색의 한쪽을, 청색, 감색, 녹색 계통의 색으로 하고, 다른 한쪽을, 적색, 황색, 등색 계통의 색으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추가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비트 구성부(145)에 식별부(147)가 배치된 비트 패턴(종별 판독 패턴)이 형성된 피검출부로서의 종별 판독 시일(143)을,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측면(저면(150a))에 접착하여,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측면(저면(150a))에 비트 구성부(145)를 형성하는 구성이었지만, 테이프 카트리지(100)의 측면(저면(150a))에, 직접, 비트 구성부(145)를 형성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러한 경우, 당해 측면에 식별부(147)가 배치된 비트 구성부(145)에 의한 비트 패턴(종별 판독 패턴)을 인쇄(묘화)하는 구성이라도 좋고, 당해 측면에 식별부(147)가 배치된 비트 구성부(145)에 의한 비트 패턴(종별 판독 패턴)을 레이저 등으로 새겨 설치(묘화)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나아가서는, 각 식별부(147)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식별부(147)가 배치된 비트 구성부(145)에 의한 비트 패턴(종별 판독 패턴)을 형성(묘화)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1 : 테이프 인쇄 장치
3 : 장치 케이스
5 : 카트리지 장착부
7 : 개폐 덮개
21 : 인쇄 헤드
23 : 인쇄 기구부
25 : 테이프 이송 기구부
31 : 장착 베이스
40 : 베이스 볼록부
41 : 대좌부
42 : 식별 볼록부
45 : 플래튼 구동축
48 : 고정 지지축
49 : 스플라인 구동축
59 : 검출부로서의 패턴 판독부
100 : 테이프 카트리지
102 : 인쇄 테이프
104 : 테이프 코어
106 : 테이프 롤
110 : 잉크 리본
120 : 플래튼 롤러
130 : 카트리지 케이스
143 : 피검출부로서의 종별 판독 시일
145 : 비트 구성부
147 : 식별부
150 : 하 케이스
152 : 상 케이스
192 : 코어 축부
240 : 롤러 기체
244 : 끼워맞춤부로서의 스플라인 보스부
244a : 스플라인 홈
260 : 코어 오목부
262 : 함몰부
264 : 식별 오목부
274 : 스플라인 축부
274a : 스플라인 톱니
280 : 절결 개구부
282 : 볼록부 본체
286 : 설편
290 : 끼워맞춤 볼록부
292 : 끼워맞춤 오목부
300 : 카트리지 검출부
302, 302A : 피작동 부재
304 : 스위치 본체
310 : 축 형상부
312 : 설 형상부
400 : 센서 유닛
409 : 광학 센서

Claims (8)

  1. 테이프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카트리지 장착부와,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에 설치된 피검출부에 검출광을 조사하여 상기 피검출부로부터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의 종별 정보를 판독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가 설치된 홀더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의 내측에 상기 홀더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구비한 테이프 인쇄 장치에 대하여, 착탈 방향으로 착탈되는 테이프 카트리지로서,
    인쇄 테이프가 수용되는 테이프 수용 에어리어 및 리본 롤을 수용하는 리본 수용 에어리어를 갖는 카트리지 케이스와,
    상기 리본 수용 에어리어에 대하여 상기 테이프 수용 에어리어와 반대측이 되는, 상기 카트리지 케이스의 외주벽면에 설치된 상기 피검출부와,
    장착 방향 안쪽측의 벽면으로부터 상기 테이프 수용 에어리어 내에 설치된 오목부로서,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설치된 돌기가 삽입되는 오목부
    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프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에 장착될 때, 상기 홀더는, 상기 피검출부가 설치된 상기 외주벽면에 압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출부는, 비트 구성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구성부는, 2행 4열의 비트 영역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출부는, 상기 비트 구성부에 설치된 식별부의 조합에 의해, 상기 종별 정보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면에는 접착부가 오목 형성되고,
    상기 피검출부는, 상기 접착부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구성부는, 실선 또는 파선으로 묘화된, 각각의 상기 비트 영역의 외연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또는 직선과 곡선을 조합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영역의 이웃하는 열은, 서로 다른 상기 종별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카트리지.
KR1020177030576A 2015-04-03 2015-04-03 테이프 카트리지 KR1019958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01909 WO2016157256A1 (ja) 2015-04-03 2015-04-03 テープカートリッ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506A Division KR102032486B1 (ko) 2015-04-03 2015-04-03 테이프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9259A KR20170129259A (ko) 2017-11-24
KR101995803B1 true KR101995803B1 (ko) 2019-07-03

Family

ID=5700400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034A KR102065499B1 (ko) 2015-04-03 2015-04-03 테이프 카트리지
KR1020207000356A KR102099715B1 (ko) 2015-04-03 2015-04-03 테이프 카트리지
KR1020177030576A KR101995803B1 (ko) 2015-04-03 2015-04-03 테이프 카트리지
KR1020197018506A KR102032486B1 (ko) 2015-04-03 2015-04-03 테이프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8034A KR102065499B1 (ko) 2015-04-03 2015-04-03 테이프 카트리지
KR1020207000356A KR102099715B1 (ko) 2015-04-03 2015-04-03 테이프 카트리지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506A KR102032486B1 (ko) 2015-04-03 2015-04-03 테이프 카트리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44229B2 (ko)
JP (1) JP6394789B2 (ko)
KR (4) KR102065499B1 (ko)
CN (2) CN107405934B (ko)
WO (1) WO20161572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0916B2 (ja) * 2017-03-01 2020-11-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
KR102580618B1 (ko) * 2018-03-29 2023-09-1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리본 카트리지 및 인쇄 장치
KR102653584B1 (ko) * 2018-03-29 2024-04-01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리본 카트리지
US11884062B2 (en) 2020-04-09 2024-01-30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Media cartridge
US11548302B2 (en) 2020-10-15 2023-01-10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Media cartridge and media processing device engagement mechanisms
JP2022124607A (ja) * 2021-02-16 2022-08-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テープ印刷装置、テープ印刷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2126125A (ja) * 2021-02-18 2022-08-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テープ印刷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1749A (ja) * 2012-01-06 2013-07-22 Brother Industries Ltd テープカセット及び印字ラベル作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9075B2 (ja) 1988-10-03 1998-05-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熱転写記録装置及びインク紙カセット
JP3247585B2 (ja) 1995-07-27 2002-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テープライタ
JP4521890B2 (ja) * 1998-06-24 2010-08-1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印刷装置
EP1809482A2 (en) * 2004-03-10 2007-07-25 Kroy, Llc Tape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of printing
JP2007230153A (ja) * 2006-03-02 2007-09-13 Sony Corp インクリボンカートリッジ及びプリンタ装置
EP1955856B1 (en) * 2007-02-09 2013-04-1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printer, tape printing program and tape cassette
ES2554777T3 (es) * 2008-12-25 2015-12-2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Cartucho de cinta e impresora de cinta
WO2010113236A1 (en) * 2009-03-31 2010-10-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and tape printer
EP3546232B1 (en) * 2009-03-31 2023-11-2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US20100329767A1 (en) * 2009-06-30 2010-12-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Tape cassette
JP2011037155A (ja) * 2009-08-12 2011-02-24 Seiko Epson Corp テープ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
EP2390099B1 (en) * 2010-05-31 2016-04-2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inter
JP5857677B2 (ja) * 2011-11-25 2016-02-1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印刷装置
CN202965543U (zh) * 2012-12-14 2013-06-05 鼎翰科技股份有限公司 卡匣模块
WO2015009860A1 (en) * 2013-07-16 2015-01-22 Esselte Ipr Ab Label prin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1749A (ja) * 2012-01-06 2013-07-22 Brother Industries Ltd テープカセット及び印字ラベル作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715B1 (ko) 2020-04-10
KR20170129259A (ko) 2017-11-24
CN110254057B (zh) 2021-07-13
KR20190077135A (ko) 2019-07-02
CN107405934A (zh) 2017-11-28
WO2016157256A1 (ja) 2016-10-06
KR20190111166A (ko) 2019-10-01
JPWO2016157256A1 (ja) 2017-10-26
US10144229B2 (en) 2018-12-04
US20180117935A1 (en) 2018-05-03
KR102032486B1 (ko) 2019-10-15
CN110254057A (zh) 2019-09-20
JP6394789B2 (ja) 2018-09-26
CN107405934B (zh) 2019-07-26
KR102065499B1 (ko) 2020-01-13
KR20200004925A (ko)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5803B1 (ko) 테이프 카트리지
KR101921213B1 (ko) 테이프 카트리지
KR101943373B1 (ko) 테이프 카트리지
KR102005782B1 (ko) 테이프 인쇄 장치
KR20170118910A (ko) 테이프 인쇄 장치 및 테이프 인쇄 시스템
JP2020073319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6754861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2018184007A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