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845B1 -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 - Google Patents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845B1
KR101994845B1 KR1020180007339A KR20180007339A KR101994845B1 KR 101994845 B1 KR101994845 B1 KR 101994845B1 KR 1020180007339 A KR1020180007339 A KR 1020180007339A KR 20180007339 A KR20180007339 A KR 20180007339A KR 101994845 B1 KR101994845 B1 KR 101994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unit
graphic
predetermined pattern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텔리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텔리비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텔리비전
Priority to KR102018000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8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02Input by manual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7Output devices audible, e.g. using a loudspea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1)에 있어서,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시키고자 하는 특정문자(SS)를, 특정도구(T)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두께의 일정면적으로 이루어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과 사용자에 의해 상기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인식하고, 인식된 특정문자(SS)를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시키는 문자도형인식부(200); 및 상기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의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 돌출되어 바닥면으로부터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이 지지되도록 하고, 내부에 위치되는 문자도형인식부(2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밀폐형으로 형성되는 문자도형인식완구하우징(30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문자도형인식부(200)가 인식하고, 인식된 특정문자(SS)를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재미를 통해 아이들이 특히, 한글을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와 더불어 한글에 대한 재미와 흥미를 꾸준히 유지시켜 난독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우리말의 어휘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Toy with recognition for character and block}
본 발명은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특정도구를 이용하여 문자도형조합그림판에 특정문자를 입력하고, 입력된 특정문자가 음향장치출력부를 통해 소리로 출력되게 함으로서 다양한 놀이, 특히, 한글을 학습함에 있어 재미와 흥미로 아이들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용 놀이기구용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에 관한 것이다.
언어의 습득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아이들이 언어를 배우기 시작하면서 힘들지 않게 언어의 배움의 즐거움과 함께 자연스럽게 어휘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언어교육을 위한 교구 또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낱말이란, 뜻을 지니고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는 가장 작은 소리의 덩어리로서, 학교 문법에서는 9품사를 낱말로 인정하는데, 이때의 9품사라 함은, 명사, 동사, 형용사, 수사, 대명사, 조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를 말한다.
이러한, 낱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한글은 한글의 우수성으로 인해 아이들의 창의력과 응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초등학교 입학 전부터 한글 조기교육이 많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한글 조기교육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어도 글을 잘 읽지 못하거나, 읽고도 뜻을 이해하지 못하는 난독증을 가진 아이들이 적지 않다.
난독증이란, 지능에는 이상이 없지만 글을 잘 읽지 못하는 증상을 말하며, 우리나라 초등학생 5[%]가 난독증 위험군으로 조사되고 있다.
따라서, 간단한 방법과 규칙으로 자신이 낱말을 직접 만들어 한글의 구조와 뜻을 놀이를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들을 위한 놀이학습 교구가 절실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 한글을 이용한 다양한 놀이학습 교구가 출시되었지만, 이는, 대부분 낱말카드를 응용한 제품에 불과하여 금세 흥미가 저하되는 또 다른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또다시 해결하기 위해,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는 블록 및 블록을 인식할 수 있는 인식기, 또는 가상 펜을 이용하여 정해진 책에 인쇄되어 있는 문자 및 그림을 읽어주는 학습용 놀이기구가 제시되었지만 이는, 결국 학습을 위한 완구로서 정보를 습득하는 데에 중점을 둔 제품으로, 아이들의 흥미를 꾸준히 유지시키거나 창의력을 향상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33624호의 "디지털 교육용 문자 인식 시스템"(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문자, 숫자 및 그림이나 사자, 코끼리 및 비행기 등의 블록 밑면의 자석에 의해 특정코드 값을 갖도록 형성된 작동키로 구성된 완구블록, 상기 완구블록이 놓여지는 블록인식기와 그 하부에 상기 작동키와 대응되도록 다수의 Hall IC를 갖는 키매트릭스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키의 자력에 의해 상기 Hall IC의 스위칭 신호 상태에 따라 특정 코드 값을 인식한 후 그 값을 PC로 송신하여, 그에 해당되는 음성 및 영상을 포함한, 숫자 또는 사물의 형상이 나타내는 사각면체 또는 입체형태의 블록 및 상기 블록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문자 또는 그림 등의 시각적 자료와 이에 해당하는 청각적 자료인 음성을 제공하여 시각적 교육과 동시에 청각적 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디지털 교육용 문자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8444호의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이 배치되는 판, 판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판에 배치된 블록에 대한 블록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블록정보를 기초로 하여 출력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출력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블록의 종류 또는 블록의 조합 상태를 인식하고 인식된 결과를 출력할 수 있는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공통적으로 입체형태의 블록을, 블록이 삽입되는 인식기에 삽입하여, 삽입된 블록에 이미 단순하게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출력시키는 기술로서, 본 발명과 포괄적인 기술사상에 있어 그 기술분야가 동일하지만,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와 같이 정해진 문자를 사용하여 단순히 단어를 만드는 단순 문자의 조합으로 인한 반복적인 놀이만으로는 대상자들의 어휘력 및 창의력을 향상시키기에 그 효과가 미비하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없을 뿐만 아니라, 대상자들이 다양한 방법으로 자유롭게 문자를 만들고 이를 놀이로서 꾸준히 재미와 흥미를 유발시키지 못한다는 결국, 낱말카드 제품과 동일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포함한 종래의 기술은 본 발명과 기술분야 및 효과가 일부 동일하지만,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 및 이를 해결함으로서 발휘되는 효과가 상이하므로, 기술적 특징에 차이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33624호 (2006.12.2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8444호 (2016.01.19.)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정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단하게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으로 특정문자를 만들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생성시킨 특정문자가 소리로 출력되게 함으로서 형상과 소리에 대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는 학습용 놀이기구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미를 통해 아이들이 한글을 학습하고, 이와 더불어 꾸준한 사용으로 난독증을 예방할 수 있는 학습용 놀이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다양한 결합으로 재미와 흥미가 꾸준히 유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사용자의 우리말의 어휘력을 향상시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혼자뿐만 아니라, 부모 및 친구와 함께 특정도구를 이용하여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입력할 수 있어 소외감을 방지하고, 집단의 유대감 형성과 더불어 건강한 대인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을 제고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에 있어서,
음향장치출력부를 통해 출력시키고자 하는 특정문자를, 특정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두께의 일정면적으로 이루어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문자도형조합그림판;
사용자에 의해 상기 문자도형조합그림판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인식하고, 인식된 특정문자를 음향장치출력부를 통해 출력시키는 문자도형인식부;
상기 문자도형조합그림판의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 돌출되어 바닥면으로부터 문자도형조합그림판이 지지되도록 하고, 내부에 위치되는 문자도형인식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밀폐형으로 형성되는 문자도형인식완구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문자도형조합그림판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문자도형인식부가 인식하고, 인식된 특정문자를 음향장치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문자도형인식부는,
문자도형조합그림판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문자도형인식카메라;
상기 문자도형인식카메라에 촬영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인식하고 정의하는 문자도형처리부;
상기 문자도형처리부를 통해 인식, 정의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이 특정문자로서 출력되는 음향장치출력부;로 구성되되,
문자도형처리부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도구를 이용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이 문자도형조합그림판에 입력되는 위치의 빈도에 따라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입력 위치를 결정하는 문자도형위치인식부;
상기 문자도형위치인식부에서 인식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입력 위치로부터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형상을 인식하여 도출하는 문자도형형상인식부;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다양한 조합 및 형상이 저장되어 있는 문자도형데이터저장부;
상기 문자도형형상인식부에서 도출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문자도형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정보와 대비하여 음향장치출력부를 통해 출력될 특정문자를 결정하는 문자도형인식결정부;
문자도형위치인식부, 문자도형형상인식부, 문자도형데이터저장부, 문자도형인식결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고,
문자도형형상인식부는,
문자도형조합그림판에 입력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형상을 확인하는 문자도형확인부;
상기 문자도형확인부에서 확인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로 전환시키는 사용자시점전환부;
상기 사용자시점전환부에 의해 전환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임시저장하는 출력문자도형임시저장부;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문자도형조합그림판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입력 위치를 결정하여 사용자의 시점에서 입력된 특정문자를 음향장치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며,
또한, 문자도형데이터저장부에는,
한글 자음 19[개]에 대한 형상 및 소리가 저장되어 있는 자음형상데이터저장부;
한글 모음 21[개]에 대한 형상 및 소리가 저장되어 있는 모음형상데이터저장부;
상기 자음형상데이터저장부의 자음과, 모음형상데이터저장부의 모음이 결합된 글자에 대한 형상과 소리 및 2[개]의 자음이 결합된 받침글자에 대한 형상 및 소리가 저장되어 있는 자음모음결합데이터저장부;
한글 이외에 다양한 기호 및 특수문자에 대한 형상 및 소리가 저장되어 있는 기호저장부;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문자도형조합그림판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으로 결합된 다양한 특정문자가 음향장치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간단하게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으로 특정문자를 만들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생성시킨 특정문자가 소리로 출력되게 하여 특정문자의 형상과 소리에 대한 정보가 함께 연계되어 습득되도록 한다.
또한, 재미를 통한 아이들의 한글 학습을 도모한다.
또한, 꾸준한 사용으로 난독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다양한 결합으로 재미와 흥미가 꾸준히 유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사용자의 우리말의 어휘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혼자뿐만 아니라, 부모 및 친구와 함께 특정도구를 이용하여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입력할 수 있어 소외감을 방지하고, 집단의 유대감 형성과 더불어 건강한 대인 관계를 형성하는 능력을 제고시킨다.
또한, 특정도구를 이용하여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다양하게 결합시켜 다양한 특정문자를 만들어 낼 수 있으므로, 창의성 및 적응력, 응용력이 향상되며, 이를 강화시킨다.
나아가, 특히,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다양한 결합으로 생성되는 특정문자가 세계문화유산인 한글의 자음과 모음 위주로 이루어지므로, 우리나라 국민으로서의 자긍심을 제고시키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의 구성요소 중 문자도형인식부의 작동순서를 간략하게 블록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의 구성요소 중 문자도형인식부의 작동순서에 대한 상세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의 구성요소 중 문자도형조합그림판에 입력되는 특정문자에 대한 실시 예를 제 1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의 구성요소 중 문자도형조합그림판에 입력되는 특정문자에 대한 실시 예를 제 2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의 전체적인 흐름을 간략하게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1)에 있어서,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시키고자 하는 특정문자(SS)를, 특정도구(T)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두께의 일정면적으로 이루어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
사용자에 의해 상기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인식하고, 인식된 특정문자(SS)를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시키는 문자도형인식부(200);
상기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의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 돌출되어 바닥면으로부터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이 지지되도록 하고, 내부에 위치되는 문자도형인식부(2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밀폐형으로 형성되는 문자도형인식완구하우징(30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문자도형인식부(200)가 인식하고, 인식된 특정문자(SS)를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은 자세 또는 선 자세로 장시간 집중(놀이)할 수 있도록 문자도형인식완구하우징(300)에 의해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특정도구(T), 즉, 쓰고 지우기가 가능한 펜(pen),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 및 자음, 모음 형상으로 이루어진 블록(문자틀, SM)을 이용하여 자유롭게 쓰고, 지우고, 올려놓아 특정문자(SS)를 만들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이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어야 하는 이유는 문자도형인식완구하우징(300) 내에 위치된 문자도형인식부(200)가 사용자에 의해 형성된 특정문자(SS)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특정도구(T)를 이용하여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되는 특정문자(SS)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인식하여, 출력시키는 문자도형인식부(200)는,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문자도형인식카메라(210);
상기 문자도형인식카메라(210)에 촬영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인식하고 정의하는 문자도형처리부(220);
상기 문자도형처리부(220)를 통해 인식, 정의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이 특정문자(SS)로서 출력되는 음향장치출력부(230);로 구성되되,
문자도형처리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도구(T)를 이용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이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되는 위치의 빈도에 따라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입력 위치를 결정하는 문자도형위치인식부(221);
상기 문자도형위치인식부(221)에서 인식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입력 위치로부터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형상을 인식하여 도출하는 문자도형형상인식부(222);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다양한 조합 및 형상이 저장되어 있는 문자도형데이터저장부(223);
상기 문자도형형상인식부(222)에서 도출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문자도형데이터저장부(223)에 저장된 정보와 대비하여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될 특정문자(SS)를 결정하는 문자도형인식결정부(224);
문자도형위치인식부(221), 문자도형형상인식부(222), 문자도형데이터저장부(223), 문자도형인식결정부(224)를 제어하는 제어부(225);로 구성되고,
문자도형형상인식부(222)는,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형상을 확인하는 문자도형확인부(222a);
상기 문자도형확인부(222a)에서 확인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로 전환시키는 사용자시점전환부(222b);
상기 사용자시점전환부(222b)에 의해 전환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임시저장하는 출력문자도형임시저장부(222c);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입력 위치를 결정하여 사용자의 시점에서 입력된 특정문자(SS)를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문자도형인식부(200)는 특정도구(T)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 상에 특정문자(SS)를 입력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략하게, 이를 촬영하고(◀ 특정문자촬영단계, S100), 인식하여(◀ 특정문자인식단계, S200)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특정문자(SS)가 출력(◀ 특정문자출력단계, S300)되도록 처리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문자(SS)를 인식, 정의하는 특정문자인식단계(S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 상에 특정도구(T)를 이용하여 입력하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위치확인단계, S210)
사용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입력되는 특정문자(SS)를 확인하고,(◀ 특정문자확인단계, S220)
확인된 특정문자(SS)를 사용자 시점으로 반전시켜 전환되게 한 후,(◀ 특정문자반전단계, S230)
사용자가 입력한 특정문자(SS)를 문자도형데이터저장부(22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검색, 도출하고,(◀ 특정문자도출단계, S240)
입력된 특정문자(SS)를 확정(◀ 특정문자확정단계, S250)하여,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준비한다.
이때, 특정도구(T)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특정문자(SS)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으며, 이외에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조합하여 다양한 특정문자(SS)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특정문자(SS)에 대한 실시 예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의 (a), (b), (c)는 펜(pen)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write)한 것이며,
(a)는 "강아지"로,
(b)는 "하하하"로,
(c)는 "더하기"로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소리로 출력된다.
도 5의 (d), (e), (f)는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블록)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put)한 것이며,
(d)는 "비"로,
(e)는 "하하하"로,
(f)는 "더하기"로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소리로 출력된다.
또한, 도 6은 펜(pen)과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블록)을 혼합하여 사용자가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write, put)한 것으로,
(a)는 "강아지"로,
(b)는 "음하하하"로,
(c)는 "행복더하기"로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소리로 출력된다.
이러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어 출력되는 다양한 특정문자(SS)는 본 발명의 문자도형데이터저장부(22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하며,
이는, 한글 자음 19[개]에 대한 형상 및 소리가 저장되어 있는 자음형상데이터저장부(223a);
한글 모음 21[개]에 대한 형상 및 소리가 저장되어 있는 모음형상데이터저장부(223b);
상기 자음형상데이터저장부(223a)의 자음과, 모음형상데이터저장부(223b)의 모음이 결합된 글자(C)에 대한 형상과 소리 및 2[개]의 자음이 결합된 받침글자(UC)에 대한 형상 및 소리가 저장되어 있는 자음모음결합데이터저장부(223c);
한글 이외에 다양한 기호(SB) 및 특수문자(SC)에 대한 형상 및 소리가 저장되어 있는 기호저장부(223d);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으로 결합된 다양한 특정문자(SS)가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외국어에 대한 형상 및 소리가 저장되는 특정언어저장부(223e);를 더 포함하여 다양한 특정문자(SS)가 폭 넓게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자음형상데이터저장부(223a)에 저장되어 있는 19[개]의 자음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이며,
모음형상데이터저장부(223b)에 저장되어 있는 21[개]에 대한 모음은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ㅐ, ㅒ, ㅔ, ㅖ, ㅘ, ㅙ, ㅚ, ㅝ, ㅞ, ㅟ, ㅢ'이다.
그러므로, 상기 자음형상데이터저장부(223a), 모음형상데이터저장부(223b), 받침글자(UC)가 서로 결합되어 저장된 자음모음결합데이터저장부(223c)는 결국, 국어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표준 단어가 정보로서 저장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에 따라 특히, 유아 및 아동을 대상으로 한 학습용 놀이기구에 대한 발명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용자'라 함은 유아 및 아동을 가리킨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을 기재함에 있어 사용된 용어를 간단하게 정리하면,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이라 함은, 문자 또는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이 각각 개별, 단독으로 형성된 것과, 문자와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이 결합되어 조합된 것을 모두 포함한 포괄적인 특정문자(SS)를 말하는 것이고,
'특정문자(SS)'는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되는 자음, 모음, 기호(SB), 특수문자(SC)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조합되어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생성된 것을 말하며,
'글자(C)'라 함은 자음과 모음이 결합된 것을 말한다.
일 실시 예로서,
글자(C)는 '강아지',
특수문자(SC)는 '^^',
기호(SB)는 '+',
받침글자(UC)는 '닭'으로, 사용자가 특정도구(T)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특정문자(SS)에 대하여 '확인'이라 함은 특정문자(SS)의 입력됨을 확인하는 것이고,
'인식'이라 함은 입력된 특정문자(SS)를 문자도형데이터저장부(22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로부터 검색하여 도출할 수 있도록 문자로서 인식을 시도하는 것이며,
'정의'라 함은 입력된 특정문자(SS)가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는 문자로 확정된 것을 말한다.
정리하여, 본 발명의 전체적인 흐름은 도 6에 도시된 순서도와 같으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특정문자(SS)가 인식할 수 없는 문자일 경우에는 음향장치출력부(230)로부터 특정문자(SS)가 출력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 도시는 되지 않았지만,
사용자 및 보호자가 문자도형데이터저장부(223b)에 특정도구(T)를 이용하여 별도의 자기만의 특정문자(SS)를 저장시키고, 이가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특정문자스캔저장관리부(MD);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창의력과 응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1)로부터 음향장치출력부(230)가 분리되어, 외부장치통신부(EC);를 통해 특정문자(SS)를 출력할 수 있는 별도의 음향장치출력부(230)가 형성된 전자기기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에 대한 인식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의 일측에, 또는 별도로 일정크기의 특정문자출력디스플레이(SD);가 결합되어, 문자도형인식부(200)로부터 인식, 정의된 특정문자(SS) 출력 시, 특정문자(SS)에 대한 영상이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서,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한 소리의 출력과 더불어 시각적인 피드백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한글을 학습하기 위한 학습용 놀이기구인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제작하는 제작업 및 판매업, 유용한 학습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업 및 관리업 등 재미를 통해 혼자 또는 부모와 아이가 함께 특정문자를 만들어 학습할 수 있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놀이학습 교구가 이용되는 다양한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
100: 문자도형조합그림판 200: 문자도형인식부
210: 문자도형인식카메라 220: 문자도형처리부
221: 문자도형위치인식부 222: 문자도형형상인식부
222a: 문자도형확인부 222b: 사용자시점전환부
222c: 출력문자도형임시저장부 223: 문자도형데이터저장부
223a: 자음형상데이터저장부 223b: 모음형상데이터저장부
223c: 자음모음결합데이터저장부 223d: 기호저장부
223e: 특정언어저장부 224: 문자도형인식결정부
225: 제어부 230: 음향장치출력부
300: 문자도형인식완구하우징
S100: 특정문자촬영단계 S200: 특정문자인식단계
S210: 사용자위치확인단계 S220: 특정문자확인단계
S230: 특정문자반전단계 S240: 특정문자도출단계
S250: 특정문자확정단계 S300: 특정문자출력단계
C: 글자 P: 펜
T: 특정도구
EC: 외부장치통신부 MD: 특정문자스캔저장관리부
SB: 기호 SC: 특수문자
SD: 특정문자출력디스플레이 SM: 문자틀
SS: 특정문자 UC: 받침글자

Claims (3)

  1.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시키고자 하는 특정문자(SS)를, 특정도구(T)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일정두께의 일정면적으로 이루어진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 사용자에 의해 상기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인식하고, 인식된 특정문자(SS)를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시키는 문자도형인식부(200), 상기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의 하부로 일정길이 연장, 돌출되어 바닥면으로부터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이 지지되도록 하고, 내부에 위치되는 문자도형인식부(20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도록 밀폐형으로 형성되는 문자도형인식완구하우징(300)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문자도형인식부(200)가 인식하고, 인식된 특정문자(SS)를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1)에 있어서,
    문자도형인식부(200)는,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문자도형인식카메라(210);
    상기 문자도형인식카메라(210)에 촬영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인식하고 정의하는 문자도형처리부(220);
    상기 문자도형처리부(220)를 통해 인식, 정의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이 특정문자(SS)로서 출력되는 음향장치출력부(230);로 구성되되,
    문자도형처리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도구(T)를 이용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이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되는 위치의 빈도에 따라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입력 위치를 결정하는 문자도형위치인식부(221);
    상기 문자도형위치인식부(221)에서 인식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입력 위치로부터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형상을 인식하여 도출하는 문자도형형상인식부(222);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다양한 조합 및 형상이 저장되어 있는 문자도형데이터저장부(223);
    상기 문자도형형상인식부(222)에서 도출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문자도형데이터저장부(223)에 저장된 정보와 대비하여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될 특정문자(SS)를 결정하는 문자도형인식결정부(224);
    문자도형위치인식부(221), 문자도형형상인식부(222), 문자도형데이터저장부(223), 문자도형인식결정부(224)를 제어하는 제어부(225);로 구성되고,
    문자도형형상인식부(222)는,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형상을 확인하는 문자도형확인부(222a);
    상기 문자도형확인부(222a)에서 확인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사용자가 입력한 위치로 전환시키는 사용자시점전환부(222b);
    상기 사용자시점전환부(222b)에 의해 전환된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을 임시저장하는 출력문자도형임시저장부(222c);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의 입력 위치를 결정하여 사용자의 시점에서 입력된 특정문자(SS)를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문자도형데이터저장부(223)에는,
    한글 자음 19[개]에 대한 형상 및 소리가 저장되어 있는 자음형상데이터저장부(223a);
    한글 모음 21[개]에 대한 형상 및 소리가 저장되어 있는 모음형상데이터저장부(223b);
    상기 자음형상데이터저장부(223a)의 자음과, 모음형상데이터저장부(223b)의 모음이 결합된 글자(C)에 대한 형상과 소리 및 2[개]의 자음이 결합된 받침글자(UC)에 대한 형상 및 소리가 저장되어 있는 자음모음결합데이터저장부(223c);
    한글 이외에 다양한 기호(SB) 및 특수문자(SC)에 대한 형상 및 소리가 저장되어 있는 기호저장부(223d);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문자도형조합그림판(100)에 입력되는 문자 및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도형으로 결합된 다양한 특정문자(SS)가 음향장치출력부(230)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
KR1020180007339A 2018-01-19 2018-01-19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 KR101994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339A KR101994845B1 (ko) 2018-01-19 2018-01-19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7339A KR101994845B1 (ko) 2018-01-19 2018-01-19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845B1 true KR101994845B1 (ko) 2019-07-01

Family

ID=67255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339A KR101994845B1 (ko) 2018-01-19 2018-01-19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8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683B1 (ko) * 2021-01-20 2021-09-23 (주)씽킹메이킹 블록 인식장치
KR20230051881A (ko) * 2021-10-12 2023-04-19 (주)씽킹메이킹 블록 인식장치
KR20230073525A (ko) 2021-11-19 2023-05-26 정하연 영유아 학습용 완구
KR20240078943A (ko) 2022-11-28 2024-06-04 정하연 영유아 학습용 완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0190A (ja) * 1993-12-03 1995-06-23 Sega Enterp Ltd ペンを用いた学習装置
JPH09319297A (ja) * 1996-05-29 1997-12-12 Hitachi Ltd 音声筆談器
KR20060133624A (ko) 2005-06-21 2006-12-27 (주)엘케이아이티 디지털 교육용 문자 인식 시스템
KR100765371B1 (ko) * 2006-05-22 2007-10-09 현인기술 주식회사 Tts를 이용한 한글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59421B1 (ko) * 2013-02-27 2014-02-10 탐투스 주식회사 디지털 캡쳐 장치
KR101588444B1 (ko) 2013-07-18 2016-01-25 주식회사 한글봇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60190A (ja) * 1993-12-03 1995-06-23 Sega Enterp Ltd ペンを用いた学習装置
JPH09319297A (ja) * 1996-05-29 1997-12-12 Hitachi Ltd 音声筆談器
KR20060133624A (ko) 2005-06-21 2006-12-27 (주)엘케이아이티 디지털 교육용 문자 인식 시스템
KR100765371B1 (ko) * 2006-05-22 2007-10-09 현인기술 주식회사 Tts를 이용한 한글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59421B1 (ko) * 2013-02-27 2014-02-10 탐투스 주식회사 디지털 캡쳐 장치
KR101588444B1 (ko) 2013-07-18 2016-01-25 주식회사 한글봇 블록 인식 장치 및 블록 인식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3683B1 (ko) * 2021-01-20 2021-09-23 (주)씽킹메이킹 블록 인식장치
KR20230051881A (ko) * 2021-10-12 2023-04-19 (주)씽킹메이킹 블록 인식장치
KR102630988B1 (ko) * 2021-10-12 2024-01-30 (주)씽킹메이킹 블록 인식장치
KR20230073525A (ko) 2021-11-19 2023-05-26 정하연 영유아 학습용 완구
KR20240078943A (ko) 2022-11-28 2024-06-04 정하연 영유아 학습용 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4845B1 (ko) 문자 및 도형인식 완구
Willingham The reading mind: A cognitive approach to understanding how the mind reads
US5813861A (en) Talking phonics interactive learning device
EP2053577A1 (en) Learn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0940299B1 (ko) 결합 정보를 출력하는 교육용 완구
Lang et al. Become an app inventor: The Official Guide from MIT APP INVENTOR: Your guide to designing, building, and sharing apps
US6409510B1 (en) Method for learning a foreign language
KR102070178B1 (ko) 사용자 참여형 한글 교육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170122616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한글학습 시스템
Tabbi The Compositional Self in William Gaddis' JR
KR200294647Y1 (ko) 한글학습장치
KR20140049102A (ko)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사운드 북 제공 시스템 및 사운드 북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0491947B1 (ko) 문자학습장치
KR102488893B1 (ko) 교육용 학습 교구 시스템
KR102098839B1 (ko) 콘텐츠카드인식을 이용한 다목적 멀티 학습시스템
Pampoulou et al. Aided AAC Symbols and Their Characteristics
JP3058491U (ja) 音声通知機能付きブロック玩具
Walsh Enriched project-based learning for multilingual students
CN2519354Y (zh) 有声识字卡片
Miles A Picture Is Worth A Thousand Words
RU141609U1 (ru) Обучающая игрушка для детей
Patil Assistive tools and technology for visually impaired
Liu A Record of an Exhibition of Fine Art and Photography MFA Entitled UNFKD with a Corollary Statement
SCOTT et al. Practical Application of CLT, TPR and Phonics Theories in Conjunction with Hi, friends! 1 and Hi, friends! 2 English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Dunn A New Freshman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