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4624B1 - 부품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4624B1
KR101994624B1 KR1020180120281A KR20180120281A KR101994624B1 KR 101994624 B1 KR101994624 B1 KR 101994624B1 KR 1020180120281 A KR1020180120281 A KR 1020180120281A KR 20180120281 A KR20180120281 A KR 20180120281A KR 101994624 B1 KR101994624 B1 KR 101994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unit
guide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0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성경
Original Assignee
변성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성경 filed Critical 변성경
Priority to KR1020180120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4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4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4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06Apparatus therefor, e.g. test stations, drivers, analysers, conveyors
    • G01R31/2808Holding, conveying or contacting devices, e.g. test adapters, edge connectors, extender boar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6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 G01R19/16576Circuits and arrangements for comparing voltage or current with one or several thresholds and for indicating the result not covered by subgroups G01R19/16504, G01R19/16528, G01R19/16533 comparing DC or AC voltage with one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01R31/281Specific types of tests or tests for a specific type of fault, e.g. thermal mapping, shorts t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가 완료된 부품을 검사하는 장치로서, 제조부의 일측 방향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내측면에 음각홈을 포함하며 음각홈에 개재된 상기 플레이트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가이드부 및 한 쌍의 제1 가이드부의 사이에 구비되되 플레이트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여 플레이트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음각홈의 하면에는 유체를 분사하여 플레이트를 가이드 이동시키는 분사 이동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량품 및 양질의 제품을 선별하기 위한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자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플레이트 상의 양전극 및 음전극에 대해서 세밀한 검사가 자동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번거로움을 방지하고 검사의 정확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부품 검사 장치{APPARATUS FOR INSPECTION COMPONENT}
본 발명은 부품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조가 완료된 부품의 검사 및 이송을 동시에 진행하여 효율을 높이고,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부품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면 실장 기술(Surface Mounted Technology: SMT)은 표면 실장형 전자 부품을 인쇄회로기판(PCB) 표면에 장착하고 이를 솔더링(Soldering)하는 기술이다. 표면 실장 기술은 전자 부품의 간격을 조밀하게 하고 기판의 양면을 사용할 수 있어, 보다 많은 전자 부품을 장착할 수 있기 때문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표면 실장 기술로 제조된 부품은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되는데, 솔더링 과정에서 열화된 양전극 및 음전극이 파손되는 경우 부품이 정상적으로 작동되지 않고, 불량품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검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문헌 1(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8425호)은 균일한 솔더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레이저 열원 등을 통한 위치제어 및 포지션 위치제어를 개시하고, 온도 자동 제어를 통해 품질의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솔더링 장치를 개시한다. 하지만 선행문헌 1의 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해 제조된 불량품을 분류하기 어렵고, 이를 일일이 검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8425호 (2015.08.24. 등록)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제조된 불량품을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부품에 포함된 각각의 전극에 대해서 세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불량품을 제품과 분리하여 섞이지 않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불량품을 다시 제조장치에 투입시켜 제품으로 완성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조부를 통해 제조되고 상면에 하나 이상의 양전극 및 음전극이 형성된 플레이트를 보관부로 이동시키는 장치로서, 제조부의 일측 방향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내측면에 음각홈을 포함하며 음각홈에 개재된 상기 플레이트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가이드부 및 한 쌍의 제1 가이드부의 사이에 구비되되 플레이트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여 플레이트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음각홈의 상면에는 양전극 및 음전극의 개수에 대응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부가 더 구비되고, 음각홈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일대일 연결되는 제1 센서부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불량품 및 양질의 제품을 선별하기 위한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어, 작업자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 상의 양전극 및 음전극에 대해서 세밀한 검사가 자동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작업자의 번거로움을 방지하고 검사의 정확도를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불량품 및 제품은 별도로 분류되기 때문에, 섞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작업자의 별도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류가 완료된 복수 개의 제품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할 때 위치를 통일시킴으로써, 적재 단계에서의 파손 및 변질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검사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 롤러 및 벨트를 통해 가이드 운동하는 플레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의 가이드 이동 과정에서의 전극 검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이드부 및 가압 이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가 제2 가이드부 및 가압 이동부를 통해 보관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 및 레일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량품이 회수부 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 상에 위치한 플레이트가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 및 이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의 상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반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반사부의 광 반사에 따른 플레이트의 위치 인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개시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품 검사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에 앞서, “제품”은 제조부(100)를 통해 제조가 완료된 것을 뜻하고, “불량품”은 제조가 완료된 제품 중 회로가 단락되어 사용이 불가한 제품을 뜻한다. 또한, “일측 방향”은 제조부(100)에서 형성된 제품을 보관부(700)로 이동시키는 방향을 뜻한다. 상세하게, “일측 방향”은 제조된 제품이 보관부(700)로 이동하는 방향으로서, 도 1에서 좌상측 방향을 뜻한다. 또한, “타측 방향”은 일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서 도 1에서의 우하측 방향을 뜻한다. 또한, 플레이트(200)의 “양측면”은 플레이트(200)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제외한 측면 방향을 뜻한다.
제조부(100)는 미리 설정된 제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제조부(100)의 내부에서는 PCB기판 상에 양전극(210), 음전극(220) 등을 배치하여 플레이트(200)를 형성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조부(100)는 상기 제조수단을 통해 플레이트(200)의 양측면에 후술할 파손 방지부(230)를 배치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플레이트(200)는 회로가 내설되는 판 형상의 PCB로서, 양전극(210), 음전극(220) 및 파손 방지부(230)를 포함한다.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은 별도의 전력 공급수단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플레이트(200) 상에 위치한 LED 등의 통전수단을 가동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은 하나 이상 구비되되,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은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된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양전극(210)은 플레이트(200)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 방향에 위치하고, 음전극(220)은 플레이트(200)의 나머지 측면 방향에 위치한다. 즉,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은 각각 그룹을 이루어 구비된다. 이는 후술할 제1 가이드부(300)에 포함된 전력 공급부(330)로부터 용이하게 전력을 공급받기 위함이다.
또한, 플레이트(200)의 양측면에는 파손 방지부(230)가 더 구비된다. 파손 방지부(230)는 플레이트(200)의 제조 이후 운반 단계에서 플레이트(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플레이트(200) 상에 위치한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과 접하는 상기 전력 공급부(330)를 선택적으로 가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파손 방지부(230)는 플레이트(200)의 양측면에 구비되고 플레이트(200)의 상하방향으로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파손 방지부(230)는 플레이트(200)의 높이보다 더 큰 높이로 구비됨으로써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을 외력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 불량품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파손 방지부(230)의 일단 및 타단은 “ㄱ”자 형상으로 구부러져 플레이트(200)의 일측면 및 타측면을 일부분 둘러싸도록 구비됨에 따라, 플레이트(200)로부터 보다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고, 이는 플레이트(200)의 운반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손 방지부(230)의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플레이트(200)는 제1 가이드부(300) 및 제2 가이드부(400)를 통해 제조부(100)에서 보관부(700)로 이동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3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가이드부(300), 롤러(r) 및 벨트(b)를 통해 가이드 운동하는 플레이트(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가이드부(300)는 제조부(100)에서 제조된 플레이트(200)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가이드부(300)는 제조부(100)의 타측 방향에 위치하는 레일로 구비된다. 상세하게, 제1 가이드부(300)는 일측 방향에서 타측 방향을 행하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제1 가이드부(300)는 한 쌍으로 구비되고, 플레이트(200)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00)의 사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를 위해, 제1 가이드부(300)의 내측면에는 음각홈(310)이 구비된다.
음각홈(310)은 후술할 벨트(b), 롤러(r), 전력 공급부(330) 및 제1 센서부(320)가 위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함에 따라, 플레이트(200)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음각홈(310)은 한 쌍으로 구비되는 제1 가이드부(300)의 내측면에 형성된다. 즉, 각각의 음각홈(310)은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또한, 음각홈(310)의 내부에는 벨트(b) 및 롤러(r)가 배치된다. 상세하게, 롤러(r)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제1 가이드부(300)의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에 각각 형성되고 벨트(b)는 컨베이어 벨트(b) 등으로 구비되어 롤러(r)에 권취됨에 따라, 플레이트(200)는 컨베이어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 상태에서 롤러(r)의 회전 및 벨트(b)의 이동을 통해 타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부(3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센서부(320)는 플레이트(200)의 타측 방향으로의 이동 과정에서 플레이트(200)의 접근을 감지함으로써, 후술할 전력 공급부(330)가 가동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제1 센서부(320)는 음각홈(310)의 일면에 구비되고, 일측 방향에서 타측 방향을 향할수록 돌출되는 경사면을 가진다. 상세하게, 제1 센서부(320)는 플레이트(200)가 제1 가이드부(300)를 따라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파손 방지부(230)에 의해 가압되고, 상기 가압을 별도의 제어부가 인식하여 플레이트(200)의 접근을 감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1 센서부(320)는 파손 방지부(230)의 외면과 접함과 동시에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파손 방지부(230)에 의해 음각홈(310)의 일면 방향을 향해 가압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1 센서부(320)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제1 가이드부(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음각홈(310)의 일면에 구비됨으로써,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는 후술할 전력 공급부(330)의 전력 공급 및 차단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200)의 가이드 이동 과정에서의 전극 검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세하게, 도 6은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00) 중 어느 하나의 제1 가이드부(300)에 구비되는 음각홈(310), 벨트(b), 제1 센서부(320) 및 전력 공급부(330), 플레이트(200) 및 파손 방지부(23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파손 방지부(230)에 의해 제1 센서부(320)가 가압된 상태에서 플레이트(200) 상의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이 전력 공급부(330)와 접한 상태를 표현하는 단면도이다.
전력 공급부(330)는 제1 센서부(320)의 가압에 대응하여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의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 이를 위해, 전력 공급부(330)는 음각홈(310)의 상면에 구비되고 복수 개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전력 공급부(330)는 복수 개 구비되되 복수 개의 제1 센서부(320)와 전기적으로 일대일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전력 공급부(330)는 제1 센서부(320)가 가압될 시 이에 대응하여 전력을 공급한다. 상세하게, 전력 공급부(330)는 하면이 플레이트(200) 상에 위치한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의 상면과 접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제1 센서부(320)가 파손 방지부(23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일대일 연결된 전력 공급부(330)는 접하는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에 전력을 공급한다. 서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전력 공급부(330)는 제1 센서부(320)가 가압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이 전력 공급부(330)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음에 따라, 후술할 제어부는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의 이상 유무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는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의 통전 여부를 판단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제어부는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의 사이에 위치한 회로의 단락 여부를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불량품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을 포함한다. 상세하게, 제어부는 상기 기준 전압과 전력 공급부(330)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은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에서의 전압을 검출하여 이를 비교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는 기준 전압 및 검출된 전압을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회로가 단락되지 않은 양질의 제품 및 회로가 단락된 불량품으로 분류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전력 공급부(330)와 접촉된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으로부터 전압을 검출하고, 이를 기준 전압과 비교한다.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에서 검출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이는 회로가 단락되지 않아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제품인바, 제어부는 벨트(b) 및 롤러(r)를 통해 플레이트(200)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반면,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에서 측정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는 회로가 단락되어 전력 공급 시 제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운 불량품으로 판단하고, 벨트(b) 및 롤러(r)의 가동을 중단하여 플레이트(200)의 가이드 이동을 중지시킨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음각홈(310)의 하면에는 분사 이동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분사 이동부는 선술한 롤러(r) 및 벨트(b)의 “플레이트(200)의 가이드 이동”역할을 대신하여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이다. 즉, 분사 이동부는 롤러(r) 및 벨트(b)를 대신하여 음각홈(310)의 하면에 구비되고, 유체 공급을 통해 플레이트(200)를 가이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분사 이동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음각홈(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분사 이동부는 음각홈(31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음각되어 구비되고, 별도의 유체 공급부를 통해 유체를 공급받아 제1 가이드부(300)의 상측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함으로써 플레이트(220)를 플로팅시켜 제1 가이드부(300)의 타측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유체는 플레이트(200) 상에 배치된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이 손상되지 않는 헬륨, 아르곤 등의 비활성 기체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220)는 유체와 만나 플로팅되어 가이드 이동하는 과정에서 선술한 전력 공급부(330)와의 접촉으로 인한 스파크 등이 발생하지 않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복수 개의 분사 이동부는 선술한 제1 센서부(3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세하게, 분사 이동부는 일측 방향에 위치한 제1 센서부(320)와 다대일 대응된다. 보다 상세하게, 선술한 파손 방지부(230)가 제1 센서부(320)를 가압할 때, 플레이트(200)의 하면 및 일측 방향에 위치한 복수 개의 분사 이동부는 유체를 분사하고, 플레이트(200)의 타측 방향에 위치한 분사 이동부는 유체를 분사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플레이트(200)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가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분사 이동부의 유체 분사는 전력 공급부(330)에 따른 플레이트(200)의 불량을 판정하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야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측정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크거나 같음으로써 제1 가이드부(300)의 타측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된 플레이트(200)는 후술할 제2 가이드부(400) 및 가압 이동부(410)를 통해 보관부(700)로 이동되어 수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가이드부(400) 및 가압 이동부(41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200)가 제2 가이드부(400) 및 가압 이동부(410)를 통해 보관부(70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가이드부(400)는 플레이트(200)의 타측 방향으로의 가이드 운동을 보조하고, 후술할 가압 이동부(410)의 가이드 이동을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제2 가이드부(400)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00)의 사이에 위치하여 제1 가이드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어 구비된다. 또한, 제2 가이드부(400)의 상측 방향에 별도의 레일이 구비됨으로써, 가압 이동부(410)는 제2 가이드부(400)의 상측 방향에서 가이드 이동되어 상측 방향에 위치한 플레이트(200)를 타측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2 가이드부(400)의 상면은 플레이트(20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제2 가이드부(400) 및 플레이트(200)의 사이에는 가압 이동부(410)가 위치함으로써, 가압 이동부(410)는 플레이트(200)를 파손시키지 않도록 최소한의 접촉 만으로도 용이하게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압 이동부(410)는 플레이트(200)를 타측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시켜 보관부(700)에 수납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가압 이동부(410)는 제2 가이드부(400)와 체결되고 별도의 구동부를 통해 동력을 공급받아 가이드 이동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가압 이동부(410)는 제2 가이드부(4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별도의 힌지부를 통해 각도가 조절되어 플레이트(200)를 타측 방향으로 가압 이동시킬 수 있는 “T”자 단면 형상의 가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 가압부재는 가압 이동부(410)의 정지 시에는 제2 가이드부(4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되 제2 가이드부(400)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구비되어 플레이트(200)와 접촉하지 않고, 제2 가이드부(40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 시에는 선술한 별도의 힌지부를 통해 일단이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힌지 운동됨으로써 일단이 플레이트(2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구비된다. 따라서, 가압 이동부(4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부(400) 상에서 가이드 운동하여 타측 방향에 위치한 플레이트(200)를 보관부(7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압 이동부(410)는 선술한 제어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가이드 이동 및 정지한다. 상세하게 가압 이동부(410)는 복수 개의 전력 공급부(330) 및 제1 센서부(320) 중, 가장 제1 가이드부(300)의 타측 방향에 위치한 제1 센서부(320)의 가압 및 상기 제1 센서부(320)의 가압에 따른 전력 공급부(330)의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으로의 전력 공급을 통해 검출된 전압을 기준 전력과 비교한 결과에 따라 가이드 이동 및 정지가 결정된다. 보다 상세하게, 가압 이동부(410)는 제조부(100)로부터 가장 크게 이격되어 위치한 전력 공급부(330)가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과 통전됨에 따라 발생하는 전압 및 기준 전압을 비교한 비교 결과에 따라 가이드 이동 및 정지가 결정된다. 보다 더 상세하게, 제어부는 제조부(100)로부터 가장 크게 이격되어 위치한 전력 공급부(330) 및 상기 전력 공급부(330)와 접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의 전압을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가압 이동부(410)를 가이드 이동 및 정지시킨다.
제조부(100)로부터 가장 크게 이격되어 위치한 전력 공급부(330)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에서의 검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어부는 최종적으로 제품에 이상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제2 가이드부(400)의 일측 방향에 위치한 가압 이동부(410)를 타측 방향으로 가이드 이동시킨다. 여기서, 가압 이동부(410)에 구비된 가압부재는 선술한 별도의 힌지부에 의해 힌지 운동되어 일단이 상측 방향을 향함으로써 플레이트(200)의 일면과 접하고, 이 상태에서 가압 이동부(410)는 타측 방향으로 가이드 운동함으로써 상측 방향에 위치한 플레이트(200)를 보관부(700)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제조부(100)로부터 가장 크게 이격되어 위치한 전력 공급부(330)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에서의 검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는 플레이트(200)의 일측 방향에 위치한 가압 이동부(410)를 정지시킨다.
서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복수 회의 통전 검사를 받아 최종적으로 양질의 제품으로의 판정을 받은 플레이트(200) 만이 가압 이동부(410)를 통해 보관부(700)로 이동될 수 있어, 불량품이 보관부(700)로 이동되어 제품과 섞이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 이동부(410)는 최종적으로 제품 판정을 받은 플레이트(200) 만을 위해 가이드 이동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으로부터 검출된 전압이 기준 전압보다 작은 플레이트(200)는 후술할 레일부(500), 회수부(600) 및 상승부(630)를 통해 제품과 섞이지 않고 별도로 수거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600) 및 레일부(5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량품이 회수부(600) 방향으로 하강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레일부(500)는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00)를 양측면 방향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00)의 사이에 위치한 플레이트(200)를 하측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상세하게, 레일부(500)는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불량품으로 판정된 플레이트(200)와의 체결을 해지하고자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00) 사이의 거리를 증가시켜 플레이트(200)를 하강시킨다. 이를 위해, 레일부(500)는 제1 가이드부(30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고, 제1 가이드부(300)의 길이방향과는 수직하도록 신장 형성됨에 따라 제1 가이드부(300)를 관통한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00)는 레일부(500)를 따라 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간격이 조정된다. 상세하게,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00)의 사이에 불량품이 있는 경우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00)는 레일부(500)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사이의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불량품은 제1 가이드부(300)와의 체결이 해제되어 하측 방향으로 하강한다. 반면,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00)의 사이에 불량품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00)는 레일부(500)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조부(100)를 통해 형성되는 플레이트(200)를 재차 수용 및 가이드 이동시킨다.
회수부(600)는 하측 방향으로 하강한 플레이트(200)를 별도로 수거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세하게, 회수부(600)는 레일부(500)를 통해 제1 가이드부(300)의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하측 방향으로 하강항 불량품을 수거한다. 이를 위해, 판 형상의 회수부(600)는 제1 가이드부(300)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되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00) 및 제1 가이드부(300)의 사이에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회수부(600)의 상면의 높이는 제2 가이드부(40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 가압 이동부(410)의 높이보다 크거나 같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회수부(600) 상에 위치한 플레이트(200)는 하강 과정에서 가압 이동부(410)와 접하여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한 쌍의 회수부(600) 상에서 보다 용이하게 제1 가이드부(30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판 형상의 회수부(600)는 일측 방향으로의 일단이 타측 방향으로의 타단보다 하측 방향에 구비되도록 경사져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수부(600) 상에 위치한 플레이트(200)는 별도의 외력 없이도 제1 가이드부(300)의 일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회수부(600)는 제1 가이드부(30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200)가 회수부(6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흡착 고정부(610) 및 회수부(600) 상에서 이동하는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는 제2 센서부(620) 및 플레이트(200)를 상측 방향으로 상승시키는 상승부(630)를 포함한다.
흡착 고정부(610)는 플레이트(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회수부(600)는 회수부(600)의 상면에 음각 형성되고, 별도의 흡착 수단을 통해 흡착 고정부(61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플레이트(200)를 고정한다. 상세하게, 흡착 고정부(610)는 회수부(6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구비되되,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회수부(600) 상에 위치한 플레이트(200)는 제1 가이드부(30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흡착 고정부(610)를 통해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에, 지나치게 빠른 속도로 이동되어 회수부(6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회수부(600)의 상면 상에 복수 개의 불량품 판정을 받은 플레이트(200)가 있는 경우, 복수 개의 플레이트(200)끼리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복수 개의 흡착 고정부(610)의 사이에는 제1 가이드부(30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6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 제2 센서부(620)는 복수 개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흡착 고정부(610)의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제2 센서부(620)는 제1 가이드부(300)의 일측 방향에 위치한 흡착 고정부(610)와 일대일 대응된다. 즉, 제2 센서부(620)는 일측 방향에 위치하되 제2 센서부(620)와 가장 가까운 흡착 고정부(610)와 대응되어 연결되고, 제2 센서부(620)가 플레이트(200)의 하면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가압됨에 따라, 제2 센서부(620)의 일측 방향에 위치한 흡착 고정부(610)는 가동되어 상기 흡착 고정부(610)의 상측 방향을 통과하는 플레이트(200)를 흡착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200)가 제1 가이드부(30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하측 방향으로의 가압이 해제된 제2 센서부(620) 및 상기 제2 센서부(620)와 대응되는 흡착 고정부(610)는 플레이트(200)를 감지하지 못함에 따라 가동이 중단된다. 이에 따라, 상기 흡착 고정부(610)는 흡착 작업을 중단한다. 선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플레이트(200)는 복수 개의 제2 센서부(620) 및 흡착 고정부(610)를 통해 제1 가이드부(300)의 일측 방향으로 고정 및 이동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게 되어, 회수부(600)의 일측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불량품으로 판정된 플레이트(200)를 별도로 회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수부(600) 상에 위치한 플레이트(200)가 상승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선술한 일련의 과정을 거쳐 회수부(600)의 일측 방향에 위치한 플레이트(200)는 후술할 상승부(630)를 통해 상측 방향으로 상승한 후, 제조부(100)로 이동되어 다시 제조된다. 이를 위해, 상승부(630)는 회수부(600)의 일측 방향에 위치하되 회수부(600)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승부(630)는 별도로 구비되는 유압 공급부를 통해 동력을 공급받고, 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승부(630)의 일단은 상측 방향에 위치한 플레이트(200)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올린다. 여기서, 상측 방향으로 상승한 플레이트(200)는 선술한 레일부(500)를 통해 내측 방향으로 이동된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00)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1 가이드부(300)에 구비된 벨트(b)의 일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응되어 제조부(100)로 이동되며, 제조부(100)의 내부로 삽입된 상기 플레이트(200)는 다시 제조된 후 제1 가이드부(30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의 통전 여부를 다시 검사받는다. 상술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불량품으로 판정된 플레이트(200)는 작업자가 별도로 수거하지 않아도 제조부(100)에 자동으로 삽입된 후 재차 제조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보관부(700)에 위치한 플레이트(200)는 후술할 이송부(8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700) 및 이송부(8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관부(70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에서의 좌측 방향은 보관부(700)의 일측 방향이고, 우측 방향은 보관부(700)의 타측 방향이다.
보관부(700)는 제1 가이드부(300)로부터 전달받은 플레이트(200)를 임시 보관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보관부(700)는 미리 지정된 위치로 이송하기 전의 플레이트(200)를 보관한다. 이를 위해, 보관부(700)는 일면 및 타면이 개구되고, 복수 개의 플레이트(200)를 동시 보관하기 위해 다층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측 방향을 향하는 보관부(700)의 내면은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 상기 보관부(700)의 내면은 보관부(700)의 타측 방향을 향할수록 하측 방향을 향하도록 기울어져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보관부(700) 내부에 위치한 플레이트(200)는 외력 없이도 용이하게 보관부(70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측 방향을 향하는 상기 보관부(700)의 내면 상에는 복수 개의 흡착홈(7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흡착홈(710)은 선술한 흡착 고정부(61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상세하게, 흡착홈(710)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보관부(700)의 일측 방향에서 타측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별도의 흡착 수단을 통해 보관부(70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플레이트(200)를 고정한다. 따라서, 보관부(700) 내부의 플레이트(200)가 의도하지 않게 보관부(70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일련의 구성을 통해 보관부(700) 내부의 플레이트(200)를 의도적으로 내부에 보관 및 외부로 인출할 수 있어, 작업자의 개입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에 따른 플레이트(200)의 파손 및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양전극(210), 음전극(220) 및 회로를 플레이트(200)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한 플레이트(200)를 보관부(700)의 내부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위치시켜 냉각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보관부(700)의 내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동된 플레이트(200)는 후술할 이송부(80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부(80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고정부(850b)의 상승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송부(800)는 보관부(700)로부터 플레이트(200)를 공급받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이송부(800)는 관절부(820)를 구비하고 회전 운동하는 몸체부(810), 관절부(820)와 연결되고 플레이트(200)를 위치시키는 공간을 제공하는 판부(830), 판부(830) 상에 구비되어 플레이트(200)를 고정하는 고정부, 판부(830)의 하측 방향에 위치되어 판부(83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860) 및 판부(830) 상에 위치한 플레이트(200)의 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광 조사부(870)를 포함한다.
몸체부(810)는 관절부(82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관절부(820)와 체결되고 상하방향으로 구비되는 몸체부(81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후술할 판부(830) 상에 배치되는 플레이트(200)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경로를 제공한다.
관절부(820)는 다단 형상으로 구비되어 관절 운동 및 힌지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판부(830) 상의 플레이트(200)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또한, 봉 형상으로 구비되는 관절부(820)의 일단은 후술할 회전부(860)와 연결된다.
판부(830)는 보관부(700)로부터 전달된 플레이트(200)를 배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판부(83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후술할 회전부(86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한다. 여기서, 판부(830)의 저면은 회전부(860)의 상면과 연결되기 때문에, 회전부(860)와 일체가 되어 회전하여 판부(830) 상에 위치하는 플레이트(200)를 회전시킨다.
암부는 판부(830) 상에 배치되는 플레이트(2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위치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암부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회전부(860)와 연결된다. 또한, 암부는 한 쌍의 제1 암부(840a) 및 한 쌍의 제2 암부(840b)로 구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 암부(840a)는 제1 가이드부(300)의 일측 방향을 향하며 한 쌍의 제2 암부(840b)는 제1 가이드부(300)의 타측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한 쌍의 제1 암부(840a)는 별도로 구비된 회전수단을 통해 회전부(860)의 중심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한 쌍의 제2 암부(840b)는 회전부(860)와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는 제1 가이드부(30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판부(830) 상에 위치되는 플레이트(200)의 폭에 대응하여 한 쌍의 제1 암부(840a)가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도록 하여(도 14 참조) 플레이트(200)가 판부(830)를 향해 용이하게 삽입되고 판부(8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즉, 타측 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제2 암부(840b) 사이의 폭은 일정하도록 고정되고, 한 쌍의 제1 암부(840a)는 플레이트(200)가 용이하게 판부(830)로 유입되도록 사이의 간격이 가변한다.
또한, 암부는 복수 개의 고정부를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 고정부는 한 쌍의 제1 고정부(850a) 및 한 쌍의 제2 고정부(850b)로 구분되어 각각의 제1 암부(840a) 및 제2 암부(840b)의 상측방향에 구비된다. 또한, 고정부는 상측 방향으로의 직경이 점차 감소하는 원뿔 형상 및 원기둥 형상 등으로 형성되고, 판부(830)로 유입된 플레이트(200)는 각각의 제1 고정부(850a), 제2 고정부(850b) 및 판부(830)의 사이에 개재된다. 고정부의 형상이 원뿔 형상 및 원기둥 형상 등으로 구비되는 것은 고정부 및 판부(830)의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는 플레이트(200)와의 면접촉을 보다 크게 하여 견고한 고정을 유도함과 동시에, 이송부(800)의 오작동 등으로 인해 플레이트(200)가 고정부의 외측면 상에 배치될 때 플레이트(2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고정부는 제1 암부(840a)의 상측 방향에 구비되는 제1 고정부(850a) 및 제2 암부(840b)의 상측 방향에 구비되는 제2 고정부(850b)로 구분된다. 제1 고정부(850a)는 별도의 상승수단을 통해 제1 암부(840a)의 상면으로부터 상승 및 하강할 수 있어, 제1 고정부(850a)의 하면 및 판부(830)의 상면 사이의 이격되는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다. 즉, 제1 고정부(850a)의 상승 및 하강을 통해 판부(830) 상에 플레이트(200)가 배치되지 않을 시에는 판부(830)와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키고, 플레이트(200)가 판부(830) 상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판부(830)와의 이격되는 거리를 감소시켜 하면이 플레이트(200)의 상면과 면접촉을 이루도록 한다. 이를 통해, 판부(830) 상에 배치되는 플레이트(200)가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아, 플레이트(200)의 이탈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고정부(850b)는 제2 암부(840b) 상에서 고정된다. 여기서, 제2 고정부(850b)의 하면 및 판부(830)의 상면 사이의 거리는 플레이트(200)의 상하방향으로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구비된다. 즉, 플레이트(200)는 제2 고정부(850b)의 하면 및 플레이트(200)의 상면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되기 때문에, 제2 고정부(850b)의 하강 과정에서 플레이트(200)의 위치가 가변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어, 보다 견고하고 정확한 고정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회전부(860)는 판부(830)를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회전부(860)는 후술할 도 16 및 도 17에서의 플레이트(200)의 회전을 통해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교정하고, 이를 통해 복수 개의 플레이트(200)는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여 적재될 때 통일된 위치 및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부(860)는 봉 형상으로 구비되는 관절부(820)의 일단과 연결되고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면은 판부(830)의 저면과 연결되고 외측면은 암부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회전부(860)는 회전부(86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판부(830) 및 판부(830) 상에 위치하는 플레이트(200)를 용이하게 회전시켜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반사부(240)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반사부(240)의 광 반사에 따른 플레이트(200)의 위치 인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7은 상측 방향에서 플레이트(200), 파손 방지부(230), 광 조사부(870) 및 광 반사부(24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송부(800)가 플레이트(200)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옮기는 과정에서 플레이트(200)가 구비되는 각도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미리 설정된 위치로 이송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200)가 순차적으로 적재되어야 플레이트(200)가 파손되지 않고 완제품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이 광 조사부(870)이다.
이를 위해, 광 조사부(870)는 몸체부(81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레이저 등의 광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한다. 여기서, 광 조사부(870)는 몸체부(810)의 일측 방향(도 15의 좌측 방향 및 도 17의 상측 방향을 뜻함)을 향하되, 플레이트(200)를 위치한 하측 방향으로 광을 조사한다. 이에 따라, 광 조사부(870)는 레이저 등의 광을 조사하고 후술할 파손 방지부(230)에 구비되는 광 반사부(240)을 통해 광이 반사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플레이트(200)의 방향을 파악한다. 이를 통해, 광 조사부(870)는 플레이트(200)가 구비되는 각도를 알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회전부(860)를 회전시켜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교정할 수 있다.
파손 방지부(230)의 외측면에는 광 반사부(2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광 반사부(240)는 선술한 광 조사부(87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광 조사부(870)로 향하게 함으로써, 플레이트(200)가 구비되는 방위각을 알리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광 반사부(240)는 파손 방지부(230)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음각되어 구비된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광 반사부(240)는 파손 방지부(230)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v”자 단면으로 음각되도록 형성되되, 상측 방향의 “v”단면이 하측 방향의 “v”단면보다 크도록 구비된다. 상세하게, 광 반사부(240)는 파손 방지부(230)의 상측 방향을 향할수록 내측 방향으로 더 음각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광 반사부(240)의 음각된 면은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이는 선술한 광 조사부(870)로부터 조사된 광을 반사할 때, 반사된 광이 상측 방향을 향하도록 하여 광 반사부(240)보다 상측 방향에 있는 광 조사부(870)에 용이하게 반사광이 도달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또한, 광 반사부(240)는 플레이트(200)의 양측 방향에 구비되는 한 쌍의 파손 방지부(230) 중 1개의 파손 방지부(230)에만 구비된다. 이는 이송부(800)를 통해 플레이트(200)를 미리 설정된 위치로 옮길 때 플레이트(200)의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이 구비되는 방향을 통일시켜 작업자의 수작업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광 반사부(240)를 제외한 파손 방지부(230)의 표면은 흑색 등의 광을 흡수하는 별도의 도료를 통해 착색됨으로써 반사되는 광이 광 조사부(870)로 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보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파손 방지부(230)의 표면은 선술할 도료로 착색됨과 동시에 작은 크기로 구비되는 미세 요철이 복수 개 구비되어 불규칙한 배열을 이룸에 따라, 광 조사부(870)로부터 조사된 광을 난반사 시킴으로써 광 조사부(870)를 향해 반사 광이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광 반사부(240)는 파손 방지부(230)의 중간 부분에 구비된다. 상세하게, 광 반사부(240)는 플레이트(200)의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플레이트(200)의 길이 방향을 뜻함)으로 형성되는 파손 방지부(23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된다. 이는 광 조사부(870) 및 광 반사부(240)를 통해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교정함에 있어 플레이트(200)가 틀어져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고, 광 반사부(240)로부터 반사되는 광이 보다 용이하게 광 조사부(870)로 향하는 것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플레이트(200)는 회전부(860)를 통해 판부(830) 상에서 회전부(86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다가, 광 반사부(240)를 포함하는 파손 방지부(230)가 몸체부(810)의 타측 방향(도 17에서 하측 방향을 뜻함)을 향하도록 위치가 교정된 경우(도 17 참조), 광 조사부(870)로부터 조사된 광은 “v”형상의 단면 중 일면(도 17에서 광 조사부(870)의 좌측면을 뜻함)에 조사된다. 이는 광 조사부(870)의 타면(도 17에서 광 조사부(870)의 우측면을 뜻함)에 다시 반사되며, 상기 반사된 광은 광 조사부(870)를 향해 반사된다. 이를 통해, 광 조사부(870)는 플레이트(200)의 위치의 교정을 완료할 수 있다.
상술한 일련의 구성 및 과정을 통해, 플레이트(200)가 틀어진 상태에서 이송되어 적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플레이트(20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미리 설정된 위치 내에서 복수 개의 플레이트(200)는 통일된 방향 및 위치에 순차적으로 위치될 수 있기 때문에 적재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예시의 목적으로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제조부 200: 플레이트
210: 양전극 220: 음전극
230: 파손 방지부 240: 광 반사부
300: 제1 가이드부 310: 음각홈
320: 제1 센서부 330: 전력 공급부
400: 제2 가이드부 410: 가압 이동부
500: 레일부 600: 회수부
610: 흡착 고정부 620: 제2 센서부
630: 상승부 700: 보관부
800: 이송부 830: 판부
840: 암부 850: 고정부
860: 회전부 870: 광 조사부

Claims (6)

  1. 제조부(100)를 통해 제조되고 상면에 하나 이상의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이 형성된 플레이트(200)를 보관부(700)로 이동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조부(100)의 일측 방향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내측면에 음각홈(310)을 포함하며, 상기 음각홈(310)에 개재된 상기 플레이트(200)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가이드부(300); 및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00)의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플레이트(200)의 하측 방향에 위치하여 상기 플레이트(200)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가이드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음각홈(310)의 상면에는 상기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의 개수에 대응되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전력 공급부(3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음각홈(310)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상기 전력 공급부(330)와 전기적으로 일대일 연결되는 제1 센서부(32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플레이트(200)가 제조부(100)에서 보관부(70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레이트(200)의 양측면이 상기 제1 센서부(320)를 가압할 때, 상기 제1 센서부(320)와 연결된 상기 전력 공급부(330)는 상기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고,
    상기 음각홈(310)의 하면에는 상기 음각홈(310)의 상측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상측 방향에 위치한 상기 플레이트(200)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분사 이동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력 공급부(330)와 연결되고 상기 음각홈(310)의 일면에 구비되되 타측 방향을 향할수록 돌출되는 경사면을 갖는 제1 센서부(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200)가 타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플레이트(200)의 양측면이 상기 제1 센서부(320)를 가압할 때, 상기 전력 공급부(330)는 상기 플레이트(200) 및 상기 제1 센서부(320) 간의 가압에 대응하여 상기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상기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의 이상 유무를 검사하고 상기 플레이트(200)의 접근을 감지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음각홈(310)의 하면에는 상기 음각홈(310)의 상측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상측 방향에 위치한 상기 플레이트(200)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 개의 분사 이동부가 구비되며,
    상기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의 통전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에서 검출된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레이트(200)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에서 검출된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레이트(200)의 가이드 이동을 중단시키며,
    상기 제1 가이드부(300)의 하측 방향에는 상기 제1 가이드부(300)를 외측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상기 제1 가이드부(300)의 간격을 조정하는 레일부(5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양전극(210) 및 음전극(220)에서 검출된 전압이 상기 기준 전압보다 작은 경우, 상기 레일부(500)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를 외측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플레이트(200)는 상기 음각홈(310)에서 이탈되어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고,
    상기 보관부(700)의 타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보관부(700)에 보관된 상기 플레이트(200)를 상기 보관부(700)의 외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800)는,
    외측 방향에 관절 운동 및 힌지 운동하는 관절부(820)가 구비되는 몸체부(810);
    상기 보관부(70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플레이트(200)가 위치하는 판부(830);
    상기 관절부(820)의 일단과 연결되고 상기 판부(830)를 회전 운동시켜 상기 플레이트(2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860);
    상기 회전부(860)의 외측 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860)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암부;
    상기 암부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판부(830) 상에 위치하는 상기 플레이트(200)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는 하나 이상의 원뿔 형상의 고정부; 및
    상기 몸체부(810)의 상측 방향에 위치하고 상기 판부(830) 상에 배치된 상기 플레이트(200)에 광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870);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200)의 양측면에는 구비되는 파손 방지부(230); 및
    상기 파손 방지부(23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외측면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음각 형성되되 "v"형상 단면을 갖는 광 반사부(2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 조사부(870)는 상기 광 반사부(240)로부터 반사된 광을 인식하여 상기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검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400)의 상측 방향에는 상기 제2 가이드부(400)와 체결되어 가이드 운동함으로써 상측 방향에 위치한 상기 플레이트(200)를 타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 이동부(4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검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 가이드부(300) 및 제2 가이드부(400)의 사이에는 판 형상의 회수부(600)가 더 구비되고,
    상기 회수부(600)는,
    상면에 음각 형성되고 흡착력을 이용하여, 하강한 상기 플레이트(200)를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흡착 고정부(610); 및
    상기 회수부(600)를 관통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수부(600)의 일측 방향에 위치한 상기 플레이트(20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승부(6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 검사 장치.
  6. 삭제
KR1020180120281A 2018-10-10 2018-10-10 부품 검사 장치 KR101994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281A KR101994624B1 (ko) 2018-10-10 2018-10-10 부품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0281A KR101994624B1 (ko) 2018-10-10 2018-10-10 부품 검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4624B1 true KR101994624B1 (ko) 2019-10-01

Family

ID=68207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0281A KR101994624B1 (ko) 2018-10-10 2018-10-10 부품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462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856A (ko) * 2003-12-12 2005-06-17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편광필름 검사장치
KR20070050851A (ko) * 2005-11-11 2007-05-16 윈텍 주식회사 전자부품의 외관 검사장치
KR101489948B1 (ko) * 2014-06-23 2015-02-06 유원엘디에스(주) Led 소자와 led모듈의 불량 검사방법 및 led 소자와 led모듈의 불량 검사장치
KR101548425B1 (ko) 2013-10-25 2015-08-28 주식회사 넥스뷰티엑스 반도체 칩 및 pcb 소자용 레이저 솔더링 장치
KR101827313B1 (ko) * 2017-09-19 2018-02-08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놀러지 AOI θ축 얼라인 조정이 가능한 이송장치를 갖는 인라인 스테이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8856A (ko) * 2003-12-12 2005-06-17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편광필름 검사장치
KR20070050851A (ko) * 2005-11-11 2007-05-16 윈텍 주식회사 전자부품의 외관 검사장치
KR101548425B1 (ko) 2013-10-25 2015-08-28 주식회사 넥스뷰티엑스 반도체 칩 및 pcb 소자용 레이저 솔더링 장치
KR101489948B1 (ko) * 2014-06-23 2015-02-06 유원엘디에스(주) Led 소자와 led모듈의 불량 검사방법 및 led 소자와 led모듈의 불량 검사장치
KR101827313B1 (ko) * 2017-09-19 2018-02-08 주식회사 에이치비테크놀러지 AOI θ축 얼라인 조정이 가능한 이송장치를 갖는 인라인 스테이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3138B1 (ko) 태양전지 시험장비
CN112676175A (zh) 硅片智能分选机
JPH11330798A (ja) 電気部品装着方法およびシステム
CN115892589B (zh) 筛选设备
CN109001926B (zh) 一种对位模组
CN114247662A (zh) 芯片筛选装置和芯片检测产线
KR20150074288A (ko) 열차단부재 자동용접장치
CN112893189A (zh) 外观检测方法及设备
KR101994624B1 (ko) 부품 검사 장치
CN112875216A (zh) 外观检测设备
CN108787487A (zh) 锂电池检验机
CN111781211A (zh) 一种芯片字符检测及计数器
KR101994622B1 (ko) 부품 이송 장치
US3712466A (en) Inspection and transfer mechanism
CN210731548U (zh) 装配设备
KR100988520B1 (ko) 확장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칩 분류장치
CN214641317U (zh) 焊接压紧装置及焊接设备
CN110860484A (zh) 一种用于侦测多个电路板件粘连的方法
CN108663633A (zh) 锂聚合物电池检验机
CN115007491A (zh) 一种检测设备
KR101328659B1 (ko) 차량용 연료분배관의 연결캡 검사장치
KR20150093984A (ko) 회로기판 검사용 다층 이송장치
CN109078863B (zh) 一种光学检测设备
CN109592407B (zh) Pcb板自动清洁与检测设备
JP6127321B2 (ja) 軸体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