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920B1 - 바닥신호등 - Google Patents

바닥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920B1
KR101992920B1 KR1020180131511A KR20180131511A KR101992920B1 KR 101992920 B1 KR101992920 B1 KR 101992920B1 KR 1020180131511 A KR1020180131511 A KR 1020180131511A KR 20180131511 A KR20180131511 A KR 20180131511A KR 101992920 B1 KR101992920 B1 KR 101992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lighting unit
lower base
plate
burie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선
심현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영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영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영이노텍
Priority to KR1020180131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9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05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cluding pedestrian guidance indicator

Abstract

바닥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내부 상부에 조명유니트 삽입공간이 마련되는 매립본체; 매립본체의 조명유니트 삽입공간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는 조명유니트;를 포함하고, 조명유니트는 사방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의 함 형태의 하부베이스; 하부베이스의 내부 하단에 삽입 설치되는 LED 조명기판; 하부베이스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투명 합성수지재질의 상부조명판; 하부베이스와 상부조명판 사이에 설치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해
횡단보도 인근의 바닥면에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하는 횡단신호 또는 멈춤신호를 제공할 수 있게 되고, 매립본체에서 조명유니트를 분리하여 LED 조명기판에 대한 수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LED 조명기판을 교체하는 경우 LED 조명기판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품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바닥신호등 { BOTTOM TRAFFIC SIGNAL LIGHTS }
본 발명은 바닥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횡단보도와 인근한 보도에 설치되어 바닥면에서 횡단보도 신호와 연동하여 횡단보도 신호등과 동일한 색상의 신호의 빛을 조사하는 바닥신호등에서 하나의 매립본체에 다수의 조명유니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횡단보도는 보행자가 차량이 다니는 도로를 안전하게 횡단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의 보행구간으로, 도로의 교차로 부위나 그밖의 도로 횡단자가 많은 곳에 주로 마련된다.
횡단보도에는 주기적으로 멈춤신호와 횡단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횡단보도 신호등이 설치되는 것이 보통이고, 이러한 횡단보도 신호등은 지주를 통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에 설치된다.
상기 횡단도보 신호등은 보행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설치된 것이지만 고개를 들어야 신호를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예를 들어 고개를 숙이고 휴대폰을 사용하는 보행자의 경우 횡단보도 신호를 확인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횡단보도 인근의 보도나 횡단보도 내의 바닥면에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에 대한 기술이 다수 제안되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바닥 매립형 신호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바닥 매립형 신호등은 횡단보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백색도료가 도포되고, 백색도료와 백색도료 사이의 바닥에 일정 넓이를 갖는 요홈이 형성되며, 요홈의 바닥에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의 적색 LED 램프와 청색 LED 램프가 구비된 LED 램프장치가 매립 설치되고, 횡단보도의 보행신호에 따라 LED 램프장치의 적색 LED 램프와 청색 LED 램프가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것을 통해 바닥 매립형 신호등을 구성한 것이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내부 상부에 LED 조명기판 삽입공간이 마련되는 블록본체; 기판에 다수의 LED가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형태로, 블록본체의 LED 조명기판 삽입공간에 설치되는 LED 조명기판; 블록본체의 내부 하단에 설치되는 방열판; LED 조명기판과 방열판을 연결하는 방열접속볼트; 블록본체의 LED 조명기판 삽입공간에 충전되는 에폭시;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해 횡단보도 신호와 연동하여 횡단보도의 도로와 보도의 경계부위 바닥면에 횡단신호를 표시할 수 있게 되고, 우수한 방수성과 방열성을 통해 오랜기간 동안 고장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횡단보도용 바닥신호등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3에는 상부면으로 빛이 투과되고, 양측과 하단이 개구된 장방형의 발광케이스; 발광케이스의 내부 상부에 삽입 설치되어 발광케이스의 상부로 빛을 조사하는 LED 조명기판; 발광케이스 내부의 LED 조명기판의 하부에 삽입 설치되어 LED 조명기판을 지지하는 기판지지블록; 발광케이스 내부의 기판지지블록과 베이스블록 사이에 설치되어 발광케이스의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수직 하중에 의해 발광케이스 및 LED 조명기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 발광케이스의 내부 하부에 삽입 설치되고, 바닥면에 착지되어 발광케이스를 지지하는 베이스블록; 발광케이스의 내부 상단과 LED 조명기판의 상단 및 LED 조명기판의 하단과 기판지지블록의 상단 사이에 충전되어 발광케이스와 LED 조명기판, 그리고 기판지지블록을 일체로 결합하고, LED 조명기판에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에폭시;를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해 횡단보도 인근의 횡단대기 보도의 바닥면에 횡단신호 또는 멈춤신호를 표시할 수 있게 되어 고개를 숙인 보행자가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하는 횡단신호 또는 멈춤신호를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5239호 (2009년 08월 07일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56712호 (2018년 02월 28일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52068호 (2018년 04월 19일 등록)
특허문헌 1의 바닥 매립형 신호등은 횡단보도 내부의 도로에 LED 램프장치가 매립 설치되는 것으로,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이 LED 램프장치를 지나가기 때문에 LED 램프장치가 쉽게 파손되고, LED 조명기판이 수분에 취약하여 쉽게 고장이 나거나 오동작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의 바닥신호등은 LED 조명기판의 둘레에 에폭시가 충전되어 비교적 방수성이 좋게 되는 것이지만 LED 조명기판이 고장난 경우 그에 수리나 교체가 불가능하게 되어 바닥신호등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기 때문에 수리비용과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바닥신호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횡단보도 인근 바닥면에서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어 횡단보도의 횡단신호 및 멈춤신호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고개를 숙인 보행자가 횡단보도의 횡단신호 및 멈춤신호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신호등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매립본체에 내장되는 조명유니트의 LED 조명기판의 수분에 의한 오작동 및 고장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과정에서 고장난 LED 조명기판의 교체 및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LED 조명기판를 교체하는 경우 LED 조명기판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품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수리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신호등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다른 목적이 매립본체의 길이를 조명유니트 길이의 배수의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매립본체에 다수의 조명유니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바닥신호등의 전체 길이를 일정 범위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조립 및 시공상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바닥신호등을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신호등은 내부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조명유니트 삽입공간이 마련되고, 하부 중앙에 하부에 케이블 통로가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압출성형품의 조명유니트 삽입공간에 하나 이상의 조명유니트 조립구멍이 후가공으로 형성되는 매립본체; 매립본체의 조명유니트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동시에 매립본체의 각 조명유니트 조립구멍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명유니트; 매립본체의 양측에 설치되는 마감판; 매립본체의 두 개이상의 조명유니트 조립구멍가 형성되는 경우에 조명유니트 삽입공간의 한 쌍의 조명유니트 조립구멍 사이마다에 설치되는 중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신호등의 조명유니트는 사방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의 함 형태로, 하단 중앙에 매립본체의 조명유니트 조립구멍에 삽입 결합되는 케이블 수용부가 돌출 형성된 하부베이스; 하부베이스의 내부 하단에 삽입 설치되는 LED 조명기판; 하부베이스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투명 합성수지재질의 상부조명판; 하부베이스와 상부조명판 사이에 설치되는 씰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신호등은 하부베이스의 내부 하단 외측 둘레에 결합돌출부가 마련되고, 상부조명판의 하단에 하부베이스에 삽입되는 장방형의 결합테두리가 마련되고, 결합테두리의 하단 내측에 결합단턱부가 마련되고, 씰링부재의 제1수평부의 내측에 제1수직부가 마련되고, 제1수직부의 하단 내측에 제2수평부가 마련되고, 제2수평부의 내측 상부에 제2수직부가 마련되고, 제2수직부의 상단 내측에 제3수평부가 마련되어, 제1수평부가 상부조명판의 하단면과 매립본체의 상단면 및 하부베이스의 상단면 사이, 상부조명판의 하단면과 마감판의 상단면 사이, 상부조명판의 하단면과 중간판의 상단면 사이를 밀폐하고, 제1수직부가 하부베이스의 내측면과 결합테두리의 외측면 사이를 밀폐하고, 제2수평부가 결합테두리의 하단과 하부베이스의 내부 하단 사이를 밀폐하고, 제2수직부가 결합단턱부의 내측면과 결합돌출부의 외측면 사이를 밀폐하고, 제3수평부가 결합단턱부의 내부 상단면과 결합돌출부의 상단면 사이를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신호등은 조명유니트의 상부조명판의 상단 외곽 둘레에 금속보강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신호등은 LED 조명기판의 상단부에 차광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신호등에 의하면, 횡단보도 신호등에서 제공하는 횡단신호 또는 멈춤신호를 횡단보도의 인근의 바닥면에 동시 제공할 수 있게 되므로 고개를 숙인 상태이어서 횡단보도 신호등을 미처 보지 못하는 보행자라 하더라도 보도 바닥면을 통해 횡단신호 또는 멈춤신호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어 교통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신호등에 의하면, 매립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 조명유니트의 LED 조명기판에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게 되므로 수분에 의한 LED 조명기판의 오동작이나 고장의 우려가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신호등에 의하면, 매립본체에서 각 조명유니트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므로, 각 조명유니트에 내장된 LED 조명기판에 대한 수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고, LED 조명기판을 교체하는 경우 해당 LED 조명기판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부품을 재사용할 수 있게 되어 수리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신호등에 의하면, 압출성형품인 매립본체를 일정 단위길이로 잘라서 사용하기 때문에 하나의 매립본체에 다수의 조명유니트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과 조립성이 좋게 되고, 제품 원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바닥신호등의 전체 길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시공성이 매우 좋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의 사시도,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의 매립본체와 조명유니트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조명유니트의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의 종단면도,
도 7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의 조명유니트의 분해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의 매립본체와 조명유니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의 조명유니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의 조명유니트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100)은 매립본체(110), 조명유니트(120), 마감판(210), 중간판(220)을 포함한다.
매립본체(110)는 횡단보도 인근의 바닥면에 매립 설치되는 부분으로, 내부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조명유니트 삽입공간(111)이 마련되고, 조명유니트 삽입공간(111)의 내부 하단에 적어도 한 개이상의 조명유니트 조립구멍(112)이 좌우방향으로 이격되어 마련되고, 조명유니트 조립구멍(112)의 하부에 케이블 통로(113)가 길이방향으로 마련된다.
매립본체(110)는 수평방향의 조명유니트 삽입공간(111)과 케이블 통로(113)가 동시 성형되는 합성수지 압출성형품을 일정길이로 절단하고, 일정길이로 절단된 압출성형품에 수직방향의 조명유니트 조립구멍(112)을 후가공으로 형성하여 완성된다.
조명유니트 조립구멍(112)는 조명유니트(120)의 길이단위에 맞추어 좌우방향으로 배열 형성된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114는 매립본체(110)의 내측면에 형성된 중간판 끼움홈이다.
조명유니트(120)는 지상에 설치된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하여 횡단보도 신호 조명을 제공하는 것으로, 매립본체(110)의 조명유니트 삽입공간(111)에 삽입되고, 매립본체(110)의 각 조명유니트 조립구멍(112)마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조명유니트(120)는 하부베이스(130)와 LED 조명기판(140), 상부조명판(150), 씰링부재(160)를 포함한다.
하부베이스(130)는 LED 조명기판(14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사방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의 함 형태이다.
하부베이스(130)의 하단 중앙에는 매립본체(110)의 조명유니트 조립구멍(112)에 삽입 결합되는 케이블 수용부(131)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베이스(130)의 내부 하단 외측 둘레에는 결합돌출부(132)가 마련된다.
케이블 수용부(131)에는 한 쌍의 케이블 접속소켓(133)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LED 조명기판(140)은 LED의 빛을 조사하는 것으로, 하부베이스(130)의 내부 하단에 삽입 설치된다.
LED 조명기판(140)은 기판(141)의 상부에 적색과 녹색의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LED(142)가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형태이다.
상부조명판(150)은 LED 조명기판(140)에서 조사되는 LED 빛이 조사되는 부분으로, 하부베이스(13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조명판(150)은 빛이 투과되는 투명 합성수지재질이다.
상부조명판(150)의 하단에는 하부베이스(130)에 삽입되는 장방형의 결합테두리(151)가 마련되고, 결합테두리(151)의 하단 내측에는 결합단턱부(152)가 마련된다.
씰링부재(160)는 하부베이스(130)와 상부조명판(150) 사이를 밀폐하는 부분으로, 하부베이스(130)와 상부조명판(150) 사이에 설치된다.
씰링부재(160)는 제1수평부(161)의 내측에 제1수직부(162)가 마련되고, 제1수직부(162)의 하단 내측에 제2수평부(163)가 마련되고, 제2수평부(163)의 내측 상부에 제2수직부(164)가 마련되고, 제2수직부(164)의 상단 내측에 제3수평부(165)가 마련된 형태이다.
제1수평부(161)는 상부조명판(150)의 하단면과 매립본체(110)의 상단면 및 하부베이스(130)의 상단면 사이, 상부조명판(150)의 하단면과 마감판(210)의 상단면 사이, 상부조명판(150)의 하단면과 중간판(220)의 상단면 사이를 밀폐하고, 제1수직부(162)는 하부베이스(130)의 내측면과 결합테두리(151)의 외측면 사이를 밀폐하고, 제2수평부(163)는 결합테두리(151)의 하단과 하부베이스(130)의 내부 하단 사이를 밀폐하고, 제2수직부(164)는 결합단턱부(152)의 내측면과 결합돌출부(132)의 외측면 사이를 밀폐하고, 제3수평부(165)는 결합단턱부(152)의 내부 상단면과 결합돌출부(132)의 상단면 사이를 밀폐한다.
마감판(210)은 매립본체(110)의 조명유니트 삽입공간(111)의 개방측을 밀폐하는 것으로, 매립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중간판(220)은 매립본체(110)의 두 개이상의 조명유니트(120)가 설치되는 경우에 매립본체(110) 조명유니트 삽입공간(111)의 한 쌍의 조명유니트 조립구멍(112) 사이마다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100)는 매립본체(110)의 길이를 그에 설치되는 조명유니트(120)의 개수에 따라 설정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하나의 매립본체(110)에 일정 길이단위의 조명유니트(120)을 여러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압출성형품의 매립본체(110)를 여러개의 조명유니트(120)가 설치되는 길이로 절단한 경우 조명유니트 삽입공간(111)에 설치되는 조명유니트(12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조명유니트 조립구멍(112)이 후가공으로 형성되고, 매립본체(110)의 양측에 마감판(210)이 설치되고, 조명유니트 삽입공간(111)의 각 조명유니트 조립구멍(112) 사이마다에 중간판(220)이 설치된다.
매립본체(110)가 한 개의 조명유니트(120)가 설치되는 길이를 가지는 경우에 중간판(220)은 사용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100)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매립본체(110)의 양측에 마감판(210)을 설치하고, 매립본체(110)의 조명유니트 삽입공간(111)의 각 조명유니트 조립구멍(112) 사이마다에 중간판(220)을 설치한다.
매립본체(110)에 삽입 설치되는 조명유니트(120)를 조립할 때는 하부베이스(130)의 내부 하단에 LED 조명기판(140)을 삽입하고, 체결나사를 통해 LED 조명기판(140)을 하부베이스(130)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다음에 하부베이스(130)의 상단에 씰링부재(160)와 삽입한 후 상부조명판(150)을 하부베이스(130)에 삽입하고, 하부베이스(130)의 하부로부터 다수의 제1체결나사(201)를 체결하여 하부베이스(130)의 상단에 상부조명판(150)를 고정한다.
이때 제1체결나사(201)는 하부베이스(130)와 씰링부재(160)를 관통한 후 상부조명판(150)의 결합테두리(151)에 체결된다.
다음에 각 조명유니트(120)를 매립본체(110)의 내부 상부에 마련된 해당 조명유니트 삽입공간(111)에 삽입하고 각 조명유니트(120)의 상부로부터 제2체결나사(202)를 체결하여 각 조명유니트(120)를 매립본체(110)에 고정한다.
이때 제2체결나사(202)는 상부조명판(150)의 결합테두리(151)와 씰링부재(160), 하부베이스(130)를 관통하여 매립본체(110)에 체결된다.
조명유니트(120)를 매립본체(110)의 조명유니트 삽입공간(111)에 삽입하기 전에 LED 조명기판(14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의 결선작업을 진행함은 물론이며, 이때 각 조명유니트(120)의 LED 조명기판(140)에 대한 전원공급을 병렬방식으로 하여 일 조명유니트(120)의 LED 조명기판(140)이 고장난 경우에도 다른 조명유니트(120)의 LED 조명기판(140)의 작동에는 별다른 영향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100)은 횡단보도와 인근한 보도에 설치되거나 횡단보도의 도로와 보도의 경계부위 등에 설치되고,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어 바닥면에서 횡단보도 신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100)은 하나의 매립본체(110)에 다수의 조명유니트(120)가 설치되는 형태이고, 그에 따라 바닥신호등(100)의 전체 길이를 조명유니트(120)의 단위 길이의 배수의 범위내에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게 되어 시공성이 매우 좋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100)은 횡단보도 신호등 제어기와 접속되어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된다.
즉, 횡단보도 신호등이 적색의 멈춤신호로 점등되면 각 조명유니트(120)의 LED 조명기판(140)의 적색 LED가 점등되어 각 상부조명판(150)으로 적색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바닥면에 적색의 멈춤신호를 표시하고, 횡단보도 신호등이 녹색의 횡단신호로 점등되면 각 조명유니트(120)의 LED 조명기판(140)의 녹색 LED가 점등되어 각 상부조명판(150)으로 녹색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바닥면에 녹색의 횡단신호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100)은 밀폐부재(160)를 통해 매립본체(110)와 각 조명유니트(120)의 상부조명판(150) 사이, 마감판(210)과 각 조명유니트(120)의 상부조명판(150) 사이, 중간판(220)과 각 조명유니트(120)의 상부조명판(150) 사이가 밀폐되는 동시에 각 조명유니트(120)의 상부조명판(150)과 하부베이스(130) 사이가 다중으로 밀폐되어 외부의 빗물이나 수분이 각 조명유니트(120)의 하부베이스(130) 내부로 진입할 수 없게 되고, 그에 따라 각 조명유니트(120)의 LED 조명기판(140)이 수분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게 되어 사용과정에서 각 조명유니트(120)의 LED 조명기판(140)의 오동작이나 고장 발생의 우려가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100)은 각 조명유니트(120)를 매립본체(110)의 조명유니트 삽입공간(111)에 삽입한 후 한 쌍의 제2체결나사(202)로 매립본체(110)에 견고하게 고정한 형태이므로, 사용과정에서 일 조명유니트(120)의 LED 조명기판(140)이 고장난 경우 해당 조명유니트(120)의 제2체결나사(202)를 풀게 되면 매립본체(110)에서 해당 조명유니트(120)만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매립본체(110)에서 해당 조명유니트(120)를 분리한 후 제2체결나사(201)를 풀게 되면 하부베이스(130)에서 상부조명판(150)을 분리할 수 있게 되고, 상부조명판(150)을 분리하게 되면 하부베이스(130)의 내부에서 LED 조명기판(140)을 인출하여 신속하게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LED 조명기판(140)을 교체하는 경우 해당 LED 조명기판(140)을 제외한 모든 부품을 그대로 재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수리비용 및 유지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의 종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100)은 조명유니트(120)의 상부조명판(150)의 상단 외곽 둘레에 금속보강부재(180)를 설치하고, LED 조명기판(140)의 상단부에 차광부재(190)를 설치한 형태를 가진다.
바닥신호등(100)은 그 사용과정에서 수많은 사람이 상부조명판(150)을 밟고 지나게 되므로 상부조명판(150)의 강도를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8과 같이 투명 합성수지재질의 상부조명판(150)의 상단 외곽 둘레에 스테인레스재질 등의 금속보강부재(180)를 설치하게 되면 사용과정에서 상부조명판(150)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닥신호등(100)은 사용과정에서 투명 합성수지재질의 상부조명판(150)을 통해 LED(142)의 빛이 외부로 조사되어 횡단보도 신호를 표시하지만 외부의 강한 햇빛이 상부조명판(150)을 통해 하부베이스(130)의 내부로 진입하여 LED 조명기판(140)의 상단에 작용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바닥신호등(100)과 같이 LED 조명기판(140)의 상단부에 차광부재(190)를 설치하게 되면 상부조명판(150)을 통해 하부베이스(130)의 내부로 진입한 외부의 강한 햇빛이 LED 조명기판(140)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LED 조명기판(140)의 손상 및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바닥신호등
110 : 매립본체
120 : 조명유니트
130 : 하부베이스
140 : LED 조명기판
150 : 상부조명판
160 : 씰링부재
170 : 연결부재
180 : 금속보강부재
190 : 차광부재
210 : 마감판
220 : 중간판

Claims (5)

  1. 내부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조명유니트 삽입공간(111)이 마련되고, 하부 중앙의 하부에 케이블 통로(113)가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압출성형품의 조명유니트 삽입공간(111)에 하나 이상의 조명유니트 조립구멍(112)이 후가공으로 형성되는 매립본체(110);
    매립본체(110)의 조명유니트 삽입공간(111)에 삽입되는 동시에 매립본체(110)의 각 조명유니트 조립구멍(1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조명유니트(120);
    매립본체(110)의 양측에 설치되는 마감판(210);
    매립본체(110)의 두 개이상의 조명유니트 조립구멍(112)가 형성되는 경우에 조명유니트 삽입공간(111)의 한 쌍의 조명유니트 조립구멍(112) 사이마다에 설치되는 중간판(220)을 포함하되;
    조명유니트(120)는,
    사방이 밀폐되고, 상부가 개구된 장방형의 함 형태로, 하단 중앙에 매립본체(110)의 조명유니트 조립구멍(112)에 삽입 결합되는 케이블 수용부(131)가 돌출 형성된 하부베이스(130);
    하부베이스(130)의 내부 하단에 삽입 설치되는 LED 조명기판(140);
    하부베이스(130)의 상단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투명 합성수지재질의 상부조명판(150);
    하부베이스(130)와 상부조명판(150) 사이에 설치되는 씰링부재(160);를 포함하며,
    하부베이스(130)의 내부 하단 외측 둘레에 결합돌출부(132)가 마련되고,
    상부조명판(150)의 하단에 하부베이스(130)에 삽입되는 장방형의 결합테두리(151)가 마련되고, 결합테두리(151)의 하단 내측에 결합단턱부(152)가 마련되고,
    씰링부재(160)는 제1수평부(161)의 내측에 제1수직부(162)가 마련되고, 제1수직부(162)의 하단 내측에 제2수평부(163)가 마련되고, 제2수평부(163)의 내측 상부에 제2수직부(164)가 마련되고, 제2수직부(164)의 상단 내측에 제3수평부(165)가 마련되어,
    제1수평부(161)가 상부조명판(150)의 하단면과 매립본체(110)의 상단면 및 하부베이스(130)의 상단면 사이, 상부조명판(150)의 하단면과 마감판(210)의 상단면 사이, 상부조명판(150)의 하단면과 중간판(220)의 상단면 사이를 밀폐하고, 제1수직부(162)가 하부베이스(130)의 내측면과 결합테두리(151)의 외측면 사이를 밀폐하고, 제2수평부(163)가 결합테두리(151)의 하단과 하부베이스(130)의 내부 하단 사이를 밀폐하고, 제2수직부(164)가 결합단턱부(152)의 내측면과 결합돌출부(132)의 외측면 사이를 밀폐하고, 제3수평부(165)가 결합단턱부(152)의 내부 상단면과 결합돌출부(132)의 상단면 사이를 밀폐하며,
    조명유니트(120)의 상부조명판(150)의 상단 외곽 둘레에 금속보강부재(180)가 설치되고,
    LED 조명기판(140)의 상단부에 차광부재(190)가 설치되되;
    매립본체(110)의 내측면에는 중간판 끼움홈(114)이 구비되며,
    케이블 수용부(131)에는 한 쌍의 케이블 접속소켓(133)이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LED 조명기판(140)은 기판(141)의 상부에 적색과 녹색의 빛을 조사하는 다수의 LED(142)가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형태이며,
    제1체결나사(201)는 하부베이스(130)와 씰링부재(160)를 관통한 후 상부조명판(150)의 결합테두리(151)에 체결되고,
    제2체결나사(202)는 상부조명판(150)의 결합테두리(151)와 씰링부재(160), 하부베이스(130)를 관통하여 매립본체(110)에 체결되며,
    조명유니트(120)의 LED 조명기판(140)에 대한 전원공급은 병렬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신호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31511A 2018-10-31 2018-10-31 바닥신호등 KR101992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511A KR101992920B1 (ko) 2018-10-31 2018-10-31 바닥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511A KR101992920B1 (ko) 2018-10-31 2018-10-31 바닥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920B1 true KR101992920B1 (ko) 2019-09-30

Family

ID=68098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511A KR101992920B1 (ko) 2018-10-31 2018-10-31 바닥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920B1 (ko)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809B1 (ko) * 2019-08-09 2019-10-17 굿아이텍주식회사 바닥신호등
KR102061027B1 (ko) * 2019-08-05 2020-02-17 주식회사 대교시그널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102108789B1 (ko) * 2019-12-11 2020-05-11 곽재호 시인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면발광 바닥 신호등
KR102255876B1 (ko) * 2019-11-20 2021-05-24 홍요셉 시공 편의성이 개선된 바닥 신호등 모듈
KR102274912B1 (ko) * 2021-03-03 2021-07-07 형지민 바닥형 보행신호등
KR102278415B1 (ko) * 2020-07-24 2021-07-15 임형렬 바닥형 보행 신호등
KR102305580B1 (ko) * 2021-04-06 2021-09-27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내구성 및 방습 기능이 강화된 바닥형 보행신호등
KR20210138424A (ko) 2020-05-12 2021-11-1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바닥형 교통 신호 장치
KR102334275B1 (ko) * 2021-08-30 2021-12-01 홍석우 바닥 설치형 보행 신호등
KR102348803B1 (ko) * 2021-08-24 2022-01-06 문은미 보조신호등을 갖는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KR102349528B1 (ko) * 2021-06-11 2022-01-07 문은미 보조신호등용 led기판 고정부재
KR102348793B1 (ko) * 2021-05-26 2022-01-07 문은미 신호등 연동 보조 신호장치
KR102390997B1 (ko) * 2021-09-23 2022-04-27 주식회사 코에어 바닥신호등
KR102404918B1 (ko) * 2022-02-21 2022-06-07 주식회사 오더블유엘360 면광원 도로표지병
KR102554142B1 (ko) * 2022-12-16 2023-07-12 (주)경동이앤에스 바닥 매립형 광고블록
KR102628238B1 (ko) 2023-08-14 2024-01-23 서승원 결빙방지 수단을 갖는 바닥신호등
KR102656591B1 (ko) 2023-07-26 2024-04-11 주식회사 에스비씨원 스마트폰 알림 기능을 갖는 보행자 안전용 바닥 신호등 시스템
KR102656588B1 (ko) 2023-10-06 2024-04-11 주식회사 캡쳐 가변형 레이저를 이용한 바닥용 보행 신호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066B1 (ko) * 2006-12-12 2008-04-15 김현철 횡단보도 차량정지 신호장치
KR20090085239A (ko) 2008-02-04 2009-08-07 장익식 바닥 매립형 신호등
KR20100043897A (ko) * 2008-10-21 2010-04-29 주식회사 파워웰 횡단보도 상의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470252Y1 (ko) * 2010-05-19 2013-12-05 손동찬 발광장치
KR101451622B1 (ko) * 2014-05-14 2014-10-22 주식회사 제이비퓨쳐 바(Bar)형 지중 매입등
KR101835671B1 (ko) 2017-11-10 2018-03-07 (주)경동하이테크 횡단보도용 바닥신호등
KR101852068B1 (ko) 2017-11-29 2018-04-27 주식회사 바른신호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066B1 (ko) * 2006-12-12 2008-04-15 김현철 횡단보도 차량정지 신호장치
KR20090085239A (ko) 2008-02-04 2009-08-07 장익식 바닥 매립형 신호등
KR20100043897A (ko) * 2008-10-21 2010-04-29 주식회사 파워웰 횡단보도 상의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470252Y1 (ko) * 2010-05-19 2013-12-05 손동찬 발광장치
KR101451622B1 (ko) * 2014-05-14 2014-10-22 주식회사 제이비퓨쳐 바(Bar)형 지중 매입등
KR101835671B1 (ko) 2017-11-10 2018-03-07 (주)경동하이테크 횡단보도용 바닥신호등
KR101852068B1 (ko) 2017-11-29 2018-04-27 주식회사 바른신호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1027B1 (ko) * 2019-08-05 2020-02-17 주식회사 대교시그널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102032809B1 (ko) * 2019-08-09 2019-10-17 굿아이텍주식회사 바닥신호등
KR102255876B1 (ko) * 2019-11-20 2021-05-24 홍요셉 시공 편의성이 개선된 바닥 신호등 모듈
KR102108789B1 (ko) * 2019-12-11 2020-05-11 곽재호 시인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면발광 바닥 신호등
KR20210138424A (ko) 2020-05-12 2021-11-19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바닥형 교통 신호 장치
KR102278415B1 (ko) * 2020-07-24 2021-07-15 임형렬 바닥형 보행 신호등
KR102274912B1 (ko) * 2021-03-03 2021-07-07 형지민 바닥형 보행신호등
KR102305580B1 (ko) * 2021-04-06 2021-09-27 주식회사 삼진엘앤디 내구성 및 방습 기능이 강화된 바닥형 보행신호등
KR102348793B1 (ko) * 2021-05-26 2022-01-07 문은미 신호등 연동 보조 신호장치
KR102349528B1 (ko) * 2021-06-11 2022-01-07 문은미 보조신호등용 led기판 고정부재
KR102348803B1 (ko) * 2021-08-24 2022-01-06 문은미 보조신호등을 갖는 신호등용 가로빔 조립체
KR102334275B1 (ko) * 2021-08-30 2021-12-01 홍석우 바닥 설치형 보행 신호등
KR102390997B1 (ko) * 2021-09-23 2022-04-27 주식회사 코에어 바닥신호등
KR102404918B1 (ko) * 2022-02-21 2022-06-07 주식회사 오더블유엘360 면광원 도로표지병
KR102554142B1 (ko) * 2022-12-16 2023-07-12 (주)경동이앤에스 바닥 매립형 광고블록
KR102656591B1 (ko) 2023-07-26 2024-04-11 주식회사 에스비씨원 스마트폰 알림 기능을 갖는 보행자 안전용 바닥 신호등 시스템
KR102628238B1 (ko) 2023-08-14 2024-01-23 서승원 결빙방지 수단을 갖는 바닥신호등
KR102656588B1 (ko) 2023-10-06 2024-04-11 주식회사 캡쳐 가변형 레이저를 이용한 바닥용 보행 신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920B1 (ko) 바닥신호등
KR102032809B1 (ko) 바닥신호등
KR102061027B1 (ko) 횡단보도 신호등에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101835671B1 (ko) 횡단보도용 바닥신호등
KR102108789B1 (ko) 시인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 면발광 바닥 신호등
KR101852068B1 (ko)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KR101905794B1 (ko) 횡단보도 신호등과 연동 제어되는 바닥신호등
KR102274912B1 (ko) 바닥형 보행신호등
KR101681103B1 (ko) 발광 보도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100739447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101001043B1 (ko) 횡단보도
KR102335546B1 (ko) 바닥형 보행 신호 장치
KR20230076530A (ko) 바닥 신호등
KR100813301B1 (ko) 가로등 기초 덮개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051303A (ko) 횡단보도 발광표시장치
KR100886619B1 (ko) 엘이디 신호등
KR100901165B1 (ko) 엘이디 조명용 파이프
KR20210150062A (ko) 바닥 신호등 및 그 시공방법
KR200384134Y1 (ko) 지하차도 및 터널용 표지병
KR102515370B1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160147138A (ko) 경관 구조물의 캡
KR200337550Y1 (ko) 베이스 일체형 가로등 커버
KR102106524B1 (ko) 신호등 주변에 설치되는 보도블록
KR20140094944A (ko) 태양전지식 led 도로 표지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