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000B1 -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 Google Patents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000B1
KR101992000B1 KR1020160145556A KR20160145556A KR101992000B1 KR 101992000 B1 KR101992000 B1 KR 101992000B1 KR 1020160145556 A KR1020160145556 A KR 1020160145556A KR 20160145556 A KR20160145556 A KR 20160145556A KR 101992000 B1 KR101992000 B1 KR 101992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image
electronic device
circuit
bac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9531A (ko
Inventor
서문환
Original Assignee
서문환
(주) 아인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문환, (주) 아인전자 filed Critical 서문환
Priority to KR1020160145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000B1/ko
Priority to PCT/KR2017/010227 priority patent/WO2018084433A1/ko
Publication of KR20180049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9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23Colour matching, recognition, analysis, mixture or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에 관한 것으로, 전면 표지; 배면 표지; 상기 전면 표지와 상기 배면 표지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인쇄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 상기 전면 표지, 상기 배면 표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의 연결을 위한 연결 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와 상기 배면 표지 사이에 또는 상기 배면 표지 내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눌려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접점이 형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시트; 및 상기 배면 표지의 일측에 장착되어 전자 장치가 거치되며, 상기 회로 시트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TOUCH BOARD SHAPED LIKE SKETCH BOOK}
본 발명은 터치 보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케치북 형태의 터치 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미술교재로 사용되는 스케치북은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다수의 종이가 고정 링에 의해 삽입 연결되어 있거나, 일 끝단이 접착식으로 철하여진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의 미술교재용 스케치북은 제품의 상호와 그림이 인쇄되는 겉표지와, 상기 겉표지와 동일한 크기로 일단에 나란하게 일렬로 연결 공이 형성된 용지와, 상기 용지의 연결 공에 삽입 연결되는 스프링형상의 고정 링으로 이루어져 있거나, 상기 고정링에 고정되지 않고 낱장공급이 용이하도록 고정부가 접착식으로 철하여진 구조로 된 크로스 제본방식으로 되어 있다.
한편, 최근 컴퓨터의 연산 능력이 고도화되고 유,무선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의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서 특히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이 보편화되고 있다. 이러한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은 특히 사교육의 증가에 따른 학습 기회의 불균형을 해소하며 교육 비용의 절감 차원에서 보급이 가속화되어 어린이들의 학습 및 교육에도 컴퓨터를 응용하여 학습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여러 곳에서 시도되었다.
어린이 또는 유아용 컴퓨터 응용 교육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어린이나 유아들이 음성과 그래픽이 지원되는 컴퓨터에 대해 흥미를 갖게 된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억하게 함으로써 소기의 목적을 달성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컴퓨터를 매개로 하기 때문에 컴퓨터를 능숙하게 다루지 못하는 아이들에게는 근접하기 어려운 방식이고, 부모 또는 컴퓨터에 익숙한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만 이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스마트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으나, 화면 크기의 제약과 발달기의 유아 또는 어린이가 사용하기에는 부작용이 심각하기 때문에 다양한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유아 또는 어린이가 사용하기 편리한 형태의 교육용 장치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52023호(발명의 명칭:교습용 디지털 스케치북, 공개일자: 2010년05월19일)
따라서, 본 발명은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의 일측에 전자 장치의 거치가 가능한 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부를 통해 터치 보드에 배치된 회로와 상기 전자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터치 보드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버튼 이미지가 그려진 복수의 이미지 시트들을 스케치북 형태로 연결하고,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각 이미지 시트에 대응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는, 전면 표지; 배면 표지; 상기 전면 표지와 상기 배면 표지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인쇄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 상기 전면 표지, 상기 배면 표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의 연결을 위한 연결 부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와 상기 배면 표지 사이에 또는 상기 배면 표지 내에 구비되고, 외력에 의해 눌려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접점이 형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시트; 및 상기 배면 표지의 일측에 장착되어 전자 장치가 거치되며, 상기 회로 시트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거치되는 거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부는 상기 회로 시트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장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부재는 스프링 형태의 고정 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면 표지 또는 상기 이미지 시트는 상기 배면 표지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이미지 시트의 버튼 입력을 통해 상기 회로 시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향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복수의 이미지 시트 유형들 중에서 상기 이미지 시트에 대응하는 이미지 시트 유형이 설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부는 상기 배면 표지의 상단에서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배면 표지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부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의 일측에 전자 장치의 거치가 가능한 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부를 통해 터치 보드에 배치된 회로와 상기 전자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터치 보드에 복잡한 기능을 추가하지 않더라도 연결된 전자 장치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버튼 이미지가 그려진 복수의 이미지 시트들을 스케치북 형태로 연결하고,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각 이미지 시트에 대응하는 다양한 기능을 전자 장치에서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터치 보드로 다양한 유형의 학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거치된 터치 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와 거치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의 배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의 좌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의 평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의 참고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 및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터치 보드의 연동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 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명백히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터치 보드"는 보드 형태의 다양한 유형의 학습 도구에 대해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용어로서 본 발명의 터치 보드가 특정 용도와 특정 형태의 터치 보드로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100)는 소정의 넓이를 갖는 전면 표지(110) 및 배면 표지(120)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표지(110)와 상기 배면 표지(120)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 이미지(131)가 인쇄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표지(110), 상기 배면 표지(12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130)는 소정의 연결 부재(예컨대, 스프링 형태의 고정 링(16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전면 표지(110), 상기 배면 표지(12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130)의 일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공들(121, 132, 153)이 형성될 수 있으며, 스프링 형태의 고정 링(160)을 상기 형성된 연결공(121, 132, 153)에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전면 표지(110), 상기 배면 표지(12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130)를 연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130)와 상기 배면 표지(120) 사이에 또는 상기 배면 표지(130) 내에는 외력에 의해 눌려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접점이 형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시트(1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배면 표지의 일측에는 전자 장치가 거치되며, 상기 회로 시트(150)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거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전면 표지(110)와 상기 배면 표지(120)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130)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 이미지(131)가 인쇄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이미지(131)는 사각형 또는 원형의 테두리 내에 그림, 글자,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버튼 이미지(131)는 각종 악기(예컨대, 피아노, 키보드 등) 이미지의 일부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버튼 이미지(131)는 특정 기능을 나타내는 이미지(예컨대, 재생, 되돌리기, 전원, 볼륨 높임, 볼륨 낮춤 등)일 수도 있다.
상기 이미지 시트(130)는 상기 고정 링(160)과 같은 소정의 연결 수단에 의해 터치 보드(100) 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링(160)을 제거하고 도 11a 및 도 1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상이한 이미지들로 교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배면 표지(120)의 일측(예컨대, 상단)에 전자 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면 표지(120)의 상단 중앙부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거치부(140)는 상기 배면 표지(120)의 어느 위치에도 장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치부(140)에는 전자 장치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 홈(14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140)의 일측에는 후술할 회로 시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장치 연결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연결부(142)는 다양한 유형의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규약에 따라 USB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거치된 터치 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예컨대, 스마트 폰 등)는 상기 거치부(140)의 거치 홈(141)에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200)는 상기 거치부(140)의 거치 홈(141)에 거치된 후, 다양한 유형의 케이블(예컨대, USB 케이블)을 통해 장치 연결부(14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40)에 거치된 전자 장치(200)는 상기 장치 연결부(142)를 통해 거치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거치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시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 보드(100)는 전면 표지(110), 배면 표지(1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100)의 상기 전면 표지(110) 및 배면 표지(120)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 이미지(131)가 인쇄된 이미지 시트(13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 시트(130)와 상기 배면 시트(120) 사이에는 회로 시트(1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시트(150)는 외력에 의해 눌려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접점이 형성된 회로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회로 시트(150)는 상기 이미지 시트(130)의 각 버튼 이미지(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 패턴(151)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도전 패턴(151)은 하나의 연결부(152)와 전기적으로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는 하나의 버튼 이미지(131)와 이에 대응하는 하나의 도전 패턴(151)에 대해서만 예시적으로 도면 부호를 병기하였으나, 다른 다수의 버튼 이미지와 도전 패턴들에서도 동일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회로 시트(150)는 상기 배면 표지(120)의 내에 포함되어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터치 보드(100)의 배면 표지(120)에는 거치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4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 홈(141)과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장치 연결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기 거치부(140)는 배면 표지(120)에 결합하기 위한 스페이서(143)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거치부(140)에 형성된 스페이서(143)에 상기 배면 표지(120)의 상측을 끼워 넣고 소정의 체결 수단(예컨대, 적어도 하나의 체결부(144))을 통해 체결함으로써 상기 거치부(140)를 터치 보드(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140)가 상기 터치 보드(100)에 고정될 때, 상기 거치부(1400는 상기 회로 시트(150)의 연결부(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로 시트(150)와 상기 이미지 시트(130)가 상기 터치 보드(100)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 시트(130)의 각 버튼 이미지(131)를 누르게 되면, 눌려진 해당 버튼 이미지(13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도전 패턴(151)의 접점이 연결되어 온(ON)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해당 도전 패턴(151)에서 발생된 신호는 연결부(152)를 통해 거치부(140)로 전송되고, 거치부(140)에서는 장치 연결부(142)에서 연결 케이블(400)(예컨대,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전자 장치(200)로 상기 발생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부(140)에 거치되어 상기 연결 케이블(400)을 통해 거치부(140)와 연결된 전자 장치(200)에서는 현재 터치 보드(100)상에 펼쳐진 이미지 시트(130)의 특정 버튼 이미지(131)가 눌러진 것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로 시트(150)는 이미지 시트(130)의 각 버튼 이미지(131)에 대응하는 도전 패턴(151)들 및 각 도전 패턴(151)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도전 패턴(151)은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도전 패턴(151)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접점이 연결됨으로써 해당 도전 패턴(151)에서 온 신호가 연결부(152)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52)로 전송된 온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로 시트(150)와 연결된 거치부(140)를 통해 전자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부(140)와 연결된 전자 장치(200)에서는 이미지 시트(130) 상에서의 특정 이미지 버튼(131)이 눌려진 것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회로 시트(150)를 구현하는 일 실시 예로서 눌려지는 각 버튼에 대응하여 도전 패턴들을 형성함으로써 각 키의 눌려짐을 감지하는 멤브레인 방식의 키 패드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누름을 감지할 수 있는 어떠한 다양한 방식도 본 발명의 회로 시트(15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의 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100)의 정면도이고, 도 6은 터치 보드(100)의 배면도이고, 도 7은 터치 보드(100)의 우측면도이고, 도 8은 터치 보드(100)의 좌측면도이고, 도 9는 터치 보드(100)의 저면도이고, 도 10은 터치 보드(100)의 평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보드(100)는 전면 표지(110) 및 배면 표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표지(110) 및 배면 표지(120)의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130)가 배치되며, 전자 장치(20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표지(110), 상기 배면 표지(12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130)는 소정의 연결 부재(예컨대, 스프링 형태의 고정 링(16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가 거치부(140)에 거치되고, 연결 케이블(400)을 통해 터치 보드(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의 참고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각 이미지 시트(170)는 터치 보드(100)의 배면 표지(120)에 대응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표지(120)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 표지(110)는 상기 터치 보드(100)의 배면 표지(120)에 대응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표지(120)보다 작은 면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미지 시트(170)는 터치 보드(110)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의 복수의 버튼(171)들이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시트(170)는 다양한 유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각 이미지 시트(170)에서의 이미지 버튼(171)의 위치는 회로 시트의 접점에 대응하도록 특정 위치로 설정될 수 있으나, 각 버튼에 해당하는 이미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유형에 맞게 상이하게 인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1a를 참조하면 이미지 시트(170)에는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버튼들(예컨대, 한글 모드, 영문 모드, 전원 버튼, 앞으로 전환, 뒤로 전환, 모드 설정 등)의 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시트(170)에는 학습하고자 하는 각 객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튼들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 시트(17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이미지 시트(170)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이미지 시트(170)들은 각각 상이한 유형의 이미지 시트(예컨대, 탈 것을 학습할 수 있는 이미지 시트, 우리집을 학습할 수 있는 이미지 시트, 음식을 학습할 수 있는 이미지 시트, 한글을 학습할 수 있는 이미지 시트, 영어를 학습할 수 있는 이미지 시트, 숫자를 학습할 수 있는 이미지 시트, 신체를 학습할 수 있는 이미지 시트, 그림과 관련된 게임을 할 수 있는 이미지 시트 등)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a에서 펼쳐진 이미지 시트(170)를 앞으로 넘기게 되면, 다음 새로운 이미지 시트(130)가 펼쳐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시트(130)가 변경되면, 해당 이미지 시트(130)에 인쇄된 버튼 이미지(131) 중에서 해당 이미지 시트의 유형을 설정하는 버튼 이미지(131)를 누름으로써 현재 펼쳐진 이미지 시트에 맞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치 보드 및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버스(230), 입출력 인터페이스(240), 디스플레이(250), 통신 인터페이스(260) 및 스피커(2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200)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터치 보드(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도전 패턴(151)들 및 연결부(152)를 포함하는 회로 시트(150)와 거치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40)는 회로 연결부(1230), USB 변환부(1220), USB 연결부(12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거치부(140)는 회로 연결부(1230)를 통해 상기 회로 시트(150)의 연결부(152)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회로 시트(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치 패드(100)의 이미지 시트(130)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눌려진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 특정 도전 패턴(151)이 온 상태가 되면, 연결부(152)를 통해 거치부(140)로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거치부(140)의 회로 연결부(1230)에서는 회로 시트(150)로부터 수신된 온 신호를 USB 변환부(1220)로 전송한다. USB 변환부(1220)에서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특정 도전 패턴(15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USB 통신 규약에 맞는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회로 시트(150) 상에서는 각 도전 패턴(151)과 직접 연결되어, 해당 도전 패턴(151)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거치부(140)로 전송하고, 거치부(140)에서는 전송된 신호가 특정 도전 패턴(151)에서 전송된 신호임을 판단하고, 이를 USB 통신 규약에 맞는 데이터 신호로 전송하기 위해 USB 변환부(1220)를 통해 신호 변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USB 변환부(1220)를 통해 변환된 신호는 USB 연결부(1210)와 연결된 USB 케이블(1200)을 통해 전자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터치 보드(100)의 거치부(140)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0)의 메모리(220)에 저장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예컨대, 터치 보드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영역(221)에서 실행되고, 상기 터치 보드(100)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도전 패턴(151)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 버튼(131)이 눌려진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눌려진 이미지 버튼(131)에 'ㄱ'이라는 글씨가 인쇄된 경우, 해당 이미지 버튼(131)을 누르면, 상기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서 'ㄱ'이라는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하고, 스피커(270)를 통해 '기역'이라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전자 장치(200)의 각 구성에 대한 세부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와 관련된 동작뿐만 아니라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자 장치(200)의 일반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버스(230)는, 예를 들면, 상기 구성요소들(210 내지 270)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2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20)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22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커널(224), 미들웨어(22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222),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22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널(224), 미들웨어(223), 또는 API(222)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OS))라 불릴 수 있다.
상기 커널(224)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223), API(222),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1))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230), 프로세서(210), 또는 메모리(22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224)은 상기 미들웨어(223), 상기 API(222),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1)에서 상기 전자 장치(2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223)는, 예를 들면, 상기 API(222)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1)이 상기 커널(224)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223)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1)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1)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200)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230), 프로세서(210), 또는 메모리(22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222)는, 예를 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221)이 상기 커널(224) 또는 상기 미들웨어(22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2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상기 전자 장치(2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5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5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5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260)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200)와 외부 장치(예컨대, 터치 보드(100)의 거치부(140))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26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통신 네트워크(20)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예컨대, 터치 보드(100)의 거치부(14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는,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터치 보드의 연동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를 터치 보드의 거치부에 거치하고 USB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와 거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S1302)시킬 수 있다.
상기 터치 보드의 거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에서 터치 보드와 관련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S1304)하면, 상기 실행된 터치 보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전자 장치가 터치 보드와 연결된 것을 판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터치 보드에 포함되는 이미지 시트는 다양한 유형의 이미지 시트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터치 보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해당 터치 보드에 포함된 이미지 시트들 중 현재 펼쳐진 이미지 시트가 어떤 유형의 이미지 시트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시트의 유형을 판단하여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터치 보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자동으로 판단하여 설정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터치 보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메뉴에서 수동으로 설정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터치 보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이미지 시트의 유형을 설정하는 기능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의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여 터치 보드의 이미지 시트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 시트를 분석함으로써 이미지 시트의 유형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이미지 시트의 일정 영역에 식별 가능한 이미지 코드(예컨대, QR(quick response) 코드)를 인쇄하고, 상기 터치 보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인쇄된 이미지 코드를 스캔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시트의 유형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전자 장치가 터치 보드의 거치부와 연결되고, 터치 보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거치부를 통해 특정 이미지 시트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수신함으로써 이미지 시트의 유형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이미지 시트의 유형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하도록 할 경우, 상기 실행된 터치 보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현재 터치 보드에서 펼쳐진 이미지 시트에 해당하는 유형을 선택(S1306)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지원 가능한 복수의 이미지 시트들에 대한, 대표 이미지, 텍스트, 고유 번호 등을 화면상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 시트를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시트의 유형 선택이 완료되면, 선택적으로 터치 보드에 포함된 이미지 시트에 인쇄된 각 이미지 버튼을 눌러서 터치 보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테스트(S1308)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와 터치 보드의 거치부가 정상적으로 연결되고, 터치 보드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터치 보드의 이미지 시트 내에서 특정 이미지 버튼이 눌려질 경우, 전자 장치에서는 해당 이미지 버튼에 대응하는 특정 키 입력 값을 터치 보드의 거치부를 통해 수신(S1310)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는 수신된 키 입력값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S1312)할 수 있다. 예컨대, 눌려진 이미지 버튼에 대응하는 소리 또는 음악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용어들 '시스템', '장치', '~부'는 단일 프로세싱 디바이스 또는 복수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그러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처리기, 마이크로 컴퓨터, 중앙 처리 유닛,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스테이트 머신, 로직 회로,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상기 회로 및/또는 동작 지시들의 하드 코딩에 기반하여 신호들(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을 조작하는 소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단일 메모리 디바이스,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또는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의 내장된 회로일 수 있는 결합된 메모리 및/또는 집적된 메모리 엘리먼트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메모리 디바이스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정적 메모리, 동적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캐시 메모리, 및/또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소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면,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은 집중적으로 위치될 수 있거나(즉, 유선 및/또는 무선 버스 구조를 통해 함께 직접적으로 연결된), 분산되어 위치될 수 있음(예컨대, 근거리 통신망 및/또는 광역 네트워크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을 통한 클라우드 컴퓨팅)을 주목하여야 한다. 만약,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정적 머신,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회로, 저장하는 메모리 및/또는 메모리 구성요소를 통해 하나 이상의 그 기능들을 구현한다면, 그 대응하는 동작 지시들은 상기 정적 머신,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의 내부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있을 수 있음을 더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 메모리 엘리먼트는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서 나타내는 단계들 및/또는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하드 코딩된 및/또는 동작 지시들을 실행한다는 것을 여전히 더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메모리 엘리먼트는 제조의 부품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기능들 및 그의 관계들의 성능을 나타내는 방법 단계들의 목적을 가지고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방법 단계들의 경계들 및 순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임의로 정의되었다. 상기 특정 기능들 및 관계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 및 순서들이 정의될 수 있다. 임의의 그러한 대안적인 경계들 및 순서들은 그러므로 상기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추가로, 이러한 기능적 구성 요소들의 경계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의되었다. 어떠한 중요한 기능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이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흐름도 블록들은 또한 어떠한 중요한 기능성을 나타내기 위해 여기에서 임의로 정의되었을 수 있다. 확장된 사용을 위해, 상기 흐름도 블록 경계들 및 순서는 정의되었을 수 있으며 여전히 어떠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흐름도 블록들 및 순서들 둘 다의 대안적인 정의들은 그러므로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당업자는 또한 여기에서의 상기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다른 도시된 블록들, 모듈들, 및 구성요소들이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분리된 구성요소들, 반도체 집적 회로(ASIC)들,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들 및 그와 유사한 또는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의 용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명되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 그 측면, 그 특징, 그 개념, 및/또는 그 예를 나타내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장치, 제조의 물건, 머신, 및/또는 프로세스의 물리적인 실시 예는 여기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하나 이상의 측면들, 특징들, 개념들, 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구나, 전체 도면에서, 실시 예들은 상기 동일한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들을 사용할 수 있는 상기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명명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을 통합할 수 있으며, 그와 같이, 상기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은 상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 또는 다른 것들일 수 있다.
한편, 용어 "~처리부"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설명에서 사용된다. 모듈은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들의 처리와 같은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되는 기능적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적 블록을 구현하는 하드웨어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결합하여 직접 동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모듈은 자체적으로 모듈인 하나 이상의 서브-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기능들 및 특정들의 특별한 조합들이 여기에 분명히 설명된 반면, 이러한 특징들 및 기능들의 다른 조합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한 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다른 조합들을 명백히 통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터치 보드 110 : 전면 표지
120 : 배면 표지 121 : 연결 공
130 : 이미지 시트 131 : 버튼 이미지
132 : 연결 공 140 : 거치부
141 : 거치 홈 142 : 장치 연결부
143 : 스페이서 144a: 체결부
144b : 체결부 145 : 전원 연결부
150 : 회로 시트 151 : 도전 패턴
152 : 연결부 153 : 연결 공
160 : 고정 링 170 : 이미지 시트
171 : 버튼 이미지 200 : 전자 장치
210 : 프로세서 220 : 메모리
221 : 애플리케이션 222 : API
223 : 미들웨어 224 : 커널
230 : 버스 240 : 입출력 인터페이스
250 : 디스플레이 260 : 통신 인터페이스
270 : 스피커 400 : 연결 케이블
1200 : USB 케이블 1210 : USB 연결부
1220 : USB 변환부 1230 : 회로 연결부

Claims (10)

  1. 전면 표지(110); 배면 표지(120); 및 상기 전면 표지와 상기 배면 표지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인쇄된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130); 를 포함하고,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버스(230), 입출력 인터페이스(240), 디스플레이(250), 통신 인터페이스(260) 및 스피커(270)를 포함하여 메모리(220)에 저장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전자 장치용 거치부가 장착되는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에 있어서,
    외력에 의해 눌려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접점이 형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시트(150); 및
    상기 배면 표지의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 시트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거치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 시트(150)는 도전 패턴(151)들 및 연결부(152)를 포함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130)와 상기 배면 표지(120) 사이에 또는 상기 배면 표지(120) 내에 구비되고,
    상기 거치부(140)는 USB 연결부(1210), USB 변환부(1220), 회로 연결부(1230)를 포함하고, 전자 장치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 홈(141)을 포함하여 상기 배면 표지의 상단에서 체결 수단에 의해 상기 배면 표지와 체결되어 장착되고,
    상기 거치부(140)는 배면 표지(120)에 결합하기 위한 스페이서(143)가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140)에 형성된 스페이서(143)에 상기 배면 표지(120)의 상측을 끼워 넣고 체결 수단을 통해 체결되며,
    상기 거치부(140)는 회로 연결부(1230)를 통해 상기 회로 시트(150)의 연결부(152)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회로 시트(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터치 패드(100)의 이미지 시트(130)가 눌려짐으로써 상기 눌려진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 특정 도전 패턴(151)이 온 상태가 되면, 연결부(152)를 통해 거치부(140)로 신호가 전송되며, 거치부(140)의 회로 연결부(1230)에서는 회로 시트(150)로부터 수신된 온 신호를 USB 변환부(1220)로 전송하여. USB 변환부(1220)에서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특정 도전 패턴(15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USB 통신 규약에 맞는 신호로 변환시키며, 상기 USB 변환부(1220)를 통해 변환된 신호는 USB 연결부(1210)와 연결된 USB 케이블(1200)을 통해 전자 장치(200)로 전송되어, 상기 전자 장치(200)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터치 보드(100)의 거치부(140)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회로 시트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장치 연결부;를 포함하는,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표지, 상기 배면 표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 시트의 연결을 위한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연결 부재는, 스프링 형태의 고정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표지 또는 상기 이미지 시트는,
    상기 배면 표지보다 작은 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향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복수의 이미지 시트 유형들 중에서 상기 이미지 시트에 대응하는 이미지 시트 유형이 설정 가능한,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KR1020160145556A 2016-11-03 2016-11-03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KR101992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556A KR101992000B1 (ko) 2016-11-03 2016-11-03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PCT/KR2017/010227 WO2018084433A1 (ko) 2016-11-03 2017-09-19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556A KR101992000B1 (ko) 2016-11-03 2016-11-03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531A KR20180049531A (ko) 2018-05-11
KR101992000B1 true KR101992000B1 (ko) 2019-06-21

Family

ID=62076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556A KR101992000B1 (ko) 2016-11-03 2016-11-03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92000B1 (ko)
WO (1) WO20180844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385B1 (ko) * 2022-02-07 2022-07-20 전광표 이미지 터치를 이용한 소리 재생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2871B2 (ja) * 1991-06-17 1998-03-09 株式会社セガ・エンタープライゼス 電子装置及び電子ブック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296B1 (ko) * 2008-08-20 2009-10-01 이안네트웍스 주식회사 전자 앨범
KR20100052023A (ko) 2008-11-10 2010-05-19 주식회사 네오존테크놀로지 교습용 디지털 스케치북
KR20120019347A (ko) * 2010-08-25 2012-03-06 김일희 학습 장치
KR101270474B1 (ko) * 2011-08-29 2013-06-07 종 해 김 디지털 교과서 단말기 시스템
KR101274652B1 (ko) * 2012-02-20 2013-06-28 버스텍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그리기 표시장치
KR20140133294A (ko) * 2013-05-10 2014-11-19 (주)나누미넷 스마트 단말기용 확장 모니터 크래들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2871B2 (ja) * 1991-06-17 1998-03-09 株式会社セガ・エンタープライゼス 電子装置及び電子ブ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9531A (ko) 2018-05-11
WO2018084433A1 (ko)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623B1 (ko)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US9697702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160029543A (ko) 휴대 전자기기
CN107637062A (zh) 具有可调整漫射的光源模块
EP3985955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multiple display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TW201037558A (en) Method, apparatus,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pose to device mapping
JP2015516612A (ja) 感圧キーの基準化
JP2006216542A (ja) キーディスプレイ部が結合されたキー入力装置及びそれを提供するデジタル装置
CN101779188A (zh) 用于提供用户界面的系统和方法
ES2946548T3 (es) Método para compartir escritorio y terminal móvil
US20150109210A1 (en) Control method, and input device of touch screen terminal
KR101992000B1 (ko)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US8401597B2 (en) Mobile terminal device
TWI353770B (en) Interface, circuit and method for interfacing with
CN103279285A (zh) 一种基于实景取色的主题切换方法和移动终端
WO2015014138A1 (zh) 一种显示框显示的方法、装置和设备
CN106569726A (zh) 智能终端响应装置和方法
CN108170383A (zh) 一种基于终端设备实现打印的方法和相关装置
CN109189313A (zh) 移动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095106B1 (ko) 범용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터치 보드
KR101944590B1 (ko) 이미지 시트의 교체가 가능한 공부상
RU2630290C2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экраном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которое его реализует
CN103324903A (zh) 数据保存装置及数据保存方法
CN209015125U (zh) 一种触控显示屏键盘
Lien Mobile edutainment system--National Palace Museum as an examp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