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623B1 -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623B1
KR101885623B1 KR1020160114189A KR20160114189A KR101885623B1 KR 101885623 B1 KR101885623 B1 KR 101885623B1 KR 1020160114189 A KR1020160114189 A KR 1020160114189A KR 20160114189 A KR20160114189 A KR 20160114189A KR 101885623 B1 KR101885623 B1 KR 101885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image
sheet
circuit
us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7069A (ko
Inventor
조용철
Original Assignee
(주) 아인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아인전자 filed Critical (주) 아인전자
Priority to KR1020160114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623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6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91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42Universal serial bus [US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형태와 넓이를 갖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 구성되는 공부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의 상면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인쇄된 이미지 시트; 상기 상판과 상기 이미지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외력에 의해 눌려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접점이 형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시트; 및 상기 상판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어 전자 장치가 거치되며, 상기 회로 시트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STUDY TABLE HAVING INTERFACE FOR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공부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 장치의 장착이 가능하며, 장착된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의 학습습관은 어려서부터 올바르게 꾸준히 길러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책이나 놀이를 할 때 바닥에 엎드린 상태로 하는 것이 어려서부터 습관이 되면 성장 후에도 이러한 나쁜 습관을 고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유아 또는 어린이의 올바른 학습습관을 길러주기 위한 도구로서 어린이들이 공부 또는 놀이 시에 바른 자세로 앉아서 학습 또는 놀이를 할 수 있는 유아용 또는 어린이용 공부상이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한편, 유아용 또는 어린이용 공부상의 경우 공부상의 상면에 나이가 어린 학습자의 흥미 유발을 위해 다양한 캐릭터 이미지들이 그려져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종래의 공부상은 단순히 책을 올려놓을 수 있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 다양한 학습 수단을 제공해주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27559호(발명의 명칭:찻상 겸용 공부상, 공개일자: 2010년03월11일)
따라서, 본 발명은 공부상의 일측에 전자 장치의 거치가 가능한 거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거치부를 통해 공부상에 배치된 회로와 상기 전자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공부상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부상의 상면에 다양한 버튼 이미지가 그려진 교체 가능한 이미지 시트를 부착하고, 공부상과 전자 장치와의 연결을 통해 각 이미지 시트에 대응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형태와 넓이를 갖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 구성되는 공부상에 있어서, 상기 공부상은, 상기 상판의 상면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인쇄된 이미지 시트; 상기 상판과 상기 이미지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외력에 의해 눌려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접점이 형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시트; 및 상기 상판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어 전자 장치가 거치되며, 상기 회로 시트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거치되는 거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부는, 상기 회로 시트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장치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 연결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규약에 따른 USB 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 시트는, 상기 공부상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회로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접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버튼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인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이미지 시트의 버튼 입력을 통해 상기 회로 시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향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복수의 이미지 시트 유형들 중에서 상기 공부상에 부착된 이미지 시트에 대응하는 이미지 시트 유형이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공부상의 상면 일측에서 착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치부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공부상에 회로 시트를 구비하고 공부상에 거치되는 전자 장치와 연결함으로써 공부상에 복잡한 기능을 추가하지 않더라도 연결된 전자 장치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부상의 상면에 교체 가능한 이미지 시트를 부착하고, 각 이미지 시트에 대응하는 기능을 전자 장치에서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공부상으로 다양한 유형의 학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부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부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거치된 공부상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로 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부상 및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공부상의 연동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부상의 육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i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시트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시트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 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명백히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공부상"은 다양한 유형의 테이블에 대해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용어로서 본 발명의 공부상이 공부 등과 같은 특정 용도의 테이블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다양한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하부에서 상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예컨대, 다리 부재)로 구성되는 어떠한 용도의 테이블(예컨대, 식탁, 탁자, 찻상 등)도 본 발명의 공부상에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부상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부상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부상(100)은 소정의 형태와 넓이를 갖는 상판(110) 및 상기 상판(110)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판(110)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다리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한 높이를 갖는 부재로서 상기 상판(110)을 지면에서 일정 높이만큼 이격이 되도록 하는 어떠한 수단도 본 발명의 지지 부재(12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120)는 상기 상판(110)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형태로 제조되거나, 상기 상판(110)과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120)가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형태로 구현될 경우 상기 상판(110)의 하면으로 접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상판(11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 이미지(131)가 인쇄된 이미지 시트(130)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버튼 이미지(131)는 후술하는 도 10 내지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또는 원형의 테두리 내에 그림, 글자, 숫자 또는 이들의 조합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버튼 이미지(131)는 각종 악기(예컨대, 피아노, 키보드 등) 이미지의 일부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버튼 이미지(131)는 특정 기능을 나타내는 이미지(예컨대, 재생, 되돌리기, 전원, 볼륨 높임, 볼륨 낮춤 등)일 수도 있다.
상기 이미지 시트(130)는 상기 상판(110)의 상면에 부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도 10 내지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상이한 이미지들로 교체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상판(110)의 일측에 전자 장치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10)의 상면 일측 중앙부에 장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거치부(140)는 상기 상판(110)의 어느 위치에도 장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의 부분 확대도를 더 참조하면, 상기 거치부(140)에는 전자 장치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 홈(14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140)의 일측에는 후술할 회로 시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장치 연결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치 연결부(142)는 다양한 유형의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규약에 따라 USB 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예컨대, 스마트 폰 등)는 상기 거치부(140)의 거치 홈(141)에 삽입되어 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거치부(140)의 거치 홈(141)에 거치된 후, 다양한 유형의 케이블(예컨대, USB 케이블)을 통해 장치 연결부(14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40)에 거치된 전자 장치는 상기 장치 연결부(142)를 통해 거치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거치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시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부상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부상(100)은 상판(110) 및 상기 상판(110)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12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부상(100)의 상기 상판(11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응하는 버튼 이미지(131)가 인쇄된 이미지 시트(130)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 시트(130)와 상기 상판(110) 사이에는 회로 시트(1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시트(150)는 외력에 의해 눌려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접점이 형성된 회로를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회로 시트(150)는 상기 이미지 시트(130)의 각 버튼 이미지(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 패턴(151)을 포함할 수 있다. 각 도전 패턴(151)은 하나의 연결부(152)와 전기적으로 직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도 3에서는 하나의 버튼 이미지(131)와 이에 대응하는 하나의 도전 패턴(151)에 대해서만 예시적으로 도면 부호를 병기하였으나, 다른 다수의 버튼 이미지와 도전 패턴들에서도 동일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공부상(100)의 상판(110)에는 거치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4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장치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 홈(141)과 전자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장치 연결부(14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140)는 상판(110)에 장착될 때, 상기 회로 시트(150)의 연결부(1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거치된 공부상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회로 시트(150)와 상기 이미지 시트(130)가 상기 상판(110)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이미지 시트(130)의 각 버튼 이미지(131)를 누르게 되면, 눌려진 해당 버튼 이미지(131)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도전 패턴(151)의 접점이 연결되어 온(ON)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해당 도전 패턴(151)에서 발생된 신호는 연결부(152)를 통해 거치부(140)로 전송되고, 거치부(140)에서는 장치 연결부(142)에서 연결 케이블(400)(예컨대, USB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전자 장치(200)로 상기 발생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부(140)에 거치되어 상기 연결 케이블(400)을 통해 거치부(140)와 연결된 전자 장치(200)에서는 상기 상판(110)에 부착된 이미지 시트(130)의 특정 버튼 이미지(131)가 눌러진 것을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로 시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로 시트(150)는 이미지 시트(130)의 각 버튼 이미지(131)에 대응하는 도전 패턴(151)들 및 각 도전 패턴(151)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연결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각 도전 패턴(151)은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 도전 패턴(151)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접점이 연결됨으로써 해당 도전 패턴(151)에서 온 신호가 연결부(152)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52)로 전송된 온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로 시트(150)와 연결된 거치부(140)를 통해 전자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치부(140)와 연결된 전자 장치(200)에서는 이미지 시트(130) 상에서의 특정 이미지 버튼(131)이 눌려진 것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회로 시트(150)를 구현하는 일 실시 예로서 눌려지는 각 버튼에 대응하여 도전 패턴들을 형성함으로써 각 키의 눌려짐을 감지하는 멤브레인 방식의 키 패드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누름을 감지할 수 있는 어떠한 다양한 방식도 본 발명의 회로 시트(15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거치부(6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거치부(600)는 거치 홈(610), 삽입 홈(620), 장치 연결부(630), 전원 연결부(640), 스페이서(6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6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부상(100)의 상판(110)에 장착되어 공부상(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가 상기 거치부(600)의 거치 홈(610)에 거치되고, USB 케이블 등을 통해 USB 연결부(630)와 연결되면, 공부상(100)의 상판(110)에 부착된 이미지 시트(130)에서 특정 이미지 버튼(131)이 눌려진 것을 전자 장치에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600)에서 전원 연결부(64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거치부(600)에 거치된 전자 장치에 대해 상기 거치부(60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거나 충전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용 전원을 어댑터 등을 통해 전원 연결부(640)로 연결시키면, 상용 전원이 거치부(600)로 공급될 수 있다. 거치부(600)에 거치된 전자 장치를 USB 케이블 등을 통해 USB 연결부(630)에 연결시킬 경우, 상기 거치부(600)로 공급된 상용 전원이 상기 USB 연결부(630)를 통해 전자 장치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라, 교류 전력인 상기 상용 전원은 어댑터 등에서 전자 장치로 공급 가능한 직류 전력으로 변환되거나, 상기 거치부(600)에서 변환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600)의 삽입 홈(620)은 전자 장치를 삽입하여 전자 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홈(620) 내에 전자 장치와 직접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 폰 등을 상기 삽입 홈(620) 내에 세로로 삽입시킬 경우, 스마트 폰 하단에 구비된 외부 연결부(예컨대, USB 연결부)와 상기 삽입 홈(620) 내의 커넥터가 직접 연결됨으로써 전자 장치와 거치부(6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삽입 홈(620)에는 필기구를 비롯 하여 각종 물품을 보관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거치부(600)의 일측에는 스페이서(650)를 구비하고, 공부상(100)에 올려진 문서 등을 고정시키거나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부상 및 전자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버스(230), 입출력 인터페이스(240), 디스플레이(250), 통신 인터페이스(260) 및 스피커(2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200)는, 상기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공부상(1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도전 패턴(151)들 및 연결부(152)를 포함하는 회로 시트(150)와 거치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40)는 회로 연결부(730), USB 변환부(720), USB 연결부(7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거치부(140)는 회로 연결부(730)를 통해 상기 회로 시트(150)의 연결부(152)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회로 시트(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부상(100)의 상판(110)이 눌려짐으로써 상기 눌려진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 특정 도전 패턴(151)이 온 상태가 되면, 연결부(152)를 통해 거치부(140)로 신호가 전송될 수 있다.
거치부(140)의 회로 연결부(730)에서는 회로 시트(150)로부터 수신된 온 신호를 USB 변환부(720)로 전송한다. USB 변환부(720)에서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특정 도전 패턴(15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USB 통신 규약에 맞는 신호로 변환시킬 수 있다. 예컨대, 회로 시트(150) 상에서는 각 도전 패턴(151)과 직접 연결되어, 해당 도전 패턴(151)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거치부(140)로 전송하고, 거치부(140)에서는 전송된 신호가 특정 도전 패턴(151)에서 전송된 신호임을 판단하고, 이를 USB 통신 규약에 맞는 데이터 신호로 전송하기 위해 USB 변환부(720)를 통해 신호 변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상기 USB 변환부(720)를 통해 변환된 신호는 USB 연결부(710)와 연결된 USB 케이블(700)을 통해 전자 장치(200)로 전송될 수 있다. 전자 장치(200)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공부상(100)의 거치부(140)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200)의 메모리(220)에 저장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예컨대, 공부상 애플리케이션)이 애플리케이션 영역(221)에서 실행되고, 상기 공부상(100)으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도전 패턴(151)의 위치에 해당하는 이미지 버튼(131)이 눌려진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눌려진 이미지 버튼(131)에 'ㄱ'이라는 글씨가 인쇄된 경우, 해당 이미지 버튼(131)을 누르면, 상기 전자 장치(200)에서 실행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서 'ㄱ'이라는 버튼이 눌려진 것으로 판단하고, 스피커(270)를 통해 '기역'이라는 음성이 출력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전자 장치(200)의 각 구성에 대한 세부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와 관련된 동작뿐만 아니라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전자 장치(200)의 일반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버스(230)는, 예를 들면, 상기 구성요소들(210 내지 270)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1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810)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2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20)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220)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커널(224), 미들웨어(223),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222),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22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널(224), 미들웨어(223), 또는 API(222)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체제(operating system(OS))라 불릴 수 있다.
상기 커널(224)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223), API(222),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1))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230), 프로세서(210), 또는 메모리(22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널(224)은 상기 미들웨어(223), 상기 API(222),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1)에서 상기 전자 장치(200)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미들웨어(223)는, 예를 들면, 상기 API(222)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1)이 상기 커널(224)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웨어(223)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1)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221) 중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상기 전자 장치(200)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230), 프로세서(210), 또는 메모리(22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API(222)는, 예를 들면, 상기 애플리케이션(221)이 상기 커널(224) 또는 상기 미들웨어(223)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전자 장치(20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240)는 상기 전자 장치(20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5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50)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50)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260)는,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200)와 외부 장치(예컨대, 공부상(100)의 거치부(140))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26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통신 네트워크(20)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예컨대, 공부상(100)의 거치부(14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는,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화상 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desktop personal comput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와 공부상의 연동 동작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를 공부상의 거치부에 거치하고 USB 케이블을 통해 전자 장치와 거치부를 전기적으로 연결(S802)시킬 수 있다.
상기 공부상의 거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자 장치에서 공부상과 관련된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S804)하면, 상기 실행된 공부상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전자 장치가 공부상과 연결된 것을 판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공부상에 부착되는 이미지 시트는 다양한 유형의 이미지 시트로 교체될 수 있으므로, 상기 공부상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해당 공부상에 부착된 이미지 시트가 어떤 유형의 이미지 시트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시트의 유형을 판단하여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공부상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자동으로 판단하여 설정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공부상 전용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메뉴에서 수동으로 설정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공부상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이미지 시트의 유형을 설정하는 기능이 선택되면, 전자 장치의 카메라 모듈을 구동하여 공부상의 이미지 시트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 시트를 분석함으로써 이미지 시트의 유형을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이미지 시트의 일정 영역에 식별 가능한 이미지 코드(예컨대, QR(quick response) 코드)를 인쇄하고, 상기 공부상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인쇄된 이미지 코드를 스캔하도록 함으로써 이미지 시트의 유형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전자 장치가 공부상의 거치부와 연결되고, 공부상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거치부를 통해 특정 이미지 시트에 대응하는 식별 코드를 수신함으로써 이미지 시트의 유형이 자동으로 설정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이미지 시트의 유형을 사용자가 수동으로 선택하도록 할 경우, 상기 실행된 공부상 전용 애플리케이션에서는 현재 공부상에 부착된 이미지 시트에 해당하는 유형을 선택(S806)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지원 가능한 복수의 이미지 시트들에 대한, 대표 이미지, 텍스트, 고유 번호 등을 화면상에 제공하고, 사용자가 특정 이미지 시트를 선택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시트의 유형 선택이 완료되면, 선택적으로 공부상에 부착된 이미지 시트에 포함된 각 이미지 버튼을 눌러서 공부상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테스트(S808)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와 공부상의 거치부가 정상적으로 연결되고, 공부상 전용 애플리케이션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되면, 공부상의 이미지 시트 내에서 특정 이미지 버튼이 눌려질 경우, 전자 장치에서는 해당 이미지 버튼에 대응하는 특정 키 입력 값을 공부상의 거치부를 통해 수신(S810)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서는 수신된 키 입력값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S812)할 수 있다. 예컨대, 눌려진 이미지 버튼에 대응하는 소리 또는 음악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부상의 육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부상(100)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공부상(100)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9c는 공부상(100)의 정면도이고, 도 9d는 공부상(100)의 측면도이며, 도 9e는 공부상(100)의 배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부상(100)은 상판(110) 및 지지 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판(110)의 상면에는 이미지 시트(130)가 부착되고, 전자 장치(200)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부(140)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가 거치부(140)에 거치되고, 연결 케이블(400)을 통해 공부상(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신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i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시트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i를 참조하면, 각 이미지 시트는 공부상의 상면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제작될 수 있으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의 복수의 버튼들이 인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시트는 다양한 유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각 이미지 시트에서의 이미지 버튼의 위치는 회로 시트의 접점에 대응하도록 특정 위치로 설정될 수 있으나, 각 버튼에 해당하는 이미지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유형에 맞게 상이하게 인쇄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0a를 참조하면 이미지 시트는 거치대 영역이 할당되고,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버튼들(예컨대, 한글 모드, 영문 모드, 전원 버튼, 앞으로 전환, 뒤로 전환, 모드 설정 등)의 영역이 할당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시트에는 학습하고자 하는 각 객체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튼(예컨대, 도 10a에서는 36개 버튼)들이 할당될 수 있다.
도 10b는 탈 것을 학습할 수 있는 이미지 시트이며, 도 10c는 우리집을 학습할 수 있는 이미지 시트이며, 도 10d는 음식을 학습할 수 있는 이미지 시트이며, 도 10e는 한글을 학습할 수 있는 이미지 시트이며, 도 10f는 영어를 학습할 수 있는 이미지 시트이며, 도 10g는 숫자를 학습할 수 있는 이미지 시트이며, 도 10h는 신체를 학습할 수 있는 이미지 시트이며, 도 10i는 그림과 관련된 게임을 할 수 있는 이미지 시트의 예시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시트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유형의 이미지 시트를 제작할 수 있으며, 각 학습 모드에 따른 이미지 시트를 구성하고, 하단에는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컨대, 피아노 이미지를 인쇄하고 피아노의 각 건반 키의 위치를 회로 시트의 접점에 대응하도록 특정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전자 장치와 공부상을 연결하고, 전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상태에서, 공부상의 피아노 건반을 누름으로써 전자 장치에서 해당 피아노 음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용어들 '시스템', '장치', '~부'는 단일 프로세싱 디바이스 또는 복수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그러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처리기, 마이크로 컴퓨터, 중앙 처리 유닛,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스테이트 머신, 로직 회로,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상기 회로 및/또는 동작 지시들의 하드 코딩에 기반하여 신호들(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을 조작하는 소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단일 메모리 디바이스,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또는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의 내장된 회로일 수 있는 결합된 메모리 및/또는 집적된 메모리 엘리먼트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메모리 디바이스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정적 메모리, 동적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캐시 메모리, 및/또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소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면,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은 집중적으로 위치될 수 있거나(즉, 유선 및/또는 무선 버스 구조를 통해 함께 직접적으로 연결된), 분산되어 위치될 수 있음(예컨대, 근거리 통신망 및/또는 광역 네트워크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을 통한 클라우드 컴퓨팅)을 주목하여야 한다. 만약,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정적 머신,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회로, 저장하는 메모리 및/또는 메모리 구성요소를 통해 하나 이상의 그 기능들을 구현한다면, 그 대응하는 동작 지시들은 상기 정적 머신,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의 내부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있을 수 있음을 더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 메모리 엘리먼트는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서 나타내는 단계들 및/또는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하드 코딩된 및/또는 동작 지시들을 실행한다는 것을 여전히 더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메모리 엘리먼트는 제조의 부품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 기능들 및 그의 관계들의 성능을 나타내는 방법 단계들의 목적을 가지고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방법 단계들의 경계들 및 순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임의로 정의되었다. 상기 특정 기능들 및 관계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 및 순서들이 정의될 수 있다. 임의의 그러한 대안적인 경계들 및 순서들은 그러므로 상기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추가로, 이러한 기능적 구성 요소들의 경계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의되었다. 어떠한 중요한 기능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이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흐름도 블록들은 또한 어떠한 중요한 기능성을 나타내기 위해 여기에서 임의로 정의되었을 수 있다. 확장된 사용을 위해, 상기 흐름도 블록 경계들 및 순서는 정의되었을 수 있으며 여전히 어떠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흐름도 블록들 및 순서들 둘 다의 대안적인 정의들은 그러므로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당업자는 또한 여기에서의 상기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다른 도시된 블록들, 모듈들, 및 구성요소들이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분리된 구성요소들, 반도체 집적 회로(ASIC)들,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들 및 그와 유사한 또는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의 용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명되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 그 측면, 그 특징, 그 개념, 및/또는 그 예를 나타내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장치, 제조의 물건, 머신, 및/또는 프로세스의 물리적인 실시 예는 여기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하나 이상의 측면들, 특징들, 개념들, 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구나, 전체 도면에서, 실시 예들은 상기 동일한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들을 사용할 수 있는 상기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명명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을 통합할 수 있으며, 그와 같이, 상기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은 상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 또는 다른 것들일 수 있다.
한편, 용어 "~처리부"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설명에서 사용된다. 모듈은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들의 처리와 같은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되는 기능적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적 블록을 구현하는 하드웨어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결합하여 직접 동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모듈은 자체적으로 모듈인 하나 이상의 서브-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기능들 및 특정들의 특별한 조합들이 여기에 분명히 설명된 반면, 이러한 특징들 및 기능들의 다른 조합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한 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다른 조합들을 명백히 통합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공부상 110 : 상판
120 : 지지 부재 130 : 이미지 시트
131 : 버튼 이미지 140 : 거치부
141 : 거치 홈 142 : 장치 연결부
150 : 회로 시트 151 : 도전 패턴
152 : 연결부 200 : 전자 장치
210 : 프로세서 220 : 메모리
221 : 애플리케이션 222 : API
223 : 미들웨어 224 : 커널
230 : 버스 240 : 입출력 인터페이스
250 : 디스플레이 260 : 통신 인터페이스
270 : 스피커 400 : 연결 케이블
600 : 거치부 610 : 거치 홈
620 : 삽입 홈 630 : USB 연결부
640 : 전원 연결부 650 : 스페이서
700 : USB 케이블 710 : USB 연결부
720 : USB 변환부 730 : 회로 연결부

Claims (10)

  1. 소정의 형태와 넓이를 갖는 상판 및 상기 상판의 하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 구성되고, 프로세서(210), 메모리(220), 버스(230), 입출력 인터페이스(240), 디스플레이(250), 통신 인터페이스(260) 및 스피커(270)를 포함하여 메모리(220)에 저장된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에 있어서, 상기 공부상은,
    상기 상판의 상면에 부착되고, 적어도 하나의 버튼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인쇄된 이미지 시트(130);
    상기 상판과 상기 이미지 시트 사이에 배치되고, 외력에 의해 눌려 전기 신호를 발생하는 다수의 접점이 형성된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 시트(150); 및
    상기 상판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어 전자 장치가 거치되며, 상기 회로 시트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거치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회로 시트(150)는 도전 패턴(151)들 및 연결부(152)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140)는 회로 연결부(730), USB 변환부(720), USB 연결부(710)를 포함하여,
    상기 거치부(140)는 회로 연결부(730)를 통해 상기 회로 시트(150)의 연결부(152)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회로 시트(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공부상(100)의 이미지 시트의 버튼이 눌려짐으로써 상기 눌려진 위치에 대응하여 배치된 특정 도전 패턴(151)이 온 상태가 되면, 연결부(152)를 통해 거치부(140)로 신호가 전송되며, 거치부(140)의 회로 연결부(730)에서는 회로 시트(150)로부터 수신된 온 신호를 USB 변환부(720)로 전송하여, USB 변환부(720)에서는 수신된 신호로부터 특정 도전 패턴(151)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USB 통신 규약에 맞는 신호로 변환시키며,
    상기 USB 변환부(720)를 통해 변환된 신호는 USB 연결부(710)와 연결된 USB 케이블(700)을 통해 전자 장치(200)로 전송되며, 상기 전자 장치(200)에서는 통신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공부상(100)의 거치부(140)에서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전자 장치가 거치되는 거치 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회로 시트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상기 전자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이 연결되는 장치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연결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규약에 따른 USB 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시트는,
    상기 공부상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고, 상기 회로 시트의 적어도 하나의 접점과 대응하는 위치에 버튼에 해당하는 이미지가 인쇄되는,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음향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시키는,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복수의 이미지 시트 유형들 중에서 상기 공부상에 부착된 이미지 시트에 대응하는 이미지 시트 유형이 설정 가능한,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공부상의 상면 일측에서 착탈 가능한,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용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KR1020160114189A 2016-09-06 2016-09-06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KR101885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189A KR101885623B1 (ko) 2016-09-06 2016-09-06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189A KR101885623B1 (ko) 2016-09-06 2016-09-06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069A KR20180027069A (ko) 2018-03-14
KR101885623B1 true KR101885623B1 (ko) 2018-09-10

Family

ID=61660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189A KR101885623B1 (ko) 2016-09-06 2016-09-06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6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106B1 (ko) * 2018-05-10 2020-05-22 서문환 범용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터치 보드
CN109008226B (zh) * 2018-06-27 2022-04-29 重庆交通大学 餐桌手机存放系统
CN108968381A (zh) * 2018-07-16 2018-12-11 黄冉 一种智能课桌
CN112586874B (zh) * 2019-08-09 2024-05-24 湖南科技学院 一种用于远程教育的计算机教学系统的工作方法
CN112841947A (zh) * 2021-01-20 2021-05-28 河南科技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药学用的药理学习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035Y1 (ko) * 2003-09-08 2004-01-03 이영우 음성출력 테이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721Y1 (ko) * 1997-06-28 2000-09-01 안상민 입체형 그림그리기 학습완구
KR101003299B1 (ko) 2008-09-02 2010-12-23 황예슬 찻상 겸용 공부상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035Y1 (ko) * 2003-09-08 2004-01-03 이영우 음성출력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069A (ko)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623B1 (ko)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공부상
US10276003B2 (en) Bone conduction tags
CN106462356B (zh) 用于控制多个显示器的方法和装置
CN103399764A (zh) 界面色彩设置方法、装置和终端
JP2013516695A (ja) ポータブルコンピュータ装置のためのアクセサリ
KR20160091121A (ko) 화면 구성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CN107949826A (zh) 一种消息显示方法、用户终端及图形用户接口
CN104898936B (zh) 一种翻页方法和移动设备
US20180139323A1 (en) Mobile terminal
US202002306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bration in electronic device
CN104156406A (zh) 应用程序内嵌页面显示方法及装置
RU118140U1 (ru) Персональный электронный коммуникатор
CN218484550U (zh) 按键膜及认知能力测试终端
KR101944590B1 (ko) 이미지 시트의 교체가 가능한 공부상
KR101992000B1 (ko) 스케치북형 터치 보드
CN108170383A (zh) 一种基于终端设备实现打印的方法和相关装置
US11240102B2 (en) Peripheral device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9189313A (zh) 移动装置及其控制方法
CN106155614B (zh) 一种操作信息传输方法及电子设备
KR102095106B1 (ko) 범용 전자 장치용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터치 보드
CN103324903B (zh) 数据保存装置及数据保存方法
US20190371261A1 (en) Storage medium, expansion bas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ombined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9467188B1 (en) Cell phone table
CN110362805A (zh) 一种内容排版推荐的方法、装置以及终端设备
CN109213303A (zh) 基于增强现实的图书浏览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