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998B1 -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유기발광소자 봉지층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유기발광소자 봉지층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998B1
KR101991998B1 KR1020160116809A KR20160116809A KR101991998B1 KR 101991998 B1 KR101991998 B1 KR 101991998B1 KR 1020160116809 A KR1020160116809 A KR 1020160116809A KR 20160116809 A KR20160116809 A KR 20160116809A KR 101991998 B1 KR101991998 B1 KR 101991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composition
encapsulating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865A (ko
Inventor
최미정
고성민
남성룡
이범진
이지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6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998B1/ko
Publication of KR20180028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5/541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K5/5415Silico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t least one Si—O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3Phosphinic compounds, e.g. R2=P(: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H01L51/524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바인더,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 및 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평균 입경(D50)이 0.5㎛ 이상 3.0㎛ 이하이고, 상기 바인더의 굴절률과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의 굴절률 차이가 0.08 이상 0.20 이하인,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유기발광소자 봉지층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유기발광소자 봉지층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COMPOSITION FOR ENCAPSULAT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NCAPSULATING LAYER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REPARED FROM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유기발광소자 봉지층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는 외부의 수분, 산소 등이 침투될 경우, 쉽게 손상되고 기능이 상실되어 신뢰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유기발광소자는 봉지용 조성물로 봉지되어야 한다. 유기발광표시장치는 하부 기판상에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되고, 하부 기판과 대향하는 상부 기판이 유기발광소자 상부에 형성되며, 봉지용 조성물이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 사이에 형성되어 유기발광소자를 수분, 산소의 침투로부터 억제한다.
유기발광소자는 자발광 소자이다.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나온 광은 상부 기판 또는 하부 기판을 통해 외부로 발광되게 된다. 그런데,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층과 기판의 굴절률 차이로 인하여 정면을 0°로 두었을 때 일정 각도 이상에서 전반사가 증가하게 되어 정면에서 측면으로 갈수록 광의 추출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단파장(파랑색) 광이 각도에 대한 영향이 커서 각도에 따라 색도 다르게 보이는 WAD(White Angular Dependency)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층과 기판 사이에 유기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의 추출 효율을 높이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발광층과 기판 사이에 광 확산층을 추가로 설치하여 유기발광소자의 WAD를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광 추출 효율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광 확산층을 추가로 설치해야 하고, 이들 광 확산층이 종래의 유기발광소자를 봉지함으로써 수분, 산소의 침투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것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특허출원 제2014-056287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기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의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유기발광소자를 봉지하여 수분, 산소 침투에 의한 유기발광소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도포성이 좋아서 스크린 프린팅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무-용제형으로, 경화시 아웃가스 발생을 억제하고 잔류 용매의 유기발광소자 침투를 억제하여 소자 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은 바인더,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 및 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평균 입경(D50)이 0.5㎛ 이상 3.0㎛ 이하이고, 상기 바인더의 굴절률과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의 굴절률 차이가 0.08 이상 0.2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 봉지층은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또는 본 발명의 유기발광소자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로부터의 발광의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의 봉지하여 수분, 산소 침투에 의한 유기발광소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도포성이 좋아서 스크린 프린팅 방법에 적용될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무용제형으로, 경화시 아웃가스 발생을 억제하고 잔류 용매의 유기발광소자 침투를 억제하여 소자 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는,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시 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고,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광경화성"은 광경화성 작용기로서 (메트)아크릴기를 포함함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에서 "치환"은 특별한 치환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원 발명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인식될 수 있는 통상의 치환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에서 "치환"은 해당 작용기 중 하나 이상의 수소 원자가, 중수소, 할로겐(F, Cl, Br 또는 I), C1 내지 C10의 알콕시기, C1 내지 C10의 알킬기, C6 내지 C30의 아릴기, C7 내지 C30의 아릴알킬기, 시아노기, C2 내지 C10의 카보닐기 또는 C2 내지 C30의 헤테로아릴기로 치환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은 바인더,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 및 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평균 입경(D50)이 0.5㎛ 이상 3.0㎛ 이하이고, 상기 바인더의 굴절률과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의 굴절률 차이가 0.08 이상 0.20 이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은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나온 후 굴절률 약 1.8 이상의 최상의 발광층을 통과한 광을, 특정 평균 입경(D50)을 갖는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를 통해 확산시키고 바인더와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의 굴절률 차이를 제어함으로써 WAD를 개선시키며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통상, 광의 확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봉지층의 굴절률을 높이기 위해서 굴절률 약 2.1 이상의 고굴절률 입자인 지르코니아, 티타니아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지르코니아, 티티니아를 포함하는 봉지용 조성물의 경우, 지르코니아, 티타니아가 광을 입자 내에서 전 반사시킴으로써 광의 확산을 오히려 억제하여 광의 추출 효율을 낮출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지르코니아, 티타니아보다 오히려 굴절률이 낮은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를 사용하되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의 평균 입경(D50)과 바인더와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의 굴절률 차이를 제어함으로써, 유기발광소자 봉지층의 헤이즈와 전광선 투과율을 동시에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유기발광소자 봉지에 적용시 유기발광소자와 봉지층 계면에서 전반사 대신에 난반사를 유도하고, 입자 내에서의 광의 전반사를 억제함으로써 유기발광소자의 WAD를 개선시켜 광의 추출 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음에 기초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와 바인더를 함께 포함함으로써 유기발광소자의 봉지시 수분, 산소 침투를 억제하여 유기발광소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것에 기초한 것이다.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봉지용 조성물 중 포함되어,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나오는 광을 난반사시키면서 입자 내 전반사를 억제하여, 상대적으로 굴절률이 높은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대비 광의 추출 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하기에서 상술하는 바와 같이 광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바인더 대비 굴절률이 낮아야 하므로, 메틸기 등의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가 실리콘에 연결된 폴리알킬실세스퀴옥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olymethylsilsesquioxane, PMSQ)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는 바인더 중 플루오렌계 광경화성 수지 대비 굴절률이 낮아서 광의 확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구형의 입자로서, 평균 입경(D50)이 0.5㎛ 이상 3.0㎛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유기발광소자 봉지층에 포함될 수 있고, 입자 내 전반사를 억제하여 광의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사용된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 사이즈 분포는 입도분석기(Multisizer 3)의 입경(Particle Diameter, 단위:㎛)에 따른 Volume %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평균 입경(D50)"은 상기 조건에 의한 측정에 의할 때, D50에 해당되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평균 입경(D50) 0.5㎛ 이상 3.0㎛ 이하가 됨으로써, 지르코니아, 티타니아 대비 평균 입경이 상대적으로 큼으로써,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나오는 광의 입자 내 전반사를 억제하여 광의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평균 입경(D50)이 0.5㎛ 이상 2.0㎛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봉지층에 포함될 수 있고, 입자 내 전반사를 억제하여 광의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거나 또는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1.0㎛, 바람직하게는 평균 입경(D50)이 1.0㎛일 때, "평균 입경(D10)"이 0.45㎛ 이상 1.34㎛ 이하, 바람직하게는 0.67㎛ 이상 1.12㎛ 이하가 될 수 있다.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평균 입경(D90)"이 0.75㎛ 이상 2.23㎛ 이하, 바람직하게는 1.12㎛ 이상 1.86㎛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헤이즈와 전광선 투과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상기 "평균 입경(D10)", "평균 입경(D90)"은 상기 "평균 입경(D50)"에서 서술된 방법에 의할 때, D10, D90에 해당되는 값을 의미할 수 있다.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와 바인더의 굴절률 차이(바인더의 굴절률 -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의 굴절률)는 0.08 이상 0.20 이하, 바람직하게는 0.10 이상 0.20 이하, 0.13 이상 0.20 이하, 0.15 이상 0.20 이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인더의 굴절률 대비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의 굴절률이 낮다. 상기 범위에서, 유기발광소자 봉지층의 헤이즈와 전광선 투과율을 동시에 높여,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나온 후 굴절률 약 1.8 이상의 최상의 발광층을 통과한 광의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 바인더가 굴절률이 서로 다른 2종 이상 포함되는 경우, 바인더의 전체 굴절률은 전체 바인더 중 해당 바인더의 중량비와 해당 바인더의 굴절률을 곱한 값의 총 합으로 정의된다.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굴절률이 1.5 미만,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1.5 미만, 1.0 이상 1.45 이하, 1.3 이상 1.43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유기발광소자로부터의 광의 확산 효과를 높여 광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바인더에 대한 굴절률 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 이상 30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유기발광소자 봉지에 사용시 헤이즈와 전광선 투과율을 높여 광의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해 5중량부 이상 30중량부 이하, 7중량부 이상 30중량부 이하, 10중량부 이상 30중량부 이하, 10중량부 이상 25중량부 이하, 5중량부 이상 20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유기발광소자 봉지에 사용시 헤이즈와 전광선 투과율을 동시에 높여 광의 추출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바인더는 개시제에 의해 경화되어 유기발광소자 봉지층을 형성할 수 있다. 바인더는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 대비 상기 굴절률 차이를 제공할 수 있는 바인더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바인더의 굴절률은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2.0 이하, 1.5 이상 1.7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유기발광소자 봉지층의 헤이즈와 전광선 투과율을 동시에 높여, 유기발광소자로부터 나온 후 굴절률 약 1.8 이상의 최상의 발광층을 통과한 광의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바인더는 1종 단독으로 포함될 수도 있으나, 굴절률 및/또는 구조가 전혀 다른 2종 이상이 포함될 수도 있다. 바인더가 2종 이상 포함되는 경우, 바인더의 굴절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체 바인더 중 해당 바인더의 중량비와 해당 바인더의 굴절률을 곱한 값의 총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바인더는 굴절률 1.5 이상의 고굴절률 수지를 적어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굴절률 수지는 1.5 이상 2.0 이하, 1.5 이상 1.8 이하, 1.5 이상 1.7 이하 굴절률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WAD를 개선시키며, 봉지층의 헤이즈와 전광선 투과율을 모두 높일 수 있다. 고굴절률 수지는 플루오렌계 광경화성 수지, 바이페닐계 광경화성 수지, 비스페놀계 광경화성 수지, 티오페닐계 광경화성 수지, 티오벤질계 광경화성 수지, 페닐설파이드계 광경화성 수지, 티오나프탈렌계 광경화성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플루오렌계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광의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플루오렌계 광경화성 수지는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 대비 굴절률이 높아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로부터 나온 광의 확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플루오렌계 광경화성 수지는 굴절률이 1.5 이상, 구체적으로 1.5 이상 1.8 이하, 1.5 이상 1.7 이하가 될 수 있다. 플루오렌계 광경화성 수지는 2관능 이상 바람직하게는 2관능 내지 6관능의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플루오렌계 광경화성 수지는 플루오렌 골격에 의해 고굴절률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플루오렌 골격만 포함하면 된다. 예를 들면, 플루오렌계 광경화성 수지는 하기 화학식 1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88533839-pat00001
(상기에서, m, n은 각각 1 이상의 정수, m+n은 2 내지 8의 정수이고, R,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 A,B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의 알킬렌기이다).
플루오렌계 광경화성 수지는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112016088533839-pat00002
(상기에서, m, n은 각각 1 이상의 정수, m+n은 2 내지 8의 정수이고, R,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고,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중수소, C1 내지 C10의 알콕시기, C1 내지 C10의 알킬기, C6 내지 C30의 아릴기, C7 내지 C30의 아릴알킬기 또는 C2 내지 C30의 헤테로아릴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에서, m+n은 2 내지 6의 정수일 수 있다. 플루오렌계 광경화성 수지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합성하거나 상업적으로 판매되는 상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이페닐계 광경화성 수지는 알킬렌옥시드기 함유 바이페닐계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비스페놀계 광경화성 수지는 2관능 이상의 다관능 수지로서 알킬렌옥시드기 함유 비스페놀계 광경화성 수지로서 하기 화학식 2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6088533839-pat00003
(상기에서, n, m은 각각 1 내지 4의 정수, R,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 C, D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의 알킬렌기, X는 -C(R9)(R10)-(이때, R9,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10의 아릴기이고 또는 R9, R10은 서로 연결되어 치환 또는 비치환된 C5 내지 C20의 고리를 형성한다), -SO2-, -C=C(Cl2),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의 아릴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7 내지 C20의 아릴알킬렌기이다).
바람직하게는, C, D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에틸렌기, X는 -C(R9)(R10)-(이때, R9,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5의 알킬기일 수 있다.
바인더는, 상술한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수지 단독을 포함하거나 또는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모노머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모노머는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수지를 용해시키고 적정 점도를 가져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의 도포성을 높일 수 있다.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모노머는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수지가 고상이거나 점도가 너무 높을 경우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모노머는 25℃에서 점도가 10cps 이상 1000cps 이하의 점도를 가짐으로써, 조성물의 점도를 낮추어 도포성을 높일 수 있다.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모노머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고굴절률을 가짐으로써,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수지로 형성된 봉지층의 굴절률 상쇄를 막고,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와 함께 사용시 광 추출 효율 감소를 막을 수 있다.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모노머는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수지보다는 굴절률이 낮음으로써, 과량 함유될 경우 광추출 및 WAD 개선 효과가 감소할 수 있다.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모노머는 굴절률이 1.5 이상, 바람직하게는 1.5 이상 2.0 이하, 1.5 이상 1.7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봉지층의 굴절률 상쇄를 막을 수 있다.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모노머는 단관능 또는 2관능 이상의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모노머는 방향족기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모노머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바이페닐계 광경화성 모노머, 비스페놀계 광경화성 모노머, 티오페닐계 광경화성 모노머, 티오벤질계 광경화성 모노머, 페닐설파이드계 광경화성 모노머, 티오나프탈렌계 광경화성 모노머, 알킬 디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모노머는 방향족기와 알킬렌옥사이드기(예: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렌옥사이드기)를 함유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본 발명의 효과가 더 좋을 수 있다. 바이페닐계 광경화성 모노머는 단관능 모노머로서, 굴절률도 높이고 조성물의 점도도 낮출 수 있다. 바이페닐계 광경화성 모노머는 알킬렌옥시드기 함유 바이페닐계 광경화성 모노머이다.
일 구체예에서, 바인더는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수지 단독을 포함하거나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수지와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모노머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수지는 상기 혼합물 중 총합 100중량% 기준으로, 30중량% 이상 100중량% 미만일 수 있다. 또한, 30중량% 이상 90중량% 이하, 30중량% 이상 80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추출 및 WAD 개선 효과를 저하하지 않으면서 고굴절률의 광경화성 수지 단독으로는 구현하기 힘든 도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바인더는 굴절률 1.5 미만, 바람직하게는 굴절률 0.1 이상 1.499 이하의 저굴절률의 광경화성 수지, 광경화성 모노머 중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바인더는 방향족기가 없는 비-방향족계 광경화성 수지, 방향족기가 없는 비-방향족계 광경화성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저굴절률의 광경화성 수지, 광경화성 모노머 중 1종 이상은 바인더 전체 중 0중량% 이상 10%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바인더의 굴절률에 영향을 주지 않고 조성물의 도포성을 높일 수 있다.
개시제는 바인더를 경화시키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광경화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포스핀 옥시드계, 벤조인계, 히드록시 케톤계, 아미노케톤계 또는 포스핀 옥시드계 광개시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 벤조인, 벤조인 메틸에테르, 벤조인 에틸에테르, 벤조인 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 n-부틸에테르, 벤조인 이소부틸에테르,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 아세토페논, 2,2'-디부톡시 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 프로피오페논, p-t-부틸 트리클로로 아세토페논, p-t-부틸 디클로로 아세토페논, 4-클로로 아세토페논, 2,2'-디클로로-4-페녹시 아세토페논, 등의 아세토페논 화합물, 디메틸아니노 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 아미노-1-(4-모폴리노 페닐)-부탄-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포리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벤조페논, p-페닐벤조페논, 4,4논시디에틸아미노벤조페논, 디클로로벤조페논, 2-메틸안트라퀴논, 2-에틸안트라퀴논, 2-t-부틸안트라퀴논, 2-아미노안트라퀴논, 2-메틸티오잔톤(thioxanthone), 2-에틸티오잔톤, 2-클로로티오잔톤, 2,4-디메틸티오잔톤, 2,4-디에틸티오잔톤, 벤질디메틸케탈, 아세토페논 디메틸케탈, p-디메틸아미노 안식향산 에스테르, 올리고[2-히드록시-2-메틸-1-[4-(1-메틸비닐)페닐]프로판논] 등을 들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중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개시제는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시드 등의 포스핀 옥시드계 개시제를 사용함으로써, OLED 발광층에 데미지를 주지 않으면서 봉지층을 경화할 수 있는 장파장 영역의 UV로 효과적으로 경화할 수 있는 효과가 더 있을 수 있다.
개시제는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하여 0.1중량부 이상 1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중량부 이상 10중량부 이하, 2중량부 이상 7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점도가 높은 봉지용 조성물이 충분히 경화될 수 있고, 잔량의 개시제로 인하여 봉지층의 광투과도가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봉지용 조성물은 용제가 없는 무 용제형의 봉지용 조성물로서, 용제를 포함하는 종래의 조성물 대비 아웃가스 발생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고, 잔류 용제의 유기발광소자 침투로 인한 소자 성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봉지용 조성물은 열안정제, 레벨링제, 디포머(deformer), 안료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봉지용 조성물 중 0중량% 이상 1중량%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지용 조성물은 경화 후 파장 400nm 내지 700nm에서 헤이즈가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99% 이하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지용 조성물은 경화 후 파장 400nm 내지 700nm에서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99%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유기발광소자로부터의 발광의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지용 조성물은 경화 후 굴절률이 1.7 이하, 바람직하게는 1.3 이상 1.7 이하, 1.4 이상 1.6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OLED의 성능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지용 조성물은 경화 후 수분투과도(WVTR)가 0.001 g/m2ㆍday 이상 10 g/m2ㆍday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1 g/m2ㆍday 이상 5 g/m2ㆍday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OLED의 성능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지용 조성물은 경화 후 두께 3㎛ 이상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상 20㎛ 이하, 5㎛ 이상 15㎛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유기발광소자의 봉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고, 갭(gap)에 따라 봉지층의 두께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여러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봉지용 조성물은 광경화성 봉지층으로서,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기판과 기판 사이에 충진된 후 경화됨으로써 유기발광장치의 봉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표시장치는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로 형성된 봉지층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유기발광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장치(100)는 제1기판(110); 상기 제1기판(110)과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기판(120); 상기 제1기판(110) 상부에 형성된 유기발광소자(D); 상기 유기발광소자(D)를 덮고 상기 제1기판(110)과 제2기판(120) 사이에 형성된 봉지층(170)을 포함하고 봉지층(17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기판(110)은 투명성이 있는 기판이 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제1기판은 플렉시블(flexible) 기판 또는 비 플렉시블(non flexible) 기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기판은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이 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재료는 절연성 유기물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실리콘계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아크릴레이트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페닐술파이드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D)는 상기 제1기판(110) 상부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D)는 유기발광층 등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각 유기발광층에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유기발광소자의 구동을 박막 트랜지스터로 제어하는지 여부에 따라 수동 구동형과 능동 구동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발광장치는 수동 구동형과 능동 구동형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제2기판(120)은 상기 제1기판(110)과 대향하고 상기 유기발광소자(D)를 접촉 또는 비접촉 방식으로 덮을 수 있다. 제2기판(120)은 제1기판(110)과 동일하거나 또는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제2기판(120)은 유리 기판이 될 수 있다.
상기 유기발광장치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봉지용 조성물을 이형 필름 위에 코팅하고 건조시켜 접착 필름을 제조한다. 기판 위에 접착 필름을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적층하고, 유기발광소자가 형성된 또 다른 기판을 상기 접착 필름과 유기발광소자가 접촉하도록 합지한다. 그런 다음, 열경화 또는 광경화시킴으로써 유기발광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유기발광장치는 통상의 유기발광장치에 포함되는 통상의 요소, 예를 들면 제1기판의 평활성을 개선하고 불순 원소의 침투를 차단하기 위한 버퍼층, 유기발광소자의 유기막, 밀봉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장치는 실링막(1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하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성분의 구체적인 사양은 다음과 같다.
(A)바인더:
(A1) 바인더 혼합물: 플루오렌계 디아크릴레이트 수지(BPF-022(한농화성, 굴절률:1.60))와 에틸렌옥사이드기 함유 바이페닐계의 모노아크릴레이트(MIRAMER M1142(미원스페셜티케미칼, 굴절률 1.576)의 80중량%:20중량%의 혼합물.
(a1)CN996(SATOMER, 굴절률 : 1.49) 알리파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B)광확산 입자
(B1)SL-050M(롯데첨단소재):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평균 입경(D50):0.5㎛, 굴절률: 1.42
(B2)SL-100M(롯데첨단소재):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평균 입경(D50):1.0㎛, 굴절률: 1.42
(B3)SL-200M(롯데첨단소재):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평균 입경(D50):2.0㎛, 굴절률: 1.42
(B4)SL-300M(롯데첨단소재):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평균 입경(D50):3.0㎛, 굴절률: 1.42
(b1)SL-030M(롯데첨단소재):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평균 입경(D50):0.3㎛, 굴절률: 1.42
(b2)SL-500M(롯데첨단소재):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평균 입경(D50):5.0㎛, 굴절률: 1.42
(b3)TiONA ACTIV G5(CRISTAL): 티타니아(TiO2) 입자, 입경:5nm 내지 10nm, 굴절률:2.6
(b4)EPRUI-R30(EPRUI): 지르코니아(ZrO2) 입자, 입경:20nm 내지 30nm, 굴절률:2.1
(C)개시제: BAPO
실시예 1
용제 없이, 바인더 (A1) 100중량부에, 광확산 입자 (B1) 10중량부, 개시제 (C) 3중량부를 혼합하고, 교반하여,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25℃에서 점도:6000cps)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바인더, 광확산 입자, 개시제의 종류 및 함량을 하기 표 1(단위:중량부)과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실시예 1에서 바인더 수지, 광확산 입자, 개시제의 종류 및 함량을 하기 표 1(단위:중량부)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참조예 1과 참조예 2
실시예 1에서 광확산 입자의 종류를 하기 표 1(단위:중량부)와 같이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에 대해 하기 표 1의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1)과 (2):헤이즈와 전광선 투과율: ASTM D1003에 따라 실시예와 비교예의 조성물을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코팅 후 UV 경화시켜 얻은 두께 10㎛의 시편에 대해, ASTM D1003 규정에 의거하여 NDH5000W(Nippon Denshoku社)로 측정하였다.
(3)색변화율: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코팅 후 UV 경화시켜 얻은 두께 10㎛의 시편을, OLED 패널에 부착하였다. OLED 패널의 정면을 0°, 정면을 기준으로 좌우 끝을 각각 90°로 하고, 측정기기 EZcontrast(Eldim社)로 패널의 정면을 기준으로 0°에서 60°까지 1° 간격으로 측정하여 스펙트럼(색좌표 u'v')을 얻었다. 0°에서의 값과 0°에서 60°까지 1° 간격 단위에서의 값의 각각의 차이를 색 변화율로 계산하였다. 0°에서 60°까지 중 색 변화율이 높은 값을 △u'v'의 max값으로 취하였다. 색 변화율이 낮을수록 광 추출 효율이 높음을 의미한다.
(4)WVTR(투습도): 투습도 측정기(PERMATRAN-W 3/33, MOCON사)를 이용한다. Al 샘플 홀더(sample holder)위에 광경화 조성물을 스크린 프린팅으로 도포하고 100mW/cm2으로 10초 동안 조사하여 UV 경화시켜 도막 두께 5㎛의 경화된 시편을 형성한다. 도막 두께 5㎛에 대해 투습도 측정기(PERMATRAN-W 3/33, MOCON사)를 이용하고, 37.8℃ 및 100% 상대 습도 조건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투습도를 측정한다.
Figure 112016088533839-pat00004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은 헤이즈와 전광선 투과율 모두 높아서 광 추출 효율이 높고, 유기발광소자 봉지시에 유기발광소자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었다.
반면에,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을 벗어나는 비교예 1 내지 3은 헤이즈가 낮고 상대적으로 색변화율이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WAD 개선 효과가 실시예에 비해 우수하지 못함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대신에 티타니아,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참조예 1과 참조예 2는 헤이즈와 전광선 투과율이 모두 낮아 상대적으로 색변화율이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WAD 개선 효과가 실시예에 비해 우수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4)

  1. 바인더,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 및 개시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평균 입경(D50)이 0.5㎛ 이상 3.0㎛ 이하이고,
    상기 바인더의 굴절률과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의 굴절률 차이가 0.08 이상 0.20 이하인,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굴절률이 1.0 이상 1.5 미만인,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세스퀴옥산 입자는 상기 바인더 100중량부에 대해 1중량부 이상 30중량부 이하로 포함되는,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플루오렌계 광경화성 수지, 바이페닐계 광경화성 수지, 비스페놀계 광경화성 수지, 티오페닐계 광경화성 수지, 티오벤질계 광경화성 수지, 페닐설파이드계 광경화성 수지, 티오나프탈렌계 광경화성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굴절률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플루오렌계 광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바이페닐계 광경화성 모노머, 비스페놀계 광경화성 모노머, 티오페닐계 광경화성 모노머, 티오벤질계 광경화성 모노머, 페닐설파이드계 광경화성 모노머, 티오나프탈렌계 광경화성 모노머, 알킬 디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고굴절률 광경화성 모노머를 더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굴절률 광경화성 모노머는 알킬렌옥시드기를 함유하는,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는 상기 고굴절률 광경화성 수지와 상기 고굴절률 광경화성 모노머의 혼합물 중 상기 고굴절률 광경화성 수지를 30중량% 이상 100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포스핀 옥시드계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은 무용제형인,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은 경화 후 파장 400nm 내지 700nm에서 헤이즈가 80% 이상, 전광선 투과율이 80% 이상인,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로 형성된 유기발광소자 봉지층.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로 형성된 유기발광소자 봉지층을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KR1020160116809A 2016-09-09 2016-09-09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유기발광소자 봉지층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KR101991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809A KR101991998B1 (ko) 2016-09-09 2016-09-09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유기발광소자 봉지층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809A KR101991998B1 (ko) 2016-09-09 2016-09-09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유기발광소자 봉지층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865A KR20180028865A (ko) 2018-03-19
KR101991998B1 true KR101991998B1 (ko) 2019-06-21

Family

ID=61911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809A KR101991998B1 (ko) 2016-09-09 2016-09-09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유기발광소자 봉지층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99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0980A (ja) 2006-11-15 2008-05-29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封止樹脂組成物及び発光素子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49927B2 (en) * 2011-10-18 2016-05-24 Nitto Denko Corporation Encapsulating sheet and optical semiconductor element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20980A (ja) 2006-11-15 2008-05-29 Sony Chemical & Information Device Corp 封止樹脂組成物及び発光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865A (ko) 201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3505B2 (ja) 無機微粒子分散体の製造方法、無機微粒子分散体、塗膜、および積層体
KR20160013402A (ko) 하드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US20150349296A1 (en) Optical-Member Adhesive Composition, Optical-Member Adhesive Layer, and Surface Light Source Device
US20190382658A1 (en) Quantum dot compositions and quantum dot articles
US9430071B2 (en) Resin composition, and transparent membrane for touch panel sensors and touch panel using same
CN107075324A (zh) 显示器窗膜以及包含其的显示装置
CN105404094A (zh) 硬化性组合物、硬化膜及其制造方法、触摸屏及显示装置
JP2009024117A (ja) 硬化性樹脂材料−微粒子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光学材料、並びに発光装置
JPWO2016017781A1 (ja) 有機el発光装置
WO2014208429A1 (ja) 光学積層体及び面光源装置
KR101514657B1 (ko) 유-무기 하이브리드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광학 부재 및 광학 장치
WO2014083845A1 (ja) 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3)
EP2722365B1 (en) Composition having high refraction
KR20140127675A (ko) 광학 적층체
KR101991998B1 (ko)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유기발광소자 봉지층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KR102027567B1 (ko) 기능성 광학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1487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22300B1 (ko) 유기발광소자 봉지용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유기발광소자 봉지층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표시장치
KR102206859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용 오버코트층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
TW201900736A (zh) 光學透明樹脂與電子元件
KR20220032916A (ko) 적층체, 상기 적층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적층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CN108807700B (zh) 透明显示膜
TWI760112B (zh) 黏著劑組成物、黏著膜、黏著光學過濾器以及顯示裝置
KR102581152B1 (ko) 폴더블 스마트폰용 고굴절, 고굴곡 및 저점도 특성 코팅조성물 및 이에 의해 코팅된 코팅층을 포함하는 윈도우부재
KR20190099759A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발광체 코팅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