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951B1 - Heat transferring member - Google Patents

Heat transferring me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951B1
KR101991951B1 KR1020180003600A KR20180003600A KR101991951B1 KR 101991951 B1 KR101991951 B1 KR 101991951B1 KR 1020180003600 A KR1020180003600 A KR 1020180003600A KR 20180003600 A KR20180003600 A KR 20180003600A KR 101991951 B1 KR101991951 B1 KR 10199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element
hole
core
sensitive adhesive
heat co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6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기
이승진
김성훈
이현일
김진산
조성호
정병선
Original Assignee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인셋 주식회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9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01L35/0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L35/3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2Coo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6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organic com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heat conducting member capable of exerting an efficient and reliable heat conducting function with a simple structure comprising: a body structure having an elastic core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upper and lower surfaces in a thickness direction thereof, and an adhesive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re;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In the adhesive, at least a part of a portion corresponding to an edge of a lower inlet of the through hole protrudes inwardly of the through hole to form a fixing projection to support a bottom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maintain adhesion.

Description

열 전도 부재{Heat transferring member}[0001] Heat transferring member [0002]

본 발명은 열 전도 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conducting member.

휴대전화를 비롯한 전자통신기기가 고사양화되고 고기능화됨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처리속도도 증가하면서 전자파 및 발열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As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mobile phones become more sophisticated and highly functional, the processing speed of microprocessors also increases, and electromagnetic waves and heat generation are becoming a big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서 통상 방열유닛을 사용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for example, a heat dissipating unit is usually used to rapidly discharg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microprocessor to the outside.

방열 유닛은, 가령 냉각을 위한 케이스와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전자부품 사이에 개재되어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회로기판 위에 장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발열 소스 위에 유연성과 일부 탄성을 갖는 열전소자(Thermal Interface Materials, TIM)의 한 면을 부착하고 다른 면을 케이스에 부착하여 발열 소스에서 발생한 열을 열전소자를 통하여 케이스에 전달하여 케이스에서 열 냉각 및 열 분산된다.The heat dissipation unit is used interposed between a case for cooling and an electronic component mounted on a circuit board. For example, a heat dissipation unit, such as a microprocess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Materials, TIM) are attached and the other side is attached to the case, and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source is transmitted to the case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so that the case is thermally cooled and thermally dispersed.

본 출원인에 의한 국내 등록특허 제0820902호는, 일정 체적을 갖는 열 전도성 탄성체; 상기 열 전도성 탄성체의 외부를 감싸며 경화에 의해 접착되는 열 전도성 탄성점착제; 및 상기 열 전도성 탄성점착제 외부를 감싸며 상기 경화에 의해 상기 열 전도성 탄성점착제에 접착되고 이면에 금속 박이 접합된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는 다층 열 전도성 패드를 개시한다.Korean Patent No. 0820902 by the present applicant discloses a thermally conductive elastomer having a constant volume; A thermally conductive elastic adhesive which surrounds the thermally conductive elastomer and is adhered by curing; And a polymer film which surrounds the outsid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elastic adhesive and is adhered to the thermally conductive elastic adhesive by the curing and has a metal foil bonded on its back surface.

또한, 국내 특허등록 제1228603호는, 내부탄성체인 스펀지; 상기 스펀지 외면에 형성되며, 각 기재필름에 내재된 그라파이트층을 포함하는 열전도층; 및 상기 스펀지와 상기 열전도층을 고정시키는 점·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층은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양면에 부착된 각 기재필름 또는 상기 그라파이트층의 외면에 부착된 기재필름이 그라파이트보다 넓게 형성되어 각 기재필름이 직접 합지되어 외부로 상기 그라파이트층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파이트 밀폐형 열전도성 탄성 가스켓를 개시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228603 discloses a sponge which is an inner elastic body; A thermally conductive layer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ponge and including a graphite layer contained in each base film; Wherein the thermally conductive layer is formed such that a substrate film adhered to both surfaces of the graphite layer or a substrate film adher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graphite layer is formed wider than graphite, And the respective base films are directly laminated so that the graphite layer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의 특허에 의하면, 열 전도성 탄성체나 스펀지를 각각 폴리머 필름이나 기재필름이 감싸고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들에 의해 탄성체나 스펀지의 탄성이 제한되어 충분히 탄성을 이용하지 못하고, 탄성체나 스펀지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될 때 이를 충분히 감싸지 못하거나 감싸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patent, since the polymer film or the base film surrounds the thermally conductive elastomer and the sponge, respectivel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body and the sponge is limited, and the elasticity and the sponge can not be sufficiently utiliz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o wrap or wrap it.

또한, 탄성체나 스폰지 위에 폴리머 필름이나 기재필름에 각각 금속층이나 그라파이트층이 형성되어 있어, 완제품의 수직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의해 반복적으로 눌리는 경우와 많이 눌리는 경우 측면에서 탄성이 없는 금속층이나 그라파이트층이 찌그러지거나 깨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when a metal layer or a graphite layer is formed on a polymer film or a base film on an elastic body or a sponge, the metal layer or the graphite layer having no elasticity on the side when repeatedly pressed by the force appli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inished produc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crushed or broken.

또한, 폴리머 필름이나 기재필름은 복원이 안 되는 재료로 외부 눌림에 의해 쉽게 변형된다는 단점이 있다.Further, the polymer film or the base film is a material which can not be restored, and is easily deformed by external pressing.

또한, 전기 신호에 의해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을 구비한 이어폰 등에 적용될 때, 표면이 매끄럽고 기계적 강도가 높은 폴리머 필름이나 기재필름이 발열 소스 또는 냉각 대상물과 직접 접촉하면 반복되는 미세 진동의 의해 미끄러지거나 움직이기 쉬워 음향 잡음을 제공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polymer film or the base film having a smooth surface and high mechanical strength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 source or the object to be cooled, when the base film is applied to an earphone or the like having a voice coil vibrating by an electrical signal,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easy to provide acoustic noise.

또한, 일본 덱세리얼스사(Dexerials Corp)의 국내 특허등록 제1715988호는, 폴리머; 이방성 열전도성 필러 및; 충전제를 함유하는 열전도성 조성물을 압출기로 압출하고, 이방성 열전도성 필러가 압출방향을 따라 배향된 압출 성형물을 성형하는 압출공정과, 상기 압출성형물을 경화시켜 경화물로 하는 경화공정과, 상기 경화물을 초음파 커터를 사용하여 상기 압출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로 절단하는 절단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열전도성 시트의 제조방법 및 열전도성 시트를 개시한다.Also,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715988 of Dexerials Corp. of Japan, An anisotropic thermally conductive filler; An extruding step of extruding a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ion containing a filler by an extruder and molding an extrudate in which an anisotropic thermally conductive filler is oriented along an extrusion direction, a curing step of curing the extrudate to obtain a cured product, Is cut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rusion direction by using an ultrasonic cutter, and a thermally conductive sheet is disclosed.

상기의 특허에 의한 열전도성 시트는 기공이 형성되지 않아 탄성 및 복원력이 부족하고, 열전도율을 높게 하기 위해 폴리머에 필러를 많이 혼합하기 때문에 자기 점착력이 작고, 또한 압출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므로 경제성 있게 연속으로 제조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ccording to the above patent has insufficient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due to the lack of pores and mixes a large amount of filler in the polymer in order to increase the thermal conductivity. Therefore, the self-adhesive force is small and the sheet is cut perpendicularly to the extrusion direction. So that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produce the product.

또한, 필러는 직경에 비해 길이가 상당히 길기 때문에 절단된 단면에는 필러가 외부로 노출되어 열전도성 시트의 표면이 거칠고 필러가 카본 파이버이므로 미끄럽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ler has a considerably long length compared to the diameter, the filler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the cut end, and the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is rough and the filler is slippery because it is carbon fiber.

또한, 비교적 기계적 강도가 좋지 못하여 제조, 운반 및 가공하는 동안에 손상되기 쉬워 취급 및 가공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handle and process because it is easily damaged during manufacture, transportation and processing due to its relatively low mechanical strength.

또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하면, 탄성이 있는 실리콘 고무에 알루미나 같은 열전도성 파우더를 고루 혼합 및 캐스팅하고 경화한 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여 제조한 전기절연의 열전도성 시트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is an electrically insulating thermally conductive sheet prepared by uniformly mixing, casting and curing a thermally conductive powder such as alumina on an elastic silicone rubber and then cutting it to a predetermined length.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열전도성 시트는 기공이 없어 탄성 및 복원력이 부족하며 탄성 작동거리가 작다는 단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technique,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has a disadvantage that it lacks pores and lacks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and has a small elastic working distance.

또한, 적은 힘으로도 대상물과 접촉이 용이하도록 열전도성 시트의 경도를 낮춘 경우, 열전도성 시트의 기계적 강도가 약하여 제조, 운반 및 가공하는 동안에 손상되기 쉬워 취급 및 가공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hardness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is lowered so that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is easily contacted with the object even with a small force,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has a low mechanical strength and is liable to be damaged during manufacture, transportation and process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열전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that can exhibit an efficient, reliable and efficient heat conduction function with a simple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과 복원력이 좋으며 열전도 기능도 좋은 일체화 된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heat conduction member having good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and having a good heat conduction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계적 강도가 좋고 경도가 낮으면서 작동 거리가 긴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having good mechanical strength, low hardness, and long working dista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체적으로 누르는 힘이 적게 들며 복원력과 열전도 기능이 좋은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having a reduced pressing force as a whole and having a restoring force and a heat conduction fun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체인 코어 고유의 탄성과 복원력을 발휘하기 용이하고 열전소자의 복원율을 향상시키는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which is easy to exert the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inherent to the core, which is an elastic body, and which improves the restoration ratio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끄럽고 마찰 계수가 큰 표면을 구비하여 접촉된 대상물과의 열전달을 최대화하면서 진동 또는 마찰에 의한 노이즈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having a smooth and large frictional coefficient surface to minimize noise or movement due to vibration or friction while maximizing heat transfer with a contacted obje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는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capable of reliably absorbing vibration and impact transmitted from an objec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부품으로부터 발생한 열을 최단 거리로 금속 케이스로 신뢰성 있게 전달할 수 있는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capable of reliably transferring heat generated from an electronic component to a metal case at a shortest dista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시 정밀한 치수의 제공이 용이한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which is easy to provide precise dimensions in manufactur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ng member capable of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시 정밀한 치수의 제공이 용이한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which is easy to manufacture and which can easily provide precise dimensions at the time of manufa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체로 되어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한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made of a single body that is easy to mount and detach.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대향하는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 방향으로 열 전달을 하는 열 전도 부재로, 두께 방향으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코어와 상기 코어의 하면에 적층된 점착제를 구비한 몸체; 및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져 결합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하부 입구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구멍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열전소자의 하면을 지지하고 점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 condu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opposed objects, the heat conduction member vertically transferring heat, comprising: an elastic core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 a thickness direction; A body having an adhesive;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sandwiched a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wherein at least a part of a portion of the adhesive corresponding to an edge of a lower inlet of the through hole protrudes inward of the through hole to form a hook,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 conductive member is held and adhesive is maintain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대향하는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 방향으로 열 전달을 하는 열 전도 부재로, 두께 방향으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코어, 상기 코어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점착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하면에 적층된 점착제를 구비한 몸체; 및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져 결합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하부 입구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구멍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열전소자의 하면을 지지하고 점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 condu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opposed objects, the heat conduction member vertically transferring heat, the through-hole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body having an adhesive support and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mina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sandwiched an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wherein at least a part of a portion of the adhesive corresponding to an edge of a lower inlet of the through hole protrudes inward of the through hole to form a hook,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 conductive member is held and adhesive is maintained.

바람직하게, 상기 코어는 상기 코어에 대응하는 액상의 폴리머가 경화에 의해 상기 지지대 위에 점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core may be formed by adhering a liquid polymer corresponding to the core onto the support by curing.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대는 두께가 균일한 폴리머 필름 또는 금속 박일 수 있다.Preferably, the support may be a polymer film or metal foil of uniform thickness.

바람직하게, 상기 코어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가장자리로부터 연결되는 완충 홈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core, a buffer groove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바람직하게, 상기 코어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가장자리로부터 연결되는 확장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열전소자에 상기 확장 홈에 끼워지는 핑거(finger)가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core, an extension groove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is formed, and a finger inserted into the extension groove may protrude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소자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관통구멍의 입구를 기준으로 유사한 수평 레벨을 이루거나 상기 입구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has a similar horizontal level with respect to the inlet of the through hole, or may be located inside the inlet.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소자의 색과 상기 코어의 색이 다를 수 있다.Preferably, the color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color of the core may be different.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소자의 상면과 하면은 자기 점착력이 없을 수 있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have no self-adhesive force.

바람직하게, 상기 점착제는 열 전도성의 양면 점착테이프이고, 상기 점착제의 내부에 PET 필름이 개재될 수 있다.Preferabl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 thermally conductive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a PET film may be interposed with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소자의 열전도율은 상기 코어의 열전도율보다 5배 이상 크고, 상기 열전소자가 차지하는 총 단면적은 상기 코어가 차지하는 총 단면적의 1/5 이상일 수 있다.Preferably,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at least five times greater tha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ore, and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ccupi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at least one fifth of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ccupied by the core.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열전소자의 하면의 가장자리 부분이 점착제에 의해 형성되는 걸림턱 위에 안착되어 점착제에 의해 지지되고 점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운반, 취급 과정에서 열전소자가 몸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에 의해 이형시트에서 열 전도 부재를 떼어내서 대상물에 부착할 때, 열전소자가 이형시트 위에 잔류하고 몸체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edg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rested on the holding jaw formed by the tackifier, and is supported by the tackifier and maintained in the tacky state, thereby prevent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body during transportation and handling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ermoelectric element from remaining on the release sheet and leaving only the body when the thermally conductive member is detached from the release sheet by the operator and attached to the object.

또한, 간단한 구조로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고 열 전달이 효율적인 열전도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conduction function that is efficient, reliable, and efficient in heat transfer can be exhibited by a simple structure.

또한, 낮은 경도를 가지며 탄성과 복원력이 좋고 작동 거리가 긴 코어와 코어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열전도 기능이 좋은 열전소자가 일체화되어 탄성과 복원력이 좋고 작동거리가 길며 열전도 기능이 좋고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다.In addition, it has low hardness, good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long working distance, and hardness higher than core. It has good elasticity and restoring power, long operating distance, good heat conduction, easy mounting and detachment Do.

또한, 지지대에 의해 기계적 강도가 좋고, 코어에 의해 전체적인 경도가 낮아 전체적으로 누르는 힘이 적게 들며 코어에 열전소자가 접착되어 열전소자의 복원률이 좋아진다.In addition, the mechanical strength is good by the support, the overall hardness is low by the core, and the pressing force as a whole is low,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adhered to the core to improve the restoration efficienc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또한, 코어의 외부 단면이 다른 재료에 의해 덮이지 않고 외부로 모두 노출되므로, 코어 고유의 탄성과 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어 대상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고 일체화된 코어에 의해 열전소자의 복원력도 향상된다.Since the outer end surface of the core is not covered by other materials but is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exhibit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inherent to the core, thereby reliably absorbing vibration and impact transmitted from the object, The restoring force of the device is also improved.

또한, 코어의 표면이 스킨층으로 되어 매끄럽고, 마찰 계수가 크기 때문에 접촉된 대상물과의 진동 또는 마찰에 의한 노이즈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열 접촉이 좋으며, 대상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기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surface of the core is smooth as a skin layer and has a large coefficient of fric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noise or movement due to vibration or friction with the object to be contacted, to have good thermal contact and to absorb vibration and shock transmitted from the object It is easy.

또한, 열전소자의 비중과 경도가 코어보다 높아 열전소자가 대향하는 대상물에 보다 신뢰성 있고 효과적으로 접촉되므로 열 전달이 잘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specific gravity and hardnes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re higher than that of the core,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more reliably and effectively contacted to the opposed object, so heat transfer is good.

또한, 자기 점착력이 있는 열전소자가 발열 소스에 접촉되고, 이 부분의 코어 또는 지지대에 점착테이프가 형성되어 열 전달이 더욱 효과적이다.Further, the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the self-adhesive forc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heat source, and the adhesive tape is formed on the core or the support of this portion, so that the heat transfer is more effective.

또한, 열전소자가 코어에서 외부로 돌출되거나 코어의 높이와 유사하므로 대향하는 대상물에 보다 신뢰성 있고 효과적으로 접촉되므로 열 전달이 잘 된다.Further, 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protrudes outward from the core or is similar to the height of the core, the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is more reliably and effectively contacted to the opposed object, so heat transfer is good.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전도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과 3(b)은 각각 열 전도 부재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열 전도 부재를 보여준다.
도 5는 도 4의 열 전도 부재의 실제 제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열 전도 부재를 보여준다.
1 shows a heat condu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 in Fig.
3 (a) and 3 (b) show a state in which the heat conduction member is applied.
4 shows a heat condu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showing an actual product of the heat conducting member of FIG.
6 shows a heat condu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rpreted or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전도 부재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Fig. 1 shows a heat condu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 in Fig.

이 실시 예의 열 전도 부재는, 몸체(100)와 몸체(100)의 관통구멍(112)에 끼워져 결합하는 열전소자(200)로 구성되며, 몸체(100)는 탄성 코어(110)와 코어(110)의 하면에 접착되는 지지대(130) 및 지지대(130)의 하면에 적층되는 점착제(120)로 구성된다.The heat conduction member of this embodiment is composed of a body 100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200 that is inserted into and bonded to the through hole 112 of the body 100. The body 100 includes an elastic core 110 and a core 110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120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ase 130. The pressure-

여기서, 지지대(130)는 선택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지지대(130)를 구비하면 몸체(100)는 코어(110), 지지대(130) 및 점착제(120)를 조합한 구성을 의미하고, 지지대(130)를 구비하지 않으면 몸체(100)는 코어(110)와 점착제(120)를 조합한 구성을 의미한다.Since the support base 130 is selectively used, if the support base 130 is provided, the body 100 means a combination of the core 110, the support base 130 and the adhesive 120, The body 100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the core 110 and the adhesive 120 are combined.

지지대(130)는 코어(110)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데, 지지대(130)가 적용되는 경우, 코어(110)와 지지대(130) 사이에는 별도의 점착제가 사용되거나 비용 절감 및 두께를 낮게 하기 위해 코어(110)의 자기 점착력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110)에 대응하는 액상의 폴리머가 지지대(130) 위에 코팅되고 경화되어 지지대(130)와 직접 접착될 수 있다.The support 130 may be selectively used to reinforc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core 110. When the support 130 is applied, a separate adhesive may be used between the core 110 and the support 130, The self-adhesive force of the core 110 can be utilized to reduce the thickness and thickness. For example, a liquid polymer corresponding to the core 110 may be coated on the support 130 and cured and bonded directly to the support 130.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몸체(100)를 구성하는 코어(110)의 측면이 폴리머 필름이나 기재필름 등으로 감싸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코어(110) 고유의 탄성과 복원력이 발휘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side surface of the core 110 constituting the body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wrapped by the polymer film or the base film,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inherent to the core 110 can be exerted.

또한, 지지대(130)를 적용하는 경우, 코어(110)로만 된 열전소자(200)를 적용할 때보다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코어(110)가 발포체인 경우 탄성, 복원력 및 유연성이 좋은 반면 기계적 강도가 작아 취급이나 가공이 불편한데, 탄성과 복원력은 없지만 기계적 강도가 좋은 지지대(130)를 적층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열전소자(200)의 점도가 낮고 자기 점착력을 갖는 경우, 예를 들면 경도가 Shore 00 40 이하인 경우, 열전소자(200)의 기계적 강도가 낮고 자기 점착되었기 때문에 이형지에서 분리하기 어려운데 지지대(130)의 기계적 강도에 의해 열전소자(200)를 분리하거나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다.In addition, when the support base 130 is used, the mechanical strength can be secured as compared with a case wher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which is only the core 110 is applied. In other words, when the core 110 is foamed, it has good elasticity, restoring force and flexibility. However, since the mechanical strength is low, handling and processing are inconvenient. The mechanical strength is secured by stacking the support 130 having no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 In the case wher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s a low viscosity and a self-adhesive force, for example, when the hardness is less than the Shore 0040, it is difficult to separat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from the release paper becau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low,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be separated or mounted and removed easily.

이하, 각 구성부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below.

이하의 설명에서, 점착제는 점착제와 접착제를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며, 이하 접착(bond)과 점착(adhesive)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고 해석된다. 가령, 점착제는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일 수 있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 term including bot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an adhesive. Hereinafter, a bond and an adhesive are used and interpreted in the same sense. For example, the adhesive may be an adhesive or an adhesive tape.

1. 코어(core)1. Core

코어(110)는 탄성과 복원력이 좋고, 탄성 작동거리가 크고, 누르는 힘이 적게 들도록 기공이 형성된 발포체로 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 가소성의 우레탄 스펀지, 폴리에틸렌 스펀지와 폴리올레핀 스펀지, 또는 열 경화성의 실리콘 스펀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110)는 미국 로저스사(Rogers Corp)의 상표명 포론(Poron)의 한 종류일 수 있다.The core 110 is made of a thermoplastic urethane sponge, a polyethylene sponge and a polyolefin sponge, or a thermosetting silicone sponge, which is made of a thermoplastic urethane sponge that has good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has a large elastic working distance, . For example, the core 110 may be one type of Poron, trademark of Rogers Corp of the United States.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코어(110)는 경도가 낮은 비발포 고무일 수도 있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core 110 may be a non-foam rubber having a low hardness.

코어(110)는 열전소자(200)가 발열 소스 및 방열유닛에 신뢰성 있게 탄성 접촉되고, 열전도 부재가 외부의 적은 힘에 균일하게 잘 눌리도록 코어(110)의 밀도와 경도는 열전소자(200)의 밀도와 경도보다 낮다.The core 110 has a density and a hardness of the core 110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reliably contacts the heat source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in a reliable and elastic manner, Is lower than the density and hardness.

코어(110)의 상면은 발포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스킨층(Skin layer)을 형성함으로써 표면이 매끄럽도록 하여 표면 조도가 좋고 방수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킨층 구조에 의해 대향하는 대상물에 접촉이 신뢰성 있게 이루어져 진동과 충격을 잘 흡수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110 may have a smooth surface by forming a skin laye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foam, and may have good surface roughness and waterproof properties. With such a skin layer structure, the contact with the opposing object can be reliably made, so that vibration and shock can be absorbed well.

코어(110)가 발포체인 경우 탄성 및 복원율이 좋도록 코어(110)의 열전도율은 바람직하게 0.2W 이하이고, 대상물에 전기적 간섭을 주지 않기 위해 전기 절연일 수 있다.When the core 110 is foame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ore 110 is preferably 0.2 W or less so that the elasticity and the restoration ratio are good, and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so as not to subject the object to electrical interference.

요약하면, 코어(110)의 열전도율, 밀도 및 경도는 낮지만, 탄성과 복원율이 좋아 결과적으로 열전소자(200)가 발열 소스 및 방열유닛에 신뢰성 있게 접촉되어 열 전달 효과가 좋고, 코어(110)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기 용이하며, 전체적으로는 누르는 힘이 적게 든다.In summary, the thermal conductivity, density, and hardness of the core 110 are low, but the elasticity and the recovery rate are good. As a resul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reliably contact the heat source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Is easy to absorb vibrations and shocks, and overall, the pressing force is small.

코어(110)는 평면의 상면과 하면을 구비하고,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형성된 관통구멍(112)을 구비한다.The core 110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has a through hole 112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관통구멍(112)은 칼날 금형에 의해 코어(110)의 내부에 형성되고, 이 실시 예와 같이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사각형이나 다각형일 수 있으며,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112 may be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core 110 by a blade mold, and may be circular, but not limited thereto, as in this embodiment, and may be rectangular or polygonal, have.

관통구멍(112)에는 열전소자(200)가 물리적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관통구멍(112) 내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코어(110)의 절단면과 접촉한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physically inserted into and bonded to the through hole 112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112 is in contact with the cut surface of the core 110.

관통구멍(112)의 형상과 크기(직경)는 열전소자(200)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결정되지만, 열전소자(200)의 경도와 크기 또는 코어(110)의 경도와 크기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Although the shape and siz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12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hape and siz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the shape and siz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ardness and siz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or the hardness and size of the core 110 have.

가령, 관통구멍(112)의 크기는 열전소자(200)보다 클 수도 있고 작을 수도 있는데, 특히, 열전소자(200)의 경도가 낮은 경우 관통구멍(112)보다 크기를 조금 크게 하여 관통구멍(112)과 열전소자(200)가 잘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12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a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Particularly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s a low hardness,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12 is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112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be in good contact with each other.

이러한 물리적인 끼움 방식에 의해 몸체(100)와 열전소자(200)는 일체화될 수 있다.The body 10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be integrated by such a physical fitting method.

2. 지지대2. Support

지지대(13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코어(110)의 탄성 작동거리를 크게 하고 절단 시 작업성이 좋게 코어(110) 두께의 1/ 3 이하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support base 1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lastic working distance of the core 110 and to have a thickness of 1/3 or less of the thickness of the core 110 with good workability at the time of cutting.

지지대(130)의 면적은 코어(110)의 표면적과 같고 평면이며, 코어(110)와 같은 형상을 구비하기 때문에 관통구멍(112)에 대응하는 개구가 형성된다.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12 is formed because the area of the support base 130 is equal to the surface area of the core 110 and is flat and has the same shape as the core 110. [

지지대(130)는 칼날 금형에 의해 절단이 용이한 PET, PVC, PE 또는 PI 등의 폴리머 필름이나 시트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 지지대(130)는 열 확산과 열 분산이 좋은 금속 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 박인 경우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이 경우 전기 접지를 위하여 지지대(130)의 하면에 적층되는 점착제(120)는 전기전도성일 수 있다.The support base 130 may be a polymer film or sheet such as PET, PVC, PE, or PI that is easily cut by a blade die. In some cases, the support base 130 may be formed of a metal foil having good thermal diffusion and heat dissipation . In the case of metal foil, there is an advantage that electromagnetic waves can be shielded. In this case, the adhesive 120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130 for electrical grounding may be electrically conductive.

3. 열전소자3. Thermoelectric element

열전소자(200)로는, 가령 유연성이 있는 실리콘고무 계열 또는 아크릴수지 계열의 열 전도성 고무나 열 전도성 수지, 열 전도성 겔(gel) 또는 열 전도성 클래드(clad), 또는 열 전도 부재가 아주 얇은 경우 그라파이트 시트가 적용될 수 있다.As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for example, a thermally conductive rubber or a thermally conductive resin, a thermally conductive gel or a thermally conductive clad of a flexible silicone rubber type or acrylic resin type, or a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 such as graphite Sheets can be applied.

열전소자(200)의 열전도율은 코어(110)의 열전도율보다 5배 이상 크고, 하나의 코어에 다수의 관통구멍(112)이 형성되어 다수의 열전소자(200)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열전소자(200)가 차지하는 총 단면적은 코어(100)가 차지하는 총 단면적의 1/5 이상일 수 있다.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five times larger tha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core 110 and the plurality of thermoelectric elements 200 can be applied by form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2 in one core. In this case,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ccupi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be 1/5 or more of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ccupied by the core 100.

이와 같이 열전소자(200)는 용도에 따라 다양한 경도를 가지며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열전소자(200)의 경도는 Shore A 70 이하이거나, 탄성이 작고 경도가 낮은 클래드이거나 특별한 용도로 적용되는 경우 겔(gel)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열전소자(200)는 미국 레어드 테크놀로지사(Laird technology)의 서멀 머터리얼(Thermal Material)의 한 종류일 수 있다.Thus,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be provided with various hardnesse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For exampl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have a hardness of Shore A of 70 or less, a low elasticity and a low hardness, or may be a gel when applied to a special purpose. For exampl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be a kind of thermal material of Laird Technologies, USA.

다른 예로, 양산성 및 특성 구현을 위해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열전소자(200)의 경도는 가령, Shore 00 40 전후가 바람직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hardnes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be preferably about, for example, about Shore 0040, as judged comprehensively for mass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열전소자(200)의 상면과 하면이 자기 점착력을 갖거나, 적어도 발열 소스에 접촉하는 하면이 자기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ve a self-adhesive force, or at least the lower surface that contacts the heat source can have a self-adhesive force.

여기서, 열전소자(200)가 자기 점착력을 갖는 경우, 자기 점착력은 코어(110) 또는 지지대(130)의 하면에 적층된 점착제(120)의 자기 점착력보다 작고 대략 1/3 이하일 수 있다.Here,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s a self-adhesive force, the self-adhesive force may be less than about 1/3 of the self-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120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re 110 or the support base 130.

반면, 열전소자(200)의 상면과 하면이 자기 점착력을 갖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이형시트로부터 열 전도 부재를 떼어낼 때, 열전소자(200)가 이형시트에 점착되어 몸체(100)만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코어(110) 또는 지지대(130)의 하면에 부착된 점착제(120)가 대상물에 확실하게 점착하여 결과적으로 열전소자(200)가 대상물에 보다 신뢰성 있게 강하게 점착되어 열 전달이 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not have a self-adhesive force. In this case,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adhered to the release sheet and only the body 100 falls And the adhesive 120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re 110 or the support 130 reliably adheres to the object and consequently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strongly adhered more reliably to the object, .

열전소자(200)는 전기 절연이거나 전기 (반)전도성을 구비할 수 있는데, 폴리머 수지나 고무에 알루미나 파우더와 같은 열전도성 세라믹 파우더를 혼합하면 전기 절연이고, 열 전도성이 좋은 카본 파이버 등을 혼합하거나 열전소자(200) 자체를 그라파이트 시트로 구성할 경우 전기 (반)전도성이다. 통상, 카본 파우더를 혼합하거나 그라파이트 시트를 적용하면 세라믹 파우더를 혼합한 경우보다 열전도율을 크게 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or may have electric (semi) conductivity. When the thermosetting ceramic powder such as alumina powder is mixed with the polymer resin or rubber,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electrically insulated,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tself is made of a graphite sheet, it is electrically (semi) conductive. Generally, when the carbon powder is mixed or the graphite sheet is applied, the thermal conductivity can be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ceramic powder is mixed.

열전소자(200)가 전기 (반)전도성인 경우, 열전소자(200)의 적어도 한 면, 예를 들면, 상면에 전기 절연인 열전도성 실리콘을 얇게 코팅하여 전기 절연성을 갖도록 하고 하면은 전기전도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electrically (semi) conductive,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for example, an upper surface thereof, is thinly coated with thermally conductive silicone, which is electrically insulated, Respectively.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전기 절연성을 갖는 상면은 방열유닛에 접촉하고 전기 전도성을 갖는 하면은 발열 소스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발열 소스와 방열유닛 사이에 전기 절연을 유지하면서 열 전도가 잘 되도록 하며, 코어(110)가 전자파 차폐를 해준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upper surface having electric insulation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eat dissipating unit, and the lower surface having the electric conductivit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eat source so that heat conduction is good while maintaining electrical insulation between the heat source and the heat dissipating unit, Has an advantage of shielding electromagnetic waves.

다른 예로, 열전소자(200)는 전파 흡수성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폴리머 수지 또는 고무에 자성 파우더가 혼합되어 전기 (반)전도성을 갖는다.As another exampl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have radio wave absorbency. In this case, a magnetic powder is mixed with the polymer resin or rubber to have electrical (semi) conductivity.

이와 같이 열전소자(200)가 전기 (반)전도성인 경우 비교적 열전도율이 좋고정전기 방지 효과나 전자파를 차폐하거나 흡수한다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electrically (semi) conductive, it has a relatively good thermal conductivity and has an advantage of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or shielding or absorbing electromagnetic waves.

열전소자(200)는 유연하고 밀도와 경도가 코어(110)보다 높아 외부의 압력에 의해 발열 소스와 방열유닛에 밀착이 잘 되어 발열 소스에서 발생한 열이 열전소자(200)를 통해 방열유닛으로 효율적이고 쉽게 전달된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flexible and has a density and a hardness higher than that of the core 110 so that the heat source and the heat dissipation unit are closely contacted by the external pressure so that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dissipation source is efficiently supplied to the heat dissipation unit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nd is easily transmitted.

열전소자(200)는 관통구멍(112)에 끼워져 물리적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이 실시 예의 열 전도 부재는 국부적인 영역에서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방열유닛에 전달할 때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이 직접 발생하는 부위에는 열전도 기능이 좋은 열전소자(200)가 위치하고, 그 이외의 부분에는 열전도 기능이 나쁜 코어(110)가 위치하게 배열하면, 열 발생부위는 열전소자(200)를 통하여 방열유닛에 가장 짧은 거리로 연결될 수 있다.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inserted and physically engaged with the through hole 112, the heat conduction member of this embodiment may be particularly useful when rapidly transferring the heat generated in the local region to the heat dissipation unit. For example, if a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ving a good thermal conduction function is disposed in a region where heat is directly generated and a core 110 having a poor thermal conduction function is disposed in the other portion, To the heat dissipation unit.

또한, 고가의 열전소자(200)를 필요한 부위에만 한정하여 적용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by applying the expensive thermoelectric element 200 to only the necessary parts.

열전소자(200)는 상면과 하면이 수평을 이루어 균일한 두께를 가지는데, 열전소자(200)의 상면과 하면은 관통구멍(112)의 입구를 기준으로 돌출되거나 같은 수평 레벨을 이루거나 또는 입구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protrude from the inlet of the through hole 112 or form the same horizontal level, It can be located inside.

도 1과 달리 코어(110)의 면적이 열전소자(200)의 단면적보다 훨씬 큰 경우 열전소자(200)가 관통구멍(112)의 입구로부터 돌출할 수 있는데, 대상물에 힘을 가할 때, 열전소자(200)의 상면과 하면에 먼저 접촉하기 때문에 열 접촉이 확실하며, 다만 열전소자(200)의 밀도와 경도가 크기 때문에 대상물이 몸체(100)의 코어(110)에 닿기까지 힘이 더 들 수 있지만, 코어(110)의 면적이 열전소자(200)의 단면적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이는 무시할 수 있을 정도가 된다.1, when the area of the core 110 is much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protrude from the inlet of the through hole 112. When the force is applied to the object, 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s a high density and a high hardness, the strength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increased until the object hits the core 110 of the body 100 However, since the area of the core 110 is much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this is negligible.

또한, 열전소자(200)의 상면과 하면이 관통구멍(112)의 입구와 같은 수평 레벨을 이루는 경우, 대상물에 힘을 가할 때, 열전소자(200)와 코어(110)가 동시에 접촉된다.Whe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ve the same horizontal level as that of the entrance of the through hole 112,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nd the core 110 simultaneously contact each other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object.

이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나, 제조할 때 치수 공차가 있고 대상물의 형상이 다양하기 때문에 정확히 수평 레벨을 이루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This case is most preferred, but since there is dimensional tolerance in the manufacture and the shape of the object is varied, it may be difficult to achieve a precise horizontal level.

열전소자(200)의 크기가 코어(110)의 면적과 유사한 때, 열전소자(200)가 관통구멍(112)의 입구 내측에 위치할 수 있는데, 대상물에 힘을 가할 때, 대상물이 먼저 코어(110)에 접촉하지만, 코어(110)의 밀도와 경도가 낮기 때문에 탄성적으로 그리고 적은 힘으로 열전소자(200)에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be located inside the entrance of the through hole 112 when the siz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similar to the area of the core 110. When applying force to the object, 110, but since the density and hardness of the core 110 are low,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elastically and with less force.

예를 들면, 열전소자(200)가 관통구멍(112)의 입구 내측에 위치하더라도 열전소자(200)가 대상물 사이에 눌리는 범위 내에 위치하면 열전소자(200)는 대상물에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For example, even i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located inside the inlet of the through hole 112,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physically contact the object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locat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object is pressed between the objects.

한편, 열전소자(200)의 상면과 하면이 각각 관통구멍(112)의 입구로부터 돌출되는지의 여부와 돌출되는 경우 돌출 높이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ther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protrude from the inlet of the through hole 112 or the protrusion height, respectively, may be equal to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열전소자(200)의 외측면과 관통구멍(112)의 내측면 사이에서 적어도 한 부분에 점착제가 적용되거나, 열전소자(200)가 관통구멍(112)에 끼워진 후, 관통구멍(112)의 상하 입구에서 코어(110)와 열전소자(200)가 이루는 경계를 따라 적어도 한 곳에서 점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at least one portion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2 or after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fitted in the through hole 112, The adhesive may be applied at least at one point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core 11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t the inlet.

적용되는 점착제는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점착제로, 열 전도성을 구비할 수 있는바, 가령 열전도성 실리콘 점착제일 수 있다.The appli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elasticity and flexibility, and may have heat conductivity, for example, a heat-conductive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열전소자(200)의 측면에 자기 점착력이 있는 경우에 관통구멍(112)의 측면에 자기 점착되어 보다 신뢰성 있는 점착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sid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s a self-adhesive force, it is self-attach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2 to provide more reliable adhesion.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몸체(100)와 열전소자(200)가 기구적으로 일체화됨으로써, 외부에서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열전소자(200)가 관통구멍(112) 내에서 상하로 움직이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을 몸체(100)와 열전소자(200)가 일체적으로 전달받아 흡수하기 용이하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body 10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re mechanically integr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from moving up or down in the through hole 112 due to vibration or impact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it is easy for the body 10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to receive and absorb the external vibration or shock integrally.

또한, 몸체(100)가 열전소자(200)에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몸체(100)에서 열전소자(200)가 잘 분리되지 않아 열 전도 부재를 한 번에 대상물에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어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In addition, since the body 100 is firmly integrated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can be mounted on or separated from the object at a time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또한, 탄성과 복원력이 비교적 나쁜 열전소자(200)가 탄성과 복원력이 좋은 코어(110)를 구비한 몸체(100)와 일체화됨으로써, 열 전도 부재가 대상물에 의해 눌렸다가 펴질 때, 코어(110)가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 되면서 일체화된 열전소자(200)도 높이에 따라 일부 복원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which is relatively poor in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is integrated with the body 100 having the core 110 having good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when the heat conduction member is pressed and spread by the object, Is restored by the restoring force, and the integrated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be partially restored according to the height.

열전소자(200)는 신뢰성 대향하는 대상물에 장착이 용이하게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하나는 자기 점착력을 갖는데, 가령 발열 소스에 대향하는 열전소자(200)의 면이 자기 점착력을 가질 수 있고, 반대 면은 자기 점착력을 갖지 않아 진공 픽업과 취급이 용이하다.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s a self-adhesive force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easily be mounted on an object fac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For example, th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facing the heat source can have self- Has no self-adhesive force and is easy to vacuum pick up and handle.

4. 점착제4. Adhesive

점착제(120)는 유연성이 있는 우레탄 점착제, 아크릴 점착제 또는 탄성과 유연성이 모두 좋은 실리콘 점착제일 수 있고, 열 전도성을 구비할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120 may be a flexible uretha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or a 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both elasticity and flexibility, and may have thermal conductivity.

점착제(120)는 양면 점착테이프로 내부에 PET 필름과 같은 기재를 구비한 기재 타입의 점착제이거나, 기재를 구비하지 않은 무기재 타입의 점착제일 수 있다.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120 may be a substrate-type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a base material such as a PET film in its interior with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an inorganic material type pressure-

이 실시 예와 같이 열 전도 부재가 지지대(130)를 구비하는 경우 점착제(120)는 지지대(130)의 하면에 적층되고, 지지대(13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점착제(120)는 코어(110)의 하면에 적층되며, 점착제(120)에 의해 열 전도 부재를 대상물에 쉽게 접착되도록 할 수 있다.In the case where the heat conduction member includes the support base 130 as in this embodimen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120 is stack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ase 130. In the case where the support base 130 is not provided,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member can be easily adhered to the object by the adhesive 120.

도 2의 확대된 원을 보면, 점착제(120)에서, 관통구멍(112)의 하부 입구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부분이 관통구멍(112)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턱(122)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관통구멍(112)의 가장자리에서 안쪽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걸림턱(122)이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다.2, the portion of the adhesive 120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lower inlet of the through hole 112 protrudes inwardly of the through hole 112 to form the stopper 122. In other words, the engagement protrusion 122 having a constant width from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112 to the inside is formed in a flange shape.

걸림턱(120)은 관통구멍(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는데, 연속하여 형성되거나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안쪽으로 돌출된다.The latching jaw 120 may be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112, and may be formed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and at least a part thereof may project inward.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열전소자(200)의 하면의 가장자리 부분이 걸림턱(122) 위에 안착되어 점착제(120)에 의해 점착된 상태를 유지한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edge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seated on the latching protrusion 122 and is maintained in a state of being adhered by the adhesive 120.

그 결과, 열전소자(200)의 하면의 일부가 점착제(120) 위에 안착되어 점착된 상태에서 운반, 취급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열전소자(200)가 몸체(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에 의해 이형시트에서 열 전도 부재를 떼어내서 대상물에 부착할 때, 열전소자(200)가 이형시트 위에 잔류하고 몸체(100)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a result, since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mounted on the tackifier 120 and is transported and handled in a tacky stat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body 100 in the process . 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removes the heat conduction member from the release sheet and attaches the heat conduction member to the objec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from remaining on the release sheet and falling off only the body 100.

사용시에는 열전소자(200)의 밀도와 경도가 크기 때문에 대상물에 의해 눌리면 걸림턱(122)은 뭉개지면서 열전소자(200)의 하면은 다른 대상물에 열 접촉된다.Since the density and hardnes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re large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used,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thermally contacted with other objects as the stopper 122 is crushed by the object.

이하, 상기한 열 전도 부재에 의한 열전달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heat transfer operation by the heat conduction member will be described.

도 3(a)과 3(b)은 각각 열 전도 부재를 적용한 상태를 나타낸다.3 (a) and 3 (b) show a state in which the heat conduction member is applied.

열 전도 부재는 캐리어 포켓에 내장되어 릴 테이핑 되거나 이형시트에 배열되어 진공 픽업에 의해 대상물에 자동으로 장착될 수 있다.The heat conducting member may be embedded in the carrier pocket and reeled or arranged on the release sheet and automatically mounted to the object by vacuum pick-up.

이어폰을 구성하는 기구물(10) 내부에 영구자석(20, 22)이 배열된 고정판(40)이 설치되고, 고정판(40) 내부에 보이스 코일(30)이 수납되어 전기적 신호에 따라 상하 운동함으로써 진동하면서 음성신호를 출력한다.A stationary plate 40 having permanent magnets 20 and 22 arranged therein is installed in an instrument 10 constituting an earphone and a voice coil 30 is housed in the stationary plate 40 and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a voice signal.

금속 재질의 고정판(40) 상면에는 본 발명의 열 전도 부재가 점착되어 설치되고, 그 위에 금속 재질의 커버(50)가 덮여 조립되면 열 전도 부재의 20~40%가 눌려 열전소자(200)의 상면과 하면이 각각 커버(50)와 고정판(40)에 접촉된다.When the heat conductive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etal fixing plate 40 and the metal cover 50 is covered and assemb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40, 20-40% of the heat conductive member is pressed, 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are in contact with the cover 50 and the fixing plate 40, respectively.

이 상태에서, 보이스 코일(30)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열은 고정판(40)에 전달되고 열 전도 부재의 열전소자(200)를 통하여 커버(50)로 전달되어 열 냉각되고 열 분산된다.In this state, the heat generated by th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30 is transmitted to the fixing plate 40 and is transmitted to the cover 50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to be thermally cooled and thermally dispersed.

이와 함께, 보이스 코일(30)의 진동이 고정판(40)을 통하여 열 전달 부재에 전달되면, 열 전달 부재의 코어(110)가 기공이 형성된 탄성 발포체 즉, 스펀지로 구성되어 있어 전달된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vibration of the voice coil 30 is transmitted to the heat transfer member through the fixing plate 40, the core 110 of the heat transfer member is composed of an elastic foam having pores, that is, a sponge, .

또한, 열전소자(200)도 진동의 일부를 흡수하면서 발생한 열을 가장 빠르게 커버(50)에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lso provides the cover 50 with the heat generated as soon as it absorbs a part of the vibra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열 전도 부재를 보여주고, 도 5는 도 4의 열 전도 부재의 실제 제품을 나타내는 사진이다.FIG. 4 shows a heat condu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an actual product of the heat conducting member of FIG.

이 실시 예에서, 코어(110)의 관통구멍(112)의 가장자리로부터 연결되는 확장 홈(113)이 쌍으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열전소자(200)에 확장 홈(113)에 끼워지는 핑거(finger, 210)가 돌출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an extension groove 113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112 of the core 110 is formed in pairs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a finger (not shown) , 210 are protruded.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핑거(210)에 의해 열전소자(200)가 관통구멍(112) 내부에서 코어(110)와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고, 확장 홈(113)에 의해 관통구멍(112)이 요철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열전소자(200)가 관통구멍(11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area of contac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with the core 110 in the through hole 112 is increased by the finger 210, and the through hole 112 is recess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to be detached from the through hole 112.

도 5를 참조하면, 열전소자(200)는 코어(110)와 다른 색으로 구성하여 확실하게 구별되도록 하여 외관검사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가령 도 5와 같이 청색으로 구성하여 열 전도 부재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는 부분을 직관적으로 알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color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re 110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be surely distinguished from the core 110, thereby facilitating visual inspec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know the portion where cooling is performed.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열 전도 부재를 보여준다.6 shows a heat condu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 예에서, 코어(110)의 관통구멍(112)의 가장자리로부터 연결되는 완충 홈(114)이 쌍으로 대향하여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a cushioning groove 114 connected from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112 of the core 110 is formed in a pair.

상기한 것처럼, 열전소자(200)의 밀도와 경도가 코어(110)의 밀도와 경도보다 높아 누르는 힘은 주로 열전소자(20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ensity and hardnes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re higher than the density and hardness of the core 110, so that the pressing force can be determined mainly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그런데 열전소자(200)는 코어(110)의 관통구멍(112) 내부에 끼워져 가장자리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것이 코어(110)에 의해 제한된다. 다시 말해, 열 전도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누르는 경우, 열전소자(200)가 그 힘의 많은 부분을 수직 방향으로 받으며, 이 힘에 의해 열전소자(200)의 가장자리가 반경 방향으로 퍼질 수밖에 없는데, 코어(110)가 이를 제한하고 있어 상하로 누르는 힘이 더 들게 된다.However,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2 of the core 110, and the edge is limited by the core 110 to extend in the radial direction. In other words, when the heat conduction member is 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receives a large portion of its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is force forces the edg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to propagate in the radial direction, (110) restricts the pressing force, so that the pressing force is increased more and more.

따라서, 관통구멍(112)의 가장자리로부터 연결되는 완충 홈(114)을 형성하여 열전소자(200)의 가장자리가 반경 방향으로 확장될 때, 관통구멍(112)의 가장자리가 완충 홈(114)에 의해 쉽게 밀려나도록 함으로써 열전소자(200)가 반경 방향으로 쉽게 퍼지도록 할 수 있다. 그 결과, 열전소자(200)를 상하로 누르는 힘을 줄이거나 분산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edg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extended in the radial direction by forming the buffer groove 114 connected from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112,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112 is formed by the buffer groove 114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easily spread in the radial direction. As a result, the pressing for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up and down can be reduced or dispersed.

완충 홈(114)은 열 전도 부재의 치수가 작은 경우 이 실시 예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관통구멍(112)에 인접하되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The buffer groove 114 may be formed so as not to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is embodiment when the dimension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is small but to be adjacent to but not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112. [

이와 같이 완충 홈(114)은 열전소자(200)가 적은 힘에서도 잘 눌리게 하는 역할을 하여, 결과적으로 열 전도 부재가 적은 힘으로도 각 대상물에 잘 접촉되어 대상물 사이에서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uffer groove 114 functions to press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even with a small force. As a result, the heat conduction memb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bject with a small force to smoothly transfer heat between the objects. do.

한편, 이 실시 예의 열 전도 부재의 적용은 이어폰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자기기 내부의 발열을 제공하는 반도체, 리시버, 모터, 발광소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방열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열을 냉각하면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The application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of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earphone, and is interposed between the heat radiating unit and the semiconductor, receiver, motor, light emitting element, display panel or the like which provides heat inside the electronic device, It can serve to absorb shock.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should be construed in view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100: 몸체
110: 탄성 코어
112: 관통구멍
113: 확장 홈
114: 완충 홈
120: 점착제
130: 지지대
200: 열전소자
100: Body
110: elastic core
112: Through hole
113: Extended groove
114: buffering groove
120: Adhesive
130: Support
200: thermoelectric element

Claims (15)

대향하는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 방향으로 열 전달을 하는 열 전도 부재로,
두께 방향으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코어와 상기 코어의 하면에 적층된 점착제를 구비한 몸체; 및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져 결합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하부 입구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구멍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열전소자의 하면을 지지하고 점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A heat condu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opposed objects to transmit hea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body having an elastic core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re; And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sandwiched between the through holes,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lower inlet of the through hole is protruded to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to form a latching jaw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maintain adhesion. Conductive member.
대향하는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 방향으로 열 전달을 하는 열 전도 부재로,
두께 방향으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코어, 상기 코어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점착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하면에 적층된 점착제를 구비한 몸체; 및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져 결합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하부 입구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구멍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열전소자의 하면을 지지하고 점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A heat condu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opposed objects to transmit hea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body having an elastic core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supporting base adhered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ore, and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ing base; And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sandwiched between the through holes,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lower inlet of the through hole is protruded to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to form a latching jaw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maintain adhesion. Conductive member.
청구항 2에서,
상기 코어는 상기 코어에 대응하는 액상의 폴리머가 경화에 의해 상기 지지대 위에 점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2,
Wherein the core is formed by adhering a liquid polymer corresponding to the core onto the support by curing.
청구항 2에서,
상기 지지대는 두께가 균일한 폴리머 필름 또는 금속 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2,
Wherein the support is a polymer film or metal foil having a uniform thickness.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코어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가장자리로부터 연결되는 완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Claim 2]
And a cushion groove is formed in the core, the cushion groove being connected to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코어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가장자리로부터 연결되는 확장 홈이 형성되고, 상기 열전소자에 상기 확장 홈에 끼워지는 핑거(finger)가 상기 열전소자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Claim 2]
Wherein a protrusion is formed in the core so as to extend from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and a finger which fits into the expansion groove is protrud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열전소자의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관통구멍의 입구를 기준으로 유사한 수평 레벨을 이루거나 상기 입구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Claim 2]
Wherein at least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forms a similar horizontal level with respect to the inlet of the through hole or is located inside the inlet.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열전소자의 색과 상기 코어의 색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Claim 2]
Wherein the color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color of the core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열전소자의 상면과 하면은 자기 점착력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Claim 2]
Wherei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have no self-adhesive force.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점착제는 양면 점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Claim 2]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청구항 10에서,
상기 점착제의 내부에 PET 필름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0,
And a PET film is interpos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청구항 1 또는 2에서,
상기 점착제는 열 전도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Claim 2]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thermally conductive.
삭제delete 영구자석이 장착된 고정판, 상기 영구자석에 대하여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및 커버를 구비한 스피커 장치로,
상기 고정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열 전도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열 전도 부재는,
두께 방향으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코어와, 상기 코어의 하면에 적층되고 상기 고정판에 점착되는 점착제를 구비한 몸체; 및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과 상기 커버에 각각 하면과 상면이 열 접촉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하부 입구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구멍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열전소자의 하면을 지지하고 점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A speaker device comprising a fixed plate on which a permanent magnet is mounted, a voice coil which vibrates with respect to the permanent magnet,
A heat conductio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cover,
Wherein the heat conduction member comprises:
An elastic core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re and adhered to the fixing plate; And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which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and is in thermal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and the cover,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lower inlet of the through hole is protruded to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to form a latching jaw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maintain the adhesive. Device.
영구자석이 장착된 고정판, 상기 영구자석에 대하여 진동하는 보이스 코일 및 커버를 구비한 스피커 장치로,
상기 고정판과 상기 커버 사이에 열 전도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열 전도 부재는,
두께 방향으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코어, 상기 코어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점착된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하면에 적층되고 상기 고정판에 점착되는 점착제를 구비한 몸체; 및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고정판과 상기 커버에 각각 하면과 상면이 열 접촉하는 열전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에서, 상기 관통구멍의 하부 입구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관통구멍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열전소자의 하면을 지지하고 점착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장치.
A speaker device comprising a fixed plate on which a permanent magnet is mounted, a voice coil which vibrates with respect to the permanent magnet,
A heat conduction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cover,
Wherein the heat conduction member comprises:
A body having an elastic core formed with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supporting base adhered to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core, and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min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ing base and adhered to the fixing plate; And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which is coupled to the through hole and is in thermal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and the cover,
Wherein at least a part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lower inlet of the through hole is protruded to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to form a latching jaw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maintain the adhesive. Device.
KR1020180003600A 2017-12-26 2018-01-10 Heat transferring member KR10199195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617 2017-12-26
KR20170179617 2017-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951B1 true KR101991951B1 (en) 2019-06-24

Family

ID=6667539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983A KR101979926B1 (en) 2017-12-26 2017-12-28 Heat transferring member
KR1020180003600A KR101991951B1 (en) 2017-12-26 2018-01-10 Heat transferring member
KR1020180050275A KR20190078458A (en) 2017-12-26 2018-04-30 Heat transferring member
KR1020180052686A KR20190078460A (en) 2017-12-26 2018-05-08 Heat transferring member
KR1020180058656A KR102139232B1 (en) 2017-12-26 2018-05-23 Heat conductive memb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983A KR101979926B1 (en) 2017-12-26 2017-12-28 Heat transferring member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0275A KR20190078458A (en) 2017-12-26 2018-04-30 Heat transferring member
KR1020180052686A KR20190078460A (en) 2017-12-26 2018-05-08 Heat transferring member
KR1020180058656A KR102139232B1 (en) 2017-12-26 2018-05-23 Heat conductive memb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19799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234A1 (en) * 2021-04-22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Sound ba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092A (en) * 2020-08-11 2022-02-1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hermoelectric module
KR102391329B1 (en) * 2020-09-07 2022-04-28 조인셋 주식회사 Heat conductive member
KR102618866B1 (en) * 2021-07-26 2023-12-29 조인셋 주식회사 Thermal conductive gap filler un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0081A (en) * 1995-04-19 1996-11-25 배순훈 Overheat protection device of the speaker
KR20080031326A (en) * 2005-07-12 2008-04-08 비샤이 제너럴 세미컨덕터 엘엘씨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JP2012204450A (en) * 2011-03-24 2012-10-22 Toyota Industries Corp Adhesion structure and thermoelectric module having the same
KR20140113226A (en) * 2013-03-15 2014-09-2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61590A (en) * 1995-09-21 1996-10-01 Unisys Corporation Heat transfer sub-assembly incorporating liquid metal surrounded by a seal ring
KR101422249B1 (en) * 2007-03-09 2014-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Heat radiating apparatus for device
KR101297369B1 (en) * 2009-08-12 2013-08-19 조인셋 주식회사 Multilayer Elastomer Components having electric and elastic properti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087518B2 (en) * 2012-05-14 2017-03-0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Thermally conductive sheet supplier and thermal conductive sheet supply method
KR20140146552A (en) * 2013-06-17 2014-12-26 조인셋 주식회사 Thermal conductive member having three-dimentional shap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0081A (en) * 1995-04-19 1996-11-25 배순훈 Overheat protection device of the speaker
KR20080031326A (en) * 2005-07-12 2008-04-08 비샤이 제너럴 세미컨덕터 엘엘씨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JP2012204450A (en) * 2011-03-24 2012-10-22 Toyota Industries Corp Adhesion structure and thermoelectric module having the same
KR20140113226A (en) * 2013-03-15 2014-09-24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234A1 (en) * 2021-04-22 2022-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Sound b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461A (en) 2019-07-04
KR20190078460A (en) 2019-07-04
KR102139232B1 (en) 2020-07-29
KR20190078458A (en) 2019-07-04
KR101979926B1 (en) 201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1951B1 (en) Heat transferring member
US20190195577A1 (en) Thermally conductive member
US9375901B2 (en) Conductive elastic member
KR101380320B1 (en) Thermal conductive laminated member
CN213401173U (en) Thermal interface material pie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102029431B1 (en) Composite thermal conductive element
KR101895573B1 (en) Composite thermal conductive element
KR101801879B1 (en) Composite thermal conductive element
JP2023126380A (en) Thermal-conductive sheet,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JP4798629B2 (en) Thermally conductive electromagnetic shielding sheet and electromagnetic shielding structure
KR101951928B1 (en) EMI Gasket
WO2018149512A1 (en) Thermal dissipation and electrical isolating device
JP2017022296A (en) Heat conduction member
KR20190016417A (en) Thermally conductive Shee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1204718B1 (en) Thermal conductive plate member having improved thermal conductivity
KR20180094470A (en) Heat dissipation assembly
KR20180032191A (en) Thermal conductive member and Method for picking up the same
KR102391329B1 (en) Heat conductive member
JP2002185183A (en) Electromagnetic wave suppression sheet and electromagnetic wave suppression heat conduction sheet
JP4310178B2 (en) Graphite sheet and 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
KR101985012B1 (en) EMI Gasket having heat transfer function and shielding fuction of EMI
CN220873271U (en) Conductive silica gel pad and die thereof
CN212629081U (en) Heat dissipation shielding elastomer
KR101944998B1 (en) Thermal conductive member
CN216720973U (en) Wireless charg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