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460A - Heat transferring member - Google Patents

Heat transferring memb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460A
KR20190078460A KR1020180052686A KR20180052686A KR20190078460A KR 20190078460 A KR20190078460 A KR 20190078460A KR 1020180052686 A KR1020180052686 A KR 1020180052686A KR 20180052686 A KR20180052686 A KR 20180052686A KR 20190078460 A KR20190078460 A KR 201900784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element
thermally conductive
conductive sheet
receptacle
recep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26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선기
김성훈
이현일
이승진
김진산
Original Assignee
조인셋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셋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인셋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78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46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01L35/0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Cores, Yokes, or armatures
    • H01L35/24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10/85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 H10N10/856Thermoelectric active materials comprising organic compos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heat transferring member capable of exhibiting an efficient and reliable heat transferring function with a simple structure. The heat transferring member includes: an elastic container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a thickness direction; a thermally conductive sheet adher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fitted into or filled with the through hole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through hole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nd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spread by an external force due to the flowabil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ainer.

Description

열 전도 부재{Heat transferring member}[0001] Heat transferring member [0002]

본 발명은 열 전도 부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t conducting member.

휴대전화를 비롯한 전자통신기기가 고사양화되고 고기능화됨에 따라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처리속도도 증가하면서 전자파 및 발열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As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s including mobile phones become more sophisticated and highly functional, the processing speed of microprocessors also increases, and electromagnetic waves and heat generation are becoming a big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신속하게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서 통상 방열유닛을 사용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for example, a heat dissipating unit is usually used to rapidly discharg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microprocessor to the outside.

방열 유닛은, 가령 냉각을 위한 케이스와 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열을 발생하는 전자부품 사이에 개재되어 눌려져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회로기판 위에 장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발열 소자 위에 일부 탄성을 갖는 시트 상의 열전소자(Thermal Interface Materials, TIM)의 한 면을 부착하고 다른 면을 케이스에 부착하고 가압하여 발열 소자에서 발생한 열을 열전소자를 통하여 케이스에 전달하여 케이스에서 열 냉각 및 열 분산된다.The heat-dissipating unit is pressed and used between a case for cooling and an electronic component for generating heat to be mounted on a circuit board. For example, a heat-dissipating element such as a microprocessor mounted on a circuit board, One side of the thermal interface material (TIM) is attached and the other side is attached to the case, and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element is transferred to the case through the thermoelectric element.

통상, 발열 소자와 냉각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눌려져 사용되는 열전소자는, 대향하는 대상물의 적은 힘에도 잘 눌리고, 대상물과 탄성을 갖으며 넓게 밀착이 잘 되고, 적어도 한 면이 자기 점착력을 구비하여 대상물에 장착이 쉽고, 또한 탈착 및 취급이 용이한 것이 바람직하다.Generally, a thermoelectric element sandwiched and pressed between a heating element and a cooling case is pressed well against a small force of an opposed object, has elasticity with respect to the object and is widely and closely adhered, and at least one surface has self- It is preferable that it is easy to attach to and detachable from, and easy to handle.

종래기술의 한 예로, 일본 덱세리얼스사(Dexerials Corp)의 국내 특허등록 제1715988호는, 폴리머; 이방성 열전도성 필러 및; 충전제를 함유하는 열전도성 조성물을 압출기로 압출하고, 이방성 열전도성 필러가 압출방향을 따라 배향된 압출 성형물을 성형하는 압출공정과, 상기 압출성형물을 경화시켜 경화물로 하는 경화공정과, 상기 경화물을 초음파 커터를 사용하여 상기 압출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로 절단하는 절단공정을 적어도 포함하는 열전도성 시트의 제조방법 및 열전도성 시트를 개시한다.As an example of the prior art, domestic patent registration No. 1715988 of Dexerials Corp. of Japan, An anisotropic thermally conductive filler; An extruding step of extruding a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ion containing a filler by an extruder and molding an extrudate in which an anisotropic thermally conductive filler is oriented along an extrusion direction, a curing step of curing the extrudate to obtain a cured product, Is cut at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extrusion direction by using an ultrasonic cutter, and a thermally conductive sheet is disclosed.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실리콘고무에 기공이 형성되지 않아 탄성과 복원력이 부족하고, 큰 압력으로 압출하여 제조될 정도로 기계적 강도가 높아 흐름성이 적을 뿐만아니라 압출 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절단하므로 경제성 있게 연속으로 제조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열전도성 시트의 경도가 높아(예, Shore A 50 이상), 결과적으로 누르는 힘이 많이 들어 접촉하는 IC 등의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고 잘 밀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Since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is not formed with pores in the silicone rubber, the elasticity and the restoring force are insufficient and the mechanical strength is high enough to be produced by extruding at a large pressure, so that the flowability is low. It is difficult to fabricate such a product. Further, since the hardness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is high (for example, Shore A 50 or m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pressing force is so large that it can damage components such as an IC or the like and is difficult to adhere well.

다른 종래기술에 의하면, 액상의 실리콘 고무에 알루미나 같은 열전도성 파우더를 고루 혼합 및 캐스팅하고 경화하여 시트로 만든 후 이를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여 제조한 자기점착력을 갖는 열전도성 실리콘 시트가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there is a thermally conductive silicone sheet having a self-adhesive force which is prepared by mixing, casting and curing a thermally conductive powder such as alumina uniformly on a liquid silicone rubber to form a sheet and cutting it into a desired shape.

이러한 기술에 의하면, 열전도성 시트에 기공이 없어 탄성 및 탄성 복원력이 부족하여 탄성 작동거리가 작고, 가공 및 취급이 용이하게 시트 형상으로 제조되어 비교적 경도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According to this techniqu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lacks pores and is lacking in elasticity and elastic restoring force, so that the elastic working distance is small, and it is produced in a sheet shape for easy processing and handling and is relatively hard.

다른 종래기술에 의하면, 주사기 등의 용기에 담긴 디스펜싱(Dispensing)이 가능한 높은 점도의 열전도성 페이스트 상태인 열전소자 또는 이보다 높은 점도인 퍼티(Putty) 상태의 열전소자를 발열 소자인 반도체 칩 표면 위에 디스펜서로 토출하여 형성한 후, 열전소자 위에 냉각을 위한 금속 케이스를 덮고 가압하여 누른다. 이때, 열전소자는 케이스의 눌리는 힘에 의해 옆으로 밀려 퍼지면서 반도체 칩과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형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technology, a thermoelectric element in a thermally conductive paste state having a high viscosity capable of dispensing in a container such as a syringe, or a thermoelectric element in a putty state having a viscosity higher than tha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semiconductor chip Dispenser is formed by discharging. Then, a metal case for cooling is covered o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ressed. At this time,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formed by being interposed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case while spreading laterally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case.

여기서, 높은 점도란, 페이스트나 퍼티가 상온의 평면에서 작은 진동이 있어도 일정 형상을 유지하여 비교적 균일한 두꺼운 두께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의 점도를 의미할 수 있다. 가령, 높은 점도의 페이스트나 퍼티는 0.3㎜ 이상의 두꺼운 두께로 제공할 수 있어 발열 소자와 금속 케이스 간의 치수 공차가 비교적 큰 자동차 등의 전자 시스템의 어셈블리에 적용되기 용이하다.Here, the high viscosity means that the paste or putty maintains a constant shape even if there is a small vibration in the plane of room temperature, and can provide a viscosity that is comparatively uniform and can provide a thick thickness. For example, a paste or putty having a high viscosity can be provided in a thick thickness of 0.3 mm or more, so that it is easy to apply to an assembly of an electronic system such as an automobile having a relatively large dimensional tolerance between a heat generating element and a metal case.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페이스트나 퍼티 상태의 열전소자를 토출하기 위해 고가의 디스펜서(Dispensor)가 필요하여 소량 다품목 생산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According to this conventional technology, an expensive dispenser is required to discharge a thermoelectric element in a paste or putty state, which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production of a small quantity of items.

또한, 열전소자가 비교적 점도가 높아 밀림에 의한 흐름성이 나빠 큰 힘으로 토출하여야 하고, 토출 후에도 밀림에 의한 퍼짐성이 적어 발열 소자 위에 균일한 두께로 제공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has a relatively high viscosity,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uniform thickness on the heat generating element due to its poor fluidity due to the jamming and a large force.

특히, 조립시 열전도성 페이스트는 발열 소자의 바깥 부분으로 밀려나가 회로기판을 오염시킬 수 있다.Particularly, when assembled, the thermally conductive paste may be pushed to the outer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to contaminate the circuit board.

또한, 발열의 반도체 칩과 냉각의 금속 케이스와의 간격이 비교적 큰 경우, 이에 따라 치수 공차도 커서 반도체 칩과 케이스를 조립하면 열전소자가 다양한 형상으로 밀리면서 퍼져서 신뢰성 있고 균일한 열전도를 제공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반도체 칩과 케이스가 결합하면서 열전소자 위의 일부분에는 공기층이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열전소자의 두께가 불균일하여 결과적으로 신뢰성 있는 열 전달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heat-generating semiconductor chip and the cooling metal case is relatively large, the dimensional tolerance is large, so that when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case are assembled, the thermoelectric element spreads in various shapes and is difficult to provide a reliable and uniform heat conduction . For example,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case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provide an air layer on a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which results in a non-uniform thicknes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provide reliable heat transfer.

또한, 취급이 어렵고 이에 따라 장착 및 탈착이 불편하며, 진공 픽업에 의한 표면실장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handle, which makes attachment and detachment inconvenient, and surface mounting by vacuum pickup is difficult.

또한, 열전소자의 상하 점성이 유사하여 한쪽 방향으로 탈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elements have a similar upper and lower viscosity and thus are difficult to detach in one direction.

이와 유사한, 다른 종래기술에 의하면, 용기에 담긴 일반적인 꿀(Honey)과 같은 정도의 점도(중간 점도)를 갖는 페이스트 상태의 열전소자를 발열 소자인 반도체 칩 위에 가압하여 제공한 후, 이 열전소자 위에 냉각을 위한 금속 히트싱크를 올려놓고 가압하면 열전소자는 중간 점도의 크기를 갖기 때문에 적은 힘에 의해 옆으로 잘 밀려 잘 퍼지면서 반도체 칩과 히트싱크 사이에 얇은 두께로 개재된다.According to another prior art similar to this, a paste-type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viscosity (intermediate viscosity) as high as that of a general Honey in a container is provided on a semiconductor chip, which is a heating element, When the metal heat sink for cooling is put on and pressed, the thermoelectric element has a medium viscosity, so it is pushed sideways by a small force and spreads well, and is interposed with a thin thickness between the semiconductor chip and the heat sink.

여기서, 중간 점도는, 페이스트가 상온의 평면에서 진동이 없어도 흐름성이 일부 있어 일정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여 비교적 균일한 두꺼운 두께를 제공하기 어려운 정도의 점도를 의미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컴퓨터 CPU에 적용되는 써멀 구리스(Thermal Grease)일 수 있다. 가령, 중간 점도의 페이스트는 0.3㎜ 이하의 얇은 두께로 제공하기 용이하여 발열 소자와 금속 케이스 간의 기구의 간격이 적고 치수 공차가 비교적 적은 노트북 등의 전자시스템의 어셈블리에 적용되기 용이하다.Here, the intermediate viscosity may mean a viscosity at which the paste can not maintain a constant shape due to a part of the flowability even though the paste does not oscillate at a plane of normal temperature, and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relatively uniform thick thickness. For example, And may be a thermal grease applied to the substrate. For example, the paste having an intermediate viscosity is easy to provide in a thin thickness of 0.3 mm or less, so that it is easy to apply to an assembly of an electronic system such as a notebook computer having a small gap between mechanisms of a heating element and a metal case and a comparatively small dimensional tolerance.

이와 같이, 중간 점도의 페이스트 상태의 열전소자는 외부의 힘에 의해 쉽게 눌려 옆으로 밀리며 퍼지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대향하는 대상물에 적은 힘을 가한다는 장점이 있으나, 두꺼운 두께를 균일하게 제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기구의 간격이 커서 치수 치수 공차가 큰 자동차 부분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 the paste state having an intermediate viscosity is easily pressed by the external force and spreads to the side and spreads.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mall force is applied to the opposing object. However, since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provide a thick thickness,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an automotive part having a large dimensional tolerance.

또한, 조립시 열전소자 위의 일부분에는 공기층이 제공될 수 있고, 열전소자의 두께가 불균일하여, 결과적으로 신뢰성 있는 열 전달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an air layer may be provided on a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t the time of assembly, and the thicknes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uneven, resulting in a difficulty in providing reliable heat transfer.

또한, 조립시 열전도성 페이스트가 발열 소자의 바깥 부분으로 밀려나가 회로기판을 오염시킬 수 있고, 조립 후 진동이 제공되면 더 쉽게 이동하거나 외부로 빠져나간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열전도성 페이스트는 발열 소자 표면의 일부에만 제공될 수 있고 주변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thermally conductive paste is pushed to the outer portion of the heating element during assembly, the circuit board may be contaminated, and if vibration is provided after assembly, it may move more easily or may escape to the outside. For this reas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thermally conductive paste can be provided only on a part of the surface of the heating element and can contaminate the surroundings.

또한, 취급이 어렵고 이에 따라 장착 및 탈착이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handle and accordingly, installation and detachment are inconvenient.

또한, 열전소자의 상하 점성이 유사하여 한쪽 방향으로 탈착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elements have a similar upper and lower viscosity and thus are difficult to detach in one direc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현장에서 디스펜서나 프린터 등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직방향의 힘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용이하게 밀려서 퍼질 수 있는 점성을 갖는 열전소자가 내재된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having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viscosity that can be easily pushed and sprea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a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out using a dispenser or a printer or the like at a work sit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성과 흐름성이 있는 열전소자를 균일한 형상과 치수를 갖게 제공하는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ermally conductive member which provides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viscosity and flowability with a uniform shape and dimension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누르는 힘이 적게 들고, 누르면 옆으로 잘 퍼져 대상물과 밀착이 잘되고 넓은 면적의 열전소자를 갖는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ng member having a small pressing force, a pressing force spreading sideways, a close contact with an object,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large are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립 시 일정 두께가 제공되는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provided with a constant thickness during assemb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점도의 열전소자를 비교적 두꺼운 두께로 제공할 수 있어 대향하는 기구의 치수 공차가 커도 이를 수용하기 용이한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ermally conductive member which can provide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high viscosity with a comparatively large thickness, and which is easy to accommodate even if the dimensional tolerance of the opposing mechanism is lar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간 점성과 점도를 가지며 균일한 두께를 가진 신뢰성 있는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중간 점도의 열전소자를 비교적 얇은 두께로 제공할 수 있어 대향하는 기구의 치수 공차가 작아도 이를 수용하기 용이한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liable heat conducting member having an intermediate viscosity and a viscosity and having a uniform thickness.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n intermediate viscosity with a relatively thin thickness, and to provide a thermally conductive member that is easily accommodated even if the dimensional tolerance of the opposing mechanism is smal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탄성과 복원력이 향상된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having improved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고 열전도성 시트와 점착이 용이한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which can easily absorb vibration and impact transmitted from an object and is easy to adhere to the heat conductive shee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열 소자로부터 발생한 열을 최단 거리로 냉각을 위한 금속에 신뢰성 있게 전달할 수 있는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capable of reliably transferring heat generated from a heat generating element to metal for cooling at the shortest dista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의 환경에서 열전소자가 보호되며, 자동차 등의 진동 시험시 열전소자가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는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which is protected in an external environment and in which a thermoelectric element does not flow out to the outside during a vibration test of an automobile or the lik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상물에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며 한 쪽 방향으로 탈착하기 용이한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t conduction member which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to an object and is easily detachable in one directio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열전소자가 높은 점도를 가지면서 진공 픽업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열 전도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ermally conductive member having a high viscosity and capable of surface mounting by vacuum pick-up.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발열 소자와 냉각 유닛을 포함하는 대향하는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 방향으로 열 전달을 하는 열 전도 부재로, 두께 방향으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하면에 점착되는 열전도성 시트; 및 점성을 구비하여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지거나 채워져 상기 관통구멍의 측벽 및 상기 열전도성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수용체의 상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열전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열전소자의 흐름성과 퍼짐성에 의해 상기 대상물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흐르거나 퍼지고, 상기 열전소자의 열전도율은 상기 수용체의 열전도율보다 높고,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상기 대상물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 condu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opposed objects including a heat generating element and a cooling unit and performing heat transfer in a vertical direction, the heat conduction member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 A thermally conductive sheet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or;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viscosity and being fitted or filled in the through hol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through hole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nd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Where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re in contact with the object, where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thermo-conductive shee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flow or spreading due to pressure exerted by the object due to flowability and spreadability,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higher tha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receptor. A heat conducting member is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체의 탄성 복원력은 상기 열전소자의 탄성 복원력보다 우수할 수 있으며, 원래 높이의 40% 이상 눌릴 수 있다.Preferably,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receptor may be greater than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may be more than 40% of the original height.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체의 상면과 상기 열전도성 시트의 하면은 평면을 이룰 수 있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re planar.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수용체의 수평 및 수직방향의 중간 평면에 대해 대칭을 이룰 수 있다.Preferably, the through-holes may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ntermediate planes of the receptors.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체와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점착제를 개재하여 서로 점착될 수 있는데, 상기 점착제는 자기 점착성을 갖는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의 점착제일 수 있다.Preferably, the receptors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may be adhered to each other via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may be an acrylic resin or a urethane resin adhesive having self-adhesiveness.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도성 시트의 상면은 자기 점착력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와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상기 자기 점착력에 의해 서로 점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has a self-adhesive force, and the receptacle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can be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self-adhesive force.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체는 발포체로서 우레탄 고무 스펀지 또는 실리콘 고무 스펀지일 수 있고,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스킨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측벽과 상기 수용체의 외측 절단면을 포함하는 몸체는 오픈 셀 구조의 기공을 구비할 수 있다.Preferably, the receptacle may be a urethane rubber sponge or a silicone rubber sponge as a foam, and a skin layer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the body including the side wall of the through hole and the outer cut surface of the receptor Pores having an open cell structure can be provided.

바람직하게, 상기 대상물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열전소자가 눌릴 때 상기 수용체도 함께 눌릴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ressed in a state interposed between the objects, the receptors can be pressed together.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소자의 흐름 정도는, 평면에 놓인 상태에서 진동이 없을 때 일부 수평방향으로 퍼지는 페이스트(paste)나 구리스(grease)의 흐름 정도, 또는 평면에 놓인 상태에서 진동이 없을 때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는 페이스트(paste)나 점토(putty)의 흐름 정도일 수 있다.Preferably, the flow rat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determined by the flow rate of a paste or a grease spreading in a certain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re is no vibration in a state of being placed on a plane, It may be the degree of flow of paste or putty that maintains its shape.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소자의 노출면은 대략 평면을 이룰 수 있다.Preferably, the expose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substantially planar.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소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체의 관통구멍 측벽에 형성된 기공에 밀려 들어갈 수 있고, 상기 열전소자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열 전도성 파우더의 크기는 상기 수용체가 최대로 눌려졌을 때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으며, 상기 기공으로 밀려 들어간 상기 열전소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체가 눌리면 상기 기공으로부터 다시 밀려나올 수 있다.Preferably, at least a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can be pushed into a pore formed in a side wall of a through hole of the receptor, and a size of at least part of the thermally conductive powder contained 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a thickness And at least a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pushed by the pores can be pushed out of the pores when the receptor is pressed.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열전소자의 점성에 의한 자기 점착력을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thermoelectric element has a self-adhesive force due to the viscos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소자의 노출면의 표면적은 상기 발열 소자의 접촉면의 표면적과 같거나 약간 적을 수 있다.Preferably, the surface area of the expose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equal to or slightly less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heating element.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도성 시트의 두께는 상기 수용체의 두께의 1/2 이하일 수 있다.Preferably, the thickness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may be less than 1/2 of the thickness of the receptor.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열전도성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열전도성 점착제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열전도성 기재는 적어도 구리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박, 또는 이들 금속의 금속층이 형성된 섬유일 수 있다.Preferably,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has a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ubstrate,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ubstrate may be a metal foil containing at least copper or aluminum, or a fiber having a metal layer of such a metal.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도성 시트의 하면에 열전도성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a thermally conductiv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기재가 없는 열전도성 점착제로 구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may be composed of a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without a substrate.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폴리머 필름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열전도성 점착제가 형성되어 자기점착성을 가질 수 있다.Preferably,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may have a self-adhesive property by forming a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mer film base.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상기 수용체의 점착된 점착제에 의해 점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can be adhered by the adhesive of the receptor.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도성 시트의 하면은 자기점착성을 구비하여 상기 대상물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자기 점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has a self-adhesive property and can be self-adhered to the surface of any one of the objects.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상기 발열 소자 또는 상기 냉각 유닛의 표면에 직접 접촉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may directly contact the surface of the heating element or the cooling unit.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소자는 실리콘고무 또는 아크릴 수지에 열전도성 파우더 또는 열전도성 파이버가 혼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a thermally conductive powder or a thermally conductive fiber mixed with a silicone rubber or an acrylic resin.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소자의 표면적은 상기 발열 소자 및 상기 냉각 유닛의 표면적과 같거나 그보다 작을 수 있다.Preferably, the surface area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heating element and the cool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발열 소자와 냉각 유닛을 포함하는 대향하는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 방향으로 열 전달을 하는 열 전도 부재로, 두께 방향으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하면에 점착제를 개재하여 점착되는 열전도성 시트;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지거나 채워져 상기 관통구멍의 측벽과 상기 열전도성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수용체의 상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열전소자; 및 상기 열전도성 시트의 하면에 형성되는 열전도성 탄성 코팅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열전소자의 흐름성에 의해 외부의 힘에 의해 퍼지고, 상기 열전소자의 열전도율은 상기 수용체의 열전도율보다 높고,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상기 대상물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 condu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opposing objects including a heat generating element and a cooling unit and transferring heat in an up and down direction, the through hole being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 A thermally conductive sheet adhered to a lower surface of the receptor via an adhesive; A thermoelectric element which is sandwiched or filled in the through hole to contact the side wall of the through hole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And a thermally conductive elastic coating lay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where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spread by external force due to the flowabil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thermoelectric coefficien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higher tha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receptor,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re in contact with the object,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알루미늄 박, 구리 박, 또는 금속 도금된 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열전도성 실리콘고무 코팅층으로, 상기 열전소자의 경도보다 높을 수 있다.Preferably,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is made of aluminum foil, copper foil or metal plated fiber, and the coating layer is a thermally conductive silicone rubber coating layer, which may be higher than the hardnes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체의 관통구멍의 내측면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irregularities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receptor can be forme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대향하는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 방향으로 열 전달을 하는 열 전도 부재; 상기 열 전도 부재가 배치되는 시트 형상의 이형부재; 및 상기 이형부재 위에 장착되어 상기 열 전도 부재를 덮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열 전도 부재는, 두께 방향으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하면에 점착되는 열전도성 시트; 및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지거나 채워져 상기 관통구멍의 측벽과 상기 열전도성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수용체의 상면에서 노출되는 높은 점도(점성)를 갖는 열전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상기 대상물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어셈블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eat exchanger comprising: a heat condu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opposed objects to transfer heat in a vertical direction; A sheet-shaped release member on which the heat conduction member is disposed; And a protective cover mounted on the release member and covering the heat conduction member, wherein the heat conduction member comprises: an elastic receptor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 a thickness direction; A thermally conductive sheet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or;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high viscosity (viscous) that is sandwiched or filled in the through-hole to make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through-hole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nd expos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where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 plurality of heat sinks, each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bject.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열전소자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Preferably, the protective cover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바람직하게, 상기 이형부재와 상기 보호 커버에 의해 상기 열전도 부재는 진공픽업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할 수 있다.Preferably, the thermally conductive member can be surface-mounted by vacuum pick-up by the release member and the protective cover.

바람직하게, 상기 이형부재와 상기 보호 커버로 낱개로 개별 포장되거나 다수가 일정하게 배열되어 포장될 수 있다.Preferably, the mold release member and the protective cover are individually packaged individually or a plurality of them are uniformly packaged.

상기의 구조에 의하면, 열전도성 시트, 탄성을 갖는 수용체 및 점성과 흐름성이 있는 열전소자가 신뢰성 있게 결합한 단일체로 제공되므로 고객이 작업 현장에서 디스펜서나 프린터 등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균일한 형상과 치수를 갖는 점성과 흐름성이 있는 열전소자를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since a thermally conductive sheet, a receiver having elasticity,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viscosity and a flowability are provided as a single unit that is reliably combin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niform shape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dimension and a viscosity can be used.

또한, 점성과 흐름성의 특성이 있는 열전소자의 이점을 충분히 이용하여, 수직방향에서 열전소자를 누르면 열전소자는 수평방향으로 평면을 이루기 용이하다.Further, by fully utilizing the advantag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viscosity and flowability,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hermoelectric element can easily form a pla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또한, 열전소자는 수평방향으로 잘 퍼져서 대향하는 대상물에 넓은 면적으로 밀착이 잘 되어 열전달이 잘 되고, 균일한 두께와 넓고 균일한 면적을 갖기 용이하여 신뢰성 있은 열전달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element spreads wel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can be closely adhered to the opposed object with a large area, and the heat transfer is good, and it is easy to have a uniform thickness and a large and uniform area to provide reliable heat transfer.

또한, 조립 시, 수용체의 두께에 의해 일정 이하의 두께로 눌리지 않아 결과적으로 수용체는 발열 소자와 냉각 유닛에 일정한 간격을 제공한다.Further, at the time of assembly, the thickness is not pressed to a certain thickness or less depending on the thickness of the receptor, and as a result, the receptors provide a certain distance to the heating element and the cooling unit.

또한, 수용체의 적어도 일부는 발열 소자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열 소자 위에 걸치게 되고, 관통구멍에서 수용체 측벽의 기공에 존재하는 열전소자의 일부가 존재하여 열전소자는 상하 방향으로 대상물과 탄성 접촉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t least a part of the receptor is placed on the heating element along the edge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and a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existing in the pores of the side wall of the receptacle in the through hole exists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in elastic contact with the object in the up- have.

또한, 관통구멍에서 수용체 측벽의 기포에 존재하는 열전소자의 일부는 누르는 힘에 다시 나와 상하 방향의 열전도가 향상된다.Further, a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existing in the bubble in the side wall of the receiver in the through hole returns to the pressing force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mproved.

또한, 일정한 두께를 갖는 고상의 수용체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점성과 흐름성이 있는 열전소자가 내재되어 운반, 취급 및 가공 시 외부의 간섭에 대해 열전소자가 물리적으로 보호된다.In addition,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viscous and flow properties is contained i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solid-state receptor having a constant thickness,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hysically protected against external interference during transportation, handling and processing.

또한, 높은 수용체의 두께에 의해 비교적 높은 점도의 열전소자를 유사한 두께로 제공할 수 있어 대향하는 기구의 간격이 높아도 이를 수용하기 용이하다.Further, the thickness of the high receptor can provide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comparatively high viscosity at a similar thickness, so that it is easy to accommodate even if the interval of the opposing mechanisms is high.

또한, 낮은 수용체의 두께에 의해 중간 점도의 열전소자를 유사한 두께로 제공할 수 있어 대향하는 기구의 간격이 낮아도 이를 수용하기 용이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n intermediate viscosity with a similar thickness by the thickness of a low receptor, so that it is easy to accommodate even if the gap of the opposite mechanism is low.

또한, 관통구멍의 한쪽이 열전도성 시트에 의해 막힌 수용체의 관통구멍에 열전소자를 끼워 넣거나 밀어 넣기 용이하여 경제성 있게 생산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of the through holes can be produced economically by facilitating insertion or inse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receptacle clogged by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또한, 수용체의 표면이 스킨층으로 되어 대상물과 밀착이 용이하고 열전도성 시트와 점착이 잘 되어, 대상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receptor becomes a skin layer, which is easily adhered to the object and is well adhered to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so that vibration and shock transmitted from the object can be easily absorbed.

또한, 수용체 내부에 위치한 관통구멍을 통하여 발열 소자로부터 발생한 열을 열전도성 시트와 열전소자를 통하여 최단 거리로 냉각을 위한 금속에 전달할 수 있어 열전달이 빨리 잘 된다.Further, the heat generated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hrough the through holes located inside the receiver can be transferred to the metal for cooling at the shortest distance through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so that heat transfer can be performed quickly.

또한, 열전소자는 수용체에 의해 옆으로 밀려나오거나 흘러나오기 어려워 회로기판 등의 주변을 오염시키지 않고, 자동차 등의 진동 시험시 열전소자가 흘러내리기 어렵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thermoelectric element to be sidewardly pushed out or flowed out by the receiver, so that the periphery of the circuit board or the like is not contaminated,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difficult to flow down in a vibration test of an automobile or the like.

또한, 열전도성과 기계적 강도가 좋은 열전도성 시트에 의해 취급 및 장착과 탈착이 용이하고 서로 다른 점착력에 의해 재작업 또는 재활용 시 한쪽 방향으로의 분리하기 용이하다.Further,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having good thermal conductivity and mechanical strength is easy to handle, mount and detach, and can easily be separated in one direction when reworked or recycled by different adhesive forces.

또한, 열전소자의 표면적이 열전도성 시트의 표면적보다 적어 조립 시, 열전소자가 발열 소자의 표면에 점착되고 열전도성 시트가 냉각 유닛에 점착된 경우에 보다 효율적인 열전달 또는 점착력이 제공된다.Further, since the surface area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small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 more efficient heat transfer or cohesion is provided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heating element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is adhered to the cooling unit.

또한, 열전소자의 경도가 열전도성 시트의 전체적인 경도보다 낮기 때문에 발열 소자인 반도체에 물리적인 힘이 적게 가해진다.Further, since the hardnes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lower than the overall hardness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 physical force is less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which is a heat generating element.

또한, 열전소자가 열전도성 시트 위에 열전소자의 자기점착력에 의해 점착된 경우 보다 효율적인 열전달이 제공된다.In addition, more efficient heat transfer is provided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adhered to the thermo-conductive sheet by the self-adhesive for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또한, 단일체로 되고, 전체적으로 일정 이상의 기계적 강도를 갖아 취급이 용이하고 장착 및 탈착이 용이하다.In addition, it is made into a single body, has a mechanical strength of a certain level or more as a whole, is easy to handle, and is easy to mount and detach.

또한, 열전소자가 높은 점도를 갖고, 열전소자가 보호 커버와 접촉하지 않으며, 열전도성 시트가 자기 점착력이 없거나 작은 경우 진공 픽업에 의한 표면 실장이 가능하다.Further,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has a high viscosity, the thermoelectric elemen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otective cover,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has little or no self-adhesive force, surface mounting by vacuum pick-up is possible.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열 전도 부재를 나타낸다.
도 1a는 다른 예에 따른 수용체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3(c)은 다양한 열전도성 시트를 보여준다.
도 4는 열 전도 부재를 공급하는 상태의 한 예를 나타낸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열 전도 부재가 적용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6은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열 전도 부재를 나타낸다.
1 shows a heat condu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ure 1A shows a recepto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 in Fig.
Figures 3 (a) -3 (c) show various thermally conductive sheets.
Fig. 4 shows an example of a state of supplying the heat conduction member.
5 (a) to 5 (c) show a state in which the heat condu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6 shows a heat condu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It is noted that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technic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 sense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interpreted or interpreted in an excessively reduced sense. In addition, when a technical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rroneous technical term that does not accurately express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echnical terms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he general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ccording to a predefined or prior context,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excessively reduced.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열 전도 부재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2-2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3(a) 내지 3(c)은 다양한 열전도성 시트를 보여준다.Fig. 1 shows a heat-conduct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 in Fig. 1, and Figs. 3 (a) to 3 (c) show various heat-conductive sheets.

열 전도 부재는, 몸체(100)와 몸체(100)의 관통구멍(112)에 채우거나 끼워 결합하는 열전소자(200)로 구성되며, 몸체(100)는 탄성을 갖는 수용체(110)와 수용체(110)의 하면에 점착되는 자기 점착력을 갖는 열전도성 시트(120)를 구비한다.The heat conduction member is composed of a body 100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200 that fills or fits into the through hole 112 of the body 100. The body 100 includes a body 110, And a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having a self-adhesive force to be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10.

수용체(110)는 하면에 점착되는 열전도성 시트(120)와 함께 높은 점도 또는 중간 점도를 갖는 열전소자(200)를 담는 용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이다.The receptacle 110 is a component serving as a container for containing a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ving a high viscosity or an intermediate viscosity together with a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adhered to a lower surface.

수용체(110)의 하면에는 점착제(130)가 부착되거나 부착되지 않을 수 있는데, 점착제(130)가 있고 없고에 따라 열전도성 시트(120)가 자기 점착력을 구비하거나 그러지 않을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or 110 may or may not have the adhesive 130 attached thereto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may or may not have a self-adhesive force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adhesive 130.

다시 말해, 수용체(110)의 하면에 점착제(130)가 있으면 열전도성 시트(120)는 점착제(130)에 의해 수용체(110)의 하면에 점착되고, 점착제(130)가 없으면 열전도성 시트(120)는 열전도성 시트(120) 상면의 점착성에 의해 수용체(110)의 하면에 점착될 수 있다.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may be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or 110 by the adhesive 130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may be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er 110 without the adhesive 130. [ May be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er 110 due to adhesivenes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

특히, 수용체(110)의 하면에 점착제(130)가 있으면 이를 통하여 열전도성 시트(120)가 점착되므로, 결과적으로 열전도성 시트(130)의 상면은 점착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열전도성 시트(130)로, 가령 알루미늄을 사용하여 열전소자(200)가 알루미늄과 직접 접촉하여 열전도가 잘 되도록 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is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er 110 when the adhesive 130 is present, the upper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30 does not need to be tacky, For example, aluminum,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aluminum so that the thermal conduction is good.

점착제(130)는 자기 점착성을 갖는 아크릴 수지, 실리콘 고무 또는 우레탄 수지의 점착제일 수 있으나, 점착제(130) 사이에 폴리에스터(PET) 필름이 개재된 양면 점착테이프일 수도 있고 이 경우 수용체(110)의 기계적 강도가 높아진다.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130 may be a pressure sensitive adhesive of acrylic resin, silicone rubber or urethane resin having a self-adhesive property, but may be a double-sid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ape having a polyester film interposed between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130, Thereby increasing the mechanical strength.

관통구멍(112)이 형성되기 전에 수용체(110)의 하면 전체에 점착제(130)를 도포한 후 관통구멍(112)을 형성함으로써, 관통구멍(112)을 제외한 수용체(110)의 하면에 점착제(130)가 부착된다.The adhesive agent 130 is applied to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receptor 110 before the through hole 112 is formed and then the through hole 112 is formed so that the adhesive 110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or 110 except for the through hole 112 130 are attached.

관통구멍(112)을 제외한 수용체(110)의 하면에 점착제(130)가 형성되기 때문에 점착제(130)는 열전도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어 수용체(110)와 같이 열전도율이 나빠도 무방하다.Since the adhesive 13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er 110 except for the through hole 112, the adhesive 130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may have a poor thermal conductivity as the receiver 110.

이하, 각 구성부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below.

1) 수용체(container)(110)1) a container 110,

수용체(110)는, 열전소자(200)에 비해 탄성과 복원력이 좋고, 탄성 작동거리가 크고, 누르는 힘이 적게 들도록 기공이 형성된 발포체로 열에 의해 용융되는 열 가소성의 우레탄 고무 스펀지, 폴리에틸렌 스펀지, 또는 열 경화성의 실리콘 고무 스펀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체(110)는 미국 로저스사(Rogers Corp)의 상표명 포론(Poron)의 한 종류일 수 있다.The receptacle 110 is made of a thermoplastic urethane rubber sponge, polyethylene sponge, or the like, which is a foam having formed therein pores so that the elastic force and restoring for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re good, the elastic working distance is large, It may be a thermosetting silicone rubber sponge. For example, the receptor 110 may be a kind of Poron, a trademark of Rogers Corp of the United States.

수용체(110)는 열전소자(200)가 관통구멍(112)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면서 열전소자(200)가 발열 소자나 냉각 금속에 탄성 접촉되는 것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바람직하게 열전소자(100)가 외부의 적은 힘에 잘 눌리도록 수용체(110)의 밀도는 열전소자(200)의 밀도보다 매우 낮고, 수용체(110)의 복원력은 열전소자(200)의 복원력보다 매우 좋다.The receptacle 110 serves to preven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through hole 112 and to help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elastically contact the heating element or the cooling metal, The density of the receptors 110 is much lower than the dens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s 200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s 100 are pressed with a small amount of external force and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ceptors 110 is much higher than the restoring for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s 200 .

수용체(110)의 상면과 하면은 발포체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스킨층(Skin layer)을 형성하여 표면이 매끄러워 대향하는 대상물에 많이 밀착 접촉되어 진동과 충격을 잘 흡수하며, 점착력이 있는 열전도성 시트(120)와 잘 점착된다.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er 110 form a skin layer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foam so that the surface thereof is smoothly in contact with the opposed object in a lot of contact to absorb vibration and impact, Lt; RTI ID = 0.0 > 120 < / RTI >

수용체(110)의 외면은 자기 점착력이 없어, 후술하는 것처럼, 열 전도 부재를 덮는 보호 커버와 점착하지 않도록 한다.The outer surface of the receptacle 110 has no self-adhesive force and is not adhered to the protective cover covering the heat conduction member as described later.

수용체(110)의 관통구멍(112)의 측벽을 포함하는 내부는 오픈 셀 구조의 기공을 적어도 일부 포함함으로써, 열전도 부재를 제조 시 기공에 열전소자(200)가 일부 밀려 들어가 열전소자(200)와 수용체(110) 사이의 결합력이 좋아지며, 수용체(110)를 위에서 누르면 열전소자(200)의 일부가 수용체(110)의 기공으로부터 다시 밀려나와 열전달이 좋게 한다.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112 of the receptacle 110 includes at least a part of the pores of the open cell structure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partially pushed into the pores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receptors 110 is improved and a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s 200 is pushed back from the pores of the receptors 110 when the receptors 110 are pressed on the upper surface.

여기서, 오픈 셀(open cell)이라는 의미는 적어도 일부의 기공이 서로 연결된 것을 의미하며 모든 기공이 서로 연결된다는 의미는 아니다.Here, open cell means that at least some po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not all por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수용체(110)의 상면과 하면이 스킨층을 형성하는 경우, 수용체(110)의 외측 절단면은 오픈 셀 구조의 기공을 포함함으로써 수용체(110)가 상하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눌릴 수 있다. Wh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ceptacle 110 form a skin layer, the outer cut surface of the receptacle 110 includes pores of an open cell structure, so that the receptacle 110 can be elastically pressed in a vertical direction.

열전소자(200)는 수용체(110)와 함께 상하방향으로 눌리는데, 이때, 열전소자(200)의 일부가 관통구멍(112)의 측면에 형성된 오픈 셀 구조의 기공을 통하여 수용체(110)의 외측 절단면에 형성된 오픈 셀 구조의 기공으로 새어나올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push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receptacle 110. At this time, a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110 through the pores of the open cell structur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2 It can leak to the pores of the open cell structure formed on the cut surface.

따라서, 이러한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관통구멍(112)의 가장자리와 수용체(110)의 가장자리 간의 간격을 포함하는 수용체(110)의 크기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size of the receptor 110 including the distance between the edge of the through hole 112 and the edge of the receptor 110 in order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such phenomenon.

도 1a는 다른 예에 따른 수용체를 나타낸다.Figure 1A shows a receptor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이 실시 예에 의하면, 관통구멍(112)의 내측면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요철(114)이 형성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concavities and convexities 114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re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2.

요철(114)의 크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구멍(112)에 열전소자(200)가 채워지거나 끼워질 때, 열전소자(200)가 점성과 퍼짐성을 갖기 때문에 열전소자(200)는 요철(114)의 일부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채워진다.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s viscosity and spreadability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filled or fitted in the through hole 112,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not limited to the irregularities 114). ≪ / RTI >

이 상태에서, 대상물에 의해 눌리면 열전소자(200)는 높이가 줄어들면서 옆으로 퍼지게 되는데, 탄성이 훨씬 더 좋은 수용체(110)도 열전소자(200)에 의해 옆으로 퍼지기 전에 또는 퍼짐과 동시에 열전소자(200)의 일부가 요철(114)에 채워짐으로써 열전소자(200)의 퍼짐을 요철(114)이 일부 수용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object is pressed by the objec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reduced in height and spread sideways. Even before the receptor 110 spreads laterally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 part of the recess 200 is filled in the recess 114, so that the unevenness 114 partially accommodates the spread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특히, 열전소자(200)를 관통구멍(112)에 채울 때, 요철(114)의 일부는 열전소자(200)로 채워지지 않고 빈 공간으로 존재할 수 있으므로, 대상물에 의한 압력으로 열전소자(200)가 눌릴 때 이 빈 공간에 열전소자(200)의 일부가 채워지게 된다. Particularly,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filled in the through hole 112, a part of the irregularity 114 may be present as an empty space without being filled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filled in the empty space.

수용체(110)는 탄성과 복원력이 좋도록 열전도율은 열전소자(200)보다 낮아, 가령 0.3W 이하일 수 있고, 대상물에 전기적 간섭을 주지 않기 위해 전기 절연일 수 있으며, 원래 높이의 40% 이상 눌리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receptor 110 may be lower than tha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for example, 0.3 W or less so as to improve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so as not to cause electrical interference with the obje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수용체(110)는 상면과 하면이 평면을 유지하고,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형성된 관통구멍(112)을 구비한다. 누르기 전의 수용체(110)의 두께는 한정되지 않지만 0.03㎜ 내지 3㎜ 정도일 수 있고, 두께가 너무 얇으면 관통구멍(112)에 수용되는 열전소자(200)의 양이 너무 적고, 너무 두꺼우면 열전소자(200)의 원가 때문에 금속 스프링을 사용하거나 다른 대안을 찾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The receptacle 110 has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has a through hole 112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f the thickness of the receptacle 110 is too small, the amoun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ccommodated in the through hole 112 is too small. I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too thick, It may be effective to use a metal spring or find another alternative because of the cost of the tool 200. [

수용체(11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 비교적 대상물의 간격과 치수 공차가 큰 곳에 적용될 수 있으며, 수용체(110)의 두께가 얇은 경우 비교적 대상물의 간격과 치수 공차가 작은 곳에 적용될 수 있으며, 관통구멍(112) 내부에는 잘 흘러내리지 않는 정도의 점성과 흐름성이 있는 열전소자(200)가 적용될 수 있다.When the thickness of the receptacle 110 is relatively large, it can be applied to a place having a relatively large space and dimensional tolerance. When the thickness of the receptacle 110 is relatively small,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ving a viscosity and flowability that does not flow well can be applied.

관통구멍(112)은 칼날 금형에 의해 수용체(110)의 내부에 정확한 치수로 형성되고, 이 실시 예와 같이 사각형이거나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면과 하면 사이에서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112 may be formed in a precise dimension in the interior of the receiver 110 by a blade mold, and may be rectangular, circular, or polygonal as in this embodime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관통구멍(112)의 모양은 수용체(110)의 외곽 형상과 같거나 다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 관통구멍(1120의 모양은 수용체(110)가 대상물과 접촉면적이 많도록 발열 소자, 가령 IC나 반도체 칩의 표면 모양과 유사하도록 사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112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ceptacle 110. The shape of the through hole 1120 is preferably such that the receptacle 110 has a large contact area with the object, And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similar to the surface shape of the semiconductor chip.

관통구멍(112)은 수용체(110)의 수평 및 수직방향의 중간 평면에 대해 대칭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열 전도 부재가 발열 소자에 정확히 매칭될 경우 관통구멍(112)이 발열 소자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열전도가 가장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 through holes 112 are mad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ntermediate planes of the receptors 110 so that the through holes 112 are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s when the heat conducting members are accurately matched to the heat generating elements, Can be most efficiently performed.

요약하면, 수용체(110)와 수용체(110)에 형성된 관통구멍(112)은 중간 점도 및 높은 점도를 갖는 열전소자(200)를 담는 그릇 역할을 하면서, 비중 및 경도가 낮고, 탄성과 복원율이 좋고 표면이 매끄러워서 결과적으로 기계적 강도가 낮은 열전소자(200)가 수평면으로 이탈되지 않게 하면서 일정한 형상을 유지하게 하며, 열전소자(200)의 측면과 결합하여 열전소자(200)에 탄성을 제공한다. 또한, 운반, 취급 및 가공 시 기계적으로 약한 열전소자(200)를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역할을 하면서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고 또한 기구적으로 열전도 부재의 프레임(Frame) 역할을 한다.The through hole 112 formed in the receptor 110 and the receptacle 110 serves as a vessel for contain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ving an intermediate viscosity and a high viscosity and has a low specific gravity and hardness, Th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smooth,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ving a low mechanical strength is maintained in a constant shape while being not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surface, and is coupled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n addition, it physically protects thermoelectric elements 200 that are mechanically weak during transportation, handling, and processing, while absorbing external impact and mechanically serving as a frame of a heat conduction member.

2) 열전소자(200)2)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열전소자(200)는 열전도성 파우더나 열전도성 파이버가 균일하게 혼합된 실리콘 고무 또는 아크릴 수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be any one of silicone rubber or acrylic resin in which a thermally conductive powder or a thermally conductive fiber is uniformly mixed.

열전소자(200)는 점성과 흐름성 및 퍼짐성을 구비하여 대상물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퍼지거나 흐를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s viscosity, flowability, and spreadability, and can spread or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pressure exerted by the object.

열전소자(200)는 높은 점도를 갖는 열전도성 페이스트(paste) 또는 열전도성 점토(clay, putty) 상태이거나, 또는 중간 점도를 갖는 열전도성 페이스트 또는 열전도성 구리스(grease) 상태일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be in a thermally conductive paste or a thermally conductive clay, putty state having a high viscosity or a thermally conductive paste or a thermally conductive grease state having an intermediate viscosity.

여기서, 점성(Viscosity)은 유체에 내재된 점착성(물질의 차지고 끈끈한 성질), 즉 유체 요소들이 부분적으로 달라붙는 성질이나 유체 운동에 대항하는 유체의 내부 저항을 말하는 정성적인 표현이고, 점도(점성도, 점성계수, 점성률)는 유체에 대해 저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정량적인 수치를 말하는 것으로, 통상, 유체가 점성이 클수록 점도 및 저항도가 커진다.Viscosity is a qualitative expression that refers to the inherent tackiness of the fluid (ie, the sticky and sticky nature of the material), ie, the properties of the fluid elements that partially adhere to it, or the internal resistance of the fluid against fluid motion, Viscosity ratio, viscosity ratio) is a quantitative value indicating a degree of resistance to a fluid. In general, the viscosity and the degree of resistance increase as the viscosity of the fluid increases.

본 발명에서의 '높은 점도'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꿀'을 중간 점도로 정의할 때 상대적으로 이보다 큰 점도를 말하며, 주사기를 이용하여 평면에 토출한 상태에서 상온에서 수평으로 유지할 때 약한 진동이 없으면 대략 흘러내리지 않고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나 상하방향으로 적은 힘으로 눌렀을 때 수평방향을 포함하여 여러 방향으로 퍼질 수 있는 정도의 점도를 대략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term 'high viscosity'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relatively larger viscosity when defining the conventionally known 'honey' as an intermediate viscosity. When the honeycomb is horizontally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in a state of being discharged on a plane using a syringe, It is defined to mean a viscosity of about the degree that it can spread in various directions including th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 original shape is maintained without flowing down but pressed with a small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중간 점도'는 주사기를 이용하여 평면에 토출한 상태에서 상온에서 수평으로 유지할 때 진동이 없어도 약간 흘러내리는 형상을 유지하나 상하방향으로 적은 힘으로 눌렀을 때 수평방향을 포함하여 여러 방향으로 보다 쉽게 퍼질 수 있는 정도의 점도를 대략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intermediate viscosity'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tains a shape that flows down even when there is no vibration when it is held horizontally at room temperature in a state of being discharged on a plane using a syringe, but when it is pressed with a small forc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t is defined to mean roughly the degree of viscosity that can be spread more easily.

'높은 점도'의 정의를 숫자로 표현하기 어려워, 미국의 레어드테크놀로지사(www.lairdtech.com)의 디스펜싱이 가능한 갭 필러(Dispensable Gap Filler)(상품명 Tputty 508)를 예로 들면, 점도 대신에 흐름율(Flow Rate)이 75cc taper tip, 0.125" orifice, 40psi일 때 50g/min로 표기할 수 있다.In the case of Dispensable Gap Filler (trade name Tputty 508), which can be dispensed from Laird Technology Inc. (www.lairdtech.com) of the United States, it is difficult to express the definition of "high viscosity" numerically, The flow rate can be expressed as 75cc taper tip, 0.125 "orifice, and 50g / min at 40psi.

본 발명의 열전소자(200)는, '높은 점도'인 경우 시트 형상으로 만들어 관통구멍(112)에 끼우거나, '중간 점도'인 경우 시트 형상으로 제공되기 어려워 디스펜싱 작업 또는 프린팅 작업 등으로 관통구멍(112)에 채울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o a sheet shape when it has a high viscosity and is no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12 or is difficult to be provided in a sheet form when it has an intermediate viscosity, And may fill the hole 112.

이와 같이 기계적인 강도가 약한 열전소자(200)를 고상의 수용체(110)의 관통구멍(112)에 넣거나 채울 수 있다.Thus,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ving a weak mechanical strength can be inserted or filled into the through hole 112 of the solid-state receiver 110.

열전소자(200)는 경화가 완료된 제품이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경화가 일부 안 된 제품일 수도 있는데 이들의 장단점은, 이는 알려진 기술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be a hardened product or, in some cases, a hardened produc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hardened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be sel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need, according to known techniques.

열전소자(200)는 그 자체의 점성에 따른 자기 점착력을 구비하여 접촉하는 대상물에 점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열전소자(200)를 구성하는 아크릴 수지 또는 실리콘 고무의 점성에 의해 끈적거림의 자기 점착력(sticky)을 가질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be adhered to an object to be contacted with a self-adhesive force according to its own viscosity. In other words, the acrylic resin or silicone rubber constitut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have a sticky property of stickiness due to the viscosity thereof.

열전소자(200)의 열전도율은 수용체(110)의 열전도율보다 훨씬 좋으며, 가령 열전소자(200)의 열전도율은 대략 1W 내지 50W 정도일 수 있다.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much better tha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receptor 110. For exampl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be about 1W to 50W.

이와 같이, 열전소자(200)의 노출면은 발열 소자와 자기 점착력에 의해 접촉할 수 있도록 자기 점착력을 가질 수 있는데, 이 경우 취급이나 운반 중에 다른 물체에 점착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후술하는 것처럼, 열 전도 부재 자체를 플라스틱 보호 커버 등을 덮어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xpose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have a self-adhesive forc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by self-adhesive force.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pose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adhered to other objects during handling or transportation. The conductive member itself can be covered with a plastic protective cover or the like.

열전소자(200)는 전기 절연이거나 전기 (반)전도성을 구비할 수 있는데, 아크릴 수지나 실리콘 고무에 알루미나 파우더나 보론과 같은 열전도성 세라믹 파우더를 혼합하면 전기 절연이고, 열 전도성이 좋은 카본 파이버나 금속 파우더 등을 혼합할 경우 전기 (반)전도성이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be electrically insulated or may have electrical (semi-) conductivity. When thermally conductive ceramic powder such as alumina powder or boron is mixed with acrylic resin or silicone rubber, it is electrically insulated. It is an electric (semi-) conductivity when metal powders are mixed.

열전소자(200)에 포함된 열전도성 파우더가 수용체(110)의 기공에 일부 밀려 들어가도록 하기 위해 열전도성 파우더의 크기가 한정될 수 있다.The siz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powder may be limited so that the thermally conductive powder included 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partially pushed into the pores of the receptor 110.

일 실시 예로, 열전소자(200)에 포함된 열전도성 파우더는 수용체(110)의 기공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힘에 의해 기공으로 밀려 들어갈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thermally conductive powder included 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be pushed into the pores by an external force by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pores of the receptacle 110.

상기한 것처럼, 열전소자(200)는 관통구멍(112)에 끼워지거나 채워지고 이 과정 중에 열전소자(200)의 일부는 수용체(110)의 기공을 통하여 밀려 들어가기 때문에 관통구멍(112)과 유사 또는 동일한 형상을 구비하면서 결합력이 증가하고, 열전소자(200)가 외부의 힘으로 눌릴 때 수용체(110)도 일부는 같이 눌릴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fitted or filled in the through hole 112 and a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pushed through the pores of the receptacle 110 during the process, The coupling force is increased while having the same shape, and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pushed by an external force, the receptors 110 can be partly pressed together.

수용체(110)의 관통구멍(112)에 열전소자(200)가 삽입되거나 채워진 후 열전소자(200)의 노출면(210)은 평면을 이룰 수 있지만, 대상물 사이에 눌려져 사용되므로 굳이 정확한 평면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열전소자(200)는 관통구멍(112) 내부에 채워진 후 반도체 칩에서 수직으로 제공하는 적은 힘에도 눌려서 수평면으로 퍼질 수 있기 때문이다.The exposed surface 210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fter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inserted or filled in the through hole 112 of the receptacle 110 may be flat but it is not precisely flat since it is used between the objects It is acceptable. For exampl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be pushed into the horizontal plane by being pressed against even a small force vertically provided in the semiconductor chip after being filled in the through hole 112.

이와 같이, 열전소자(200)는 눌리면 상면과 하면이 수평을 이루어 전체적으로 유사한 두께를 가지는데, 보다 효율적인 열전달을 위하여 열전소자(200)의 노출면(210)은 수용체(110)의 상면과 수평 레벨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열전소자(200)의 점성, 점도 및 크기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에 맞는다면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In this cas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s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n a horizontal plane,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s a thickness similar to tha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meet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pending on the viscosity, viscosity and siz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예를 들어, 열전소자(200)가 '높은 점도'를 가지면 수용체(110)의 상면과 유사한 수평 레벨을 이룰 수 있고, '중간 점도'를 가지면 수용체(110)의 상면의 수평 레벨보다 약간 아래 정도가 바람직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s a 'high viscosity', a horizontal level similar to tha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or 110 can be obtained. I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s a 'medium viscosity' May be preferred.

열전소자(200)의 노출면(210)의 표면적을 발열 소자의 접촉면의 표면적과 같거나 가능한 적게 형성하여 대상물과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열전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surface area of the exposed surface 210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made as small as possible or as small as the surfac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so as to maximize the contact area with the object to increase the thermal conductivity in the vertical direction.

열전소자(200)가 관통구멍(112)의 입구로부터 돌출하는 경우, 대상물에 힘을 가할 때, 열전소자(200)의 노출면(210)에 먼저 접촉하기 때문에 열 접촉이 확실하지만, 열전소자(200)의 돌출된 양에 의하여 대상물이 몸체(100)의 수용체(110)에 닿기까지 힘이 더 들 수 있고, 결과적으로 누르는 힘이 커진다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wher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protrudes from the inlet of the through hole 112, 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first contacts the exposed surface 210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object, 200, the force of the object can be increased until the object touches the receptacle 110 of the body 100, resulting in a large pressing force.

그러나 열전소자(200)는 흐름성과 퍼짐 특성이 있으므로 약간 높은 것은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s flowability and spreading characteristics, a slightly higher temperature may not be a problem.

또한, 열전소자(200)의 노출면이 수용체(110)의 상면과 같은 수평 레벨을 이루는 경우, 대상물에 힘을 가할 때, 열전소자(200)와 수용체(110)가 동시에 접촉되기 용이하여 이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고, 제조할 때 치수 공차가 있어 약간 다를 수 있지만, 열전소자(200)는 약간의 흐름성과 퍼짐 특성이 있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When the expose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s the same horizontal level as tha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110,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nd the receptacle 110 are easily brought into contact at the same time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object, And the dimensional toleran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may be slightly different. However,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s little flow and spreading characteristics and is not a serious problem.

그리고 열전소자(200)의 노출면이 수용체(110)의 상면의 수평 레벨보다 약간 낮은 경우, 대상물에 힘을 가할 때, 수용체(110)가 먼저 접촉하지만, 수용체(110)의 밀도와 경도가 낮기 때문에 대상물은 열전소자(200)에 용이하게 접촉할 수 있다. When the expose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slightly lower than the horizontal level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110, the receptacle 110 contacts first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object, but the density and hardness of the receptacle 110 are low Therefore, the object can easily contac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이 실시 예에서는 열전소자(200)의 노출면(210)이 수용체(110)의 상면과 대략 같은 수평 레벨을 이루는 것을 예로 든다.In this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the exposed surface 210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s substantially the same horizontal level as tha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or 110.

상기한 것처럼, 수용체(110)의 관통구멍(112) 내면에 형성된 일부 오픈 셀 구조의 기공으로 통하여 점성과 흐름성을 갖는 실리콘 오일, 바인더 및 첨가제 등으로 구성된 열전소자(200)의 일부가 밀려 들어가 열전소자(200)와 수용체(110) 사이의 결합력이 증가한다.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onstituted by the silicone oil, the binder and the additive having viscosity and flowability is pushed through the pores of the open cell structu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12 of the receiver 110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nd the receptor 110 increases.

그 결과, 대상물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힘을 받거나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열전소자(200)가 관통구멍(112) 내에서 상하로 움직이거나 빠지는 것을 일부 방지할 수 있고 수용체(110)와 열전소자(200)가 기구적으로 일부 일체화되고 또한 열전소자(200)의 측면에 탄성을 일부 제공한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artially preven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from moving up or down in the through hole 112 due to a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object or by vibration or shock, Are partly mechanically integrated and also provide some elasticity to the sid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또한,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을 수용체(110)와 열전소자(200)가 일체적으로 전달받아 외부의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기 용이하다.In addition, the receiver 11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receive external vibrations or shocks integrally to easily absorb external vibrations and shocks.

또한, 수용체(110)가 열전소자(200)에 보다 견고하게 일체화되어 외부의 힘에 의해 수용체(110)에서 열전소자(200)가 분리되는 현상을 적게 하여 한 번에 대상물에 장착하거나 분리하기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receptor 110 is firmly integrated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the phenomenon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separated from the receptor 110 due to an external force is reduced, Do.

또한, 비교적 탄성과 복원력이 적은 열전소자(200)의 외측벽이 탄성과 복원력이 좋은 수용체(110)와 일부 일체화됨으로써, 열 전도 부재가 대상물에 의해 눌렸다가 펴질 때, 수용체(110)가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되면서 일체화된 열전소자(200)도 높이에 따라 일부 복원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uter wall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which is comparatively less resilient and less restoring, is integrally integrated with the receptacle 110 having good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when the thermally conductive member is pressed and spread by the object, The integrated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be partially restored according to its height.

3) 열전도성 시트(120)3)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열전도성 시트(120)는 수용체(110)의 하면에 점착되어 수용체(110)의 관통구멍(112)을 막아 관통구멍(112)이 용기가 되게 하는 역할과, 열전소자(200)나 냉각 유닛과 같은 대상물에 자기 점착되거나 접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is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110 to block the through hole 112 of the receptacle 110 to make the through hole 112 a container, It is self-adhesive to or contacts the same object.

일 실시 예로, 열전도성 시트(120)는, 실리콘 고무나 아크릴 수지에 열전도성 파우더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구성되고, 열전도율은 0.5W 내지 10W로 열전소자(200)의 열전도율보다 낮다.In one embodiment,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is formed by uniformly mixing thermally conductive powder in a silicone rubber or an acrylic resin, and has a thermal conductivity of 0.5 W to 10 W, which is lower than tha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바람직하게, 열전도성 시트(120)와 열전소자(200)는 동일 또는 유사한 폴리머 재료의 계열로 구성되어 서로 간에 우수한 점착력을 유지한다.Preferably,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re composed of the same or similar series of polymer materials to maintain excellent adhesion to each other.

열전도성 시트(120)는, 자기 점착성을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으며, 자기 점착력을 갖는 경우 열전도성 시트(120)의 자기 점착력은 열전소자(200)의 자기 점착력보다 크다.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may or may not have a self-adhesive property, and the self-adhesive force of the thermally-conductive sheet 120 is greater than the self-adhesive for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when the self-

상기한 것처럼, 열전도성 시트(120)의 열전도율이 열전소자(200)의 열전도율보다 낮지만, 열전도성 시트(120)의 두께를 가능한 얇게 하여, 일 예로 0.05㎜ 내지 0.2㎜, 열전달의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is lower tha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but the thickness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is made as thin as possible, for example, 0.05 mm to 0.2 mm, can do.

이 실시 예를 포함하여, 열전도성 시트(120)는 여러 가지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Including this embodiment,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may have various structures.

도 3(a)은, 이 실시 예와 같이, 실리콘 고무나 아크릴 수지에 열전도성 파우더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단일체의 양면에 자기 점착력을 갖는 열전도성 점착시트(121)를 구성하는데, 중간에 PET 필름 같은 기재를 구비하지 않아 기계적 강도가 약하다.3 (a) shows a thermally condu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21 which is uniformly mixed with silicone rubber or acrylic resin and has a self-adhesive force on both sides thereof, as in this embodiment. In the middle, The same substrate is not provided and the mechanical strength is weak.

이와 같은 열전도성 점착시트(121)는 수용체(110)의 하면에 점착제가 없는 경우 사용될 수 있고, 액상의 열전도성 실리콘 고무나 아크릴 수지를 캐스팅한 후 경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thermally conduct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121 can be used when there is no pressure sensitive adhesi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or 110, and can be produced by casting a liquid thermally conductive silicone rubber or acrylic resin and curing.

도 3(b)은 열전도성 기재(122)의 양면에 열전도성 점착시트(121)가 형성된 구조를 갖고, 도 3(c)은 열전도성 기재(122)의 한 면에 열전도성 점착시트(121)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기재(122)는 PET 필름, 구리나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 또는 금속층이 형성된 섬유일 수 있다.3 (b) shows a structure in which a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sheet 121 is formed on both surfaces of a thermally conductive substrate 122, and FIG. 3 (c) shows a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sheet 121 ) Are formed. The substrate 122 may be a PET film, a metal foil such as copper or aluminum, or a fiber having a metal layer formed thereon.

이와 같은 열전도성 점착시트(121)는 수용체(110)의 하면에 점착제가 없는 경우 사용될 수 있고, 액상의 열전도성 실리콘 고무나 아크릴 수지를 열전도성 기재(122)에 캐스팅한 후 경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The thermally conductiv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121 can be used when there is no pressure-sensitive adhesi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iver 110, and can be manufactured by casting a liquid thermally conductive silicone rubber or acrylic resin on the thermally conductive substrate 122, have.

열전도성 기재(122)가 열전도율이 좋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박인 경우에 열전소자(200)와 열전달이 잘 된다.When the thermally conductive substrate 122 is a metal foil such as aluminum having a good thermal conductivity, heat transfer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good.

또한, 이와 동일한 구조를 구비하면서, 열전도성 점착시트(121) 대신에 실리콘 고무와 같은 열전도성 탄성 코팅층을 적용할 수 있으며, 코팅층은 자기 점착력을 갖거나 갖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A thermally conductive elastic coating layer such as silicone rubber may be used instead of the thermally conductiv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121 having the sam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ating layer may or may not have self-adhesive for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열 전도 부재는 IC나 반도체 칩과 같은 발열 소자와 금속 케이스와 같은 냉각유닛 사이에 개재되어 사용된다.The heat conduction member having such a structure is used interposed between a heating element such as an IC or a semiconductor chip and a cooling unit such as a metal case.

바람직하게, 열전소자(200)는 발열 소자의 표면에 접촉하게 한다.Preferably,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이때, 열 전도 부재를 금속 케이스에 먼저 붙이고 반도체 칩에 조립하던지 반도체 칩에 먼저 붙이고 금속 케이스에 조립하던지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가령, 노출면이 열전소자(200)보다 넓은 열전도성 시트(120)를 냉각유닛인 금속 케이스에 붙인 후 반도체 칩이 장착된 인쇄기판과 케이스를 조립함으로써 쉽고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select whether or not the heat conducting member is attached to the metal case first and then assembled to the semiconductor chip or the semiconductor chip and assembled to the metal case. For example,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having an exposed surface wider than the thermoelectric elements 200 is attached to a metal case as a cooling unit, and the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case on which the semiconductor chips are mounted can be assembled easily and simply.

이러한 구조 및 구성에서, 재작업(rework) 또는 재활용(recycle) 시 노출면의 면적이 작고 자기 점착력이 작은 열전소자(200)가 반도체 칩에서 쉽게 분리되어 재작업 및 재활용이 용이하다.In this structure and configuratio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ving a small exposed surface area and a small self-adhesive force at the time of rework or recycl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emiconductor chip, thereby facilitating rework and recycling.

또한, 열전소자(200)가 수용체(110)의 내부에 내재되고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열전소자(200) 고유의 열전도 성능과 수용체(110) 고유의 탄성과 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embedded inside the receptor 110 and a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heat conduction performance inherent to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nd the elasticity and restoring force inherent to the receptor 110 can be exerted.

또한, 열전도성 시트(120)를 적용함으로써, 수용체(110)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체(110)는 발포체라 탄성, 복원력 및 유연성이 좋은 반면 기계적 강도가 작아 취급이나 가공이 불편한데, 기계적 강도가 일부 있는 열전도성 시트(120)를 추가로 점착하여 적용함으로써 전체적인 기계적 강도를 일부 보강할 수 있어 취급 및 장착, 착탈이 더욱 용이하다.Further, by applying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receptor 110 can be reinforced. For example, the receptacle 110 is a foamed body, which is excellent in elasticity, resilience, and flexibility. However, since the mechanical strength is low, handling and processing are inconvenient.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It is easier to handle, mount and detach.

또한, 관통구멍(112)의 한쪽이 열전도성 시트(120)에 의해 막힌 수용체(110)의 관통구멍(112)에 열전소자(200)를 끼워 넣거나 밀어 넣기 용이하여 신뢰성 있고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 In addition, one of the through holes 112 can be easily and reliably and easily produced by fitting or pushing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nto the through hole 112 of the receptacle 110 blocked by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또한, 수용체(110)의 두께에 따라 열전소자를 균일한 두께로 제공할 수 있어 대향하는 기구의 간격이나 치수 공차가 크거나 적아도 이를 수용하기 용이하다.Fur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thermoelectric elements with a uniform thicknes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receptors 110, so that it is easy to accommodate the thermoelectric elements even if the gap or the dimensional tolerance of the opposing mechanism is large or small.

또한, 열 전도 부재를 대상물이 수직방향에서 누르면, 열전소자(200)는 적은 힘으로도 수평방향으로 손쉽게 밀려 결과적으로 대향하는 대상물에 힘을 가하지 않으면서도 넓은 면적의 접촉과 좋은 밀착을 제공하여 결과적으로 열전달을 잘하고, 이때, 수용체에 의해 흐름성이 있는 열전소자(200)가 옆으로 새어나가지 않아 주변을 오염 시키지 않으며, 수용체(110)는 수직방향으로 변형되어 전체적으로 대향하는 대상물과 열전소자(200)가 탄성접촉하는 것을 도와준다.Further, when the object is 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heat conducting member,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be easily push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ith a small force, resulting in a large area contact and good close contact without applying force to the opposed object. At this tim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ving flowability by the receptor does not leak sideways so as not to pollute the periphery, and the receptor 110 is de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 To assist in elastic contact.

또한, 열전소자(200)가 관통구멍에 수납된 상태이므로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보호되며, 자동차 등의 진동 시험시 열전소자(200)가 외부로 흘러내리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housed in the through hole, it is protec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does not flow out to the outside during a vibration test of an automobile or the like.

도 4는 열 전도 부재를 공급하는 상태의 한 예를 나타낸다.Fig. 4 shows an example of a state of supplying the heat conduction member.

열 전도 부재는 이형필름(10) 위에 배열되고, 플라스틱 재질의 보호 커버(20)에 의해 외부로 노출된 열전소자(200)의 표면이 닿지 않게 덮인 상태에서 공급될 수 있다.The heat conduction member is arranged on the release film 10 and can be supplied in a state in which the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exposed to the outside by the protective cover 20 made of plastic is not covered.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자기 점착력을 갖는 열전소자(200)의 노출면(210)이 모자 형상의 보호 커버(20)에 의해 내부 및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기 때문에 열전소자(200)의 취급이나 운반 중에 발생하는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exposed surface 210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ving the self-adhesive force is protected from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by the cap-shaped protective cover 20,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generated during handling or transporta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Can be eliminated.

또한, 열전도성 시트(120)의 하면에 자기 점착력이 없는 경우, 커버(20)와 열전소자(200)는 점착되지 않고 수용체(110)의 표면도 자기 점착성이 없기 때문에, 열 전도 부재를 열전도성 시트(120)의 하면에서 진공픽업하여 표면실장 할 수 있다.If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does not have a self-adhesive force, the cover 2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do not adhere to each other and the surface of the receptor 110 does not have self- And can be vacuum-picked up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heet 120 to be surface-mounted.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열 전도 부재가 적용되는 상태를 보여준다.5 (a) to 5 (c) show a state in which the heat condu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a)와 같이, 열전소자(200)의 크기가 반도체 칩(60)의 크기와 같은 경우, 수용체(110)는 반도체 칩(60)의 지지를 충분히 받지 못하지만 수용체(110)의 기공으로 밀려 들어간 열전소자(200)에 의해 수용체(110)와 열전소자(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이므로 수용체(110)는 열전소자(200)의 탄성을 일부 향상시킨다.5 (a), when the siz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equal to the size of the semiconductor chip 60, the receptacle 110 does not sufficiently support the semiconductor chip 60, but the pores of the receptacle 110 Since the receptor 11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pushed in, the receptor 110 improves the elastic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partially.

반도체 칩(60)으로부터 발생한 열은 열전도성 시트(120)와 열전소자(200)를 순차적으로 거쳐 금속 케이스(70)로 전달된다.Heat generated from the semiconductor chip 60 is transferred to the metal case 70 sequentially through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and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도 5(b)와 같이, 열전소자(200)의 크기가 반도체 칩(60)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수용체(110)가 반도체 칩(60)이 밑에서 충분히 지지하여 금속 케이스(70)에 의해 잘 눌리지만 전체적으로 열 전도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다.5 (b), when the siz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semiconductor chip 60, the receiver 110 sufficiently supports the semiconductor chip 60 from underneath, But the overall heat conduction area is relatively small.

도 5(c)와 같이, 열전소자(200)의 크기가 반도체 칩(60)의 크기보다 넓은 경우, 수용체(110)는 반도체 칩(60)이 밑에서 전혀 지지하지 않아 수용체(110)의 탄성이 신뢰성 있게 제공되기 어렵고 열전소자(200)의 가격에 의해 재료비도 증가한다.5 (c), when the siz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wider than the size of the semiconductor chip 60, the semiconductor chip 60 is not supported at all from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110, It is difficult to reliably provide and the material cost also increases due to the pri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결과적으로, 대상물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효율적인 열전달을 위해 열전소자(200)의 크기가 반도체 칩(60)의 크기와 같거나 약간 작은 경우가 바람직하다.As a result,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miconductor chip 60 for efficient heat transfer between the objects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6은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열 전도 부재를 나타낸다.Figure 6 shows a heat conducting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 실시 예에서, 열전도성 시트(120)는 알루미늄 박, 구리 박, 또는 금속 도금된 섬유로 구성하고, 적어도 그 하면에 열전도성 탄성 코팅층(140)을 형성한다.In this embodiment,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is made of an aluminum foil, a copper foil, or a metal plated fiber, and a thermally conductive elastic coating layer 140 is formed on at least a lower surface thereof.

열전도성 시트(120)는 자기 점착력을 구비하지 않은 경우에, 수용체(110)의 하면에 점착된 점착제(130)에 의해 수용체(110)에 점착될 수 있다.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can be adhered to the receptor 110 by the adhesive 130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or 110 when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does not have a self-adhesive force.

코팅층(140)은 열전도성 실리콘고무 코팅층일 수 있으며, 대략 고상으로 경도는 페이스트나 퍼티 상의 열전소자(200)보다 높아 shore A 30 내지 70 정도일 수 있다.The coating layer 140 may be a thermally conductive silicone rubber coating layer. The coating layer 140 may have a hardness of about 30 to about 70 shore A,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the paste or putty thermoelectric element 200.

이와 같이 코팅층(140)은 열전소자(200)보다 경도가 높고 흐름성이 적은 고상이기 때문에 수직방향으로 눌리면 열전소자(200)가 수평으로 퍼지면서 많이 눌려 대향하는 대상물과 밀착이 잘 된다.Since the coating layer 140 has a hardness higher than tha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and has a low flowability,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is pres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spreads horizontally and is pressed against the opposing object.

결과적으로, 열전소자(200)는 흐름성이 있는 열전소자의 역할을 하고, 코팅층(140)은 흐름성이 없는 열전소자의 역할을 하여 서로 보완 관계를 이룰 수 있고, 결과적으로 더 얇은 두께의 열전소자(200)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s a result,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serves as a flowabl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coating layer 140 serves as a non-flowable thermoelectric element, which can complement each other. As a resul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vice 200 can be used.

코팅층(140)은, 가령 알루미늄 박 위에 액상의 열전도성 실리콘고무를 얇게 코팅하고 경화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알루미늄 박의 두께는 5 내지 150미크론, 코팅층(140)의 두께는 10 내지 80미크론 정도일 수 있다.The coating layer 140 may be formed by thinly coating and curing a liquid thermally conductive silicone rubber on an aluminum foil, and the aluminum foil may have a thickness of 5 to 150 microns and the coating layer 140 may have a thickness of 10 to 80 microns have.

코팅층(140)의 하면은 자기 점착력이 있거나 자기 점착력이 없을 수도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140 may have a self-adhesive property or a self-adhesive property.

자기 점착력이 있는 경우 열전달이 더 용이하고 자기 점착력이 없는 경우에는 진공 픽업이 용이하다. 자기 점착력이 없는 경우에는 가공 및 취급이 용이하도록 약간의 자기 점착력이 있는 이형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Vacuum pickup is easy when heat transfer is easier and there is no self-adhesive force in case of self-adhesive force. When there is no self-adhesive force, a release film having a slight self-adhesive force can be used to facilitate processing and handling.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열전소자 - 금속 박(알루미늄 박) - 열전도성 코팅층으로 구성된 열전도성이 우수한 열 전도 부재가 냉각 유닛과 발열 소자 사이에서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열전도가 잘 이루어지며, 특히 열전소자(200)와 코팅층(140)의 열전도율이 유사할 경우 열전도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since the heat conduction member having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composed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metal foil (aluminum foil) -thermally conductive coating layer is in direct contact between the cooling unit and the heat generating element, heat conduction is performed well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device 200 and the coating layer 140 are similar, the thermal conductivity can be maximized.

또한, 일부 탄성을 갖는 열전소자(200)가 알루미늄 박(120)에 직접 접촉하고, 일부 탄성을 갖는 코팅층(140)이 발열 소자나 냉각 유닛에 직접 접촉하여 밀착되기 때문에 일부 탄성을 가지며 밀착되기 때문에 열전도가 좋다.Since the thermoelectric element 200 having some elasticity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aluminum foil 120 and the coating layer 140 having a certain elasticity comes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or the cooling unit and is in close contact therewith, Thermal conductivity is good.

또한, 알루미늄 박(120)과 코팅층(140)의 조합에 의해 전체적인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어, 취급이 용이하고 장착과 탈착이 용이하다.Further, the combination of the aluminum foil 120 and the coating layer 140 improves the overall mechanical strength, facilitating handling, and facilitating mounting and detachment.

또한, 열전도성 시트(120)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박 또는 구리 박은 가격이 싸고 잘 연신되는 특성이 있다.In addition, the aluminum foil or the copper foil constituting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120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price is low and the foil is stretched well.

또한, 제조가 용이하여 다양한 특성을 갖기 용이하고 사용하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Further, it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has various characteristics, and is easy to use.

이 실시 예에서, 열전도성 파우더가 대상물에 상처를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열전도성 파우더의 크기는 한정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iz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powder may be limited to prevent the thermally conductive powder from scarring the object.

예를 들어, 코팅층(140)에 포함된 기계적 강도가 큰 알루미나 또는 보론 파우더의 크기가 클 경우, 대상물 사이에 열 전도 부재를 개재한 후 진동시험 시 진동에 따른 움직임에 의해 알루미나 또는 보론 파우더가 대상물의 표면에 상처를 주기 때문에 알루미나 또는 보론 파우더의 크기는 최대로 압착된 경우의 수용체(110)나 코팅층(140)의 두께보다 적을 필요가 있다.For example, when the size of the alumina or boron powder having a high mechanical strength included in the coating layer 140 is large, alumina or boron powder is moved by the movement of the vibration during the vibration test after interposing the heat conduction member between the objects, The size of the alumina or boron powder needs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ceptor 110 or the coating layer 140 when compressed to the maximum.

본 발명의 열 전도 부재는 전자기기 내부의 발열을 제공하는 반도체, 스피커, 모터,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냉각을 제공하는 금속 케이스 또는 히트싱크 등의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열전달 및 열냉각하면서 제공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The heat condu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heat conduction member that is interposed between an object such as a semiconductor, a speaker, a motor, or a display panel that provides heat generation inside an electronic device and a metal case or a heat sink that provides cooling, It absorbs shocks.

상기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이형필름 위에 열전도성 시트, 탄성을 갖는 수용체 및 흐름과 점성이 있는 열전소자가 서로 연결된 단일체 상태로 제공하므로 고객이 작업 현장에서 디스펜서나 프린터 등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점성과 흐름성이 있는 비교적 균일한 형상을 갖는 열전소자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hermoelectric sheet, a receiver having elasticity, and a flow and a viscous thermoelectric element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monolithic state on a release film, so that a customer can use a dispenser or a printer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relatively uniform shape having viscosity and flowability can be easily us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어 해석될 수 없으며, 이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should be construed in view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100: 몸체
110: 탄성 수용체
112: 관통구멍
120: 열전도성 시트
200: 열전소자
100: Body
110: elastic receptor
112: Through hole
120: thermally conductive sheet
200: thermoelectric element

Claims (38)

발열 소자와 냉각 유닛을 포함하는 대향하는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 방향으로 열 전달을 하는 열 전도 부재로,
두께 방향으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하면에 점착되는 열전도성 시트; 및
점성을 구비하여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지거나 채워져 상기 관통구멍의 측벽 및 상기 열전도성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수용체의 상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열전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열전소자의 흐름성과 퍼짐성에 의해 상기 대상물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흐르거나 퍼지고,
상기 열전소자의 열전도율은 상기 수용체의 열전도율보다 높고,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상기 대상물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A heat condu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opposed objects including a heat generating element and a cooling unit and transferring hea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elastic receptor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thermally conductive sheet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or;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having a viscosity and being fitted or filled in the through hol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through hole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nd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The thermoelectric element flows or spreads due to the pressure exerted by the object due to flow and spreadabil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higher tha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receptor,
Where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re in contact with the object, respectively.
청구항 1에서,
상기 수용체의 탄성 복원력은 상기 열전소자의 탄성 복원력보다 좋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receptor is better than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청구항 1에서,
상기 수용체의 상면과 상기 열전도성 시트의 하면은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form a plane.
청구항 1에서,
상기 관통구멍은 상기 수용체의 수평 및 수직방향의 중간 평면에 대해 대칭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through holes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 intermediate plane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f the receptacle.
청구항 1에서,
상기 수용체는 원래 높이의 40% 이상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receptacle is pressed at least 40% of its original height.
청구항 1에서,
상기 수용체와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점착제를 개재하여 서로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receptacle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re adhered to each other via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청구항 6에서,
상기 점착제는 자기 점착성을 갖는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의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6,
Where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an acrylic resin or a urethane resin pressure-sensitive adhesive having self-adhesive property.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도성 시트의 상면은 자기 점착력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체와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상기 자기 점착력에 의해 서로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has a self-
Wherein the receptacle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re adhered to each other by the self-adhesive force.
청구항 1에서,
상기 수용체는 발포체로서,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스킨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측벽과 상기 수용체의 외측 절단면을 포함하는 몸체는 오픈 셀 구조의 기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ptacle is a foam, in which a skin layer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 body including an outer cut surface of the receptacle and a side wall of the through hole has pores of an open cell structure Conductive member.
청구항 1에서,
상기 대상물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열전소자가 눌릴 때 상기 수용체도 함께 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And the receptacle is pressed together when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ressed in a state interposed between the objects.
청구항 1에서,
상기 수용체는 우레탄 고무 스펀지 또는 실리콘 고무 스펀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receptacle is a urethane rubber sponge or a silicone rubber sponge.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소자의 흐름 정도는, 평면에 놓인 상태에서 진동이 없을 때 일부 수평방향으로 퍼지는 페이스트(paste)나 구리스(grease)의 흐름 정도, 또는 평면에 놓인 상태에서 진동이 없을 때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는 페이스트(paste)나 점토(putty)의 흐름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The degree of flow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determined by the degree of flow of paste or grease spreading in some horizontal direction when there is no vibration in a state of being in a plane, Wherein the heat conduction member is a degree of flow of a paste or a putty.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소자의 노출면은 대략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expose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substantially planar.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소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체의 관통구멍 측벽에 형성된 기공에 밀려 들어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And at least a par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pushed into a pore formed in a side wall of a through hole of the receptor.
청구항 14에서,
상기 열전소자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열 전도성 파우더의 크기는 상기 수용체가 최대로 눌려졌을 때의 두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4,
Wherein a size of at least a part of the thermally conductive powder contained 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smaller than a thickness when the receptacle is pressed to the maximum.
청구항 14에서,
상기 기공으로 밀려 들어간 상기 열전소자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수용체가 눌리면 상기 기공으로부터 다시 밀려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4,
Wherein at least a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pushed into the pores is pushed out of the pores when the receptacle is pushed.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열전소자의 점성에 의한 자기 점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has a self-adhesive force due to viscos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소자의 노출면의 표면적은 상기 발열 소자의 접촉면의 표면적과 같거나 약간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surface area of the exposed surface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surface area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heat generating element.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도성 시트의 두께는 상기 수용체의 두께의 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is 1/2 or less of the thickness of the receptacle.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열전도성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열전도성 점착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has a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ubstrate.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도성 기재는 적어도 구리나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금속박, 또는 이들 금속의 금속층이 형성된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thermally conductive base material is a metal foil containing at least copper or aluminum, or a fiber having a metal layer of such a metal.
청구항 21에서,
상기 열전도성 시트의 하면에 열전도성 코팅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21,
And a thermally conductive coating layer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기재가 없는 열전도성 점착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is made of a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without a substrate.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폴리머 필름 기재의 적어도 한 면에 열전도성 점착제가 형성되어 자기점착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has a self-adhesive property by forming a thermally conductive adhesiv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polymer film base.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상기 수용체의 점착된 점착제에 의해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is adhered by the adhesive of the receptor.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도성 시트의 하면은 자기점착성을 구비하여 상기 대상물 중 어느 하나의 표면에 자기 점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is self-adhesive to the surface of one of the objects.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상기 발열 소자 또는 상기 냉각 유닛의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heating element or the cooling unit.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소자는 실리콘고무 또는 아크릴 수지에 열전도성 파우더 또는 열전도성 파이버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formed by mixing thermally conductive powder or thermally conductive fiber with silicone rubber or acrylic resin.
청구항 1에서,
상기 열전소자의 표면적은 상기 발열 소자 및 상기 냉각 유닛의 표면적과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In claim 1,
Wherein a surface area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equal to or smaller than a surface area of the heating element and the cooling unit.
발열 소자와 냉각 유닛을 포함하는 대향하는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 방향으로 열 전달을 하는 열 전도 부재로,
두께 방향으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하면에 점착제를 개재하여 점착되는 열전도성 시트;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지거나 채워져 상기 관통구멍의 측벽과 상기 열전도성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수용체의 상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열전소자; 및
상기 열전도성 시트의 하면에 형성되는 열전도성 탄성 코팅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열전소자의 흐름성과 퍼짐성에 의해 상기 대상물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흐르거나 퍼지고,
상기 열전소자의 열전도율은 상기 수용체의 열전도율보다 높고,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상기 대상물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A heat condu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opposed objects including a heat generating element and a cooling unit and transferring heat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elastic receptor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thermally conductive sheet adhered to a lower surface of the receptor via an adhesive;
A thermoelectric element which is sandwiched or filled in the through hole to contact the side wall of the through hole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And
And a thermally conductive elastic coating layer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Flows or spreads by the pressure exerted by the object due to the flowability and spreadabil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higher tha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receptor,
Where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re in contact with the object, respectively.
청구항 30에서,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알루미늄 박, 구리 박, 또는 금속 도금된 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코팅층은 열전도성 실리콘고무 코팅층으로, 상기 열전소자의 경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0041] In claim 30,
Wherein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is composed of an aluminum foil, a copper foil or a metal plated fiber,
Wherein the coating layer is a thermally conductive silicone rubber coating layer, and the hardness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higher than tha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청구항 1 또는 30에서,
상기 열 전도 부재의 높이는 0.03㎜ 내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The method of claim 1 or 30,
And the height of the heat conduction member is 0.03 mm to 3 mm.
청구항 1 또는 30에서,
상기 열전소자의 높이는 상기 수용체의 높이보다 낮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The method of claim 1 or 30,
Wherein the height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lower than or equal to the height of the receptacle.
청구항 1 또는 30에서,
상기 수용체의 관통구멍의 내측면을 따라 높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부재.
The method of claim 1 or 30,
Wherein a concavity and convexity extending in a height direction is formed along an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receiver.
대향하는 대상물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 방향으로 열 전달을 하는 열 전도 부재;
상기 열 전도 부재가 배치되는 시트 형상의 이형부재; 및
상기 이형부재 위에 장착되어 상기 열 전도 부재를 덮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열 전도 부재는,
두께 방향으로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형성된 탄성 수용체;
상기 수용체의 하면에 점착되는 열전도성 시트; 및
상기 관통구멍에 끼워지거나 채워져 상기 관통구멍의 측벽과 상기 열전도성 시트와 접촉하고 상기 수용체의 상면에서 노출되며 점성과 흐름성 및 퍼짐성을 갖는 열전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열전소자와 상기 열전도성 시트는 상기 대상물에 각각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어셈블리.
A heat conduction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opposed objects to transmit heat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heet-shaped release member on which the heat conduction member is disposed; And
And a protective cover mounted on the release member and covering the heat conduction member,
Wherein the heat conduction member comprises:
An elastic receptor having a through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thermally conductive sheet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or; And
And a thermoelectric element which is fitted in or filled in the through hole and is in contact with the side wall of the through hole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nd i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and has viscosity, flowability and spreadability,
Wherein the thermoelectric element and the thermally conductive sheet are in contact with the object, respectively.
청구항 35에서,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열전소자와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어셈블리.
35.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the protective cov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thermoelectric element.
청구항 35에서,
상기 이형부재와 상기 보호 커버에 의해 상기 열전도 부재는 진공픽업에 의한 표면실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어셈블리.
35.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the thermally conductive member is surface-mountable by vacuum pick-up by the release member and the protective cover.
청구항 35에서,
상기 이형부재와 상기 보호 커버로 낱개로 개별 포장되거나 다수가 일정하게 배열되어 포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전도 어셈블리.
35. The method of claim 35,
Wherein the release member and the protective cover are individually packaged individually or in a plurality of uniformly packaged packages.
KR1020180052686A 2017-12-26 2018-05-08 Heat transferring member KR2019007846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617 2017-12-26
KR20170179617 2017-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460A true KR20190078460A (en) 2019-07-04

Family

ID=66675399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983A KR101979926B1 (en) 2017-12-26 2017-12-28 Heat transferring member
KR1020180003600A KR101991951B1 (en) 2017-12-26 2018-01-10 Heat transferring member
KR1020180050275A KR20190078458A (en) 2017-12-26 2018-04-30 Heat transferring member
KR1020180052686A KR20190078460A (en) 2017-12-26 2018-05-08 Heat transferring member
KR1020180058656A KR102139232B1 (en) 2017-12-26 2018-05-23 Heat conductive memb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983A KR101979926B1 (en) 2017-12-26 2017-12-28 Heat transferring member
KR1020180003600A KR101991951B1 (en) 2017-12-26 2018-01-10 Heat transferring member
KR1020180050275A KR20190078458A (en) 2017-12-26 2018-04-30 Heat transferring member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656A KR102139232B1 (en) 2017-12-26 2018-05-23 Heat conductive memb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197992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215A1 (en) * 2020-08-11 2022-02-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hermoelectric modu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1329B1 (en) * 2020-09-07 2022-04-28 조인셋 주식회사 Heat conductive member
KR20220145678A (en) * 2021-04-22 2022-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Sound bar
KR102618866B1 (en) * 2021-07-26 2023-12-29 조인셋 주식회사 Thermal conductive gap filler uni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0081A (en) * 1995-04-19 1996-11-25 배순훈 Overheat protection device of the speaker
US5561590A (en) * 1995-09-21 1996-10-01 Unisys Corporation Heat transfer sub-assembly incorporating liquid metal surrounded by a seal ring
US20070013053A1 (en) * 2005-07-12 2007-01-18 Peter Chou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KR101422249B1 (en) * 2007-03-09 2014-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Heat radiating apparatus for device
KR101297369B1 (en) * 2009-08-12 2013-08-19 조인셋 주식회사 Multilayer Elastomer Components having electric and elastic properti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2204450A (en) * 2011-03-24 2012-10-22 Toyota Industries Corp Adhesion structure and thermoelectric module having the same
JP6087518B2 (en) * 2012-05-14 2017-03-0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Thermally conductive sheet supplier and thermal conductive sheet supply method
KR101558418B1 (en) * 2013-03-15 2015-10-07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An adhesive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140146552A (en) * 2013-06-17 2014-12-26 조인셋 주식회사 Thermal conductive member having three-dimentional sha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215A1 (en) * 2020-08-11 2022-02-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hermoelectric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461A (en) 2019-07-04
KR102139232B1 (en) 2020-07-29
KR20190078458A (en) 2019-07-04
KR101979926B1 (en) 2019-05-21
KR101991951B1 (en)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78460A (en) Heat transferring member
US20190195577A1 (en) Thermally conductive member
EP1376689B1 (en) Radiating structural body of electronic part and radiating sheet used for the radiating structural body
EP0987757B1 (en) Heat dissipator for electronic device
EP1171914B1 (en) Dissipation of heat from a circuit board having bare silicon chips mounted thereon
EP2814057A2 (en) Methods for establishing thermal joints between heat spreaders or lids and heat sources
KR101998218B1 (en) Heat conductive sheet supplying body and heat conductive sheet supplying method
EP3437128A1 (en) Thermal interface material
TW201422799A (en) Thermal interface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JP2023126380A (en) Thermal-conductive sheet,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CN112447636A (en) Thermal interface material piec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KR20190087357A (en) Composite thermal conductive element
US7013555B2 (en) Method of applying phase change thermal interface materials
KR101895573B1 (en) Composite thermal conductive element
JP2003051573A (en) Power modul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180038402A (en) Composite thermal conductive element
KR101838738B1 (en) Heat-Dissipation Sheet with a layer of Metal Foil
KR102391329B1 (en) Heat conductive member
JP7024377B2 (en) Heat dissipation shee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how to use the heat dissipation sheet
CN114501961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618866B1 (en) Thermal conductive gap filler unit
CN112760052B (en) Composite adhesive tape, processing method of composite adhesive tape and flexible screen module
JP2002314006A (en) Packaged viscous lump-shaped object and method of transferring the same
JP2001177017A (en) Electronics cooling device
CN114144877A (en) Thermal management of high heat flux multi-element assembl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