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1764B1 - 광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광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1764B1
KR101991764B1 KR1020170177586A KR20170177586A KR101991764B1 KR 101991764 B1 KR101991764 B1 KR 101991764B1 KR 1020170177586 A KR1020170177586 A KR 1020170177586A KR 20170177586 A KR20170177586 A KR 20170177586A KR 101991764 B1 KR101991764 B1 KR 101991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nclined surface
filter
incident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성
최진수
황월연
양국현
Original Assignee
아이오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오솔루션(주) filed Critical 아이오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170177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17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1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1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6Reflecting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01Structural aspects
    • H04B10/506Multiwavelength transmit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는 입사광에서 제1 파장을 지닌 광 내지 제n 파장(n은 2 이상의 자연수)을 지닌 광을 각각 생성하는 제1 필터 내지 제N 필터(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는 광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 내지 상기 제N 필터 중 하나의 필터에서 상기 하나의 필터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필터로 진행하는 빛의 경로를 형성하는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을 가지는 광 진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광 필터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하나의 필터로부터 진행된 빛을 상기 제2 경사면을 향하여 반사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의 빛을 상기 다른 하나의 필터를 향하여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 처리 장치{APPRATUS FOR PROCESSING LIHGT}
본 발명은 광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상당히 많은 양의 데이터 트래픽이 발생하는 통신 장치나 통신 시스템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대량의 데이터 트래픽은 통신 장치나 통신 시스템의 과부하를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대량의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하여 광통신 기술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유무선 통신 기술들 중 하나인 광통신은 기존의 전기신호 대신 빛을 이용한 통신수단으로 많은 양의 데이터를 끊김 없이 초고속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이다.
광섬유를 사용하여 10Gbps 이상의 전송 용량을 갖는 광통신 기술이 상용화되어 있다. 최근에는 하나의 광섬유에 10Gbps 또는 25Gbps의 전송 속도를 갖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신호를 다중화시키거나 역다중화시켜 수십 내지 100Gbps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광파장 다중화 방식 또는 역다중화 방식의 광통신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이상의 전송속도를 구현하기 위한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파장 다중화 장치 및 파장 역다중화 장치의 채용이 많아지면서 파장 사이의 간격을 줄이기 위한 파장 다중화 장치 및 파장 역다중화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도 1 및 도 2은 일반적인 파장 역다중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파이버(10)로부터 방출된 빛은 콜리메이팅 렌즈(collimating lens)(20)를 통과하면서 평행광으로 변하고, 평행광은 일반적인 파장 다중화 장치로 입사된다.
입사된 평행광이 광 필터부(30)에 도달하면, 복수의 필터(F0~F3) 각각은 특정 파장의 빛은 투과시키고 나머지 파장의 빛은 반사시킨다. 이에 따라 평행광은 λ0 내지 λ3의 파장을 지닌 광으로 다중화된다. λ0 내지 λ3의 파장을 지닌 광 각각은 콜리메이팅 렌즈 어레이(collimating lens array)(40)를 거치면서 집광되어 포토 다이오드(50)에 도달하게 된다.
도 3은 파장 역다중화 장치의 광 필터부(30)에 의한 광파장의 분포를 나타낸다.
파장 역다중화 장치의 성능은 도 3의 입사각(A.O.I.: Angle Of Incidence = θ)의 크기에 영향을 받게 된다. 입사각 θ의 크기가 작아지면 각 파장별 필터링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좁은 영역의 파장을 지닌 광이 필터링된다.
그러나 인접한 두 개의 필터 중심 사이의 거리인 피치 P가 일정할 때, 광 경로의 길이 d는 P/sin(2θ)이므로 입사각 θ의 크기가 작아지면 광 경로의 길이(d)가 증가되어 다중화기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입사각 θ가 커질 경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링되는 광파장의 영역이 넓어져서 필터링 성능이 떨어지게 된다. 대량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광파이버로부터 출력되는 빛이 여러 개의 파장을 가지려면 분리되는 광파장의 간격이 촘촘해야 한다.
입사각을 크게 하면서 파장 사이의 간격을 촘촘하게 하려면 필터부 형성을 위한 코팅을 수백 번 해야하므로 원가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콜리메이팅 렌즈(20)는 완벽한 평행광을 만드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광 경로 d가 커질수록 평행광의 폭이 넓어져 필터 F3에 도달하는 평행광의 폭이 과도하게 넓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사각을 줄이면서도 파장 역다중화 장치 또는 파장 다중화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등록특허 10-02658580000 (공고일 2000년09월15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는 파장 사이의 간격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입사광에서 제1 파장을 지닌 광 내지 제n 파장(n은 2 이상의 자연수)을 지닌 광을 각각 생성하는 제1 필터 내지 제N 필터(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는 광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 내지 상기 제N 필터 중 하나의 필터에서 상기 하나의 필터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필터로 진행하는 빛의 경로를 형성하는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을 가지는 광 진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광 필터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하나의 필터로부터 진행된 빛을 상기 제2 경사면을 향하여 반사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의 빛을 상기 다른 하나의 필터를 향하여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하나의 필터로부터 진행된 빛을 상기 제2 경사면을 향하여 전반사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의 빛을 상기 다른 하나의 필터를 향하여 전반사할 수 있다.
상기 입사광은 상기 광 진행부의 입사면을 통하여 입사되고, 상기 입사면은 상기 제1 경사면과 연결되고, 상기 입사면에 반사 방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입사광의 폭은 상기 제1 경사면의 폭 및 상기 제2 경사면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입사광의 폭은 상기 제1 필터 내지 상기 제N 필터 각각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의 폭은 상기 제1 필터 내지 상기 제N 필터 각각의 폭의 0.5배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광 처리 장치는 상기 광 진행부는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과 연결된 연결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면은 상기 광 필터부와 평행할 수 있다.
상기 광 진행부는 상기 광 필터부와 접촉하는 필터 지지부와, 상기 필터 지지부로부터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을 지닌 경로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는 광 진행부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파장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는 광 진행부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장치의 크기와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파장 역다중화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파장 역다중화 장치의 광 필터부에 의한 광파장의 분포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장 역다중화기로서의 광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장 다중화기로서의 광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6은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의 규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와 일반적인 광 처리 장치의 광 경로 거리를 비교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의 변형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의 또다른 변형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장 역다중화기로서의 광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장 다중화기로서의 광 처리 장치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는 광 진행부(100) 및 광 필터부(200)를 포함한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는 파장 다중화기로서 동작할 수 있고, 파장 역다중화기로서 동작할 수도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파이버에서 출력된 빛은 콜리메이팅 렌즈(20)를 거쳐 평행광으로 되고, 광 진행부(100) 및 광 필터부(200)는 입사된 평행광을 다중화하여 서로 다른 파장(λ0 내지 λ3)의 빛들을 방출한다. 서로 다른 파장(λ0 내지 λ3)의 빛들 각각은 콜리메이팅 렌즈 어레이(40)를 통과하면서 평행광이 되어 포토 다이오드(50)로 입사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LD)에서 방출된 빛은 콜리메이팅 렌즈 어레이(40)를 투과하여 평행광으로 되고, 광 필터부(200)는 상기 평행광으로부터 특정 파장(λ0, λ1, λ2, λ3)의 빛을 추출한다. 특정 파장의 빛은 광 진행부(100)를 거치면서 합쳐져서 최종적으로 λ0+λ1+λ2+λ3 파장을 지닌 빛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광 필터부(200)는 입사광에서 제1 파장을 지닌 광 내지 제n 파장(n은 2 이상의 자연수)을 지닌 광을 각각 생성하는 제1 필터 내지 제N 필터(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한다.
광 진행부(100)는 제1 필터 내지 제N 필터 중 하나의 필터에서 하나의 필터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필터로 진행하는 빛의 경로를 형성하는 제1 경사면(S1)과 제2 경사면(S2)을 가진다.
광 진행부(100)의 일측에는 광 필터부(200)가 형성되고 광 진행부(100)의 타측에 제1 경사면(S1) 및 제2 경사면(S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 진행부(100)는 빛의 통과가 가능한 글라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와 같은 재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및 도 5에서 n=N=4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터의 종류에 따라 4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n=N=4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따라 광 필터부(200)는 제1 필터(F0) 내지 제4 필터(F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S1)과 제2 경사면(S2)은 광 필터부(200)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1 경사면(S1)과 광 필터부(200)가 예각(α)을 이룬다면 제2 경사면(S2)과 광 필터부(200)는 둔각(σ)을 이룰 수 있으며 두 각도의 합(α +σ)은 180도일 수 있다.
제1 경사면(S1)은 하나의 필터로부터 진행된 빛을 제2 경사면(S2)을 향하여 반사하고, 제2 경사면(S2)은 제1 경사면(S1)으로부터의 빛을 다른 하나의 필터를 향하여 반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는 제1 경사면(S1) 및 제2 경사면(S2)이 광 필터부(200)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일반적인 광 처리 장치의 경우 반사면은 광 필터부(30)에 대하여 평행함(도 1 및 도 2 참조)을 알 수 있다.
도 6은 제1 경사면(S1)과 제2 경사면(S2)의 규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와 일반적인 광 처리 장치의 광 경로 거리를 비교하는 그래프를 나타낸다. 이 때 도 6은 도 4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나, 아래의 수학식들은 도 5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다음의 수학식들이 성립함을 알 수 있다.
α = (90 - θ)/2
tan α = (1 - tan(θ /2))/(1 + tan(θ /2))
t = (L/2)tan α = (L/2){(1 - tan(θ/2))/(1 + tan(θ/2))}
E = (L/2) - ttan θ = (L/2)(1 - tan α *tan θ)
= (L/2){1 - tan θ *(1 - tan(θ /2)/(1 + tan(θ /2))}
이 때 광 경로의 길이는 D = d1 + d2 + d3이며, d1, d2 및 d3는 아래의 수학식들과 같다.
d1 = (E/2)/sinθ, d2 = (t/2)/cos θ, d3 = (L/2) - (t/2)/tan α
도 7은 앞서 도 1 및 도 2를 통하여 설명된 일반적인 광 처리 장치의 경로 길이 d(=P/sin(2θ))와 도 6을 통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의 경로 길이 D의 비율 변화를 나타낸다.
전송속도 100GHz , 4 채널, 전송거리 10km, 채널 사이의 파장 차이(λ0-λ1, λ1-λ2, λ2-λ3)는 5nm인 경우, 입사각은 8도일 수 있으며, 이 때 D/d는 0.564임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의 광 경로 길이는 일반적인 광 처리 장치의 56% 정도로 짧다.
이에 따라 적정 입사각을 유지하여 파장 사이가 촘촘하면서도 광 처리 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제1 경사면(S1)은 하나의 필터로부터 진행된 빛을 제2 경사면(S2)을 향하여 전반사하고, 제2 경사면(S2)은 제1 경사면(S1)으로부터의 빛을 다른 하나의 필터를 향하여 전반사할 수 있다. 이 때 굴절율이 1.5인 글래스를 사용하는 경우, 전반사가 일어나는 제1 경사면(S1)과 입사광의 각도는 스넬의 법칙에 의해 대략 48.2도이며 이 각도보다 작은 각도로 제1 경사면에서 반사가 이루어지면 전반사가 일어나게 된다. 그러나 제1 경사면(S1)에서 반사를 일으키는 입사광은 항상 45도보다 작은 각도로 입사되므로 항상 전반사를 일으키는 조건을 만족하게 된다.
일반적인 광 처리 장치의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의 경로를 변경시키기 위한 반사 코팅층(35)이 형성되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는 제1 경사면(S1)과 제2 경사면(S2)을 통하여 빛이 전반사되므로 반사 코팅층(110) 없이 광의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가 파장 역다중화기의 기능을 수행할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광은 광 진행부(100)의 입사면(120)을 통하여 입사되고, 입사면(120)은 제1 경사면(S1)과 연결되고, 입사면(120)에 반사 방지층(130)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 방지층(130)은 입사광이 입사면(120)을 통하여 입사될 때 빛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파장 다중화의 성능을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사광의 폭 E는 제1 경사면(S1)의 폭 및 제2 경사면(S2)의 폭 TW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르게 입사광의 폭 E가 제1 경사면(S1)의 폭 및 제2 경사면(S2)의 폭 TW보다 클 경우, 하나의 필터로부터 진행하는 평행광의 일부가 다른 하나의 필터에 도달하지 못하므로 파장 다중화 또는 파장 역다중화의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이 때 입사광의 폭 E은 제1 필터 내지 제N 필터 각각의 폭 L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다르게 입사광의 폭 E이 제1 필터 내지 제N 필터 각각의 폭 L보다 크게 되면, 평행광이 인접한 두 개의 필터에 동시에 도달하게 되므로 파장 다중화 또는 파장 역다중화의 성능이 낮아질 수 있다.
아울러 제1 경사면(S1) 및 제2 경사면(S2)의 폭은 제1 필터 내지 제N 필터 각각의 폭의 0.5배 이하일 수 있다. 만약 0.5배보다 크면 평행광의 일부가 제1 경사면(S1)을 넘게 되어 제2 경사면(S2)에 의하여 반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빛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경사면(S1)과 제2 경사면(S2)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 진행부(100)의 일측은 톱니 형상을 지닐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진행부(100)는 제1 경사면(S1) 및 제2 경사면(S2)과 연결된 연결면(S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연결면(Sc)은 광 필터부(200)와 평행할 수 있다. 도 8의 변형예를 도 4 및 도 5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제1 경사면(S1) 및 제2 경사면(S2)의 높이 t가 t2로 작아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의 부피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처리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진행부(100)는 필터 지지부(140)와 경로 형성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지지부(140)는 광 필터부(200)와 접촉한다. 또한 경로 형성부(150)는 필터 지지부(140)로부터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제1 경사면(S1)과 제2 경사면(S2)을 지닌다. 이와 같은 필터 지지부(140)와 광 필터부(200) 사이는 빈 공간일 수 있으며, 필터 지지부(140)와 광 필터부(200)의 재질은 글라스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에서는 제1 경사면(S1)과 제2 경사면(S2)이 연결면(Sc)이 있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와 다르게 제1 경사면(S1)과 제2 경사면(S2)이 연결된 톱니 형상도 가능하다.
도 8과 도 9와 같은 광 진행부(100)는 도 4의 광 진행부(100)의 변형예이나 이러한 변형예들은 도 5의 광 진행부(100)로 적용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광 진행부(100)
입사면(120)
반사 방지층(130)
필터 지지부(140)
경로 형성부(150)
광 필터부(30, 200)
광원(LS)
제1 경사면(S1)
제2 경사면(S2)
연결면(Sc)

Claims (9)

  1. 입사광에서 제1 파장을 지닌 광 내지 제n 파장(n은 2 이상의 자연수)을 지닌 광을 각각 생성하는 제1 필터 내지 제N 필터(N은 2 이상의 자연수)를 포함하는 광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 내지 상기 제N 필터 중 하나의 필터에서 상기 하나의 필터와 인접한 다른 하나의 필터로 진행하는 빛의 경로를 형성하는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을 가지는 광 진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광 필터부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하나의 필터로부터 진행된 빛을 상기 제2 경사면을 향하여 반사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의 빛을 상기 다른 하나의 필터를 향하여 반사하며,
    상기 광 진행부는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과 연결된 연결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면은 상기 광 필터부와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은 상기 하나의 필터로부터 진행된 빛을 상기 제2 경사면을 향하여 전반사하고,
    상기 제2 경사면은 상기 제1 경사면으로부터의 빛을 상기 다른 하나의 필터를 향하여 전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광은 상기 광 진행부의 입사면을 통하여 입사되고,
    상기 입사면은 상기 제1 경사면과 연결되고,
    상기 입사면에 반사 방지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광의 폭은 상기 제1 경사면의 폭 및 상기 제2 경사면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사광의 폭은 상기 제1 필터 내지 상기 제N 필터 각각의 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 및 상기 제2 경사면의 폭은 상기 제1 필터 내지 상기 제N 필터 각각의 폭의 0.5배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은 서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처리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진행부는
    상기 광 필터부와 접촉하는 필터 지지부와, 상기 필터 지지부로부터 공간적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경사면과 상기 제2 경사면을 지닌 경로 형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처리 장치.
KR1020170177586A 2017-12-21 2017-12-21 광 처리 장치 KR101991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586A KR101991764B1 (ko) 2017-12-21 2017-12-21 광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586A KR101991764B1 (ko) 2017-12-21 2017-12-21 광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1764B1 true KR101991764B1 (ko) 2019-06-21

Family

ID=6705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586A KR101991764B1 (ko) 2017-12-21 2017-12-21 광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176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3958A (ja) * 1995-12-29 1997-09-19 Lucent Technol Inc 多方向多重波長応用のための光送受信器
KR100265858B1 (ko) 1997-11-28 2000-09-15 이계철 반도체 레이저와 광검출기가 단일칩에 집적된 파장 분할 다중화 소자
JP2001141924A (ja) * 1999-11-16 2001-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分波素子及び分波受光素子
JP2005274930A (ja) * 2004-03-24 2005-10-06 Seiko Epson Corp 光源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KR20080036909A (ko) * 2006-10-24 2008-04-29 정경희 광 모듈과 이를 이용한 광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3636A (ko) * 2010-02-12 2011-08-18 소니 주식회사 광학 소자, 일사 차폐 장치, 창호, 창재 및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JP2011253064A (ja) * 2010-06-02 2011-12-15 Hitachi Ltd フィルタ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光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43958A (ja) * 1995-12-29 1997-09-19 Lucent Technol Inc 多方向多重波長応用のための光送受信器
KR100265858B1 (ko) 1997-11-28 2000-09-15 이계철 반도체 레이저와 광검출기가 단일칩에 집적된 파장 분할 다중화 소자
JP2001141924A (ja) * 1999-11-16 2001-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分波素子及び分波受光素子
JP2005274930A (ja) * 2004-03-24 2005-10-06 Seiko Epson Corp 光源装置、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ジェクタ
KR20080036909A (ko) * 2006-10-24 2008-04-29 정경희 광 모듈과 이를 이용한 광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93636A (ko) * 2010-02-12 2011-08-18 소니 주식회사 광학 소자, 일사 차폐 장치, 창호, 창재 및 광학 소자의 제조 방법
JP2011253064A (ja) * 2010-06-02 2011-12-15 Hitachi Ltd フィルタ素子及びそれを用いた光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8804B2 (en) Optical slab
EP2803123B1 (en) Integrated sub-wavelength grating system
EP2056142A1 (en) Optical module
JPH06102430A (ja) 光学装置
US20160327746A1 (en) Bidirectional optical multiplexing employing a high contrast grating
CA2564658A1 (en) Integrated etched multilayer grating based wavelength demultiplexer
US9485046B1 (en) Optical spot array pitch compressor
KR20010025072A (ko) 다 파장 광 빔을 분할하기 위한 광 디바이스
US9116305B2 (en) Arrayed waveguide grating, optical module provided with said arrayed waveguide grating, and optical communications system
US20130343699A1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demultiplexer with reduced physical dimension
KR100566853B1 (ko) 파장분할기와결합된허상페이즈어레이를포함하여파장분할다중화된광을역다중화하는장치
JP5983479B2 (ja) 光素子
KR101991764B1 (ko) 광 처리 장치
KR102078391B1 (ko) 파장 다중화/역다중화 장치
US6829096B1 (en) Bi-direction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demultiplexing devices
CN1262858C (zh) 具有布喇格衍射光栅的光多路分解器及使用其的光通信模块
KR102041589B1 (ko) 파장다중 양방향 광송수신 장치
JP2010060653A (ja) 光デバイスおよび光信号選択方法
US10209444B2 (en) Arrayed waveguide grating
WO2013176182A1 (ja) 光合波器及び光合波方法
KR102081100B1 (ko) 특정 파장에 대한 컷오프 기능을 제공하는 파장 가감소자
US20060291858A1 (en) Bi-directional compound-WDM fiberoptic system architecture with redundancy protection for transmission of data, voice and video signals
JP4759973B2 (ja) デマルチプレクサ及び波長多重光伝送モジュール
CN1950738A (zh) 双衍射光栅平面光波电路
JP2005196150A (ja) 光通信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