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724B1 - 모듈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조립 및 분해 모듈 - Google Patents

모듈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조립 및 분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724B1
KR101990724B1 KR1020177030284A KR20177030284A KR101990724B1 KR 101990724 B1 KR101990724 B1 KR 101990724B1 KR 1020177030284 A KR1020177030284 A KR 1020177030284A KR 20177030284 A KR20177030284 A KR 20177030284A KR 101990724 B1 KR101990724 B1 KR 101990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slide
connection
display devi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506A (ko
Inventor
송야 첸
송링 양
쯔홍 리우
Original Assignee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30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G02B27/0176Head mounted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75Mountings of transducers in earphones or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모듈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조립 및 분해 모듈이 개시된다. 이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및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6)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 장치(7)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 및 상기 이어폰 장치(7)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기구(8)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 및/또는 이어폰 장치(7)를 상기 접속 기구(8)에 탈착가능하게 접속하기 위한 조립 및 분해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접속 기구는 조립 및 분해 모듈을 구비하여, 디바이스의 모듈화를 실현할 수도 있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이한 이용 요건에 따라 편리하게 분해 및 조합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의 다각적인 사용 상태를 확장시키고, 모듈화된 신속한 조립 및 분해를 실현하기 위한 조립 및 분해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듈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조립 및 분해 모듈
본 개시는 접속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듈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모듈화를 실현하기 위한 조립 및 분해 모듈에 관한 것이다.
근안 디스플레이 기술(near-eye display technology)을 이용하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HMD)는 일 세트의 광학계(주로 정밀 광학 렌즈)를 통해 초마이크로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서 상(image)을 확대시키고, 망막 상에 상을 투사하며, 추가로 관찰자의 눈에 대형 스크린 상(large-screen image)을 제공한다.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외관상 안경과 실질적으로 유사하기 때문에, 휴대용 가족 극장의 제품 개념이 전달될 수 있도록 실감나게 "비디오 안경"이라 부른다.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가족 극장의, 갖고 다니는 휴대성 개념을 제품화하고 있지만, 현존하는 제품 중에서, 이어폰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는 조합되어 있으나, 이어폰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대적 위치의 제한으로 인해, 제품은 고정 상태를 가져서, 비교적 큰 공간을 차지하므로 휴대성이 제한된다.
이것에 기초해서, 현존하는 제품의 경우에,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휴대성은 인이어 이어폰과 유선 연결됨으로써 개선되지만, 이와 동시에 보존성은 저하되므로, 이어폰 장치에 대한 상이한 요건을 충족시킬 수 없다.
게다가,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오디오 출력 및 비디오 출력을 실현하기 위한 두 개의 구조를 포함하지만, 이 두 개의 구조는 동시에 사용되어야 하고, 제품의 사용 상태는 단일이다.
본 개시의 목적은 관련 기술에서 존재하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듈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조립 및 분해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및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이어폰 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접속 기구를 포함할 수도 있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이어폰 장치는 조립 및 분해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 기구는 조립 및 분해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이어폰 장치의 조립 및 분해 요소는 상기 조립 및 분해 모듈에 탈착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슬라이드 핸들과, 베이스와, 탄성 스트립과, 조립 및 분해 요소를 구비할 수도 있는 조립 및 분해 모듈을 추가로 제공한다. 상기 슬라이드 핸들은 조작부 및 피동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는 슬라이드 홈과 접속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 홈은 베이스 내측에 슬라이드 홈 공간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드 홈 공간은 상기 베이스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 개구까지 연장된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 개구 내에 배치된다. 상기 피동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피동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 공간 내에서 미끄러지도록 상기 조작부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접속 홈은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연장되는 접속 공간과, 상기 접속 홈 내에 배열되는 위치설정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 공간은 상기 베이스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된 접속 홈 개구까지 연장된다. 상기 탄성 스트립은 상기 슬라이드 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핸들 내에 접속된다. 상기 조립 및 분해 요소는, 상기 위치설정부에 조립하기 위해, 상기 접속 공간 내에 수용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 상에 배열된 고정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탄성 후크들과 압축 나사산 튜브와 나사결합 너트와 고정 베이스를 구비할 수도 있는 조립 및 분해 모듈을 추가로 제공한다. 상기 탄성 후크들은 레질리언트 스트립 본체와, 상기 레질리언트 스트립 본체의 양 단부에 각기 위치된 후크부 및 탄성 지지부를 각기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압축 나사산 튜브는 격벽 유형의 제 1 나사산 벽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나사결합 너트는 상기 제 1 나사산 벽과 나사결합되도록 작동가능한 제 2 나사산 벽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 베이스는 관통 홈 및 고정 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관통 홈은 상기 제 1 나사산 벽에 대응한다. 상기 제 1 나사산 벽은 상기 고정 베이스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관통 홈을 통해 타측 상의 상기 제 2 나사산 벽에 연결된다. 상기 고정 홈은 상기 탄성 지지부를 수용하도록 인접한 관통 홈들 사이에 배열된다.
본 개시의 실시형태에 제공된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상기 접속 기구 상에 배열되는 조립 및 분해 모듈을 포함하여, 디바이스의 모듈화를 실현한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이한 이용 요건에 따라 편리하게 분해 및 조합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의 다각적인 사용 상태를 확장시키고, 신속한 조립 및 분해를 실현하기 위한 조립 및 분해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개략도,
도 2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실시방식에 제공된 조립 및 분해 모듈의 구조적 개략도,
도 3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실시방식에 제공된 베이스의 구조적 사시도,
도 4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실시방식에 제공된 베이스의 구조적 개략도,
도 5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실시방식에 제공된 슬라이드 핸들 및 탄성 스트립의 구조적 개략도,
도 6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실시방식에 제공된 조립 및 분해 요소의 구조적 개략도,
도 7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2 실시방식에 제공된 조립 및 분해 모듈의 구조적 개략도,
도 8은 베이스와 조립 및 분해 모듈이 고정 조립된 것을 도시하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2 실시방식에 제공된 상측 사시도,
도 9는 베이스와 조립 및 분해 모듈이 고정 조립된 것을 도시하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2 실시방식에 제공된 다른 상측 사시도,
도 10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3 실시방식에 제공된 조립 및 분해 모듈의 구조적 개략도,
도 11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3 실시방식에 제공된 베이스의 구조적 개략도,
도 12는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3 실시방식에 제공된 슬라이드 핸들의 구조적 개략도,
도 13은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조립 및 분해 모듈의 구조적 개략도,
도 14는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제공된 조립 및 분해 모듈의 분해 개략도,
도 15는 본 개시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분해 개략도,
도 16는 본 개시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접속 기구의 분해 개략도,
도 17은 본 개시의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베이스(2) 및 핀 샤프트(9)의 설치 개략도,
도 18은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실시방식에 제공된 조립 및 분해 요소의 다른 구조적 개략도.
본 개시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이점을 보다 명료하고 보다 명확하게 만들기 위해서, 이하에서 본 개시를 첨부 도면 및 실시형태와 조합하여 추가로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본 원에 기술된 특정 실시형태는 본 개시를 예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일 뿐이고 본 개시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및 "제 2"와 같은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해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도를 나타내거나 암시하거나, 또는 관련된 기술적인 특징부의 수를 제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그러므로, "제 1" 또는 "제 2"의 한정부를 갖는 특징부는 하나 이상의 특징부를 명백하게 또는 함축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서, "복수" 또는 "다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2개 또는 2개 이상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설명에 있어서, 명백하게 명시되거나 제한되지 않는 한, 용어 "장착(mount)", "접속" 및 "연결"은 넓게 이해되어야 하고, 예를 들면, "연결"은 고정된 연결일 수도 있고, 또는 분리 가능한 연결 또는 일체형 연결일 수도 있으며, "연결"은 기계적 연결일 수도 있고, 전기적 연결일 수도 있으며, 서로에 대한 연통일 수도 있으며, "연결"은 직접 연결될 수도 있거나, 매개물을 거쳐서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거나, 2개의 요소의 내부 연통(communication) 또는 2개의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일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특정 상황에 따라 본 개시에서의 상기 용어의 특정 의미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개시는 본 개시의 상이한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 많은 상이한 실시방식 또는 예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설명을 간략화하기 위해, 이하는 특정 예의 부품 및 설정을 설명한다. 물론, 그들은 단지 예일 뿐이고, 본 개시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게다가, 본 개시에 있어서, 도면 부호 및/또는 참조 문자는 상이한 실시예예서 반복될 수도 있다. 이 반복은 간단함 및 명확성을 목적으로 하고,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다양한 실시방식 및/또는 설정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지 않는다. 추가로, 본 개시는 특정 공정 및 재료의 다양한 예를 제공하지만, 당업자라면 다른 공정의 응용 및/또는 다른 재료의 이용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제공된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이다. 이 디바이스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및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6)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이어폰 장치(7)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와 이어폰 장치(7)를 연결하기 위한 접속 기구(8)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 및/또는 이어폰 장치(7)는 조립 및 분해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접속 기구(8)는 조립 및 분해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 및 이어폰 장치(7)의 조립 및 분해 요소는 조립 및 분해 모듈에 탈착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제공된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하여, 접속 기구 상에 조립 및 분해 모듈을 배치함으로써, 디바이스의 모듈화가 실현된다. 디바이스는 상이한 이용 요건에 따라 편리하게 분해 및 조합되어, 디바이스의 다각화된 사용 상태를 확장시킬 수 있다. 게다가, 모듈화된 분해는 제품의 휴대성을 향상시켜서, 고정 상태를 갖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해서 디바이스를 휴대하기 위한 공간이 효율적으로 절감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개시의 원리를 조립 및 분해 모듈과 조립 및 분해 요소의 상이한 실시형태에 대해 예시할 것이다.
제1 실시형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제공된 조립 및 분해 모듈이 제공된다. 모듈은 슬라이드 핸들(1)과, 베이스(2)와, 탄성 스트립(3)과, 조립 및 분해 요소(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슬라이드 핸들(1)은 조작부(11)와 피동부(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베이스(2)는 디스플레이 장치(6) 또는 이어폰 장치(7) 중 어느 하나의 일부일 수도 있다. 베이스(2)는 슬라이드 홈(21) 및 접속 홈(22)을 규정할 수 있다. 슬라이드 홈(21)은 베이스(2) 내측에 슬라이드 홈 공간(21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슬라이드 홈 공간(211)은 베이스(2)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 개구(212)까지 연장된다. 조작부(11)는 슬라이드 홈 개구(212) 상에 배치된다. 피동부(12)는 슬라이드 홈 공간(211) 내에 배치된다. 피동부(12)는 조작부(11)에 의해서 구동되어 슬라이드 홈 공간(211) 내에서 미끄러진다. 접속 홈(22)은 슬라이드 홈(21)을 따라 연장하는 접속 공간(221)과, 상기 접속 홈(22) 내에 배치된 위치설정부(223)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접속 공간(221)은 베이스(2)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된 접속 홈 개구(222)까지 연장된다. 탄성 스트립(3)은 슬라이드 홈(21) 내에 배치되고 슬라이드 핸들(1)에 연결된다. 조립 및 분해 요소(4)는 디스플레이 장치(6) 또는 이어폰 장치(7) 중 어느 하나의 일부일 수도 있다. 조립 및 분해 요소(4)는, 위치설정부(223)에의 조립을 위해 접속 공간(221) 내에 수용된 접속부(41)와, 접속부(41) 상에 배열된 고정부(4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슬라이드 핸들(1)의 조작부(11)를 도 3의 좌우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조작함으로써, 슬라이드 핸들(1)의 피동부(12)는 피동부(12)가 조립 및 분해 요소(4)에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는 위치[즉 피동부(12)가 접속 홈 개구(222)와 정렬되거나 접속 홈 개구(222)와 완전히 엇갈리는 위치]에서 슬라이드 홈 내에 위치되도록 구동되며, 그러면 조립 및 분해 요소(4)의 고정부(42)가 위치설정부(223)로 제한되어 고정 조립 상태를 이루는 것, 및 조립 및 분해 요소(4)의 고정부(42)가 위치설정부(223)로부터 분리되어 탈착가능 상태를 이루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제공된 베이스(2)는 링 형상을 가지며, 대응해서, 슬라이드 핸들(1)의 조작부(11)는 이러한 형상에 보다 적합하도록, 링의 외측 표면의 라디안(radian)에 대응하는 호형상을 갖지만, 본 개시의 조립 및 분해 모듈이 이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베이스(2)의 형상은 특정 제품 형상에 따라서 설정될 수 있다. 대응하여, 슬라이드 핸들(1)의 조작부(11)는 베이스(2)의 형상에 더욱 적합하게 하기 위하여, 베이스(2)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 개구(212)의 외측 표면에 끼워져서 중첩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두 개의 조립체의 조립 및 분해가 편리하게 신속하게 실현될 수 있으며, 조립 및 분해 모듈을 적용하여 제품의 모듈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에 제공된 조립 및 분해 모듈의 상이한 실행에 따라, 조립 및 분해 모듈의 원리가 이하에서 추가로 기술될 것이다.
제 1 실시방식
접속 공간(221)은 슬라이드 홈(21)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슬라이드 핸들(1)이 슬라이드 홈(21) 내에서 미끄러지는 방향(도 3의 좌우방향)은 슬라이드 홈의 길이 방향이며, 대응하여,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은 슬라이드 홈의 폭 방향(도 4의 좌우방향)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을 따른 접속 홈(22)의 연장 거리(d2)는 조립 및 분해 요소(4)의 최대 폭(Dmax)보다 작다. 접속 홈(22)의 연장 거리(d2)와 슬라이드 홈 폭(d1)의 합(d1+d2)은 조립 및 분해 요소(4)의 최대 폭(Dmax)보다 크다.
설치시, 슬라이드 홈의 길이 방향[접속 공간(2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핸들(1)의 조작부(11)에 작용력이 부여되며, 그에 따라 피동부(12)가 접속 공간(221)과 평행한 슬라이드 홈 공간(211)의 슬라이드 홈 공간(X)(도 3에 점선으로 형성된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미끄러진다. 이 실시형태에서, 탄성 스트립(3)은 슬라이드 핸들(1)이 슬라이드 홈 공간(X)으로부터 미끄러지는 과정에서 가압 및 변형되며, 접속 홈 개구(222) 및 그의 대응하는 슬라이드 홈 개구(Y)(도 4에 점선으로 형성된 영역)는 설치 개구를 형성하고, 접속 공간(221) 및 슬라이드 홈 공간(X)은 설치 공간을 형성한다. 이 때, 베이스(2)와 결합하기 위한 조립 및 분해 요소(4)의 접속부(41) 및 고정부(42)는 설치 개구를 통해 설치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속부(41) 및 고정부(42)가 설치 공간 내에 배치되고 고정부(42)가 베이스(2)의 위치설정부(223)에 조립된 후, 접속부(41)는 슬라이드 홈 공간(X)을 해제하도록 접속 공간(221) 내에 수용되며, 그 때 슬라이드 핸들(1)의 피동부(12)는 탄성 스트립(3)의 변형에 의해 발생된 레질리언트력의 영향 하에서 슬라이드 홈 공간(X)으로 복귀해서 접속부(41)와 접촉함으로써, 고정부(42)를 위치설정부(223)로 제한하고 따라서 조립 및 분해 요소(4)가 접속 공간(221)으로부터 분리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 조립을 실현한다.
이 실시방식의 위치설정부(223)는 제한 슬롯[이 실시형태에서는 제한 슬롯(223)으로 표시됨]의 구조를 채택하며, 고정부(42)를 수용하는 제한 슬롯(223)은 슬라이드 홈 공간(X)에 대향하는 접속 공간(221)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방식에 있어서, 폭 방향을 따른 접속 홈(22)의 연장 거리(d2)는 접속부(41)의 폭에 대응한다. "~에 대응한다"는 것은 접속 공간(221)이 접속부(41)를 내부에 아주 긴밀하게 수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고정부(42)가 제한 슬롯(223) 내로 매립된 후, 슬라이드 핸들(1)의 피동부(12)는 슬라이드 홈 공간(X)으로 복귀해서 접속부(41)를 접속 공간(221)으로 제한하고, 고정부(42)를 제한 슬롯(223)에 고정시킴으로써 베이스(2)에 대한 조립 및 분해 요소(4)의 고정 결합을 실현한다. 이 실시형태에 제공된 실시형태 접근법은 조립 후의 제품 보존성을 향상시킨다.
조립 및 분해 요소(4)가 베이스(2)로부터 탈거될 필요가 있을 때, 슬라이드 홈의 길이 방향[접속 공간(22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핸들(1)의 조작부(11)에 작용력을 가함으로써, 피동부(12)는 접속 공간(221)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홈 공간(X)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미끄러지고, 그 때 고정부(42)는 설치 공간을 통해 제한 슬롯(223)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접속부(11) 및 고정부(42)는 설치 개구를 통해 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방식에서, 고정부(42)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41)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 구조체일 수도 있고, 대응하여, 위치설정부(223)는 접속부(41)의 일측 또는 양측 상에 배열된 돌출부에 대응하여 형성된 리세스, 즉 길이방향의 접속 공간(221)의 한 쌍의 측면일 수도 있다. 리세스는 슬라이드 홈 공간(211)과 연통하는 개구를 구비한다. 조립 및 분해 요소(4)는 슬라이드 홈 개구(212)를 통해 슬라이드 홈 공간(X)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돌출부가 개구와 정렬될 때, 조립 및 분해 요소(4)는 개구를 통해 리세스 내로 미끄러져서, 접속부(41)가 접속 공간(221)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때 슬라이드 홈 공간(X)은 해제된다. 슬라이드 핸들(1)은 탄성 스트립(3)의 레질리언트력을 통해 슬라이드 홈 공간(X)으로 복귀하여서, 접속부(41)는 접속 공간(221)으로 제한되고 돌출부는 리세스에 제한되어, 고정 조립을 실현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핸들(1)의 피동부(12)는 후크(13)를 추가로 구비하며, 대응하여, 슬라이드 홈 공간(211)은 후크(13)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트랙(23)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서, 슬라이드 홈 공간(X)으로의 미끄러짐시 피동부(12)가 슬라이드 홈(21)으로부터 탈출하기 못하게 할 것이다. 확실히, 다른 실시방식에서, 피동부(12)의 길이(L1)는 접속 공간(221)의 길이(L2)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으며, 즉 피동부(12)는 슬라이드 홈(21)으로부터 탈출해서 접속 공간(221)으로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제2 실시방식
접속 공간(221)은 슬라이드 홈(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추가로 확장될 수 있다. 접속 홈(22)의 연장 거리(d2)는 접속부(41)의 폭(d3)보다 크거나 같다. 이 실시방식에서, 탄성 스트립(3)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핸들(1)을 접속 홈(22)으로 복귀시키는 레질리언트력을 제공한다.
슬라이드 홈(2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핸들(1)에 작용력이 가해질 때, 슬라이드 핸들(1)은 접속 홈(2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미끄러지며, 원위측으로의 미끄럼 이동 과정 중 슬라이드 핸들(1)은 탄성 스트립(3)을 변형시킨다. 조립 및 분해 요소(4)의 접속부(41)와 고정부(42)는 접속 홈 개구(222)를 통해 접속 공간(221)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립 및 분해 요소(4)가 접속 공간(221) 내에 배치된 후, 고정부(42)는 베이스(2)의 위치설정부(223)에 조립되며, 접속 공간의 일 부분, 즉 d2-d3에 대응하는 공간은 해제되고, 탄성 스트립(3)의 변형으로 인해서 슬라이드 핸들(1)에 의해 발생된 레질리언트력은 슬라이드 핸들(1)을 해제된 접속 공간으로 복귀시켜서 고정부(42)를 위치설정부(223)로 제한함으로써 고정 조립을 실현한다.
이 실시방식에 있어서 위치설정부(223) 및 고정부(42)에 대해서는 제1 실시방식을 참조할 수 있다. 제한 슬롯(223)이 사용되는 경우에, 슬라이드 홈(21) 및 접속 홈(22)은 일체형 홈체를 형성하고, 즉 슬라이드 홈(21)과 접속 홈(22)의 평면도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 "I"자 형상을 형성한다. 이 실시방식에서, 접속 홈(22)의 연장 거리(d2)는 접속부의 폭(d3)과 동일할 수도 있다. 돌출부와 리세스가 사용되는 경우에, 슬라이드 홈(21)과 접속 홈(22)의 평면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사 "T"자 형상을 형성한다. 조립 및 분해 요소(4)의 고정부(42)는 접속부(41)의 길이 방향 일측 또는 양측 상에 배열되며, 대응하여 접속 공간(221)은 리세스(223)가 부분적으로 제공되는 공간을 구비한다. 조립 및 분해 요소(4)는 리세스(223)가 배치되지 않은 공간을 통해 배치된다. 고정부(42)가 리세스(223)의 개구와 정렬될 때, 고정부는 개구를 거쳐 리세스(223) 내로 미끄러지고, 접속부(42)는 리세스(223)에 의해 한정된 제한 공간 내로 매립되며, 접속 공간의 일 부분, 즉 d2-d3에 대응하는 공간은 해제되고, 탄성 스트립(3)의 변형으로 인해서 탄성 스트립(3)에 의해 발생된 레질리언트력은 슬라이드 핸들(1)을 해제된 접속 공간으로 복귀시킴으로써, 고정부(42)는 위치설정부(223)에 제한되어서, 고정 조립을 실현할 수 있다.
제3 실시방식
탄성 스트립(3)의 레질리언트력으로 인해서 슬라이드 핸들(1)이 고정부(42)를 위치설정부(223)에 제한하는 조립을 실현하는 원리에 기초하여, 본 개시의 실시방식이 도 10,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슬라이드 핸들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슬라이드 홈(21) 내에 2개의 슬라이드 핸들(1)이 슬라이드 홈(21)의 미끄러짐 방향으로 따라 평행하게 배열된다. 슬라이드 핸들(1)은 슬라이드 홈(21) 내에서 반대 방향으로 미끄럼이동 가능하여, 슬라이드 홈의 일 부분을 해제시킨다. 접속 홈(22)은 해제된 슬라이드 홈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도 6에 도시된 조립 및 분해 요소(4)는 예시를 위해 예로써 도시된다. 제1 실시방식과 유사하게, 폭방향을 따른 접속 홈(22)의 연장 거리는 조립 및 분해 요소(4)의 최대 폭(Dmax)보다 작고, 접속 홈(22)의 연장 거리와 슬라이드 홈 폭의 합은 조립 및 분해 요소(4)의 최대 폭(Dmax)보다 크다.
바람직한 실시방식에서, 단 하나의 탄성 스트립(3)이 제공될 수 있으며, 탄성 스트립(3)의 2개의 단부는 2개의 슬라이드 핸들(1)에 각기 연결된다. 특히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시트(31)가 슬라이드 홈 공간(211) 내에 배열된다. 이 예에 사용된 유사 "U"자 형상의 탄성 스트립(3)은 2개의 탄성 아암 및 이 2개의 탄성 아암을 연결하는 바닥부를 구비한다. 바닥부는 고정 시트(31)에 고정되며, 2개의 탄성 아암은 미끄러짐 방향에 수직하는 2개의 피동부(12) 각각의 한 측면에 각기 연결되고 측면은 대향하는 미끄럼이동 방향을 따른 외측면이다. 피동부(12)는 서로 가까운 2개의 조작부(11)의 단부에 각기 배열된다. 바람직한 예에 있어서, 초기 상태에서, 2개의 피동부(12)는 슬라이드 홈 내에 서로 평행하게 끼워맞춰지며, 탄성 스트립(3)의 양 단부는 피동부(12)의 서로 끼워맞춤된 측에 대향하는 측에 각기 연결되고, 즉, 슬라이드 핸들(1)에 외부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2개의 슬라이드 핸들(1)은 접속 홈(22)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홈(21)을 둘러싼다. 2개의 슬라이드 핸들(1)을 분리시키는 힘이 가해질 때, 탄성 스트립(3)은 변형되고, 2개의 슬라이드 핸들(1)은 분해 및 조립 요소(4)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갖는 슬라이드 홈(21)의 영역이 해제될 때까지 분리된다. 더구나, 영역은 접속 홈(22)에 대응하며, 즉 슬라이드 홈(21)의 해제된 영역의 슬라이드 홈 개구(212) 및 접속 슬라이드 홈 개구(222)는 설치 개구를 형성하고, 슬라이드 홈(21)의 해제된 영역의 슬라이드 홈 공간(211) 및 접속 공간(221)은 설치 공간을 형성한다. 슬라이드 홈 폭과 접속 홈(22)의 연장 거리의 합이 조립 및 분해 요소(4)의 최대 폭(Dmax)보다 크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 요소(4)는 설치 개구를 통해 설치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조립 및 분해 요소(4)의 고정부(42)가 접속 홈(22)의 위치설정부(223)에 대응하고 그 내에 수용될 때, 슬라이드 홈(21)의 대응하는 영역은 해제되고, 슬라이드 핸들(1)은 탄성 스트립(3)의 레질리언트력 하에서 초기 상태로 복귀된다. 이 때, 폭 방향을 따른 접속 홈(22)의 연장 거리는 조립 및 분해 요소(4)의 최대 폭(Dmax)보다 작기 때문에, 조립 및 분해 요소(4)는 접속 홈(22)에 제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핸들(1)의 피동부(12)에는 후크(13)가 추가로 제공되며, 대응하여 슬라이드 홈 공간(121)에는 후크(13)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트랙(23)이 제공되어서, 접속 홈(22)에 대응하는 슬라이드 홈(21)의 영역으로 미끄러질 때 피동부(12)가 슬라이드 홈(21)으로부터 탈출하지 않을 것이다.
제2 실시형태
본 개시의 제2 실시형태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립 및 분해 모듈을 제공한다. 이 모듈은 탄성 후크(52), 압축 나사산 튜브(53), 나사결합 너트(50) 및 고정 베이스(51)를 구비할 수도 있다. 탄성 후크(52)는 레질리언트 스트립 본체(521), 및 이 레질리언트 스트립 본체(521)의 양 단부에 각기 배열된 후크부(522)와 탄성 지지부(523)를 구비한다. 압축 나사산 튜브(53)는 격벽 유형의 제1 나사산 벽(531)을 구비한다. 나사결합 너트(50)는 제1 나사산 벽(531)과 나사결합하도록 작동가능한 제2 나사산 벽(501)을 구비한다. 고정 베이스(51)는 관통 홈(511) 및 고정 홈(512)을 형성한다. 관통 홈(511)은 제 1 나사산 벽(531)에 대응한다. 제 1 나사산 벽(531)은 고정 베이스(51)의 일측으로부터 관통 홈(511)을 통해 타측 상의 제2 나사산 벽(501)에 연결된다. 고정 홈(512)은 인접한 관통 홈(511)들 사이에 배열되어 탄성 지지부(523)를 수용한다.
특히, 고정 베이스(51)는 프레임(514)과, 이 프레임(514) 내측의 분리 시트(515)를 구비한다. 고정 홈(512)은 분리 시트(515)의 일 면으로부터 압축 나사산 튜브(53)를 향하여 연장하는 2개의 편평한 표면에 의해 설정된 수용 공간으로서, 이 공간에 탄성 지지부(523)를 수용하는 것이고, 대응하여 압축 나사산 튜브(53)는 고정 홈(512)에 각기 대응하는 개구(532)를 규정하고, 즉 압축 나사산 튜브(53)는 고정 홈(512)에 스냅끼워맞춤할 수도 있고, 또 개구(532)는 압축 나사산 튜브(53)의 나사산 벽이 분리형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압축 나사산 튜브(53)의 분리된 제1 나사산 벽(531)이 관통 홈(511)을 통과하여 나사결합 너트(50)의 제2 나사산 벽(501)에 나사결합할 때, 탄성 후크(52)의 탄성 지지부(523)는 고정 홈(512) 내에 수용되고, 후크부(522)는 개구(532)와 고정 홈(512) 사이에 남겨진 간극을 통해 압축 나사산 튜브(53)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후크부(522)가 본 개시의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이어폰 장치의 조합부(71)와 같은, 외측의 접속 요소에 스냅끼워맞춤될 수 있게 한다. 접속 요소로서의 조합부(71)는 후크부(522)를 파지하도록 작동가능한 단계들 및 후크부(522)를 제한하는 슬롯에 의해서 실현된다.
바람직하게, 탄성 후크(52)의 레질리언트 스트립 본체(521)와 탄성 지지부(523) 사이에 고정 샤프트(524)가 배열되고, 대응하여 고정 홈(512)이 고정 샤프트(524)를 고정하기 위한 샤프트 구멍(5121)을 추가로 구비한다.
이 실시방식에 제공된 조립 및 분해 모듈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압축 나사산 튜브(53)와 나사결합 너트(50)의 나사결합 상태에 의해서 후크부(522)가 이어폰 장치(7)의 조합부 내에 배치될 때, 나사결합 너트(5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나사결합 너트(50)와 압축 나사산 튜브(53)를 서로 근접시킨다. 회전 과정에서, 압축 나사산 튜브(53)는 고정 베이스(51) 내에 형성된 관통 홈(511)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나사결합 너트(50)를 향한 축방향 이동 과정에서 압축 나사산 튜브(53)의 바닥은 고정 베이스(51)의 고정 홈(512) 내에서 탄성 지지부(523)를 가압하며, 탄성 지지부(523)는 가압후 고정 샤프트(524)를 따라 회전하며, 이 때 이어폰 장치(7)의 조합부(71)가 탄성 후크(52)에 의해서 긴밀하게 클램프된 위치로 압축 나사산 튜브(53)가 탄성 후크(52)를 가압하도록 이동할 때까지 후크부(522)는 상대적으로 들어가며, 이 때 이어폰 장치(7)의 설치 공정이 실현된다.
분해 공정에 관해서는, 이전의 설치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서 나사결합 너트(50)를 회전시키는 것만이 필요하며, 그에 따라 나사결합 너트(50) 및 압축 나사산 튜브(53)는 서로 멀어지고, 즉 압축 나사산 튜브(53)는 축방향을 따라서 외향으로 이동하며, 한편 후크부(522)는 탄성 지지부(523)의 영향 하에서 상대적으로 개방되어, 최종적으로 이어폰 장치(7)의 조합부(71)를 인출하기에 충분한 개방각을 달성한다.
바람직하게, 나사결합 너트(50)의 외측 환상 표면은 사용자의 조작을 촉진하기 위한 미끄럼 방지 슬롯(502)을 형성한다. 나사결합 너트(50)의 환상 형상이 조작부를 형성하며, 조작부 내측에 제2 나사산 벽(501)을 설정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서, 나사결합 너트(50)는 환상 형상을 가지며, 제2 나사산 벽(501)은 내측 환상 표면 상에 위치되며, 압축 나사산 튜브(53)의 제1 나사산 벽(531)은 외측 표면 상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방식에서, 나사결합 너트는 정사각형 또는 원형의 조작부 및 조작부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원통체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2 나사산 벽(501)은 원통체의 외측 표면 상에 형성되며, 대응하여, 압축 나사산 튜브(53)의 제1 나사산 벽(531)이 내측 표면 상에 배열된다.
요약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제공된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경우에, 그것의 접속 기구(8)는 도 1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조합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6)의 2개의 단부는 조립 및 분해 요소(64)에 각기 연결되며, 조립 및 분해 요소(64)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제공된 조립 및 분해 요소(4)를 참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접속은 일체형 구조일 수도 있고 분리된 조립 구조일 수도 있다(이하 동일). 디스플레이 장치(6)는 조립 및 분해 요소(64)를 통해 접속 기구(8)의 모듈(A)에 탈착가능하게 접속된다. 모듈(A)은 슬라이드 핸들(1A), 탄성 스트립(3A) 및 베이스(2A)를 구비하여, 조립 및 분해 요소(64)에 의해 연결된 조립 및 분해 모듈을 형성한다. 구조 및 원리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제1 실시방식을 참조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장황하게 기술하지는 않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헤드 장착 브라켓(77)을 추가로 구비하며, 헤드 장착 브라켓(77)의 양 단부는 조립 및 분해 요소(774)에 각기 연결된다. 조립 및 분해 요소(774)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공된 조립 및 분해 요소(4)를 참조할 수 있다. 헤드 장착 브라켓(77)은 조립 및 분해 요소(774)를 통해 접속 기구(8)의 모듈(B)에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모듈(B)은 슬라이드 핸들(1B), 탄성 스트립(3B) 및 베이스(2B)를 구비하여, 조립 및 분해 요소(774)에 의해 연결된 조립 및 분해 모듈을 형성한다. 구조 및 원리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의 제3 실시방식을 참조할 수 있다.
이어폰 장치(7)는 접속 기구(8)를 연결하기 위한 조합부(71)를 구비하며, 이어폰 장치(7)의 탈착성은 조립 및 분해 모듈(C)을 통해 실현된다. 조립 및 분해 모듈(C)은 나사결합 너트(50), 고정 베이스(51), 탄성 후크(52) 및 압축 나사산 튜브(53)를 구비한다. 그들의 구조 및 원리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2 실시형태를 참조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실시형태의 접속 기구(8)는 핀 샤프트(9)를 추가로 구비하며(도 16 및 도 17을 참조할 수 있음), 대응하여 베이스(2A, 2B)는 관통 샤프트 구멍(2A1, 2B1)을 형성한다. 핀 샤프트(9)는 이어폰 장치(7)에의 연결을 위해 관통 샤프트 구멍(2A1, 2B1)을 관통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핀 샤프트(9)는 치형 구조(91)를 구비한다. 관통 샤프트 구멍(2A1)의 내벽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형 구조(91)와 결합되는 결합 레질리언트 스트립(2A2)을 구비한다. 결합 레질리언트 스트립(2A2)은 핀 샤프트(9) 상의 치형 구조와 결합해서, 댐핑을 갖는 회전 구조를 형성한다. 특히 핀 샤프트(9)는 제한부(92)를 추가로 구비한다. 제한부(92)는 베이스(2B)의 관통 샤프트 구멍(2B1)의 내측 환상 표면 상에 형성된 스냅결합 리세스(2B2)에 대응하는 스냅결합 돌출부(92)이며, 베이스(2B)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베이스(2A)가 핀 샤프트(9)에 대해 회전할 때, 베이스(2B)는 그와 함께 회전하지 않으며, 이러한 회전 구조는 디스플레이 장치(6)의 착용 각도의 다각도 조절을 실현할 수 있으며, 헤드 장착 브라켓(77)과 절첩되어 수납에 편리하다.
이 실시형태에서, 이어폰 장치(7)에의 접속을 위해 관통 샤프트 구멍(2A1, 2B1)을 관통하는 핀 샤프트(9)는 특히 하기와 같다. 핀 샤프트(9)는 회전 정사각 샤프트(93)와 멈춤 후크(94)를 추가로 구비한다. 고정 베이스(51)의 분리 시트(515)의 축 중심은 회전 정사각 샤프트(93)와 결합하는 관통 구멍(516)과, 멈춤 후크에 대응하여 스냅결합하는 클램핑 홈(517)을 형성한다. 클램핑 홈(517)은 관통 구멍(516)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멈춤 후크(94)는 탄성이고 변형가능하며, 즉 관통 구멍(516)을 통과할 때 제한 및 가압되는 것으로서 변형되고 들어간다. 관통 구멍(516)을 통과한 후의 멈춤 후크(94)는 해제 상태를 복원하고, 클램핑 홈(517)에 클램프되어, 고정 조립을 실현한다. 더구나, 멈춤 후크(94)는 분해 및 조립 모듈을 통해 이어폰 장치(7)에 연결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제공된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사용자에게 다각적인 사용 선택을 제공한다. 헤드 장착 브라켓(77), 이어폰 장치(7) 및 디스플레이 장치(6)가 조립 및 분해 모듈(B, C, A)를 통해 접속 기구(8)에 각기 장착될 때, 심취식 가족 극장 등이 실현될 수 있다. 확실히, 이 모드에서 헤드 장착 브라켓(77)이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음악을 들을 필요가 있을 때에만, 디스플레이 장치(6)가 조립 및 분해 모듈(A)을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상이한 사용자들의 기호 때문에, 헤드 장착 브라켓(77)이 개성화될 수 있고, 개성화에 따라 이어폰 장치(7)가 상이한 음향 효과 및 음향 품질 조건을 위해 교환된다. 다른 실시방식에서 접속 기구(8)에는 조립 및 분해 모듈(B)이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조립 및 분해 모듈(C)을 통해, 현존하는 헤드 장착 이어폰과 직접 조합되며, 즉 헤드 장착 브라켓이 또한 제공된다.
다른 실시방식에서, 전술한 조립 및 분해 모듈의 조합 방식은 상이한 제품의 개성화된 변환을 실현하도록 융통성 있게 배열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은 단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일 뿐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범위 및 원리 내에서 만들어진 임의의 변경예, 균등한 대체예, 개선예 등은 본 개시의 보호 범위에 의해 커버될 수 있어야 한다.

Claims (19)

  1.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및 출력하도록 작동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양단에 각기 조립 및 분해 요소가 설치되어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작동가능한 이어폰 장치로서, 상기 이어폰 장치는 한쌍의 조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이어폰 장치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이어폰 장치를 접속하도록 작동가능한 접속기구로서, 상기 접속기구는 한쌍의 제 1 조립 및 분해 모듈과 한쌍의 제 2 조립 및 분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양단의 조립 및 분해 요소는 각기 상기 한쌍의 제 1 조립 및 분해 모듈에 탈착가능하게 접속되고, 상기 이어폰 장치의 한쌍의 조합부는 각기 상기 한쌍의 제 2 조립 및 분해 모듈에 탈착가능하게 접속되는, 상기 접속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기구는 한쌍의 핀 샤프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각 핀 샤프트는 대응하는 상기 제 1 조립 및 분해 모듈을 관통하여 대응하는 상기 제 2 조립 및 분해 모듈에 클램프됨으로써, 대응하는 상기 제 1 조립 및 분해 모듈과 상기 제 2 조립 및 분해 모듈을 고정 조립하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립 및 분해 모듈은:
    조작부 및 피동부를 포함하는 제 1 슬라이드 핸들과;
    제 1 베이스로서, 상기 제 1 베이스는:
    상기 제 1 베이스 내측에 슬라이드 홈 공간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홈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홈 공간은 상기 제 1 베이스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 개구까지 연장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 개구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피동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피동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 공간 내에서 미끄러지도록 상기 조작부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슬라이드 홈과;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연장되는 접속 공간과, 접속 홈 내에 배열되는 위치설정부를 구비하는 접속 홈으로서, 상기 접속 공간은 상기 베이스의 외측 표면 내에 형성된 접속 홈 개구까지 연장되는, 상기 접속 홈을 구비하는, 상기 제 1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드 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드 핸들 내에 접속된 제 1 탄성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조립 및 분해 요소는, 상기 접속 공간 내에 수용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 상에 배열된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위치설정부에 조립되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헤드 장착 브라켓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헤드 장착 브라켓의 양단에 각기 조립 및 분해 요소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기구는 한쌍의 제 3 조립 및 분해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헤드 장착 브라켓 양단의 조립 및 분해 요소는 각기 상기 한쌍의 제 3 조립 및 분해 모듈에 탈착가능하게 접속되며, 각 핀 샤프트는 대응하는 상기 제 1 조립 및 분해 모듈과 상기 제 3 조립 및 분해 모듈을 차례로 관통한 다음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조립 및 분해 모듈에 클램프됨으로써, 대응하는 상기 제 1 조립 및 분해 모듈, 상기 제 2 조립 및 분해 모듈 및 상기 제 3 조립 및 분해 모듈을 고정 조립하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조립 및 분해 모듈은:
    각기 조작부 및 피동부를 포함하는 2개의 제 2 슬라이드 핸들과;
    제 2 베이스로서, 상기 제 2 베이스는:
    상기 제 2 베이스 내측에 슬라이드 홈 공간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홈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홈 공간은 상기 제 2 베이스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 개구까지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드 홈 공간 내에 고정 시트가 배열되고, 상기 2개의 슬라이드 핸들은 상기 슬라이드 홈 내에 평행하게 배열되며, 상기 2개의 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 개구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2개의 피동부는 각기 상기 고정 시트의 양측에 배열되며, 상기 2개의 제 2 슬라이드 핸들의 조작부는 각자의 피동부를 구동하여 상기 2개의 제 2 슬라이드 핸들이 상기 슬라이드 홈 공간 내에서 반대 방향으로 미끄럼이동하도록 하는, 상기 슬라이드 홈과;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연장되는 접속 공간과, 접속 홈 내에 배열되는 위치설정부를 구비하는 접속 홈으로서, 상기 접속 공간은 상기 제 2 베이스의 외측 표면 내에 형성된 접속 홈 개구까지 연장되는, 상기 접속 홈을 구비하는, 상기 제 2 베이스와;
    U자 형상을 이루고, 상기 고정 시트에 고정되며, 상기 2개의 제 2 슬라이드 핸들에 접속된 제 2 탄성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 장착 브라켓의 조립 및 분해 요소는, 상기 접속 공간 내에 수용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 상에 배열된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위치설정부에 조립되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조립 및 분해 모듈은:
    레질리언트 스트립 본체와, 상기 레질리언트 스트립 본체의 양 단부에 각기 위치된 후크부 및 탄성 지지부를 각기 구비하는 탄성 후크들과;
    제 1 나사산 벽을 구비하는 압축 나사산 튜브와;
    상기 제 1 나사산 벽과 나사결합되도록 작동가능한 제 2 나사산 벽을 구비하는 나사결합 너트와;
    고정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베이스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내측의 분리 시트와;
    상기 프레임과 상기 분리 시트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제 1 나사산 벽에 대응하는 관통 홈으로서, 상기 제 1 나사산 벽은 상기 고정 베이스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관통 홈을 통해 타측 상의 상기 제 2 나사산 벽에 연결되는, 상기 관통 홈과;
    상기 탄성 지지부를 수용하도록 인접한 관통 홈들 사이에 배열된 고정 홈을 포함하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질리언트 스트립 본체와 상기 탄성 지지부 사이에 고정 샤프트가 배열되고, 상기 고정 홈은 상기 고정 샤프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샤프트 구멍을 추가로 형성하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장치는 상기 탄성 후크를 통해 상기 접속 기구에 접속되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샤프트는 치형 구조, 회전 정사각 샤프트와 멈춤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베이스는 제 1 관통 샤프트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관통 샤프트 구멍의 내벽은 상기 치형 구조와 결합된 결합 레질리언트 스트립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베이스의 분리 시트의 축 중심은 상기 회전 정사각 샤프트와 결합하는 관통 구멍과, 상기 멈춤 후크에 대응하여 스냅결합하는 클램핑 홈을 형성하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 샤프트는 제한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베이스는 제 2 관통 샤프트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관통 샤프트 구멍의 내측 환상 표면 상에 상기 제한부와 스냅결합되는 스냅결합 리세스가 형성되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조립 및 분해 모듈에 있어서,
    조작부 및 피동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핸들과;
    베이스로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 내측에 슬라이드 홈 공간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홈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홈 공간은 상기 베이스의 외측 표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 개구까지 연장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 개구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피동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 공간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피동부는 상기 슬라이드 홈 공간 내에서 미끄러지도록 상기 조작부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슬라이드 홈과;
    상기 슬라이드 홈을 따라 연장되는 접속 공간과, 접속 홈 내에 배열되는 위치설정부를 구비하는 접속 홈으로서, 상기 접속 공간은 상기 베이스의 외측 표면 내에 형성된 접속 홈 개구까지 연장되는, 상기 접속 홈을 구비하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슬라이드 홈 내에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드 핸들에 접속된 탄성 스트립과;
    상기 접속 공간 내에 수용된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 상에 배열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조립 및 분해 요소로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위치설정부에 조립되는, 상기 조립 및 분해 요소를 포함하는
    조립 및 분해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공간은 상기 슬라이드 홈의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조립 및 분해 모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홈의 연장 거리는 상기 조립 및 분해 요소의 최대 폭보다 작고, 상기 접속 홈의 연장 거리와 상기 슬라이드 홈의 폭의 합은 상기 조립 및 분해 요소의 최대 폭보다 큰
    조립 및 분해 모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상기 접속 공간에 대응하는 상기 슬라이드 홈 공간으로부터 멀어지도록 미끄러지고, 상기 접속 홈 개구 및 상기 슬라이드 홈 개구의 대응하는 부분은 설치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 공간 및 상기 슬라이드 홈 공간의 대응하는 부분은 설치 공간을 형성하는
    조립 및 분해 모듈.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조립 및 분해 모듈에 있어서,
    레질리언트 스트립 본체와, 상기 레질리언트 스트립 본체의 양 단부에 각기 위치된 후크부 및 탄성 지지부를 각기 구비하는 탄성 후크들과;
    제 1 나사산 벽을 구비하는 압축 나사산 튜브와;
    상기 제 1 나사산 벽과 나사결합되도록 작동가능한 제 2 나사산 벽을 구비하는 나사결합 너트와;
    고정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베이스는:
    상기 제 1 나사산 벽에 대응하는 관통 홈으로서, 상기 제 1 나사산 벽은 상기 고정 베이스의 일 측으로부터 상기 관통 홈을 통해 타측 상의 상기 제 2 나사산 벽에 연결되는, 상기 관통 홈과;
    상기 탄성 지지부를 수용하도록 인접한 관통 홈들 사이에 배열된 고정 홈을 형성하는
    조립 및 분해 모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레질리언트 스트립 본체와 상기 탄성 지지부 사이에 고정 샤프트가 배열되고, 상기 고정 홈은 상기 고정 샤프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샤프트 구멍을 추가로 형성하는
    조립 및 분해 모듈.
KR1020177030284A 2015-03-27 2015-03-27 모듈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조립 및 분해 모듈 KR101990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5/075322 WO2016154827A1 (zh) 2015-03-27 2015-03-27 一种模块化的头戴式显示设备及拆装模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506A KR20170130506A (ko) 2017-11-28
KR101990724B1 true KR101990724B1 (ko) 2019-06-18

Family

ID=5700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284A KR101990724B1 (ko) 2015-03-27 2015-03-27 모듈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조립 및 분해 모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31169B2 (ko)
EP (1) EP3285108A4 (ko)
JP (1) JP6554178B2 (ko)
KR (1) KR101990724B1 (ko)
CN (1) CN106211795B (ko)
WO (1) WO20161548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30767A4 (en) * 2015-07-30 2019-03-20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ELECTRONIC DEVICE MOUNTED ON THE HEAD
CN106686484B (zh) * 2017-03-16 2019-08-02 歌尔股份有限公司 头戴耳机
CN108626240A (zh) * 2017-03-17 2018-10-09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旋转结构及具有该旋转结构的电子装置
CN109103690B (zh) * 2017-06-21 2023-11-28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机构
EP3643932B1 (en) 2017-06-21 2022-11-02 Goertek Technology Co., Ltd. Connecting mechanism
CN107167923A (zh) * 2017-07-18 2017-09-15 贵州大学 一种无线vr眼镜
CN115327780A (zh) 2017-09-11 2022-11-11 杜比实验室特许公司 用于ar/vr/mr的模块化拆卸式可穿戴装置
WO2019090460A1 (zh) * 2017-11-07 2019-05-1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头戴显示设备
WO2019090458A1 (zh) * 2017-11-07 2019-05-1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头戴显示设备
CN111201471A (zh) * 2017-11-07 2020-05-2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头戴显示设备
CN111201472A (zh) * 2017-11-07 2020-05-2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头戴显示设备
CN107846640B (zh) * 2017-11-30 2024-03-12 歌尔智能科技有限公司 头戴耳机
KR102602848B1 (ko) * 2018-03-23 2023-1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CN114143662B (zh) * 2022-02-07 2022-06-17 江西科技学院 一种带有可拆卸式外壳的耳机扬声器
CN114294546B (zh) * 2022-02-23 2023-11-03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头戴支架
DE102022208989A1 (de) * 2022-08-30 2024-02-2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opfstütze, Kopfstützen-System, Sitz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9622A (ja) * 2003-12-26 2005-07-14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2024A (en) * 1986-08-29 1990-08-28 Gale Thomas S Three-dimensional sight and sound reproduction apparatus for individual use
CA2059597A1 (en) * 1991-01-22 1992-07-23 Paul A. Vogt Radio eyewear
US5880773A (en) * 1991-12-27 1999-03-09 Sony Corporation Head mounted display configured to a user's physical features
JPH06331928A (ja) * 1993-05-24 1994-12-02 Sony Corp 眼鏡型ディスプレイ装置
US7310072B2 (en) * 1993-10-22 2007-12-18 Kopin Corporation Portable communication display device
US6480174B1 (en) * 1999-10-09 2002-11-12 Optimize Incorporated Eyeglass-mount display having personalized fit module
US20120105740A1 (en) * 2000-06-02 2012-05-03 Oakley, Inc. Eyewear with detachable adjustable electronics module
US8482488B2 (en) * 2004-12-22 2013-07-09 Oakley, Inc. Data input management system for wearable electronically enabled interface
US7869128B2 (en) * 2005-09-27 2011-01-11 Konica Minolta Holdings, Inc. Head mounted display
US20070248238A1 (en) * 2005-12-13 2007-10-25 Abreu Marcio M Biologically fit wearable electronics apparatus and methods
JP2007266870A (ja) * 2006-03-28 2007-10-11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JP4887907B2 (ja) * 2006-05-26 2012-02-29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DE102007051959A1 (de) * 2007-10-29 2009-05-14 Carl Zeiss Ag Anzeigevorrichtung
US8270654B2 (en) * 2009-03-02 2012-09-18 Sanjeev Kumar Singh Customizable audio earpiece
CN201477289U (zh) * 2009-08-07 2010-05-19 四川虹视显示技术有限公司 头戴显示器
US20110090135A1 (en) * 2009-10-21 2011-04-21 Symbol Technologies, Inc. Interchangeable display device for a head-mounted display system
US20120249797A1 (en) * 2010-02-28 2012-10-04 Osterhout Group, Inc. Head-worn adaptive display
WO2011137034A1 (en) 2010-04-27 2011-11-03 Kopin Corporation Wearable electronic display
EP2538698A1 (en) * 2011-06-23 2012-12-26 GN Netcom A/S Inductive earphone coupling
JP5891705B2 (ja) 2011-10-27 2016-03-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8577427B2 (en) * 2012-03-08 2013-11-05 Lee Serota Headset with adjustable display and integrated computing system
CN202565448U (zh) * 2012-05-08 2012-11-28 俊骅企业有限公司 耳机的耳罩
WO2014019533A1 (en) * 2012-08-02 2014-02-06 Ronald Pong Headphones with interactive display
US10433044B2 (en) * 2012-08-02 2019-10-01 Ronald Pong Headphones with interactive display
CN203641784U (zh) 2013-10-30 2014-06-11 青岛歌尔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滑动装置和头戴显示器
WO2015138266A1 (en) * 2014-03-10 2015-09-17 Ion Virtual Technology Corporation Modular and convertible virtual reality headset system
CN204014003U (zh) * 2014-08-01 2014-12-10 王傲立 一种带增强现实显示器的耳机
CN104166239A (zh) 2014-08-25 2014-11-26 成都贝思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高清摄像机的头戴式视频眼镜取景装置
CN107209374A (zh) * 2015-08-19 2017-09-26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头戴式电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9622A (ja) * 2003-12-26 2005-07-14 Nikon Corp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54178B2 (ja) 2019-07-31
EP3285108A4 (en) 2019-06-19
US10331169B2 (en) 2019-06-25
CN106211795B (zh) 2019-05-31
JP2018517316A (ja) 2018-06-28
US20180074549A1 (en) 2018-03-15
WO2016154827A1 (zh) 2016-10-06
KR20170130506A (ko) 2017-11-28
CN106211795A (zh) 2016-12-07
EP3285108A1 (en)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724B1 (ko) 모듈화 헤드 장착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와, 조립 및 분해 모듈
US11118722B2 (en) Quick release assembly and support
WO2010102390A1 (en) Stand for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US20210191478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US8537532B2 (en) All-in-one computer
JP2014035507A (ja) 表示装置
CN103717021A (zh) 具有高度调节结构的显示设备和具有所述显示设备的终端
KR20170134606A (ko) 착용가능한 디스플레이 장비
US20160259142A1 (en) Optical Fiber Stripp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Device
KR20160094193A (ko) 디스플레이장치
US20220295949A1 (en) Quick-release assembly and virtual reality device
CN205247002U (zh) 液晶显示装置
CN103869583A (zh) 投影装置及其积分柱定位结构
US20220260841A1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US12099202B2 (en) Electronic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a conducting wire and assembly of a head-mounted display
JP3241052U (ja) 着脱式プロジェクタ装置及びその密閉型ハウジング、並びに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US9913390B2 (en) Electronic device and adjustable frame thereof
TWM567535U (zh) Pivot module with rebound function
CN218869585U (zh) 表带组件以及穿戴设备
KR102144209B1 (ko) 접이식 소프트박스
CN100465774C (zh) 可调整高度的投影机
EP4235272A1 (en) Wearable device and quick-release assembly therefor
WO2024193342A1 (zh) 转轴机构及可折叠电子设备
JP2008103948A (ja) 表示装置
CN203115413U (zh) 拆装模块以及具有拆装模块的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