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713B1 -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713B1
KR101990713B1 KR1020177008817A KR20177008817A KR101990713B1 KR 101990713 B1 KR101990713 B1 KR 101990713B1 KR 1020177008817 A KR1020177008817 A KR 1020177008817A KR 20177008817 A KR20177008817 A KR 20177008817A KR 101990713 B1 KR101990713 B1 KR 101990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display
curvature
edge portion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8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3591A (ko
Inventor
송링 양
지홍 리우
Original Assignee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073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3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이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기판(20) 및 가요성 스크린(30)을 포함한다. 기판(20)은 제 1 곡률을 갖는 정면(22), 이 정면(22)에 대향하는 배면(24), 및 정면(22) 옆에 위치되고 제 2 곡률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측면(26, 28, 29)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제 2 곡률은 제 1 곡률보다 크다. 가요성 스크린(30)은 적어도 2개의 비-디스플레이 구역(38) 및 발광 요소 어레이(31)를 구비하는 유효 구역(36)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 유효 구역(36)은 정면(22)에 접착된 주요 부분(36a), 및 측면에 접착된 적어도 2개의 에지 부분(36b, 36c)을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비-디스플레이 구역(38)은 배면(24)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4개의 에지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가시 면적 비율이 증가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ID DISPLAY MODUL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고, 특히, 보다 큰 가시 면적 비율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의 구조에 대해서, 액정은 2개의 평행한 강성의 직사각형 유리 기판 사이에 배치된다.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는 보다 아래의 기판 유리 상에 배치되고, 컬러 필터는 보다 위의 기판 유리 상에 배치된다. 액정 분자의 회전 방향은 TFT의 신호 및 전압의 변화에 의해 제어되고, 그에 따라 각 픽셀의 편광이 방사될 수 있는지 여부가 제어되어 디스플레이 목적이 달성된다. 액정이 액체이기 때문에, 상부 및 하부 유리 기판의 주변에는 액정을 밀봉하는 밀봉 장치, 예를 들면, 밀봉 접착제가 제공되어, 액정 패널의 주변에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프레임이 제공된다.
기술의 발전과 함께,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패널이 발전되고, OLED 패널은 강성 유리 기판 상에 배치된 2개의 전극층과, 이 2개의 전극층 사이에 개재된 유기 물질의 층을 포함한다. 유기 물질은 임의로 흐를 수 없기 때문에, 프레임은 유기 물질을 밀봉하는데 필요하지 않다. 현재의 OLED 패널은 OLED 패널의 중앙에 배치된 직사각형의 유효 디스플레이 구역(effective display region)과, OLED 패널의 주변에 배치된 배선 구역(wiring region)을 포함하고, 이 배선 구역은 대응하는 컨트롤러에 대한 유효 구역(effective region)의 데이터 라인과 제어 라인을 결합하는데 사용된다. 배선 구역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지 않기 때문에, OLED 패널의 유효 구역이 전체 패널을 차지하는 비율은 감소한다, 즉, 가시 면적 비율은 계속해서 작아진다. 현재, 가요성 OLED 스크린의 발전과 함께, 가시 면적 비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보다 큰 발전 여지가 존재한다.
본 발명은 가요성 스크린 및 보다 큰 가시 면적 비율을 갖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기판 및 가요성 스크린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판은 제 1 곡률을 갖는 정면, 이 정면에 대향하는 배면, 및 정면 옆에 위치되고 제 2 곡률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측면을 포함할 수도 있고, 제 2 곡률은 제 1 곡률보다 크다. 가요성 스크린은 적어도 2개의 비-디스플레이 구역 및 발광 요소 어레이를 구비하는 유효 구역을 포함할 수도 있고, 이 유효 구역은 정면에 접착된 주요 부분, 및 측면에 접착된 적어도 2개의 에지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적어도 2개의 비-디스플레이 구역은 배면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인 특징부 하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4개의 에지는 프레임 없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시 면적 비율은 증가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이 전자 장치, 예를 들면, 휴대폰 내에 조립될 때, 전자 장치의 4개의 에지는 프레임을 갖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고, 따라서, 전자 장치의 매력이 향상된다.
이하의 첨부 도면은 상세한 실시예와 조합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명확하게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첨부 도면에 의해 나타낸 다양한 요소의 크기 및 비율 관계는 실제 크기 및 실제 비율 관계를 나타내지 않고, 첨부 도면은 명확한 도시를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라는 것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위한 한정부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략도,
도 2는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부분 분해도,
도 3은 조립 전의 도 1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가요성 스크린의 전개도,
도 4는 도 3의 가요성 스크린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도 1의 V-V선을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시점과 유사한 시점에서 바라본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조립 후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면도,
도 8은 도 7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부분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의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 기술적 해결책 및 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이하는 다양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과 조합하여, 본 발명을 이하에 보다 상세하게 나타낼 것이다. 설명된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데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 후의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개략도이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기판(20), 가요성 스크린(30), 가요성 회로판(40) 및 일체형 컨트롤러(50)를 포함한다. 기판(20)은 직사각형이고, 정면(22), 이 정면(22)에 대향하는 배면(24), 기판(20)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2개의 제 1 측면(26), 기판(20)의 단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측면(28) 및 제 3 측면(29)을 포함한다. 정면(22) 및 배면(24)은 서로 평행한 평면이다. 제 1 측면(26) 및 제 2 측면(28)은 반원통면이고, 정면(22) 및 배면(24)에 접하며, 이 특징부는 도 5에서 보다 명확하다. 제 3 측면(29)은 정면(22) 및 배면(24)에 수직인 편평면이다. 기판(20)의 길이[제 2 측면(28)과 제 3 측면(29) 사이의 최대 거리]는 L이고, 폭[2개의 측면(26) 사이의 최대 거리]은 W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요성 스크린(30)은 펼쳐진 때에 4개의 코너부에서 챔퍼부(chamfer)를 구비하는 정사각형이고, 발광 요소 어레이(31)를 구비하는 유효 구역(36)과, 실질적으로 사다리꼴인 3개의 비-디스플레이 구역(38)을 포함한다. 유효 구역(36)은 직사각형의 주요 부분(36a)과, 이 주요 부분(36a)의 기다란 측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2개의 제 1 에지 부분(36b)과, 주요 부분(36a)의 단측부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에지 부분(36c)을 포함한다. 제 1 에지 부분(36b)은 직사각형이고, 제 1 에지 부분(36b)의 길이는 주요 부분(36a)의 기다란 측부의 길이와 동일하다. 제 2 에지 부분(36c)은 직사각형이고, 제 2 에지 부분(36c)의 길이는 주요 부분(36a)의 단측부의 길이와 동일하다. 인접한 제 2 에지 부분(36c)과 제 1 에지 부분(36b) 사이에 갭(36d)이 형성된다. 3개의 비-디스플레이 구역(38) 각각은 대응하는 에지 부분(36b) 및 에지 부분(36c)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된다. 주요 부분(36a)의 폭과 2개의 제 1 에지 부분(36b)의 합은 W보다 크고, 주요 부분(36a)의 길이와 제 2 에지 부분(36c)의 길이의 합은 L보다 크다.
발광 요소 어레이(31), 즉 픽셀 어레이는 상호 교차(본 실시예에서는, 상호 직교)하는 게이트 라인(32) 및 데이터 라인(33), 인접한 게이트 라인(32) 및 데이터 라인(33) 사이에 각각 배치되는 제어 회로(34), 및 하나의 대응하는 제어 회로(34)에 각각 결합되는 발광 유닛(35), 예를 들면,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각 제어 회로(34)는 발광 유닛(35)의 온(on) 또는 오프(off)를 제어하기 위해, 대응하는 제어 지시를 수신하도록, 대응하는 게이트 라인(32) 및 데이터 라인(33)에 결합된다. 홀수의 게이트 라인(32) 및 짝수의 게이트 라인(32) 각각은 2개의 에지 부분(36b)을 거쳐서 대응하는 비-디스플레이 구역(38)(도면부호는 38a 및 38b임)으로 연장된다. 데이터 라인(33)은 제 2 에지 부분(36c)을 거쳐서 대응하는 비-디스플레이 구역(38)(도면부호는 38c임)으로 연장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에지 부분(36b) 내의 데이터 라인(33)은 주요 부분(36a)을 향해 방향 전환되고, 또한 제 2 에지 부분(36c)을 거쳐서 대응하는 비-디스플레이 구역(38c)으로 연장된다. 제 2 에지 부분(36c) 내의 홀수 및 짝수의 게이트 라인(32)(오직 하나의 게이트 라인이 도 4에 도시됨)은 주요 부분(36a)을 향해 전부 방향 전환되고, 또한 2개의 제 1 에지 부분(36b)을 거쳐서 대응하는 비-디스플레이 구역(38a 및 38b)으로 연장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모든 데이터 라인(33)은 비-디스플레이 구역(38c)으로 연장되고, 모든 홀수 및 짝수의 게이트 라인(32)은 비-디스플레이 구역(38a 및 38b) 내로 연장된다.
조립 시에, 유효 구역(36)의 중심은 기판(20)의 정면(22)의 중심과 정렬되고, 유효 구역(36)의 기다란 측부 및 기판(20)의 정면(22)은 서로 평행하다. 그 다음에, 비-디스플레이 구역(38a 및 38b)은 2개의 제 1 측면(26) 각각을 따라 배면(24)을 향해 구부러지고, 접착제 등을 통해 배면(24)에 고정된다. 그다음에, 비-디스플레이 구역(38c)은 제 2 측면(28)을 따라 배면(24)을 향해 구부러지고, 또한 접착제 등을 통해 배면(24)에 고정될 수 있다. 비-디스플레이 구역의 챔퍼부에 의해, 비-디스플레이 구역은 중첩 없이 배면으로 구부러진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중첩은 존재할 수도 있고,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의해 도시된 구조가 형성된다.
도 5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부분(36a)은 기판의 정면(22)을 커버한다. 제 1 에지 부분(36b)은 제 1 측면(26)의 아크의 절반을 커버한다. 유사하게, 제 2 에지 부분(36c)은 제 2 측면(28)(도시되지 않음)의 아크의 절반을 커버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회로판(40)은 3개의 비-디스플레이 구역(38a, 38b, 38c)의 게이트 라인(32) 및 데이터 라인(33)에 결합된다. 일체형 컨트롤러(50)는 가요성 회로판(4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지시를 게이트 라인(32) 및 데이터 라인(33)으로 전송하기 위해, 게이트 라인(32) 및 데이터 라인(33)에 결합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형성된다. 또한, 일체형 컨트롤러(50)는 기판(20)에 대면하는 가요성 회로판(40)의 다른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일체형 컨트롤러(50)에 대응하는 배면(24)의 위치는 일체형 컨트롤러(50)를 수용하도록 수용 홈(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후에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전방으로부터 바라볼 때, 디스플레이 모듈(10)의 4개의 에지는 프레임 없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가시 면적 비율이 증가한다. 2개의 측면(26)의 곡률 반경의 감소에 의해서, 제 1 에지 부분(36b) 및 제 2 에지 부분(36c)은 구부러진 후에, 갭(36d)은 작아진다. 곡률 반경이 충분히 작아지면, 갭(36d)은 스크린을 바라볼 때 사용자에게 영향을 전혀 주지 않을 것이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휴대폰 내에 조립될 때, 휴대폰의 4개의 에지는 프레임을 구비하지 않도록 설계될 수 있고, 따라서, 휴대폰의 매력이 향상된다. 확실히,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태블릿 컴퓨터, 올-인-원 컴퓨터(all-in-one computer), 디스플레이, 텔레비전, 및 다른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정사각형(quadrate) 또는 다른 형상일 수 있고, 전자 장치의 특정 필요조건에 따라 설계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제 1 에지 부분(36b)에 의해 커버된 제 1 측면(26)의 일부분의 길이 및 제 2 에지 부분(36c)에 의해 커버된 제 2 측면(28)의 일부분의 길이가 제 1 측면(26) 및 제 2 측면(28)의 아크의 길이의 절반보다 작거나 크고, 이는 전자 장치의 특정 디자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1)이 제공된다. 도 6에 있어서, 가요성 스크린 및 컨트롤러만이 도시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1)과 제 1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모듈(10) 사이의 차이점은, 디스플레이 모듈(11)에 대해서, 3개의 컨트롤러가 상기 일체형 컨트롤러(50)를 대체하도록 사용되고, 이 3개의 컨트롤러는 각각, 2개의 게이트 라인 컨트롤러(62) 및 데이터 라인 컨트롤러(64)라는 것이다. 2개의 게이트 라인 컨트롤러(62)는 홀수의 게이트 라인(32) 및 짝수의 게이트 라인(32)에 각각 결합되고, 데이터 라인 컨트롤러(64)는 데이터 라인(33)에 결합된다. 가요성 회로판(40)은 3개의 컨트롤러에 결합되고, 가요성 회로판(40)에는 외부 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듈에 결합되게 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도시되지 않음)가 또한 제공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2)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2)과 제 2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모듈(11) 사이의 차이점은, 가요성 스크린의 모든 게이트 라인(32)이 기판(20)의 종방향에 평행한 비-디스플레이 구역(38a)으로 연장되고, 비-디스플레이 구역(38a)은 기판의 배면(24)을 향해 구부러지고, 이 배면(24)에 고정되며, 비-디스플레이 구역(38a)에 대향하는 유효 구역의 에지 부분(36b)이 계속해서 측면(26)에 접착된다는 것이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2)은 하나의 게이트 라인 컨트롤러만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에지가 제 1 실시예에 나타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효과가 또한 실현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및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각 게이트 드라이버가 실리콘 웨이퍼로 제조된 외부 드라이버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발광 요소 어레이를 구비하는 어레이 기판 상에 배치된 게이트 드라이버일 수 있으며, 게이트 드라이버는 게이트 드라이버 온 어레이(gate driver on array; GOA) 기술로 제조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3)이다. 디스플레이 모듈(13)과 제 3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모듈(12) 사이의 차이점은, 기판(20')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오직 하나의 측면(26)이 반원통면이고, 다른 측면(26')은 편평면이라는 것이다. 유효 구역(36)은 하나의 곡선형의 제 1 에지 부분(36b)만을 포함한다. 유효 구역(36)의 주요 부분의 기다란 측부(36b') 및 단측부는 기판의 2개의 편평면의 측면(26') 및 측면(29)(도면부호 29는 도 2에 나타냄)과 각각 정렬된다.
선택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의 기판은 변형 후의 변형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성 편평판이 구부러질 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박강판(thin steel plate)(27)이 구부러질 때, 기판이 형성된다. 이때, 박강판(27)은 절반 포위 구조(half-surrounded structure)를 형성하도록 변형될 수 있고, 중공 공동(29)은 다른 구성요소,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회로판을 수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제 2 실시예,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의 기판은 배터리일 수 있다. 이때, 배터리는 대응하는 실시예에 의해 나타낸 기판의 형상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두께는 감소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실시예에 의해 나타낸 기판은 구부러질 수 있고, 가요성 스크린이 위에 있는 정면(22)은 특정 곡률로 오목하게 될 수 있으며, 이는 도 11에 의해 도시된다. 정면(22)은 또한 특정 곡률로 상향으로 볼록하게 될 수 있거나, 실질적인 구면을 형성하도록 오목하게 또는 볼록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수 있다. 간단히 말해서, 정면은 오목면 또는 볼록면일 수 있고, 오목면 또는 볼록면의 곡률은 측면의 곡률보다 작다. 게다가, 측면은 정면 및 배면에 직교하는 반원통면이 아닐 수도 있고, 필요로 하는 것은 측면이 정면 또는 배면에 매끄럽게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이며, 가요성 스크린은 예각형 물체에 의해 손상되지 않을 것이다. 정면이 편평면일 때, 곡률은 제로이고, 따라서, 상기 실시예 전부를 참조하면, 기판의 정면의 모든 곡률은 본 발명의 정신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기판의 측면의 곡률보다 작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층(touch layer)(도시되지 않음)은 기판(20)에 대향하는 가요성 스크린(30)의 표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터치 층은 터치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술된 설명은 본 발명을 한정하기보다는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정신 및 원리와 함께 임의의 변경, 동등한 치환예, 및 개선예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포함될 것이다.

Claims (12)

  1. 디스플레이 모듈에 있어서,
    제 1 곡률을 갖는 정면, 상기 정면에 대향하는 배면, 및 상기 정면 옆에 위치되고 제 2 곡률을 갖는 적어도 2개의 측면을 포함하는 기판으로서, 상기 제 2 곡률은 상기 제 1 곡률보다 큰, 상기 기판과,
    적어도 2개의 비-디스플레이 구역 및 발광 요소 어레이를 구비하는 유효 구역을 포함하는 가요성 스크린으로서, 상기 유효 구역은 상기 정면에 접착된 주요 부분, 및 상기 측면에 접착된 적어도 2개의 에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비-디스플레이 구역은 상기 배면으로 연장되며, 그 중에서 상기 유효 구역의 적어도 2개의 에지 부분은 서로 수직되고, 상기 가요성 스크린은 펼쳐진 때에 적어도 1개의 코너부에서 삼각형 챔퍼부를 구비하는 정사각형이며, 서로 수직되는 2개의 에지 부분은 상기 코너부에서 서로 인접하여 있는, 상기 가요성 스크린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구역은 2개의 에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으로 연장되는 상기 비-디스플레이 구역은 상기 2개의 에지 부분을 따라 상기 배면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구역은 3개의 에지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에지 부분 중 2개의 에지 부분은 서로 평행하고, 상기 3개의 에지 부분 중 다른 하나의 에지 부분은 상기 3개의 에지 부분 중 2개의 나머지 에지 부분에 수직이며, 상기 가요성 스크린은 3개의 비-디스플레이 구역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으로 연장되는 상기 비-디스플레이 구역은 상기 3개의 에지 부분을 따라 상기 배면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은 상기 제 1 곡률이 제로인 편평면, 오목면, 또는 볼록면이고, 상기 측면은 상기 정면에 매끄럽게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및 배면은 상기 제 1 곡률이 제로인 편평면이고, 상기 측면은 상기 정면 및 배면에 매끄럽게 연결되는 아크형 면인
    디스플레이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변형 후에 변형된 형상을 유지하는 강성 편평판이 구부러질 때 상기 기판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배터리인
    디스플레이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비-디스플레이 구역 내에 배치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배면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은 수용 홈을 형성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용 홈 내에 수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인접한 비-디스플레이 구역 사이에 갭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요소 어레이는 상호 교차되는 데이터 라인 및 제어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에지 부분 내에 배치되고 상기 에지 부분의 종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데이터 라인 또는 제어 라인은 방향 전환되고, 상기 인접한 에지 부분을 통과하여, 상기 인접한 에지 부분에 연결된 상기 비-디스플레이 구역으로 연장되는
    디스플레이 모듈.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177008817A 2014-09-02 2014-09-02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1990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4/000818 WO2016033704A1 (zh) 2014-09-02 2014-09-02 显示模组及具有该显示模组的电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3591A KR20170073591A (ko) 2017-06-28
KR101990713B1 true KR101990713B1 (ko) 2019-06-18

Family

ID=55438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8817A KR101990713B1 (ko) 2014-09-02 2014-09-02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128323B2 (ko)
EP (1) EP3174033A4 (ko)
JP (1) JP2017532594A (ko)
KR (1) KR101990713B1 (ko)
CN (1) CN105531753B (ko)
WO (1) WO20160337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173339A1 (en) * 2015-06-19 2018-06-21 Huawei Technologies Co., Ltd. User Equipment
KR102396460B1 (ko) * 2015-10-29 2022-05-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부를 갖는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742788B2 (en) * 2016-09-21 2020-08-1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06681067B (zh) * 2016-12-20 2019-01-22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显示装置
KR102326386B1 (ko) 2017-05-11 2021-11-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388902B1 (ko) * 2017-05-26 2022-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JP6917806B2 (ja) * 2017-06-30 2021-08-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7029894B2 (ja) * 2017-07-11 2022-03-0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EP3644166A4 (en) * 2017-08-31 2020-07-15 Huawei Technologies Co., Ltd. DISPLAY SCREEN AND MOBILE TERMINAL
US10797123B2 (en) 2017-10-13 2020-10-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6526358B1 (ja) * 2017-12-01 2019-06-05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9215521B (zh) * 2018-10-23 2022-03-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电子设备和显示模组的制造方法
KR20200138459A (ko) * 2019-05-29 2020-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CN112669699A (zh) * 2019-10-15 2021-04-16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和显示装置
CN110597360B (zh) * 2019-10-25 2021-09-14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曲面显示器之玻璃盖板的贴合方法
CN113516924B (zh) * 2021-05-19 2024-03-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模组及电子设备
CN114815975A (zh) * 2022-03-30 2022-07-29 广州邦通商务咨询有限公司 一种可弯曲的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26228A1 (en) * 2012-07-31 2014-05-08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1528B2 (ja) 1999-10-14 2006-12-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
JP2002258758A (ja) 2001-02-28 2002-09-11 Toshiba Corp ディスプレイ機器および携帯モバイル機器
JP2008096543A (ja) * 2006-10-06 2008-04-24 Seiko Epson Corp 表示装置
KR101348247B1 (ko) 2007-06-07 2014-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JP2010060866A (ja) * 2008-09-04 2010-03-18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パネル、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8576209B2 (en) * 2009-07-07 2013-11-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KR20120068772A (ko) 2009-09-16 2012-06-2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GB2474689B (en) * 2009-10-23 2015-08-26 Plastic Logic Ltd Electronic document reading devices
JP5720222B2 (ja) * 2010-12-13 2015-05-2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8716932B2 (en) * 2011-02-28 2014-05-06 Apple Inc.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s
KR101320385B1 (ko)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061356B2 (en) 2011-06-30 2018-08-2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flexible display panel
KR101320384B1 (ko) * 2011-06-30 2013-10-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가요성 표시 패널 및 상기 가요성 표시 패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929085B2 (en) 2011-09-30 2015-01-06 Apple Inc. Flexible electronic devices
KR101515629B1 (ko) *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14048362A (ja) 2012-08-30 2014-03-17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電子機器
US8946731B2 (en) * 2012-09-24 2015-02-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LED display with spalled semiconductor driving circuitry and other integrated functions
KR20140046839A (ko) * 2012-10-11 2014-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1615791B1 (ko) * 2012-11-14 2016-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측부 구부림 구조를 갖는 무-베젤 표시 패널
JP2014132319A (ja) 2013-01-07 2014-07-17 Panasonic Corp 表示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9430180B2 (en) * 2013-11-15 2016-08-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KR102205030B1 (ko) * 2013-12-17 2021-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26228A1 (en) * 2012-07-31 2014-05-08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74033A1 (en) 2017-05-31
EP3174033A4 (en) 2018-06-20
CN105531753B (zh) 2019-05-03
US20170288006A1 (en) 2017-10-05
KR20170073591A (ko) 2017-06-28
US10128323B2 (en) 2018-11-13
WO2016033704A1 (zh) 2016-03-10
JP2017532594A (ja) 2017-11-02
CN105531753A (zh)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713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1921010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US10062317B2 (en) Panel array for display device with narrow bezel
US10120220B2 (en) Foldabl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548225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display device
JP2024001183A (ja) 可撓性表示パネルを備える表示装置
US9395571B2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apparatus
US9941261B2 (en) Display device
US10120227B2 (en)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and tiled display device
US8879243B2 (en) Multi-display device
US9642257B2 (en) Display device
US9983447B2 (en) Flat panel display with narrow bezel area
CN103197445A (zh) 液晶显示器和电子设备
US20120098739A1 (en) Spliced electrophoretic display panel
US20170160578A1 (en) Display panel,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US20160334670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thereof
JP6688376B2 (ja)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この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を備える電子装置
US976649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9395567B2 (en)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at prevent cracking of a display panel without increasing in size
JP6688377B2 (ja) 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及びこの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を備える電子装置
US20230139381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4142379A (ja) 平面表示装置
TWI386721B (zh) 液晶顯示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