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052B1 - 코킹장치 및 그 작동방법 - Google Patents
코킹장치 및 그 작동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90052B1 KR101990052B1 KR1020170124299A KR20170124299A KR101990052B1 KR 101990052 B1 KR101990052 B1 KR 101990052B1 KR 1020170124299 A KR1020170124299 A KR 1020170124299A KR 20170124299 A KR20170124299 A KR 20170124299A KR 101990052 B1 KR101990052 B1 KR 1019900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pressing
- caulking
- mounting member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5/00—Uniting components to form integral members, e.g. turbine wheels and shafts, caulks with inserts, with or without shaping of the compon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착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을 가압하는 가압유닛,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가압유닛이 장착되는 바디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재는 와셔를 이용하여 피장착 장치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유닛에 의해 하향 이동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피장착 장치의 코킹 홀을 가압하여 소성변형 시킴으로써 상기 와셔의 내측 홀 보다 상기 코킹 홀의 직경이 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와,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고정유닛에 세팅하는 세팅단계, 상기 가압유닛으로 상기 고정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피장착 장치에 고정시키는 장착단계, 상기 장착부재 및 피장착 장치를 상기 고정유닛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단계는 상기 장착부재가 상기 와셔에 의해 상기 피장착 장치에 고정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코킹장치의 작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킹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장착부재(리본)가 장착되는 피장착 장치의 코킹 홀을 넓힘에 있어서 공압 프레스를 적용하여 필요한 압력값을 제공하고, 상기 장착부재의 사양(폭, 두께 등)에 맞게 교체 가능하도록 상기 코킹장치를 유닛(블럭화)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사양에 적용 가능한 코킹장치 및 그 작동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종래에는 코킹 홀을 넓혀주기 위해 치구와 망치를 이용하여 장착부재(리본)를 제품에 장착했는데 코킹 홀에 가해져야 하는 일정한 충격량 때문에 경험 많은 작업자만 이 업무를 수행할 수 있었고, 장착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의 크기가 작다 보니 부품의 고정이 어려우며 장착부재와 제품, 와셔의 구멍을 일치시키는 것 또한 쉽지 않았다.
따라서 작업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려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필요한 압력값을 일정하게 제공하고, 부품의 고정이 용이하여 생산 효율성이 높고, 다양한 사양에 적용이 가능한 코킹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장착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유닛, 고정유닛을 가압하는 가압유닛, 고정유닛과 상기 가압유닛이 장착되는 바디부를 포함하며 장착부재는 와셔를 이용하여 피장착 장치에 고정되며 가압유닛에 의해 하향 이동한 고정유닛은 피장착 장치의 코킹 홀을 가압하여 소성변형 시킴으로써 와셔의 내측홀 보다 코킹 홀의 직경이 크도록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이다.
본 발명을 통해서, 작업자의 스킬과 상관없이 필요한 압력값을 일정하게 제공하고, 부품의 고정이 용이하여 생산 효율성이 높으며, 다양한 사양에 적용이 가능한 코킹장치 및 그 작동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부분 단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장치에 장착부재 및 와셔를 세팅한 상태(좌) 및 가압 후 장착부재가 피장착 장치에 장착된 상태(우)를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장치의 작동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부분 단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장치에 장착부재 및 와셔를 세팅한 상태(좌) 및 가압 후 장착부재가 피장착 장치에 장착된 상태(우)를 간략화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장치의 작동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장착부재(200)를 고정하는 고정유닛(10), 상기 고정유닛을 가압하는 가압유닛(20),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가압유닛이 장착되는 바디부(40)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재는 와셔(400)를 이용하여 피장착 장치(300)에 고정되며 상기 가압유닛에 의해 하향 이동한 펀칭유닛은 상기 피장착 장치의 코킹 홀(310)을 가압하여 소성변형 시킴으로써 상기 와셔의 내측 홀 보다 상기 코킹 홀의 직경이 크도록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100)에 관한 것이다. 도면 및 설명에 적용된 상기 장착부재(200)는 직물소재의 리본이나, 이는 일 실시예로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부분 단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장치의 구성 및 형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압유닛(20)은 상하 이동하며 상기 코킹 홀(310)을 가압하여 변형시키는 펀칭유닛(30)을 포함하며 상기 펀칭유닛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누름부재(31), 상기 누름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탄성부재(32), 상기 누름부재에서 상기 제1탄성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펀칭마개(33), 상기 누름부재의 하단에 위치하며 자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와셔가이드(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유닛(20)은 상기 고정유닛(10)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상기 펀칭유닛(30)을 가압하는 돌출부(21), 기설정 된 압력값으로 상기 돌출부에 압력을 부여하는 섕크유닛(22)를 포함하며, 상기 섕크유닛은 상기 바디부(40)에 체결되어 상기 펀칭유닛을 중력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섕크유닛(22)은 상기 바디부(40)에 삽입되어 중력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섕크(23), 상기 섕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탄성부재(24), 상기 제2탄성부재가 상기 섕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섕크마개(25)를 포함하며 동력원이 상기 섕크마개를 가압하여 상기 섕크유닛을 상하 이동시키며 결국 상기 펀칭유닛(30)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상기 동력원은 상기 피장착 장치의 코킹 홀(310)이 소성 가공되는 크기 이상의 압력값을 상기 생크유닛(22)에 제공하며, 상기 동력원으로 공압 프레스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10)은 상기 펀칭유닛(30)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11), 상기 바디부(40)에 상기 고정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부(12)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압유닛(20)에 의한 압력이 제거되면 원래 위치로의 복귀를 돕는 제3탄성부재(13)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를 직접 가압하여 상기 고정유닛의 총길이(L)를 줄여서 상기 장착부재(200)를 상기 고정유닛에 끼우거나 상기 고정유닛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이동부(11)는 내측에 하부가 관통된 축중공을 포함하며, 상기 축중공에 상기 제3탄성부재(13)가 삽입된다. 또한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상기 이동부(11)는 상기 고정부(12)의 상측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를 수직방향으로 구속시키는 이동부 걸림핀(14)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부 걸림핀 이동홀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40)는 상기 가압유닛(20)이 체결되는 고정 지지부(41), 상기 고정유닛(10)이 체결되는 이동 지지부(42), 상기 고정 지지부가 고정되고 상기 이동 지지부의 수평이동의 기준이 되는 하판(43)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지지부는 상기 하판에 삽입되어 수평이동하며 상기 하판에 삽입되는 가이드부(44)를 포함하며, 상기 하판은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45)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홀(45)은 상기 누름부재(31)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 깊이로 관통되어 상기 이동 지지부의 수평이동을 돕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킹장치(100)는 상기 이동 지지부(42)를 상기 하판(43)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이동 지지부 고정유닛(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동 지지부 고정유닛은 상기 가이드부(44)를 상기 이동 지지부의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눌러 고정시키는 누름핀(51)과 상기 누름핀을 풀거나 조여서 고정 또는 해제시키는 손잡이(52)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유닛(10)의 이동부(11)의 상단에는 상기 가압유닛(20)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핀(15)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핀과 상기 이동 지지부(42)의 일측에 상기 장착부재(200)를 걸어 고정시킨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장치(100)는 각각의 특성별 유닛(블록화)으로 구성되어 있어, 필요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다. 만약, 상기 장착부재(200)의 폭, 두께를 포함한 제원에 변경이 있을 시에도 상기 고정유닛(10)을 교체함으로써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동력원에 상기 공압 프레스를 적용함으로써 값을 높이거나 줄여가며 원하는 압력값을 제공하는 등 작업자의 스킬과 관계없이 제어가 가능하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장치의 작동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장치의 장착단계 전(좌) 후(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도 3 및 본 발명에 따른 코킹장치의 작동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내는 도 4를 참조하면 이해가 쉽다.
상기 코킹장치의 작동방법은 상기 장착부재(200)를 상기 고정유닛(10)에 세팅하는 세팅단계(S10), 상기 가압유닛(20)으로 상기 고정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피장착 장치(300)에 고정시키는 장착단계(S20), 상기 장착부재 및 피장착 장치를 상기 고정유닛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단계(S30)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단계는 상기 장착부재가 상기 와셔(400)에 의해 상기 피장착 장치에 고정되는 단계로 상기 가압유닛에 의해 하향 이동한 상기 고정유닛이 상기 피장착 장치의 코킹 홀(310)을 가압하여 소성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와셔의 내측 홀 보다 상기 코킹 홀의 직경이 크도록 하여 상기 와셔를 상기 피장착 장치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세팅단계(S10)는 상기 장착부재(200)를 상기 고정유닛(10)에 끼우는 장착부재 삽입단계(S11), 상기 바디부(40)의 이동 지지부(42)를 이동시켜 상기 장착부재의 관통홀(210)의 중심축과 상기 피장착 장치의 코킹 홀(310)의 중심축을 일치시키는 축일치 단계(S12), 상기 관통홀의 중심에 맞춰 상기 와셔(400)를 상기 와셔가이드(34)에 부착시키는 와셔 고정단계(S13)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재 삽입단계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누름부재(31)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고정유닛에 끼우는 단계로 상기 고정유닛의 이동부(11)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유닛의 총길이(L)를 줄인 상태에서 진행한다.
상기 분리단계(S30)는 상기 바디부(40)의 이동 지지부(42)를 이동시켜 상기 장착부재의 관통홀(210)의 중심축과 상기 피장착 장치의 코킹 홀(310)의 중심축이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축이동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재 삽입단계(S11)와 마찬가지로 상기 고정유닛(10)으로부터 상기 장착부재 및 피장착 장치를 분리 시에는 상기 고정유닛의 이동부(11)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유닛의 총길이(L)를 줄인 상태에서 진행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상기 장착부재의 관통홀(210)과 상기 펀칭유닛의 누름부재(31)의 중심축이 일치하도록 상기 장착부재(100)를 상기 고정유닛(10)에 고정시키고 상기 와셔가이드(34)에 상기 와셔(400)를 부착하되, 상기 와셔의 내측홀과 상기 관통홀이 동심이 되도록 하고(누름부-장착부재-와셔 순으로), 상기 피장착 장치의 코킹 홀(310)의 중심축을 상기 와셔의 내측홀 중심에 일치시킨 후 상기 가압유닛(20)에 의해 상기 펀칭유닛(30)이 가압하면 상기 관통홀과 상기 와셔의 내측홀을 관통한 상기 코킹 홀이 소성변형 되어 상기 와셔의 내측홀 보다 큰 직경을 갖게 되어 상기 와셔가 상기 피장착 장치에 고정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피장착 장치에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코킹장치
200 : 장착부재
300 : 피장착 장치
400 : 와셔
10 : 고정유닛
20 : 가압유닛
30 : 펀칭유닛
40 : 바디부
50 : 이동 지지부 고정유닛
11 : 이동부
12 : 고정부
13 : 제3탄성부재
14 : 이동부 걸림핀
15 : 걸림핀
21 : 돌출부
22 : 섕크유닛
23 : 섕크
24 : 제2탄성부재
25 : 섕크마개
31 : 누름부재
32 : 제1탄성부재
33 : 펀칭마개
34 : 와셔가이드
41 : 고정 지지부
42 : 이동 지지부
43 : 하판
44 : 가이드부
45 : 가이드 홀
51 : 누름핀
52 : 손잡이
210 : 장착부재 관통홀
310 : 피장착 장치 코킹 홀
L : 고정유닛 총길이
200 : 장착부재
300 : 피장착 장치
400 : 와셔
10 : 고정유닛
20 : 가압유닛
30 : 펀칭유닛
40 : 바디부
50 : 이동 지지부 고정유닛
11 : 이동부
12 : 고정부
13 : 제3탄성부재
14 : 이동부 걸림핀
15 : 걸림핀
21 : 돌출부
22 : 섕크유닛
23 : 섕크
24 : 제2탄성부재
25 : 섕크마개
31 : 누름부재
32 : 제1탄성부재
33 : 펀칭마개
34 : 와셔가이드
41 : 고정 지지부
42 : 이동 지지부
43 : 하판
44 : 가이드부
45 : 가이드 홀
51 : 누름핀
52 : 손잡이
210 : 장착부재 관통홀
310 : 피장착 장치 코킹 홀
L : 고정유닛 총길이
Claims (15)
- 장착부재를 고정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을 가압하는 가압유닛;
상기 고정유닛과 상기 가압유닛이 장착되는 바디부; 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부재는 와셔를 이용하여 피장착 장치에 고정되고,
상기 가압유닛은
상하 이동하며 코킹 홀을 가압하여 변형시키는 펀칭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펀칭유닛은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누름부재;
상기 누름부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탄성부재;
상기 누름부재에서 상기 제1탄성부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펀칭마개;
상기 누름부재의 하단에 위치하며 자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와셔가이드; 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유닛에 의해 하향 이동한 상기 펀칭유닛은 상기 피장착 장치의 코킹 홀을 가압하여 상기 와셔의 내측 홀 보다 상기 와셔의 내측 홀을 관통한 상기 코킹 홀의 외경이 크도록 변형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유닛은
상기 고정유닛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상기 펀칭유닛을 가압하는 돌출부;
기설정 된 압력값으로 상기 돌출부에 압력을 부여하는 섕크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섕크유닛은 상기 바디부에 체결되어 상기 펀칭유닛을 중력방향으로 상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섕크유닛은
상기 바디부에 삽입되어 중력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섕크;
상기 섕크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탄성부재;
상기 제2탄성부재가 상기 섕크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섕크마개; 를 포함하며
동력원이 상기 섕크마개를 가압하여 상기 섕크유닛을 상하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펀칭유닛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바디부에 상기 고정유닛을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가압유닛에 의한 압력이 제거되면 원래 위치로의 복귀를 돕는 제3탄성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를 직접 가압하여 상기 고정유닛의 총길이를 줄여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고정유닛에 끼우거나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가압유닛이 체결되는 고정 지지부;
상기 고정유닛이 체결되는 이동 지지부;
상기 고정 지지부가 고정되고 상기 이동 지지부의 수평이동의 기준이 되는 하판; 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지지부는 상기 하판에 삽입되어 수평이동하며 상기 하판에 삽입되는 가이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상기 가이드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홀; 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홀은 상기 누름부재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정 깊이로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코킹장치는
상기 이동 지지부를 상기 하판의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는 이동 지지부 고정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 지지부 고정유닛은
상기 가이드부를 상기 이동 지지부의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눌러 고정시키는 누름핀;
상기 누름핀을 풀거나 조이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은 상기 피장착 장치의 코킹 홀이 소성 가공되는 크기 이상의 압력값을 상기 섕크유닛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원은 공압 프레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유닛의 이동부의 상단에는 상기 가압유닛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핀; 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핀과 상기 이동 지지부의 일측에 상기 장착부재를 걸어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 - 제1항,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코킹장치의 작동방법에 있어서,
장착부재를 고정유닛에 세팅하는 세팅단계;
가압유닛으로 상기 고정유닛을 가압하여 상기 장착부재를 피장착 장치에 고정시키는 장착단계;
상기 장착부재 및 피장착 장치를 상기 고정유닛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단계는
상기 장착부재가 와셔에 의해 상기 피장착 장치에 고정되는 단계로
상기 가압유닛에 의해 하향 이동한 펀칭유닛이 상기 피장착 장치의 코킹 홀을 가압하여 상기 와셔의 내측 홀 보다 상기 코킹 홀의 직경이 크도록 소성변형시켜 상기 와셔를 상기 피장착 장치에 고정시키고,
상기 세팅단계는
상기 장착부재를 고정유닛에 끼우는 장착부재 삽입단계;
바디부의 이동 지지부를 이동시켜 상기 장착부재의 관통홀의 중심축과 상기 피장착 장치의 코킹 홀의 중심축을 일치시키는 축일치 단계;
상기 관통홀의 중심에 맞춰 상기 와셔를 상기 펀칭유닛의 와셔가이드에 부착시키는 와셔 고정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코킹장치의 작동방법. - 삭제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재 삽입단계는
상기 관통홀과 상기 누름부재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상기 장착부재를 상기 고정유닛에 끼우는 단계로 상기 고정유닛의 이동부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유닛의 총길이를 줄인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킹장치의 작동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4299A KR101990052B1 (ko) | 2017-09-26 | 2017-09-26 | 코킹장치 및 그 작동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4299A KR101990052B1 (ko) | 2017-09-26 | 2017-09-26 | 코킹장치 및 그 작동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5270A KR20190035270A (ko) | 2019-04-03 |
KR101990052B1 true KR101990052B1 (ko) | 2019-09-30 |
Family
ID=66165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24299A KR101990052B1 (ko) | 2017-09-26 | 2017-09-26 | 코킹장치 및 그 작동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90052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05062A (ja) * | 1999-10-01 | 2001-04-17 | Saginomiya Seisakusho Inc | かしめ結合工具およびかしめ結合方法 |
KR100621965B1 (ko) * | 2005-07-12 | 2006-09-11 |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 코킹에 의한 플레이트들의 결합 방법 및 장치 |
KR101184748B1 (ko) * | 2012-03-09 | 2012-10-02 | (주) 청호열처리 | 디텐트 레버 자동 조립장치 |
JP5431068B2 (ja) * | 2009-08-17 | 2014-03-05 | 株式会社ホリ・コン | 電動ドリルのガイド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穿孔装置 |
-
2017
- 2017-09-26 KR KR1020170124299A patent/KR1019900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05062A (ja) * | 1999-10-01 | 2001-04-17 | Saginomiya Seisakusho Inc | かしめ結合工具およびかしめ結合方法 |
KR100621965B1 (ko) * | 2005-07-12 | 2006-09-11 |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 코킹에 의한 플레이트들의 결합 방법 및 장치 |
JP5431068B2 (ja) * | 2009-08-17 | 2014-03-05 | 株式会社ホリ・コン | 電動ドリルのガイドアタッチメン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穿孔装置 |
KR101184748B1 (ko) * | 2012-03-09 | 2012-10-02 | (주) 청호열처리 | 디텐트 레버 자동 조립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5270A (ko) | 2019-04-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90229336A1 (en) | Punch die and punch machine using the same | |
EP2110213B1 (en) | Device and method for the perforation of elastic sheet material | |
KR101665796B1 (ko) | 프레스 성형 장치 | |
KR20170068992A (ko) | 관체 천공장치 | |
CN108213187A (zh) | 一种冲孔模具 | |
KR101990052B1 (ko) | 코킹장치 및 그 작동방법 | |
KR20160135946A (ko) | 트리밍장치 | |
KR101518011B1 (ko) | 멀티 홀 가공장치 | |
KR200436122Y1 (ko) | 피어싱 펀치 교체가 용이한 프레스 금형 | |
KR102512445B1 (ko) | 다공정 일원화 프레스 금형장치 | |
KR20080004275A (ko) | 피어싱 펀치의 센터링장치 | |
KR101165436B1 (ko) | 이중 버링 장치 | |
CN213793633U (zh) | 精准高效的针管折弯设备 | |
EP3342505A3 (de) | Stanznietvorrichtung zum setzen eines stanzniets mit einer eine stempelkraft unterstützenden schwingung und verfahren zum stanznieten mit einer solchen stanznietvorrichtung | |
CN203649112U (zh) | 水泥输送料斗侧板冲孔装置 | |
CN210075725U (zh) | 一种线路板成型快速拆卸装置 | |
CN210435663U (zh) | 一种焖盖压装工装 | |
KR101014608B1 (ko) | 프로그레시브 금형의 스트리퍼 조립체 | |
JP2021187560A (ja) | ワイヤーロープのソケッティング用治具装置およびソケッティング方法 | |
US2740475A (en) | Perforating apparatus having a stripping medium mounted within a chamber in the punch member | |
KR20160004074U (ko) | 트리밍장치의 트리밍작동부 | |
US2433312A (en) | Punching and dimpling tool | |
CN220945112U (zh) | 一种装夹夹具和压装装置 | |
CN221657718U (zh) | 一种钣金件压痕模具 | |
DE102013226399A1 (de) | Prägeein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Betrieb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