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0045B1 - 진공 성형 장치 - Google Patents

진공 성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045B1
KR101990045B1 KR1020170124954A KR20170124954A KR101990045B1 KR 101990045 B1 KR101990045 B1 KR 101990045B1 KR 1020170124954 A KR1020170124954 A KR 1020170124954A KR 20170124954 A KR20170124954 A KR 20170124954A KR 101990045 B1 KR101990045 B1 KR 101990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mold
support
unit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6113A (ko
Inventor
김정기
이정근
Original Assignee
김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기 filed Critical 김정기
Priority to KR102017012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04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0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36Moulds specially adapted for vacuum forming, Manufacture thereof
    • B29C51/365Porous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10Forming by pressure difference, e.g.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1/00Shaping by thermoforming, i.e. shaping sheets or sheet like preforms after heating, e.g. shaping sheets in matched moulds or by deep-drawing; Apparatus therefor
    • B29C51/2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1/30Moulds
    • B29C51/4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금형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된 성형재료가 금형 주변으로 흡착되어 성형되는 진공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금형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지지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진공구멍, 진공구멍을 통해서 금형이 위치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부, 지지부 상부로 가열된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금형과 지지부 사이에 구성되되, 금형 하부에 위치하는 진공구멍에서 시작되는 흡입력이 금형 주변으로 연결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공 성형 장치{vacuum forming device}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진공 성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금형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된 성형재료가 금형 주변으로 흡착되어 성형되는 진공 성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진공 성형 장치는 가열된 필름을 특정한 모양의 금형의 표면에 흡착시켜 금형의 모양과 동일한 형태를 포함하는 틀을 성형하는 장치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2940호(2017.03.24. 공개, “성형재료의 균일한 가열 및 가압이 가능한 진공성형장치”)에는 상기 본체의 하측에 위치하고 내부에 제1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이며 측부에는 메인흡기공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부에는 열풍유입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1성형유도함, 판재 형태이고 상기 제1성형유도함의 제1공간부 내에서 제1공간부를 횡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형태로 위치하며 상기 제1공간부 내에서 상하 승강이 가능하며 상부면에는 중앙지점에는 복수개의 제1공기통과홀이 하부면까지 관통 형성되도록 상호 간격을 두고 배치 형성되어 있는 승강유도판, 상기 승강유도판 상부면 중앙 지점 상에 위치하고 상기 승강유도판의 제1공기통과홀과 상하 동일선상의 지점에는 제2공기통과홀이 상부면까지 관통 형성되어 있는 금형, 제1실린더본체가 상기 제1성형유도함 외부에 위치하되 제1실린더본체와 연결된 제1실린더로드가 상기 제1성형유도함 바닥을 관통한 뒤 상기 승강유도판 하부면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실린더로드가 상기 제1실린더본체 내부의 유압에 의해 승강되면서 상기 승강유도판을 상하 직선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1승강실린더부, 상기 본체 중 제1성형유도함 상단 테두리부근에 형성되어 상기 제1성형유도함 상단 테두리 상에 안착되어 있는 안착유도판, 상기 본체 중 상기 안착유도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성형유도함 상측에 상호 상하 동일선상을 이루며 위치하며 내부에 제2공간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이며 상하 승강이 가능한 제2성형유도함, 제2실린더본체가 상기 본체 상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실린더본체와 연결된 제2실린더로드가 아래쪽으로 인출되어 상기 제2성형유도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실린더로드가 상기 제2실린더본체 내부의 유압에 의해 상하 승강되면서 상기 제2성형유도함을 상하 직선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제2승강실린더부, 상기 제2성형유도함의 하단테두리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고 하단부에는 흡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별도의 흡기챔버에 연결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흡기공을 통해 흡기하는 위치고정지그, 상기 얇은 플라스틱 재질의 판재 형태이고 상기 제2성형유도함 하단부에 위치되 상기 제2성형유도함 하단 개방지점을 완전히 덮는 형태로 위치하고 상부면이 상기 상기 위치고정지그의 하단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흡기력에 의해 밀착고정되어 있으며 밀착 고정상태에서 상기 제2성형유도함과 함께 상하 직선 승강이 가능하고 하강 과정에서 하부면 테두리 부근이 상기 본체의 안착유도판 상부면 상에 안착되어 밀착되는 성형재료 시트, 상기 제1성형유도함 외부에 위치하고 외부공기를 강하게 흡기하여 해당 공간에 진공상태가 형성되도록 하는 진공형성흡기부, 상기 진공형성흡기부와 상기 제1성형유도함의 메인흡기공을 연결하는 메인흡기관, 상기 제1성형유도함 외부에 위치하고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배출하는 가열 송풍기 형태의 제1열풍공급부, 상기 제1열풍공급부와 상기 제1성형유도함의 열풍유입공을 연결하는 열풍공급관, 상기 제2성형유도함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고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배출하는 가열 송풍기 형태의 제2열풍공급부, 상기 제2성형유도함 내부 상단면에 설치되되 상기 제2성형유도함 내부 상단면을 관통하여 상기 제2열풍공급부와 연통되어 있고 상기 제2열풍공급부로부터 배출된 열풍이 상기 제2성형유도함 내부로 공급되도록 유도하는 열풍유입덕트, 상기 제1성형유도함 내부와 제2성형유도함 내부에 각각 연결되어 해당 내부의 온도를 체크하고 별도의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1열풍공급부 및 제2열풍공급부와 연결되어 체크된 온도에 따라 제1열풍공급부 및 제2열풍공급부의 작동 여부를 제어하는 온도감지센서, 상기 제1성형유도함 내부에 연결되어 해당 내부의 공기압력을 체크하고 체크된 공기압력에 따라 별도의 제어부를 통해 상기 진공형성흡기부의 작동여부 및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압력감지센서로 구성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2362호(2017.07.14. 공개, “휴대형 진공 성형 장”)에는 배기구(309)를 적어도 한 개 이상 구비한 몸체(301), 중앙에 관통부(308)를 구비한 띠 모양의 누름자(302), 상기 몸체(301)와 누름자(302) 사이에 구비된 가스킷(303), 상기 몸체(301)와 누름자(302)를 상호간 압착시키기 위한 조임수단(304)을 구비한 진공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301) 또는 누름자(302)의 일면에 성형 소재(601)의 미끄럼 방지수단(305)을 구비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773718호(2017.09.12. 공고, “곡면 윤곽을 갖는 판상의 부품 진공 성형장치”)에는 열가소성수지 시트로 부터 곡면의 판상 부품을 진공 성형하는 곡면 윤곽을 갖는 판상의 부품 진공성형장치로서, 프레임(1)과, 그 프레임의 상측에서 상하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내측에 복수개의 히터(11)들이 설치된 히팅부(10); 성형할 부품의 형상에 대응된 외측 윤곽형상을 갖고, 저면측이 개방된 적어도 하나의 몰드(40); 상기 몰드(40)를 지지하고, 몰드 위에 배치되어 상기 히팅부에 의해 가열된 열가소성수지 시트(50)를 몰드와 같은 윤곽으로 흡착시켜 곡면의 판상 부품을 진공 성형하도록 배치된 진공형성부(30); 및 상기 프레임(1)의 상단에는 상기 열가소성수지 시트(50)를 프레임(1) 상단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사각형태의 프레임(1)과 같은 형태로 일측이 힌지로 장착되고, 타측은 프레임(1)과 클램핑되며, 실린더(16)에 의해 시트(50)를 프레임(1)에 대해 고정하는 닫힌 위치와 성형된 시트를 인출하기 위한 개방 위치로 회동되는 시트 고정부(15)를 구비하는 곡면 윤곽을 갖는 판상의 부품 진공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공형성부(30)를 지지하는 개구부(23)가 형성된 판상의 지지부(21)가 상기 프레임(1)의 하측에서 몰드와 진공형성부를 작업 위치로 상하 이동가능하게 리프트(20)에 장착되고, 상기 진공 형성부(30)에는 스페이서(35)들에 의해 상하 이격된 판(32,33)들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의 판(32)에는 다수의 관통홀(31)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한편, 하측의 판(33)에는 적어도 중앙부에 진공을 위해 형성된 공기 배출공(36)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공(36)에 일단이 고정된 연결관(37)의 타단이 상기 지지부(21)에 형성된 개구부(23)를 통해 외부의 진공펌프(38)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몰드(40)는 곡면들이 만나는 모서리부위에 다수의 관통홀(43)들이 형성되어 상기 진공 형성부(30)에서의 배기시 가열된 열가소성수지 시트가 몰드 위에 흡착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공 성형 장치는 금형에 의해서 공기를 흡입하는 구멍들이 막히더라도 그 막힌 구멍을 통해서 금형 주변의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공 성형 장치는 가정에서 사용되는 진공청소기를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공 성형 장치는 금형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력의 경로를 금형의 다양한 모양 또는 수량에 맞추어 대응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진공 성형 장치가 개시(disclosure)된다.
진공 성형 장치는 적어도 금형(10)을 지지하는 지지부(100)와 지지부(100)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진공구멍(200), 진공구멍(200)을 통해서 금형(10)이 위치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부(300), 지지부(100) 상부로 가열된 성형재료(20)를 공급하는 공급부(400) 및 금형(10)과 지지부(100) 사이에 구성되되, 금형(10) 하부에 위치하는 진공구멍(200)에서 시작되는 흡입력이 금형(10) 주변으로 연결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형성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공부(300)는 적어도 진공구멍(200)에 연결되는 연결부(310) 및 연결부(310)의 다른 쪽에 구성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청소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 형성부(500)는 적어도 지지부(100)의 측면에 구성되되, 둘 이상의 진공구멍(20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진공 홈(5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 형성부(500)는 적어도 지지부(100)를 가로지르는 줄(520) 및 줄(520)의 양 쪽에 구성되되, 줄(520)의 한쪽 측면이 지지부(100)에 밀착되도록 하는 압박고정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 형성부(500)는 적어도 진공구멍(200)에 구성되되, 줄(520)의 측면을 지지하여 줄(520)의 경로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경로 변경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 변경부(540)는 적어도 진공구멍(200)에 삽입되어 지지부(100)로부터 돌출되는 변경 핀(641) 및 핀(641)의 측면에 구성되되, 줄(520)이 삽입되는 줄 홈(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 형성부(500)는 적어도 진공구멍(200)에 삽입되되, 금형(1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경로 변경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10)는 적어도 지지부(100)에 구성된 진공구멍(200) 전체를 덮는 덮개부(311) 및 덮개부(311)와 진공청소기(320)를 연결하되, 진공청소기(320)가 선택적으로 각각의 진공구멍(200)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형상 또는 길이가 변형되는 변형 연결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공 성형 장치는 진공구멍(200)이 금형(10)에 의해서 덥히더라도, 경로 형성부(500)에 의해서 진공부(300)에 의한 흡입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공 성형 장치는 경로 형성부(500)의 진공 홈(510)이 금형(10)으로부터 노출되는 금형(10)의 테두리에서부터 진공부(300)에 의한 흡입력이 생성되는 바, 성형재료(20)가 금형(10)의 테두리와 일치하는 성형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공 성형 장치는 연결부(310)와 진공청소기(320)를 포함하는 진공부(300)를 통해서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청소기를 통해서 진공 성형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공 성형 장치는 줄(520)과 압박고정부(530)를 포함하는 경로 형성부(500)를 통해서 압박고정부(530)에 의한 줄(520)이 지지부(100)의 상부 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바, 진공부(300)를 통한 흡입력에 의한 줄(520)의 흔들림 또는 줄(520)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공 성형 장치는 경로 변경부(540)가 진공부(300)에 의한 흡입력을 통해서 지지부(100)의 상부 면과 더욱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바, 진공부(300)에 의한 흡입력 등에 의한 경로 변경부(540)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공 성형 장치는 경로 변경부(540)를 통해서 금형(10)을 지지하는 줄(520)을 다양한 경로로 형성할 수 있는바, 각기 다른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다수의 금형(10)을 하나의 지지부(100)에서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공 성형 장치는 줄(520)을 지지부(100)의 상부 면에 압박되도록 줄(520)을 팽팽하게 당길 때에 줄 홈(550)을 통해서 줄(520)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공 성형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공부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경로 형성부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경로 변경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공 성형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공부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경로 형성부의 다른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경로 변경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진공 성형 장치는 대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한 진공 성형 장치는 적어도 지지부(100)와 진공구멍(200), 진공부(300), 공급부(400) 및 경로 형성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진공부(300)는 적어도 연결부(310) 및 진공청소기(32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 형성부(500)는 적어도 진공 홈(510)을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 형성부(500)는 적어도 줄(520) 및 압박고정부(53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 형성부(500)는 적어도 경로 변경부(54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로 변경부(540)는 적어도 변경 핀(641) 및 줄 홈(550)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10)는 적어도 덮개부(311) 및 변형 연결부(312)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개시된 일 실시 예를 참조한 진공 성형 장치는 적어도 금형(10)을 지지하는 지지부(100)와 지지부(100)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진공구멍(200), 진공구멍(200)을 통해서 금형(10) 주변을 진공화 시키는 진공부(300), 금형(10) 상부로 가열된 성형재료(20)를 공급하는 공급부(400) 및 금형(10)과 지지부(100) 사이에 구성되되, 금형(10)과 지지부(10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여 금형(10) 하부에 위치하는 진공구멍(200)에서 시작되는 흡입력이 금형(10) 주변으로 연결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형성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형(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부(100)는 하나 이상의 금형(10)이 놓여지는 판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진공구멍(200)은 적어도 지지부(100)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진공구멍(200)은 지지부(100)의 상부 면과 하부 면을 관통하는 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진공구멍(200)은 이하 설명될 진공부(300)와 연결되어 지지부(100)의 상부 면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한다. 이러한 진공구멍(200)은 이하 설명될 진공부(300)에 의한 흡입력이 금형(10) 주변에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진공구멍(200)은 금형(10)의 하부 면에 의해서 막히지 않는 위치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성되도록 하거나, 금형(10)을 진공구멍(200)이 구성되지 않은 위치에 놓아서 실시 될 수도 있다. 진공구멍(200)의 모양은 다양하게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 진공부(300)는 적어도 진공구멍(200)을 통해서 금형(10)이 위치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진공부(300)는 통상의 펌프로 구성될 수 있다. 진공부(300)는 지지부(100)의 하부로 구성된 진공구멍(200)과 연결된다. 진공부(300)는 진공구멍(200)을 통해서 지지부(100)의 상부 면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한다.
공급부(400)는 적어도 금형(10) 상부로 가열된 성형재료(20)를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공급부(400)는 통상의 히팅장치를 포함한다. 공급부(400)는 성형재료(20)인 필름을 지지하는 통상의 필름 지지부 포함할 수 있다. 필름 지지부는 히팅장치에서부터 지지부(100)까지 이동되도록 하는 통상의 필름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부(400)는 성형재료(20)를 가열하여 지지부(100)로 이동시켜, 성형재료(20)가 금형(10)과 지지부(100)의 상부 면을 덮도록 한다. 이러한 공급부(400)는 진공부(300)에 의해서 성형재료(20)가 금형(10)과 지지부(100)의 상부 면으로 흡착되어 금형(10)의 형태로 변형되도록 한다.
상기 경로 형성부(500)는 적어도 금형(10)과 지지부(100) 사이에 구성되되, 금형(10) 하부에 위치하는 진공구멍(200)에서 시작되는 흡입력이 금형(10) 주변으로 연결되도록 경로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경로 형성부(500)는 금형(10)을 지지하는 지지부(100)의 면에 금형(10)의 지름보다 길게 형성된 진공 홈(510)을 포함할 수 있다. 진공 홈(510)은 진공구멍(200)과 연결된다. 상기 진공 홈(510)을 달리 설명하면, 진공 홈(510)은 둘 이상의 진공구멍(200)이 서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것이다. 진공 홈(510)은 금형(10)에 의해서 진공구멍(200)이 덥히더라도 진공 홈(510)을 통해서 흡입력이 유도된다. 이러한 경로 형성부(500)는 이하 설명될 진공부(300)를 통한 진공구멍(200)에서 시작되는 흡입력이 진공 홈(510)을 통해서 금형(10)의 하부 측면으로 유도되는 것이다. 즉, 진공구멍(200)과 연결된 진공 홈(510)을 덮는 금형(10)에 따라서 노출되는 진공 홈(510)으로 흡입력이 생성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진공 성형 장치는 진공구멍(200)이 금형(10)에 의해서 덥히더라도, 경로 형성부(500)에 의해서 진공부(300)에 의한 흡입력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진공 성형 장치는 경로 형성부(500)의 진공 홈(510)이 금형(10)으로부터 노출되는 금형(10)의 테두리에서부터 진공부(300)에 의한 흡입력이 생성되는 바, 성형재료(20)가 금형(10)의 테두리와 일치하는 성형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에 개시된 다른 일 실시 예를 참조한 진공 성형 장치의 진공부(300)는 적어도 연결부(310)와 진공청소기(3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10)는 진공구멍(200)의 적어도 어느 한쪽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2를 참조한 연결부(310)는 진공구멍(200) 전체를 감싸는 크기의 관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관의 다른 한 쪽은 이하 설명될 진공청소기(320)의 배관과 결합되어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310)는 지지부(100) 하부에 노출된 진공구멍(200)과 연결된다. 연결부(310)는 이하 설명될 진공청소기(320)의 흡입력을 진공구멍(200)으로 유도한다. 즉, 연결부(310)는 하나의 흡입력이 다수의 진공구멍(200)들로 유도되도록 한다.
상기 진공청소기(320)는 통상의 진공청소기이다. 진공청소기(320)의 흡입력을 유도하는 배관을 연결부(310)에 연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연결부(310)와 진공청소기(320)를 포함하는 진공부(300)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일반적인 청소기를 통해서 진공 성형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연결부(310)는 도 2에서처럼 지지부(100) 하부의 진공구멍(200) 전체를 감싸는 크기의 통상의 자바라 관으로 구성된 덮개부(311)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311)의 다른 한 쪽은 통상의 또 다른 자바라 관으로 구성된 변형 연결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변형 연결부(312)는 이하 설명될 진공청소기(320)의 배관과 결합되어 밀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310)는 진공청소기(320)로부터 생성되는 흡입력을 다수의 진공구멍(200)들을 일부 선택하여 지지부(100) 상부의 일정 영역에 흡입력이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에 개시된 다른 일 실시 예를 참조한 진공 성형 장치의 경로 형성부(500)는 적어도 지지부(100)를 가로지르는 줄(520) 및 줄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압박고정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줄(520)을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줄(520)은 통상의 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줄(520)은 금형(10)이 위치하는 지지부(100)의 상부 면을 가로지르게 위치한다. 이러한 줄(520)은 금형(10)과 지지부(100) 사이에 위치하여 금형(10)과 지지부(100)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공간은 금형(10) 하부에 위치하는 진공구멍(200)으로부터 발생하는 흡입력이 금형(10)의 하부 면과 줄(520)의 측면에 의해서 금형(10)의 하부 측면으로 유도되도록 한다.
상기 압박고정부(530)를 도 3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압박고정부(530)는 통상의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압박고정부(530)는 지지부(100)의 테두리 부근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압박고정부(530)는 지지부(100)의 상부 면과 통상의 볼트 머리 사이에 줄(520)을 위치시킨 후, 줄(520)의 하부 면이 지지부(100)의 상부 면에 압박되도록 나사 결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줄(520)과 압박고정부(530)을 포함하는 경로 형성부(500)는 압박고정부(530)에 의해서 줄(520)이 지지부(100)의 상부 면에 압착되어 고정되는바, 진공부(300)를 통한 흡입력에 의해서 줄(520)이 흔들리거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로 형성부(500)는 더욱 견고하게 줄(520)이 지지부(100)에 압박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압박고정부(530)는 지지부(100)의 측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압박고정부(530)는 지지부(100)의 상부 면보다 낮은 위치에서 줄(520)을 고정한다. 즉, 압박고정부(530)은 지지부(100) 상부 면보다 낮은 위치로 줄(520)이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줄(520)이 지지부(100)의 상부 면에 더욱 압박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경로 형성부(500)는 지지부(100)를 지지하되, 지지부(100)가 금형(1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는 지지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에서 설명한 압박고정부(530)를 지지가이드에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 개시된 다른 일 실시 예를 참조한 진공 성형 장치의 경로 형성부(500)는 경로 변경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진공구멍(200)은 다수로 구성된다.
도 4을 참조한 경로 변경부(540)는 진공구멍(200)에 삽입될 수 있는 지름을 가진 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100)의 상부 면에 위치하는 한쪽에는 진공구멍(200)보다 지름이 크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로 변경부(540)는 적어도 하나의 진공구멍(200)을 막도록 구성된다. 경로 변경부(540)는 다수의 진공구멍(200) 중 하나의 진공구멍(200)을 막음으로써, 나머지 진공구멍(200)을 통해서 흡입력이 유도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로 변경부(540)가 금형(10)의 하부를 지지하여 진공구멍(200)과 금형(10) 사이에 흡입력을 유도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경로 변경부(540)를 포함하는 경로 형성부(500)는 진공부(300)에 의한 흡입력을 통해서 지지부(100)의 상부 면과 더욱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되는 바, 진공부(300)에 의한 흡입력 등에 의한 경로 변경부(540)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4에 개시된 다른 일 실시 예를 참조한 진공 성형 장치의 경로 형성부(500)는 상기에서 설명한 줄(520)과 상기에서 설명한 압박고정부(530) 및 상기에서 설명한 경로 변경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의 경로 변경부(540)는 지지부(100) 상부로 돌출된 높이가 줄(520)의 두께와 동일 또는 더 작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로 형성부(500)는 지지부(100)의 진공구멍(200)에 삽입된 경로 변경부(540)를 거쳐서 줄(520)이 압박고정부(530)에 의해서 고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의 경로 형성부(500)는 경로 변경부(540)를 통해서 줄(520)의 경로를 직선이 아닌 다른 모양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줄(520)과 압박고정부(530) 및 경로 변경부(540)를 포함하는 경로 형성부(500)는 경로 변경부(540)를 통해서 금형(10)을 지지하는 줄(520)을 다양한 경로로 형성할 수 있는바, 각기 다른 크기와 모양을 가지는 다수의 금형(10)을 하나의 지지부(100)에서 용이하게 실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의 경로 형성부(500)는 경로 변경부(540)의 측면에는 줄(520)의 측면이 삽입되는 줄 홈(5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한 줄 홈(550)은 줄(520)을 지지부(100)의 상부 면에 압박되도록 줄(520)을 팽팽하게 당길 때에 경로 변경부(540)에서 줄(520)이 이탈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 : 금형
20 : 성형재료
100 : 지지부
200 : 진공구멍
300 : 진공부
310 : 연결부
311 : 덮개부
312 : 변형 연결부
320 : 진공청소기
400 : 공급부
500 : 경로 형성부
510 : 진공 홈
520 : 줄
530 : 압박고정부
540 : 경로 변경부
550 : 줄 홈

Claims (6)

  1. 진공 성형 장치에 있어서,
    금형을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진공구멍;
    진공구멍을 통해서 금형이 위치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부;
    지지부 상부로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금형과 지지부 사이에 구성되되, 금형 하부에 위치하는 진공구멍에서 금형의 주변으로 연결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형성부를 포함하되,
    경로 형성부는 지지부의 측면에 구성되되, 둘 이상의 진공구멍이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진공 홈을 포함하는 진공 성형 장치.
  2. 삭제
  3. 진공 성형 장치에 있어서,
    금형을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진공구멍;
    진공구멍을 통해서 금형이 위치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부;
    지지부 상부로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금형과 지지부 사이에 구성되되, 금형 하부에 위치하는 진공구멍에서 금형의 주변으로 연결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형성부를 포함하되,
    경로 형성부는 지지부를 가로지르는 줄 및 줄을 압박하여 고정하는 하는 압박고정부를 포함하는 진공 성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경로 형성부는
    진공구멍에 구성되되, 줄의 측면을 지지하여 줄의 경로가 변경될 수 있도록 하는 경로 변경부를 포함하는 진공 성형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경로 변경부는
    진공구멍에 삽입되어 지지부로부터 돌출되는 변경 핀; 및
    핀의 측면에 구성되되, 줄이 삽입되는 줄 홈를 포함하는 진공 성형 장치.
  6. 진공 성형 장치에 있어서,
    금형을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를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진공구멍;
    진공구멍을 통해서 금형이 위치한 공간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부;
    지지부 상부로 성형재료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금형과 지지부 사이에 구성되되, 금형 하부에 위치하는 진공구멍에서 금형의 주변으로 연결되도록 경로를 형성하는 경로 형성부를 포함하되,
    경로 형성부는 진공구멍에 삽입되는 핀으로 구성된 경로 변경부를 포함하는 진공 성형 장치.
KR1020170124954A 2017-09-27 2017-09-27 진공 성형 장치 KR1019900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954A KR101990045B1 (ko) 2017-09-27 2017-09-27 진공 성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954A KR101990045B1 (ko) 2017-09-27 2017-09-27 진공 성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113A KR20190036113A (ko) 2019-04-04
KR101990045B1 true KR101990045B1 (ko) 2019-09-24

Family

ID=66105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954A KR101990045B1 (ko) 2017-09-27 2017-09-27 진공 성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0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7682B1 (ko) * 2021-04-22 2023-04-05 (주)케이씨엠테크놀로지 세라믹 성형체 제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718B1 (ko) * 2016-08-09 2017-09-12 최재영 곡면 윤곽을 갖는 판상의 부품 진공 성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9131A (ja) * 1996-10-17 1998-05-12 Miyasaka Kagu Kogei Kk 真空成形された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層により表面が被覆された表面加飾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032940A (ko) * 2015-09-15 2017-03-24 이승훈 성형재료의 균일한 가열 및 가압이 가능한 진공성형장치
KR20170082362A (ko) * 2016-01-06 2017-07-14 김영안 휴대형 진공 성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3718B1 (ko) * 2016-08-09 2017-09-12 최재영 곡면 윤곽을 갖는 판상의 부품 진공 성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113A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7010B (zh) 利用热板加热的热成型装置以及热成型方法
KR101990045B1 (ko) 진공 성형 장치
WO2015166889A1 (ja) 熱成形装置
JP5957131B1 (ja) 熱成形装置および熱成形方法
KR20170032940A (ko) 성형재료의 균일한 가열 및 가압이 가능한 진공성형장치
US20110048634A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making air-filled cellular structures for use as resilient cushions
JP4203058B2 (ja) プレス装置およびプレス成形方法
KR20120088094A (ko) 진공 성형 장치 및 진공 성형 방법
JP6022269B2 (ja) タイヤの加硫方法
JP5046075B2 (ja) ガラス物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装置
CN209868312U (zh) 玻璃基板的制造装置
JP5886504B2 (ja) 複合材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140139583A (ko) 라미네이트 장치
JP5431878B2 (ja) 型固定装置、熱成形装置、型固定方法、及び、熱成形方法
KR20190036110A (ko) 진공 성형 장치
JP4246757B2 (ja) 真空積層装置
JP5662486B2 (ja) ラミネー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ラミネート処理システム
TWM526829U (zh) 鞋面吸塑成型機的加熱裝置
JP2019031018A (ja) 熱成形装置及び熱成形方法
TWI336901B (en) Low-pressure process apparatus
TWM516508U (zh) 真空貼合裝置
KR20120071447A (ko) 판재 접착용 핫 프레스 장치
CN103331848A (zh) 平板硫化机用隔热加热装置
KR101866760B1 (ko) 디스플레이 기판 제조용 경화장치
KR101647810B1 (ko) 오토클레이브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