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283B1 - Remote-offline type billiard game divice with two cranes - Google Patents

Remote-offline type billiard game divice with two cra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283B1
KR101989283B1 KR1020180097700A KR20180097700A KR101989283B1 KR 101989283 B1 KR101989283 B1 KR 101989283B1 KR 1020180097700 A KR1020180097700 A KR 1020180097700A KR 20180097700 A KR20180097700 A KR 20180097700A KR 101989283 B1 KR101989283 B1 KR 101989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billiard
main
moisture
billiard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70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도준
Original Assignee
박도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도준 filed Critical 박도준
Priority to KR1020180097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28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28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DBOWLING GAMES, e.g. SKITTLES, BOCCE OR BOWLS; INSTALLATIONS THEREFOR; BAGATELLE OR SIMILAR GAMES; BILLIARDS
    • A63D15/00Billiards, e.g. carom billiards or pocket billiards; Billiard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6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in foundries, forges; combined with auxiliary apparatus serving particu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83Other characteristics
    • A63F2009/2488Remotely playable

Abstract

A remote off-line billiards game device having two cra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billiard table; a position identification unit identifying the position of a billiard ball on the billiard table to generate position information; a client serv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a position movement assembly, which is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illiard table to receive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client serv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is composed of: a pair of fixating guide rails extended after being spaced corresponding to a long side length and a short side width of the billiard table; two moving guide rails moving along the fixating guide rails by a medium of a sub moving unit; two main moving units moving along each of the moving guide rails; two cranes elevating along each of the main moving units while picking up the billiard ball to move the same to a changed position; and a controller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to control by operating the moving units and cranes.

Description

2개의 크레인을 구비한 원격 오프라인 당구 게임 장치{REMOTE-OFFLINE TYPE BILLIARD GAME DIVICE WITH TWO CRANES}[0001] REMOTE OFFLINE TYPE BILLIARD GAME DIVICE WITH TWO CRANES [0002]

본 발명은 이격된 장소에 각각 설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당구대를 매개로 역시 서로 떨어진 유저가 오프라인 환경에서 당구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당구공의 위치를 파악하여 당구공을 이동시키되, 당구공을 이동시키는 장치에 설치된 크레인을 2개로 구비하여 크레인의 작동 범위를 다양하게 세부 설정함으로써 보다 간편한 구조로서 당구공의 위치 이동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당구 게임 장치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billiard ball is moved so as to grasp the position of a billiard ball so that a user, who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can enjoy a billiard game in an offline environment via at least two billiards installed in a separated pl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lliard game apparatus capable of precisely controlling the positional shift of the billiard ball as a simpler structure by setting the operating range of the crane variously.

당구는 당구대 상에서 적색, 백색, 또는 황색의 당구공을 치면서 점수를 매겨 겨루는 레저 스포츠로서, 오랜 역사와 함께 국내외 저변이 널리 퍼져 당구장 또는 당구대가 설치된 장소에서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게임이고 다양한 당구 대회로 자주 개최되고 있다.Billiards is a leisure sport that scorches balls with a red, white or yellow billiard ball on a billiard table. It is a game that everyone can enjoy easily and funly in a place where billiards or billiards are installed. .

이러한 당구는 지적인 흥미와 가벼운 운동이 될 뿐만 아니라 레크리에이션스포츠로도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러한 인기에 따라 오프라인 당구 게임은 물론 온라인 당구 게임도 다양한 종류가 출시되어 있는 상황이다.These billiards are not only an intelligent interest and a light exercise but also a recreation sport. Due to these popularity, there are various types of online billiard games as well as offline billiard games.

그런데 직접 유저가 만나 즐기는 당구 게임, 즉 오프라인 당구 게임은 2명 이상이 있어야 보다 재미있게 진행이 가능한데, 2명 이상의 유저가 서로 바빠 시간이 맞지 않아 같이 모이기 힘들 경우 게임을 진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따른다.However, a billiard game that is directly enjoyed by the user, that is, an offline billiard game, requires more than two players, so it is more interesting. If two or more users are busy with each other and the time is not right, the game can not be played.

물론 대개의 스포츠 게임이 오프라인에서 직접 유저가 모여 진행되는 것이 기본이지만, 당구의 경우 당구대의 당구공의 변경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핵심이고 턴(turn)을 정해 서로 번갈아 가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다른 스포츠 게임보다 반드시 오프라인에서 진행해야 하는 당위성이 낮다고 볼 수 있다.Of course, it is the basic idea that most sports games are held offline, but in case of billiards, it is essential to know where the billiard ball is changed. It can be said that the necessity to proceed offline is low.

그렇다고 온라인 당구를 칠 경우 오프라인 당구 게임과 같이 큐를 가지고 직접 당구공을 치는 짜릿함이 떨어져 재미가 반감되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when playing online billiards, it is a reality that the excitement of playing a billiard ball with a cue like an offline billiard game is reduced and the fun is reduc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외 선행기술을 참조하면 서로 떨어진 유저가 온라인이 아니라 오프라인 환경에서 실제 만나 당구를 치는 것과 유사한 당구 게임을 진행하기 위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referring to domestic and foreign prior arts, techniques for playing a billiard game similar to playing billiards in an offline environment instead of being online are disclosed.

한국 등록특허 제 10-1229983호 원격 당구 게임 시스템은, 다수개의 네트워크 단말기; 상기 다수개의 네트워크 단말기가 상호 정보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다수개의 네트워크 단말기에 연결되는 메인 서버; 및 상기 다수개의 네트워크 단말기에 각각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다수개의 당구 게임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당구 게임 모듈은 게임 참여자가 당구 게임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 당구공 및 당구대; 상기 당구대에 놓인 당구공의 위치를 검출하고, 당구공 위치 정보를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 인가하는 위치 검출 수단; 및 상기 네트워크 단말기로부터 또 다른 당구 게임 모듈의 당구공 위치 정보를 인가받고, 인가받은 당구공 위치 정보에 따라 당구공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이송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29983 discloses a remote billiard gam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s; A main server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s so that the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s can transmit information to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billiard game module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network terminals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wherein the billiard game module includes a billiard ball and a billiard table provided to allow a game participant to play billiard game; Position detecting means for detecting a position of a billiard ball placed on the billiard table and for applying billiard ball position information to the network terminal; And position transfer means for receiving the billiard slot position information of another billiard game module from the network terminal and moving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slot according to the authorized billiard slot position information.

이와 같은 선행기술에서는 위치 이송 수단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이 없었는데, 당구공을 이동시키는 것은 아니고 당구공을 타격하기 위해 한극 등록특허 제 10-1815884호인 당구로봇은 당구대의 상부에 x,y 축으로 이동되는 당구로봇을 제시한다. 그런데 당구공의 정확한 위치로 x,y 축 방향으로 정밀 이동시키기 위한 구체적 수단이 없어 당구공 타격이나 위치 이동에 오차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따른다.In this prior art,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of the position transfer means. In order to hit the billiard ball, instead of moving the billiard ball, the billiard robot, which is the one of No. 10-1815884, is moved in the x- and y- Present a billiard robot. However, since there is no specific means for precisely moving the billiard ball in the x and y directions toward the precis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errors may occur in the billiard ball striking and position movement.

따라서 상술한 한국 등록특허 제 10-1229983호와 같은 게임 방식을 따르되 저렴한 비용으로도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당구공을 이동시킬 수 있는 진보한 개량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progressive improvement technique capable of moving the billiard ball more accurately and precisely at a low cost in accordance with the game method as in the above-mentioned Korean Patent No. 10-1229983.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제작비용을 절감하되 당구공의 이동의 정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면서 당구공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크레인을 2개로 구비한 당구 게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ane which changes the position of a billiard ball while being moved along a guide rail in order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with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It is a primary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lliard game apparatus provided with two billiard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당구대를 가상 영역으로 분할하고 당구공의 궤적이 해다 영역 내인지 다른 영역까지 걸친 것인지를 파악하여 2개의 크레인의 효율적 분배를 추구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vide the billiard table into virtual areas, and to find out whether the trajectory of the billiard ball is within the overhang area or the other area, thereby seeking efficient distribution of the two cran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의 떨림/흔들림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체를 이동부에 연결함과 동시에 이 탄성체에 장력감지센서를 장착하여 장력의 고저에 따라 이동부를 차등 제어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an elastic body for preventing movement / shake of a moving part moving along a guide rail to a moving part and mounting a tension sensor on the elastic body, will be.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독특한 세부 구조를 통해 불필요한 흔들림 없이 탄성과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탄성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astic body capable of providing elasticity and supporting force without unnecessary shaking through a unique detailed structure.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가이드 레일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various means for removing foreign matter adhering to a guide rai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크레인을 구비한 원격 오프라인 당구 게임 장치는, 당구대; 상기 당구대의 당구공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파악부; 상기 위치 정보를 송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상기 당구대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당구공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당구대의 장변 길이와 단변 폭에 상응하게 이격 연장된 1쌍의 고정 가이드 레일과, 서브 이동부를 매개로 상기 고정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2개의 이동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이동 가이드 레일 각각을 따라 이동하는 2개의 메인 이동부와, 상기 메인 이동부 각각을 따라 승강하면서 당구공을 집어 변경위치로 이동시키는 2개의 크레인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이동부들과 크레인을 구동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위치 이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remote off-line billiard game device having two cra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illiard table; A posi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 in the billiard table and generating position information; A client ser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billiard table is mounted on the billiard table and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client server to change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 on the basis of the position information. The billiard table includes a pair of fixed A guide rail, two moving guide rails moving along the fixed guide rail via a sub moving part, and two main moving parts moving along each of the moving guide rails, Two cranes for picking up the ball to a change position,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arts and the crane.

또한, 상기 당구대는 장변을 기준으로 제 1,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현재 위치에서 변경 위치로의 각 당구공의 궤적이 상기 제 1,2 영역 각각의 영역 이내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영역 파악부와, 상기 영역 파악부에서 파악된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당구공을 이동시킬 상기 2개의 크레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크레인 선정부 및, 상기 선정된 크레인의 선택 여부와 작동 순서에 따라 상기 크레인을 구동시켜 당구공을 이동시키는 개별 구동부로 이루어진 크레인 설정 제어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lso, the billiard table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regions based on a long side, and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trajectory of each billiard ball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changing position is within the region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 crane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one of the two cranes to move the billiard ball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grasped by the area grasping unit, And a crane setting control module including an individual driving part for moving the billiard ball by driving the crane.

더불어, 상기 메인 이동부는, 복수 개의 탄성 와이어에 의해 탄성 지지되되, 상기 탄성 와이어의 일 측에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감지하여 장력정보를 생성하는 장력감지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장력정보의 수치 고저에 따라 상기 메인 이동부의 이동을 차등 제어하는 구동 보정모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moving par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plurality of elastic wires, and a tension sensor for sensing tension of the wire to generate tension information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elastic wire, And a driving correction module for differentially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main moving part according to the numerical value and the height.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크레인을 구비한 원격 오프라인 당구 게임 장치에 의하면, According to the remote off-line billiard game apparatus having two cra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당구대의 상부에서 x,y 축 방향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크레인을 2개로 구비하여 각 크레인의 효율적인 분배와 이동의 정밀성을 추구할 수 있고,1) There are two cranes moving along the guide rails in the x- and y-axis directions at the upper part of the billiard table, so that the efficiency of distribution and movement of each crane can be pursued,

2) 탄성체를 통해 이동부의 떨림 현상을 최소화하면서 이에 장착된 장력감지센서의 장력에 따라 이동부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2)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oving part more precisely according to the tension of the tension sensor mounted thereon while minimizing the shaking phenomenon of the moving part through the elastic body,

3) 탄성체의 스트링을 통해 이동부의 탄성 지지를 강화하는 것은 물론 장력감지센서의 측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3) It is possible not only to strengthen the elastic support of the movable part through the string of the elastic body, but also to minimize the measurement error of the tension sensor,

4) 가이드 레일에 낀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습기 역시 줄일 수 있어 역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의 제어 환경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4)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guide rail and also to reduce the moisture, thereby improving the control environment of the moving part moving along the guide rail.

도 1은 본 발명의 당구 게임 장치의 개략적인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당구대 상부에 설치된 위치 이동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위치 이동 어셈블리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가이드 레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가이드 레일의 습기를 제거하는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principle of a billiard gam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position shifting assembly installed on a billiard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and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osition shifting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removing foreign matters from a guide rail.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removing moisture from a guide r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당구 게임 장치의 개략적인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principle of a billiard gam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장치는 기본적으로 당구대(10), 위치파악부(20), 클라이언트 서버(30), 위치 이동 어셈블리(100)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FIG. 1,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billiard table 10, a positioning unit 20, a client server 30, and a position moving assembly 100.

본 발명의 당구 게임은 2인 이상이 순서를 정하여 당구를 치면서 즐길 수 있는 것으로, 그 예로서 공지의 3구, 4구, 식스볼, 포켓볼과 같은 종류가 있다.In the billiard game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players can play the billiards while ordering them. For example, there are three kinds of known billiards, four balls, six balls, and pocket balls.

당구대(10)는 공지의 당구대와 마찬가지의 3구용 당구대 또는 포켓볼용 당구대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지되, 본 발명에서는 혼자 즐기는 것이 아니라 2인 이상이 참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을 구형하기 위해서는 서로 이격된 장소에 적어도 2개의 당구대(10)가 구비된 것을 기본으로 한다. 이 때, 어느 하나의 당구대(10)에는 2명 이상의 유저가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당구대(10)와 유저의 수가 일치할 필요는 없다.The billiard table 10 has a structure of either a billiard table for a three-ball or a billiard table for a pocket ball, similar to a well-known billiard t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two or more people participat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And at least two billiard tables (10) are provided at a place where the billiard table (10) is placed. At this time, since two or more users can participate in any one billiard table 10, the billiard table 10 and the number of users do not necessarily match each other.

이러한 당구대(10)는 일반적으로 평면 기준으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는데, 이와 같은 직사각형 구조에서는 서로 평행한 1쌍의 장변과 이에 수직한 1쌍의 단변을 구비한다.The billiard table 10 generally has a rectangular shape in plan view. In such a rectangular structure, a pair of long sides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pair of short sides perpendicular thereto are provided.

위치 파악부(20)는 당구대(10)에 놓인 당구공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으로, 당구대(10)에서 당구공이 놓인 위치는 2차원의 평면 구조에서의 위상이므로 당구대(10)를 가상의 x,y 좌표로 이루어진 평면으로 인식하여 유저가 공을 친 이후 변경된 당구공의 위치를 x,y 위상 검출 방식으로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0 grasps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 placed on the billiard table 10 so that the position where the billiard ball is placed in the billiard table 10 is a phase in a two- y coordinate and recognizes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 changed since the user hit the ball with the x, y phase detection method.

이러한 위치 파악부(20)는 당구대(10)의 상부 측에 설치된 복수 개의 카메라와 카메라에서 촬영한 이미지에서의 당구공 위치를 검출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검출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ositioning unit 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billiard table 10 and a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s in the image taken by the camera and generating position information.

물론 당구공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당구공 및 당구대(10)와 상호 연동된 상태에서 당구공이 자신이 위치한 당구대(10) 내 영역의 가상 좌표 정보를 읽어 이를 위치 파악부(20)에 전송하는 방법을 취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당구대(10) 및 당구공의 구조를 변형해야 하고 당구공의 위치는 3차원 위상 검출 방법에 비해 비교적 단순한 2차원 위상 검출 방법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복수 개의 카메라 및 검출 수단으로 이루어진 위치 파악부(20)에 의하여 충분히 정확한 당구공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Of course, in order to grasp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 in a state where the billiard ball interacts with the billiard ball and billiard table 10, a method of reading the virtual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area in the billiard table 10, In this case, the structure of the billiard table 10 and the billiard ball must be modified and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 can be easily grasped by a relatively simple two-dimensional phase detection method as compared with the three-dimensional phase detection method.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 accurately enough by the positioning unit 20 made up of the detecting means and the detecting means.

이 때, 카메라는 일정 주기로 당구대(10)를 간헐적으로 촬영할 수도 있으나 당구 게임이 진행되는 전체 시간동안의 영상을 촬영하여 유저가 당구공을 쳤을 때 상대의 당구공을 건드렸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페널티를 적용하도록 평가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카메라 촬영 영상을 당구대(10)가 설치된 장소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거나 녹화할 수 있어 유저가 서로의 얼굴과 모션을 확인하면서 보다 생동감 있게 게임을 즐길 수 있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camera may photograph the billiard table 10 intermittently at regular intervals. However, if the user touches the billiard ball when the billiard game is being playe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user has touched the billiard ball And the lik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output or record the camera photographed image through a display device provided at a place where the billiard table 10 is installed, so that the user can enjoy the game more vividly while checking the faces and motions of each other.

클라이언트 서버(30)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상태에서 위치 파악부(20)에서 검출한 당구공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타 지역에 위치한 클라이언트 서버(30)에 이를 송신하는 위치 정보 송수신 기능을 수행한다. The client server 30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illiard ball detected by the position detecting unit 20 in a state of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performs a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and receiving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to the client server 30 located in another region .

즉, 클라이언트 서버(30)는 정보 송수신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는 것으로 이러한 클라이언트 서버(30)는 본 발명의 당구 게임 실행을 지원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모바일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이거나 아니면 웹 어플리케이션(웹 프로그램)이 설치된 PC일 수 있다. That is, the client server 30 is based on providing an information transmission / reception function. Such a client server 30 may be a smart phone equipped with a mobile application (mobile application) supporting the execution of the billiard game of the present invention, Web program) may be installed.

위치 이동 어셈블리(100)는 타 지역의 유저가 당구공을 치면서 변경된 당구공의 위치 정보를 클라이언트 서버(30)로부터 전달받아 해당 위치로 당구공을 실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위치 이동 어셈블리(100)는 다양한 기계적 연계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당구대(10) 상부에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당구공을 잡거나 놓는 제 1 수단, 당구대(10) 하부에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자성체와 이 자성체의 이동에 따라 자석으로 이루어진 당구공을 자력 이동시키는 제 2 수단,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당구대의 상부에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작동 줄에 당구공을 연결하여 이동시키는 제 3 수단 등이 존재한다. The position moving assembly 100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illiard ball changed by the user in the other area while playing the billiard ball and actually plays the role of moving the billiard ball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The locating assembly 10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echanical coupling means. For example, the locating assembly 100 may include a first means for holding or releasing the billiard ball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rail above the billiard table 10, A second means for magnetically moving a billiard ball made of a magne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magnetic body along the rail, and a billiard ball is connected to an operation line moved along the guide rail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illiard table And a third means for moving the object to be inspected.

이 중에서 본 발명의 위치 이동 어셈블리(100)는 설치의 효율성과 당구공의 위치 이동의 정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제 1 수단을 적용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도 2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mong them, the position moving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he first means to ensure the efficiency of installation and the accuracy of positional movement of the billiard ball,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이와 같은 당구 게임 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서로 떨어진 A, B 지역에 각각 제 1,2 유저가 제 1,2 당구대를 통해 게임을 즐기는 상황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billiard gam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situation where the first and second users respectively enjoy the game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illiards tables in regions A and B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 1 유저가 친 당구공의 위치를 A 지역의 위치 파악부(20)에서 파악한 뒤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이를 A 지역의 클라이언트 서버(30)에 전송한다. 이후, A 지역의 클라이언트 서버(30)는 상기 위치 정보를 B 지역의 클라이언트 서버(30)로 전송하고 B 지역의 클라이언트 서버(30)는 다시 이 위치 정보를 B 지역의 위치 이동 어셈블리(100)에 전송한다. 이 때, B 지역의 위치 파악부(20)는 B 지역의 당구대(10)에 놓인 당구공 위치를 검출하여 자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이 자기 위치 정보를 B 지역의 클라이언트 서버(30)에 전송하거나 아니면 곧바로 B 지역의 위치 이동 어셈블리(100)로 전송한다. 이후 최종적으로 B 지역의 위치 이동 어셈블리(100)는 B 지역의 당구공의 자기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로 이동하여 당구공을 들어 올린 다음 A 지역의 당구공의 위치 정보에 해당되는 위치로 이동시켜 내려놓아 당구동의 위치 변경을 완료하고 제 2 유저가 당구공을 칠 준비를 갖춘다.The first user grasps the position of the prospective billiard ball with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0 of the area A, generates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osition information to the client server 30 of the area A. [ Then, the client server 30 in the area A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client server 30 in the area B, and the client server 30 in the area B again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location moving assembly 100 in the area B send. At this time, the position determination unit 20 of the B region detects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 placed on the billiard table 10 in the B region, generates the self position information, transmits the self position information to the client server 30 in the B region Or directly to the locomotion assembly 100 in the B region. Finally, the position moving assembly 100 of the B region mov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gnetic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illiard ball in the area B, lifts the billiard ball, and moves the billiard ball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illiard ball in the area A The user is ready to complete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game and the second user is ready to hit the billiard ball.

이와 같은 작용은 앞서 언급한 선행기술과 같으므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인 위치 이동 어셈블리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Since the opera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the following, the position moving assembly, which is a main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당구대 상부에 설치된 위치 이동 어셈블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chematic structure of a position shifting assembly installed on a billiard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위치 이동 어셈블리(100)는 당구대(10)의 상부, 즉 천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x,y 축 방향으로 이동되는 크레인(150)이 승강하면서 당구공을 집어 타 지역 유저의 당구공 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2, in the position moving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ane 150, which is moved in the x and y axis directions while being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billiard table 10, lifts and catches the billiard ball And moves it to the billiard slot position of the other local users.

이와 같은 위치 이동 어셈블리(100)는 마치 인형뽑기와 CNC 머신의 이동 수단과 같은 이동 원리를 따르는데, 인형뽑기의 이동 수단의 경우 구조는 단순하나 정밀성이 떨어져 당구공을 정확한 위치로 이동시킬 때 오차가 많이 발생하고 CNC 머신의 이동 수단의 경우 정밀성을 보장할 수 있으나 고가의 장비라 설치비용이 상당히 올라가는 단점이 따른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위치 이동 어셈블리(100)는 인형뽑기의 이동 수단과 비슷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적용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하되 정밀성은 상대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보조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Such a position moving assembly 100 follows a moving principle such as a doll pulling and a moving means of a CNC machine. In the case of a moving means of pulling a doll, the structure is simple but the precision is poor, and when moving the billiard ball to a correct position, And the precision of the moving means of the CNC machine can be guaranteed. However, the installation cost is considerably increased due to the expensive equipment. Accordingly, the position moving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various auxiliary structures that can relatively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by applying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similar to the moving means of the doll drawing, but can improve the precision relatively.

우선, 위치 이동 어셈블리(100)의 기본 구성을 설명하면 당구대(10) 상부의 천장에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같은 골격을 매개로 1쌍의 고정 가이드 레일(110)과, 2개의 이동 가이드 레일(120), 메인 이동부(130)와 서브 이동부(140), 크레인(150), 컨트롤러(200)로 이루어져 있다.First, a basic structure of the position moving assembly 100 will be described. A pair of fixed guide rails 110 and two moving guide rails 120 are installed through a skeleton such as a base frame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billiard table 10, A main moving unit 130, a sub moving unit 140, a crane 150, and a controller 200.

1쌍의 고정 가이드 레일(110)은 당구대(10)의 장변의 길이와 단변의 폭 및 위치에 대응하도록 이격되어 1쌍으로 연장(x축 방향 연장)된 레일을 의미한다. 또한, 이동 가이드 레일(120)은 고정 가이드 레일(110)과 수직하게 연장(y축 방향 연장)된 상태에서 고정 가이드 레일(1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이 이동 가이드 레일(120)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2개로서 구비된다.The pair of fixed guide rails 110 means a rail extending in a pair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lengths and the widths and positions of the long side and the short side of the billiard table 10. The moving guide rail 120 is moved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fixed guide rail 110 in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guide rail 120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fixed guide rail 110 (extending in the y axis dir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1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서브 이동부(140)는 각각의 이동 가이드 레일(120)의 단부에 설치되어 이동 가이드 레일(120)이 고정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이고, 메인 이동부(130)는 이동 가이드 레일(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이동 가이드 레일(120)이 2개이므로 메인 이동부(130) 역시 2개가 구비된다.The sub movement unit 140 is provided at an end of each movement guide rail 120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movement guide rail 120 along the fixed guide rail 110. The main movement unit 130, Since the two moving guide rails 120 are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moving unit 130 is also provided with two driving guide rails 120.

이러한 메인 이동부(130) 및 서브 이동부(140)의 구동력 제공수단은 공지의 다양한 기계적 구동 구조를 적용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메인/서브 이동부(130,140)는 각 고정 가이드 레일(110,120)을 따라 회전하는 휠(캐스터)과 샤프트에 연결되어 휠(캐스터)을 회전시키는 스텝 모터를 구비한 것을 기본 실시예로 적용한다.The main / sub-moving parts 130 and 14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on the fixed guide rails 110 and 120, respectively, And a step motor connected to the shaft for rotating the wheel (casters).

크레인(150)은 집게(핑거)를 구비한 상태로 메인 이동부(130)의 저면에 설치되어 메인 이동부(130)의 개수에 상응하여 역시 2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승강 수단을 매개로 승강되면서 집게를 작동시켜 당구공을 집거나 놓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rane 15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moving unit 130 with a fing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the main moving units 130. The crane 150 is lifted and lowered via the lifting unit The player operates the forceps to pick and place the billiard ball.

컨트롤러(200)는 메인/서브 이동부(130,140)의 스텝 모터 및 승강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클라이언트 서버(30)로부터 전달받은 위치 정보에 따라 스텝 모터의 정역 방향 회전 제어 및 회전수를 조절하고 승강 수단의 승강 여부 및 그 높이를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특히, 컨트롤러(200)는 2개의 이동 가이드 레일(120) 및 2개의 크레인(150)의 연관 구동관계를 설정하여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The controller 20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step motor and the elevation means of the main / sub movement units 130 and 140 and controls the rotation and rotation of the step motor in the normal and reverse directions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lient server 30 And controls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elevating means and the height thereof. Particularly, the controller 200 has a function of setting and controlling the association driv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moving guide rails 120 and the two cranes 150.

예를 들어, 2개의 이동 가이드 레일(120)을 제 1,2 이동 가이드 레일(121,122)이라 하고 이에 각각 설치된 크레인(150)을 제 1,2 크레인(151,152)이라 할 때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제 1,2 이동 가이드 레일(121,122)은 당구대(10)의 장변 길이만큼 연장된 고정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단변을 따라 이동할 때에 비해 상대적으로 이동 범위가 넓다. 이 경우 스텝 모터를 정밀 제어하여도 오차가 발생될 소지가 높고 정밀성을 부여하면 이동속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당구대(10)를 장변 기준으로 제 1,2 영역으로 분할하고 제 1 크레인(151)은 제 1 영역에 위치한 당구공의 위치를 동일 영역인 제 1 영역 내의 변경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 2 크레인은 제 2 영역에 위치한 당구공의 위치를 역시 동일 영역인 제 2 영역 내의 변경 위치로 이동시킨다. 만일 제 1영역에서 제 2 영역으로 당구공의 위치가 변경된 경우에는 이 당구공의 위치에 근접한 제 1,2 크레인(151,152)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당구공을 이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wo moving guide rails 120 are referred to as first and second moving guide rails 121 and 122, and a crane 150 install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moving guide rails 120 and 121 is referred to as a first and second cranes 151 and 152, Since the first and second moving guide rails 121 and 122 are moved along the fixed guide rail 110 extended by the long side length of the billiard table 10, the moving range is relatively wider than when moving along the short side. In this case, even if the stepper motor is precisely controll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an error is high and precision is given, the moving speed may decrease. Therefore, the billiard table 10 is divided into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151 move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 located in the first region to the changing position in the first region which is the same region and the second crane moves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 located in the second region to the changing position in the second region which is also the same region . If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 is changed from the first area to the second area, the billiard ball can be moved through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ranes 151 and 152 close to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

이를 위해, 컨트롤러(200)는 영역 파악부(211), 크레인 선정부(212), 개별 구동부(213)를 포함하는 크레인 설정 제어모듈(210)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roller 200 may include a crane setting control module 210 including an area grasping unit 211, a crane selecting unit 212, and an individual driving unit 213.

크레인 설정 제어 모듈(210)에서 영역 파악부(211)는 클라이언트 서버(30)로부터 전달받은 위치정보에서 각각의 당구공의 현재 위치에서 변경 위치의 궤적을 파악하여 각각의 제 1,2 영역 이내에서의 이동인지 아니면 제 1,2 영역에 걸친 이동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제 1,2 영역이 당구대의 장면, 즉 x 축을 기준으로 분할되는 것으로 제 1,2 영역을 분할한 좌표 데이터베이스에서 당구공의 위치정보의 x 축 변화값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In the crane setting control module 210, the area grasping unit 211 grasps the locus of the change position at the current position of each billiard ball in the posi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lient server 30, Or whether it is a movement over the first and second areas. This is because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re divided based on the scene of the billiard table, that is, the x-axis, and can be grasped through the x-axis change value of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billiard ball in the coordinate databas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re divided.

크레인 선정부(212)는 특정 당구공의 궤적 변화에 따라 해당 당구공을 이동시킬 2개의 크레인(150) 증 어느 하나의 크레인을 당구공 별로 선택함과 동시에 당구공 별로 선택된 크레인(152)의 작동 순서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crane selection unit 212 selects one of the two cranes 150 to move the billiard ball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rajectory of the specific billiard ball by the billiard ball and the operation of the crane 152 And performs the function of determining the order.

즉, 특정 당구공의 현재 위치에 가까운 크레인(150)을 1차적인 선정 대상으로 하여 이를 변경 위치로 이동시키나, 당구공이 복수 개일 경우 2개의 크레인(150)이 이동 중에 서로 부딪칠 수 있고 이동 순서가 꼬일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당구공의 궤적을 종합 판단한 다음 각각의 당구공을 이동시킬 크레인(150)의 작동 순서를 설계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당구공 별 크레인(150)의 선택 및 크레인(150)의 작동 순서를 파악한다. 이 때, 제 1,2 크레인(151,152)은 동시에 구동될 수도 있고 어느 하나의 크레인(150)이 작동한 이후 다른 하나의 크레인(150)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크레인(150)간 부딪침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크레인(151)은 작동 이후 초기 위치를 당구대(10)의 장변 기준으로 좌측 단에, 제 2 크레인(152)은 작동 이후 초기 위치를 당구대(10)의 장변 기준으로 우측 단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at is, the crane 150, which is close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specific billiard ball, is moved to the change position as a primary selection target. If there are a plurality of billiard balls, the two cranes 150 may hit each other while moving,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billiard-specific cranes 150 and design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cranes 150 so as to design the operation sequence of the cranes 150 to move the respective billiard balls after determining the trajectory of all the billiard balls collectively .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cranes 151 and 152 may be simultaneously driven, and after one of the cranes 150 is operated, the other cranes 150 may be operated, and in order to prevent the cranes 150 from colliding with each other The first crane 151 may be positioned at the left end on the long side of the billiard table 10 and the second crane 152 may be positioned at the right end of the billiard table 10 after the operation It is possible.

개별 구동부(213)는 상기 크레인 선정부(212)에서 설계(선정)된 크레인(150)의 선택 여부와 작동 순서에 따라 해당 크레인(150)을 구동시켜 당구공을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ndividual driving unit 213 drives the crane 150 to move the billiard ball according to whether the crane 150 selected by the crane selecting unit 212 is selected or operated.

이와 같이 2개의 크레인(151,152)을 구비할 경우, 단순히 그 숫자만 늘어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당구공의 이동궤적에 따라 효율적으로 크레인을 배치시켜 2개의 당구공을 2개의 크레인(151,152)을 통해 동시에 이동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당구공 이동 속도가 빨라지고 동일 영역 내에서 당구공을 이동시키는 경우 크레인을 보다 정밀하게 구동 제어할 수 있다는 특성을 가진다.When two cranes 151 and 152 are provided, the number of cranes 151 and 152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of cranes 151 and 152, but the cranes are arranged efficiently according to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billiard ball so that the two billiard balls are moved simultaneously through the two cranes 151 and 152 So that the moving speed of the billiard ball is increased, and when the billiard ball is moved within the same area, the crane can be more precisely driven and controlled.

도 4는 본 발명의 위치 이동 어셈블리의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urther embodiment of the position shifting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시 말해, 도 4는 크레인(150)에 대한 구동의 정밀성을 보장하기 위해 메인 이동부(130)에 복수 개의 탄성 와이어(160)를 연결하고 이 각각의 탄성 와이어(160)에 장력감지센서(40)를 장착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4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elastic wires 160 are connected to the main moving part 130 in order to ensure the precision of driving the crane 150 and tension sensors 40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각각의 메인 이동부(130)는 복수 개의 탄성 와이어(160)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탄성 와이어(160)는 베이스 프레임의 일 측에서부터 메인 이동부(130)까지 연장된 것으로,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매개체, 예를 들어 스프링과 같은 탄성 수단을 말한다. 이러한 탄성 와이어(160)는 기본적으로 메인 이동부(130)의 이동 시 흔들림이 발생함으로 인하여 메인 이동부(130)의 x,y축으로의 이동은 물론 크레인(150)의 승강 시 역시 흔들리거나 불필요한 이동 오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Specifically, each of the main moving parts 130 is connected via a plurality of elastic wires 160. The elastic wire 160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base frame to the main moving part 130 and refers to an elastic medium such as a spring. Since the elastic wire 160 is basically wobbled when the main moving part 130 moves, it is possible to move the main moving part 130 in the x- and y-axes as well as mov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rane 150, Thereby preventing a movement error from occurring.

탄성 와이어(160)는 각각의 메인 이동부(130) 별로 2 내지 4개로서 서로 꼬이지 않는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최소한 2개는 메인 이동부(130)를 기준으로 서로 다른 면에 장착되어 탄성의 균형을 이루도록 한다. The elastic wires 160 may be disposed at appropriate positions such that two to four of the main moving parts 130 are not twisted with each other and at least two of the elastic wires 160 are mounted on different surfaces with respect to the main moving part 130 Balance the elasticity.

더 나아가, 탄성 와이어(160)에는 장력감지센서(40)가 장착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컨트롤러(200)는 구동 보정모듈(220)을 추가로 구비한다.Further, the tension sensor 40 is mounted on the elastic wire 160, and accordingly, the controller 200 further includes the driving correction module 220.

즉, 메인 이동부(130)가 이동할 때 그 이동 방향에 따라 탄성 와이어(160)가 신장 내지 수축되는데 그 때 발생한 장력의 고저에 따라 구동 보정모듈(220)에서 메인 이동부(130)의 캐스터를 구동시키기 위해 구비된 스텝모터의 회전수를 차등 보정하여 보다 정확하고 정밀하게 메인 이동부(130)의 이동 상태를 도모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main moving part 130 moves, the elastic wire 160 is stretched or contract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tension of the elastic wire 160, the driving correction module 220 adjusts the caster of the main moving part 130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step motor provided for driving can be differentially corrected to more accurately and precisely move the main moving unit 130.

더 나아가, 탄성 와이어(160)가 스프링일 경우 본 발명의 장치를 장시간 사용 시 스프링이 늘어짐으로 인해 장력감지선서(40)에서 장력 측정 오차가 발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프링의 텐션에 의한 흔들림 등에 의해 장력감지센서(40)가 정확한 장력 변화를 측정하기에 애로가 따를 수 있다. 즉, 탄성 와이어(160)는 탄성을 제공하되 가급적 흔들리거나 너무 민감하게 움직이지 않도록 하여 장력감지센서(40)에서 이 탄성 와이어(160)의 흔들림과 같은 불필요한 성분에 악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In addition, when the elastic wire 160 is a spring, a tension measurement error may occur in the tension sensing oath 40 due to slackening of the spring whe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a long time, The sensing sensor 40 may find it difficult to measure the correct tension change. That is, it is important that the elastic wire 160 provide elasticity, but do not move as shaky or too sensitively as possible, so that the tension sensor 40 is not adversely affected by unnecessary components such as shaking of the elastic wire 160.

이를 위해. 탄성 와이어(160)는 일 측에 탄성 연결체(300)를 구비한다. 다시 말해, 탄성 와이어(160)는 2단으로 분리되어 있고 그 사이에 탄성 연결체(300)가 구비되어 양자를 연결한다. for teeth. The elastic wire 160 has the elastic connector 300 on one side. In other words, the elastic wires 160 are separated into two stages, and an elastic connector 300 is provided therebetween to connect the two.

구체적으로 탄성 연결체(300)는 탄성 스프링(310)과, 연결부(320) 및 스트링(330)으로 이루어지고 이 스트링(330)에 상술한 장력감지센서(40)가 장착된다.More specifically, the elastic connector 300 includes an elastic spring 310, a connecting portion 320, and a string 330, and the tension sensor 40 described above is mounted on the string 330.

우선, 연결부(320)는 탄성 와이어의 연결 부위의 대향 측을 향해 양측 방향으로 유선형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양 측면, 즉 유선형 볼록 면(321)을 구비한 상태에서 분리된 탄성 와이어(160)의 각 단부와 연결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연결부는 분리된 탄성 와이어(160)의 각 단을 연결하기 위해 2개가 상호 이격되어 있다.First, the connection part 3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wire 160 tha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a state in which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elastic wire are convexly extended in both directions, that is, And provides a function to be connected to the end. These connecting portions are mutually spaced to connect the respective ends of the separated elastic wires 160.

이 2개의 연결부(320) 사이에는 복수 개의 탄성 스프링(310)이 연결되되 연결부(320)의 연결 면(유선형 단부를 연결한 면)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그 중앙 부위에서 이 탄성 스프링(310)이 연장되어 있다. 탄성 스프링(310)은 복수 개로 이루어져 하나로 이루어진 경우보다 흔들림이나 떨림과 같은 불필요한 성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보다 견고하게 탄성적으로 탄성 와이어(16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 복수 개의 탄성 스프링(310)은 상술한 탄성 와이어(160)보다 텐션에 의한 떨림 현상을 방지하면서도 신축성은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한다. A plurality of resilient springs 310 are connected between the two connecting portions 320. The elastic spring 310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20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ng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320, Respectively. A plurality of elastic springs (310) are provided to support the elastic wire (160) more rigidly while preventing unnecessary components such as shaking or trembling from occurring, as compared with a case where the elastic springs (310) are integrally formed. In other words, the plurality of elastic springs 310 play the role of preventing the tilting phenomenon by the tension than the elastic wire 160 described above, and maintaining the elasticity.

스트링(330)은 연결부(320)의 상술한 유선형 볼록 면(321)에 밀착 연장되다가 유선형 볼록 면(321)의 연장 곡도와 유사한 라인을 그리며 유선형으로 볼록하게 양 측의 연결부(320)를 연결하되, 연결부(320)의 연결 면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그 양 측 부위에서 각각 연장된 2개의 구조체이다. 이 스트링(330)은 각각의 탄성 스프링(310)보다 큰 탄성계수를 가진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텐션에 의한 흔들림에 상대적으로 내구성을 가진다. 장력감지센서(40)는 이러한 스트링(330)의 일 측(바람직하게는 중앙 부위)에 장착된다. 이러한 탄성 연결체(300)의 구조에 의하여, 텐션 발생에 따른 떨림에 영향을 덜 받으면서 탄성적으로 메인 이동부(130)를 지지 역할을 수행하고 장력감지센서(40)에서 오차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메인 이동부(130)의 스텝모터 구동에 장력에 의한 보정수치를 정확하게 반영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메인 이동부(130)의 정밀 위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The string 330 extends in close contact with the above-mentioned streamlined convex surface 321 of the connection portion 320 and connects the connection portions 320 on both sides in a streamlined manner while drawing a line similar to the extended curve of the streamlined convex surface 321 And two structures extending from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320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tring 33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having a greater elastic modulus than each of the elastic springs 310, and is relatively durable against shaking due to tension. The tension sensor 40 is mounted on one side (preferably a central portion) of the string 330. The structure of the elastic connecting body 300 minimizes the occurrence of errors in the tension detecting sensor 40 by performing the function of supporting the main moving part 130 elastically while being less affected by the shaking due to the occurrence of tension And accurately reflects the correction value due to the tension in the driving of the step motor of the main moving unit 130, thereby providing a basis for performing the precise position control of the main moving unit 130 as a result.

더 나아가, 스트링(330)의 중앙부위에 장력감지센서(40)가 위치한 상태에서, 스트링(330)은 연결부(320)에 결합된 부위로부터 제 1 곡도로 탄성 스프링(31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연장된 제 1 라운딩파트(331)와, 제 1 라운딩파트(331)의 단부에서 장력감지센서(40)가 장착된 부위까지 다시 제 1 곡도보다 큰 제 2 곡도로 탄성 스프링(310)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연장된 제 2 라운딩파트(332)로 이루어져 있다.The string 330 may be convexly protruded toward the outside of the elastic spring 310 from the portion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320 to the first curved line in a state where the tension sensing sensor 4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string 330, The first rounding part 331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first rounding part 331 to the part where the tension sensing sensor 40 is mounted, And a second rounding part 332 which is convexly extended toward the center.

여기서, 제 1 라운딩파트(331)보다 제 2 라운딩파트(332)의 곡도가 더 큰 이유는 제 2 라운딩파트(332)가 보다 볼록하고 첨예하게 돌출된 형상을 가지게 하여 결과적으로 탄성스프링(310)로부터 더욱 멀리 이격됨으로써 스트링(330)이 신축되면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분산시킬 수 있으며 특히 곡도가 작은 제 1 라운딩파트(331)가 상대적으로 곡도가 큰 제 2 라운딩파트(332)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분산 전달받을 수 있다는 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특히 제 1 라운딩파트(331)의 길이는 제 2 라운딩파트(332)에 비해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제 2 라운딩파트(332)가 보다 용이하게 탄성 스트링(310)으로부터 이격되기 위함이다. The curvature of the second rounding part 332 is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rounding part 331 because the second rounding part 332 has a more convex and sharply protruding shape, The first rounding part 331 having a small curvature can disperse the stress generated in the second rounding part 332 having a relatively large curvature, To provide an environment that can be delivered. Particularly, the length of the first rounding part 331 is preferably shorter than that of the second rounding part 332, so that the second rounding part 332 is more easily separated from the elastic string 310 .

이러한 스트링(330)의 변형 구조에 의해, 앞서 설명한 장력 측정 및 탄성 제공 기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bove-described tension measurement and elasticity providing function can be further enhanced by the deformation structure of the string 330.

더 나아가, 탄성 와이어(160)는 메인 이동부(130)의 어느 지점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메인 이동부(130)에서 하방으로 하강되는 하강부(132)에 탄성 와이어(160)가 연결되는 추가 구조를 제시한다. The elastic wire 160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moving part 130 without being restricted to any point. In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elastic wire 160 may be connected to the downward part 132 descending downward from the main moving part 130 ) Are connected to each other.

구체적으로, 하강부(132)는 메인 이동부(130)의 함체(131)보다 작은 체적으로 이루어져 함체(131) 내외로 승강되는 기능을 제공하는바 특히 메인 이동부(130)가 가이드 레일(110,120)을 따라 이동 시에 하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하강되는 특성을 가진다. 이 때, 크레인(150)은 이 하강부(132)의 저면에 매달려 있으며 크레인(150)은 하강부(132)와 별개로 구비된 승강 수단에 의해 승강된다. Specifically, the lowering part 132 has a smaller volume than the housing 131 of the main moving part 130 and functions to move up and down the housing 131. In particular, the main moving part 130 moves up and down the guide rails 110 and 120 And is lowered by a predetermined length downwardly when moving along the guide rail. At this time, the crane 150 is suspended from the bottom of the descending part 132, and the crane 150 is raised and lowered by the ascending / descending part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descending part 132.

이와 같은 하강부(132)의 하강(결과적으로는 승강)을 위해 함체(131)와 연동된 구조는 공지의 자동차 접이식 안테나의 릴 기반 구조, 실린더 기반 구조, 랙/피니언 구조, 나사산 회동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공지의 방식을 따를 수 있기 때문에 구체적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structure that is interlocked with the housing 131 for descending (lowering or lifting) of the descending portion 132 may be any of a reel-based structure, a cylinder-based structure, a rack / pinion structure, It can be formed in a single structure, so that a description of a specific structure will be omitted.

더불어, 하강부(132)는 메인 이동부(130)의 함체(131) 저면에서 약간 측방으로 벗어난 부위에 위치하여 이에 크레인(150)이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다른 부위의 메인 이동부(130)의 저면(즉 함체의 저면)에는 캐스터(170)가 설치되어 있어 하강부(132)가 메인 이동부(130)의 이동성을 방해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다시 말해, 하강부(132)는 함체(131)의 저면 일부를 활용하고 나머지 부위는 캐스터(170)가 장착되는데 활용된다.The lower portion 132 of the main moving part 130 is located at a position slightly deviat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31 of the main moving part 130 and a crane 150 is installed on the lower moving part 130, The caster 170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130 so that the descending part 132 does not hinder the mobility of the main moving part 130. In other words, the lower portion 132 utilizes a par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31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used to mount the caster 170.

더불어 메인 이동부(130)에서 하강부(132)에 근접한 부위에는 하강부(132)가 상승할 때 탄성 와이어(160)가 함체(131) 내에 끼거나 걸리지 않도록, 함체의 하부에는 저면에서 외주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개된 슬릿(131a)이 구비되어 하강부(132)가 상승 복원하여도 탄성 와이어(160)가 함체(131) 내에 끼지 않고 안정적으로 메인 이동부(130)와 연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vicinity of the descending part 132 of the main moving part 130, the elastic wire 160 is prevented from being caught or caught in the enclosure 131 when the descending part 132 rises, The slit 131a cut in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height direction is provided so that the elastic wire 160 is stably connected to the main moving part 130 without being caught in the housing 131, Lt; / RTI >

이러한 하강부(132)는 크레인(150)이 매달려 있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110,120)을 따라 메인 이동부(130)가 이동될 때 크레인(150)의 무게에 의해 메인 이동부(130)가 일 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문제를 방지하고자 메인 이동부(130)의 무게중심을 약간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메인 이동부(130) 자체의 무게중심을 약간 아래쪽으로 이동시켜 크레인(150)에 의한 하중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도록 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취함으로써 이에 연결된 탄성 와이어(160)에 불필요한 떨림이나 유동이 발생해 장력감지센서(40)에서 오차가 발생되는 문제를 최소화하는 기능을 제공한다.Since the lower portion 132 is suspended from the crane 150, when the main moving portion 130 moves along the guide rails 110 and 120, the main moving portion 130 is moved in one direc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moving unit 130 is moved slightly downward to prevent the inclination of the main moving unit 130. [ In other word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moving part 130 itself is moved slightly downward to receive a relatively small load influence by the crane 150, thereby obtaining structural stability and unnecessary shaking or flow of the elastic wire 160 connected thereto And provides a function of minimizing a problem that an error is generated in the tension sensor 40. FIG.

도 5는 가이드 레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Fig.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removing foreign matter from the guide rail.

메인/이동 가이드 레일(130,140)과 메인/보조 이동부(130,140)의 캐스터(170)의 연관 구조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가 있지만, 본 발명에서 캐스터(170)는 피니언(171)으로 이루어져 스텝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고 고정/이동 가이드 레일(110,120)은 랙(176)을 구비하여 랙/피니언 결합 구조로서 메인/서브 이동부(130,140)가 가이드 레일(110,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랙(176)과 피니어(171)의 결합 구조는 메인/서브 이동부(130,140)를 정밀하게 이동시키는데 효율적이다. 더불어,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으나 이동의 안정성을 보조하기 위해 메인/서브 이동부(130,140)는 가이드 레일(110,120)의 아래 측에 종동 캐스터를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The caster 170 is formed of a pinion 171 and is connected to the caster 170 of the main / sub-moving units 130 and 140. The caster 170 has various structures known in the art, And the fixed / moving guide rails 110 and 120 are provided with a rack 176 so that the main / sub moving portions 130 and 140 can move along the guide rails 110 and 120 as a rack / And the pinion 171 are effective for precisely moving the main / sub moving parts 130 and 140.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main / sub moving parts 130 and 140 may further include a driven caster on the lower side of the guide rails 110 and 120 to assist the stability of the movement.

물론 랙/피니언 구조 이외에 공지의 다양한 기계적 조합에 의해 메인/서브 이동부(130,140)가 고정/이동 가이드 레일(110,12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나, 정밀성을 위해 상술한 랙/피니언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더 나아가 본 발명의 고정/이동 가이드 레일(110,120)은 캐스터(17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 홈(175)을 구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더불어, 이 레일 홈(175)에 캐스터(170)가 수용되며, 상기 예에서는 레일 홈(175)의 바닥 면에 랙이 형성된다.In addition to the rack / pinion structure, the main / sub moving parts 130 and 140 can move along the fixed / moving guide rails 110 and 120 by various known mechanical combinations, but for the sake of precision, the rack / And the fixed / moving guide rails 110 and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the rail grooves 175 to prevent the caster 170 from coming off. In addition, the caster 170 is accommodated in the rail groove 175, and a rack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l groove 175 in this example.

앞서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의 고정 가이드 레일(110)과 이동 가이드 레일(120)은 메인 이동부(130)와 보조 이동부(140)가 각각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이 고정/이동 가이드 레일(110,120)은 천장에 근접한 부위에 설치가 되므로 이물질이 쌓이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이물질이 고정/이동 가이드 레일(110,120)에 쌓일 경우 본 발명에서는 당구공을 정확히 변경 위치로 옮기는 목적을 갖기에 이물질이 일종의 불필요한 거리로서 악영향을 주어 메인/보조 이동부(130,140)의 정밀한 이동을 보장하기 못하는 문제가 따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xed guide rail 110 and the moving guide rail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path through which the main moving unit 130 and the auxiliary moving unit 140 respectively move, (110, 120) are installed near the ceiling,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foreign substances are accumul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oreign matter is piled up on the fixed / moving guide rails 110 and 120, the billiard ball is moved to the correct changing position, so that the foreign matter is adversely affected as a kind of unnecessary distance, Can not be guaranteed.

더 나아가, 상술한 랙/피니언 구조에서도 랙(176)은 구조적 특성상 이물질이 끼기 쉽고 이물질이 끼면 상술한 바와 같이 메인/보조 이동부(130,140)의 정밀한 이동을 보장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따른다. Further, even in the above-described rack / pinion structure, the rack 176 is susceptible to foreign substances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it is difficult to ensure precise movement of the main / auxiliary moving units 130 and 140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정 가이드 레일(110)과 이동 가이드 레일(120) 각각의 일 측, 구체적으로 레일 홈(175)에는 회동 팬 패널(180)이 구비된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 rotary fan panel 180 is provided on one side of each of the fixed guide rail 110 and the moving guide rail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the rail groove 175.

회동 팬 패널(180)은 회전 가능한 팬(181)이 장착된 패널 형태의 판상체로서, 이러한 회동 팬 패널(180)은 레일 홈(175)의 바닥 면에 장착된다. 이때, 회동 팬 패널(180)이 레일 홈(175)의 바닥면에 장착되어도 다른 부위와 균일한 평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레일 홈(175)의 바닥면에는 패널 수용부(175a)가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함입 형성되고 이에 회동 팬 패널(180)이 장착된다. 이러한 회동 팬 패널(180)은 양 측에 힌지 모터(183)에 연결된 힌지(182)가 장착되어 힌지 모터(183)의 회전에 의해 힌지(182)가 구동되면서 기립 되거나 다시 패널 수용부(175a)에 수용되는 방식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러한 회동 팬 패널(180)은 레일 홈(17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당구대(10)의 장변이 그리 길지 않기 때문에 적은 수의 회동 팬 패널(180)이 장착되는 것으로 충분하고 레일 홈(175)의 너비 역시 그리 크지 않지만 이물질을 공중으로 비산시키는 목적을 제공하기에 팬(181)의 직경도 그리 크지 않아도 된다. 더불어, 이러한 회동 팬 패널(180)이 장착된 가이드 레일(110,120)은 그 높이(상하 길이)가 일반 레일보다 약간 더 높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e rotary fan panel 180 is a plate-shaped plate having a rotatable fan 181 mounted thereon. The rotary fan panel 18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l groove 175. At this time, the panel receiving portion 175a is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l groove 175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maintain a uniform flat state with other portions even when the rotating fan panel 180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l groove 175 And the rotating fan panel 180 is mounted thereon. The hinge 182 connected to the hinge motor 183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otary fan panel 180 so that the hinge 182 is driven by the rotation of the hinge motor 183, As shown in Fig. Since the long side of the billiard table 10 is not so long, a small number of the rotation fan panels 180 may be mounted And the width of the rail groove 175 is not so large, but the diameter of the fan 181 does not need to be large because it provides a purpose of scattering foreign matter in the air. In addit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height (vertical length) of the guide rails 110 and 120 on which the rotary fan panel 180 is mounted i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the general rail.

이에 대응하여 컨트롤러(200)는 팬 제어모듈(220)을 구비하여 모든 당구공을 크레인(150)을 통해 이동시키고 크레인을 초기 위치로 복원한 다음, 힌지 모터(183)를 구동시켜 회동 팬 패널(180)을 기립시킨 이후 팬을 구동시킨다.In response to this, the controller 200 includes a fan control module 220 to move all the billiard balls through the crane 150, restore the crane to the initial position, and then drive the hinge motor 183, 180). After that, the fan is driven.

이로 인해, 레일 홈(175) 내에서 팬(181)의 회전에 의한 바람이 불어 레일 홈(175) 또는 랙(176)에 낀 이물질을 보다 편리하게 제거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wind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fan 181 in the rail groove 175 is blown to more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ter trapped in the rail groove 175 or the rack 176.

도 6은 가이드 레일의 습기를 제거하는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for removing moisture from the guide rails.

도 5의 실시예에서는 바람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설명하였는데, 천장 주변은 습기가 집중되는 특성이 있어 가이드 레일(110,120) 및 레일 홈(175)에 습기가 차 이물질이 찌든 때와 같이 뭉쳐 바람에 의해서도 쉽게 외부로 비산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5, foreign matter is removed by the wind. However, moisture is concentrated around the ceiling. As a result, moisture is accumulated in the guide rails 110 and 120 and the rail groove 175, It is not likely to be scattered to the outside easily.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고정/이동 가이드 레일(110,120)은 공기 중 수분을 흡수하는 흡습제(191)가 내장된 제습부(19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fixed / moving guide rails 110 and 12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ehumidifier 190 having a moisture absorbent 191 for absorbing moisture in the air.

구체적으로 제습부(190)는 레일 홈(175)이 형성됨으로 가이드 레일(110,120)에 발생된 기립부(111)의 표면 일 측으로부터 타 측을 향해 관통 연장된 수용 홈(112)에 내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Specifically, the dehumidifying part 190 is built in the receiving groove 112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surface of the rising part 111 generated in the guide rails 110 and 120 toward the other side by forming the rail groove 175 It is possible.

이 때, 제습부(190)는 수용 홈(112)의 양 측 입구에는 장착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밀폐 캡(192)이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밀폐 캡(192)은 그물망이나 습기 통과가 가능한, 즉 통기공을 포함한 투명 재질로 구성되어 수용 홈(112)에서 제습부(190)가 쉽사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ehumidifying unit 19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sealing cap 192 having a plurality of air holes to b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receiving groove 112. The sealing cap 192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a net, which is capable of passing through a net or moisture, so that the dehumidifying part 190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receiving groove 112.

더 나아가, 제습부(190)가 일정 수준 이상의 습기를 머금으면 더 이상 수분흡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제습부(190)의 원활한 수분 흡수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이 제습부(190) 내 흡습제(191)의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구성이 더 필요하다. In order to smoothly absorb moisture of the dehumidifying part 190, the moisture absorbent 191 in the dehumidifying part 190 needs to b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dehumidifying part 190, More configuration is needed to confirm the replacement time.

즉, 흡습제(191)와 밀폐 캡(192)의 사이에 교체 안내 식별부(193)를 위치시킨다. 이 교체 안내 식별부(193)는 흡습제(191)에서 흡수된 습기에 의해 색상이 변화하는 습기 반응 변색 성분이 내장되어 육안 식별이 가능한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습기 반응 변색 성분은 염화코발트가 대표적인데, 염화코발트는 일반적으로 푸른색을 띄고 있으나 수분이 닿을 경우 붉은색으로 변색된다. 따라서 이러한 교체 안내 식별부(193)의 색상 변화를 통해 제습부(190) 내의 흡습제(191)의 교체시기를 육안으로 식별 및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replacement guide identifying unit 193 is positioned between the moisture absorbent 191 and the sealing cap 192. The replacement guide identifying unit 193 provides a function of visually recognizing by incorporating a moisture reactive color change component whose color changes due to the moisture absorbed by the moisture absorbent 191. Here, cobalt chloride is a typical example of the moisture reaction discoloration component. Cobalt chloride is generally blue in color, but turns red when moisture is in contact. Therefore, the replacement timing of the moisture absorbent 191 in the dehumidifying part 190 can be visually recognized and grasped through the color change of the replacement guide identifying part 193.

다만, 가이드 레일(110,120)이 천장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교체 안내 식별부(193)가 눈에 잘 띠지 않을 우려가 있으므로, 이 교체 안내 식별부(193)를 외측을 향해 물리적으로 볼록하게 밀어내어 보다 가시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However, since the guide rails 110 and 120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placement guide identification unit 193 may not be conspicuous, so that the replacement guide identification unit 193 is physically convex outwardl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visibility.

이를 위해, 우선 밀폐 캡(192)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자유롭게 늘어날 수 있도록 하고 이와 더불어 제습부(340) 역시 부피가 증가할 수 있는 흡습제(191)를 적용한다. To this end, the sealing cap 192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can be freely stretched. In addition, the desiccant 191, which can increase the volume of the dehumidifying part 340, is also applied.

구체적으로 도 6을 보아 알 수 있듯이 흡습제(191)는 3중 구조로 형성된 것으로, 가장 내측 코어 부위는 습기를 흡수함으로써 부피가 증가하는 신축성 재질의 흡습제로 구성되는 메인 흡습제(191a)와, 이 메인 흡습제(191a)의 표면을 감싸는 막(191c)을 포함하여 외부로 메인 흡습제(191a)의 성분이 유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 때, 막(191c)도 고무 망과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고무 망 재질로 이루어진 막(191c)은 복수 개의 통기공이 형성되어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유통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메인 흡습제(191a)의 팽창에도 터지지 않고 메인 흡습제(191a)를 감쌀 수 있다는 특징을 갖는다. 6, the moisture absorbent 191 is formed of a triple structure, and the innermost core portion is composed of a main moisture absorbent 191a composed of a hygroscopic material having an increased volume by absorbing moisture, The membrane 191c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moisture absorber 191a is prevented so that the components of the main moisture absorber 191a do not flow out. At this tim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membrane 191c is also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rubber net, and the membrane 191c made of the rubber net material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air holes, And is also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absorbent 191a can be wrapped around the main absorbent 191a without expanding the swelling of the main absorbent 191a.

나아가, 이러한 막(191c)과 메인 흡습제(191a) 사이에는 복수의 실리카겔 결정을 함유한 서브 흡습제(19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Further, between the membrane 191c and the main desiccant 191a, a sub desiccant 191b containing a plurality of silica gel crystals may be further included.

실리카겔 결정은 메인 흡습제(191a)보다 먼저 습기를 흡수하여 메인 흡습제(191a)가 너무 빨리 팽창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습 보조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실리카겔 결정이 일종의 방패 역할을 하므로 메인 흡습제(191a)가 막(191c)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이 흡습제(191)의 단면을 살펴보면, 가장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막(191c), 서브 흡습제(191b), 메인 흡습제(191a)로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흡습제(191)가 3중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The silica gel crystal absorbs moisture before the main moisture absorber 191a and acts as a moisture absorption auxiliary to prevent the main moisture absorber 191a from expanding too quickly. In addition, since the silica gel crystal acts as a kind of shield, it is of course possible to prevent the main moisture absorbent 191a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of the membrane 191c. That i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moisture absorbent 191, the film 191c, the sub absorbent 191b, and the main moisture absorbent 191a are formed in the outward direction from the outermost side, and as a result, the moisture absorbent 191 has a triple structure .

여기서 메인 흡습제(191a)의 예시를 들면 벤토나이트가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벤토나이트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결정물로 복원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래 부피의 5 내지 9배에 달하는 수분을 흡수할 만큼 흡습력이 우수할뿐더러, 수분의 흡수와 동시에 부피가 증가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As an example of the main moisture absorber 191a, bentonite is representative. Since bentonite has a property of absorbing moisture in the air to be recovered as crystalline water, it is excellent in absorbing power enough to absorb moisture of 5 to 9 times its original volume, and has a property of increasing the volume and increasing the volume at the same time Have.

따라서 벤토나이트와 같이 수분 흡수 시 부피가 증가하는 물질을 메인 흡습제(191a)로 적용한다. 이 때, 벤토나이트를 하나의 덩어리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겠으나, 잘게 부순 가루 형태로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메인 흡습제(191a)와 대응되는 서브 흡습제(191b)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실리카겔로 구성되어 부피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되 메인 흡습제(191a)의 부피변화에 대응되어 넓게 퍼질 수 있으며, 이들을 모두 감싸 외부로 유출되지 않고 마치 하나의 구조체인 것처럼 활용할 수 있도록 고무 등의 얇고 신축이 가능하며 표면에 복수의 통기 홈이 형성된 막(191c)을 통해 외부 유출을 막을 수 있다.Therefore, a substance such as bentonite which increases in volume upon water absorption is applied as the main desiccant 191a.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apply bentonite as a single mass, but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it in finely divided powder form. As described above, the sub-moisture absorbent 191b corresponding to the main moisture absorbent 191a is composed of silica gel and does not change in volume, but can spread widely corresponding to the volume change of the main moisture absorbent 191a. It can be thin and stretchable such as rubber so as to be utilized as if it is a single structure without flowing ou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utflow through a film 191c having a plurality of vent grooves formed on its surface.

이러한 구성을 통해 메인 흡습제(191a)가 습기를 흡수하여 팽창되면 결론적으로는 흡습제(191) 자체가 팽창하게 되며, 이러한 팽창으로 교체 안내 식별부(193)가 밀폐 캡(192)을 압박하면서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됨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교체 안내 식별부(193)의 색상 변화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When the main absorbent 191a absorbs moisture and expands, the absorbent 191 itself is expanded. As a result of this expansion, the replacement guide identification portion 193 presses the sealing cap 192 to the outside So that the color change of the replacement guide identifying unit 193 can be visually distinguished more easily.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크레인을 구비한 원격 오프라인 당구 게임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emote off-line billiard game apparatus having two cra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 당구대 20: 위치 파악부
30: 클라이언트 서버 40: 장력감지센서
100: 위치 이동 어셈블리 110: 고정 가이드 레일
111: 기립부 112: 수용 홈
120: 이동 가이드 레일 121: 제 1 이동 가이드 레일
122: 제 2 이동 가이드 레일 130: 메인 이동부
131: 함체 131a: 슬릿
132: 하강부 140: 서브 이동부
150: 크레인 151: 제 1 크레인
152: 제 2 크레인 160: 탄성 와이어
170: 캐스터 171: 피니언
175: 레일 홈 176: 랙
175a: 패널 수용부 180: 회동 팬 패널
181: 팬 182: 힌지
183: 힌지 모터 190: 제습부
191: 흡습제 191a: 메인 흡습제
191b: 서브 흡습제 191c: 막
192: 밀폐 캡 193: 교체 안내 식별부
200: 컨트롤러 210: 크레인 설정 제어모듈
211: 영역 파악부 212: 크레인 선정부
213: 개별 구동부 220: 구동 보정모듈
230: 팬 제어모듈 300: 탄성 연결체
310: 탄성 스프링 320: 연결부
330: 스트링 331: 제 1 라운딩 파트
332: 제 2 라운딩 파트
10: Billiard table 20:
30: client server 40: tension sensor
100: Position shifting assembly 110: Fixed guide rail
111: standing portion 112: receiving groove
120: moving guide rail 121: first moving guide rail
122: second moving guide rail 130: main moving part
131: Housing 131a: Slit
132: descending part 140:
150: Crane 151: First crane
152: second crane 160: elastic wire
170: Caster 171: Pinion
175: rail groove 176: rack
175a: Panel receiving portion 180: Rotating fan panel
181: Fan 182: Hinge
183: Hinge motor 190: Dehumidification part
191: Moisture Absorbent 191a: Main Moisture Absorbent
191b: Sub-moisture absorbent 191c:
192: sealing cap 193: replacement guide identification part
200: controller 210: crane setting control module
211: area grasping section 212: crane selecting section
213: Individual driving unit 220: Driving correction module
230: Fan control module 300: Elastic connector
310 elastic spring 320 connection
330: string 331: first rounding part
332: The second rounding part

Claims (11)

2개의 크레인을 구비한 원격 오프라인 당구 게임 장치로서,
당구대;
상기 당구대의 당구공 위치를 파악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파악부;
상기 위치 정보를 송수신하는 클라이언트 서버;
상기 당구대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클라이언트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전달받아 해당 위치 정보를 기준으로 당구공의 위치를 변경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당구대의 장변 길이와 단변 폭에 상응하게 이격 연장된 1쌍의 고정 가이드 레일과, 서브 이동부를 매개로 상기 고정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2개의 이동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이동 가이드 레일 각각을 따라 이동하는 2개의 메인 이동부와, 상기 메인 이동부 각각을 따라 승강하면서 당구공을 집어 변경위치로 이동시키는 2개의 크레인 및, 상기 위치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이동부들과 크레인을 구동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이루어진 위치 이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게임 장치.
A remote off-line billiard game apparatus comprising two cranes,
Pool table;
A position determina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 in the billiard table and generating position information;
A client ser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billiard table is mounted on the billiard table, receives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client server, and changes the position of the billiard ball based on the position information.
A pair of fixed guide rails extending in correspondence to the long side length and the short side width of the pool table, two moving guide rails moving along the fixed guide rails via the sub moving part, Two cranes for picking up the billiard ball and moving the billiard ball to the changing position respectively along the main moving unit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the moving units and the crane And a moving assembly.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당구대는 장변을 기준으로 제 1,2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현재 위치에서 변경 위치로의 각 당구공의 궤적이 상기 제 1,2 영역 각각의 영역 이내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영역 파악부와,
상기 영역 파악부에서 파악된 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당구공을 이동시킬 상기 2개의 크레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크레인 선정부 및,
상기 선정된 크레인의 선택 여부와 작동 순서에 따라 상기 크레인을 구동시켜 당구공을 이동시키는 개별 구동부로 이루어진 크레인 설정 제어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게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illiard table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areas based on a long side,
The controller comprising:
An area grasping unit for grasping whether or not the trajectory of each billiard ball from the current position to the changing position is within the area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areas,
A crane selecting unit for selecting any one of the two cranes to move the billiard ball on the basis of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area detecting unit,
Further comprising a crane setting control module including an individual driving part for moving the billiard ball by driving the crane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selected crane is selected and the operation ord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이동부는, 복수 개의 탄성 와이어에 의해 탄성 지지되되,
상기 탄성 와이어의 일 측에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감지하여 장력정보를 생성하는 장력감지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장력정보의 수치 고저에 따라 상기 메인 이동부의 이동을 차등 제어하는 구동 보정모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게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moving par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 plurality of elastic wires,
A tension sensor for sensing the tension of the wire and generating tension information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elastic wire,
The controller comprising:
And a driving correction module that performs differential control of the movement of the main moving part according to the numerical value of the tension information.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와이어는 2단으로 분리되고,
상기 탄성 와이어의 분리 단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탄성 와이어의 각 단에 연결된 상태로 2개로 이격된 것으로, 상기 탄성 와이어가 연결된 부위로부터 대향 측을 향해 양 측 방향으로 유선형으로 볼록하게 연장된 유선형 볼록 면을 구비한 연결부와,
상기 유선형 볼록 면의 단부를 연결한 면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앙 부위에서 복수 개로서 이격된 상기 연결부를 탄성 연결하는 탄성 스프링 및,
상기 탄성 스프링의 양 측에 위치한 것으로, 상기 유선형 볼록 면에 밀착 연장되다가 유선형으로 볼록하게 상기 연결부를 연결하되 상기 탄성 스프링보다 탄성계수가 큰 재질로 이루어진 스트링으로 이루어진 탄성 연결체;를 포함하고,
상기 장력감지센서는, 상기 스트링의 일 측에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게임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elastic wire is divided into two stages,
Connecting the separating end of the elastic wire,
A connecting portion having a streamlined convex surface extending in two directions from the portion where the elastic wire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side in a both side direction in a streamlined manner,
An elastic spring for elastically connecting the connection por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central portion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surface connecting the end portions of the streamlined convex surface,
And an elastic connecting member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elastic spring and extending from the streamlined convex surface to connect the connecting portion in a streamlined manner and having a greater elastic modulus than that of the elastic spr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 sensor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string.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감지센서는 상기 스트링의 중앙 지점에 장착되고,
상기 스트링은,
상기 연결부에서 제 1곡도로 볼록 연장된 제 1 라운딩파트와, 상기 제 1라운딩 파트의 단부에서 상기 장력감지센서 장착지점까지 제 1 곡도보다 큰 제 2 곡도로 볼록 연장된 제 2 라운딩파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게임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ension sensor is mounted at a central point of the string,
The string may include:
A first rounding part which is convexly extended from the connecting part to the first curved part and a second rounded part which is convexly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first rounding part to the tension sensing sensor mounting point to a second curved line larger than the first curved line Featured, billiard game devic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이동부는,
저면에서 외주 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절개된 슬릿을 구비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저면으로 승강 가능하게 장착된 하강부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와이어는 상기 하강부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게임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main moving unit includes:
An enclosure having a slit cut in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t the bottom face,
And a descent portion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the elastic wire is connected to the descending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동 가이드 레일은,
바닥 면에 랙이 형성된 레일 홈을 구비하고,
상기 메인 이동부와 상기 서브 이동부는,
상기 레일 홈의 랙에 결합되는 피니언으로 이루어진 캐스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게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xed guide rail and the movable guide rail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nd a rail groove having a rack form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Wherein the main moving unit and the sub moving unit move the sub-
And a caster made of a pinion coupled to a rack of the rail groov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홈의 바닥 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함입 형성된 패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널 수용부에는,
힌지에 의해 기립 가능하게 회동되는 것으로, 팬을 구비한 회동 팬 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모든 상기 당구공을 이동시킨 다음 상기 팬을 회전 제어하는 팬 제어모듈;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게임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l groove,
A plurality of panel receiving portion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re formed,
In the panel receiving portion,
A rotary fan panel provided with a fan, which is pivotally supported by a hinge,
The controller comprising:
And a fan control module for moving all the billiard balls and then rotating the fa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가이드 레일 및 이동 가이드 레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레일 홈에서 외측으로 관통된 수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 홈에는 흡습제를 구비한 제습부가 장착되며,
상기 제습부가 장착된 수용 홈의 양 측 입구에는 복수 개의 통기공이 형성된 투명 재질의 밀폐 캡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게임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xed guide rail
A receiving groove penetrating outwardly from the rail groove is formed,
A dehumidifying portion having a moisture absorbent is mounted on the receiving groove,
Wherein a transparent cap of a transparent material having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inlet of the dehumidifying portion.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흡습제와 상기 밀폐 캡 사이에는,
상기 흡습제로부터 흡수된 습기에 의해 색상이 변화하는 교체 안내 식별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게임 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Between the moisture absorbent and the sealing cap,
Further comprising a replacement guide identifying unit whose color changes due to moisture absorbed from the moisture absorbent.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캡은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습제는,
습기를 흡수함으로써 부피가 증가하는 신축성 재질의 흡습제로 구성되는 메인 흡습부와,
상기 메인 흡습부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실리카겔 결정을 포함한 서브 흡습부 및,
복수의 통기공이 관통 형성된 상태로 상기 서브 흡습부를 감싸는 막으로 이루어져,
상기 메인 흡습부가 습기를 흡수하여 팽창되면서 상기 교체 안내 식별부 및 상기 밀폐 캡을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구 게임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aling cap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The moisture-
A main moisture absorber composed of a hygroscopic material of a stretchable material whose volume is increased by absorbing moisture,
A sub moisture absorbing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moisture absorbing portion and including a silica gel crystal,
And a membrane that surrounds the subhumidify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vent holes are formed to pass through,
Wherein the main hygroscopic portion absorbs moisture and is expanded so that the replacement guide identification portion and the sealing cap protrude outwardly convexly.
KR1020180097700A 2018-08-21 2018-08-21 Remote-offline type billiard game divice with two cranes KR10198928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700A KR101989283B1 (en) 2018-08-21 2018-08-21 Remote-offline type billiard game divice with two cra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700A KR101989283B1 (en) 2018-08-21 2018-08-21 Remote-offline type billiard game divice with two cra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283B1 true KR101989283B1 (en) 2019-06-13

Family

ID=6684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700A KR101989283B1 (en) 2018-08-21 2018-08-21 Remote-offline type billiard game divice with two cran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28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5349A1 (en) * 2020-04-08 2021-10-14 Harnell Mark peter Apparatus for playing a game
KR20220028446A (en) 2020-08-28 2022-03-08 (주) 정상라이다 Billiard game device
WO2022131670A1 (en) * 2020-12-14 2022-06-23 성상훈 Non-face-to-face billiard game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881B1 (en) * 2007-02-20 2008-07-14 춘 하 이 Operating device pick-up member in goods drawing amusement machines
KR101800968B1 (en) * 2016-08-12 2017-11-23 이경훈 Remote off-line billiard game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881B1 (en) * 2007-02-20 2008-07-14 춘 하 이 Operating device pick-up member in goods drawing amusement machines
KR101800968B1 (en) * 2016-08-12 2017-11-23 이경훈 Remote off-line billiard game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5349A1 (en) * 2020-04-08 2021-10-14 Harnell Mark peter Apparatus for playing a game
KR20220028446A (en) 2020-08-28 2022-03-08 (주) 정상라이다 Billiard game device
WO2022131670A1 (en) * 2020-12-14 2022-06-23 성상훈 Non-face-to-face billiard game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283B1 (en) Remote-offline type billiard game divice with two cranes
CA2870786C (en) Golf facility
CN103842038B (en) Utilize the virtual physical culture motor system starting sensor
US20120142458A1 (en) Basketball practice machine
US8047925B2 (en) Playground device with motion dependent sound feedback
JP2007517548A (en) Game method using brain waves
ITTO20090723A1 (en) VIRTUAL SHUFFLEBOARD GAME.
KR102483510B1 (en) Board game service robot system by using AI
CN111617462A (en) Intelligent chess system
CN207591266U (en) A kind of smart electronics I-go board
KR101999203B1 (en) Screen baseball system having automatic batting training apparatus and managing system thereof
CN107261493B (en) VR Game Compound Bow System
CN108398952A (en) Robot localization method and robot
KR200240118Y1 (en) Point Display Apparatus For Indoor Golf Exercising Field
US20210223032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easuring physical quantities associated with a golf club
KR20090070857A (en) Golf simulation network system
JPH0747054B2 (en) Golf simulated play equipment
KR102082920B1 (en) Pitching device and screen baseball game system using the same
JP3828920B2 (en) Baseball pitching system
KR101548374B1 (en) System for golf g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194859B1 (en) System for game with disk-shaped disk and application installed on smartphone
WO2021205349A1 (en) Apparatus for playing a game
JPH07227449A (en) Game machine provided with dummy ball
JPS59141965A (en) Golf exerciser
KR20240030550A (en) Device for testing sen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