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132B1 -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132B1
KR101989132B1 KR1020180038165A KR20180038165A KR101989132B1 KR 101989132 B1 KR101989132 B1 KR 101989132B1 KR 1020180038165 A KR1020180038165 A KR 1020180038165A KR 20180038165 A KR20180038165 A KR 20180038165A KR 101989132 B1 KR101989132 B1 KR 101989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eck
fighting
actuator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8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정열
Original Assignee
넥스로지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스로지텍(주) filed Critical 넥스로지텍(주)
Priority to KR1020180038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15/7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responsive to the weight or other physical contact of a person or objec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는 다층시설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방화셔터의 하강 경로 상에 이격 설치되어 방화셔터의 통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H-빔; 상기 H-빔의 상면에 얹혀지게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통로를 폐쇄하고 화재발생시에만 통로를 개방하는 방화데크; 상기 방화데크의 일단과 H-빔에 고정되어 방화데크가 회동되도록 하는 복수의 힌지; 상기 어느 하나의 H-빔의 일 측과 방화데크의 하부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설치되어 방화데크를 개폐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방화셔터의 하강 경로 상에 설치되어 방화셔터를 감지함에 따라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감지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INSTALLATION FOR FIRE DECK OF MULTIPLE LAYER FACILITY}
본 발명은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다층시설물의 각 층을 구획하는 방화데크를 자동으로 개폐하기 위한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류창고 등과 같은 조립식 다층시설물은 일반적으로, 용접 형강이나, PEB 시스템(Pre-Engineered Building System), H-빔 등과 같은 골조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조립식 다층시설물에 설치되는 방화셔터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건축물의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지지 않도록 하는 내화구조물 중의 하나로써, 특정의 공간 내로 외부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억제함과 동시에 화염이나 연기 및 유독가스 등의 위해(危害) 요인을 사전 차단하게 된다.
상기 방화셔터는 화재시 연소와 연기의 확산을 방지하고, 피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정 면적에 방화 및 방연구역을 설치함과 동시에 피난경로가 설정되어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화셔터를 나타낸 정면도로써, 경첩(10)은 방화셔터(S)에 비상탈출 문(D)을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힌지 기능과 차연 기능을 수행하고, 비상탈출 문 브래킷(40)은 방화셔터(S)와 비상탈출 문(D)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어 비상탈출 문(D) 슬래트(D1)의 단부 보강과 차연 기능을 수행하며, 앤드 브래킷(70)은 방화셔터(S)의 슬래트(S1)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슬래트(S1)의 보강과 차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통상의 상태에서는 방화셔터(S)가 함체(H) 내에 권취되어 있다가 화재가 발생됨은 감지부가 감지함에 따라 도 1과 같이 하사점까지 하강하여 방화구역을 구획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방화셔터는 층마다 각각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동일 평면만을 구획하므로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진 다층시설물에는 방화셔터를 각각의 층마다 설치해야 하므로, 방화셔터의 설치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방화셔터가 권취되어 보관하는 함체를 각각의 층마다 설치해야 하므로, 공간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42650호
본 발명의 목적은 물류창고 등과 같은 다층시설물에서 각 층의 구획하는 방화데크를 개폐 가능토록 하여 화재 발생시 1개의 방화셔터로 다층을 동시에 구획할 수 있도록 한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갑작스런 화재의 발생으로 방화데크가 개방되더라도 대피하는 과정에서 개방된 통로로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는 다층시설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방화셔터의 하강 경로 상에 이격 설치되어 방화셔터의 통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H-빔;
상기 H-빔의 상면에 얹혀지게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통로를 폐쇄하고 화재발생시에만 통로를 개방하는 방화데크;
상기 방화데크의 일단과 H-빔에 고정되어 방화데크가 회동되도록 하는 복수의 힌지;
상기 어느 하나의 H-빔의 일 측과 방화데크의 하부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설치되어 방화데크를 개폐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방화셔터의 하강 경로 상에 설치되어 방화셔터를 감지함에 따라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감지수단;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층시설물은 물류창고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어느 일 측의 H-빔에 측면으로 연장되게 브래킷을 고정하고, 상기 브래킷의 상면에는 액추에이터의 하부가 제1 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재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화데크는 사각틀형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패널 및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고정되어 액추에이터의 상부가 제2 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상면이 판상이거나, 복수의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강도보강용 하향 접힘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H-빔과 방화데크 사이에 복수의 액추에이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화데크가 90° 이상으로 개방되도록 액추에이터의 스트로크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화데크의 상면에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각 층에 위치하는 골조의 상면을 폐쇄하는 방화데크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화재의 발생으로 방화셔터가 하강함에 따라 이를 감지하여 방화데크를 자동으로 개방함으로써, 각각의 층마다 방화셔터를 설치하지 않고도 1개의 방화셔터로 복수 층을 동시에 구획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방화셔터의 설치에 따른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방화데크가 상부방향으로 개방됨에 따라 대피하는 과정에서 방화데크를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대피과정에서 개방된 통로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 가능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화셔터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
도 2는 다층시설물의 각 층에 데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3은 도 2의 'A'를 나타내 보인 평면도.
도 4a 및 4b는 도 3의 B-B선 단면도로써, 도 4a는 방화데크가 닫힌 상태도.
도 4b는 방화셔터의 하강으로 방화데크가 개방된 상태도.
도 5는 도 4a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1개의 방화셔터가 각 층을 동시에 구획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방화데크에 사용되는 패널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일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는 예컨대, 물류창고로 해석되는 다층시설물에 설치되어 운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층시설물은 예컨대, 용접 형강이나, PEB 시스템(Pre-Engineered Building System), H-빔 등과 같은 골조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시공한 다음 각 층의 상면을 금속재질의 방화데크(70)로 마감하고 있다.
이러한 다층시설물은 최상층에 설치된 방화셔터(60)의 하강 경로 상에 방화셔터(60)의 통로(53)가 형성되도록 이격되는 한 쌍의 H-빔(51)(5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H-빔(51)(52)의 상면에는 평상시 통로(53)를 폐쇄하고 화재발생시에만 통로(53)를 개방하는 방화데크(70)가 얹혀져 설치되는데, 상기 방화데크(70)의 일단과 H-빔(51)의 사이에는 방화데크(7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힌지(54)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는 방화데크(70)는 사각틀형태의 프레임(71)과, 상기 프레임(71)을 감싸는 패널(72)과, 상기 프레임(71)의 사이에 고정된 지지부재(7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71)에 고정되는 패널(72)은 판상으로 하거나, 복수의 통공(73)이 형성된 타입을 사용하여도 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강도를 보강하도록 강도보강용 하향 접힘부(74)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어느 하나의 H-빔(51)의 일 측에 측면으로 연장되게 브래킷(55)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브래킷(55)의 상면에는 방화데크를 개폐하는 액추에이터(actuator)(80)의 하부가 제1 핀(56)으로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재(5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액추에이터(80)의 상부는 제2 핀(58)에 의해 방화데크(70)의 저면에 고정된 지지부재(73)에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H-빔(51)과 방화데크(70) 사이에는 차폐하고자 하는 면적에 따라 복수의 액추에이터(80)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는데, 예컨대 상기 액추에이터(80)는 전기실린더로 실시 가능하다.
상기 액추에이터(80)의 스트로크(Stroke)는 방화셔터(60)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통과되도록 통로(53)를 개방하는 정도면 되지만, 통로(53)를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게 방화데크(70)를 90° 이상 개방하도록 스트로크를 설정할 수 있다.
최상층에 설치되어 화재가 감지됨에 따라 하강하는 방화셔터(60)의 하강 경로 상에는 방화셔터(60)의 하강을 감지함에 따라 제어부(100)에 의해 액추에이터(80)에 전원을 인가하는 감지수단(9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감지수단(90)은 예컨대, 적외선센서, 포토센서, 근접센서, 터치센서 등이 있으므로 용도에 따라 적절한 센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이해 가능한 것이다.
한편,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화데크(70)의 상면에는 물건을 적재하지 않도록 주의를 환기시키는 노란색 페인트 등을 도색하여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75)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통상의 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80)가 작동되지 않아 방화데크(70)가 도 4a와 같이 H-빔(51)(52) 사이에 형성된 통로(53)를 폐쇄하고, 방화셔터(60)는 최상층의 함체(도시는 생략함) 내에 권취되어 있다.
여기서 개폐되는 방화데크(70)의 상면에는 표시부(75)가 구비되어 있어 방화데크(70)의 상면에 물품을 적재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 및 확인이 필요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건물 내에 불의의 화재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방화셔터(60)로 실내를 구획하여 화재가 확산되지 않도록 하여야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화재감지시스템이 화재를 감지하여 방화셔터(60)를 하강시키면 방화셔터(60)의 하강을 감지수단(90)이 검출하여 제어부(100)에 알리게 되므로 액추에이터(80)가 작동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으로 액추에이터(80)가 작동하여 전기실린더의 로드를 밀어내면 상기 액추에이터(80)는 하부는 브래킷(55)에 제1 핀(57)으로 힌지 결합되고, 상부는 방화데크(70)의 하부에 제2 핀(58)으로 힌지 결합되어 있어 도 4b와 같이 방화데크(70)가 힌지(54)를 중심으로 회동하므로 방화셔터(60)가 통과하는 통로(53)가 개방되는데, 이러한 동작은 방화셔터(60)가 하강함에 따라 하층에서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방화데크(70)가 회동하여 통로(53)를 개방할 때, 본 발명은 방화데크(70)를 90° 이상 개방하도록 스트로크가 설정되어 있어 방화데크(70)가 개방된 상태에서 화기에 의해 액추에이터(80)가 소손되더라도 개방된 방화데크(70)가 닫히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개방된 방화데크(70)를 대피하는 과정에서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개방된 통로(53)로 사람이 추락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예발할 수 있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다.
이상 본 발명을 일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일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일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1, 52 - H-빔 53 - 통로
54 - 힌지 60 - 방화셔터
70 - 방화데크 71 - 프레임
72 - 패널 74 - 하향 접힘부
75 - 표시부 80 - 액추에이터
90 - 감지수단

Claims (8)

  1. 다층시설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방화셔터의 하강 경로 상에 이격 설치되어 방화셔터의 통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H-빔;
    상기 H-빔의 상면에 얹혀지게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통로를 폐쇄하고 화재발생시에만 통로를 개방하는 방화데크;
    상기 방화데크의 일단과 H-빔에 고정되어 방화데크가 회동되도록 하는 복수의 힌지;
    상기 어느 하나의 H-빔의 일 측과 방화데크의 하부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설치되어 방화데크를 개폐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방화셔터의 하강 경로 상에 설치되어 방화셔터를 감지함에 따라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감지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어느 일 측의 H-빔에 측면으로 연장되게 브래킷을 고정하고, 상기 브래킷의 상면에는 액추에이터의 하부가 제1 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재가 구성된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화데크는 사각틀형태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감싸는 패널 및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고정되어 액추에이터의 상부가 제2 핀으로 힌지 결합되는 지지부재로 구성된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패널의 상면이 판상이거나,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강도보강용 하향 접힘부가 형성된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
  6. 다층시설물의 최상층에 설치된 방화셔터의 하강 경로 상에 이격 설치되어 방화셔터의 통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H-빔;
    상기 H-빔의 상면에 얹혀지게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통로를 폐쇄하고 화재발생시에만 통로를 개방하는 방화데크;
    상기 방화데크의 일단과 H-빔에 고정되어 방화데크가 회동되도록 하는 복수의 힌지;
    상기 어느 하나의 H-빔의 일 측과 방화데크의 하부에 양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설치되어 방화데크를 개폐하는 액추에이터; 및
    상기 방화셔터의 하강 경로 상에 설치되어 방화셔터를 감지함에 따라 액추에이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감지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H-빔과 방화데크 사이에 복수의 액추에이터가 설치된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방화데크가 90° 이상으로 개방되도록 액추에이터의 스트로크가 설정된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화데크의 상면에 표시부가 구비된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
KR1020180038165A 2018-04-02 2018-04-02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 KR101989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165A KR101989132B1 (ko) 2018-04-02 2018-04-02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8165A KR101989132B1 (ko) 2018-04-02 2018-04-02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132B1 true KR101989132B1 (ko) 2019-06-14

Family

ID=6684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8165A KR101989132B1 (ko) 2018-04-02 2018-04-02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946B1 (ko) * 2022-03-18 2023-02-08 (주) 한독스토리지씨스템즈 데크 개폐장치 및 데크 개폐장치가 장착된 메자닌
KR102634028B1 (ko) * 2023-02-07 2024-02-06 주식회사포그린 복공판 사이의 공간 연결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9667A (ja) * 1996-02-06 1997-08-12 Shimizu Corp 天井一体型防火シャッター
KR200142650Y1 (ko) 1995-05-31 1999-06-01 강연구 비상문이 설치된 방화셔터 구조
JP3860334B2 (ja) * 1998-04-16 2006-12-20 株式会社岡村製作所 防火シャッター連動式ゲート床自動開放装置
KR101203392B1 (ko) * 2010-03-02 2012-11-21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피난문 연동 방화셔터 구동시스템
KR200476116Y1 (ko) * 2013-05-16 2015-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조물 보호용 방화 롤러 셔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2650Y1 (ko) 1995-05-31 1999-06-01 강연구 비상문이 설치된 방화셔터 구조
JPH09209667A (ja) * 1996-02-06 1997-08-12 Shimizu Corp 天井一体型防火シャッター
JP3860334B2 (ja) * 1998-04-16 2006-12-20 株式会社岡村製作所 防火シャッター連動式ゲート床自動開放装置
KR101203392B1 (ko) * 2010-03-02 2012-11-21 주식회사성산엔지니어링 피난문 연동 방화셔터 구동시스템
KR200476116Y1 (ko) * 2013-05-16 2015-01-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구조물 보호용 방화 롤러 셔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6946B1 (ko) * 2022-03-18 2023-02-08 (주) 한독스토리지씨스템즈 데크 개폐장치 및 데크 개폐장치가 장착된 메자닌
KR102634028B1 (ko) * 2023-02-07 2024-02-06 주식회사포그린 복공판 사이의 공간 연결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5894B1 (en) Self-closing single-sided accordion fire door
EP2849855B1 (en) Smoke or fire barrier
JP4907669B2 (ja) 火災時避難支援システム
KR101989132B1 (ko) 다층시설물의 방화데크 자동개폐장치
US9133663B2 (en) Fire and smoke rated fabric door
KR10202193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0787812B1 (ko) 복층건물의 비상탈출 시스템
KR101545524B1 (ko) 피난 장치
KR101793332B1 (ko) 재난용 비상탈출 장치
KR20170138948A (ko) 화재 대피장치
JP4776390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4308224B2 (ja) 昇降装置のための防災用閉鎖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KR102084984B1 (ko) 추락방지 건축물용 비상구
CN216406607U (zh) 抗爆消防救援门
KR10103586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용 맨홀개폐장치
KR10115378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KR101128480B1 (ko) 해치형 비상 피난장치
KR20110084639A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JP2016014239A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CN113982439A (zh) 抗爆消防救援门
KR20180006341A (ko) 전개형 화재 대피 장치
KR101591231B1 (ko) 대피공간이 형성되는 비상문
KR20090110530A (ko) 새로운 비상구 구조를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JPS6032317Y2 (ja) 常時閉鎖型避難くぐり戸付防火ドア
KR102719044B1 (ko) 인접세대 피난용 비상 피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