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085B1 - 방폭형 송풍기 - Google Patents

방폭형 송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085B1
KR101989085B1 KR1020190016994A KR20190016994A KR101989085B1 KR 101989085 B1 KR101989085 B1 KR 101989085B1 KR 1020190016994 A KR1020190016994 A KR 1020190016994A KR 20190016994 A KR20190016994 A KR 20190016994A KR 101989085 B1 KR101989085 B1 KR 101989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losion
housing
center
proof casing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6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원
Original Assignee
(주)노아 엑츄에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노아 엑츄에이션 filed Critical (주)노아 엑츄에이션
Priority to KR1020190016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0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32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 F04D29/325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axial flow pumps for axial flow fans
    • F04D29/329Details of the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24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hiftable members for obturating part of the flow pa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58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 F04D29/582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5853Cooling; Heating; Diminishing heat transfer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heat insulation or con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펠러(400)를 보호하는 방폭케이싱(200)을 구비하고, 상기 임펠러(400)를 구동하는 구동모터(300)에 의해 임펠러(400)의 회전으로 하우징(1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공기가 유출되도록 하여 송풍기 효율을 향상시키고, 신속하고 편리하게 정비 및 교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 방폭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흡입구(101)와 타측에 배출구(102)가 형성되면서 내부에 유로(110)가 형성되며, 서로 대면하는 양측의 일면 각각에 체결공(103)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체결공(103)을 가로질러 연결되면서 내부에 제1수용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03) 외측으로 노출되는 양측에 각각 개폐가능한 커버부(220)가 형성되는 방폭케이싱(200)과, 상기 방폭케이싱(200)의 제1수용부(210) 중앙에 마련되어 일측면 중앙으로부터 배출부(102)로 돌출되는 회전축(310)과 연결된 구동모터(300) 및, 상기 구동모터(300)에 연결된 회전축(310) 단부에 연결되어 배출구(102) 내측에 배치되는 임펠러(400)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폭형 송풍기{AIR BLOWER FOR EXPLOSION PROOF}
본 발명은 방폭 송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펠러를 보호하는 방폭케이싱을 구비하고,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에 의해 임펠러의 회전으로 하우징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공기가 유출되도록 하여 송풍기 효율을 향상시키고, 신속하고 편리하게 정비 및 교체 작업을 수행하도록 한 방폭 송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선원, 승조원들의 거주를 위한 식료품 저장고(냉동고)가 필요하며, 이러한 식료품 저장고를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서 냉매순환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냉매순환시스템(refrigeration system)이란 냉매가 기화와 액화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을 말하며, 주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구성된다.
냉매순환시스템에서 압축기는 기화된 상태인 냉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만들어 응축기로 전달하며, 응축기는 고온의 열을 방출하면서 냉매는 액화된다. 그리고, 응축기를 통과하여 액화된 상태인 저온·고압의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감압되어 저온·저압의 액화상태로 되고, 다시 증발기로 들어가서 기화되면서 열을 흡수하여 고온·저압의 기화상태로 되며, 이러한 사이클이 계속 반복된다.
냉매순환시스템의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폐열)은 에너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회수할 수도 있으나 고온의 열(폐열)을 회수하는 장치가 고가이므로 종래의 선박에서는 응축기에서 발생하는 폐열을 해수를 이용하여 냉각하고, 폐열을 흡수한 해수는 바다로 배출하여 처리해 왔으나, 냉매순환시스템으로부터 고온의 해수가 배출되는 것은 해양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에너지의 낭비도 초래하게 된다.
한편, 극지를 운항하는 극지용 선박은 외기가 극저온이므로 난방 부하 및 방빙(anti-icing)에 이용되는 전력부하가 상당히 높아, 이러한 전력부하를 절감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에 냉매순환시스템에서의 폐열을 회수하여 난방 부하 및 방빙에 필요한 전력부하의 일정부분을 담당케 한다면 극지용 선박의 에너지 효율을 상당히 높일 수 있으므로, 냉매순환시스템이 이러한 기능을 갖도록 하는 데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냉매순환시스템에 의한 종래의 방한 시스템은, 설계 단계에서 결정되는 방한 성능 수치 및 선급에 따라 탈출구(Ecape way)나 배관 등에 히트 트레이싱 케이블(Heat-tracing cable)을 일률적으로 설치하고 있으며,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히트 트레이싱을 온/오프(On/Off) 하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온/오프 방식의 종래 방한 시스템은 기후 조건이 변화하더라도 방한 시스템에 필요한 전력 조절이 불가하며, 전력 부족 시 중요도가 높은 장비 시스템을 가동하기 위하여, 중요도가 낮은 방한 시스템의 전력을 차단하는 것 이외에 다른 방안이 없어, 극한 환경에 노출되는 작업자의 안정적인 작업 수행을 불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장비의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전력 부족 시 방한 시스템의 전력을 차단하지 않을 경우 블랙아웃(Blackout)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0915호(발명의 명칭 : 방폭 송풍기)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41253호(발명의 명칭 : 댐퍼 부착형 송풍기)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송풍효율이 향상된 방폭형 송풍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폭형 송풍기를 구동하는 구동모터가 하우징의 내의 방폭케이싱 내에 구비되어 구동 중에 발생되는 극저온에 의한 심한 온도차에 의해 구동모터의 운전능력을 향상하도록 방폭 특성을 부가하는 방폭형 송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방폭케이싱 내에 구동모터를 수용함으로서 극저온용 신선외기의 예열기를 통해 열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내부 공기의 순환과 외부공기의 흡입이 동시에 진행되게 하여 내부 양압을 유지시키고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방폭형 송풍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일측에 흡입구와 타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면서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며, 서로 대면하는 양측의 일면 각각에 체결공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체결공을 가로질러 연결되면서 내부에 제1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 외측으로 노출되는 양측에 각각 개폐가능한 커버부가 형성되는 방폭케이싱과,
상기 방폭케이싱의 제1수용부 중앙에 마련되어 일측면 중앙으로부터 배출부로 돌출되는 회전축과 연결된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된 회전축 단부에 연결되어 배출구 내측에 배치되는 임펠러를 포함하는 방폭형 송풍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방폭케이싱의 외주는 외피재와 내피재로 이중 구조로 이격되게 형성되면서 내피재 내측면에 일단 그리고 외피재 외측면에 타단이 연결된 이격된 다수 개의 수직형 열전달봉이 포함되는 방폭형 송풍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흡입구에 위치한 방폭케이싱의 타측면 전체를 커버하면서 고정되어 내부에 제2수용부를 형성하며, 상면 및 하면의 전측에 각각 서로 대응되면서 가로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과 하면이 곡면형상을 가지면서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며, 이때 전방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수평면형태의 흡입판을 형성하며, 상기 흡입판 중앙의 가로방향으로 내부로 절개된 흡입공이 형성되는 포집하우징과,
상기 포집하우징의 제2수용부에 가로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되면서 포집하우징의 양측면 각각에 대응되게 형성된 가이드홀로 일단이 돌출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과 상기 가이드봉 각각의 타단에 중앙 일면이 연결되어 상측 및 하측으로 동일 길이로 수직 연장되는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 각각의 상단 상호 및 하단 상호를 서로 연결하여 포집하우징의 상면 및 하면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서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밀폐판으로 이루어진 개폐조절부가 더 포함되는 방폭형 송풍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폭형 송풍기에 따르면 임펠러를 구동하는 구동모터가 하우징 내부에 마련된 방폭커버 내에 구비함과 아울러 모든 구성요소가 방폭 특성을 갖는 하우징에 커버되어 공기순환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폭형 송풍기에 의해 매개체의 공기순환구조가 단순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극저온 선박에 적용이 용이하여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송풍기를 사용하여 열교환의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송풍기의 사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송풍기의 결합 분리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송풍기의 내부 단면구조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송풍기의 공기집중캡 전방으로 설치된 보조캡의 설치 단면 구조 도면.
도 5는 도 3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송풍기에서 “A"부위의 외피재-열전달봉-내피재로 형성된 표면(P)의 단면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송풍기에서 포집하우징과 개폐조절부가 방폭케이싱에 설치된 사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송풍기에서 포집하우징과 개폐조절부가 방폭케이싱에 설치된 측면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송풍기에서 포집하우징과 개폐조절부가 방폭케이싱에 설치된 결합 분리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폭형 송풍기에서 포집하우징의 정면사시 도면(a)과 배면사시 도면(b) 그리고 개폐조절부의 사시 도면(c).
본 발명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에 흡입구(101)와 타측에 배출구(102)가 형성되면서 내부에 유로(110)가 형성되며, 서로 대면하는 양측의 일면 각각에 체결공(103)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체결공(103)을 가로질러 연결되면서 내부에 제1수용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03) 외측으로 노출되는 양측에 각각 개폐가능한 커버부(220)가 형성되는 방폭케이싱(200)과,
상기 방폭케이싱(200)의 제1수용부(210) 중앙에 마련되어 일측면 중앙으로부터 배출부(102)로 돌출되는 회전축(310)과 연결된 구동모터(300) 및,
상기 구동모터(300)에 연결된 회전축(310) 단부에 연결되어 배출구(102) 내측에 배치되는 임펠러(400)를 포함하는 방폭형 송풍기(1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폭형 송풍기(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의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중앙에 마련된 방폭케이싱(200)과 상기 방폭케이싱(200) 내부에 마련된 구동모터(300) 및 상기 구동모터(300)에 연결되어 하우징(100)의 배출구(102)에 배치된 임펠러(400)로 구성되는 일체의 조립구조를 가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은 내부에 빈 공간의 유로(110)가 형성되면서 상기 유로(110)에 연통되도록 일측면에 개방된 흡입구(101)와 타측면에 개방된 배출구(102)가 형성되는 원통형의 형태로서, 상기 흡입구(101)를 통해 고온의 공기가 유입되어 유로(110)를 통해 배출구(102)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폭케이싱(200)은 유로(110)가 가로방향이라면 하우징(100) 내부의 양측면을 가로질러 세로방향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며, 이때 상기 하우징(100)의 외주면 중앙 양측 즉, 서로 대면하는 양측 일면 각각에 체결공(103)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공(103)에 양단이 각각 안착 밀착되어 체결 고정하게 되며, 상기 체결공(103)에 노출되는 양단 각각에 커버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부(220)가 방폭케이싱(200)의 단부로부터 개폐가 용이한 구조로 결합된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폭케이싱(200)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빈 공간의 제1수용부(210)를 형성하며, 상기 방폭케이싱(200)의 외주형태는 상부와 하부는 수평면의 판재형태를 가지면서 전방과 후방은 다면(多面)형태로서 중앙이 수직면이면서 상기 수직면 상측과 하측은 서로 상하대칭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져 상부 및 하부 각각의 수평면을 연결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방폭케이싱(200)의 전방과 후방이 다면형태를 가짐으로서 흡입구(101)를 통해 유입되는 고온의 공기가 상기 다면(多面)인 수직면과 경사면에 마찰을 증대시켜 방폭케이싱(200) 표면으로 열원이 전달되어 방폭케이싱(200) 내부가 일정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300)는 방폭케이싱(200)의 제1수용부(210) 중앙에 배치되며, 상기 구동모터(300)에 연결된 회전축(310)이 방폭케이싱(200)의 일측면 중앙으로 통해 배출구(102)로 수평 돌출되거나 임펠러(400)를 지지하는 헤더부(401)의 후방 중앙에서 소정의 길이로 수평 연장되는 체결축(403)이 방폭케이싱(200)의 일측면 중앙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방폭케이싱(200) 내주에 수용된 구동모터(300)의 회전축(310)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2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400)는 방폭케이싱(200)의 전방으로부터 배출구(102)로 돌출 연장된 회전축(310) 단부에 연결되어 구동모터(300)의 가동으로 회전축(410)이 회전되면서 동시에 임펠러(400)가 회전되어 흡입구(101)로부터 공기를 강제 유입되어 배출구(102)로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400)의 후방 중앙에 회전축(310) 단부가 결합된다면 상기 임펠러(400) 전방 중앙에 결합되어 전방 중앙으로 갈수록 원주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구형의 공기집중캡(410)이 결합되며, 상기 공기집중캡(410)은 임펠러(400)의 회전으로 공기가 배출구(102)로 확산 배출되는 것을 직진방향으로 공기를 집중 가속화하도록 직진의 공기방향을 유도하면서 공기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공기집중캡(410)의 전방 중앙 내부로 일단이 연결되어 소정의 수평 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축(420)과 상기 공기집중캡(410)의 전측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열되어 가이드축(420)에 후방 및 전방 중앙을 관통하여 결속 고정되며, 상기 공기집중캡(410)과 동일형태를 가지면서 전측으로 갈수록 외형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이격 배열되는 보조캡(430)이 더 포함되되, 상기 보조캡(430)의 다수 개중 최종 전방에 배치된 보조캡(430)의 후방 중앙을 통해 내부로 가이드축(420) 타단이 결속 고정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공기집중캡(410) 후측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보조캡(430)이 가이드축(420)에 등간격으로 결속 고정되며, 이때 다수 개의 보조캡(430)이 점진적으로 외형이 작아지는 형태로 배열됨으로서 임펠러(400)의 회전으로 공기집중캡(410)과 동시에 보조캡(430)이 회전됨으로서 임펠러(400)의 전방 중앙에 정체되는 공기의 흐름을 가속화하여 더욱 빠른 속도의 공기를 배출하게 된다.
또한, 도 3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400)가 위치한 중앙의 헤더부(401) 내부에 전면 및 후면이 각각 원형면을 가진 원통형의 빈 공간으로 형성된 중력부(402)를 형성하며, 상기 빈 공간의 중력부(402)를 형성함으로서 임펠러(400)가 회전하면서 무게중심이 임펠러(400)에 집중됨과 동시에 빈 공간의 중력부(402)가 회전중심부를 형성하여 회전력에 따른 구심력이 중력부(402)로 분산되면서 공기저항이 감소되면서 임펠러(400)의 회전을 가속화하게 된다.
또한, 도 3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방폭케이싱(200)의 외주는 외피재(210a)와 내피재(210b)로 이중 구조로 이격되게 형성되면서 내피재(210b) 내측면에 일단 그리고 외피재(210a) 외측면에 타단이 연결된 이격된 다수 개의 수직형 열전달봉(220)이 포함되는 방폭형 송풍기(10)를 제공한다.
상기 방폭케이싱(200)의 표면구조(P)가 외피재(210a)와 내피재(210b)로 이격된 이중구조를 가지며, 이때 내피재(210b)와 외피재(210a)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다수 개의 수직형 열전달봉(220)이 배치되며, 상기 열전단봉(220)의 일단이 외피재(210a)의 외주 일면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내피재(210b) 내주 일면에 연결되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 방폭케이싱(200)의 표면이 외피재(210a)와 내피재(210b)의 이중구조를 가지면서 내부에 열전달봉(220)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서 방폭케이싱(200)의 제1수용부(210)에 충진된 공기의 열원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는 보온구조를 가지면서 외부의 가열원이 외피재(210a)의 표면을 가열하면서 열전달봉(220)을 통해 열원이 내피재(210b)로 전달되어 제1수용부(210) 내부의 공기를 가열하여 제1수용부(210) 내부를 일정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0)의 흡입구(101)에 위치한 방폭케이싱(200)의 타측면 전체를 커버하면서 고정되어 내부에 제2수용부(510)를 형성하며, 상면 및 하면의 전측에 각각 서로 대응되면서 가로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개의 배출공(501)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과 하면이 곡면형상을 가지면서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며, 이때 전방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수평면형태의 흡입판(520)을 형성하며, 상기 흡입판(520) 중앙의 가로방향으로 내부로 절개된 흡입공(502)이 형성되는 포집하우징(500)과,
상기 포집하우징(500)의 제2수용부(510)에 가로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되면서 포집하우징(500)의 양측면 각각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1가이드홀(503)로 일단이 돌출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610)과 상기 가이드봉(610) 각각의 타단에 중앙 일면이 연결되어 상측 및 하측으로 동일 길이로 수직 연장되는 지지봉(620)과 상기 지지봉(620) 각각의 상단 상호 및 하단 상호를 서로 연결하여 포집하우징(500)의 상면 및 하면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서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밀폐판(630)으로 이루어진 개폐조절부(600)가 더 포함되는 방폭형 송풍기(10)를 제공한다.
도 8, 도 9의 (a)와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포집하우징(500)은 방폭케이싱(200)의 타측면 즉, 상기 임펠러(400)가 위치한 방폭케이싱(200)의 일측면에 대면하는 타측면 전체면을 커버하게 되며, 이때 상면 및 하면의 단부가 방폭케이싱(200)의 타측면 상부와 하부에 결합 고정하게 되며, 상기 방폭케이싱(200)의 일측면에 마주하는 후방은 개방되면서 내부에 제2수용부(510)가 형성되며, 양측면이 수직판재형이면서 다수 개의 이격된 배출공(501)이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상면 및 하면이 서로 상하 대칭의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전방으로 갈수록 그 내경이 점진적으로 가지되, 전방 중앙에 수평면 형태의 흡입판(520)을 형성하고, 상기 흡입판(520)의 가로길이방향으로 제2수용부(510)로 연통된 흡입공(502)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8과 도 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개폐조절부(600)는 포집하우징(500)의 제2수용부(510)에 수용되어 가로방향으로 포집하우징(500)의 양측면을 가로질러 연결되면서 가이드봉(610)과 지지봉(620) 및 밀폐판(630)으로 구성되는 일체의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봉(610)은 이격된 한 쌍이 형성된 가로길이를 가진 환봉형으로서 포집하우징(500)의 양측면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된 제1가이드홀(503)로 각각의 가이드봉(610) 일단이 삽입되어 포집하우징(500)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때 돌출된 가이드봉(610)의 일단이 상기 포집하우징(500)의 제1가이드홀(503)에 대응되는 하우징(100)의 위치에 제2가이드홀(104)이 형성되어 하우징(100)의 제2가이드홀(104)로 가이드봉(610) 일단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620)은 가이드봉(610)의 타단에 연결되어 수직방향인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지지봉(620) 중앙 일면에 가이드봉(610) 타단이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밀폐판(630)은 지지봉(620) 각각의 상단 상호 및 하단 상호를 서로 연결하여 포집하우징(500)의 상면 및 하면의 내측면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서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에, 상기 개폐조절부(600)의 가이드봉(610)을 제1, 2가이드홀(503)(104)을 따라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가이드봉(610)을 포집하우징(500)의 흡입판(520)이 있는 위치로 당기면 밀폐판(630)이 포집하우징(500)의 배출공(501)을 밀폐하게 되어 하우징(100)의 흡입구(101)로부터 유입되는 낮은 온도를 가진 가열공기가 포집하우징(500)의 흡입공(502)을 통해 제2수용부(510)에 포집되면서 정체되어 방폭케이싱(200)의 표면을 가열시켜 방폭케이싱(200) 내부의 구동모터(300)에 정상가동을 위한 최적분위기인 보온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반대로 상기 가이드봉(610)을 반대방향으로 작동하여 밀폐판(630)이 배출공(502)을 개방하면서 포집하우징(500)의 제2수용부(510)로 유입된 높은 온도를 가진 가열공기가 배출공(502)을 통해 배출되어 방폭케이싱(200)의 표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방폭케이싱(200) 내부에 수용된 구동모터(300)의 수명을 연장하면서 극저온의 외부분위기에서도 방폭케이싱(200) 내부의 온도가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여 구동모터(300)의 가동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가열공기를 포집하는 포집하우징(500)과 가열공기의 온도에 따른 개폐조절부(600)의 제어를 통해 방폭케이싱(200)의 일정 온도의 유지 및 보온성을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방폭형 송풍기 10 하우징 100 흡입구 101
배출구 102 체결공 103 제2가이드홀 104
방폭케이싱 200 제1수용부 210 커버부 220
외피재 210a 내피재 210b 열전달봉 220
구동모터 300 회전축 310 임펠러 400
헤더부 401 중력부 402 체결축 403
공기집중캡 410 가이드축 420 보조캡 430
포집하우징 500 배출공 501 흡입공 502
제2수용부 510 흡입판 520 개폐조절부 600
가이드봉 610 지지봉 620 밀폐판 630

Claims (7)

  1. 일측에 흡입구(101)와 타측에 배출구(102)가 형성되면서 내부에 유로(110)가 형성되며, 서로 대면하는 양측의 일면 각각에 체결공(103)이 형성된 원통형의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체결공(103)을 가로질러 연결되면서 내부에 제1수용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103) 외측으로 노출되는 양측에 각각 개폐가능한 커버부(220)가 형성되는 방폭케이싱(200)과,
    상기 방폭케이싱(200)의 제1수용부(210) 중앙에 마련되어 일측면 중앙으로부터 배출부(102)로 돌출되는 회전축(310)과 연결된 구동모터(300) 및,
    상기 구동모터(300)에 연결된 회전축(310) 단부에 연결되어 배출구(102) 내측에 배치되는 임펠러(400)를 포함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송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케이싱(200)의 외주형태는 상부와 하부는 수평면의 판재형태를 가지면서 전방과 후방은 다면(多面)형태로서 중앙이 수직면이면서 상기 수직면 상측과 하측은 서로 상하대칭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져 상부 및 하부 각각의 수평면을 연결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송풍기.
  3. 제1항에 있어서,
    임펠러(400) 전방 중앙에 결합되어 전방 중앙으로 갈수록 원주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구형의 공기집중캡(41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송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집중캡(410)의 전방 중앙 내부로 일단이 연결되어 소정의 수평 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축(420)과 상기 공기집중캡(410)의 전측으로 등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열되어 가이드축(420)에 후방 및 전방 중앙을 관통하여 결속 고정되며, 상기 공기집중캡(410)과 동일형태를 가지면서 전측으로 갈수록 외형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이격 배열되는 보조캡(430)이 더 포함되되, 상기 보조캡(430)의 다수 개중 최종 전방에 배치된 보조캡(430)의 후방 중앙을 통해 내부로 가이드축(420) 타단이 결속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송풍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400)가 위치한 중앙의 헤더부(401) 내부에 전면 및 후면이 각각 원형면을 가진 원통형의 빈 공간으로 형성된 중력부(402)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송풍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폭케이싱(200)의 외주는 외피재(210a)와 내피재(210b)로 이중 구조로 이격되게 형성되면서 내피재(210b) 내측면에 일단 그리고 외피재(210a) 외측면에 타단이 연결된 이격된 다수 개의 수직형 열전달봉(220)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송풍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흡입구(101)에 위치한 방폭케이싱(200)의 타측면 전체를 커버하면서 고정되어 내부에 제2수용부(510)를 형성하며, 상면 및 하면의 전측에 각각 서로 대응되면서 가로방향으로 이격되게 다수 개의 배출공(501)이 형성되며, 상기 상면과 하면이 곡면형상을 가지면서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며, 이때 전방 중앙에 가로방향으로 수평면형태의 흡입판(520)을 형성하며, 상기 흡입판(520) 중앙의 가로방향으로 내부로 절개된 흡입공(502)이 형성되는 포집하우징(500)과,
    상기 포집하우징(500)의 제2수용부(510)에 가로방향으로 가로질러 연결되면서 포집하우징(500)의 양측면 각각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1가이드홀(503)로 일단이 돌출되는 한 쌍의 가이드봉(610)과 상기 가이드봉(610) 각각의 타단에 중앙 일면이 연결되어 상측 및 하측으로 동일 길이로 수직 연장되는 지지봉(620)과 상기 지지봉(620) 각각의 상단 상호 및 하단 상호를 서로 연결하여 포집하우징(500)의 상면 및 하면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지면서 서로 상하 대칭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밀폐판(630)으로 이루어진 개폐조절부(60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폭형 송풍기.
KR1020190016994A 2019-02-14 2019-02-14 방폭형 송풍기 KR101989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994A KR101989085B1 (ko) 2019-02-14 2019-02-14 방폭형 송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6994A KR101989085B1 (ko) 2019-02-14 2019-02-14 방폭형 송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085B1 true KR101989085B1 (ko) 2019-06-13

Family

ID=66847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6994A KR101989085B1 (ko) 2019-02-14 2019-02-14 방폭형 송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5723A (zh) * 2020-01-17 2020-06-09 广州特种机电设备检测研究院 一种防爆风机防爆性能的试验系统和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250984U (zh) * 2011-10-27 2012-05-30 中煤科工集团重庆研究院 紧急避险系统空气净化用隔爆型直流电动风扇
CN203570621U (zh) * 2013-12-06 2014-04-30 大庆宏富来电气设备制造有限公司 防爆轴流风机
KR101690915B1 (ko) 2016-09-19 2016-12-28 김종현 방폭 송풍기
CN206785739U (zh) * 2017-06-07 2017-12-22 江苏恒康机电有限公司 小开门防爆轴流风机
KR101841253B1 (ko) 2015-06-02 2018-03-22 탑에어주식회사 댐퍼 부착형 송풍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250984U (zh) * 2011-10-27 2012-05-30 中煤科工集团重庆研究院 紧急避险系统空气净化用隔爆型直流电动风扇
CN203570621U (zh) * 2013-12-06 2014-04-30 大庆宏富来电气设备制造有限公司 防爆轴流风机
KR101841253B1 (ko) 2015-06-02 2018-03-22 탑에어주식회사 댐퍼 부착형 송풍기
KR101690915B1 (ko) 2016-09-19 2016-12-28 김종현 방폭 송풍기
CN206785739U (zh) * 2017-06-07 2017-12-22 江苏恒康机电有限公司 小开门防爆轴流风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55723A (zh) * 2020-01-17 2020-06-09 广州特种机电设备检测研究院 一种防爆风机防爆性能的试验系统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4396B1 (ko) 수송 콘테이너용 냉동장치
KR101989085B1 (ko) 방폭형 송풍기
JP2018054201A (ja) ダクトファン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冷却ユニット
JP2018054201A6 (ja) ダクトファン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冷却ユニット
KR20000005980A (ko) 냉각유체를냉동구획내에보유하기위한방법및장치
KR200410837Y1 (ko) 히팅수단을 갖는 선박용 엔진룸 통기장치
US3197969A (en) Heating and cooling of air for ventilating, warming and refrigerating purposes
AU2003266788A1 (en) Cooling system with refrigerant for air conditioning and lowering temperature of engine
JP2003279215A (ja) 空気冷却システム及びガスタービン発電システム
CN101479542A (zh) 冷冻集装箱
US3765354A (en) Life support system with a hull heat exchanger
KR101695890B1 (ko) 극지용 선박의 공조 시스템
CN211400446U (zh) 一种金枪鱼高蛋白的快速冻结装置
CN113431682B (zh) 一种船用燃气轮机进气温度调节系统及其调节方法
CN217005059U (zh) 一种速冻设备
CN210220331U (zh) 具有半导体制冷装置的船用冷藏舱
EP1966550B1 (en) A cooling device
JPH11148759A (ja) 2つの蒸発器を備えた冷蔵庫
CN209214192U (zh) 冰箱及其翅片蒸发器组件
US2265634A (en) Refrigerating plant
CN114322414A (zh) 一种速冻设备
JPH0327273Y2 (ko)
CN115593599B (zh) 一种电力驱动船
CN106257183A (zh) 具有冷却空气循环结构的冰箱及所述结构的控制方法
CN104654497A (zh) 一种用于封闭空间内的热湿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