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082B1 - 싱크홀 탐지 장치 - Google Patents

싱크홀 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082B1
KR101989082B1 KR1020170134766A KR20170134766A KR101989082B1 KR 101989082 B1 KR101989082 B1 KR 101989082B1 KR 1020170134766 A KR1020170134766 A KR 1020170134766A KR 20170134766 A KR20170134766 A KR 20170134766A KR 101989082 B1 KR101989082 B1 KR 101989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dy portion
vehicle
link
sink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3006A (ko
Inventor
박영일
김성부
Original Assignee
유에이치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에이치에스(주) filed Critical 유에이치에스(주)
Priority to KR1020170134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0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43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34Generating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9/348Generating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frequency characteristics, e.g. single frequency signals, chirp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6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e.g. acoustic microscopy
    • G01N29/0654Imaging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홀 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도로에서 차량에 연결되어 싱크홀을 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속도를 고속으로 유지하며 탐지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홀 탐지 장치는, 제 1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평행하며, 상기 제 1 바디부로부터 이격 마련되는 제 2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표면을 향해 전자파를 송출하는 송신부, 상기 제 2 바디부에 마련되어, 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전자파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 1 바디부 및 제 2 바디부 중 어느 한곳에 위치하여, 현위치 정보 및 이동거리 정보를 파악하는 위치탐지부, 상기 제 1 바디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차량에 장착 및 탈착 가능한 형태로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되는 차량연결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획득되는 신호 및 상기 위치탐지부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제 1 바디부 및 제 2 바디부 사이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바디부 및 제 2 바디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되는 간격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홀 탐지 장치는, 이동속도에 맞춰 송신부 및 수신부의 간격을 제어하여 빠른 이동속도에도 탐지 성능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싱크홀 탐지 장치는, 주파수 대역이 다르게 구성된 송신부 및 수신부를 복수개 마련하여 싱크홀 및 공동(cavity) 탐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싱크홀 탐지 장치{Sinkhole detector}
본 발명은 싱크홀 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장도로에서 차량에 연결되어 싱크홀을 탐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속도를 고속으로 유지하며 탐지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 적용되는 싱크홀 탐지장치는 탐지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저속에서만 운행이 실시되어 도로의 싱크홀 또는 공동(cavity) 검사 시, 시간의 소모가 큰 단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이동속도를 향상시키며 정확히 싱크홀(sinkhole) 또는 공동(cavity)를 탐지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도로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7547호에 개시되고 있으나, 이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7547호 (2017.05.12)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이동속도에 맞춰 송신부 및 수신부의 간격을 제어하여 수신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파수 대역이 다르게 구성된 송신부 및 수신부를 복수개 마련하여 공동(cavity) 탐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홀 탐지 장치는, 제 1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평행하며, 상기 제 1 바디부로부터 이격 마련되는 제 2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에 마련되어, 상기 지표면을 향해 전자파를 송출하는 송신부, 상기 제 2 바디부에 마련되어, 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전자파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 1 바디부 및 제 2 바디부 중 어느 한곳에 위치하여, 현위치 정보 및 이동거리 정보를 파악하는 위치탐지부, 상기 제 1 바디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차량에 장착 및 탈착 가능한 형태로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되는 차량연결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획득되는 신호 및 상기 위치탐지부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제 1 바디부 및 제 2 바디부 사이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바디부 및 제 2 바디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되는 간격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홀 탐지 장치는, 이동속도에 맞춰 송신부 및 수신부의 간격을 제어하여 빠른 이동속도에도 탐지 성능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싱크홀 탐지 장치는, 주파수 대역이 다르게 구성된 송신부 및 수신부를 복수개 마련하여 싱크홀 및 공동(cavity) 탐지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홀 탐지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홀 탐지 장치의 속도변화에 따른 간격제어부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싱크홀 탐지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송신부 및 수신부가 형성된 개략적인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홀 탐지 장치의 제 1 모듈 내지 제 3 모듈의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이 지반을 탐사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싱크홀 탐지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해 양측으로 확장된 송신부 및 수신부가 형성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싱크홀 탐지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바디부(1), 상기 제 1 바디부(1)와 평행하며, 상기 제 1 바디부(1)로부터 이격 마련되는 제 2 바디부(2), 상기 제 1 바디부(1)에 마련되어, 상기 지표면을 향해 전자파를 송출하는 송신부(3), 상기 제 2 바디부(2)에 마련되어, 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전자파를 수신하는 수신부(4), 상기 제 1 바디부(1) 및 제 2 바디부(2) 중 어느 한곳에 위치하여, 현위치 정보 및 이동거리 정보를 파악하는 위치탐지부(5), 상기 제 1 바디부(1)의 단부에 형성되어, 차량에 장착 및 탈착 가능한 형태로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되는 차량연결부(6), 상기 수신부(4)를 통해 획득되는 신호 및 상기 위치탐지부(5)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영상처리부(미도시), 상기 제 1 바디부(1) 및 제 2 바디부(2) 사이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바디부(1) 및 제 2 바디부(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되는 간격제어부(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 1 바디부(1)는, 하기의 송신부(3)가 안착될 수 있는 형태로 지면과 평행한 판상으로 마련된다.
상기 제 1 바디부(1)의 너비는, 포장도로의 1차선 너비와 근접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포장도로의 1회 이동을 통해 상기 포장도로의 너비만큼 탐지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상기 포장도로를 반복 탐지되는 낭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제 1 바디부(1)의 너비에 대응될 수 있게 하기의 송신부(3)를 복수개 마련하여 1회 이동에 의한 탐지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바디부(1)는, 복수개의 바퀴가 마련되어, 하기의 차량연결부(6)에 의해 차량과 연결하여 상기 포장도로를 이동 시, 이동에 제한이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바디부(2)는, 상기 제 1 바디부(1)와 평행하며, 상기 제 1 바디부(1)로부터 이격되어 마련된다.
상기 제 2 바디부(2)는, 상기 제 1 바디부(1)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어 하기의 수신부(4)가 마련될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바디부(1)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어 마련된다.
상기 제 1 바디부(1) 및 제 2 바디부(2) 사이에는 하기의 간격제어부(7)가 마련되고, 상기 차량의 이동속도에 따라 상기 제 1 바디부(1) 및 제 2 바디부(2)의 간격이 조절된다.
이는, 하기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한다.
또한, 상기 제 2 바디부(2) 역시 복수개의 바퀴가 마련되어, 연결된 차량이 상기 포장도로를 이동 시, 이동에 제한이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송신부(3)는, 상기 제 1 바디부(1)에 마련되어, 상기 지표면을 향해 전자파를 송출한다.
상기 송신부(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바디부(1)의 너비방향을 따라 복수개 이격 마련될 수 있다.
하기의 수신부(4)는, 상기 송신부(3)와 쌍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송신부(3)는, 주파수 대역을 달리하여 복수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송신부(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송신모듈(31), 제 2 송신모듈(32), 제 3 송신모듈(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 송신모듈(31)은, 저주파대역의 주파수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송신모듈(31)은, 300~449MHz의 주파수를 송신한다.
상기 저주파대역의 전자파는, 지면을 향해 넓고 깊게 투과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송신모듈(32)은, 상기 제 1 송신모듈(31)과 하기의 제 3 송신모듈(33)의 사이의 주파수 대역으로 전자파를 송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송신모듈(32)은, 450~550MHz의 주파수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송신모듈(33)은, 고주파 대역의 전자파를 송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3 송신모듈(33)은, 551~700MHz의 주파수를 송신한다.
상기 제 1 송신모듈(31) 내지 제 3 송신모듈(33)이 동시에 마련되어 전자파를 송신하고, 이를 하기의 제 1 수신모듈(41) 내지 제 3 수신모듈(43)을 통해 수신받아 영상으로 출력함으로 인해, 지반(A)의 공동(CAVITY)를 중첩확인 가능하여, 탐지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탐지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송신부(3)는, 지표투과레이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송신부(3)는, 지표를 투과하여 반사될 수 있는 형태의 전자파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송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신부(3)는, 초음파가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신부(4)는, 상기 제 2 바디부(2)에 마련되어, 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전자파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신부(4)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수신모듈(41), 제 2 수신모듈(42), 제 3 수신모듈(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 1 수신모듈(41)은, 상기 제 1 송신모듈(31)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수신모듈(42)은, 상기 제 2 송신모듈(32)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3 수신모듈(43)은, 상기 제 3 송신모듈(33)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수신부(4)는, 상기 송신부(3)의 송출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탐지부(5)는, 상기 제 1 바디부(1) 및 제 2 바디부(2) 중 어느 한곳에 위치하여, 현위치 정보 및 이동거리 정보를 파악한다.
상기 위치탐지부(5)는, GPS를 포함하여 위치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위치탐지부(5)는, 영상촬영부(미도시)가 더 마련된다.
상기 영상촬영부(미도시)는, 상기 제 1 바디부(1) 및 제 2 바디부(2) 중 어느 한곳에 마련된다.
상기 영상촬영부(미도시)는, 실시간 이동경로를 촬영하여 상기 GPS정보와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밀한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차량연결부(6)는, 상기 제 1 바디부(1)의 단부에 형성되어, 차량에 장착 및 탈착 가능한 형태로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차량연결부(6)는, 상기 제 1 바디부(1)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차량의 후방에 연결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로도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영상처리부(미도시)는, 상기 수신부(4)를 통해 획득되는 신호 및 상기 위치탐지부(5)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영상처리부(미도시)는, 상기 위치탐지부(5)에서 생성되는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동경로를 맵(map)형태로 나타내고, 상기 수신부(4)를 통해 획득되는 신호를 상기 맵(map)에 투영하여 실시간으로 공동(cavity)을 탐지할 수 있게 영상처리 한다.
이때, 상기 영상처리부(미도시)는, 상기 제 1 수신모듈(41) 내지 제 3 수신모듈(43)을 통해 수신되는 수신정보를 중첩 나타내어, 동일 또는 유사한 지점에 공동(cavity)정보가 인식될 시, 신호형태로 알림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간격제어부(7)는, 상기 제 1 바디부(1) 및 제 2 바디부(2) 사이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바디부(1) 및 제 2 바디부(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간격제어부(7)는, 차량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송신부(3)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상기 수신부(4)가 효과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간격제어부(7)는, 제 1 링크부(71), 제 2 링크부(72), 속도인식부(미도시), 이격조절부(7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 1 링크부(71)는, 상기 제 1 바디부(1)의 후방으로 연장 마련되는 바형태로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 링크부(72)는, 상기 제 2 바디부(2)의 전방으로 연장 마련되고, 단부가 상기 제 1 링크부(71)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제 1 링크부(71)를 유입 및 배출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 1 링크부(71) 및 제 2 링크부(72)는, 상기 제 1 링크부(71)를 상기 제 2 링크부(72)가 유압에 의해 수용했다 배출하는 형태로 줄이거나 늘일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제 1 링크부(71) 및 제 2 링크부(72)는, 하기의 이격조절부(74)의 판단에 의해 간격이 조절된다.
다음으로, 상기 속도인식부(미도시)는, 차량의 이동속도를 인식할 수 있게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격조절부(74)는, 상기 속도인식부(미도시)로부터 인식된 속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 1 링크부(71) 및 제 2 링크부(7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이격조절부(74)는, 상기 차량의 속도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 송신부(3) 및 수신부(4)의 간격이 멀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링크부(71) 및 제 2 링크부(72)의 간격을 제어한다.
반대로 상기 차량의 속도가 줄어듬에 따라 상기 송신부(3) 및 수신부(4)의 간격이 좁아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링크부(71) 및 제 2 링크부(72)의 간격을 제어한다.
상기 이격조절부(74)의 제어를 예로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속(V1)에서는, 상기 제 1 링크부(71) 및 제 2 링크부(72)의 간격(S1)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바디부(1) 및 제 2 바디부(2)의 간격을 좁게 유지한다.
고속(V3)에서는, 상기 제 1 링크부(71) 및 제 2 링크부(72)의 간격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바디부(1) 및 제 2 바디부(2)의 간격(S3)을 넓게 유지한다.
중속(V2)에서는, 상기 제 1 링크부(71) 및 제 2 링크부(72)의 간격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바디부(1) 및 제 2 바디부(2)의 간격(S2)을 상기 S1 및 S2 사이정도의 간격으로 유지한다.
이를 통해, 상기 차량의 속도가 증가 또는 감소하여도 상기 수신부(4)가 상기 송신부(3)를 통해 송출되는 상기 신호를 놓치지 않고 자연스럽게 수신할 수 있는 최적의 간격을 유지한다.
상기 간격제어부(7)를 통해 제어되는 간격은 환경조건에 의해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바디부(1) 및 제 2 바디부(2)의 양측에는, 사이드간격제어부(8)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간격제어부(8)에 연장되어 상기 송신부(3) 및 수신부(4)가 마련됨으로 인해, 보다 넓은 도로에서의 공동(CAVITY) 검출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간격제어부(8)는, 선택적으로 양측방향으로 연장이 가능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된 상기 사이드간격제어부(8)에 연결되는 송신부(3) 및 수신부(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지반
1 : 제 1 바디부
2 : 제 2 바디부
3 : 송신부
31 : 제 1 송신모듈
32 : 제 2 송신모듈
33 : 제 3 송신모듈
4 : 수신부
41 : 제 1 수신모듈
42 : 제 2 수신모듈
43 : 제 3 수신모듈
5 : 위치탐지부
6 : 차량연결부
7 : 간격제어부
71 : 제 1 링크부
72 : 제 2 링크부
74 : 이격조절부
8 : 사이드간격제어부

Claims (4)

  1. 제 1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와 평행하며, 상기 제 1 바디부로부터 이격 마련되는 제 2 바디부;
    상기 제 1 바디부에 마련되어, 지표면을 향해 전자파를 송출하는 송신부;
    상기 제 2 바디부에 마련되어, 지면으로부터 반사되는 상기 전자파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 1 바디부 및 제 2 바디부 중 어느 한곳에 위치하여, 현위치 정보 및 이동거리 정보를 파악하는 위치탐지부;
    상기 제 1 바디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차량에 장착 및 탈착 가능한 형태로 연결할 수 있게 마련되는 차량연결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획득되는 신호 및 상기 위치탐지부를 통해 획득되는 위치정보를 표시하는 영상처리부;
    상기 제 1 바디부 및 제 2 바디부 사이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바디부 및 제 2 바디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되는 간격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간격제어부는,
    상기 제 1 바디부의 후방으로 연장 마련되는 바형태의 제 1 링크부;
    상기 제 2 바디부의 전방으로 연장 마련되고, 단부가 상기 제 1 링크부를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되어 유압에 의해 상기 제 1 링크부를 유입 및 배출할 수 있는 제 2 링크부;
    차량의 이동속도를 인식하는 속도인식부;
    상기 속도인식부로부터 인식된 속도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제 1 링크부 및 제 2 링크부의 간격을 조절하되, 차량의 속도가 높아지면 제 1 링크부 및 제 2 링크부의 간격이 멀어지는 방향으로 조절하고, 차량의 속도가 낮아지면 제 1 링크부 및 제 2 링크부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조절하는 이격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탐지부는,
    GPS를 이용하여 현위치를 인식하고, 이에 더하여 주변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영상촬영부;가 더 마련되어, 정밀한 위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홀 탐지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300~449MHz의 주파수를 송신하는 제 1 송신모듈;
    450~550MHz의 주파수를 송신하는 제 2 송신모듈;
    551~700MHz의 주파수를 송신하는 제 3 송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1 송신모듈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수신모듈;
    상기 제 2 송신모듈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수신모듈;
    상기 제 3 송신모듈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 3 수신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홀 탐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디부 및 제 2 바디부의 양측에는, 사이드간격제어부;가 더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양측방향으로 연장이 가능하고,
    상기 송신부 및 수신부의 양측부 추가를 통해 양측방향으로 탐지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홀 탐지 장치.
KR1020170134766A 2017-10-17 2017-10-17 싱크홀 탐지 장치 KR101989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766A KR101989082B1 (ko) 2017-10-17 2017-10-17 싱크홀 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766A KR101989082B1 (ko) 2017-10-17 2017-10-17 싱크홀 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006A KR20190043006A (ko) 2019-04-25
KR101989082B1 true KR101989082B1 (ko) 2019-09-30

Family

ID=66283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766A KR101989082B1 (ko) 2017-10-17 2017-10-17 싱크홀 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08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605B1 (ko) 2020-11-23 2021-04-06 성원규 카트형 탄성파 싱크홀 탐사장치
KR20230011740A (ko) 2021-07-14 2023-01-25 노이즈프리미어랩 주식회사 싱크홀 측정 센서
KR20230011720A (ko) 2021-07-14 2023-01-25 노이즈프리미어랩 주식회사 싱크홀 측정 및 예측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5239A (ja) * 2000-04-24 2001-10-31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車両搭載機器による探査方法、車両搭載型探査装置並びにその磁場発生装置、磁場検出装置及び送受信部の支持構造
JP2003166232A (ja) * 2001-09-20 2003-06-13 Taisei Corp 締め固め管理装置
KR101241313B1 (ko) * 2011-12-12 2013-03-11 이성 주식회사 지하 탐사 레이더를 이용한 포장 도로 안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348B1 (ko) * 2015-07-27 2017-11-24 유에이치에스(주) 해상구조용 드론 및 이를 이용한 해상구조 시스템
KR101737547B1 (ko) 2017-01-18 2017-05-18 주식회사 장민이엔씨 도로 지반 안전진단용 탐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5239A (ja) * 2000-04-24 2001-10-31 Kansai Electric Power Co Inc:The 車両搭載機器による探査方法、車両搭載型探査装置並びにその磁場発生装置、磁場検出装置及び送受信部の支持構造
JP2003166232A (ja) * 2001-09-20 2003-06-13 Taisei Corp 締め固め管理装置
KR101241313B1 (ko) * 2011-12-12 2013-03-11 이성 주식회사 지하 탐사 레이더를 이용한 포장 도로 안전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605B1 (ko) 2020-11-23 2021-04-06 성원규 카트형 탄성파 싱크홀 탐사장치
KR20230011740A (ko) 2021-07-14 2023-01-25 노이즈프리미어랩 주식회사 싱크홀 측정 센서
KR20230011720A (ko) 2021-07-14 2023-01-25 노이즈프리미어랩 주식회사 싱크홀 측정 및 예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006A (ko) 2019-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9082B1 (ko) 싱크홀 탐지 장치
US6614721B2 (en) Collision avoidance method and system
CN103223911A (zh) 车辆用碰撞危险预测装置
US10551494B2 (en) Road information detection apparatus and road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AU2002211733A1 (en) Collision avoidance method and system
US85993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object detection system using two modulated light sources
CN202439686U (zh) 一种路面监控系统及包括该路面监控系统的车辆
CN102906593A (zh) 车辆后方监视装置
CN102713667A (zh) 用于检测目标的方法
KR102013224B1 (ko) 긴급 제동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06109298A3 (en) An optical scre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and operating same
KR2012006599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환경 추정
US9218001B2 (en) Wireless inducememt system and auto driving apparatus for driving vehicl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80050969A (ko) 차량용 물체감지시스템 및 차량용 물체감지방법
JPH08114447A (ja) 船の喫水計測装置および喫水計測方法
US101014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osition and proximity detection
JP2002236167A (ja) レーダ取付方向調整装置、及びレーダ取付方向調整方法
CN111830462A (zh) 一种应用于排水深隧工程水下机器人定位的方法及装置
JP2015072636A (ja) 情報処理装置
JP5436652B1 (ja) 車両の周辺監視装置及び車両の周辺監視方法
KR20150098439A (ko) 레이더 기반 종방향 차량 검지 장치 및 방법
JP4905496B2 (ja) 物体検出装置
JP4895880B2 (ja) 速度検知装置及び速度検知装置を備えた速度検知報知システム
KR102075427B1 (ko) 차량 주행을 위한 무선 유도 시스템, 자율 주행 장치 및 그 주행 방법
CN108267735B (zh) 雷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