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757B1 -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757B1
KR101988757B1 KR1020170175516A KR20170175516A KR101988757B1 KR 101988757 B1 KR101988757 B1 KR 101988757B1 KR 1020170175516 A KR1020170175516 A KR 1020170175516A KR 20170175516 A KR20170175516 A KR 20170175516A KR 101988757 B1 KR101988757 B1 KR 101988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hydroxy
cells
hepatocellular carcinoma
methyl anthraquinone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규
김정희
강병윤
박동준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5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757B1/ko
Priority to PCT/KR2018/015980 priority patent/WO2019124896A1/ko
Priority to CN201880081529.7A priority patent/CN11149162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1,2-DIHYDROXY-3-METHYLANTHRAQUINONE AS AN EFFE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CANCER}
본 발명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특히, 간세포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2015년에 발표된 중앙 암 등록본부 암 등록통계에 의하면 2013년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암이 225,343명 발생되었는데 그 중 원발 간암(primary liver cancer, 이하 간암)은 남녀를 합쳐서 16,192건이 발생하여 전체 암 발생의 7.2%로 6위를 차지한다.
2010년의 암 등록 통계 연례 보고에 의하면, 전체 간암 중 진단 코드 분류 기준으로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은 약 76.0%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간세포암의 호발지역일 뿐 아니라 현재 간세포암의 고위험군(high risk group)인 B형 및 C형 간염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들이 많아 간세포암에 대한 획기적인 치료법 개발이 시급하다.
최근 보고된 우리나라 10대 암의 5년 암 상대생존률(5-year relative survival rates)에 따르면 간암의 암 생존율은 꾸준히 개선되고 있으나 그 사이 발생한 우리나라 전체 암환자의 5년 상대 생존율 66.3%에 비하면 아직도 매우 불량한 예후를 보이고 있다.
현재 간세포암의 치료는 기존의 치료법들 이외에 국소 치료 방식인 경동맥화학색전술(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및 고주파 열치료(Radiofrequency ablation, RFA) 등이 있다. 이는 병기가 낮은 간세포암에서 좋은 성적을 보이고 있으나, 진행된 간세포암에서는 시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진행된 간세포암의 경우, 전신적인 항암화학요법 약제로 유일하게 승인 받은 소라페닙(sorafenib)(sorafenib) 단독 요법은 치료 효과가 좋지 않고, 특히 B형 간염바이러스에서 기원한 간세포암이 많은 동양에서는 더욱 그 치료 효과가 미미하여 개선된 치료법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등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간암은 간세포암일 수 있다.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은 항암제에 의한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항암제는 소라페닙(sorafenib)일 수 있다.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의 농도는 0.1㎍/㎖ 내지 1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특히, 간세포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은 정상 간세포에 대해 독성을 보이지 않으면서, 간세포암에 대해 세포 사멸 효과를 보이는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은 항암제(특히, 소라페닙(sorafenib))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에 대해 세포 사멸 효과를 보이는바, 항암제에 의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처리한 경우, 정상 간세포 세포주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처리한 경우, 간세포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처리한 경우, 소라페닙(sorafenib)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는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유사체 5종을 각각 처리한 경우, 간세포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자들은 간암의 치료 효과가 우수한 물질을 스크리닝하던 중,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이 정상 간세포에 대해 독성을 보이지 않으면서, 간세포암 또는 소라페닙(sorafenib)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에 대해 세포 사멸 효과를 보임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1,2-dihydroxy-3-methylanthraquinone)은 분자식이 C15H10O4이고, CAS 번호이 602-63-1이며,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26752083-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은 안트라퀴논계 화합물로서, 2개의 하이드록시기와 1개의 메틸기를 가지며, 2개의 하이드록시기가 서로 인접한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은 파극천 유래 물질로서,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은 건조된 파극천 뿌리(12.0 kg)를 75% 에탄올로 추출한 다음, 석유 에테르(petroleum ether),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n-부탄올(n-buthanol)을 사용하여 용매 분획을 수행하고,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가용성 분획에 대하여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여 분리한 것이다.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은 정상 간세포에 대해 독성을 보이지 않으면서, 간세포암 또는 소라페닙(sorafenib)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에 대해 세포 사멸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은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도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항암제에 의한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한편,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이라 할지라도,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유사체(Chrysophanol, Emodin, Physcion, 2-hydroxy-3-methylanthraquinone(HMQ) 및 Obtusifoli 등)의 경우에는 간세포암에 대해 세포 사멸 효과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의 농도는 0.1㎍/㎖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 내지 5㎎/㎖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록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이 상기 조성물에 적은 농도로 포함되더라도, 충분한 간암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보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때,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의 농도가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간세포암에 대한 세포 사멸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의 농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세포독성을 포함한 독성의 우려사항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간암은 간세포암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B형 간염 바이러스로부터 기원한 간세포암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간암은 항암제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소라페닙(sorafenib)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소라페닙(sorafenib)은 간세포암에 대한 표적 치료제이다.
소라페닙(sorafenib)는 경구용 다중 표적 항암제로서 판매 약품명은 넥사바 (nexavar)이다. 주요 역할은molecular targeted multi-kinase inhibitor로서 암세포의 증식단계와 형성단계에 관여하는 receptor tyrosine kinase (예, VEGFR, PDGFR, KIT and FLT-3) 및 암세포 혈관내부의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하는 serine/Threonine kinase(Raf kinase)를 선택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5년 12월 진행성 신장세포암에 대해 미국 FDA(Food and Drug Administration)의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 간세포암에 대한 유일한 표적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제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되어 사용할 수 있고, 제형화를 위하여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또는, 부형제 또는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게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한 다양한 화합물 혹은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는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액,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용성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젤라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는 1일 0.0001 내지 2,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2,000 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서 투여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투여량에 의해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 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서 투여할 수 있다.
간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또한, 본 발명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으로,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간암은 간세포암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B형 간염 바이러스로부터 기원한 간세포암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간암은 항암제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소라페닙(sorafenib)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인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소라페닙(sorafenib)은 간세포암에 대한 표적 치료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에 있어서,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건강기능식품의 첨가물로 사용하는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예방, 건강 또는 치료 등의 각 사용 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의 제형은 산제, 과립제, 환, 정제, 캡슐제의 형태뿐만 아니라 일반 식품 또는 음료의 형태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콜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은 원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첨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천연물을 이용하는 점에서 안전성 면에서 문제가 없으므로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 중 음료는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100 mL당 약 0.01 ~ 0.04 g, 바람직하게는 약 0.02 ~ 0.03 g일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에 따른 간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간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100 중량부 대비 0.01 ~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특히, 간세포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은 정상 간세포에 대해 독성을 보이지 않으면서, 간세포암에 대해 세포 사멸 효과를 보이는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은 항암제(특히, 소라페닙(sorafenib))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에 대해 세포 사멸 효과를 보이는바, 항암제에 의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1 ,2- 디하이드록시 -3- 메틸안트라퀴논의 독성 평가
한약 진흥 재단에서 보유한 천연물 라이브러리로부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공급받았다. 마우스 유래 정상 간세포 세포주로서, FL83B 세포 및 AML12 세포를 96-웰 플레이트(2X104 세포/웰)에서 10% FBS와 1x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배지에 분주하여 안정화시켰다. 24 시간 후,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로 교환하고 12시간 이상 결핍시킨 다음, 공급받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2㎍/㎖를 처리한 후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FL83B 세포 및 AML12 세포에 대한 독성을 MTT 어세이를 통해 평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동일한 양의 DMSO를 사용하였다.
MTT 어세이 결과, FL83B 세포 및 AML12 세포에 대한 세포생존율(%)은 DMSO의 세포생존율 100%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동일 조건에서 3회 이상 반복된 실험을 수행한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1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처리한 경우, 정상 간세포 세포주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정상 간세포 세포주에 처리하더라도 세포 생존율이 낮아지지 않았는바,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은 정상 간세포에 대해 독성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실시예 2: 1 ,2- 디하이드록시 -3- 메틸안트라퀴논의 간세포암에 대한 세포 사멸 효과 평가
한약 진흥 재단에서 보유한 천연물 라이브러리로부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공급받았다. 인간 유래 간세포암 세포주 총 5종으로서, Huh7 세포, HepG2 세포, HCCLM3 세포, Hep3B 세포 및 SNU354 세포를 사용하였고, 간암 세포주로서SK-Hep1 세포를 사용하였다. Huh7 세포는 p53에 돌연변이(mutation)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주이고, Hep3B세포는 p53이 삭제(deletion)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주이다. HCCLMS3 세포는 높은 전이성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주이다. 또한, Hep3B 세포 및 SK-Hep1 세포는 각각 HBV 유래 단백질인 HBs와 HBx를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주이다.
각 세포들을 96-웰 플레이트(2X104 세포/웰)에서 10% FBS와 1x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배지에 분주하여 안정화시켰다. 24시간 후,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로 교환하고 12시간 이상 결핍시킨 다음, 공급받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2㎍/㎖를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Huh7 세포, HepG2 세포, HCCLM3 세포, SK-Hep1 세포, Hep3B 세포 및 SNU354 세포에 대한 세포 사멸 효과를 MTT 어세이를 통해 평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동일한 양의 DMSO를 사용하였다.
MTT 어세이 결과, Huh7 세포, HepG2 세포, HCCLM3 세포, SK-Hep1 세포, Hep3B 세포 및 SNU354 세포에 대한 세포생존율(%)은 DMSO 의 세포생존율 100%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동일 조건에서 3회 이상 반복된 실험을 수행한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2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처리한 경우, 간세포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간세포암 세포주에 처리하면, Huh7 세포에서 세포생존율이 38.9%로, HepG2 세포에서 세포생존율이 54.7%로, HCCLM3 세포에서 세포생존율이 56.2%로, SK-Hep1 세포에서 세포생존율이 46.8%로, Hep3B 세포에서 세포생존율이 50.8%로, 그리고, SNU354 세포에서 세포생존율이 66.8%로 확인된다. 즉,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간세포암 세포주에 처리하면, 세포생존율이 음성 대조군 대비 적어도 30% 이상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은 간세포암에 대해 세포 사멸 효과를 보이는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 3: 1 ,2- 디하이드록시 -3- 메틸안트라퀴논의 소라페닙(sorafenib)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에 대한 세포 사멸 효과 평가
한약 진흥 재단에서 보유한 천연물 라이브러리로부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공급받았다. 마우스 유래 소라페닙(sorafenib)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 세포주로서, SRH(sorafenib-resistant Huh 7) 세포를 96-웰 플레이트(2X104 세포/웰)에서 10% FBS와 1x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배지에 분주하여 안정화시켰다. 24시간 후,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로 교환하고 12시간 이상 결핍시킨 다음, 공급받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2㎍/㎖를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SRH 세포에 대한 세포 사멸 효과를 MTT 어세이를 통해 평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동일한 양의 DMSO를 사용하였다.
MTT 어세이 결과, SRH 세포에 대한 세포생존율(%)은 DMSO의 세포생존율 100%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동일 조건에서 3회 이상 반복된 실험을 수행한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3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처리한 경우, 소라페닙(sorafenib)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소라페닙(sorafenib)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 세포주에 처리하면, SRH 세포에서 세포생존율이 56.5%로 확인된다. 즉,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소라페닙(sorafenib)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 세포주에 처리하면, 세포생존율이 음성 대조군 대비 적어도 40% 이상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은 소라페닙(sorafenib)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에 대해 세포 사멸 효과를 보이는바, 항암제에 의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비교예 1: 1 ,2- 디하이드록시 -3- 메틸안트라퀴논 유사체 5종의 간세포암에 대한 세포 사멸 효과 평가
한약 진흥 재단에서 보유한 천연물 라이브러리로부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공급받았다. 인간 유래 간세포암 세포주로서, Huh7 세포를 사용하였다.
각 세포들을 96-웰 플레이트(2X104 세포/웰)에서 10% FBS와 1x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배지에 분주하여 안정화시켰다. 24시간 후, FBS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로 교환하고 12시간 이상 결핍시킨 다음, 공급받은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유사체 5종(Chrysophanol, Emodin, Physcion, 2-hydroxy-3-methylanthraquinone(HMQ) 및 Obtusifoli) 각각을 2㎍/㎖씩 처리한 후 48시간 동안 배양하였으며, Huh7 세포에 대한 세포 사멸 효과를 MTT 어세이를 통해 평가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 동일한 양의 DMSO를 사용하였다.
MTT 어세이 결과, Huh7 세포에 대한 세포생존율(%)은 DMSO 의 세포생존율 100%를 기준으로 상대적인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동일 조건에서 3회 이상 반복된 실험을 수행한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도 4는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유사체 5종을 각각 처리한 경우, 간세포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유사체 5종(Chrysophanol, Emodin, Physcion, 2-hydroxy-3-methylanthraquinone(HMQ) 및 Obtusifoli)을 간세포암 세포주에 처리하더라도 간세포암에 대해 유의미한 세포 사멸 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안트라퀴논계 화합물이라 할지라도,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유사체의 경우에는 간세포암에 대해 세포 사멸 효과를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20 mg
유당수화물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수화물 100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2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10 mg
미결정셀룰로오스 3 mg
유당수화물 14.8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0.2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캡슐에 충전하여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10 mg
만니톨 180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인산일수소나트륨 26 mg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앰플당(2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1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레몬향 적량
상기의 성분을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로 조절한 후 멸균시켜 갈색병에 충진하여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1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음료의 제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10 mg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정제수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0)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라페닙(sorafenib)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삭제
삭제
삭제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의 농도는 0.1㎍/㎖ 내지 10㎎/㎖ 인, 소라페닙(sorafenib)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 또는 이의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라페닙(sorafenib)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삭제
삭제
삭제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의 농도는 0.1㎍/㎖ 내지 10㎎/㎖ 인, 소라페닙(sorafenib)에 의한 내성을 가진 간세포암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70175516A 2017-12-19 2017-12-19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8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516A KR101988757B1 (ko) 2017-12-19 2017-12-19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CT/KR2018/015980 WO2019124896A1 (ko) 2017-12-19 2018-12-17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201880081529.7A CN111491626B (zh) 2017-12-19 2018-12-17 以1,2-二羟基-3-甲基蒽醌作为有效成分的肝癌预防或治疗用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516A KR101988757B1 (ko) 2017-12-19 2017-12-19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757B1 true KR101988757B1 (ko) 2019-06-12

Family

ID=66845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516A KR101988757B1 (ko) 2017-12-19 2017-12-19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88757B1 (ko)
CN (1) CN111491626B (ko)
WO (1) WO2019124896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493A (ko) * 1998-01-26 1999-08-16 이희순 디아자안트라퀴논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제
US20070117784A1 (en) * 2005-03-04 2007-05-24 Novacea, Inc. Treatment of hyperproliferative diseases with anthraquinones
CN101112368A (zh) * 2006-09-07 2008-01-30 复旦大学 化合物s4在制备抗癌药物中的应用
KR20110085517A (ko) * 2010-01-20 2011-07-2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안트라퀴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40005080A (ko) * 2012-07-03 2014-01-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드록시 챨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US20150307441A1 (en) * 2012-08-08 2015-10-29 Biostatus Limited New compounds and uses thereof
KR20160054740A (ko) * 2014-11-07 2016-05-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커신을 포함하는 간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49008B (zh) * 2009-05-21 2011-07-06 华南师范大学 高压连续提取的决明子提取物在降血脂药物制备中的应用
US20120022018A1 (en) * 2010-07-23 2012-01-26 North Texas Medical Associates Anti-viral properties of aloe vera and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ids) treatment
CN102274220B (zh) * 2011-06-13 2013-03-27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基础医学研究所 索拉菲尼在制备逆转肿瘤多药耐药性的药物中的应用
CN105012411A (zh) * 2014-04-25 2015-11-04 西安世纪盛康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治疗肾脏疾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药用途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6493A (ko) * 1998-01-26 1999-08-16 이희순 디아자안트라퀴논 유도체 및 이를 함유하는 항암제
US20070117784A1 (en) * 2005-03-04 2007-05-24 Novacea, Inc. Treatment of hyperproliferative diseases with anthraquinones
CN101112368A (zh) * 2006-09-07 2008-01-30 复旦大学 化合物s4在制备抗癌药物中的应用
WO2008031358A1 (fr) * 2006-09-07 2008-03-20 Fudan University 1,2-dihydroxy-3-methyl-9,10-anthraquinone utile dans la fabrication de médicaments pour traiter les cancers
KR20110085517A (ko) * 2010-01-20 2011-07-27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안트라퀴논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20140005080A (ko) * 2012-07-03 2014-01-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드록시 챨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
US20150307441A1 (en) * 2012-08-08 2015-10-29 Biostatus Limited New compounds and uses thereof
KR20160054740A (ko) * 2014-11-07 2016-05-17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커신을 포함하는 간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91626B (zh) 2023-04-11
CN111491626A (zh) 2020-08-04
WO2019124896A1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056B1 (ko) 리퀴리티게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416149B1 (ko) Il-6 유도 stat3 활성화 저해 효과를 갖는 강황 또는 울금의 지상부 추출물, 또는 이의 비극성 유기용매 분획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91205B1 (ko)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2383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5546867B2 (ja) ホルシチアシド注射製剤
EP3299025B1 (en) Composition containing quisqualis indica
KR101441609B1 (ko)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2007055929A (ja) 肝保護剤組成物
KR101559130B1 (ko) 한약재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88757B1 (ko) 1,2-디하이드록시-3-메틸안트라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40095167A (ko) 호노키올 및 마그놀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73264B1 (ko) 우콘 중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저수분계 조성물
KR20180118413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부탄올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1609B1 (ko) 율무 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118412A (ko)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392345B1 (ko) 영릉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약학조성물
KR101371354B1 (ko) 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지질 관련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150619A (ko) 호노키올 및 마그놀올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지방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57800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50087715A (ko) 개똥쑥 추출물, 아테미시닌 또는 디히드로아테미시닌을 포함하는 간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01681A (ko) 호노키올 및 마그놀올 함량이 증강된 후박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90142672A (ko) 강황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손상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40026737A (ko) 발효울금 분말을 함유한 알코올성 간손상 보호용 조성물
KR101244284B1 (ko) 안정성이 향상된 누에 수번데기 동결건조물 함유 액상 조성물
KR101747044B1 (ko) 크리스타진을 함유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