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099B1 -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099B1
KR101988099B1 KR1020170043484A KR20170043484A KR101988099B1 KR 101988099 B1 KR101988099 B1 KR 101988099B1 KR 1020170043484 A KR1020170043484 A KR 1020170043484A KR 20170043484 A KR20170043484 A KR 20170043484A KR 101988099 B1 KR101988099 B1 KR 101988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ariance matrix
peak value
frequency
matrix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2421A (ko
Inventor
이준호
장설양
Original Assignee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3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09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3/00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 G01S3/02Direction-finders for determining the direction from which infrasonic, sonic, ultrasonic, or electromagnetic waves, or particle emission, not having a directional significance, are being received using radio waves
    • G01S3/04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6Matrix or vector computation, e.g. matrix-matrix or matrix-vector multiplication, matrix factoriz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lgebr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주파수 영역에서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을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은 수신 신호에 대해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및 최대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신호값을 이용하여, 공분산 행렬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COVARIANCE MATRIX GENERATION METHOD FOR DOA ESTIMATION}
본 발명은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파수 영역에서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Conventional Beamforming, Capon Beamforming, MUSIC 알고리즘 등의 도래각 추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도래각(Direction Of Arrival)을 추정할 때, 수신 신호에 대한 공분산 행렬(covariance matrix)을 이용한다. 공분산 행렬은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계산될 수 있다.
도 1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계산된 공분산 행렬을 이용하여 도래각을 추정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a)는 시간 영역에서 계산된 공분산 행렬을 이용한 결과, 도 2(b)는 주파수 영역에서 계산된 공분산 행렬을 이용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은 안테나로부터 2m 및 8m 떨어진 위치에서, 안테나와 -20도 및 -10도의 각도로 입사되는 수신 신호에 대한 도래각 추정 결과를 나타낸다. 도 1에서 초록색 직선이 실제 도래각을 나타내며, 검은선은 Conventional Beamforming 알고리즘에 따른 추정 결과, 빨간선은 Capon Beamforming 알고리즘에 따른 추정 결과, 청색선은 MUSIC 알고리즘에 따른 추정 결과를 나타낸다. 그래프에서 상대적으로 스펙트럼 값이 높게 형성된 각도가 각각의 알고리즘에서 추정된 도래각에 대응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신호가 인접하게 안테나로 입사되는 경우 2개의 수신 신호의 도래각이 정확하게 추정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차량과 같은 이동체에서 도래각 추정을 통해 주변 차량이나 장애물의 위치를 추정하는 경우에, 전술된 문제는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 특허 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55996호, 비특허 문헌인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에서 주파수 영역의 도래각 추정 기법에 관한 연구, 최정환, 최지원, 김성철,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16-01 Vol.41 No.01"가 있다.
본 발명은 도래각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신호에 대해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및 최대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신호값을 이용하여, 공분산 행렬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신호에 대해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로부터, 임계값 이상의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기 설정된 개수만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주파수의 신호값을 이용하여, 상기 피크값 개수만큼의 공분산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파수 스펙트럼의 피크값 중 일부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신호값을 이용하여 공분산 행렬을 계산함으로써, 인접하게 입사되는 수신 신호에 대해서도 도래각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에서 계산된 공분산 행렬을 이용하여 도래각을 추정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 탐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주파수 스펙트럼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래각 추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도래각 추정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파수 영역에서 수신 신호에 대한 공분산 행렬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주파수 영역에서 공분산 행렬을 계산할 때, 수신 신호의 모든 주파수 성분이 고려된다. 즉, 주파수 스펙트럼의 모든 주파수 빈(bin)의 신호값을 이용하여 공분산 행렬이 계산된다. 이 경우, 안테나로 입사되는 수신 신호가 인접하게 수신되는 다른 신호에 의해 받는 영향이 고려되지 않아, 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인접한 신호에 대해 정확한 도래각 추정이 어렵다.
본 발명은, 주파수 스펙트럼의 피크값 중 일부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신호값을 이용하여 공분산 행렬을 계산함으로써, 인접하게 입사되는 수신 신호에 대해서도 도래각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공분산 행렬에 이용되는 피크값은 최대 피크값이거나 또는 최대 피크값보다 작으며 임계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피크값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 탐지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주파수 스펙트럼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방향 탐지 장치가 선형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가 일실시예로서 설명되며, 배열 안테나의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향 탐지 장치(210)는 공분산 행렬 생성부(220) 및 도래각 추정부(230)를 포함한다.
공분산 행렬 생성부(220)는 수신 신호에 대해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고, 최대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신호값을 이용하여, 공분산 행렬을 계산한다. 또는 기 설정된 개수의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신호값을 이용하여, 공분산 행렬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신호에 대한 주파수 스펙트럼이 얻어진 경우, 공분산 행렬 생성부(220)는 최대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f3)의 신호값을 이용할 수 있으며, 또는 최대 피크값보다 작으며 임계값(T)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f9)의 신호값을 이용할 수 있다.
수신 신호는 잡음이나 다양한 신호가 혼합되어 안테나로 수신될 수 있는데, 수신 신호에 대한 주파수 성분 분석 결과 최대 피크치를 나타내는 주파수가 수신 신호의 주파수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공분산 행렬 생성부(220)는 최대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신호값을 이용한다. 또한 복수개의 수신 신호가 혼합하여 수신되는 경우, 최대 피크값 및 최대 피크값과 차이가 크지 않은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들이 수신 신호들에 대한 주파수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공분산 행렬 생성부(220)는 최대 피크값보다 작지만 임계값 이상인 피크값의 주파수의 신호값을 이용한다.
공분산 행렬 생성부(220)는 FFT(Fast Fourier Transform)를 통해 주파수 성분을 분석할 수 있으며, 신호값은 FFT 값이다. FFT에 의해, 수신 신호의 주파수 성분 및 주파수 성분에 대한 FFT 값이 복소수 형태로 출력될 수 있으며, FFT 값으로부터 주파수 성분 각각에 대한 매그니튜드가 계산될 수 있다.
즉, 공분산 행렬 생성부(220)는 최대 매그니튜드인 최대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와, 해당 주파수의 FFT 값을 이용하여 공분산 행렬을 계산한다.
도래각 추정부(230)는 공분산 행렬을 이용하여 수신 신호의 도래각을 추정하며, 전술된 Conventional Beamforming, Capon Beamforming, MUSIC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복수개의 피크값에 대해 공분산 행렬이 계산된 경우, 도래각 추정부(230)는 공분산 행렬 각각에 기반하여 도래각 추정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에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공분산 행렬 생성부(220)나 방향 탐지 장치(21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방향 탐지 장치의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이 일실시예로서 설명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 탐지 장치는 수신 신호에 대해 주파수 성분을 분석(S410)하며, 최대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신호값을 이용하여, 공분산 행렬을 계산(S420)한다. 신호값은 최대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FFT 값이다.
이 때, 방향 탐지 장치는 최대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에 인접한 기 설정된 개수의 주파수의 신호값을 추가로 이용하여, 공분산 행렬을 계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최대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f3)에 인접한 주파수(f2, f4)의 신호값이 공분산 행렬 계산에 추가로 이용될 수 있다.
다시 도 4로 돌아와, 방향 탐지 장치는 [수학식 1]과 같이, 최대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의 신호값으로 이루어지는 제1행렬(
Figure 112017032781463-pat00001
) 및 제1행렬의 켤레 전치(hermitian transpose) 행렬인 제2행렬
Figure 112017032781463-pat00002
)을 이용하여, 공분산 행렬(
Figure 112017032781463-pat00003
)을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2t는 최대 피크값의 주파수에 인접한 주파수의 개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32781463-pat00004
최대 피크값의 주파수 인덱스를 si라고 할 경우, 제1행렬은 [수학식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값인 FFT 값은 복소수 형태이므로, 제1행렬에 대해 켤레 전치 행렬이 계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7032781463-pat00005
[수학식 2]에서 M은 배열 안테나의 안테나 개수를 나타내며, 제1행렬의 크기는 (2t+1)×M이다. 결국, 제1행렬의 크기는 공분산 행렬 계산에 이용되는 주파수의 개수(2t+1) 및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배열 안테나의 안테나 개수(M)에 따라 결정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향 탐지 장치는 수신 신호에 대해 주파수 성분을 분석(S510)하고, 분석 결과로부터, 임계값 이상의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기 설정된 개수만큼 결정(S520)한다. 그리고 결정된 주파수의 신호값을 이용하여, 피크값 개수만큼의 공분산 행렬을 생성(S530)한다.
단계 S520에서 방향 탐지 장치는 최대 피크값 및 최대 피크값보다 작으며 임계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최대 피크값보다 작으며 임계값 이상인 피크값은, 예를 들어, 최대 피크값 다음으로 큰 피크값, 즉 두번째로 큰 피크값일 수 있다.
단계 S520에서 결정되는 피크값의 개수는 인접하게 안테나로 입사되는 수신 신호의 개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단계 S520에서 결정되는 피크값이 복수개일 경우, 최대 피크값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피크값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접하게 안테나로 입사되는 수신 신호가 2개인 경우, 최대 피크값과 두번째로 큰 피크값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인접하게 안테나로 입사되는 수신 신호가 3개인 최대 피크값과 두번째로 큰 피크값, 그리고 세번째로 큰 피크값이 결정될 수 있다.
인접하게 안테나로 입사되는 수신 신호는 신호원이 안테나로부터 이격된 거리 및 안테나로 입사되는 입사각이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수신 신호를 의미하며, 이는 방향 탐지 장치의 주변 상황에 따라 추정될 수 있다. 예컨대, 방향 탐지 장치가 차량에 탑재되어 주변 차량을 감지하는 레이더 시스템으로 이용되는 경우, 출퇴근 시간과 같이 혼잡한 상황에서 S520에서 결정되는 피크값의 개수는 복수개일 수 있다.
또는 인접하게 안테나로 입사되는 수신 신호의 개수는 주파수 스텍트럼을 통해 추정할 수 있다. 복수의 수신 신호가 인접하게 안테나로 입사된다면, 주파수 스텍트럼 상에서 최대 피크값과 차이가 크지 않은 피크값이 복수개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최대 피크값과 차이가 크지 않은 피크값이 단계 S520에서의 피크값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임계값을 조절하여 단계 S520에서 이용되는 피크값의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단계 S530에서 방향 탐지 장치는 결정된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에 인접한 기 설정된 개수의 주파수의 신호값을 추가로 이용하여, 공분산 행렬을 생성하며, 단계 S520에서 결정된 피크값 각각에 대해 공분산 행렬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단계 S520에서 최대 피크값과 다음으로 큰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가 결정된 경우, 2개의 공분산 행렬이 계산될 수 있다. 그리고 방향 탐지 장치는 2개의 공부산 행렬 각각에 기반하여 도래각 추정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래각 추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의 결과는 도 1과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된 결과로서, 도 6(a)는 최대 피크값에 대한 공분산 행렬을 산출하여 도래각을 추정한 결과이며, 도 6(b)는 최대 피크값 다음으로 큰 피크값에 대한 공분산 행렬을 산출하여 도래각을 추정한 결과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안테나로부터 2m 및 8m 떨어진 위치에서, 안테나와 -20도 및 -10도의 각도로 입사되는 수신 신호의 도래각이 모두 정확하게 추정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기술적 내용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들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수신 신호에 대해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로부터, 임계값 이상의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기 설정된 개수만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주파수의 신호값을 이용하여, 상기 피크값 개수만큼의 공분산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최대 피크값 및 상기 최대 피크값보다 작으며 상기 임계값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결정하며, 안테나로 인접하게 입사되는 수신 신호의 개수에 따라서, 상기 피크값의 개수를 결정하는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
  8. 수신 신호에 대해 주파수 성분을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 결과로부터, 임계값 이상의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를 기 설정된 개수만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주파수의 신호값을 이용하여, 상기 피크값 개수만큼의 공분산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공분산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피크값에 대응되는 주파수에 인접한 기 설정된 개수의 주파수의 신호값을 추가로 이용하여, 상기 공분산 행렬을 생성하는
    를 포함하는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분산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피크값 각각에 대해 공분산 행렬을 생성하며,
    상기 공분산 행렬 각각에 기반하여 도래각 추정 알고리즘이 수행되는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분산 행렬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신호값으로 이루어지는 제1행렬 및 상기 제1행렬의 켤레 전치 행렬인 제2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공분산 행렬을 생성하며,
    상기 제1행렬의 크기는
    상기 공분산 행렬 계산에 이용되는 주파수의 개수 및 상기 수신 신호를 수신하는 배열 안테나의 안테나 개수에 따라 결정되는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
KR1020170043484A 2017-04-04 2017-04-04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 KR101988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484A KR101988099B1 (ko) 2017-04-04 2017-04-04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484A KR101988099B1 (ko) 2017-04-04 2017-04-04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421A KR20180112421A (ko) 2018-10-12
KR101988099B1 true KR101988099B1 (ko) 2019-06-11

Family

ID=6387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484A KR101988099B1 (ko) 2017-04-04 2017-04-04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1550A (ko) * 2018-11-26 2020-06-03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렌즈 안테나 기반 2단계 도래각 추정 방법
CN109782245B (zh) * 2018-12-31 2020-12-25 深圳市华讯方舟太赫兹科技有限公司 波达方向估计方法及装置、雷达、可读存储介质
KR102183439B1 (ko) 2019-05-29 2020-11-26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Beamspace MUSIC과 TMA를 결합한 도래각 추정 방법 및 장치
CN112579972A (zh) * 2020-11-28 2021-03-30 西北工业大学 方向性电磁耦合效应下空域信息联合估计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7869A1 (ja) * 2004-12-24 2006-06-29 Fujitsu Limited 到来方向推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243947A (ja) * 2008-03-28 2009-10-22 Fujitsu Ltd 到来方向推定装置、到来方向推定方法および到来方向推定プログラム
JP2010121991A (ja) * 2008-11-18 2010-06-0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波到来方向推定装置
JP2012013612A (ja) * 2010-07-02 2012-01-19 Panasonic Corp 到来方向推定装置及び到来方向推定方法
KR101274554B1 (ko) * 2012-03-02 2013-06-13 국방과학연구소 도래각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열 안테나 시스템
KR101420194B1 (ko) * 2013-01-08 2014-07-3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상관된 안테나 잡음 환경에서 상관된 다중신호들을 위한 고해상도 방향 탐지 방법
KR101555996B1 (ko) * 2014-08-14 2015-10-13 국방과학연구소 저피탐 표적 탐지를 위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공분산 행렬 합성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4426B1 (ja) * 1998-02-09 1999-08-16 株式会社ワイ・アール・ピー移動通信基盤技術研究所 到来波推定方法
KR20120071851A (ko) * 2010-12-23 2012-07-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도래 방향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1414574B1 (ko) * 2012-11-05 2014-07-03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상관된 안테나 잡음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상관된 신호들에 대한 공간적 평활화된 자기 컨벌루션 기반 도래방향각 예측 방법
KR101603630B1 (ko) * 2014-07-23 2016-03-15 국방과학연구소 송신신호 파형의 직교성을 이용한 재머 신호 억제 및 원신호 도래각 추정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67869A1 (ja) * 2004-12-24 2006-06-29 Fujitsu Limited 到来方向推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9243947A (ja) * 2008-03-28 2009-10-22 Fujitsu Ltd 到来方向推定装置、到来方向推定方法および到来方向推定プログラム
JP2010121991A (ja) * 2008-11-18 2010-06-03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波到来方向推定装置
JP2012013612A (ja) * 2010-07-02 2012-01-19 Panasonic Corp 到来方向推定装置及び到来方向推定方法
KR101274554B1 (ko) * 2012-03-02 2013-06-13 국방과학연구소 도래각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열 안테나 시스템
KR101420194B1 (ko) * 2013-01-08 2014-07-30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상관된 안테나 잡음 환경에서 상관된 다중신호들을 위한 고해상도 방향 탐지 방법
KR101555996B1 (ko) * 2014-08-14 2015-10-13 국방과학연구소 저피탐 표적 탐지를 위한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이용한 공분산 행렬 합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421A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099B1 (ko) 도래각 추정을 위한 공분산 행렬 생성 방법
US7912680B2 (en) Direction-of-arrival estimation apparatus
US8531917B2 (en) Direction of arrival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JP5695925B2 (ja) 電子走査型レーダ装置、受信波方向推定方法及び受信波方向推定プログラム
KR102088426B1 (ko) 이중 편파 레이더의 타겟 검출 장치 및 방법
US20030140771A1 (en) Music spectrum calculating method, device and medium
KR101498646B1 (ko) 다중 재머 환경에서의 doa 추정 장치 및 방법
JP4972852B2 (ja) レーダ装置
JP2012132846A (ja) 電子走査型レーダ装置、受信波方向推定方法及び受信波方向推定プログラム
Özkan et al. Ground multiple target tracking with a network of acoustic sensor arrays using PHD and CPHD filters
JP5779370B2 (ja) 電子走査型レーダ装置、受信波方向推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88109B1 (ko) 다중입출력시스템에서 거리 추정값을 이용한 신호원 위치 추정 방법
KR102169873B1 (ko) 차량용 레이더의 고유값의 상대 비교를 통한 신호 개수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레이더
KR101909710B1 (ko) 소나 시스템에서 신호의 희소성을 기초로 주파수영역에서의 공분산행렬 기반 압축센싱 도래각 추정방법 및 시스템
US20210199757A1 (en) Incoming wave count estimation apparatus and incoming wave count incoming direction estimation apparatus
US8116169B2 (en) Active sonar system and active sonar method using noise reduction techniques and advanced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CN103901421B (zh) 基于对角减载的水声阵列smi-mvdr空间谱估计方法
Zhu et al. Ionospheric decontamination for HF hybrid sky-surface wave radar on a shipborne platform
KR102159631B1 (ko) 부대역 조향 공분산 행렬을 이용한 적응형 빔형성기의 신호처리방법
KR102046061B1 (ko) 레이더를 이용한 타겟 탐지 장치 및 방법
KR20130034095A (ko) 모바일 신호의 도착각/도착시간을 추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97080B1 (ko) 가상 채널을 이용한 다중 송수신 어레이 안테나 레이더 장치 및 그 방법
Yun et al. Distance estimation scheme exploiting IR-UWB radar with clutter suppressing algorithm in indoor environments
KR101334734B1 (ko) 빔 함수를 이용한 입사신호의 도래각 추정방법 및 장치
Jiang et al. A new source number estimation method based on the beam eigenval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